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779B1 - 축전모듈을 구비한 쇼벨 - Google Patents

축전모듈을 구비한 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779B1
KR101403779B1 KR1020127033575A KR20127033575A KR101403779B1 KR 101403779 B1 KR101403779 B1 KR 101403779B1 KR 1020127033575 A KR1020127033575 A KR 1020127033575A KR 20127033575 A KR20127033575 A KR 20127033575A KR 101403779 B1 KR101403779 B1 KR 10140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electrode
electrodes
fixing member
storage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297A (ko
Inventor
마사노리 유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91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y or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8Structural combinations, e.g. assembly or connection, of hybrid or EDL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components, at least one hybrid or EDL capacitor being the main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01G11/12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01G11/76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08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Ventil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10/6555Rods or plates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하부주행체의 위에, 상부선회체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부선회체에 축전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축전모듈은, 각각이, 판형상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된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가지는 복수의 축전셀을 포함한다. 축전셀은, 판형상부분의 두께방향으로 적층되고,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축전셀의 전극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직렬접속되어 있다. 상호 접촉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쌍 중 적어도 일부의 전극쌍은, 전극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고, 일방의 전극의 외측의 표면과, 타방의 전극의 내측의 표면이 접촉되어 있는 브리지형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축전모듈을 구비한 쇼벨{Shovel having electricity storing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셀(cell)을 적층한 작업기계용 축전모듈을 사용한 쇼벨에 관한 것이다.
충전가능한 이차전지나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축전셀을 사용한 하이브리드형 작업기계, 예컨대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이브리드형 작업기계에 채용되는 축전셀로서, 축전요소를 필름으로 감싼 판형상의 축전셀이 제안되고 있다. 플러스전극 및 마이너스전극이, 축전셀의 외주부로부터 도출된다.
복수의 축전셀을 적층하여 직렬접속함으로써, 축전모듈이 형성된다. 적층방향에 인접하는 축전셀의 전극은, 용접이나 코킹(caulking; 카시메) 등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스극판과 마이너스극판을,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적층하고, 라미네이트필름으로 밀봉한 구조의 축전셀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185733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26813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272966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151365호
전극을 용접 또는 코킹에 의하여 접속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전극과, 다른 도전부분과의 단락이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을 접속한 부분은, 다른 전극 및 도전부분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뜨려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전모듈을 소형화하기 위해, 전극을 접속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쇼벨의 상부선회체는, 지지구조체로서의 선회프레임, 및 선회프레임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부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쇼벨 등의 작업기계는, 주로 옥외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축전모듈 등의 전기부품에 대해서 물(水)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축전모듈은, 커버의 내측에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벨의 커버의 내측에는, 유압펌프, 선회모터 등의 부품이 수용되기 때문에, 새로운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축전모듈을 커버의 내측에 수용하기 위해, 축전모듈의 소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의하면,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의 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된 축전모듈을 가지고,
상기 축전모듈은, 각각이, 판형상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된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가지는 복수의 축전셀을 포함하며,
상기 축전셀은, 상기 판형상부분의 두께방향으로 적층되고,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축전셀의 전극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직렬접속되어 있고,
상호 접촉되어 있는 한 쌍의 상기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쌍 중 적어도 일부의 전극쌍은, 전극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고, 일방의 전극의 외측의 표면과, 타방의 전극의 내측의 표면이 접촉되어 있는 브리지형 구조를 가지는 쇼벨이 제공된다.
전극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음으로써, 전극에 의하여 점유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축전모듈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 있어서, 도 1a는, 실시예 1에 의한 축전모듈에서 사용되는 축전셀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일점쇄선(1B-1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도 1c는, 축전요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실시예 2 및 그 변형예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실시예 3 및 그 변형예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실시예 4 및 그 변형예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5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7에 있어서, 도 7a 및 도 7b는, 실시예 6에 의한 축전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에 사용되는 제1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9a는, 제1 고정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b, 도 9c, 도 9d 및 도 9e는, 각각 도 9a의 일점쇄선(9A-9A, 9B-9B, 9C-9C, 및 9E-9E)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에 사용되는 제2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11a는, 제2 고정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1b, 도 11c, 도 11d 및 도 11e는, 각각 도 11a의 일점쇄선(11A-11A, 11B-11B, 11C-11C, 및 11E-11E)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2a는, 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에 사용되는 축전셀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일점쇄선(12B-12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도 12c는, 다른 구조의 축전셀의 단면도이다.
도 13-1에 있어서, 도 13a는, 축전셀의 인출전극을 초음파 용접할 때의 축전셀 및 초음파 용접기의 개략단면도이고, 도 13b는, 용접시에 있어서의 인출전극 및 제1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13-2에 있어서, 도 13c는, 초음파 용접된 후의 축전셀쌍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축전셀의 인출전극을 초음파 용접할 때의 축전셀, 초음파 용접기, 및 일시보관용 케이스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5는, 적층된 제1 고정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일시보관용 케이스에 보관된 상태의 축전셀, 전열(傳熱)판, 및 일시보관용 케이스의 단면도(그 1)이다.
도 17은, 일시보관용 케이스에 보관된 상태의 축전셀, 전열판, 및 일시보관용 케이스의 단면도(그 2)이다.
도 18은, 일시보관용 케이스에 보관된 상태의 축전셀, 전열판, 및 일시보관용 케이스의 단면도(그 3)이다.
도 19는, 일시보관용 케이스에 보관된 상태의 축전셀, 전열판, 및 일시보관용 케이스의 단면도(그 4)이다.
도 20에 있어서, 도 20a는, 축전셀 및 외장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20b 및 도 20c는, 각각 도 20a의 일점쇄선(20B-20B, 및 20C-20C)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에 있어서, 도 21a는, 배면(背面)끼리를 마주보게 한 축전셀, 외장필름, 및 제1 고정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21b는, 복면(腹面)끼리를 마주보게 한 축전셀, 외장필름, 및 제2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축전모듈이 탑재된 실시예 8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8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8의 변형예 1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개략측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8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블록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8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축전회로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8의 변형예 2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블록도이다.
[실시예 1]
도 1a에, 실시예 1에 의한 축전모듈에 사용되는 축전셀(2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축전셀(20)은,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기능을 가지는 판형상부분(16), 및 판형상부분(16)의 가장자리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전극(12), 제2 전극(13)을 포함한다. 판형상부분(16)은, 축전요소(11), 및 축전요소(11)를 수용하는 축전용기(10)를 포함한다. 판형상부분(16)의 평면형상은, 예컨대, 정점이 약간 둥근 직사각형이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은, 축전용기(10)의 내측으로부터, 축전용기(10)의 가장자리와 교차하여, 축전용기(10)의 외측에까지 인출되어 있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은, 상호 반대극성의 전극으로서 작용한다. 축전용기(10)에, 가스배출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배출밸브(15)가, 가스배출구멍(14)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1b에, 도 1a의 일점쇄선(1B-1B)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축전용기(10)는, 2매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필름(10A, 10B)을 포함한다. 라미네이트필름(10A, 10B)은, 축전요소(11)를 사이에 끼워, 축전요소(11)를 밀봉한다. 일방의 라미네이트필름(10B)은, 대략 평탄하고, 타방의 라미네이트필름(10A)은, 축전요소(11)의 형상을 반영하여 변형되어 있다.
도 1c에 축전요소(11)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 집전극(集電極)(21)의 양면에, 제1 분극(分極)성 전극(27)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집전극(22)의 양면에, 제2 분극성 전극(2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집전극(21) 및 제2 집전극(22)에는, 예컨대 알루미늄박이 사용된다. 제1 분극성 전극(27)은, 예컨대, 활성탄 입자가 혼련된 바인더를 포함한 슬러리를, 제1 집전극(21)의 표면에 도포한 후, 가열하여 정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2 분극성 전극(28)도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양면에 제1 분극성 전극(27)이 형성된 제1 집전극(21)과, 양면에 제2 분극성 전극(28)이 형성된 제2 집전극(22)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다. 제1 분극성 전극(27)과 제2 분극성 전극(28) 사이에, 세퍼레이터(23)가 배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3)에는, 예컨대 셀룰로오스지(紙)가 사용된다. 이 셀룰로오스지에,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다. 전해액의 용매로는, 예컨대 분극성 유기용제, 예컨대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렌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지지염)로서, 4급 암모늄염, 예컨대 SBPB4(스피로비피롤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가 사용된다. 세퍼레이터(23)는, 제1 분극성 전극(27)과 제2 분극성 전극(28)의 단락, 및 제1 집전극(21)과 제2 집전극(22)의 단락을 방지한다.
