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556B1 -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 내부 밀봉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 내부 밀봉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556B1
KR101410556B1 KR1020097019940A KR20097019940A KR101410556B1 KR 101410556 B1 KR101410556 B1 KR 101410556B1 KR 1020097019940 A KR1020097019940 A KR 1020097019940A KR 20097019940 A KR20097019940 A KR 20097019940A KR 101410556 B1 KR101410556 B1 KR 101410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sealing
folding
film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2459A (ko
Inventor
토모코 키타무라
야스하루 타카다
토모유키 사사키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83209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75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0151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06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024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1564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02416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633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2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018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pull-tap closure discs for bottles, ja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07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by assembling, e.g. by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folded at the edge, e.g. over another layer ;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layer enveloping or enclosing a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8Flexible adhesive strips adapted to seal filling or discharging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5/002Making box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s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5/0022Making boxes from tubular webs or blanks, e.g. with separate bottoms, including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7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and securing strip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14Applying closure elements to blanks, webs or boxes
    • B31B50/8144Applying hook-and-loop-typ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81/00Seals; Sealing equipment; Gas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51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f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43Cutting indefinite length web after assembly with discret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제1기재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1c)에 따라 끼워넣은 후,제1기재의 상기 접음선을 통해 분할되는 2개의 부분중 일방 부분(1a)를 제2기재에 합쳐서 밀봉하고, 그 후 제1기재~ 제3기재로부터 되는 적층체를 상기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는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제1기재 및 제2기재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한다.
밀봉, 필름

Description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 내부 밀봉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L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CONTAINER WITH INNER SEAL, INNER SEAL MATERIAL, AND METHOD OF SEALING CONTAINER WITH CAP BY USE OF THE INNER SEAL MATERIAL}
본 발명은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캡부착의 용기 입구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내부 밀봉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의 개구부를 캡의 내측에서 밀봉하기 위한 내부 밀봉재로서 개구부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지름의 밀봉 필름(내부 밀봉 소재)을 설치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개봉 시에 밀봉 필름을 벗겨 낼 때의 손잡이부로서 밀봉 필름의 외연부를 원주상 또는 설편(舌片)상으로 돌출시켜 용기의 개구부 상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을 손잡이부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밀봉 필름의 외연부를 손잡이부로 한 경우에는 잡기 쉽게 하기 위해 손잡이부의 치수를 크게 취하면, 용기의 개구부 상에 캡을 닫을 때 손잡이부가 용기와 캡 사이에 끼워져 캡의 부착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필름을 접거나 또는 접합시킴으로써 손잡이부가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횡방향으로는 돌출하는 일 없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3, 5 참조).
또한 밀봉 필름의 상면층과 하면층의 필름 사이에 이종 부재(탭 라내부층)를 삽입하고, 이종 부재가 없는 부분에 있어서 상면층과 하면층을 접합시킴으로써 탭 라내부층 및 상면층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4 참조).
(특허문헌 1)특표평 4-503650호 공보
(특허문헌 2)특표 2002-543008호 공보
(특허문헌 3)특개 2002-179124호 공보
(특허문헌 4)특개평 6-99912호 공보
(특허문헌 5)특표평 3-501599호 공보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었다.
첫째, 필름을 접거나 접합시킴으로써 손잡이부를 형성하면, 손잡이부가 형성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 두께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손잡이부를 갖는 밀봉 필름을 생산하려면 두께의 차이에 따른 치수 맞춤이나 위치 정합에 곤란함이 있었다.
둘째, 이종 부재의 삽입에 의해 손잡이부를 형성하면, 밀봉 필름의 상면층 또는 하면층과의 접착력의 컨트롤이 곤란하고, 열량이 너무 많으면 밀봉 필름의 열에 의한 열화나 치수 수축 등의 문제가 있고, 열량이 적으면 박리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면층, 하면층, 이종 부재와 재료종류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셋째, 돌기 부착 롤러에 의해 접음선을 형성하여 손잡이부를 형성하면, 손잡이부의 크기를 컨트롤하는 접음량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돌기 형상이나 크기가 다른 롤러를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롤러의 교환 작업 등이 필요하여 비용이나 시간 등이 걸리는 것이었다.
넷째, 필름의 접거나 또는 접합시킴으로써 손잡이부를 형성한 경우에는 사용 시까지 캡으로 닫혀져 있기 때문에 캡을 떼어내 내부 밀봉재를 떼어낼 때에 손잡이부가 내부 밀봉재의 최상면과 거의 평행한 상태에 있고 더욱이 용기 입구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이 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를 잡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손잡이부를 갖는 밀봉 필름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를 갖는 밀봉 필름을 안정적이고 적은 재료 종류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치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밀봉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봉 시에 손잡이부를 잡기 쉬운 내부 밀봉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에 따라 상기 실란트층의 반대측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은 후,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접음선을 통해 분할되는 2개 부분 중, 일방 부분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에 대해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일방 부분을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는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을 따라 상기 실란트층의 반대측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넣은 후,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접음선을 통해 분할되는 2개의 부분 중 일방 부분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에 대해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게 해 합치고,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일방 부분을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서로 밀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3기재에 대해 이들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일방 부분과는 다른 타방 부분을 상기 제3기재에 밀봉함과 함께 상기 제2기재의 상기 제1기재에 밀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상기 제3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내지 제3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는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은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에 따라 상기 실란트층의 반대측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넣은 후,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접음선을 통해 분할되는 2개의 부분 중 일방 부분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에 대해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일방 부분을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밀봉 필름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직접 혹은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를 개재시킨 후에 상기 밀봉 필름의 펀칭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금속층을 갖는 제3기재가 위치되어, 이 제3기재 상에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밀봉 필름의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서로 밀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위치되고, 상기 용기 개구부에 캡이 부착되어 상기 캡 내에서 상기 밀봉 필름이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착되어 접착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상기 밀봉 필름으로부터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까지의 사이를 서로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태양은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에 따라 상기 실란트층의 반대측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넣은 후,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접음선을 통해 분할되는 2개의 부분 중 일방 부분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에 대해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일방 부분을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서로 밀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금속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3기재에 대해 이들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일방 부분과는 다른 타방 부분을 상기 제3기재에 밀봉함과 함께 상기 제2기재의 상기 제1기재에 밀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상기 제3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내지 제3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밀봉 필름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직접 혹은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를 개재시킨 후에 상기 손잡이부가 형성된 밀봉 필름이 위치되어 상기 용기 개구부에 캡이 부착되어 상기 캡내에서 상기 밀봉 필름이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착되어 접착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상기 밀봉 필름으로부터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까지의 사이를 서로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태양은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와,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1기재의 단부로부터의 일부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에 따라 상기 실란트층의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넣은 후, 상기 제1기재의 반환부가 존재하는 측을 상기 제2기재의 실란트층 측과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제1 및 제2기재를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반환부가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태양은 제5태양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실란트층이 모두 동종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태양은 제5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의 실란트층의 반대측 상면이 이지필(easy peel)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태양은 제5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가 고주파에 의해 발열하는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태양은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와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와 상기 제1기재와 동일구성으로 제1 및 제2기재보다 폭이 좁은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3기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1기재의 실란트층에 상기 제2기재의 실란트층을 대향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1 및 제2기재의 사이에 상기 제3기재를 삽입한 후, 제1 내지 제3기재가 합쳐진 부분과 제1 및 제2기재가 합쳐진 부분이 혼재하는 영역을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3기재의 한쪽측의 단부가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제3기재가 존재하는 측의 제1기재로부터 이루어지는 손잡이부 또는 제1 및 제3기재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태양은 제9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3기재가 본 제조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기재가 계속 내보내진 후에 제1기재를 슬릿(slit)함으로써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태양은 제9태양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실란트층이 모두 동종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태양은 제9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의 실란트층의 반대측 상면이 이지필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태양은 제9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2기재가 고주파에 의해 발열하는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태양은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를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 상기 제1기재에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를 당접시켜 상기 제1기재를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 공정과,
상기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쳐서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제2기재에 접하는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태양은 제14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가 회전식 원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6태양은 제14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7태양은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에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제1기재에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를 당접시켜, 상기 제1기재를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산(山)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 공정과,
상기 산(山)자 형상이 된 반환부를 밀봉하여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기재의 단부측의 끝 밀봉부를 반환용 플레이트에 당접시켜,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에 대해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꺽어접기가 되도록 하여 반환시키고, 상기 제1기재의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쳐서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제2기재에 접하는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8태양은 제17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한다.
본 발명의 제19태양은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지지하는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에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 상기 제1기재에 당접하고, 상기 제1기재를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와,
상기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쳐서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밀봉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제2기재에 접하는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펀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0태양은 제19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가 회전식 원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1태양은 제19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가 가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2태양은 제19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3태양은 제19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의 폭이 가변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4태양은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에 당접되는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에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제1기재에 당접하고, 상기 제1기재를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산(山)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와,
상기 산(山)자 형상이 된 반환부를 밀봉하여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밀봉 수단과,
상기 제1기재의 단부측의 끝 밀봉부에 당접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에 대해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꺽어접기가 되도록 하여 반환시키고, 상기 제1기재의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으로 하는 반환용 플레이트와,
상기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쳐서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제2 밀봉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제2기재에 접하는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펀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5태양은 제24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6태양은 제24태양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의 폭이 가변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7태양은 내부 밀봉재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8태양은 제27태양에 있어서, 내부 밀봉재의 용기 입구부 측에 고주파에 의한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9태양은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 상에 제28의 태양 기재의 내부 밀봉재가 위치되고, 상기 용기 입구부에 캡이 부착되어 상기 내부 밀봉재가 상기 캡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고주파 밀봉에 의해 상기 내부 밀봉재를 상기 용기 입구부에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0태양은 제29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된 것으로, 상기 고주파 밀봉 시에 상기 노출된 실란트층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캡의 천정면 내측을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1태양은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 상에 고주파에 의한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가 위치되고, 더욱이 그 위에 제27태양 기재의 내부 밀봉재가 위치되어 상기 용기 입구부에 캡이 장착되어 상기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 및 내부 밀봉재가 상기 캡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고주파 밀봉에 의해 상기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를 통해 상기 내부 밀봉재를 상기 용기 입구부에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2태양은 제31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된 것이며, 상기 고주파 밀봉 시에 상기 노출된 실란트층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캡의 천정면 내측을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3태양은 내부 밀봉재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제1기재의 일부와 접음선에 의해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된 제2기재의 한쪽측 부분과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제2기재는 JIS P8126에 규정하는 링 크러쉬(Ring Crush)법에 의한 압축 강도가 상기 제1기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4태양은 제33태양에 있어서, 내부 밀봉재의 용기 입구부 측에 고주파에 의한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5태양은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 상에 제34태양의 내부 밀봉재가 위치되고, 상기 용기 입구부에 캡이 장착되어 상기 내부 밀봉재가 상기 캡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고주파 밀봉에 의해 상기 내부 밀봉재를 상기 용기 입구부에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6태양은 제35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된 것이며, 상기 고주파 밀봉 시에 상기 노출된 실란트층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캡의 천정면 내측을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7태양은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 상에 고주파에 의한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가 위치되고, 게다가 그 위에 제33태양 기재의 내부 밀봉재가 위치되어 상기 용기 입구부에 캡이 장착되어 상기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 및 내부 밀봉재가 상기 캡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고주파 밀봉에 의해 상기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를 통해 상기 내부 밀봉재를 상기 용기 입구부에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8태양은 제37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된 것이며, 상기 고주파 밀봉 시에 상기 노출된 실란트층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캡의 천정면 내측을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9태양은 내부 밀봉재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제1기재의 일부와 접음선에 의해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된 제2기재의 한쪽측 부분과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기재는 JIS P8126에 규정하는 링 크러쉬법에 따르는 압축 강도가 상기 제1기재보다 크고 나아가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0태양은 제39태양에 있어서, 내부 밀봉재의 용기개구부 측에 고주파에 의한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1태양은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 상에 제40태양 기재의 내부 밀봉재가 위치되고, 상기 용기 입구부에 캡이 장착되어 상기 내부 밀봉재가 상기 캡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고주파 밀봉에 의해 상기 내부 밀봉재를 상기 용기 입구부에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2태양은 제41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된 것이며, 상기 고주파 밀봉 시에 상기 노출된 실란트층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캡의 천정면 내측을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3태양은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에 있어서, 용기 입구부 상에 고주파에 의한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가 위치되고, 게다가 그 위에 제39의 태양 기재의 내부 밀봉재가 위치되어 상기 용기 입구부에 캡이 장착되어 상기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 및 내부 밀봉재가 상기 캡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고주파 밀봉에 의해 상기 발열층을 포함한 기재를 통해 상기 내부 밀봉재를 상기 용기 입구부에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4태양은 제43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밀봉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된 것이며,
상기 고주파 밀봉 시에 상기 노출된 실란트층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과 상기 캡의 천정면 내측을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재를 합쳐서 밀봉한 후, 펀칭으로 손잡이부를 형성하므로 손잡이부의 돌출이 없고, 커서 잡기 쉬운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종류의 기재로 밀봉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 각 실란트층이 동종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밀봉 조건을 설정하기 쉽고 안정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의 위치 변경, 산(山)자 형상으로 된 반환부의 밀봉폭의 변경, 또는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의 폭의 변경에 의해 밀봉 필름의 손잡이부의 크기의 변경이나 손잡이부의 장수의 변경도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크기나 매수를 바꾼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가동식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또는 폭이 가변식의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밀봉 필름 제조장치에 의하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의 위치 변경 및/또는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의 폭의 변경이 용이하고, 크기나 매수를 변경한 손잡이부를 갖는 밀봉 필름을 동일한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의 내부 밀봉재에 의하면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실란트층을 노출시키고 있으므로 내부 밀봉재의 융착 시에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분을 캡에 융착시킬 수가 있고 캡을 떼어내는 때에 손잡이부가 일어서도록 할 수 있다.
