KR101415277B1 - 이중 온도 조절식 칼럼 오븐 - Google Patents

이중 온도 조절식 칼럼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277B1
KR101415277B1 KR1020097017353A KR20097017353A KR101415277B1 KR 101415277 B1 KR101415277 B1 KR 101415277B1 KR 1020097017353 A KR1020097017353 A KR 1020097017353A KR 20097017353 A KR20097017353 A KR 20097017353A KR 101415277 B1 KR101415277 B1 KR 10141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hamber
column
outer chamber
inn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287A (ko
Inventor
토루 사토
타다노리 스기모토
미노루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토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소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01N30/28Control of physical parameters of the fluid carrier
    • G01N30/30Control of physical parameters of the fluid carrier of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01N30/38Flow patterns
    • G01N30/46Flow patterns using more than one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4Optical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26Conditioning of the fluid carrier; Flow patterns
    • G01N30/28Control of physical parameters of the fluid carrier
    • G01N30/30Control of physical parameters of the fluid carrier of temperature
    • G01N2030/3084Control of physical parameters of the fluid carrier of temperature ov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50Conditioning of the sorbent material or stationary liquid
    • G01N30/52Physical parameters
    • G01N30/54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결해야할 과제는 장치가 설치된 환경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매우 높은 온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칼럼 오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칼럼 오븐은, 외실(12)과, 상기 외실(12) 내에 배치된 내실(14)을 구비하고, 상기 내실(14) 내에 칼럼(16)이 배치되는 칼럼 오븐(10)으로서, 상기 외실 내에는 히터(18)와, 상기 히터(18)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외실 팬(20)과, 외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외실온도센서(22)가 구비되고, 상기 내실(14) 내에는 내실 팬(24)과, 내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내실온도센서(26)가 구비되며, 상기 내실 외벽은, 외실 내벽과 격리되어 있고, 상기 내실온도센서(26)의 검출온도에 의거해서 외실의 내부온도의 목표온도가 설정되며, 외실온도센서(22)의 검출온도에 의해 히터(18)의 통전 제어를 행하는 온도제어기(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칼럼 오븐, 내실, 외실, 칼럼, 온도 센서, 히터, 온도제어기

Description

이중 온도 조절식 칼럼 오븐{COLUMN OVEN WITH DOUBLE TEMPERATURE CONTROL}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7년 2월 23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7-04437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이것은 본원에 원용되는 것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칼럼 오븐, 특히 그 온도제어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 각종 크로마토그래피에는 칼럼 오븐이 이용되고, 분석, 분취의 대상으로 되는 성분의 분리를 적절하게 행하기 위해서 칼럼의 온도제어를 행하고 있다. 즉, 칼럼에 충전되는 충전제에의 각 주성분의 흡탈착은, 칼럼 온도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성분 분리 및 높은 재현성을 얻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고정밀도의 온도제어가 요구된다.
이 때문에, 칼럼 오븐을 이중실(二重室) 구조로 하거나(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혹은 외부 공기의 도입 시 예비가열을 행하고 있었다(특허문헌 3).
특히 혼합 용매와 시차굴절계를 사용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는, 샘플용과 레퍼런스(reference)용의 복수의 칼럼을 이용하고, 또한, 칼럼 유출액의 온도 자체가 굴절률에 영향을 부여하므로, 각 칼럼의 온도의 미소한 변화 혹은 칼럼 간의 온 도차가 노이즈로서 베이스라인(baseline)의 안정성에 영향을 부여하여,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그러나, 종래의 칼럼 오븐에 따라서는 충분한 온도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고, 최근의 고감도 검출기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이 점에 대해서, 본 발명자들이 시차굴절계를 구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이용해서 검증한 바, 히터의 ON/OFF, 오븐 내의 온도 분포,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 온도의 변화가 이들 불안정화의 큰 요인으로 되고 있는 것이 명확하게 되었다. 특히, 칼럼 실내의 온도 분포는, 칼럼 실외의 0.1℃ 단위에서의 온도 변화 및 온도 분포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다.