도 1b로 되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도 1b에서는, 세퍼레이터(23), 제1 분극성 전극(27), 및 제2 분극성 전극(28)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집전극(21) 및 제2 집전극(22)은, 각각 양자의 중첩영역으로부터, 상호 반대방향(도 1b에 있어서, 좌향 및 우향)으로 뻗은 연신부분(21A, 22A)을 가진다. 복수의 제1 집전극(21)의 연신부분(21A)이 중첩되어, 제1 전극(12)에 초음파 용접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집전극(22)의 연신부분(22A)이 중첩되어, 제2 전극(13)에 초음파 용접되어 있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에는, 예컨대 알루미늄판이 사용된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은, 라미네이트필름(10A)과 라미네이트필름(10B) 사이를 통과하여, 축전용기(10)의 외측에까지 도출되어 있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은, 도출부위에 있어서, 라미네이트필름(10A)과 라미네이트필름(10B)에 열(熱)용착되어 있다. 다만, 제1 전극(12)과 라미네이트필름(10A, 10B) 사이, 및 제2 전극(13)과 라미네이트필름(10A, 10B) 사이에, 탭필름을 끼워도 된다. 탭필름은, 씰(seal)강도를 향상시킨다.
제1 집전극(21)의 연신부분(21A)과, 라미네이트필름(10A) 사이에, 가스배출밸브(15)가 배치되어 있다. 가스배출밸브(15)는, 가스배출구멍(14)를 막도록 배치되어, 라미네이트필름(10A)에 열용착되어 있다. 축전용기(10) 내에서 발생한 가스가, 가스배출밸브(15) 및 가스배출구멍(14)을 통과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축전용기(10) 내부는, 진공배기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라미네이트필름(10A, 10B)은, 대기압에 의하여, 축전요소(11) 및 가스배출밸브(15)의 외형을 따르도록, 변형되어 있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은, 축전셀(20)의 두께방향에 관하여, 중앙보다 라미네이트필름(10B) 측에 치우친 위치에 장착된다. 이 편중량을 D로 나타낸다. 축전셀(20)의 두께를 W로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탄에 가까운 라미네이트필름(10B)의 표면을 "배면(背面)"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축전요소(11)의 외형을 반영하여 변형되어 있는 라미네이트필름(10A)의 표면을 "복면(腹面)"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축전셀(20)이, 그 두께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적층방향을 z방향으로 하는 xyz 직교좌표계를 정의한다. z방향으로 인접하는 축전셀(20)은, 배면끼리, 또는 복면끼리 대향하는 방향으로 적층된다. 도 2에 있어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여 축전셀(20)에 일련번호(1, 2, 3,··)를 붙였을 때, 2n번째의 축전셀(20)과 2n+1번째의 축전셀(20)은, 복면끼리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2n번째의 축전셀(20)과 2n-1번째의 축전셀(20)은, 배면끼리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다.
또한, 축전셀(20)은, 제2 전극(13)으로부터 제1 전극(12)을 바라보는 방향이 동일한 방향(x의 양의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즉, 모든 축전셀(20)에 있어서, 가스배출밸브(15)가, 축전셀(20)의 중심보다 x축의 양의 측에 위치한다.
배면끼리를 대향시킨 축전셀(20)은, 제1 전극(12)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면끼리를 대향시킨 축전셀(20)은, 제2 전극(13)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복수의 축전셀(20)이 직렬접속된다. z방향으로 인접하는 축전셀(20) 중 일방의 축전셀(20)의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이, 각각 플러스극 및 마이너스극으로서 작용할 때, 타방의 축전셀(20)의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은, 그 반대로, 각각 마이너스극 및 플러스극으로서 작용한다.
배면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축전셀(20)의 제1 전극(12)은, 상호 대향하는 표면에 있어서 상호 접촉되어, 초음파 용접, 코킹 등에 의하여 고착된다. 또한, 고착된 2개의 제1 전극(12)은, z축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러한 고착구조를, "L자형 구조"라 하는 것으로 한다. L자형 구조로 고착된 한 쌍의 전극을, "L자형 구조의 전극쌍"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에서는, L자형 구조의 전극쌍은, 모두 z축의 동일한 방향(도 2에 있어서 양의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복면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축전셀(20)의 제2 전극(13)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고, 일방의 제2 전극(13)의 외측의 표면과, 타방의 제2 전극(13)의 내측의 표면이 접촉되어 있다. 상호 접촉된 제2 전극(13)은, 초음파 용접, 코킹 등에 의하여 고착된다. 이러한 고착구조를, "브리지형 구조"라 하는 것으로 한다. 브리지형 구조로 고착된 한 쌍의 전극을, "브리지형 구조의 전극쌍"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의 왼쪽으로부터 홀수 번째의 축전셀(20)에 있어서는, 제1 전극(12)은 배면측으로 굴곡되고, 제2 전극(13)은 복면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짝수 번째의 축전셀(20)에 있어서는,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의 어느 것도, 복면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전극의 고착은, 굴곡시킨 후에 행해도 되고, 굴곡시키기 전에 행해도 된다.
복면끼리를 대향시킨 축전셀(20)의 제1 전극(12)의 기부의 사이의 거리(L1)는, 제1 전극(12)의 기부부터, 당해 축전셀(20)의 복면까지의 z방향의 거리(L2)의 2배와 같다. 이로 인하여, 제1 전극(12)을 z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전극(12)을 z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축전모듈의 x방향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축전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형 작업기계나 전기구동방식의 작업기계에 채용하는 경우에, 축전모듈의 배치 및 다른 부품의 레이아웃의 제약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복면끼리를 대향시킨 축전셀(20)의 2개의 제2 전극(13)의 기부의 사이의 거리(L3)는, 제2 전극(13)의 기부부터, 당해 축전셀(20)의 복면까지의 z방향의 거리(L4)의 2배와 같다. 이로 인하여, 제2 전극(13)끼리를 접촉시키는 영역(접착부분)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의 제2 전극(13)의 외측의 표면과, 타방의 제2 전극(13)의 내측의 표면을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접촉부분의 x방향의 치수는, 2개의 제2 전극(13)의 두께만큼 뿐이다.
실시예 1에서는, 제1 전극(12)끼리, 및 제2 전극(13)끼리는, 굴곡부위보다 선단의 부분에 있어서 접촉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전극(12)끼리 접촉되어 있는 면, 및 제2 전극(13)끼리 접촉되어 있는 면의 어느 것도, x방향과 평행은 아니며, x방향에 대해서 교차하고 있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제1 전극(12)끼리 접촉되어 있는 면, 및 제2 전극(13)끼리 접촉되어 있는 면의 어느 것도, x방향과 대략 수직이다. 이로 인하여, 축전모듈의 x방향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축전셀(20)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는, 상방에 체류한다. 가스배출밸브(15)가, 축전셀(20)의 중심에 대하여 상방에 배치되는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가스배출을 행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배면끼리를 대향시킨 축전셀(20)을, 제1 전극(12)에 의하여 접속하고, 복면끼리를 대향시킨 축전셀(20)을, 제2 전극(13)에 의하여 접속했다. 다른 구성예로서, 배면끼리를 대향시킨 축전셀(20)을, 제2 전극(13)에 의하여 접속하고, 복면끼리를 대향시킨 축전셀(20)을, 제1 전극(12)에 의하여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전극(12)끼리의 고착에 브리지형 구조가 적용되고, 제2 전극(13)끼리의 고착에 L자형 구조가 적용된다.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도 1b)의, 두께방향에 관한 장착위치의 편중이 작은 경우에는, 실시예 1의 구성으로 하는 충분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도 1b에 나타낸 편중량(D)을 두께(W)의 1/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3a에, 실시예 2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모든 축전셀(20)의 복면이 동일방향(예컨대 z축의 음의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적층되어 있다. 제1 전극(12)끼리의 접속, 및 제2 전극(13)끼리의 접속에, 브리지형 구조가 채용된다.
제1 전극(12)의 기부의 사이의 거리(L1), 및 제2 전극(13)의 기부의 사이의 거리(L3)는, 축전셀(20)의 판형상부분(16)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제1 전극(12)끼리의 접촉부분, 및 제2 전극(13)끼리의 접촉부분의 x방향의 치수를, 판형상부분(16)의 두께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것에 대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제1 전극(12)끼리의 접촉부분, 및 제2 전극(13)끼리의 접촉부분의 x방향의 치수를, 판형상부분(16)의 두께보다 작게 해야 한다.