또 압축 강도에 차이를 갖는 2종류의 기재로부터 손잡이부를 구성함으로써, 압축 강도의 차이에 따라 캡을 떼어낼 때 손잡이부가 일어서도록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부 밀봉재를 벗겨 개봉할 경우에 손잡이부를 잡기 쉽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2c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2d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3은 밀봉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밀봉 필름으로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도이다.
도 5는 캡을 부착한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필름으로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캡을 부착한 용기의 개구부에 제4기재를 설치하고, 그 개구부를 밀봉 필름으로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용기로부터 밀봉 필름을 벗긴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7b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7c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8a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8b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9는 밀봉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의 밀봉 필름으로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캡을 부착한 용기의 개구부의 변형예의 밀봉 필름으로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재를 합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각 기재의 밀봉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펀칭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단면도이다.
도 12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펀칭에 의해 얻어지는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재를 합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각 기재의 밀봉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 있어서의 펀칭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단면도이다.
도 13d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펀칭에 의해 얻어지는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4b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4b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a는 폭이 작은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b는 폭이 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a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끼리의 중심간 거리를 작게 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b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끼리의 중심간 거리를 크게 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a는 손잡이부를 한 장 갖는 밀봉 필름의 펀칭 위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8b는 펀칭된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9a는 손잡이부를 한 장 갖는 밀봉 필름의 펀칭 위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 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9b는 펀칭된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0a는 손잡이부를 두 장 갖는 밀봉 필름의 펀칭 위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0b는 펀칭된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1a는 손잡이부를 두 장 갖는 밀봉 필름의 펀칭 위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1b는 펀칭된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2a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를 한 장만 사용하는 경우의 접어넣기 전의 기재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b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를 한 장만 사용하는 경우의 접어넣기 중의 기재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c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를 한 장만 사용하는 경우의 접어넣기 후의 기재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a는 도 22a~도 22c의 방법에 의해 밀봉 필름을 제조할 때의 펀칭 위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3b는 도 22a~도 22c의 방법에 의해 밀봉 필름을 제조할 때의 펀칭 위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a는 도 24b의 SA-S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b는 도 24b의 SB-S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c는 도 24b의 SC-S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d는 도 24b의 SD-S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e는 도 24b의 SE-S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f는 도 24b의 SF-S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단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내부 밀봉재를 이용하여 밀봉한 캡부착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26c는 도 26b의 A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며, 기재를 합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7b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며, 각 기재의 밀봉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 및 그 펀칭 영역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단면도이다.
도 27c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며, 펀칭에 의해 얻어지는 내부 밀봉재의 단면도이다.
도 27d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며, 내부 밀봉재의 평면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단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a의 내부 밀봉재를 이용하여 밀봉한 캡부착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기재를 합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9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각 기재의 밀봉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 및 그 펀칭 영역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단면도이다.
도 29c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펀칭에 의해 얻어지는 내부 밀봉재의 단면도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복수의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a~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도 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2a~2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3은 밀봉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밀봉 필름으로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을 부착한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필름으로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1) 및(2)의 공정에 의해 손잡이부를 갖는 밀봉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다.
(1) 도 1a, 도 2a에 나타내듯이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1)을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1c)에 따라 상기 실란트층의 반대측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넣은 후, 도 1b, 도 2b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의 접음선(1c)를 통해 분할되는 2개의 부분(1a, 1b)중, 일방 부분(1a)를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2)에 대해 양 기재(1, 2)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제1기재(1)의 일방 부분(1a)를 제2기재(2)에 밀봉한다.
이에 따라 도 1c, 도 2c에 나타내듯이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4)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b, 도 2b에 대해 열판을 이용하여 가열 밀봉하는 때에는 제1기재(1) 및 제2기재(2)의 서로 밀봉 되지 않은 부분의 실란트층이 열판 등에 용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밀봉 되지 않은 부분의 실란트층 측에 실란트층에 용 착하지 않는 필름(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필름 ,나일론필름이나 불소 또는 실리콘처리된 필름이나 시트 등)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으로서 제1기재(1) 및 제2기재(2) 와 같이 길이가 긴 필름을 이용하면 이들 기재(1, 2)와 겹쳐 함께 반송할 수 있다.
(2) 도 1d, 도 2d에 나타내듯이, 펀칭되는 영역 내에 접음선(1c)의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적층체(4)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제1기재(1)과 제2기재(2)가 서로 밀봉된 부분(1a, 2a)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5)를 갖는 밀봉 필름(6)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a~1d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을 제2기재(2)의 각각의 측테두리에 대응하여 두 장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2a~2d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의 2개의 부분에 접음선(1c)를 형성하여 제2기재(2)에 대해 밀봉되는 상기 일방 부분(1a)를 제1기재(1)의 양방의 측 테두리부에 형성해도 좋다. 이들 예에 의하면 각 기재의 적층체(4)에는 접음선(1c)가 2개 부분에 형성되므로 밀봉 필름을 2열로 펀칭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밀봉 필름으로 밀봉 되는 개구부가 도 4에 나타내듯이 선단에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원통부(7a)에 있을 때는 밀봉 필름을 펀칭하는 형상은 해당 원통부(7a)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하고, 외측에의 돌출을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밀봉 필름으로 밀봉 되는 개구부가 평탄한 벽면에 개구하고 있을 때는 상기 펀칭하는 형상은 개구부의 외측에 밀봉재의 폭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 제조되는 밀봉 필름(6)은 도 4에 나타내듯이, 그 외연부(6a)를 용기(7)의 개구부의 주연부(9)에 밀봉함으로써 개구부를 폐쇄하는 밀봉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밀봉 필름(6)은 용기(7)의 원통부에 캡(8)을 부착하는 경우에 캡(8)의 내측에 이용하는 내부 밀봉재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6)을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용기(7)의 개구부의 주연부(9) 상에 밀봉 필름(6)의 펀칭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금속층을 갖는 제3기재(3)이 위치되어 이 제3기재(3) 상에 손잡이부(5)가 형성된 밀봉 필름(6)의 상기 제1 및 제2기재(1) 2의 서로 밀봉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위치되어 상기 용기 개구부에 캡(8)이 부착되고 이 캡(8) 내에서 밀봉 필름(6) 및 제3기재(3)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밀봉 필름(6)과 제3기재(3)과의 사이 및 제3기재(3)으로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6)이 캡(8)의 내면에 의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에 대해서 위치결정되므로 밀봉 필름(6)의 위치 정합이 용이하다. 이 경우 고주파가 제3기재(3)의 내부의 금속층에 도달시키기 때문에 용기(7)의 적어도 원통부(7a) 및 캡(8)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 상에 제3기재(3) 및 밀봉 필름(6)을 위치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캡(8) 내에 손잡이부(5)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6)과, 제3기재(3)을 이 순서로 장착한 후, 이 밀봉 필름(6) 및 제3기재(3)이 장착된 캡(8)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 상에 제3기재(3) 및 밀봉 필름(6)을 위치하고 나서 캡(8)을 부착하는 방법에 비해 자동화된 기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용기를 개봉할 경우에는 밀봉 필름(6)의 손잡이부(5)를 손가락 등으로 잡고 당겨서 벗김으로써 용기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밀봉 필름(6)의 경우, 도 4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5)가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5)를 잡기 쉽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6)을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밀봉 필름(6)을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 상에 직접 위치하는 것 외에 도 6a에 나타내듯이 제3기재(3)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와의 사이에 양면이 밀봉이능한 제4기재(21)을 개재시켜 그 위에 제3기재(3) 및 밀봉 필름(6)을 위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캡(8) 내에 손잡이부(5)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6)과 밀봉 필름(6)의 펀칭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금속층을 갖는 제3기재(3)과,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21)을 순서대로 장착한 후 밀봉 필름(6)과 그 위에 제3기재(3) 및 제4기재(21)이 장착된 캡(8)을 용기(7)의 개구부에 부착하고, 이 캡(8)내에서 밀봉 필름(6)을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6)부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까지의 사이(밀봉 필 름(6)의 하면과 제3기재(3)의 상면과의 사이, 제3기재(3)의 하면과 제4기재(21)의 상면과의 사이 및 제4기재(21)의 하면과 용기개구부의 주연부(9)와의 사이)가 고주파로 제3기재(3)의 내부에 발생한 열에 의해 서로 밀봉된다.
제4기재(21)은 열가소성 수지 등의 밀봉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특히 제4기재(21)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와의 사이의 밀봉 강도가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5)를 쥐고 밀봉 필름(6)을 당겨 벗긴 후에 도 6b에 나타내듯이 제4기재(21)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9) 측에 남게 된다.
이러한 제4기재(21)에 있어서는 다각형, 별형, 원형의 개구부 혹은 다수의 구멍이나 그물코 모양의 개구부(22)를 설치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용기(7)로부터 흘러나오는 내용물의 흐름을 이들 개구부(22)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마요네즈 등의 점조물인 경우에 개구부(22)의 주연(23)을 적절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용기(7)로부터 흘러 나오는 내용물의 단면 형상을 별모양 등의 특수 형상으로 성형하여 주출(注出)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층체(4)의 펀칭에 의해 밀봉 필름(6)을 형성하므로 손잡이부(5)의 반원상의 주연은 밀봉 필름(6)의 용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원형의 부분의 주연과 같은 형상이 된다. 따라서 손잡이부(5)의 주연이 밀봉 필름(6)의 원형의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다. 또한 손잡이부(5)의 최대폭이 밀봉 필름(6)의 원형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 정도가 되므로 손잡이부(5)의 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종래의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3에 기재되어 있는 바 와 같이, 한 장의 필름을 산(山) 모양으로 꺾어 내측을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의 도 3을 참조.), 특허 문헌 3의 제30 단락 및 도 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밀봉재를 2개의 밀봉편으로 분할하여 좌우의 밀봉편의 일부분에만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형성해 두고 좌우의 손잡이부끼리 겹치도록 맞댄 후 손잡이부를 가열 용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산(山)모양으로 접어넣는 방법은 산(山)모양으로 한 부분의 내측을 접착할 때까지 기재는 부분마다 두께의 차이가 크고 길이가 긴 필름으로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제30 단락에 기재되어 있듯이 좌우의 밀봉편에 미리 돌출하여 형성한 손잡이부를 합쳐서 용착하는 방법에서는 작은 손잡이부를 정확하게 위치 정합하는 것이 어렵고,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경우 위치 어긋남에 의한 손잡이부의 돌출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를 원형의 밀봉부의 일부에 작게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부(5)는 두 장의 필름을 밀봉한 후 펀칭하여 형성하므로 손잡이부(5)의 돌출이 없게 형성할 수 있고 커서 잡기 쉬운 손잡이부(5)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펀칭할 때 접음선(1c)가 밀봉 필름(6)의 원형 부분의 직경에 상당하도록 접음선(1c)를 중앙으로 하여 펀칭하도록 하였으나 손잡이부(5)의 면적이 원형 부분의 면적의 절반보다 크거나 혹은 작아지도록 어느 쪽인가에 치우치게 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펀칭하는 형상을 원형으로 했지만 타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과 같이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게다가 밀봉 필름(6)을 적층체(4)로부터 펀칭한 다음에 손잡이부(5)의 외주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등의 정형을 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해 3개의 기재로 구성되는 밀봉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도 7d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8a~도 8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공정도이다. 도 9는 밀봉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밀봉 필름으로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캡을 부착한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 필름으로 밀봉한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1)부터 (3)의 공정에 의해 손잡이부를 갖는 밀봉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다.
(1) 도 7a, 도 8a에 나타내듯이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11)을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11c)에 따라 상기 실란트층의 반대측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넣은 후, 도 7b, 도 8b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1)의 접음선(11c)를 통해 분할되는 2개의 부분(11a, 11b) 중, 일방 부분(11a)를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12)에 대해 양 기재(11, 12)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제1기재(11)의 일방 부분(11a)를 제2기재(12)에 밀봉한다.
(2) 도 7c, 도 8c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1)과 제2기재(12)의 서로 밀봉되어 있지 않은 부분(11b, 12b)를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3기재(13)에 대해 제1 및 제2기재(11, 12)의 실란트층과 제3기재(13)의 실란트층을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제1기재(11)의 일방 부분(11a)와는 다른 타방 부분(11b)를 제3기재(13)에 밀봉함과 함께 제2기재(12)의 제1기재(11)에 밀봉되어 있지 않은 부분(12b)를 제3기재(13)에 밀봉한다. 이에 따라 제1부터 제3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14)가 얻어진다.