특허문헌 1:일본국 공개특허 평5-8779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5-14050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1-13126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치가 설치된 환경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매우 높은 온도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칼럼 오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칼럼 오븐은, 외실과, 상기 외실 내에 배치된 내실을 구비하고, 상기 내실 내에 칼럼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실 내에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외실 팬과, 외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외실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내실 내에는 내실 팬이 구비되며,
외실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해 히터의 통전 제어를 행하는 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칼럼 오븐은, 외실과, 상기 외실 내에 배치된 내실을 구비하고, 상기 내실 내에 칼럼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외실 내에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외실 팬과, 외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외실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내실 내에는 내실 팬과, 내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내실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내실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거해서 외실의 내부온도의 목표온도가 설정되고, 외실온도센서의 검출온도와 외실목표온도의 비교에 의해 히터의 통전 제어를 행하는 온도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칼럼 오븐에 있어서, 내실 내에는 샘플 칼럼과 레퍼런스 칼럼이 설치되고, 시차굴절계를 구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럼 오븐은, 외실 및 내실이 각각 탄성체에 의해 연결된 문을 구비하고, 외실문의 개방에 따라 내실문도 개방되며, 외실문을 폐쇄함으로써, 내실문은 외실문과 격리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칼럼 오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실과 내실을 구비하고, 외실에 히터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으므로, 칼럼이 배치되는 내실의 외주, 즉 외실 내부가 비교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 오븐 외부 영역의 온도 변화의 영향을 받는 일이 적어, 높은 온도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칼럼 오븐의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칼럼 오븐의 온도 안정화 효과의 설명도;
도 3은 이중실 칼럼 오븐의 내실에 설치된 히터에 의해 온도 제어된 장치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와의,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칼럼 오븐과, 내실이 없는 종래의 칼럼 오븐과의, 환경 온도 변화에 대한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차굴절계를 구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구성 설명도;
도 6은 니들 선단에 액면 후퇴가 있을 경우와, 액면 후퇴가 없을 경우의 측정 결과의 설명도.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칼럼 오븐(10)의 개략적인 구성이 표시되 어 있다.
해당 도 1에 나타낸 오븐(10)은, 외실(12)과, 상기 외실(12) 내에 배치된 내실(14)을 구비하고, 외실벽과 내실벽은 적어도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정도로 격리되어 있다. 그리고, 내실(14) 내에는 승온 대상인 칼럼(16)이 설치되어 있다.
외실(12) 내에는 승온용의 히터(18)와, 상기 히터(18)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20)과, 외실의 내부온도, 즉 내실 외부 영역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실(14) 내에는, 상기 칼럼(16) 외에, 내실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24a) 및 (24b)과, 내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실온도센서(22) 및 내실온도센서(26)의 검출 신호는 온도제어기(28)에 송출되어, 상기 온도제어기(28)의 제어에 의해 히터(18)의 발열 제어가 행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칼럼 오븐(10)은 개략적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이하에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오븐(10)의 내실(14) 내에 칼럼(16)을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오븐(10)은 외실벽 앞면(12a)(도면 중 오른쪽) 및 내실벽 앞면(14a)이 서로 밀착하지 않도록 탄성체(30a), (30b)에 의해 연결되어, 도시를 생략한 장치 앞면문과 함께 도면 중 A-A선 부분에서 우측 방향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장치 앞면쪽에 내실(14)이 개방되어, 칼럼(16)의 설치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칼럼(16)의 설치 및 그에 따른 배관 작업이 종료된 경우, 장치 앞면문을 폐쇄하면, 이것에 연동해서 외실벽 앞면(12a) 및 내실벽 앞면(14a)도 각각 도 1에 나타낸 위치로 복귀되어, 외실(12)이 외부와 격리되는 동시에, 내실벽 앞면(14a)도 내실 본체벽(14b)에 탄성체(30a) 및 (30b)에 의해 압착되어, 내실은 외실과 격리된다. 이 상태에서, 외실벽과 내실벽의 어느 쪽의 부분에 있어서도 서로 밀착은 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제어기(28)의 조작에 의해 측정에 대응한 승온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
제어기(28)는 칼럼(16)을 원하는 온도(예를 들어 40℃)로 상승시키기 위해서, 히터(18)에 전력을 공급하여 발열시킨다. 히터(18)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팬(20)에 의해 외실(12) 내를 순환하고, 외실벽면과는 격리하고 있는 내실(14)을 그 외주 전체로부터 균질하게 가열한다. 그리고, 내실(14) 내에 배치된 팬(24a), (24b)은 각각 내실(14) 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내실(14) 내의 각 개소를 균질한 온도로 하는 동시에 칼럼(16)을 가열한다.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시차굴절률의 측정 결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칼럼 온도에의 영향 인자로서,
· 히터의 ON/OFF
· 장치가 설치된 환경 온도의 변화
· 오븐 내의 온도 불균일
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히터의 ON/OFF의 영향에 대해서는, 내실벽이 장벽으로 되고, 외실의 내부온도의 미소한 변화는 내실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배제된다.