접촉부분의 x방향의 치수를, 판형상부분(16)의 두께보다 작게 해도,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전기적 접속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실시예 2의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제1 전극(12)끼리의 접촉부분, 및 제2 전극(13)끼리의 접촉부분이 x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가상평면에 대략 평행이다. 이로 인하여, 축전모듈의 x방향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3b에, 실시예 2의 변형예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a에 나타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제1 전극(12)의 기부, 및 제2 전극(13)의 기부가, 판형상부분(16)의 두께방향의 중심보다 배면측에 장착되어 있었다. 도 3b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제1 전극(12)의 기부 및 제2 전극(13)의 기부가, 판형상부분(16)의 두께방향의 대략 중앙에 장착되어 있다. 즉, 이 변형예에서 사용되는 축전셀(20)에는, 배면과 복면의 구별이 없다. 이와 같이, 브리지형 구조의 전극쌍은, 배면과 복면의 구별이 없는 축전셀(20)의 접속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4a에, 실시예 3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3a에 나타낸 실시예 2와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서는, 제1 전극(12)끼리의 접속, 및 제2 전극(13)끼리의 접속 어느 것에도 브리지형 구조가 채용되어 있었지만, 실시예 3에서는, 제1 전극(12)끼리의 접속에 L자형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제1 전극(12)끼리의 접촉부분의 x방향의 치수는, 판형상부분(16)의 두께보다 작다.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축전모듈의 x방향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제2 전극(13)끼리의 접속에도, L자형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b에, 실시예 3의 변형예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 변형예에서는, 도 3b에 나타낸 배면과 복면의 구별이 없는 축전셀(20)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L자형 구조의 전극쌍은, 배면과 복면의 구별이 없는 축전셀(20)의 접속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5a에, 실시예 4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3a에 나타낸 실시예 2와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에 있어서도, 제2 전극(13)끼리의 접속에는, 브리지형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제1 전극(12)은, 상호 대향하는 표면끼리가 접촉되고, 접촉부분이 xy면에 대략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전극(12)의 각각은, 기부의 근방에 있어서,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된 후, 더욱 판형상부분(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제1 전극(12)끼리의 접속에 브리지형 구조를 채용한 실시예 2(도 3a), 및 L자형 구조를 채용한 실시예 3(도 4a)에 비해, 제1 전극(12)의 x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이 경우에도, 제2 전극(13)끼리의 접속에 브리지형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2 전극(13)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5b에, 실시예 4의 변형예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a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전극(12)의 접촉부분이 xy면에 대략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었지만, 도 5b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제1 전극(12)의 접촉부분이 적층방향(z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5b에서는, 접촉부분이, yz면에 대략 평행이 될 때까지 굴곡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전극(12)의 접속구조는, 상호 대향하는 표면에서 접촉되어, z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는 점에서, L자형 구조의 특징을 가지며, 제1 전극(12)의 기부의 근방에서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는 점에서, 브리지형 구조의 특징을 가진다. 제1 전극(12)의 접촉부분을 적층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제1 전극(12)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제2 전극(13)의 접속구조로서, 브리지형 구조 대신에, 도 5b의 제1 전극(12)의 접속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6에, 실시예 5에 의한 축전모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5에서는, z방향의 어느 분기점 P보다 음의 측에 있어서는, 상호 고착된 제1 전극(12)이 z축의 음의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고, 양의 측에 있어서는, 상호 고착된 제1 전극(12)이 z축의 양의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즉, 분기점의 양측의 제1 전극(12)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실시예 5와 같이, 상호 고착된 제1 전극(12)(L자형 구조의 전극쌍)의 굴곡의 방향은, 반드시 모든 전극쌍에 있어서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단, 고착되지 않고 인접하고 있는 제1 전극(12)(상호 인접하는 L자형 구조의 전극쌍)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면, 양자가 접촉하기 쉬워진다. 상호 인접하는 L자형 구조의 전극쌍은, z방향의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시키거나, 또는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6]
도 7a에, 실시예 6에 의한 축전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복수의 축전셀(20)이, 그 두께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축전셀(20)의 두께방향(적층방향)을 z축방향으로 하는 xyz 직교좌표계를 정의한다. 축전셀(20)의 구성은, 실시예 1의 도 1a~도 1c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z방향으로 인접하는 축전셀(20)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배면끼리, 또는 복면끼리를 대향시키고 있다. z방향에 인접하는 축전셀(20)의 사이에, 전열(傳熱)판(25)이 배치되어 있다.
전열판(25)에는, 예컨대 알루미늄이 사용된다. 전열판(25)은, y방향, 즉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도 2)이 인출되어 있는 방향(x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축전셀(20)의 가장자리보다 외측까지 넓어져 있다.
가압기구(40)가, 축전셀(20) 및 전열판(25)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에, 적층방향(z방향)의 압축력을 가하고 있다. 가압기구(40)는, 한 쌍의 누름판(41), 4개의 타이로드(43; rod), 및 너트(42)를 포함한다. 누름판(41)은, 축전셀(20)과 전열판(25)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다. 타이로드(43)가, 일방의 누름판(41)으로부터 타방의 누름판(41)에까지 관통하고, 한 쌍의 누름판(41)에, 양자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의 힘을 가한다. 타이로드(43)는, xy면 내에 있어서, 전열판(25)과 공간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벽판(31 및 32)이, 축전셀(20) 및 전열판(25)을 포함한 적층체를, y방향으로 사이에 끼운다. 벽판(31, 32)은, y축에 수직인 자세로 배치되어, 누름판(41)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벽판(31, 32)은, 전열판(25)의 단면에 있어서, 전열판(25)에 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예컨대, 벽판(31, 32)과 전열판(25)을 직접 접촉시켜도 되고, 양자를 열전도성 접착제로 고정해도 되고, 양자간에 전열고무시트를 끼워도 된다. 축전셀(20)에서 발생한 열이, 전열판(25)을 경유하여, 벽판(31, 32)에 전도된다. 벽판(31, 32)을 수냉 등으로 강제적으로 냉각함으로써, 축전셀(20)의 온도상승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7b에, 도 7a의 일점쇄선(7B-7B)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b의 일점쇄선(7A-7A)에 있어서의 단면도가 도 7a에 상당한다. 적층된 복수의 축전셀(20)이,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에 의하여 직렬접속되어 있다. 제1 전극(12)의 고착구조 및 제2 전극(13)의 고착구조는,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제1 전극(12) 및 제2 전극(13)은, 전열판(25)과 접촉되지 않도록 굴곡되어 있다.
벽판(33 및 34)이, 축전셀(20) 및 전열판(25)을 포함한 적층체를 x방향으로 사이에 끼운다. 벽판(33 및 34)은, 볼트에 의하여 누름판(41)에 고정된다. 또한, 도 7b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벽판(31, 32)(도 7a)에도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다. 누름판(41) 및 벽판(31, 32, 33, 34)이, 평행육면체의 케이싱을 구성한다.
벽판(33, 34)에, 각각 창(33A, 34A)이 설치되어 있다. 창(33A, 34A) 내에, 각각 강제공냉기구(48, 49)가 배치되어 있다. 강제공냉장치(48, 49)는, 케이싱 내를 강제적으로 공냉한다.
제1 전극(12)의 고착구조를 L자형 구조로 하고, 제2 전극(13)의 고착구조를 브리지형 구조로 함으로써, 케이싱의 x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축전셀(20)이, 가압기구(40)에 의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축전모듈을 탑재하고 있는 작업기계의 동작 중에 축전모듈에 충격이 가해져도, 축전셀(20)이 x방향 및 y방향으로 어긋나기 어렵다. 작업기계에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해도, 전극(12, 13)이 멀어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도통불량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에 있어서는, 축전셀(20)을 공냉하는 예로서, 벽판(33, 34)에 강제공냉장치(48, 49)를 배치했지만, 축전셀(20)을 액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벽판(31, 32)의 내부에 냉각액용의 유로가 형성된다. 이 유로에 냉각액을 흘림으로써, 벽판(31, 32)을 냉각할 수 있다. 축전셀(20)에서 발생한 열이, 전열판(25)을 경유하여, 벽판(31, 32)에 전달된다. 이로써, 축전셀(20)을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축전셀(20)의 자세, 제1 전극(12)의 고착구조, 및 제2 전극(13)의 고착구조로서, 실시예 1 이외에, 실시예 2~실시예 5의 어느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실시예 7]
플러스극판, 마이너스극판, 및 세퍼레이터 등이 적층된 축전적층체를 수용하는 라미네이트필름의 용기는 유연하기 때문에, 축전셀의 중첩시에, 위치맞춤의 기준으로서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용기 내의 축전적층체와, 라미네이트필름의 상대 위치관계는, 축전셀마다 편차가 있다. 예컨대, 2매의 축전셀을 겹쳐서 전극끼리를 고착시킬 때, 라미네이트필름을 고정밀도로 위치맞춤해도, 2매의 축전셀 내의 축전적층체가 고정밀도로 위치맞춤된다고는 할 수 없다. 축전셀의 적층매수가 증가하면, 위치맞춤 오차가 누적되어, 적층방향의 양단에서는, 큰 위치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연한 라미네이트필름을 지지한 상태에서, 전극끼리를 용접 등에 의하여 고착시킬 때, 전극의 상대위치가 변동되기 쉽다. 이로 인하여,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7에 있어서는, 이 과제가 해결된다.