(3) 도 7d, 도 8d에 나타내듯이 펀칭되는 영역 내에 접음선(11c)의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적층체(14)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고, 제11의 기재(11)과 제2기재(12)가 서로 밀봉된 부분(11a, 12a)으로 구성되는 손잡이부(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15)를 갖는 밀봉 필름(16)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1)을 제2기재(12)의 각각의 측 테두리에 대응하여 2장으로 해도 좋다. 또 도 8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1)의 2개 부분에 접음선(11c)를 형성하고, 제2기재(12)에 대해 밀봉되는 상기 일방 부분(11a)를 제1기재(11)의 양방의 측연부에 형성해도 좋다. 이들 예에 의하면, 각 기재의 적층체(14)에는 접음선(11c)가 2개 부분에 형성되므로 밀봉 필름을 2열로 펀칭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 제조되는 밀봉 필름(16)은 도 10에 나타내듯이 그 외연부(16a)를 용기(17)의 개구부의 주연부(19)에 밀봉함으로써 개구부를 폐쇄하는 밀봉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밀봉 필름(16)은 용기(17)의 원통부에 캡(18)을 부 착하는 경우에 캡(18)의 내측에 이용하는 내부 밀봉재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16)에 있어, 제3기재(13)은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금속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16)을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 상에 손잡이부(15)가 형성된 밀봉 필름(16)이 위치되고, 용기 개구부에 캡(18)이 부착되어, 이 캡(18) 내에서 밀봉 필름(16)이 제3기재(13)측의 면을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밀봉 필름(16)의 제3기재(13)과 용기개구부의 주연부(19)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16)이 캡(18)의 내면에 의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에 대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므로 밀봉 필름(16)의 위치 정합이 용이하다. 이 경우, 고주파가 제3기재(13)의 내부의 금속층에 도달시키기 때문에 용기(17)의 적어도 원통부(17a) 및 캡(18)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 상에 밀봉 필름(16)을 위치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캡(18) 내에 손잡이부(15)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16)을 장착 한 후, 밀봉 필름(16)이 장착된 캡(18)을 용기(17)의 개구부에 부착하고,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 상에 밀봉 필름(16)의 제3기재(13)측의 면을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에 당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 상에 밀봉 필름(16)을 위치하고 나서 캡(18)을 부착하는 방법에 비해 자동화된 기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16)의 경우는 적층체(14)의 펀칭을 실시하기 전에 제1 및 제2기재(11, 12)에 대해 제3기재(13)이 밀봉 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기재(11, 12)와 제3기재(13)과의 어긋남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16)을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밀봉 필름(16)을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 상에 직접 위치하는 것 외에 밀봉 필름(16)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19)와의 사이에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를 개재시키고 그 위에 밀봉 필름(16)을 위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캡 내에 손잡이부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과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를 순서대로 장착한 후, 이들 밀봉 필름 및 제4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여 이 캡 내에서 밀봉 필름을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으로부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까지의 사이(밀봉 필름의 제3기재의 하면과 제4기재의 상면과의 사이, 및 제4기재의 하면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가 고주파로 제3기재의 내부에 발생한 열에 의해 서로 밀봉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도 제3기재(13)이 미리 밀봉 필름(16)에 일체화되고 있는 것 외는 상술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조의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제4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밀봉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의 밀봉 강도가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4기재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 별형, 원형의 개구부 혹은 다수의 구멍이나 그물코 모양의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부터 제3기재에 이용되는 필름으로서는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것이 이용된다. 이러한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연신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표면에 가열 밀봉 성질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란트층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라미네이트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3기재는 용기에 대한 밀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배리어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필름에 알루미나(Al2O3)나 실리카(SiOx) 등의 세라믹을 증착하여 이루어지는 세라믹 증착막이나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층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산소나 수증기 등의 가스가 필름을 통과하는 것이 저지되어 내용물의 보존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실란트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를 들 수 있고, 특히 제3기재의 용기에 밀봉하는 면에는 이지필(easy peel)성의 소재를 이용하면 개봉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기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다층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를 밀봉하는 방법은 가열 밀봉(열 밀봉), 초음파 밀봉, 고주파 밀봉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가열 밀봉이 바람직하다.
제1기재와 제2기재는 재질이나 두께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적층체에 있어서 손잡이부로 하기 위해 제1기재와 제2기재가 적층된 부분과 손잡이부 이외의 부분에서 두께의 차이를 작게하기 위해 제1기재의 두께를 제2기재의 두께보다 작게 하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가 긴 필름을 원반으로 하여 밀봉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대기에 이용되는 기술을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도 8에 나타내듯이 한 장의 제2기재(2, 12)에 대해 두 장의 제1기재(1, 11)을 합치는 경우, 제1기재(1, 11)의 원반으로 하여 한 장의 길이가 긴 필름을 이용하고, 반송 시에 원반을 반나누어 두 장의 제1기재(1, 11)을 얻고 나서 각각을 2개로 접는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접어넣기 필름인 제1기재를 반송하면서 제2기재에 합치는 경우, 서브모터를 구비한 롤을 이용하여 기재의 이송방향을 편향시켜 양 기재의 겹치기 위치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서브모터의 작동에는 제1기재 및 제2기재의 어느 쪽의 기재에 피치 인쇄 도안을 설치하고 그 도안의 위치를 광학 센서로 측정하여 위치 어긋남을 검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광학 센서에는 예를 들면 광전관이나 CCD 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치 인쇄 도안은 밀봉 필름을 구성하는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 펀칭으로 제거되는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밀봉 필름(6, 16)을 내부 밀봉재로써 이용하는 경우, 도 5, 도 11 에 나타내듯이 캡(8, 18)을 부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손잡이부(5, 15)는 누워 있지만 손잡이부(5, 15)의 뒷측을 구성하는 제1기재(1, 11)과 손잡이부(5, 15)의 표면측을 구성하는 제2기재(2, 12)로 두께나 탄성을 조정함으로써 도 4, 도 10에 나타내듯이 캡(8, 18)을 떼어낸 때 손잡이부(5, 15)가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일어서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 필름(6, 16)에 대해서는 손잡이부(5, 15)의 뒷측을 구성하는 제1기재(1, 11)과 손잡이부(5, 15)의 표면측을 구성하는 제2기재(2, 12)로 색이나 모양을 다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밀봉 필름(6, 16)으로 밀봉된 개구부를 보았을 때 손잡이부(5, 15)의 존재를 알기 쉽고, 손잡이부(5, 15)를 쥐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것임을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5, 15)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손잡이부가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밀봉 필름(6, 16)을 외연부(6a, 16a)로부터 벗기려고 시도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손잡이부(5, 15)의 표면측을 구성하는 제2기재(2, 12)의 상면(실란트층과는 반대측 면)에 화살표 등으로 당겨 벗기는 방향의 표시를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2a~도 1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함과 동시에 도 13a~도 1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12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2a는 기재의 합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2b는 각 기재의 밀봉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c는 펀칭 공정을 설명 하는 부분 사시단면도, 도 12d는 펀칭에 의해 얻어지는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3a~13d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3a는 기재의 합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3b는 각 기재의 밀봉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c는 펀칭 공정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단면도, 도 13d는 펀칭에 의해 얻어지는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제1기재(101, 111)은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기재층(101a, 111a)와 실란트층(101b, 111b)의 2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란트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기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NY)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다층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1기재는 기재층과 실란트층과의 사이나 기재층의 표면에 한층 더 가스 배리어층, 인쇄층, 접착제층, 기능성을 부여하는 층 등을 1 또는 2층 이상 포함해도 좋다.
제6 실시형태의 제3기재(113)은 제1기재(111)과 동일구성으로 제1기재(111) 및 제2기재(112)보다 폭이 좁은 길이가 긴 필름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3기재(113)이 제1기재(111)과 동일구성이란 것은 제1기재(111)과 제3기재(113)이 재료종류로서 구별되지 않는 것임을 의미한다. 즉 기재층(111a, 113a)나 실란트층(111 b, 113b) 등의 각층의 재질, 두께나 조합도 서로 동일하다.
제2기재(102, 112)는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름으로서는 1층의 실란트층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단층 필름)외에 한쪽면 또는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다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2기재는 기재층을 포함해도 좋고, 그 기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NY)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다층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2기재(102, 112)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 가능한 층(고주파 발열층)을 포함해도 좋고, 그 고주파 발열층으로서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들 수 있다. 특히 제2기재의 하면( 제1기재와 밀봉되는 측을 상면으로 하는 때 그 반대측 면)은 용기에 밀봉하는 면이며, 이지필성의 소재를 이용하면 개봉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제2기재는 한층 더 가스 배리어층, 인쇄층, 접착제층, 기능성을 부여하는 층 등을 1 또는 2층 이상 포함해도 좋다.
도 12a~도 13d에서는 제2기재(102, 112)가 제1기재(101, 111)에 대해 밀봉되는 면에 실란트층(102b, 112b)를 용기에 대해 밀봉되는 면에 이지필층(102c, 112c)를 이들 사이에 기재층(102a, 112a)를 갖는 실란트층/기재층/이지필층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외에 다층 필름의 구성예로서는 실란트층/고주파 발열층, 실란트층/기재층, 실란트층/고주파 발열층/이지필층 등 다양한 구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알루미나(Al2O3)나 실리카(SiOx) 등의 세라믹을 증착하여 이루어지는 세라믹 증착막, 알루미늄 등의 금속층,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나 염화 비닐리덴 등의 가스 배리어 수지층을 들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을 설치함으로써 산소나 수증기 등의 가스가 필름을 통과하는 것이 저지되어 내용물의 보존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도 12a~1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한쪽면에 실란트층(101b)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101)과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102b)를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102)를 준비한다. 제1기재(101) 및 제2기재(102)는 공히 롤형상으로 준비하고 순차로 내보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2a의 단면도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01)의 단부로부터의 일부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103a)에 따라 실란트층(101b)의 면이 서로 마주 보도록 접어넣은 후, 제1기재(101)의 반환부(3)이 존재하는 측을 제2기재(102)의 실란트층(102b)측과 서로 마주 보게 하여 합치고, 제1기재(101)과 제2기재(102)를 밀봉한다.
제1기재(101)의 단부의 접어넣기는 예를 들면 접어넣기판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반환 시 한쪽측의 단부만을 반환한 경우는 밀봉 필름의 1면 모따기가, 또 도 12a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01)의 양단부를 반환한 경우는 밀봉 필름의 2모따기가 가능하다.
또한 접어넣기 공정 후, 기재를 밀봉하는 방법은 가열 밀봉(열 밀봉), 초음파 밀봉, 고주파 밀봉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가열 밀봉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공정에 있어서 열판을 이용하여 가열 밀봉 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기재(101, 102)의 외측에 돌출한 실란트층이 열판 등에 용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나일론 필름이나 불소 또는 실리콘 처리된 필름이나 시트 등)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으로서 제1기재(101) 및 제2기재(102)와 같이 길이가 긴 필름을 이용하면 밀봉 수단 전에 이들 기재(101, 102)와 합쳐서 함께 반송할 수 있다.
도 12b의 단면도에 나타내듯이 제1 및 제2기재(101, 102)의 밀봉에 의해 적층체(104)가 얻어 진다.
다음으로 도 12c에 나타내듯이 밀봉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기재(101, 102)의 적층체(104)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107) 내에 제1기재(101)의 반환부(103)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제1기재(101)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0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12d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105)를 갖는 밀봉 필름(106)이 얻어진다.
밀봉 필름으로 밀봉되는 개구부가 선단에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된 원통부에 있는 때는 밀봉 필름을 펀칭하는 형상은 해당 원통부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하고, 외측으로 돌출을 가능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필름으로 밀 봉되는 개구부가 평탄한 벽면에 개구하고 있는 때는 상기 펀칭하는 형상은 개구부의 외측에 밀봉대역의 폭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펀칭하는 경우에 제1기재(101)의 단부(101s)가 밀봉 필름(6)의 원형 부분의 직경에 거의 상당하도록 단부(101s)를 중앙으로 하여 펀칭하도록 했지만, 손잡이부(105)의 면적이 원형 부분의 면적의 절반보다 크거나 혹은 작아지도록 어느 쪽인가에 치우치게 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적층체를 펀칭하는 형상을 원형으로 했지만 타원형, 사각형이나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과 같이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더욱이 밀봉 필름(106)을 적층체(104)로부터 펀칭한 다음에 손잡이부(105)의 외주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등, 정형해도 좋다.
이하 도 13a~1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제5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제1기재(101)의 반환부(103)으로부터 손잡이부(105)를 형성하도록 했으나,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기재(111)과 동일구성의 제3기재(113)을 준비하고, 제3기재(113)이 존재하는 측의 제1기재(111)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15A) 또는 제1기재(111)과 제3기재(113)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15B)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5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106)과 마찬가지 기능을 갖는 밀봉 필름(116A, 116B)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한쪽면에 실란트층(111b)를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111)과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112b)를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112)와 상기 제1기 재(111)과 동일구성이며 제1 및 제2기재(111, 112)보다 폭이 좁은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3기재(113)을 준비한다. 제1 및 제2기재(111, 112)는 롤 형상으로 준비하고 순차적으로 계속 내보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기재(113)은 모따기 수에 따라 필요한 수의 롤을 준비하고, 제1기재(111)와 제2기재(112)의 사이에 제3기재(113)이 삽입되도록 하여 각 롤을 원지 걸이에 세팅하는 것이어도 좋고, 혹은 제3기재(113)을 원지 걸이로부터 보내진 제1기재(111)을 온라인으로 슬릿하는(길이가 긴 필름의 일부를 흐름방향에 따라 컷팅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길이가 긴 필름으로 절단한다) 것으로 준비하는 것도 좋다.
다음으로 도 13a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111)의 실란트층(111b)에 제2기재(112)의 실란트층(112b)를 대향시킴과 동시에 제1 및 제2기재(111, 112)의 사이에 제3기재(113)을 삽입한 후, 제1~ 제3기재(111, 112, 113)이 합쳐지는 부분과 제1 및 제2기재(111, 112)가 합쳐지는 부분이 혼재하는 영역을 밀봉한다. 제3기재(113)의 삽입하는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3기재(113)을 1개 삽입하면 밀봉 필름의 1 모따기가, 또한 도 13b에 나타내듯이 제3기재(113)을 2개 삽입하면 2 모따기가 가능하다. 더욱이 제3기재(113)을 3개 이상 삽입하면 3면 이상의 다면 모따기를 행할 수도 있다.