한편, 외실(12)의 외주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실의 온도의 영향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받아, 외실벽에는 많든 적든 간에 온도 불균일을 일으킨다. 종래, 이 온도 불균일이 오븐(10) 내의 온도 불균일, 나아가서는 칼럼(16)의 온도 불균일을 일으키고 있었다. 특히, 샘플 칼럼과 레퍼런스 칼럼을 요구하는 바와 같은 시차굴절계를 이용한 분석 장치 등에서는 샘플 칼럼과 레퍼런스 칼럼의 설치 위치의 차이에 의해서도 온도차를 일으키고, 이것이 측정 결과에 노이즈로서 중첩된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칼럼 오븐에 의하면, 외실(12) 내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온도 불균일을 일으키는 일이 있지만, 내실(14)은 외실(12) 내의 순환 공기에 의해, 그 전체면으로부터 균질하게 열전달되어, 내실(14) 내에도 팬에 의한 온도균질화가 행해지기 때문에, 칼럼의 설치 위치에 의한 온도차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이 결과, 시차굴절률 등을 측정할 경우에도, 복수의 칼럼 간의 온도차도 없고, 매우 안정성이 높은 온도제어를 행할 수 있으며, 게다가 베이스라인의 안정성도 높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실(14)의 벽면 재질은, 알루미늄 혹은 스테인레스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외실(12)의 미소한 온도 변화를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열전달성이 작아지고, 또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실온도센서를 설치하고 있지만, 외실온도센서 단독에 의해서도, 다소 시간은 걸리지만 내실 내부온도의 안정화는 달성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실 내에는 히터를 설치하지 않고 있지만, 안정화 전에만 사용하고, 측정 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예열 히터를 내실 내에 설치하여, 내실온도의 신속한 향상을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도 2는 외실(12) 내부의 온도 분포와 내실(14) 내부의 온도 분포를 측정한 결과이다.
해당 도 2에 있어서, 칼럼 오븐(10)의 설정 온도가 40℃인 경우, 외실(12) 내부의 온도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의 차이, 즉 온도 불균일은 약 0.6℃였지만, 내실(14) 내부의 온도 불균일은 0.05℃까지 축소되었다. 또, 히터 ON/OFF에 수반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각 부위의 온도 변화는, 외실 내부에서는 0.05℃였지만, 내실 내부에서는 0.01℃ 이하로 되었다. 또한, 실온이 25℃인 경우와 30℃인 경우를 비교하면, 외실 내부에서는 0.5℃의 영향을 받았지만 내실 내부에서는 0.05℃로 축소되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칼럼 오븐에 의하면, 매우 높은 온도 안정성, 정밀성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이중실 칼럼 오븐의 내실에 설치한 히터에 의해 온도제어를 행한 비교예 장치와, 상기 실시예에 의한 장치(도 1)에 의해서,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을 확인하였다.
내실에 설치한 히터에 의해 온도제어를 행하는 장치로서, 내실이 없는 종래 의 칼럼 오븐(항온실내의 온도제어가 칼럼 오븐 외실의 온도제어에 상당함)을 항온실내에 설치해서 이용하였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이용하였다.