도 8에, 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에 사용되는 제1 고정부재(140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xyz 직교좌표계를 정의하고, 제1 고정부재(140A)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 7에서 정의하는 xyz 직교좌표계와 축전셀의 위치관계는, 실시예 1~실시예 6에서 정의한 xyz 직교좌표계(도 2~도 6, 도 7a, 도 7b)와 축전셀의 위치관계와 동일하지 않다.
제1 고정부재(140A)의, z축에 수직이고, z축의 양 및 음의 방향을 향하는 면을, 각각 전면(150) 및 배면(151)이라 하고, y축에 수직이고, y축의 음 및 양의 방향을 향하는 면을, 각각 바닥면(152) 및 상면(153)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제1 고정부재(140A)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등의 절연재료로 형성된다. 도 8에서는, 바닥면(152)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그려져 있다.
상면(153)은, x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중앙부분보다 높게 되어 있다. 상면(153)의 낮은 영역에, 바닥면(152)으로부터 상면(153)에까지 도달하고, x방향으로 긴 개구(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152)에, x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148)이 형성되어 있다. 홈(148)은, 전면(150)과 배면(151)의 중간점보다 배면(151)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zx면 내에 있어서, 개구(141)와 홈(148)은, 부분적으로 겹쳐 있다. 바닥면(152)측으로부터 개구(141) 내에, 축전셀의 인출전극이 삽입된다. 여기서, "인출전극"은, 실시예 1의 제1 전극(12)(도 2)에 상당한다.
개구(141)의, x방향의 양단에, x축에 수직인 제1 측면(142)이 획정되고, 개구(141)의 배면(151)측 및 전면(150)측에, 각각 z축에 수직인 제2 측면(143) 및 제3 측면(149)이 획정되어 있다. 제2 측면(143)은, 홈(148)의 측면을 겸한다. 개구(141)의 이들 측면에, 단차(144)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144)는, y축에 평행한 시선으로 보았을 때, 개구(141)의 주위를 일주(一周)한다. 제1 측면(142) 및 제2 측면(143)에 접촉한 상태로, 축전셀의 인출전극을 삽입했을 때, 인출전극의 일부가 단차(144)에 맞닿음으로써, 삽입의 깊이가 규제된다.
전면(150)에, z축의 양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볼록부(145)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151)에, z축의 양의 방향으로 깊어지는 2개의 오목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45)의, y축의 양의 방향을 향하는 측면은, 상면(153)의 높은 영역에 연속되어, 하나의 평탄한 면을 이룬다. 오목부(146)는, 상면(153)의 높은 영역에도 개구면을 가진다.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제1 고정부재(140A)를 준비하고, 일방의 제1 고정부재(140A)의 전면(150)을, 타방의 제1 고정부재(140A)의 배면(151)에 대향시켰을 때, 일방의 제1 고정부재(140A)의 볼록부(145)가, 타방의 제1 고정부재(140A)의 오목부(146) 내에 삽입된다. 이로써, 2개의 제1 고정부재(140A)의, x방향에 관한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구속된다. 볼록부(145)와 오목부(146)를 일괄하여, 끼워맞춤부(147)라 한다.
도 9a에, 제1 고정부재(140A)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b, 도 9c, 도 9d 및 도 9e에, 각각 도 9a의 일점쇄선(9B-9B, 9C-9C, 9D-9D, 및 9E-9E)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c는, 홈(148)(도 8)보다 배면(151)측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153)의 낮은 영역에 개구(141)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150)으로부터 z축의 양의 방향을 향하여 볼록부(145)가 돌출되어 있다. 배면(151)으로부터 z축의 양의 방향으로 깊어지도록, 오목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45)와 오목부(146)는, x방향에 관하여 동일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41)의 제1 측면(142)에, 단차(144)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144)의 축상면(蹴上面)은, 바닥면(152)측(y축의 음의 방향)을 향한다. 이로 인하여, 인출전극을, 바닥면(152)측으로부터 개구(141) 내에, 제1 측면(142)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삽입하면, 인출전극이 단차(144)의 축상면에 맞닿는다.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151(도 9a))으로부터 z축의 양의 방향으로 깊어지는 오목부(146)는, 상면(153)의 높은 영역에도 개구되어 있다.
도 9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41)의 제2 측면(143)에, 단차(144)가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제2 측면(143)에 대향하는 제3 측면(149)에도, 단차(144)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144)의 축상면은, y축의 음의 방향을 향한다. 이로 인하여, 인출전극을, 바닥면(152)측으로부터 개구(141) 내에, 제2 측면(143)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삽입하면, 인출전극이 단차(144)의 축상면에 맞닿는다. 도 9b 및 도 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전극이 단차(144)에 맞닿음으로써, 개구(141) 내로의 인출전극의 삽입깊이를, 용이하게 목표 깊이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150)으로부터 z축의 양의 방향으로 볼록부(145)가 돌출되어 있다. 배면(151)으로부터 z축의 양의 방향으로 깊어지도록 오목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45)와 오목부(146)는, y방향에 관하여 동일위치(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닥면(152)으로부터 y축의 양의 방향으로 깊어지도록, 홈(148)이 형성되어 있다. 홈(148)은, 전면(150)과 배면(151)의 중간위치보다 배면(151)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에 사용되는 제2 고정부재(140B)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8에 나타낸 제1 고정부재(140A)와의 상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서는, 도 8과 마찬가지로, 바닥면(152)이 상방을 향하는 자세로 그려져 있다.
제1 고정부재(140A)에는, 하나의 홈(148)(도 8)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제2 고정부재(140B)에는, 2개의 홈(148A 및 148B)이 형성되어 있다. 홈(148A) 및 홈(148B)의 각각은, 홈(148)과 마찬가지로, 바닥면(152)으로부터 상면(153)을 향하여 깊어지도록 형성되고, x방향으로 긴 평면형상을 가진다. 일방의 홈(148A)은, 전면(150)과 배면(151)의 중간위치보다 배면(151)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홈(148B)은, 전면(150)과 배면(151)의 중간위치보다 전면(150)측에 배치되어 있다. 홈(148A) 및 홈(148B)의 각각의 폭은, 제1 고정부재(140A)의 홈(148)(도 8)의 폭보다 좁으며, 홈(148)의 폭의 약 1/2이다.
홈(148A, 148B)은, zx면 내에 있어서 개구(141)와 부분적으로 겹쳐 있다. 홈(148A)의 전면(150)측을 향하는 측면의 일부는, 개구(141)의 제2 측면(143)을 겸한다. 홈(148B)의 배면(151)측을 향하는 측면의 일부는, 개구(141)의 제3 측면(149)을 겸한다. 바닥면(152)측으로부터 개구(141) 내에, 축전셀의 인출전극이 삽입된다. 여기서, "인출전극"은, 실시예 1의 제2 전극(13)(도 2)에 상당한다.
도 11a에, 제2 고정부재(140B)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b, 도 11c, 도 11d 및 도 11e에, 각각 도 11a의 일점쇄선(11B-11B, 11C-11C, 11D-11D, 및 11E-11E)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c는, 홈(148A)(도 10)보다 배면(151)측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에 나타낸 평면형상, 도 11b~도 11d에 나타낸 단면형상은, 각각 제1 고정부재(140A)의 도 9a에 나타낸 평면형상, 도 9b~도 9d에 나타낸 단면형상과 동일하다. 도 1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152)에, 2개의 홈(148A, 148B)이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홈(148A)은, 전면(150)과 배면(151)의 중간위치보다 배면(151)측에 배치되고, 타방의 홈(148B)은, 전면(150)과 배면(151)의 중간위치보다 전면(150)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a에, 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에 사용되는 축전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축전용기(162) 내에, 축전적층체(161)가 수용되어 있다. 축전적층체(161) 및 축전용기(162)는, 판형상을 가지며, 그 평면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축전적층체(161)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 리튬이온커패시터 등이다. 축전적층체(161)는,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플러스극판과 마이너스극판, 및 플러스극판과 마이너스극판 사이에 삽입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며, 실시예 1의 축전요소(11)(도 1a~도 1c)에 상당한다.