기재를 밀봉하는 방법은 가열 밀봉(열밀봉), 초음파 밀봉, 고주파 밀봉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가열 밀봉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공정에 있어서 열판을 이용하여 가열 밀봉 하는 때에는 합쳐진 기재의 외측에 돌출한 실란트층이 열판 등에 용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란트층에 용 착하지 않는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나일론 필름이나 불소 또는 실리콘 처리된 필름이나 시트 등)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으로서 각 기재(111)~(113)과 같이 길이가 긴 필름을 이용하면 밀봉 수단의 앞에서 이들 기재(111)~(113)과 합쳐져서 함께 반송할 수 있다.
도 13b의 단면도에 나타내듯이 제1~제3기재(111)~(113)의 밀봉에 의해 적층체(114)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13c에 나타내듯이 밀봉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114)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117A, 117B) 내에 제3기재(113)의 한쪽측 단부(113s)가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제3기재(113)이 존재하는 측의 제1기재(111)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15A) 또는 제1 및 제3기재(111, 113)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15B)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13d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115A, 115B)를 갖는 밀봉 필름(116A, 116B)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기재(111, 112)의 사이에 제3기재(113)을 삽입할 때에 도 13A의 좌측에 나타내듯이 제3기재(113)의 실란트층(113b)를 제2기재(112)의 실란트층(112b)에 대향시켜 합치면 제3기재(113)이 존재하는 측의 제1기재(111)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15A)를 갖는 밀봉 필름(116A)가 얻어지고, 도 13 A의 우측에 나타내듯이 제3기재(113)의 실란트층(113b)를 제1기재(111)의 실란트층(111b)에 대향시켜 합치면 제1 및 제3기재(111, 113)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15B)를 갖는 밀봉 필름(116B)가 얻어진다.
도 13a~13d에는 이들 2 종류의 밀봉 필름(116A, 116B)를 함께 제조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기재(113)을 삽입하는 방향(실란트층 113b의 상하)은 어느 쪽이나 좋고, 용도 목적에 따라 삽입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제3기재(113)을 제1기재(111)로부터 온라인으로 슬릿하여 준비하는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서 제3기재(113)의 실란트층(113b)의 상하 방향을 도중에 반전함으로써 2 종류의 밀봉 필름(116A, 116B)를 어느 쪽이나 선택하여 제작가능하다.
2 모따기 이상의 다면 모따기를 하는 경우에, 모든 제3기재(113)의 실란트층(113b)를 제2기재(112)의 실란트층(112b)에 대향시켜 합치고, 제3기재(113)이 존재하는 측의 제1기재(111)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15A)를 갖는 밀봉 필름(116A)만을 제조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모든 제3기재(113)의 실란트층(113b)을 제1기재(111)의 실란트층(111b)에 대향시켜 합쳐서 제1 및 제3기재(111, 113)의 서로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115B)를 갖는 밀봉 필름(116B)만을 제조하도록 해도 좋다.
적층체(114)의 펀칭 형상이나 치수, 펀칭 후의 손잡이부(115A, 115B)의 정형 등은 제5 실시형태의 적층체(104)의 펀칭에 의한 밀봉 필름(106)의 제조와 동일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밀봉 필름)
본 실시형태에 의해 제조되는 밀봉 필름(106, 116A, 116B)는 그 외연부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에 밀봉함으로써 개구부를 폐쇄하는 밀봉에 이용할 수 있다. 또 한 이 밀봉 필름은 용기의 원통부에 캡을 부착하는 경우에 캡의 내측에 이용하는 내부 밀봉로 할 수 있다.
용기를 개봉하는 경우에는 밀봉 필름(106, 116A, 116B)의 손잡이부 (105, 115A, 115B)를 손가락 등으로 잡아 당겨 벗김으로써 용기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밀봉 필름(106, 116A, 116B)의 경우, 손잡이부(105, 115A, 115B)가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105, 115A, 115B)를 잡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을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2기재(102, 112)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밀봉 필름(106, 116A, 116B)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밀봉 필름이, 제2기재(102, 112)를 밑으로 하여 배치되고, 더욱이 용기 개구부에 캡이 부착되어 이 캡 내에서 밀봉 필름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밀봉 필름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이 캡의 내면에 의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므로 밀봉 필름의 위치 정합이 용이하다. 이 경우, 고주파가 제2기재의 내부의 고주파 발열층에 도달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적어도 원통부 및 캡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또한 제2기재(102, 112)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지 않는 밀봉 필름 (106, 116A, 116B)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밀봉 필름(106, 116A, 116B)의 펀칭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제4기재를 위치하고, 이 제4기재 상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밀봉 필름이, 제2기재(102, 112)를 밑으로 하여 배치되고, 더욱이 용기 개구부에 캡이 부착되어 이 캡 내에서 밀봉 필름 및 상기 제 4의 기재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접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밀봉 필름과 제4기재와의 사이 및 제4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이 캡의 내면에 의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므로 밀봉 필름의 위치 정합이 용이하다. 이 경우, 고주파가 제4기재의 내부의 고주파 발열층에 도달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적어도 원통부 및 캡은 플라스틱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밀봉 필름을 위치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캡 내에 손잡이부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을 장착한 후, 이 밀봉 필름이 장착된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제4기재 및 밀봉 필름을 위치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캡 내에 손잡이부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과 제4기재를 순서대로 장착한 후, 이 밀봉 필름 및 제4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위치해야 할 것을 미리 캡 내에 장착하고 나서 해당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면, 용기 개구부의 주연 부 상에 밀봉 필름 또는 제4기재 및 밀봉 필름을 위치하고 나서 빈 캡을 부착하는 방법에 비해 자동화된 기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106, 116A, 116B)를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2기재(102, 112)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밀봉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제2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에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5기재를 개재시켜, 그 위에 밀봉 필름을 위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캡 내에 손잡이부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과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5기재를 순서대로 장착한 후, 밀봉 필름 및 제5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여 이 캡 내에서 밀봉 필름을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접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으로부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까지의 사이(밀봉 필름의 하면과 제5기재의 상면과의 사이, 및 제5기재의 하면과 용기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가 고주파로 제2기재의 내부에 발생한 열에 의해 서로 밀봉된다.
또 제2기재(102, 112)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지 않는 밀봉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상기 제 4의 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에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5기재를 개재시켜 그 위에 제4기재 및 밀봉 필름을 위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캡 내에 손잡이부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과 밀봉 필름의 펀칭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제4기재와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5기재를 순서대로 장착 한 후, 밀봉 필름 상에 제4기재 및 제5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하여 이 캡 내에서 밀 봉 필름을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으로부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까지의 사이(밀봉 필름의 하면과 제4기재의 상면과의 사이, 제4기재의 하면과 제5기재의 상면과의 사이, 및 제5기재의 하면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가 고주파로 제4기재의 내부에 발생한 열에 의해 서로 밀봉된다.
제5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밀봉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특히 제5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의 밀봉 강도가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를 잡아 밀봉 필름을 당겨 벗긴 후에 제5기재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측에 남게 된다.
이러한 제5기재에 있어서는 다각형, 별형, 원형의 개구부 혹은 다수의 구멍이나 그물코 모양의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로부터 주출되는 내용물의 흐름을 이들 개구부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마요네즈 등의 점조물(粘稠物)인 경우에 개구부의 주연을 적절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용기로부터 주출되는 내용물의 단면 형상을 별모양 등의 특수 형상으로 성형하여 주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2종류의 기재로 밀봉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실란트층이 동종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밀봉 조건을 설정하기 쉽고, 안정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a~도 2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함 과 동시에 도 24a~도 25f를 참조하여 제8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 14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4a는 평면도, 도 14b는 정면도이다. 도 15a, 15b, 15c는 각각 도 14a의 A-A선, B-B선,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a, 16b는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의 폭을 변경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a, 17b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끼리의 중심간 거리를 변경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는 밀봉 필름의 펀칭 위치의 예를 설명하는 부분 평면도, 도 18b, 도 19b, 도 20b, 도 21b는 펀칭된 밀봉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2a, 도 22b 및 도 22c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를 한 장만 사용하는 경우의 접어넣기 전, 접어넣기 중, 접어넣기 후의 기재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a, 도 23b는 각각 도 22a~22c의 방법에 의해 밀봉 필름을 제조할 때의 펀칭 위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부분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8b, 도 19b, 도 20b, 도 21b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해 각 기재(201, 202)의 실란트층(201s, 202s) 및 이지필층(202e)를 특히 도시하고 있다.
제1기재(201)은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필름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기재층(201f)와 실란트층(201s)의 2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란트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기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 지 나일론(NY)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다층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1기재는 기재층과 실란트 층과의 사이나 기재층의 표면에, 나아가 가스 배리어층, 인쇄층, 접착제층, 기능성을 부여하는 층 등을 1또는 2층 이상 포함해도 좋다.
제2기재는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다. 이러한 필름으로서는 1층의 실란트층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단층 필름)외, 한쪽면 또는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다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2기재는 기재층을 포함해도 좋고, 그 기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NY)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다층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2기재는 고주파에 의해 발열 가능한 층(고주파 발열층)을 포함해도 좋고, 그 고주파 발열층으로서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들 수 있다. 특히 제2기재의 하면( 제1기재와 밀봉되는 측을 상면으로 할 때 그 반대측 면)은 용기에 밀봉하는 면이며 이지필성의 소재를 이용하면 개봉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제2기재는 더욱이 가스 배리어층, 인쇄층, 접착제층, 기능성을 부여하는 층 등을 1 또는 2층 이상 포함해도 좋다.
도 18b, 도 19b, 도 20b, 도 21b에서는 제1기재(201)에 대해서 밀봉 되는 면에 실란트층(202s)를, 용기에 대해 밀봉되는 면에 이지필층(202e)를 이들 사이에 기재층(202f)를 갖는 실란트층/기재층/이지필층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외 다층 필름의 구성예로서는 실란트층/고주파 발열층, 실란트층/기재층, 실란트층/고주파 발열층/이지필층 등 다양한 구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가스 배리어층으로서는 알루미나(Al2O3)나 실리카(SiOx) 등의 세라믹을 증착하여 이루어지는 세라믹 증착막, 알루미늄 등의 금속층,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나 염화 비닐리덴 등의 가스 배리어수지층을 들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을 설치함으로써 산소나 수증기 등의 가스가 필름을 통과하는 것이 저지되어 내용물의 보존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 제조장치(210)에 대해 제1기재(201)은 제1기재공급수단(221)로부터 공급되어 제1기재반송수단(223)에 의해 계속 내보내져 반송된다.
또 제2기재(202)는 제2기재공급수단(222)로부터 공급되어 제2기재반송수단(224)에 의해 계속 내보내져 반송된다.
반송되는 제1 및 제2기재(201, 202)의 사이에는 도 14b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201)을 접어넣는 접어넣기 수단으로서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가 설치되어 있다.
(접어넣기 공정)
도 14a~도 15c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201)을 접어 넣기 보조플레이트(212)에 따르게 한 상태로, 이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제1기재(201)에 양측으로부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을 당접시켜, 제1기재(201)을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2a~도 22c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201)에 대해 한쪽측으로부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을 당접시켜 제1기재(201)을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형상 또는 Z자 형상의 접어넣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접어넣기 공정에 있어서는 도 15a~15c, 도 22a~도 22c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201)을 지지하는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와 제1기재(1)을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에 따르게 한 상태로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제1기재(201)에 당접하고, 제1기재(201)을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Ω 형상의 접어넣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을 사용한다.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는 제1기재(201)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도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은 제1기재(201) 중,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에 지지된 부분(201a)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판 모양의 부재이며, 제1기재(201) 중,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로부터 하측으로 처진 부분(201b)에 당접 하고, 제1기재(201)을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에 지지된 부분(201a)에 대해 폭방향 내측에 접어넣는다.
따라서 제1기재(201)은 좌측으로부터 접어넣어진 때는 S자 모양(도 22a~도 22c 참조), 우측으로부터 접어넣어진 때는 Z자 모양(미도시), 좌우 양측으로부터 접어넣어진 때는Ω자 모양(도 15a~15c 참조)의 접어넣기 형상이 된다.
두 장의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 211)을 간격을 벌어지게 하면면, 도 18a, 도 18b 및 도 19a, 도 19b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205)를 한 장 갖는 밀봉 필름(206)의 2 모따기가 가능해진다. 또 두 장의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 211)을 근접시키면, 도 20a~도 21b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205)를 두 장 갖는 밀봉 필름(206)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2a~도 22c에 나타내듯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을 한 장만 사용하면, 도 23a, 도 23b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205)를 한 장 갖는 밀봉 필름(206)의 1 모따기가 가능해진다.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은 운전 개시 전에 제1기재(201)이 접어넣어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면, 운전 중은 순차 반송되는 제1기재(201)을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로 쥐어짬으로써 연속적으로 집어넣기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특히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도 접어넣기가 가능하게 된다.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은 기재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운전 개시 전에는 처음에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을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해 두고, 제1기재(1)을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 상에 통하게 한 후,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을 접어넣기 보조플레이 트(212)의 하측에 겹쳐지는 위치에 이동시킴으로써 제1기재(201)의 세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 때 도 17a, 17b에 나타내듯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 211)의 중심간 거리(D1, D2)를 변경함으로써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가 상하로 겹쳐지는 겹침 폭(F1, F2)를 조절함으로써 접어넣기 부분의 겹침 폭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어넣기 부분으로부터 손잡이부가 형성되므로 손잡이부의 길이에 따라 겹침 폭을 조정한다.