이들 양 장치에 의해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을 취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내실 내부의 히터에 의해 온도제어를 행한 장치에서는, 내실의 히터의 ON/OFF에 의한 미소한 온도 변화가 칼럼에 직접 전달되므로,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에도 미세한 변동이 보여진(도 3 실선 A)데 대해서,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서는, 외실 히터의 ON/OFF에 의한 온도의 미소한 변화가 내실에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내실에 히터를 설치한 장치와 비교해서,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 변동을 억제할 수 있었다(도 3 실선 B).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중실 구조를 한 본원 발명의 칼럼 오븐(도 1)과, 내실이 없는 종래의 칼럼 오븐에 의해, 환경 온도 변화에 대한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을 확인하였다.
양 칼럼 오븐에 대해서, 환경 온도를 20분 주기로 5℃ 변동시킨 때의,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을 취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내실이 없는 종래의 칼럼 오븐에서는, 도 2의 외실에서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경 온도의 변화에 따라, 칼럼 오븐 실내의 온도도 변화되므로,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에도 변동이 보여진(도 4 실선 A)데 대해서, 본원 발명의 칼럼 오븐에서는, 칼럼 오븐 내실 내부의 온도 변화가, 내실이 없는 종래의 칼럼 오븐과 비교해서 작기 때문에(도 2), 시차굴절계의 베이스라인의 변동도 낮게 억제할 수 있었다(도 4 실선 B).
도 5에는 본 실시예에 의한 칼럼 오븐이 적용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해당 도 5에 나타낸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100)는, 탈기 기구(102), 퍼지 기구(104), 펌프 오븐 기구(106), 칼럼 오븐 기구(108), 시차굴절률 측정기구(110), 주입 기구(112) 및 드레인 기구(114)를 구비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UV 검출 기구(116) 등이 옵션(option)으로서 설치된다.
그리고, 용매조(118)로부터의 용매는, 탈기 기구(102)에 의해 탈기되어, 더욱 퍼지 기구(104)를 거쳐서 펌프 오븐(106)을 향한다. 상기 펌프 오븐(106)에서 예열된 용매는 샘플 루트와 레퍼런스 루트로 2분할되어, 칼럼 오븐 기구(108) 내의 샘플 칼럼(146), 레퍼런스 칼럼(148)을 각각 통과해서 시차굴절률 측정기구(110)에 의해 굴절률이 측정된다. 또, 상기 샘플 루트에는 상기 주입 기구(112)에 의해 샘플이 주입되어 있다. 측정이 종료된 샘플 용액 및 레퍼런스 용액은 각각 드레인 기구(114)를 거쳐서 폐기 또는 회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탈기 기구(102)는, 탈기 챔버(120a), (120b), (120c)를 구비하고, 챔버 내의 다공질 배관(도시 생략)을 통과하는 용매는, 정압 제어된 진공펌프(122)에 의해 감압, 탈기된다. 또, 탈기 챔버(120)는 수지인 것도 있지만, 유기 용매를 이용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을 이용하는 일이 많다. 그러나, 클로로폼 등 할로겐계 용매를 이용할 경우에는, 알루미늄에서는 부식을 일으키는 일이 있어, 스테인레스를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펌프 오븐 기구(106)는, 용매의 예열 코일(124), 샘플용 송액 펌프(126a), 레퍼런스용 송액 펌프(126b), 부르돈관(Bourdon tube)형 축적기(128a), (128b), 및 압력계(도면 중, 「PG」) 및 필터(130a), (130b)를 구비하고, 펌프 오븐 기구(106) 내부는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탈기된 용매는, 예열 코일(124)에 의해 일정 온도까지 승온된 후, 샘플 루트와 레퍼런스 루트로 2분할되어, 각각 송액 펌프(126), 축적기(128) 및 압력계(130)를 거쳐서 송출된다.
샘플 루트에 송출된 용매에 대해서, 주입 기구(112)는 소정량의 샘플을 주입한다. 즉, 주입 기구(112)는 샘플링 밸브(132), 주입 밸브(134) 및 시린지(136)를 구비한다. 주입 밸브(134)는, 그 인접하는 2포트에서 샘플 루트를 직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샘플 펌프(126a)-주입 밸브(134)-샘플 루프(138)-주입 밸브(134)-샘플 칼럼(146)을 연결한 상태로부터, 주입 밸브(134)의 전환에 의해 샘플 루프(138)-주입 밸브(134)-샘플링 밸브(132)-압력해제용 병(144)을 연결해서 샘플 루프(138) 내의 압력을 개방하고, 이어서, 주입 밸브(134)의 전환에 의해 시린지(136)-샘플링 밸브(132)-주입 밸브(134)-샘플 루프(138)-주입 밸브(134)를 연결하고, 시린지(136)의 흡인 조작에 의해 샘플을 샘플 루프(138) 내에 충전한다. 이어서, 주입 밸브(134)의 전환에 의해 샘플 펌프(126a)-주입 밸브(134)-샘플 루프(138)-주입 밸브(134)-샘플 칼럼(146)을 연결하고, 샘플 루프(138) 내의 샘플을 샘플 루트 내에 주입한다.