평판형상의 인출전극(163, 164)이, 각각 축전적층체(161)의 플러스극판 및 마이너스극판에 접속되어, 축전용기(162)의 외측에까지 인출되어 있다. 인출전극(163과 164)는, 축전용기(162)의 상호 반대측의 가장자리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인출되어 있다.
도 12b에, 도 12a의 일점쇄선(12B-12B)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축전용기(162)는, 예컨대 2매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필름으로 구성된다. 2매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필름이, 축전적층체(161)를 사이에 끼우고, 외주부에 있어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필름끼리 용착되어 있다. 축전셀(160)의 일방의 면은 대략 평탄하고, 타방의 면은, 축전적층체(161)의 외형을 반영한 형상을 가진다. 축전셀(160)의 대략 평탄한 면을 배면(165)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의 면을 복면(166)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인출전극(163, 164)은, 축전셀(160)의 두께방향에 관하여 중심보다 배면(165)측에 치우친 위치로부터, 배면(165)을 인출방향으로 연장한 가상평면을 따라 인출되어 있다. 인출전극(163, 164)의 각각은, 축전용기(162)로부터 외향으로 뻗은 후, 축전셀(160)의 두께방향(적층방향)의 복면(166)측을 향하여 약 90° 절곡되어 있다. 인출전극(163, 164)의, 절곡된 위치보다 선단측의 부분을, 각각 선단부분(163A, 164A)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도 12c에, 실시예에 의한 축전모듈에 사용되는 다른 축전셀(16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b에 나타낸 축전셀(160)에 있어서는, 인출전극(163, 164)의 어느 것도, 복면(166)측으로 절곡되어 있었다. 도 12c에 나타낸 축전셀(160)에 있어서는, 일방의 인출전극(163)은 복면(166)측으로 절곡되어 있지만, 타방의 인출전극(164)은, 축전셀(160)의 두께방향(적층방향)의 배면(165)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12b에 나타낸 축전셀(160)을 "순방향형"이라 부르고, 도 12c에 나타낸 축전셀(160)을 "역방향형"이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인출전극(163 및 164) 중의 일방이, 실시예 1의 제1 전극(12)(도 2)에 대응하고, 타방이, 제2 전극(13)(도 12)에 대응한다.
축전셀(160)이 극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예컨대 인출전극(163)이 플러스극이 되고, 다른 일방의 인출전극(164)이 마이너스극이 된다. 축전셀(160)이 극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인출전극(163과 164)을 구별할 필요는 없다.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방향형 축전셀(160)과 역방향형 축전셀(160)을, 배면(165)끼리 대향시켜, 인출전극(163, 164)의 인출방향이 동일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중첩된다. 역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4)의 선단부분(164A)과, 순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3)의 선단부분(163A)이 상호 겹친다. 역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3)과, 순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4)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역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4)과, 순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3)을, 제1 고정부재(140A)의 개구(141) 내에, 그 바닥면(152)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역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4)의 외측의 표면이, 개구(141)의 제2 측면(143)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인출전극(164)의 절곡개소가 단차(144)에 맞닿음으로써, 삽입의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인출전극(164)의 선단부분(164A)의 외측의 표면이, 제1 고정부재(140A)의 상면(153)측에 노출된다. 인출전극(163)의 선단부분(163A)의 내측의 표면(선단부분(164A)에 접촉하고 있는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은, 제1 고정부재(140A)의 바닥면(152)측에 노출된다. 제1 고정부재(140A)의 개구(141) 내에 삽입된 인출전극(163, 164)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의 L자형 구조의 전극쌍을 이룬다.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41) 내에 삽입된 인출전극(164)의 양측의 가장자리가, 개구(141)의 제1 측면(142)에 접촉된다. 다만, 도 13b의 단면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개구(141) 내에 삽입된 인출전극(163)(도 13a)의 양측의 가장자리도, 제1 측면(142)에 접촉된다. 개구(141)는, 그 x방향의 치수가, 인출전극(163, 164)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인출전극(163, 164)을 개구(141)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축전셀(160)의 중첩방향(z방향) 및 인출전극의 인출방향(y방향)의 양방에 평행한 가상평면(yz면)에 직교하는 방향, 즉 폭방향(x방향)에 관하여,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구속된다. 이로써, 인출전극(163과 164)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3a로 되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상호 겹쳐진 선단부분(163A, 164A)을, 초음파 용접기의 앤빌(170)과 초음파호른(171) 사이에 배치한다. 예컨대, 앤빌(170)은, 제1 고정부재(140A)의 바닥면(152)측으로부터 개구(141) 내에 삽입된다. 초음파호른(171)은, 선단부분(164A)의, 상면(153)과 동일방향을 향하는 표면에 대향한다. 축전용기(162)가 앤빌(170)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축전용기(162)를 앤빌(170)의 측방으로 퇴피시킨다. 이때, 축전용기(162) 내의 축전적층체(161)(도 12a~도 12c)와 인출전극(163, 164)의 접속부위 근방이, 일시적으로 굴곡된다.
이 상태에서, 개구(141) 내에 삽입된 선단부분(164A와 163A)을 초음파 용접한다. 다만, 선단부분(164A와 163A)은, 초음파 용접 이외의 방법으로 상호 고착시켜도 된다. 상호 고착시켜야 할 인출전극(163, 164)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고착처리시에 있어서의 양자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c에, 초음파 용접 후의 축전셀(160) 및 제1 고정부재(140A)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배면(165)끼리를 대향시켜 인출전극(163과 164)이 상호 고착된 축전셀쌍을 복수 개 제작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축전셀쌍인 역방향형 축전셀(160)의 복면(166)과, 다른 축전셀쌍인 순방향형 축전셀(160)의 복면(166)을 대향시킨다. 이때, 인출전극(163, 164)의 인출방향이 동일방향을 향하도록, 축전셀쌍의 자세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역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3)과, 순방향형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4)을, 제2 고정부재(140B)의 개구(141) 내에, 바닥면(152)측으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일방의 인출전극(163)의 외측의 표면이, 개구(141)의 제3 측면(149)에 접촉하고, 타방의 인출전극(164)의 외측의 표면이, 개구(141)의 제2 측면(143)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인출전극(163, 164)의 절곡부위가 단차(144)에 맞닿음으로써, 인출전극(163, 164)의 삽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개구(141) 내에서, 인출전극(163)의 선단부분(163A)과, 인출전극(164)의 선단부분(164A)이 겹쳐진다. 제2 고정부재(140B)의 개구(141) 내에 삽입된 인출전극(163, 164)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1의 브리지형 구조의 전극쌍을 이룬다.
상호 겹쳐친 선단부분(163A와 164A)을, 앤빌(170)과 초음파호른(171) 사이에 배치하여, 초음파 용접을 행한다. 다만, 초음파 용접 이외의 방법으로, 선단부분(163A와 164A)을 고착시켜도 된다.
개구(141) 내에 삽입된 인출전극(163, 164)의 양측의 가장자리가, 개구(141)의 제1 측면(142)(도 10)에 접촉된다. 이로 인하여, 폭방향에 관하여, 인출전극(163과 164)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구속할 수 있다.
복수의 축전셀쌍에 대해서, 초음파 용접처리를 행함으로써, 복수의 축전셀(160)이 직렬접속된다. 직렬접속된 상호 인접하는 축전셀(160) 사이에 전열판(169)을 사이에 끼우고, 축전셀(160) 및 전열판(169)을, 일시보관용 케이스(175) 내에, 그 개구부로부터 차례로 수용한다. 일시보관용 케이스(175)의 바닥면에는, 단판(176)이 격납되어 있다. 단판(176)의 일방의 표면 상(도 14에 있어서는 측방)에, 축전셀(160)과 전열판(169)이 교대로 적층된다.
도 15에, 일시보관용 케이스(175)(도 14) 내에 수용된 상태의 제1 고정부재(140A)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복수의 제1 고정부재(140A)가, 적층방향(z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호 인접하는 제1 고정부재(140A) 중, 일방의 제1 고정부재(140A)의 볼록부(145)와, 타방의 제1 고정부재(140A)의 오목부(146)가 끼워맞춰진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재(140B)에 있어서도, 볼록부(145)와, 오목부(146)(도 10)가 끼워맞춰진다. 이로써, 제1 고정부재(140A) 및 제2 고정부재(140B)의 x방향에 관한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구속된다.