또한 도 22a~도 22c에 나타내듯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을 한쪽측만 사용하는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을 움직이게 하지 않고, 사용하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가 상하로 겹쳐지는 겹쳐 폭(F1, F2)를 조절하는 것도 좋다.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의 표면은 제1기재(201)에 대한 마찰력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기재와의 마찰이 적은 재질(실리콘이나 불소 수지 등)로 구성되거나 또는 마찰적은 재질로 코팅(실리콘 코팅이나 불소 수지 코트 등) 되어 있어도 좋다.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이 회전식의 원반상이면 기재에 상처가 나지 않아 바람직하다.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는 제1기재 반송 수단(223)에 의해 반송되는 제1기재(201)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기재(201)은 실란트층(201s) 를 하측으로 하여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 위를 통해져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에 의한 접어넣기 공정 시에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에 지지되고,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에 따라 꺽어접기에 접어넣어지는 것과 동시에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의 측단부(212s)에 따라 산(山)자 형상으로 접어넣어지고, 산(山)자 형상 접음선(201c)와 꺽어접기 접음선(201d)가 형성됨으로써, 한쪽측에서는 S자 형상 또는 Z자 형상, 양측에서는Ω자 형상의 접어넣기 형상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는 그 하면의 폭방향 중앙에 있어서 지지체(2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 (215)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에 간섭하지 않는 장소에 설치된다.
도 18a, 도 18b 및 도 19a, 도 19b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를 한 장 갖는 밀봉 필름을 제1기재(201)에서 2 모따기로 제조하는 경우는 좌우의 꺽기접음선(201d, 201d)끼리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좌우의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 211)의 거리가 크고 그 사이에 지지체(215)가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도 20a~도 21b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를 두 장 갖는 밀봉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는 좌우의 꺽어접기선(201d, 201d)끼리의 간격이 좁고 좌우의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 211)의 거리를 작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좌우의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 211)의 사이의 공간은 지지체(215)에 개구나 요부 등을 설치함으로써, 지지체(215)와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1기재(201)의 꺽어접기선(201d)보다 폭방향으로 외측의 부분(201e)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216)을,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의 하방에 설치 해도 좋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216)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가 지지체(215)에 의해 연결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의 폭은 좌우의 산(山)자 형상 접기선(201c, 201c)끼리의 간격에 상당한다.
이 때문에 도 16a, 16b에 나타내듯이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의 폭(w)1 W2는 가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의 폭을 가변으로 하려면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를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재로 구성하고, 각부재가 폭방향으로 가동함으로써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의 양측단부(212s, 212s)의 위치를 이동시켜, 폭을 변경할 수 있다. 혹은 폭이 다른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를 복수 준비하여 필요에 따라 소망하는 폭의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를 선택하여 교환하도록 해도 좋다.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의 표면은 제1기재(201)에 대한 마찰력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기재와의 마찰이 적은 재질(실리콘이나 불소 수지 등)로 구성되거나 또는 마찰이 적은 재질로 코팅(실리콘 코팅이나 불소 수지 코트 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12)의 상면에 복수의 굴림대를 설치하여 제1기재(201)에 대한 마찰력을 저감해도 좋다.
(밀봉 공정)
접어넣기 공정 후,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으 로 된 제1기재(201)에 대해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202)를 합쳐서, 제1기재(201)을 제2기재(202)에 밀봉한다. 제2기재(202)는 적어도 제1기재(201)와 대향하는 면에 실란트층(202s)를 갖는 것으로, 밀봉 공정에 있어서는 양 기재의 실란트층(201s, 202s)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친다. 합친 양 기재(201, 202)는 반송 수단(225, 226)에 의해 반송되면서 밀봉 수단(213)에 의해 밀봉된다. 이에 따라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에 나타내듯이 제1 및 제2기재(201, 202)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203)이 얻어진다.
기재를 밀봉하는 방법은 가열 밀봉(열 밀봉) 초음파 밀봉, 고주파 밀봉 등을 들 수 있다. 이 안에서는 가열 밀봉이 바람직하다.
또 밀봉 공정에 대해 열판을 이용하여 가열 밀봉 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기재(201, 202)의 외측에 돌출한 실란트층이 열판 등에 용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나일론 필름이나 불소 또는 실리콘 처리된 필름이나 시트 등)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으로서 제1기재(201) 및 제2기재(202)와 같이 길이가 긴 필름을 이용하면 밀봉 수단(213)의 앞에서 이들 기재(201, 202)와 합쳐서 함께 반송할 수 있다.
 
(펀칭 공정)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에 나타내듯이 제1 및 제2기재(201, 202)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203)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 역(207) 내에 제1기재(201)의 제2기재(202)에 접하는 접음선(204)(접어넣기 시의 꺽어접기선(201d)에 대응)의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제1기재(201)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20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18b, 도 19b, 도 20b, 도 21b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205)를 갖는 밀봉 필름(206)이 얻어진다.
접어넣기 시의 산(山)자 형상 접음선(201c)는 펀칭되는 영역(207) 내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아도 좋고, 도 18a, 18b 및 도 20a, 도 20b에 나타내듯이 산(山)자 형상 접음선(201c)가 펀칭되는 영역(207)에 포함되지 않을 때는 손잡이부(205)의 선단에 제1기재(201)의 절단면이 나타나고, 도 19a~도 21b에 나타내듯이 산(山) 형상 접음선(201c)가 펀칭되는 영역(7)에 포함될 때는 손잡이부(205)의 선단에 산(山) 형상 접음선 (201c)에 대응하는 접어넣기부를 갖는 것이 된다.
도 22a~도 22c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201)의 한쪽측만을 접어넣는 경우는 도 23a 또는 도 23b에 나타내듯이 접어넣은 측에서 적층체(3)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도록 한다.
펀칭 수단으로서는 적층체(203)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는 수단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8a~도 21b에 나타내듯이 제조하고자 하는 밀봉 필름에 따라 손잡이부와 접음선의 위치 관계가 다른 것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히 설정한다.
적층체(203)에 대한 펀칭 위치는 도 18a, 도 19a, 도 20a, 도 21a에 나타내듯이 경우에 따라 다르므로, 도 14a, 도 14b에서는 펀칭 수단 (214)가 제조장 치(210)에 배치되는 위치를 2점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밀봉 필름으로 밀봉되는 개구부가 선단에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원통부에 있는 때는 밀봉 필름을 펀칭하는 형상은 해당 원통부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하고, 외측으로의 돌출을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밀봉 필름으로 밀봉되는 개구부가 평탄한 벽면에 개구하고 있는 때는 상기 펀칭하는 형상은 개구부의 외측에 밀봉대역의 폭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펀칭할 때 접음선(4)가 밀봉 필름(206)의 원형 부분의 직경에 거의 상당하도록 접음선(204)를 중앙으로 하여 펀칭하도록 했지만 손잡이부(205)의 면적이 원형 부분의 면적의 절반보다 크거나 혹은 작아지도록 어느 쪽인가에 치우치게 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적층체를 펀칭하는 형상을 원형으로 했으나, 타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과 같이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더욱이 밀봉 필름(6)을 적층체(3)으로부터 펀칭한 후에 손잡이부(205)의 외주부 일부를 제거하는 등, 정형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7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11)의 위치 변경 및/또는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12)의 폭 변경에 의해 밀봉 필름(206)의 손잡이부 (205)의 크기 변경이나 손잡이부(205)의 매수의 변경도 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크기나 매수를 바꾼 손잡이부(205)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4a, 도 24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밀봉 필름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A평면도, 및 B정면도이다. 도 25a~도 25f는 각각 도 24b의 SA-SA선, SB-SB선, SC-SC선, SD-SD선, SE-SE선, SF-S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a, 도 24b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201)은 제1기재 공급 수단(221)으로부터 공급되어 제1기재 반송 수단(223)에 의해 계속 내보내져 반송된다.
또한 제2기재(202)는 제2기재 공급 수단(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어 제2기재 반송 수단(224)에 의해 계속 내보내져 제1기재(201)의 상방에서 반송된다.
본 발명의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230)은 또한 도 24b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201)을 접어넣는 접어넣기 수단으로서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231),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 탭 밀봉 수단(233) 및 반환용 플레이트(234)를 구비하고 있다.
(접어넣기 공정)
도 24a~도 25f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201)을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32)에 따르게 한 상태로, 제1기재(201)에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을 당접시켜 제1기재(201)을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산(山) 접기가 되도록 접어넣는다.
제1기재(201)은 제1기재끼리의 밀봉이 가능하도록 실란트층이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32)에 면하도록 배치되고, 실란트층을 내측으로하여 접어넣어진다.
여기에서는 밀봉 필름(206)의 2모따기를 하기 위해 제1기재(201)의 양측의 단부(201t)가 산(山)자 형상 접음선(201c)보다도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접어넣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밀봉 필름(206)의 1모따기를 하기 위해 제1기재(201)에 대해 한쪽측으로부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을 당접시켜 한쪽측만 접어넣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5b에 나타내듯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은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의 측단부(232s)의 주위를 둘러싸듯이 배설된 단면 형상이 U자 모양의 판상부재이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32)와의 사이의 단면 형상이 대략 U자 모양의 틈새를 제1기재(201)이 통과하는 때 제1기재(201)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의 내면에 당접함으로써 山자 접기가 되도록 접어넣어진다.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 및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32)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밀봉 필름(206)의 치수에 따라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의 폭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의 폭을 가변으로 하기 위해서는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를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재로 구성하고, 각부재가 폭방향으로 가동(可動)으로 함으로써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의 양측 단부(232s, 232s)의 위치를 이동시켜 폭을 변경할 수 있다.
혹은 폭이 다른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를 복수 준비하고, 필요에 따라서 소망의 폭의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를 선택하여 교환하도록 해도 좋다.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 및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32)의 표면은 제1기 재(201)에 대한 마찰력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기재와의 마찰이 적은 재질(실리콘이나 불소 수지 등)로 구성되거나 또는 마찰이 적은 재질로 코팅(실리콘 코팅이나 불소 수지 코팅 등) 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232)에는 복수의 굴림대를 설치해 제1기재(1)에 대한 마찰력을 저감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25c에 나타내듯이 산(山)자 형상 접기가 된 반환부(201u)는 탭 밀봉 수단(233: 제1 밀봉 수단)에서 밀봉되고 제1기재(201)끼리 밀봉된 부분(201v)이 형성된다.
제1기재(201)끼리 밀봉된 부분(201v)의 밀봉폭은 손잡이부(205)의 길이 이상이 필요하고 손잡이부(205)의 길이를 길게 하는 때에는 밀봉폭도 넓게 한다.
이 경우, 제1기재(201)끼리 밀봉된 부분(201v)과 제1기재(201)의 단부(201t)의 사이에 밀단 밀봉부(201w)를 남기게 한다.
탭 밀봉 수단(233)으로서는 밀봉 바(bar)나 밀봉 롤(roll) 등의 가열 밀봉 수단 외, 초음파 밀봉 수단, 고주파 밀봉 수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5d에 나타내듯이 제1기재(201)의 단부(201t)측의 말단 밀봉부(201w)를 반환용 플레이트(234)에 당접시켜, 제1기재(201)끼리 밀봉된 부분(201v)에 대해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꺽어접기가 되도록 하여 되접는다.
밀봉부(201v)의 가장자리를 반환선으로서 이용하므로 손잡이부가 되는 제1 기재(201)끼리 밀봉된 부분(201v)의 폭의 제어가 밀봉 당시의 폭에 의해 용이하고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이 때의 반환선으로부터 꺽어접기선(201d)가 형성되어 제1기재(201)의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을 제1기재(201)의 한쪽측에 대해서만 이용하고, 그 한쪽측만을 접어넣은 경우는 제1기재(201)의 단부(201t)측의 말단 밀봉부(201w)도 한쪽측만 접어넣어진 결과, 제1기재(201)의 단면 형상은 S자 모양 또는 Z자 모양이 된다.
반환용 플레이트(234)의 표면은 제1기재(201)에 대한 마찰력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기재와의 마찰이 적은 재질(실리콘이나 불소 수지 등)로 구성되거나 또는 마찰이 적은 재질로 코팅(실리콘 코팅이나 불소 수지 코팅 등) 되어 있어도 좋다.
(밀봉 공정 및 펀칭 공정)
접어넣기 공정 후,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201)에 대해, 도 25e에 나타내듯이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202)를 합쳐서 제1기재(201)을 제2기재(202)에 밀봉한다.
제2기재(202)는 적어도 제1기재(201)와 대향하는 면에 실란트층 (202s)를 갖는 것이며, 밀봉 공정에 있어서는 양 기재의 실란트층(201s 202s)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친다.
합친 양 기재(201, 202)는 반송 수단(225, 226)에 의해 반송되면서 제2 밀봉 수단(213)에 의해 밀봉된다.
이에 따라 도 25f에 나타내듯이 제1 및 제2기재(201, 202)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203)이 얻어진다.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성되는 적층체(203)은 제7 실시형태의 적층체(203)과 같은 구성으로 되고, 적층체(203)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간의 밀봉 수단(213: 제2 밀봉 수단)과, 적층체(203)을 펀칭하여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201v)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205)를 형성하는 펀칭 수단(214)로서는 제7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적층체(203)의 펀칭에 의해 도 18b 및 도 19b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 (205)를 갖는 밀봉 필름(206)이 얻어진다.