또한, 시린지(136)에의 용매 충전은, 밸브(132)의 조작에 의해, 용매조(118)의 용매를, 탈기 기구(102)를 거쳐서 시린지(136)에서 흡인함으로써 행한다. 또, 샘플 흡인 니들(140)을 세정할 때에는, 니들 세정 포트(142)에 세정용 용매를 채우 고, 니들(140) 선단을 침지시킴으로써 행한다.
상기 칼럼 오븐 기구(108)는, 샘플 칼럼(146), 레퍼런스 칼럼(148) 및 칼럼 전환 밸브(150)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 루트를 흘러 온 샘플 및 용매를 샘플 칼럼(146)에, 레퍼런스 루트를 흘러온 용매를 레퍼런스 칼럼(148)에 공급한다. 또한, 칼럼 전환 밸브(150)의 조작에 의해, 샘플 칼럼(146)과 레퍼런스 칼럼(148)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도면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의 칼럼 오븐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것이 이용되고 있으며, 외실(12) 및 내실(14)을 구비한다. 외실(12) 내에는 주입 밸브(134)도 설치되어, 정온화된 샘플 주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샘플 칼럼(146), 레퍼런스 칼럼(148)을 통과한 액은 시차굴절률 측정 기구(110)에 보내져서 원하는 측정이 행해져, 드레인 기구(114)에 송출된다.
드레인 기구(114)는 드레인 포트(154)와, 드레인 병(156)을 구비하고, 드레인 포트(154)에서 측정 기구(110)로부터 흘러온 액을 배출한다. 그때, 배출구를 고정해서 수압의 변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액적이 발생하지 않도록 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배출되는 구조로 해서 배압의 변화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퍼지 기구(104)는 시린지(158)와 스톱 밸브(1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유로세정 시 등, 각 배관 내의 액을 배출한 후에, 용매를 치환할 때, 펌프(126)의 흡인만으로는 용매조(118)로부터의 용매 흡인에 매우 긴 시간이 걸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 밸브(160)의 조작에 의해 시린지(158)-스톱 밸브(160)-탈기 기구(102)-용매조(118)를 연결하고, 시린 지(158)의 흡인 조작에 의해 용매를 빨아올려, 스톱 밸브(160)의 재조작에 의해 시린지(158)-예열 코일(124)-펌프(126)를 연결하고, 시린지(158)의 압출조작에 의해 용매를 펌프(126)에까지 충전한다. 이 퍼지 시에는 펌프(126) 등이 용매조(118)에까지 연결되어버리는 일은 없어, 충전 중의 용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퍼지 시에는 드레인 밸브(162)의 조작에 의해 펌프(126)의 배출측을 드레인 포트(154)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 간격이 빈 때에는, 니들(140) 내의 용매 휘발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측정에 앞서서 용매에서 세정 동작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샘플을 여러 번에 걸쳐서 동일량 흡인해서 측정한 경우에도, 첫회만 검출값이 커지는 것이다.
이 점, 첫회 측정 전에 니들 선단을 용매에 접촉시켜, 액면 후퇴분의 보충을 행함으로써 우수한 재현성을 얻을 수 있다(도 6(B)).

Claims (4)

  1. 외실과, 상기 외실 내에 배치된 내실을 구비하고, 상기 내실 내에 칼럼이 배치되는 칼럼 오븐으로서,
    상기 외실 내에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외실 팬과, 외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외실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내실 내에는 내실 팬을 구비하되, 히터는 구비하지 않으며,
    상기 외실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해 상기 히터의 통전 제어를 행하는 온도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오븐.