축전셀(160)의 인출전극(163, 164)의 폭방향(x방향)의 위치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고정부재(140A) 및 제2 고정부재(140B)에 대해서 구속되어 있다. 또한, 인출전극(163, 164)은, 축전용기(162) 내의 축전적층체(161)(도 12a~도 12c)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적층된 축전셀(160) 내의 축전적층체(161)의 x방향에 관한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출전극(163, 164)이, 절연재료로 형성된 제1 고정부재(140A) 또는 제2 고정부재(140B)로 덮여, 고정부재(140A, 140B)에 구속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축전모듈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인출전극 사이의 단락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출전극(163, 164)은 제1 고정부재(140A) 또는 제2 고정부재(140B)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축전모듈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상호 용접되어 있는 인출전극끼리의 접촉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에, 축전셀(160)을 수용한 일시보관용 케이스(175)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일시보관용 케이스(175)는, 직사각형상의 축전셀(160)의 각 변에 대응하여 배치된 하측가이드(180), 상측가이드(181), 및 측방가이드(182, 183)를 포함한다. 하측가이드(180)로부터 상측가이드(181)를 향하는 방향을 높이방향이라 정의하고, 축전셀(160)의 적층방향과 높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6에 있어서 횡방향)을, 폭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제1 고정부재(140A)가, 하측가이드(180)에 의하여 적층방향(도 16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안내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고정부재(140B)가, 상측가이드(181)에 의하여 적층방향으로 안내된다. 전열판(169)의 단부가, 측방가이드(182, 183)의, 적층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에 수용됨으로써, 전열판(169)의 높이방향의 위치가 조절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가이드(181)에, 하측가이드(180)로 향하는 하중을 인가한다. 이로써, 축전셀(160)의 높이방향의 위치가 정렬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시보관용 케이스(175)를, 축전셀(160)의 적층방향에 평행한 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90° 회전시킨다. 측방가이드(182, 183)에, 양자가 가까워지는 방향의 하중을 인가한다. 이로써, 전열판(169)의, 폭방향(도 18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 외측의 축전셀(160)의 외측의 표면 위에, 단판(177)을 배치한다. 단판(177)에, 타방의 단판(176)을 향하는 방향의 하중을 인가한다. 이로써, 축전셀(160)과 전열판(169)에, 적층방향의 압축력이 인가된다. 압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일방의 단판(176)으로부터 타방의 단판(177)에까지, 복수의 타이로드(178)를 통과시키고, 타이로드(178)에 볼트를 체결한다. 이로써, 단판(177)에 인가한 하중을 제거해도, 축전셀(160)과 전열판(169)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유지된다. 이 압축력에 의하여, 축전셀(160)과 전열판(49)이, 단판(176과 177)의 사이에, 기계적으로 지지된다.
여기까지의 공정에서, 복수의 축전셀(160)이 직렬로 접속된 축전모듈이 얻어진다. 그 후, 일시보관용 케이스(175)로부터 축전모듈을 꺼낸다. 또한, 단판(176과 177)에, 소정의 압축력을 인가하여, 타이로드(178)의 볼트를 조인다.
다만, 일시보관용 케이스(175)를, 작업기계에 탑재하기 위한 축전모듈용 외장케이스로서 사용해도 된다.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축전셀(160)의 x방향에 관한 위치의 편차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축전셀(160)과 일시보관용 케이스(175)의 내벽을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다.
도 2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전셀(160)의 각각을 외장필름(185)으로 덮어도 된다. 도 20b 및 도 20c에, 각각 도 20a의 일점쇄선(20B-20B), 및 일점쇄선(20C-20C)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외장필름(185)은, 통형상을 가지며, 인출전극(163, 164)이 인출되어 있는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외장필름(185)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의 가장자리는, 인출전극(163, 164)의 기부를 덮는다. 선단부분(163A, 164A)은, 외장필름(185)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외측까지 도출되어 있다.
도 21a에, 배면(165)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축전셀(160)과, 제1 고정부재(140A)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전극(163, 164)이, 제1 고정부재(140A)의 개구(141)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필름(185)의 개방단의 가장자리가, 홈(148) 내에 삽입된다.
도 21b에, 복면(166)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축전셀(160)과, 제2 고정부재(140A)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전극(163, 164)이, 제2 고정부재(140B)의 개구(141)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때,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축전셀(160)을 둘러싸는 외장필름(185)의 개방단의 가장자리가 일방의 홈(148A) 내에 삽입되고, 타방의 축전셀(160)을 둘러싸는 외장필름(185)의 개방단의 가장자리가 타방의 홈(148B) 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부재(140A)의 홈(148), 및 제2 고정부재(140B)의 홈(148A, 148B)은, 외장필름(185)의 개방단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역할을 가진다.
실시예 1~실시예 7에서는, 축전셀(20)로서 전기이중층커패시터를 사용했지만, 그 외의 축전가능한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예컨대, 축전셀(20)로서, 리튬이온배터리 등의 이차전지, 리튬이온커패시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8]
도 22~도 27을 참조하여, 실시예 1~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을 탑재한 실시예 8에 의한 작업기계에 대해, 쇼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2~도 26에서는, 하이브리드형 쇼벨이 예시되지만, 실시예 1~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은, 그 외의 하이브리드형 작업기계, 전동쇼벨 등의 전동작업기계 등에 탑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2는,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개략평면도이다. 상부선회체(70)에, 선회베어링(73)을 통해, 하부주행체(주행장치)(71)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선회체(70)에, 엔진(74), 메인펌프(75), 선회용 전동모터(76), 오일탱크(77), 냉각팬(78), 좌석(79), 축전모듈(80), 및 전동발전기(83)가 탑재되어 있다. 엔진(74)은,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동력을 발생한다. 엔진(74), 메인펌프(75), 및 전동발전기(83)가, 토크전달기구(81)를 통해 상호 토크를 주고받는다. 메인펌프(75)는, 붐(82) 등의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한다.
전동발전기(83)는, 엔진(74)의 동력에 의하여 구동되어, 발전(發電)을 행한다(발전운전). 발전된 전력은, 축전모듈(80)에 공급되어, 축전모듈(80)이 충전된다. 또한, 전동발전기(83)는, 축전모듈(80)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구동되어, 엔진(74)을 어시스트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어시스트운전). 오일탱크(77)는, 유압회로의 오일을 저장한다. 냉각팬(78)은, 유압회로의 오일온도의 상승을 억제한다. 조작자는, 좌석(79)에 착석하여, 하이브리드형 쇼벨을 조작한다.
도 23에,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부분파단 측면도를 나타낸다. 하부주행체(71)에, 선회베어링(73)을 통해 상부선회체(70)가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70)는, 선회프레임(70A), 커버(70B), 및 캐빈(70C)을 포함한다. 선회프레임(70A)은, 캐빈(70C), 및 여러 가지 부품의 지지구조체로서 기능한다. 커버(70B)는, 지지구조체(70A)에 탑재된 여러 가지 부품, 예컨대 축전모듈(80) 등을 덮는다. 캐빈(70C) 내에 좌석(79)(도 22)이 수용되어 있다.
선회용 전동모터(76)(도 22)가, 그 구동대상인 선회프레임(70A)을, 하부주행체(71)에 대해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상부선회체(70)에, 붐(82)이 장착되어 있다. 붐(82)은, 유압구동되는 붐실린더(107)에 의하여, 상부선회체(7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요동한다. 붐(82)의 선단에, 암(85)이 장착되어 있다. 암(85)은, 유압구동되는 암실린더(108)에 의하여, 붐(82)에 대해서 전후방향으로 요동한다. 암(85)의 선단에 버킷(86)이 장착되어 있다. 버킷(86)은, 유압구동되는 버킷실린더(109)에 의하여, 암(85)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요동한다.
축전모듈(80)이, 축전모듈용 마운트(90) 및 댐퍼(방진장치)(91)를 통해, 선회프레임(70A)에 탑재되어 있다. 축전모듈(80)은, 예컨대 캐빈(70C)의 후방에 배치된다. 커버(70B)가 축전모듈(80)을 덮는다. 축전모듈(80)에는, 상기 실시예 1~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이 사용된다. 축전모듈(8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선회용 전동모터(76)(도 22)가 구동된다. 또한, 선회용 전동모터(76)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회생(回生)전력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회생전력에 의하여, 축전모듈(80)이 충전된다.
도 24에, 실시예 8의 변형예 1에 의한 쇼벨의 부분파단 측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23에 나타낸 실시예 8에 의한 쇼벨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에 나타낸 예에서는, 캐빈(70C)의 후방에 축전모듈(80)이 배치되어 있었지만, 도 24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는, 캐빈(70C)의 측방에 축전모듈(80)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0C)과 축전모듈(80) 사이에, 붐(8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축전모듈(80)은 선회프레임(70A)에 탑재되어 있고, 커버(70B)로 덮여 있다.