접어넣기 시의 산(山)자 형상 접기선(201c)는 펀칭되는 영역(207) 내에 포함되어도 좋고 포함되지 않아도 좋으며, 도 18a에 나타내듯이 산(山)자 형상 접기선(201c)가 펀칭되는 영역(207)에 포함되지 않는 때는 손잡이부 (205)의 선단에 제1기재(201)의 절단면이 나타나고, 도 19a에 나타내듯이 산(山)자 형상 접기선(201c)가 펀칭되는 영역(207)에 포함되는 때는 손잡이부(205)의 선단에 산(山)자 형상 접기선(201c)에 대응하는 접어넣기부를 갖는 것이 된다.
접어넣기용 플레이트(231)을 제1기재(201)의 한쪽측에 대해서만 이용하고, 그 한쪽측만을 접어넣은 경우는 도 23a 또는 도 23b에 나타내듯이 접어넣은 측에서 적층체(203)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8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제7 실시형태와 같은 손잡이부(205)를 갖는 밀봉 필름(206)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산(山)자 형상 접기된 반환부의 밀봉폭의 변경 및/또는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232)의 폭 변경에 의해 밀봉 필름의 손잡이부의 크기 변경도 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크기를 바꾼 손잡이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밀봉 필름>
본 실시형태에 의해 제조되는 밀봉 필름(206)은 그 외연부를 용기의 개구부의 주연부에 밀봉함으로써 개구부를 폐쇄하는 밀봉에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밀봉 필름은 용기의 원통부에 캡을 부착하는 경우에 캡의 내측에 이용하는 내부 밀봉으로 할 수 있다.
용기를 개봉하는 경우에는 밀봉 필름(206)의 손잡이부(205)를 손가락등으로 잡아 당겨 벗김으로써 용기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밀봉 필름(206)의 경우, 손잡이부(205)가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205)를 잡기 쉽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을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2기재(202)의 기재층(202f)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밀봉 필름(206)을 사용하는 경우에 용기의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손잡이부(205)가 형성된 밀봉 필 름(206)이 제2기재(202)를 밑으로 하여 배치되고 나아가 용기 개구부에 캡이 부착되어 이 캡 내에서 밀봉 필름(206)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접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밀봉 필름(206)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이 캡의 내면에 의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에 대해 위치 결정되므로 밀봉 필름의 위치 정합이 용이하다.
이 경우, 고주파가 제2기재의 내부의 고주파 발열층에 도달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적어도 원통부 및 캡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2기재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지 않는 밀봉 필름(206)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밀봉 필름(206)의 펀칭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제3기재를 위치하고, 이 제3기재 상에 손잡이부(205)가 형성된 밀봉 필름(206)이 제2기재(202)를 밑으로 하여 배치되고 더욱이 용기 개구부에 캡이 부착되어 이 캡 내에서 밀봉 필름(206) 및 상기 제3기재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밀봉 필름(206)과 제3기재와의 사이 및 제3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이 캡의 내면에 의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에 대해 위치 결정되므로 밀봉 필름의 위치 정합이 용이하다.
이 경우, 고주파가 제3기재의 내부의 고주파 발열층에 도달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적어도 원통부 및 캡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밀봉 필름(206)을 위치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캡 내에 손잡이부(205)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206)을 장착 한 후, 이 밀봉 필름이 장착된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제3기재 및 밀봉 필름(206)을 위치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캡 내에 손잡이부(205)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206)과 제3기재를 순서대로 장착한 후, 이 밀봉 필름 및 제3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위치해야 할 것을 미리 캡 내에 장착하고 나서 해당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면,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상에 밀봉 필름 또는 제3기재 및 밀봉 필름을 위치하고 나서 빈 캡을 부착하는 방법에 비해 자동화된 기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밀봉 필름(206)을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2기재(202)의 기재층(202f)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밀봉 필름(206)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에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를 개재시켜 그 위에 밀봉 필름(206)을 위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캡 내에 손잡이부(205)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206)과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를 순서대로 장착한 후 밀봉 필름(206) 및 제4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하고, 이 캡 내에서 밀봉 필름을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으로부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까지의 사이(밀봉 필름의 하면과 제4기재의 상면과의 사이, 및 제4기재의 하면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가 고주파로 제2기재의 내부에 발생한 열에 의해 서로 밀봉된다.
또한 제2기재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지 않는 밀봉 필름(206)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상기 제3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에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를 개재시켜 그 위에 제3기재 및 밀봉 필름(206)을 위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캡 내에 손잡이부(205)를 하향으로 한 밀봉 필름(206)과 밀봉 필름(206)의 펀칭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제3기재와,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4기재를 순서대로 장착한 후, 밀봉 필름(206) 상에 제3기재 및 제4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 개구부에 부착하여 이 캡 내에서 밀봉 필름을 상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 필름으로부터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까지의 사이(밀봉 필름의 하면과 제3기재의 상면과의 사이, 제3기재의 하면과 제4기재의 상면과의 사이, 및 제4기재의 하면과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가 고주파로 제3기재의 내부에 발생한 열에 의해 서로 밀봉된다.
제4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밀봉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특히 제4기재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의 밀봉 강도가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205)를 잡고 밀봉 필름(206)을 당겨 벗긴 후에 제4기재가 용기 개구부의 주연부 측에 남게 된다.
이러한 제4기재에 있어서는 다각형, 별형, 원형의 개구부 혹은 다수의 구멍 이나 그물코 모양의 개구부를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로부터 주출되는 내용물의 흐름을 이들 개구부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마요네즈등의 점조물인 경우에 개구부의 주연을 적절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용기로부터 주출되는 내용물의 단면 형상을 별형 등의 특수 형상으로 성형하여 주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a~도 2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제10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단면도, 도 26b는 도 26a의 내부 밀봉재를 이용하여 밀봉한 캡부착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단면도, 도 26c는 도 26b의 A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a~도 27d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7a는 기재의 합쳐지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7b는 각 기재의 밀봉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 및 그 펀칭 영역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단면도, 도 27c는 펀칭에 의해 얻어지는 내부 밀봉재의 단면도, 도 27d는 내부 밀봉재의 평면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단면도, 도 28b는 도 28a의 내부 밀봉재를 이용하여 밀봉한 캡부착 용기의 개구부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29a~도 29c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9a는 기재의 합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9b 는 각 기재의 밀봉에 의해 얻어지는 적층체 및 그 펀칭 영역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단면도, 도 29c는 펀칭에 의해 얻어지는 내부 밀봉재의 단면도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는 용기 입구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를 갖는 내부 밀봉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는 용기 입구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를 갖는 내부 밀봉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제1기재의 일부와, 접음선에 의해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된 제2기재의 한쪽측 부분과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기재는 JIS P8126에 규정하는 링 크러쉬법에 따르는 압축 강도(단위:N)가 상기 제1기재보다 큰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는 용기 입구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를 갖는 내부 밀봉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제1기재의 일부와 접음선에 의해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된 제2기재의 한쪽측 부분과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기재는 JIS P8126에 규정하는 링 크러쉬법에 따르는 압축 강도(단위:N)가 상기 제1기재보다 크고,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구성하는 기재의 실란트층이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제1기재(301, 311) 및 제2기재(302, 312)는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기재층(301a, 302a, 311a, 312a)와 실란트층(301b, 302b, 311b, 312b)의 2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란트층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기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NY)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또는 다층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기재는 기재층과 실란트층과의 사이나 기재층의 표면에, 더욱이 가스 배리어층, 인쇄층, 접착제층, 기능성을 부여하는 층 등을 1 또는 2층 이상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기재와 제2기재가 동일구성의 기재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10 및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기재와 제2기재가 JIS P8126에 규정하는 링 크러쉬법에 따르는 압축 강도에 차이를 갖는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예로서 여러 가지의 필름의 압축 강도(링 크러쉬법)의 측정치를 나타낸다.
적층 필름의 압축 강도
번호 구성 두께구성 압축강도
1 PET/PE 12㎛/25㎛ 1.3N
2 PET/NY/PE 12㎛/15㎛/30㎛ 5.5N
3 PET/NY/PE 12㎛/15㎛/50㎛ 8.6N
4 NY/PE 15㎛/60㎛ 14.6N
5 NY/PE 15㎛/120㎛ 35.0N
단체 필름의 압축 강도
번호 구성 압축 강도
1 PET 12㎛ 0.4N
2 PET 16㎛ 0.7N
3 PET 25㎛ 2.0N
4 PET 38㎛ 8.6N
5 PE 45㎛ 1.0N
6 PE 100㎛ 5.6N
7 PE 130㎛ 13.2N
8 NY 15㎛ 0.6N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축 강도가 높은 쪽을 제1기재로 할 것인지 제2기재로 할 것인지는 임의이지만, 제1기재보다 제2기재의 압축 강도가 크다고 할 때, 기재 구성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조합을 들 수 있다.
(1) 제1기재:PET12㎛/PE25㎛(압축 강도 1. 3 N)에 대해서 제2기재:PET12㎛/NY15㎛/PE50㎛(압축 강도 8. 6 N)로 한다.
(2) 제1기재:PET12㎛/NY15㎛/PE30㎛(압축 강도 5. 5 N)에 대해서 제2기재:NY15㎛/PE60㎛(압축 강도 14. 6 N)로 한다.
(3) 제1기재:PET12㎛/NY15㎛/PE50㎛(압축 강도 8. 6 N)에 대해서 제2기재:NY15㎛/PE60㎛(압축 강도 14. 6 N)로 한다.
제1기재와 제2기재의 압축 강도의 차이가 5N이상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에 나타내듯이 필름 두께가 증가하면 압축 강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표 1과로 표 2의 비교로부터 단체 필름의 압축 강도를 단순하게 합계하는 것보다도 적층 구성으로 한 쪽이 압축 강도가 크다.
상기 구성예에서는 실란트층인 PE의 두께를 증가시켜 압축 강도를 크게 하고 있는 예도 있지만, PE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밀봉 시에 용융한 PE가 주위로 돌출하여, 의도하지 않는 곳에 융착해 버릴 위험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PET나 NY 등 기재층의 두께를 늘림으로써 압축 강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표 1의 기재 구성예에 있어 기재층의 두께를 증대하는 경우에서는 PET12㎛를 PET25㎛나 PET38㎛로 변경하는 것으로 압축 강도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적층 필름의 구성예로서는 PET25㎛/PE25㎛, PET38㎛/PE25㎛, PET25㎛/NY15㎛/PE30㎛, PET38㎛/NY15㎛/PE30㎛, PET25㎛/NY15㎛/PE50㎛, PET38㎛/NY15㎛/PE50㎛ 등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제3기재(303, 313)은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름으로서는 1층의 실란트층만으로 이루어지는 필름(단층 필름) 외, 한쪽면 또는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다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2기재는 기재층을 포함해도 좋고, 그 기재층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텔계 수지, 나일론(NY)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단층 또는 다층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제3기재(303, 313)은 고주파에 의해 발열 가능한 층(고주파 발열층)을 포함해도 좋고, 그 고주파 발열층으로서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및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캡의 천정면 내면에 손잡이부의 선단 일부를 융착시킬 때 고주파 밀봉을 하기 위해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 및 제11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에 있어 고주파 발열층을 갖지 않는 경우는 내부 밀봉재를 캡에 장착할 때에 고주파 발열층을 갖는 다른 기재를 합치는 것도 고주파 밀봉의 실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내부 밀봉재에 있어서는 손잡이부를 캡에 용착시키지 않으므로, 내부 밀봉재를 용기 입구부에 밀봉한 다음에 캡을 용기 입구부에 부착하는 순서에 따라 고주파 밀봉 이외의 밀봉 방법도 적용 가능하고 고주파 발열층은 필수는 아니다.
또 제3기재(303, 313)은 그 하면(제1 및 제2기재와 밀봉되는 측을 상면으로 할 때 그 반대측 면)이 용기에 밀봉하는 면이며, 이지필성의 소재를 이용하면 개봉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제3기재는 더욱이 가스배리어층, 인쇄층, 접착제층, 기능성을 부여하는 층 등을 1 또는 2층 이상 포함해도 좋다.
도 26a~도 29c에서는 제3기재(303, 313)이 제1 및 제2기재에 대해 밀봉되는 면에 실란트층(303b, 313b)를 용기 입구부에 대해 밀봉되는 면에 이지필층(303c, 313c)를 이들 사이에 기재층 또는 고주파 발열층(303 a, 313a)를 갖는 실란트층/고주파 발열층/이지필층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외 다층 필름의 구성예로서는 실란트층/고주파 발열층 실란트층/기재층, 실란트층/기재층/이지필층 등 다양한 구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가스배리어층으로서는 알루미나(Al2O3)나 실리카(SiOx) 등의 세라믹을 증착하여 이루어지는 세라믹 증착막, 알루미늄 등의 금속층,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나 염화비닐리덴 등의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을 들 수 있다.
가스 배리어층을 설치함으로써 산소나 수증기 등의 가스가 필름을 통과하는 것이 저지되어 내용물의 보존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은 도 26a~도 26c에 나타내듯이 용기 입구부(321)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305)를 갖고, 이 손잡이부(305)의 선단 일부(308)에 손잡이부(305)를 구성하는 기재(2)의 실란트층(302b)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캡 (322)는 실란트층(302b)와 융착가능한 수지로 구성된다.
제9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에서 손잡이부(305)는 제1기재(301)의 일부와 접음선(302c)에 의해 2개의 부분(302d, 302e)으로 구획된 제2기재(302)의 한쪽측 부분과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어넣기 측인 제2기재(302)는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을 향해 실란트층(302b)를 갖고, 용기 입구부(321)에 장착되는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에 대향한 면을 갖는 제1기재(301)은 노출부(308)이외의 부분에서 제2기재(302)의 실란트층(302b)를 덮는 형태이다.