  2. 외실과, 상기 외실 내에 배치된 내실을 구비하고, 상기 내실 내에 칼럼이 배치되는 칼럼 오븐으로서,
    상기 외실 내에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외실 팬과, 외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외실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내실 내에는 내실 팬과, 내실의 내부온도를 검출하는 내실온도센서를 구비하되, 히터는 구비하지 않으며,
    상기 내실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거해서 상기 외실의 내부온도의 목표온도가 설정되고, 상기 외실온도센서의 검출온도와 외실목표온도의 비교에 의해 상기 히터의 통전 제어를 행하는 온도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오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실 내에는 샘플 칼럼과 레퍼런스 칼럼이 설치되고, 시차굴절계를 구비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오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실 및 내실은 각각 탄성체에 의해 연결된 문을 구비하고, 외실문의 개방에 따라 내실문도 개방되며, 상기 외실문을 폐쇄함으로써, 상기 내실문은 상기 외실문과 격리된 상태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럼 오븐.
KR1020097017353A 2007-02-23 2008-02-22 이중 온도 조절식 칼럼 오븐 KR101415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44379 2007-02-23
JPJP-P-2007-044379 2007-02-23
PCT/JP2008/053068 WO2008102872A1 (ja) 2007-02-23 2008-02-22 カラムオーブン二重温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287A KR20090121287A (ko) 2009-11-25
KR101415277B1 true KR101415277B1 (ko) 2014-07-04

Family

ID=3971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353A KR101415277B1 (ko) 2007-02-23 2008-02-22 이중 온도 조절식 칼럼 오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9155B2 (ko)
EP (1) EP2113768B1 (ko)
JP (1) JP5040990B2 (ko)
KR (1) KR101415277B1 (ko)
CN (1) CN101622535B (ko)
WO (1) WO2008102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9925B2 (ja) * 2007-02-23 2012-03-21 東ソー株式会社 Ri背圧の変化防止方法
CN101806310A (zh) * 2010-03-11 2010-08-18 何振俊 温度调节控制箱
JP5644187B2 (ja) 2010-05-31 2014-12-2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カラムオーブン
JP5471900B2 (ja) * 2010-07-01 2014-04-1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液体クロマトグラフ装置
JP5561033B2 (ja) * 2010-08-31 2014-07-3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ガスクロマトグラフ
JP5406809B2 (ja) * 2010-09-17 2014-02-05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クロマトグラフ装置
CN102654489A (zh) * 2012-05-02 2012-09-05 辽宁科技大学 一种模拟移动床色谱中、低温控温装置
US10241092B2 (en) * 2012-10-25 2019-03-26 Shimadzu Corporation Gas chromatograph device
CN102914141A (zh) * 2012-11-22 2013-02-06 昆山市大金机械设备厂 温控型烘箱的温控方法
JP6107538B2 (ja) * 2013-08-27 2017-04-05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カラムオーブン及び液体クロマトグラフ
US10024789B2 (en) 2014-02-07 2018-07-17 Shimadzu Corpora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differential refractometer, differential refractometer using the measurement method, and liquid chromatograph
KR101645284B1 (ko) * 2014-05-02 2016-08-04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사이동층 장치 및 그의 온도제어 방법
JP6458638B2 (ja) * 2015-05-21 2019-01-30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クロマトグラフ用オーブン及びそれを用いたクロマトグラフ
CN106124651B (zh) * 2016-06-15 2018-09-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色谱仪
WO2019058476A1 (ja) * 2017-09-21 2019-03-2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カラムオーブン
CN109406694A (zh) * 2018-12-19 2019-03-01 江苏汉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超临界流体色谱系统的色谱柱温控装置
CN110018264A (zh) * 2019-05-13 2019-07-16 河南工业大学 多通道集成液相色谱柱装置及进行液相制备的方法
DE102021106086A1 (de) 2021-03-12 2022-09-15 Agilent Technologies, Inc. - A Delaware Corporation - Temperierung einer chromatografischen Säule