도 25에, 실시예 8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쇼벨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5에 있어서, 기계적 동력계를 이중선으로 나타내고, 고압유압라인을 굵은 실선으로 나타내며, 전기계통을 가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파일럿라인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엔진(74)의 구동축이 토크전달기구(81)의 입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74)에는, 전기 이외의 연료에 의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엔진, 예컨대 디젤엔진 등의 내연기관이 사용된다. 엔진(74)은, 작업기계의 운전 중에는, 상시 구동되고 있다.
전동발전기(83)의 구동축이, 토크전달기구(81)의 다른 입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발전기(83)는, 전동(어시스트)운전과, 발전운전의 쌍방의 운전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전동발전기(83)에는, 예컨대 자석이 로터 내부에 매립된 내부자석 매립형(IPM) 모터가 사용된다.
토크전달기구(81)는, 2개의 입력축과 하나의 출력축을 가진다. 이 출력축에는, 메인펌프(75)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있다.
엔진(74)에 가해지는 부하가 큰 경우에는, 전동발전기(83)가 어시스트운전을 행하고, 전동발전기(83)의 구동력이 토크전달기구(81)를 통해 메인펌프(75)에 전달된다. 이로써, 엔진(74)에 가해지는 부하가 경감된다. 한편, 엔진(74)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엔진(74)의 구동력이 토크전달기구(81)를 통해 전동발전기(83)에 전달됨으로써, 전동발전기(83)가 발전운전된다. 전동발전기(83)의 어시스트운전과 발전운전의 전환은, 전동발전기(83)에 접속된 인버터(118)에 의하여 행해진다. 인버터(118)는, 제어장치(1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장치(130)는, 중앙처리장치(CPU)(130A) 및 내부메모리(130B)를 포함한다. CPU(130A)는, 내부메모리(130B)에 격납되어 있는 구동제어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장치(130)는, 표시장치(135)에, 각종 장치의 열화상태 등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킨다.
메인펌프(75)는, 고압유압라인(116)을 통해, 컨트롤밸브(117)에 유압을 공급한다. 컨트롤밸브(117)는, 운전자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유압모터(101A, 101B), 붐실린더(107), 암실린더(108), 및 버킷실린더(109)에 유압을 분배한다. 유압모터(101A 및 101B)는, 각각 도 22, 도 23에 나타낸 하부주행체(71)에 구비된 좌우의 2개의 크롤러를 구동한다.
전동발전기(83)의 전기계통의 입출력단자가, 인버터(118)를 통해 축전회로(190)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118)는, 제어장치(130)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전동발전기(83)의 운전제어를 행한다. 축전회로(190)에는, 또한, 다른 인버터(120)를 통해 선회용 전동모터(76)가 접속되어 있다. 축전회로(190) 및 인버터(120)는, 제어장치(130)에 의하여 제어된다.
전동발전기(83)가 어시스트운전되고 있는 기간은, 필요한 전력이, 축전회로(190)로부터 전동발전기(83)에 공급된다. 전동발전기(83)가 발전운전되고 있는 기간은, 전동발전기(83)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이, 축전회로(190)에 공급된다.
선회용 전동모터(76)는, 인버터(120)로부터의 펄스폭변조(PWM) 제어신호에 의하여 교류구동되어, 역행(力行)동작 및 회생(回生)동작의 쌍방의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선회용 전동모터(76)에는, 예컨대 IPM 모터가 사용된다. IPM 모터는, 회생시에 큰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선회모터(76)의 역행동작 중에는, 선회용 전동모터(76)가, 감속기(124)를 통해, 상부선회체(70)를 선회시킨다. 이때, 감속기(124)는, 회전속도를 느리게 한다. 이로써, 선회용 전동모터(76)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증대된다. 또한, 회생운전시에는, 상부선회체(70)의 회전운동이, 감속기(124)를 통해 선회용 전동모터(76)에 전달됨으로써, 선회용 전동모터(76)가 회생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감속기(124)는, 역행운전시와는 반대로, 회전속도를 빠르게 한다. 이로써, 선회용 전동모터(76)의 회전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리졸버(122)가, 선회용 전동모터(76)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의 위치를 검출한다. 검출결과는, 제어장치(130)에 입력된다. 선회용 전동모터(76)의 운전 전과 운전 후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선회각도 및 선회방향이 도출된다.
메카니컬브레이크(123)가, 선회용 전동모터(76)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어, 기계적인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메카니컬브레이크(123)의 제동상태와 해제상태는, 제어장치(130)로부터의 제어를 받아, 전자적 스위치에 의하여 전환된다.
파일럿펌프(115)가, 유압조작계에 필요한 파일럿압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파일럿압은, 파일럿라인(125)을 통해 조작장치(126)에 공급된다. 조작장치(126)는, 레버나 페달을 포함하며,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된다. 조작장치(126)는, 파일럿라인(125)으로부터 공급되는 1차측의 유압을,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2차측의 유압으로 변환한다. 2차측의 유압은, 유압라인(127)을 통해 컨트롤밸브(117)에 전달됨과 함께, 다른 유압라인(128)을 통해 압력센서(129)에 전달된다.
압력센서(129)로 검출된 압력의 검출결과가, 제어장치(130)에 입력된다. 이로써, 제어장치(130)는, 하부주행체(71), 선회용 전동모터(76), 붐(82), 암(85), 및 버킷(86)의 조작의 상황을 검지할 수 있다.
도 26에, 축전회로(190)의 등가회로도를 나타낸다. 축전회로(190)는, 축전모듈(80), 컨버터(200), 및 DC 버스라인(210)을 포함한다. 컨버터(200)의 한 쌍의 전원접속단자(203A, 203B)에 축전모듈(80)이 접속되어 있고, 한 쌍의 출력단자(204A, 204B)에 DC 버스라인(210)이 접속되어 있다. 일방의 전원접속단자(203B), 및 일방의 출력단자(204B)는 접지되어 있다. 축전모듈(80)에는, 상기 실시예 1~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이 사용된다.
DC 버스라인(210)은, 인버터(118, 120)를 통해, 전동발전기(83) 및 선회모터(76)에 접속되어 있다. DC 버스라인(210)에 발생하고 있는 전압이, 전압계(211)에 의하여 측정되고, 측정결과가 제어장치(130)에 입력된다.
승압용의 절연게이트바이폴러트랜지스터(IGBT)(202A)의 컬렉터와, 강압용의 IGBT(202B)의 이미터가 상호 접속된 직렬회로가, 출력단자(204A와 204B)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용 IGBT(202A)의 이미터가 접지되고, 강압용 IGBT(202B)의 컬렉터가, 고압측의 출력단자(204A)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용 IGBT(202A)와 강압용 IGBT(202B)의 상호 접속점이, 리액터(201)를 통해, 고압측의 전원접속단자(203A)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용 IGBT(202A) 및 강압용 IGBT(202B)에, 각각 다이오드(202a, 202b)가, 이미터로부터 컬렉터를 향하는 방향이 순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병렬접속되어 있다. 출력단자(204A와 204B)의 사이에, 평활용의 콘덴서(205)가 삽입되어 있다.
전원접속단자(203A와 203B)의 사이에 접속된 전압계(206)가, 축전모듈(80)의 단자간 전압을 측정한다. 리액터(201)에 직렬로 삽입된 전류계(207)가, 축전모듈(80)의 충방전전류를 측정한다. 전압 및 전류의 측정결과는, 제어장치(130)에 입력된다.
온도검출기(136)가, 축전모듈(80)의 온도를 검출한다. 검출된 온도데이터는, 제어장치(130)에 입력된다. 온도검출기(136)는, 예컨대 축전모듈(80)을 구성하는 복수의 축전셀로부터 선택된 4개의 축전셀에 대응하여 준비된 4개의 온도계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30)는, 예컨대, 4개의 온도계에서 취득된 4개의 온도데이터의 평균을 산출하여, 평균치를 축전모듈(80)의 온도로 한다. 다만, 커패시터의 과열상태를 판정할 때에는, 4개의 온도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중 가장 높은 온도를, 축전모듈의 온도로서 채용해도 된다. 반대로, 축전모듈의 온도가 너무 저하된 상태의 판정에는, 4개의 온도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 중 가장 낮은 온도를, 축전모듈의 온도로서 채용해도 된다.
제어장치(130)가, 승압용 IGBT(202A) 및 강압용 IGBT(202B)의 게이트전극에, 제어용의 펄스폭변조(PWM) 전압을 인가한다.