본 실시형태(및 후술하는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손잡이부(305)를 구성하는 기재(301, 302)에 대해 접어넣기측의 기재(302)와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에 대향한 면을 갖는 기재(301)이 제조 시의 접어넣기의 유무에 의해 구별되어 있고, 제조한 내부 밀봉재(306)을 이용하여 용기 입구부(322)를 밀봉 하는 경우에 손잡이부(305)를 재차 특정 방향으로 접어넣을 필요가 없고, 제조한 내부 밀봉재(306)을 곧바로 용기 입구부(322)로의 밀봉에 사용가능하다고 하는 잇점을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부(305) 선단의 실란트층 노출부(308)이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에 대향하도록 손잡이부(305)를 접어넣는 공정을 내부 밀봉재(306)의 제조 공정과 용기 입구부(322)로의 밀봉 공정과의 사이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및 후술하는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기재(301)은 노출부(308)의 부분에서 두께 방향 전체가 제거되어 접어넣기측 기재(302)의 실란트층(302b)가 손잡이부(305)의 선단에서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에 대향하여 노출되어 있다.
그 대신에 제1기재(301)을 손잡이부(305)의 선단에서 실란트층(301b)를 외측으로 하여 되접기거나 제1기재(301)의 기재층(301a) 등의 일부를 박리 제거하는 등에 의해 접어넣기측이 아닌 제1기재(301)의 실란트층(301b)의 일부가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에 대향하여 노출되도록 하여 구성해도 상관없다.
제9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은 내부 밀봉재(306)의 용기 입구부(321) 측에 고주파 발열층(303a)를 포함한 기재(303)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용기 입구부(321) 상에 내부 밀봉재(306)을 위치하고, 더욱이 용기 입구부(321)에 캡(322)를 장착함으로써 내부 밀봉재(306)이 캡(322)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하여 고주파 밀봉에 의해 내부 밀봉재(306)을 용기 입구부(321)에 밀봉 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밀봉재(306)은 손잡이부(305)의 선단에 천정면 내측(323)에 대향한 실란트층(302b)의 노출부(308)을 가지므로 고주파 밀봉 시에 도 27b 및 도 27c에 나타내듯이 노출부(308)에 노출된 실란트층(302b)를 통해 손잡이부(305)의 선단과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이 융착된다.
이에 따라 용기 입구부(321)로부터 캡(322)를 떼어낼 때, 캡(322)와 함께 손잡이부(305)의 선단이 끌어 올려져 손잡이부(305)가 일어선 상태가 되므로 내부 밀봉재(306)을 용기 입구부(321)로부터 벗겨 개봉할 때에 손잡이부(305)를 잡기 쉽다.
용기 입구부 상에 내부 밀봉재(306)을 위치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캡내에 손잡이부를 하향으로 한 내부 밀봉재를 장착한 후, 이 내부 밀봉재(306)이 장착된 캡을 용기 입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용기 입구부의 주연부 상에 내부 밀봉재를 위치하고 나서 캡을 부착하는 방법에 비해 자동화된 기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고주파 밀봉의 경우, 고주파를 금속층에 도달시키기 때문에 용기의 적어도 입구부 근방 및 캡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고주파 밀봉로 융착하는 경우에는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에 내부 밀봉재(306)을 용기 입구부(321)와 압착시키기 위한 환상 돌기(32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부분이 실란트층(302b)의 노출부(308)과 융착한다. 노출부(308)의 폭(w)가 크더라도 최대한 그 돌기(324)의 폭밖에 압착되지 않기 때문에 캡(322)가 뜬 상태로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이 손잡이부로부터 벗겨진다.
이 때문에 캡(322)를 떼어낸 후에는 내부 밀봉재(306)이 용기 입구부(321)으로부터 벗겨지지 않은 채 손잡이부(305)가 캡(322) 천정면 내측(323)으로부터 벗겨진 상태로 할 수 있고, 그 경우에 내부 밀봉재(306)이나 그 손잡이부(305)에 접촉할 필요가 없다.
용기 입구부(321)이 나사부(325)를 갖는 경우, 캡(322)를 떼어낼 때 캡(3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기 때문에 이 작용에 의해서도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을 손잡이부(305)로부터 벗길 수 있다.
또한 캡(322)는 감합(嵌合)이나 접착 등에 의해 용기 입구부(321)에 부착되어 용기 입구부(321)으로부터 캡(322)를 상향으로 당기거나 혹은 밀어 올리는 것으로 떼어져도 좋다.
또한 캡(322)가 대략 환상인 얇은 부분 등을 갖고, 해당 얇은 부분을 파단(破斷)하여 캡(322)의 선단측 부분만을 제거하는 것으로 용기 입구부(321)과 그것을 봉지하는 내부 밀봉재(306)이 노출되어도 좋다.
노출부(308)의 폭(w)를 조정함으로써 손잡이부(305)가 수 mm이상 뜬 시점에서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이 손잡이부(305)로부터 벗겨지도록 융착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노출부(308)의 폭(w)로서는 용기 입구부(321)의 지름 등에도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0. 5mm~3mm정도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7a~도 27c에 나타내듯이, 실란트층(302b)의 노출부(308)은 제1기재(301)의 폭방향의 단부(301s)가 직선 상인 채, 제2기재(302)를 제1기재(301)의 외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 대신에 제1기재(301)의 폭방향의 단부(301s)에 노치 형상의 요(凹)부를 설치하여 제2기재(302)와 적층하는 것으로도 제2기재(302)의 실란트층(302b)의 노출부(308)을 형성할 수 있다.
노치 형상의 요(凹)부에 의한 노출부(308)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U자 모양, V자 모양 등 임의의 형상을 들 수 있고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6a~도 26c에 나타내는 내부 밀봉재(306)에 있어서는 제3기재(303)이 고주파 발열층(303a)를 포함하고, 용기 입구부(321) 상에 직접 내부 밀봉재(306)만을 위치하는 것으로도 고주파 밀봉이 가능하다.
제9 실시형태 및 제11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에 있어서 고주파 발열층을 갖지 않는 경우는 내부 밀봉재를 용기 입구부 위에 위치하기 전에, 고주파 발열층을 포함하는 다른 기재를 위치하고, 상기 고주파 발열층을 포함하는 다른 기재가 내부 밀봉재와 용기 입구부와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내부 밀봉재의 펀칭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양면에 실란트층을 갖고 더욱이 내부에 고주파 발열층을 포함하는 제4기재를 위치하고, 그 위에 내부 밀봉재를 배치하고, 나아가 용기 입구부에 캡을 부착하여 이 캡 내에서 내부 밀봉재 및 제4기재가 용기 입구부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내부 밀봉재와 제4기재와의 사이 및 제4기재와 용기 입구부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도 노출부에 노출된 실란트층을 통해 손잡이부의 선단과 캡의 천정면 내측을 융착할 수 있다.
용기 입구부 상에 제4기재 및 내부 밀봉재를 위치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미리 캡 내에 손잡이부를 하향으로 한 내부 밀봉재와 제4기재를 이 순서로 장착한 후, 이 내부 밀봉재 및 제4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 입구부에 부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용기 입구부의 주연부 상에 제4기재 및 내부 밀봉재를 위치하고 나서 캡을 부착하는 방법에 비해 자동화된 기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7a~도 27c를 참조하여 제9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의 제조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우선 한쪽면에 실란트층(301b, 302b)를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기재(301, 302)와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3b)를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3기재(303)을 준비한다.
제1~제3기재(301, 302, 303)은 어느 것이나 롤 형상으로 준비하고, 차례차례 계속 내보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기재(303)은 폭방향으로 연속한 것을 한 장 준비하면 좋다. 제1 및 제2기재(301, 302)는 일면 모따기 또는 다면 모따기하는 수에 따라 매수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27a에 나타내듯이 제2기재(302)의 단부로부터의 일부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302c)에 따라 실란트층(302b)의 면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은 후, 제2기재(302)를 제1기재(301)와 제3기재(303)과의 사이에 삽입하여 합치고, 제1~제3기재(301, 302, 303)을 서로 밀봉한다.
기재를 밀봉하는 방법은 가열 밀봉(열밀봉), 초음파 밀봉, 고주파 밀봉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가열 밀봉이 바람직하다.
또 밀봉 공정에 있어서 열판을 이용하여 가열 밀봉 하는 경우에는 제1~ 제3기재의 외측에 돌출한 실란트층이 열판 등에 용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나일론 필름이나 불소 또는 실리콘 처리된 필름이나 시트 등)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으로서 제1~제3기재와 같이 길이가 긴 필름을 이용하면 밀봉 수단 앞에서 이들 기재와 합쳐서 함께 반송할 수 있다. 도 27b의 단면도에 나타내듯이 제1~제3기재(301, 302, 303)의 밀봉에 의해 적층체(304)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27b에 나타내듯이 밀봉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1~제3기재(301, 302, 303)의 적층체(304)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307) 내에 제1기재(301)의 단부(301s)와 제2기재(302)의 접음선(302c)가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제1기재(301)과 제2기재(302)가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30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27c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305)의 선단에 실란트층(302b)가 노출된 내부 밀봉재(306)가 얻어진다.
내부 밀봉재로 밀봉되는 용기 입구부가 선단에서 개구한 원통부로 이루어지는 때는 내부 밀봉재를 펀칭하는 형상은 해당 원통부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하고, 외측에의 돌출을 가능한 한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 밀봉재로 밀봉되는 용기 입구부가 평탄한 벽면에 개구하고 있는 경우, 상기 펀칭하는 형상은 용기 입구부의 외측에 밀봉대역의 폭을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서는 펀칭할 경우에 제2기재(302)의 접음선(302c)가 내부 밀봉재(306)의 원형 부분의 직경에 거의 상당하도록 접음선(302c)를 중앙으로 하여 펀칭하도록 했지만 손잡이부(305)의 면적이 원형 부분의 면적의 절반보다 크거나 혹은 작아지도록 어느 쪽인가에 치우치게 해도 좋다.
또 여기서는 적층체를 펀칭하는 형상을 원형으로 했으나 타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과 같이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내부 밀봉재(306)을 적층체(304)로부터 펀칭한 다음에 손잡이부(305)의 외주부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들로 정형할 수도 있지만, 내부 밀봉재는 펀칭함과 동시에 펀칭 바로 직후 캡 내에 장착되기 때문에 정형하는 일 없이 펀칭 시에 캡에 장전 가능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16)은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내듯이 용기 입구부(321)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315)를 갖고, 이 손잡이부(315)는 제1기재(311)의 일부와 접음선(312c)에 의해 2개의 부분(312d, 312e)으로 구획된 제2기재(312)의 한쪽측 부분(312d)와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더욱이 제2기재(312)는 JIS P8126에 규정하는 링 크러쉬법에 따르는 압축 강도가 제1기재(311)보다 크다. 접음선(312c)를 갖는 제2기재(312)의 압축 강도가 제1기재(311)의 압축 강도보다 큰 것이다.
이에 따라 도 28b에 나타내듯이 내부 밀봉재(316)을 용기 입구부(321)에 밀봉한 캡부착 용기의 캡(322)를 떼어낼 경우, 제2기재(312)가 접음선(312c)의 접어넣기에 의한 압축 변형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손잡이부(315)가 일어서게 된다. 이에 따라 캡(322)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손잡이부(315)가 일어선 상태가 되므로, 내부 밀봉재(316)을 용기 입구부(321)로부터 벗겨 개봉하는 때에 손잡이부(315)를 잡기 쉽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16)을 용기 입구부(321)에 밀봉하는 방법은 제9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에 있어서의 고주파 밀봉을 사용한 방법과 같아도 좋고, 혹은 내부 밀봉재(316)을 용기 입구부(321)에 밀봉한 다음에 캡(322)를 용기 입구부(321)에 장착하는 순서에 따라 가열 밀봉이나 초음파 밀봉 등의 밀봉 방법도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16)의 경우, 손잡이부(315)의 선단을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에 융착시킬 필요는 없고, 더욱이 캡(322)를 용기 입구부(321)에 장착하기 전에 내부 밀봉재(316)을 용기 입구부(321)에 밀봉 할 수 있으므로, 도 26b에 나타내는 것 같은 내부 밀봉재를 용기 입구부(321)과 압착시키기 위한 환상 돌기(324)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제9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과 같이 캡(322)를 용기 입구부(321)에 부착한 다음에 고주파 밀봉에 의해 제10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16)을 용기 입구부(321)에 밀봉하는 경우는 해당 환상 돌기(324)를 갖는 캡(322)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9a~도 29c를 참조하여 제10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16)의 제조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한쪽면에 실란트층(311b, 312b)를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기재(311, 312)와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313b)를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3기재(313)을 준비한다.
제1~제3기재(311, 312, 313)은 어느 것이나 롤 형상으로 준비하고, 차례차례 계속 내보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3기재(311, 313)은 폭방향으로 연속한 것을 한 장 준비하면 좋다. 제2기재(312)는 일면 모따기 또는 다면 모따기하는 수에 따라 매수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29a에 나타내듯이 제2기재(312)의 단부로부터의 일부를 그 흐름방향으로 연장하여 존재하는 접음선(312c)에 따라 실란트층(312b)의 면이 외측이 되도록 접어넣은 후, 제2기재(312)를 제1기재(311)과 제3기재(313)과의 사이에 삽입하여 합치고, 제1~제3기재(311, 312, 313)을 서로 밀봉한다.