CN114280183B (zh) * 2021-12-23 2024-02-23 华谱科仪(北京)科技有限公司 液相色谱仪柱温箱的温度控制装置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456A (en) * 1978-11-22 1981-09-01 Carlo Erba Strumentazione S.P.A. Gas chromatographic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75697U (ko) * 1971-12-22 1973-09-19
JPS4875697A (ko) 1972-01-14 1973-10-12
US3846074A (en) * 1972-03-22 1974-11-05 Standard Oil Co Determination of p2o5
JPS4985188U (ko) * 1972-11-09 1974-07-24
JPS5143519B2 (ko) 1972-12-11 1976-11-22
FR2298792A1 (fr) 1975-01-22 1976-08-20 Anvar Refractometre differentiel perfectionne pour la chromatographie liquide
IN150729B (ko) 1978-09-22 1982-11-27 Lever Hindustan Ltd
JPS585973Y2 (ja) * 1978-09-25 1983-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恒温槽
JPH0718850B2 (ja) 1985-12-03 1995-03-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ガスクロマトグラフ
JPH0587793A (ja) 1991-09-30 1993-04-06 Yokogawa Electric Corp ガスクロマトグラフの昇温オ―ブン
JP3422017B2 (ja) 1998-01-16 2003-06-30 横河電機株式会社 恒温槽
JP2001013126A (ja) 1999-06-30 2001-01-19 Shimadzu Corp カラム恒温槽
JP2002055094A (ja) 2000-08-10 2002-02-20 Shimadzu Corp クロマトグラフ用カラムオーブン
US6485543B1 (en) 2000-09-16 2002-11-26 Stephen J. MacDonald Gas chromatography oven heaters
JP4188206B2 (ja) 2003-11-04 2008-11-2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液体クロマトグラフ用カラムオーブン
JP2007044379A (ja) 2005-08-11 2007-02-22 Aruze Corp 遊技機
WO2007138761A1 (ja) 2006-05-30 2007-12-06 Shimadzu Corporation 恒温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456A (en) * 1978-11-22 1981-09-01 Carlo Erba Strumentazione S.P.A. Gas chromatographic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40990B2 (ja) 2012-10-03
US20100096380A1 (en) 2010-04-22
WO2008102872A1 (ja) 2008-08-28
EP2113768A4 (en) 2010-03-10
CN101622535B (zh) 2013-09-11
EP2113768A1 (en) 2009-11-04
CN101622535A (zh) 2010-01-06
US8319155B2 (en) 2012-11-27
EP2113768B1 (en) 2015-07-01
JPWO2008102872A1 (ja) 2010-05-27
KR20090121287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277B1 (ko) 이중 온도 조절식 칼럼 오븐
JP5152406B2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
US4797191A (en) Measuring device for determination of the activity or of the concentration of ions in solutions
JP4992401B2 (ja) オートサンプラ洗浄機構
EP2244091B1 (en) Leak detection upstream of a mixing point
US20090214387A1 (en) Assembly for Accommodating a Probe
JP4457135B2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分析装置及び試料導入装置
US20150285239A1 (en) Determination of a fluid loss of a piston pump based on evacuation time variation
CN103257164A (zh) 电极清洗、校正和保存装置及方法
JP7224434B2 (ja) 分析装置
US6280688B1 (en) Rinsing device for sample processing components of an analytical instrument
JP7103527B2 (ja) 元素分析計
KR101407536B1 (ko) 컬럼 자동세정시스템 및 컬럼 자동세정방법
JP2007101337A (ja) 小型容器及びそれを有する同時ガス分析システム
JP2002071658A (ja) 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装置及びフローセル
US20200018708A1 (en) Detection of a contaminant in a conducting path for an operating medium
RU233348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бора и ввода проб в анализатор состава
JP3752851B2 (ja) ヘッドスペース試料導入装置
CN115902053B (zh) 色谱系统、直接测量环境中nmhc和特征因子的方法
JP2009019889A (ja) クロマトグラフ
JP4994250B2 (ja) キャピラリ電気泳動装置及び電気泳動媒体のリーク検査方法
US20070110586A1 (en) Sampling apparatus
US9618432B2 (en) Pressure reactor for treating a sample fluid
JP4548114B2 (ja) ヘッドスペース・ガスサンプラ装置
CN112969917A (zh) 水质分析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