기재를 밀봉하는 방법은 가열 밀봉(열밀봉), 초음파 밀봉, 고주파 밀봉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가열 밀봉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봉 공정에 있어서 열판을 이용하여 가열 밀봉 하는 경우에는 제1~제3기재의 외측에 돌출한 실란트층이 열판 등에 용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나일론 필름이나 불소 또는 실리콘 처리된 필름이나 시트 등)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란트층에 용착하지 않는 필름으로서 제1~제3기재와 같이 길이가 긴 필름을 이용하면 밀봉 수단의 앞에서 이들 기재와 합쳐서 함께 반송할 수 있다. 도 29b의 단면도에 나타내듯이 제1~제3기재(311, 312, 313)의 밀봉에 의해 적층체(314)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29b에 나타내듯이 밀봉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제1~제3기재(311, 312, 313)의 적층체(314)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317) 내에 제2기재(312)의 접음선(312c)가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제1기재(311)과 제2기재(312)가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지는 손잡이부(31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도 29c에 나타내듯이 손잡이부(315)를 갖는 내부 밀봉재(316)이 얻어진다.
적층체(314)의 펀칭 형상이나 치수, 펀칭 후의 손잡이부(315)의 정형 등은 제9 실시형태의 적층체(304)의 펀칭에 의한 내부 밀봉재(306)의 제조와 동일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은 도 26a~도 26c에 나타내듯이 용기 입구부(321)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형상으로 손잡이부(305)를 갖고, 이 손잡이부(305)는 제1기재(301)의 일부와 접음선(302c)에 의해 2개의 부분(302d, 302e)으로 구획된 제2기재(302)의 한쪽측 부분(302d)와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고, 제2기재(302)는 JIS P8126에 규정하는 링 크러쉬법에 따르는 압축 강도가 제1기재(1)보다 크고, 나아가 손잡이부(305)의 선단 일부(308)에 손잡이부(305)를 구성하는 기재(2)의 실란트층(302b)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에서 손잡이부(305)는 제1기재(301)의 일부와 접음선(302c)에 의해 2개의 부분(302d, 302e)으로 구획된 제2기재(302)의 한쪽측 부분과의 적층에 의해 구성되어 접어넣기 측인 제2기재(302)의 실란트층(302b)의 일부가 손잡이부(305)의 선단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9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처럼 접어넣기측이 아닌 제1기재(301)의 실란트층(301b)의 일부가 손잡이부(305)의 선단에 노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지만, 접어넣기 측의 제2기재(302)의 실란트층(302b)가 손잡이부(305)의 선단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를 용기 입구부에 밀봉하는 방법은 제9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에 있어서의 고주파 밀봉을 사용한 방법과 같다.
고주파 밀봉 시에, 도 26b 및 도 26c에 나타내듯이 노출부(308)에 노출된 실란트층(302b)를 통해 손잡이부(305)의 선단과 캡(322)의 천정면 내측(323)이 융착된다.
이에 따라 도 26b에 나타내듯이 내부 밀봉재(306)을 용기 입구부(321)에 밀봉한 캡부착 용기의 캡(322)를 떼어낼 때 캡(322)와 함께 손잡이부(305)의 선단이 끌어 올려진다.
또 제2기재(312)의 압축 강도가 제1기재(311)의 압축 강도보다 크기 때문에 제2기재(312)가 접음선(312c)의 접어넣기에 의한 압축 변형을 해소하여 손잡이부(315)가 일어서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캡(322)를 떼어내는 것만으로 손잡이부(305)가 일어선 상태가 되므로 내부 밀봉재(306)을 용기 입구부(321)로부터 벗겨 개봉할 경우에 손잡이부(5)를 잡기 쉽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의 제조방법은 실란트층(302b)의 노출부(308)이 설치되는 제2기재(302)로서 제1기재(301)보다 압축 강도가 큰 것으로 하는 것 이외는 제9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306)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9~제11 실시형태의 내부 밀봉재를 이용하여 내부 밀봉 부착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내부 밀봉재와 용기 입구부와의 사이에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5기재를 개재시키고, 그 위에 내부 밀봉재를 위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는 캡 내에 손잡이부를 하향으로 한 내부 밀봉재와 양면이 밀봉 가능한 제5기재를 순서대로 장착한 후, 내부 밀봉재 상에 제5기재가 장착된 캡을 용기입구부에 부착하여 이 캡 내에서 내부 밀봉재를 상기 용기 입구부를 향해 압축하여 접합한 상태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밀봉재로부터 용기 입구부까지의 사이(내부 밀봉재의 하면과 제5기재의 상면과의 사이 및 제5기재의 하면과 용기 입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가 고주파 발열층에 발생한 열에 의해 서로 밀봉된다.
제5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밀봉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특히 제5기재와 용기 입구부의 주연부와의 사이의 밀봉 강도가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를 쥐고 내부 밀봉재를 당겨 벗긴 후에 제5기재가 용기 입구부의 주연부 측에 남게 된다.
이러한 제5기재에 있어서는 다각형, 별형, 원형의 개구부, 혹은 다수의 구멍이나 그물코 모양의 개구부를 설치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용기로부터 주출되는 내용물의 흐름을 이들 개구부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마요네즈 등의 점조물인 경우에 개구부의 주연을 적당 형상으로 함으로써 용기로부터 주출되는 내용물의 단면 형상을 별모양 등의 특수 형상으로 성형하여 주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밀봉 필름/내부 밀봉재는 용기 및/또는 캡 부착 용기의 밀봉에 이용할 수 있고, 식품, 음료, 조미료, 의료품 등, 다양한 내용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를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 상기 제1기재에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를 당접시켜, 상기 제1기재를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 공정과,
    상기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쳐서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제2기재에 접하는 접음선 부분 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가 회전식 원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17.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접어넣기 보조플레이트에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제1기재에 접어넣기용 플레이트를 당접시켜, 상기 제1기재를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산(山)자 형상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 공정과,
    상기 산(山)자 형상으로 된 반환부를 밀봉하여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기재의 단부측의 말단 밀봉부를 반환용 플레이트에 당접시켜,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에 대해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꺽어접기가 되도록 반환시키고, 상기 제1기재의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쳐서,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제2기재에 접하는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19.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를 지지하는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에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 상기 제1기재에 당접하고, 상기 제1기재를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 이 되도록 하여 접어넣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와,
    상기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쳐서,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밀봉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제2기재에 접하는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펀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가 회전식 원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가 가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의 폭이 가변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
  24.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1기재에 당접되는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와,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에 따르게 한 상태로 상기 제1기재에 당접하고, 상기 제1기재를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산(山)자 형상이 되도록 접어넣는 접어넣기용 플레이트와,
    상기 산(山)자 형상이 된 반환부를 밀봉하여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밀봉 수단과,
    상기 제1기재의 단부측의 말단 밀봉부에 당접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에 대해 그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폭방향 외측을 향해 꺽어접기가 되도록 반환시키고, 상기 제1기재의 흐름 방향의 단면 형상이 S자, Z자 또는 Ω자 모양의 접어넣기 형상으로 하는 반환용 플레이트와,
    상기 접어넣기 형상으로 된 제1기재에 대해서 적어도 한쪽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길이가 긴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제2기재를 양 기재의 실란트층끼리 서로 마주 보도록 합쳐서 상기 제1기재를 상기 제2기재에 밀봉하는 제2 밀봉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기재의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적층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할 때에 펀칭되는 영역 내에 상기 제1기재의 상기 제2기재에 접하는 접음선 부분이 포함되도록 하여 펀칭하고, 상기 제1기재끼리 밀봉된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펀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용 플레이트 및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어넣기 보조 플레이트의 폭이 가변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필름의 제조장치.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20097019940A 2007-03-28 2008-03-28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 내부 밀봉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 KR101410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83209 2007-03-28
JP2007083209A JP4987532B2 (ja) 2007-03-28 2007-03-28 シ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ナーシー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JPJP-P-2008-001514 2008-01-08
JP2008001514A JP5210641B2 (ja) 2008-01-08 2008-01-08 シ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JP-P-2008-002416 2008-01-09
JP2008002415A JP5156402B2 (ja) 2008-01-09 2008-01-09 シ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JP-P-2008-002415 2008-01-09
JP2008002416A JP5216332B2 (ja) 2008-01-09 2008-01-09 インナーシール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ップ付き容器のシール方法
PCT/JP2008/056100 WO2008117866A1 (ja) 2007-03-28 2008-03-28 シ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インナーシー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インナーシール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ップ付き容器のシール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459A KR20090122459A (ko) 2009-11-30
KR101410556B1 true KR101410556B1 (ko) 2014-06-20

Family

ID=3978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940A KR101410556B1 (ko) 2007-03-28 2008-03-28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 내부 밀봉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44597B2 (ko)
EP (1) EP2130781B1 (ko)
KR (1) KR101410556B1 (ko)
WO (1) WO2008117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3628B1 (fr) * 2013-11-27 2016-07-01 Guillaume Sireix Procede d'assemblage de corps tubulaires en materiau cartonne avec une structure obturante
KR101407569B1 (ko) * 2014-01-15 2014-07-02 주식회사 씰앤팩 개봉 탭을 갖는 용기 봉합체 및 이에 적합한 제조 방법
JP6918778B2 (ja) 2015-08-17 2021-08-11 シーエス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不正開封防止シールを有する容器オリフィスレデューサ
US10822135B2 (en) * 2015-12-03 2020-11-03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US10569937B2 (en) 2016-04-22 2020-02-25 Csp Technologies, Inc. Container orifice reducer with tamper evident seal
CN117279498A (zh) * 2021-05-07 2023-12-22 四爪产品有限公司 提升的宠物废物收集训练垫
EP4223479A1 (en) * 2022-02-04 2023-08-0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packaging materi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packaging materi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469A (ja) * 1995-11-30 1997-06-10 Fujimori Kogyo Kk 製袋機
US5702015A (en) 1994-05-04 1997-12-30 Selig Sealing Products, Inc. Closure seal for container
JP2002179124A (ja) 2000-12-11 2002-06-26 Lion Corp インナーシ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容器
WO2004101368A2 (en) * 2003-05-12 2004-11-25 Selig Sealing Products, Inc. Closure seal for a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5137A (de) * 1964-06-26 1969-07-15 Albis Pack Ag Dose mit an ihr befestigter Verschlussmembran.
US4199394A (en) * 1978-01-04 1980-04-22 Thompson James D Ribbed fiber panel and means and method of manufacture
GB2168312B (en) * 1984-12-13 1989-05-17 Metal Box Plc Containers
US4666052A (en) * 1985-05-23 1987-05-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mper indicating cap assembly
US4754890A (en) * 1987-08-20 1988-07-05 Ullman Myron E Tamper evident safety seal
CA1336708C (en) 1987-09-09 1995-08-15 Michael P. Galda Sealing member for a container
US4934544A (en) 1989-02-27 1990-06-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Z-tab innerseal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application
KR200149410Y1 (ko) 1992-04-08 1999-06-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상부탭을 구비한 개봉흔적이 나타나는 내부시일
DE19920586A1 (de) 1999-05-04 2000-11-16 Alfelder Kunststoffw Meyer H Dichtscheibe und Folienverbund für einen Behälterverschluß
JP2007145363A (ja) * 2005-11-28 2007-06-14 Q P Corp シ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シール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2015A (en) 1994-05-04 1997-12-30 Selig Sealing Products, Inc. Closure seal for container
JPH09150469A (ja) * 1995-11-30 1997-06-10 Fujimori Kogyo Kk 製袋機
JP2002179124A (ja) 2000-12-11 2002-06-26 Lion Corp インナーシー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容器
WO2004101368A2 (en) * 2003-05-12 2004-11-25 Selig Sealing Products, Inc. Closure seal for a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0781A4 (en) 2011-06-01
WO2008117866A1 (ja) 2008-10-02
EP2130781A1 (en) 2009-12-09
US20100059473A1 (en) 2010-03-11
US8844597B2 (en) 2014-09-30
EP2130781B1 (en) 2017-08-16
KR20090122459A (ko) 200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556B1 (ko) 밀봉 필름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내부 밀봉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 내부 밀봉 소재 및 이를 이용한 캡부착 용기의 밀봉 방법
US7632370B2 (en) Method of making a container
JP2009533279A (ja) 容器閉鎖積層品
WO2006001411A1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
KR20180132792A (ko) 열적으로 라미네이팅된 탭 라이너
JP6742766B2 (ja) スパウト装着装置
JP4987532B2 (ja) シ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ナーシー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JP2012091809A (ja) 紙製容器
JP5216332B2 (ja) インナーシール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ップ付き容器のシール方法
JP4478232B2 (ja) 胴貼りスリーブの製造装置
JP5156402B2 (ja) シ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3971910B2 (ja) 包装用袋
WO2022054952A1 (ja) 自立型包装袋の製造方法、自立型包装袋、自立型包装袋の製造装置
JP6516359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60047070A (ko) 시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4139273B2 (ja) 粘着テープ貼り付け装置及び貼り付け方法
JP3541450B2 (ja) 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
JP2004359293A (ja) 易開封性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31372B2 (ja) 熱接着性樹脂シート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00109047A (ja) 円錐状包装容器
JP2001252983A (ja) 熱接着性樹脂シート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4518597B2 (ja)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体
JP2009161231A (ja) シ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11236030A (ja) 被覆材付ブランク、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H05112366A (ja) ラミネ−トチユ−ブ容器およびラミネ−トチユ−ブ容器用胴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