이하, 승압동작(방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승압용 IGBT(202A)의 게이트전극에 PWM 전압을 인가한다. 승압용 IGBT(202A)의 오프시에, 리액터(201)에, 고압측의 전원접속단자(203A)로부터 승압용 IGBT(202A)의 컬렉터를 향하여 전류를 흘리는 방향의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기전력이, 다이오드(202b)를 통해 DC 버스라인(210)에 인가된다. 이로써, DC 버스라인(210)이 승압된다.
다음으로, 강압동작(충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강압용 IGBT(202B)의 게이트전극에, PWM 전압을 인가한다. 강압용 IGBT(202B)의 오프시에, 리액터(201)에, 강압용 IGBT(202B)의 이미터로부터 고압측의 전원접속단자(203A)를 향하여 전류를 흘리는 방향의 유도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유도기전력에 의하여, 다이오드(202a)를 통해 축전모듈(80)이 충전된다.
도 27에, 실시예 8의 변형예 2에 의한 쇼벨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25에 나타낸 실시예 8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쇼벨과의 상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8의 변형예 2에 의한 쇼벨에서는, 엔진(74)(도 22, 도 25)이 탑재되어 있지 않다. 축전모듈(80)을 충전하기 위한 전압컨버터(88) 및 외부전원접속플러그(87)가 준비되어 있다. 외부전원으로부터, 외부전원접속플러그(87) 및 전압컨버터(88)를 통해, 축전모듈(80)을 충전할 수 있다. 전동발전기(83)는, 발전기로서 동작하지 않고, 축전모듈(80)(축전회로(19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전동기로서만 동작한다.
전압컨버터(88)는, 외부전원의 전압을 축전모듈(80)의 전압에 적합하게 하기 위한 전압변환을 행한다.
실시예 1~실시예 7에 의한 축전모듈은, 하이브리드형 쇼벨 뿐만 아니라, 이 변형예와 같이, 전동쇼벨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실시예 8에 근거하여, 더욱 이하의 부기에 나타낸 발명을 개시한다.
(부기 1)
판형상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된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한 축전셀이, 그 판형상부분의 두께방향으로 적층되고,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축전셀의 일방의 전극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직렬접속된 축전모듈로서,
상기 축전셀의 각각의 상기 전극은, 상기 판형상부분의 두께방향의 중심위치보다, 일방의 표면인 배면(背面)측에 치우친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축전셀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축전셀은, 상기 배면끼리 마주보는 자세, 또는 상기 배면과는 반대측의 복면(腹面)끼리 마주보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상기 축전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전극은, 그 전극의 상호 대향하는 표면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고,
상기 복면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상기 축전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전극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일방의 전극의 외측의 표면과, 타방의 전극의 내측의 표면이 접촉하고 있는 축전모듈.
(부기 2)
상기 배면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상기 축전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적층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는 부기 1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3)
상기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축전셀의 사이에 배치된 전열판을 더욱 가지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4)
상기 적층방향에 평행한 시선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전열판은, 상기 전극이 인출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여, 상기 축전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까지 넓어져 있는 부기 3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5)
상기 복수의 축전셀을, 상기 적층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욱 가지는 부기 1 내지 부기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6)
각각이, 축전적층체를 수용하는 축전용기와, 상기 축전용기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된 한 쌍의 인출전극을 포함하고, 인출전극의 인출방향이 동일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겹쳐진 복수의 판형상의 축전셀과,
상기 축전셀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축전셀의 일방의 하나의 인출전극과 타방의 하나의 인출전극이 삽입되어, 상기 축전셀의 중첩방향 및 상기 인출전극의 인출방향에 평행한 가상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하여, 삽입된 상기 2개의 인출전극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구속하는 고정부재
를 가지는 축전모듈.
(부기 7)
상기 고정부재는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부기 6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8)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된 상기 2개의 인출전극은, 상기 축전용기로부터 인출된 후, 상기 축전셀의 적층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선단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된 상기 2개의 인출전극의 상기 선단부분끼리가 겹쳐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2개의 인출전극이 삽입되어, 상호 겹쳐진 상기 선단부분의 양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지는 부기 6 또는 부기 7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9)
상기 개구의 측면에, 상기 인출전극의 절곡개소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인출전극의, 상기 개구 내로의 삽입깊이를 규제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부기 8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10)
상기 축전셀의 각각을 덮는 외장필름을 더욱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외장필름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기 6 내지 부기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11)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된 인출전극을 가지는 상기 2개의 축전셀의 일방의 측에 적층된 다른 2개의 축전셀의 각각의 하나의 인출전극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다른 고정부재를 더욱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다른 고정부재는, 상호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가상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하여, 상기 2개의 고정부재의 상대적인 위치를 구속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부기 6 내지 부기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모듈.
(부기 12)
각각이, 축전적층체를 수용하는 축전용기와, 상기 축전용기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된 한 쌍의 인출전극을 포함하고, 인출전극의 인출방향이 동일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겹쳐진 복수의 판형상의 축전셀과,
상기 축전셀이 겹쳐진 상태에서,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축전셀의 일방의 하나의 인출전극과 타방의 하나의 인출전극이 삽입되어, 상기 축전셀의 중첩방향 및 상기 인출전극의 인출방향에 평행한 가상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하여, 삽입된 상기 2개의 인출전극의 상대적인 이동을 금지하는 고정부재
를 가지는 축전모듈이 탑재된 작업기계.
(부기 13)
각각이, 축전적층체를 수용하는 축전용기와, 상기 축전용기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된 한 쌍의 인출전극을 포함한 2매의 판형상의 축전셀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2매의 축전셀의 일방의 하나의 인출전극과, 타방의 하나의 인출전극을, 고정부재의 개구 내에 삽입하여, 상기 인출전극의 삽입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상기 판형상의 축전셀의 면 내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관하여, 상기 개구 내에 삽입된 2개의 인출전극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구속하는 공정과,
상기 2개의 인출전극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인출전극끼리를 상호 고착시키는 공정
을 가지는 축전모듈의 제조방법.
10 축전용기
10A, 10B 라미네이트필름
11 축전요소
12 제1 전극
13 제2 전극
14 가스배출구멍
15 가스배출밸브
16 판형상부분
18 대전방지필름
20 축전셀
21 제1 집전극
21A 연신부분
22 제2 집전극
22A 연신부분
23 세퍼레이터
25 전열판
27 제1 분극성 전극
28 제2 분극성 전극
31, 32, 33, 34 벽판
33A, 34A 창
40 가압기구
41 누름판
42 너트
43 타이로드
48, 49 강제공냉장치
70 상부선회체
71 하부주행체(기체(基體))
73 선회베어링
74 엔진
75 메인펌프
76 선회모터
77 오일탱크
78 냉각팬
79 좌석
80 축전모듈
81 토크전달기구
82 붐
83 전동발전기
85 암
86 버킷
87 외부전원 접속플러그
88 전압컨버터
90 축전모듈 마운트
91 댐퍼(방진장치)
101A, 101B 유압모터
107 붐실린더
108 암실린더
109 버킷실린더
114 메인펌프
115 파일럿펌프
116 고압유압라인
117 컨트롤밸브
118 인버터
119 커패시터
120 인버터
122 리졸버
123 메카니컬브레이크
124 감속기
125 파일럿라인
126 조작장치
127, 128 유압라인
129 압력센서
130 제어장치
135 표시장치
136 온도검출기
140A 제1 고정부재
140B 제2 고정부재
141 개구
142 제1 측면
143 제2 측면
144 단차
145 볼록부
146 오목부
147 끼워맞춤부
148 홈
149 제3 측면
150 전면
151 배면
152 바닥면
153 상면
160 축전셀
161 축전적층체
162 축전용기
163, 164 인출전극
163A, 164A 선단부분
165 배면
166 복면
169 전열판
170 앤빌
171 초음파호른
175 일시보관용 케이스
176, 177 단판
178 타이로드
180 하측가이드
181 상측가이드
182, 183 측방가이드
185 외장필름
200 컨버터
201 리액터
202A 승압용 IGBT
202B 강압용 IGBT
202a, 202b 다이오드
203A, 203B 전원접속단자
204A, 204B 출력단자
205 평활용 콘덴서
206 전압계
207 전류계
211 전압계

Claims (13)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의 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된 축전모듈
    을 가지고,
    상기 축전모듈은, 각각이, 판형상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된 적어도 한 쌍의 전극을 가지는 복수의 축전셀을 포함하며,
    상기 축전셀은, 상기 판형상부분의 두께방향으로 적층되고,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축전셀의 전극끼리를 접촉시킴으로써 직렬접속되어 있고,
    상호 접촉되어 있는 한 쌍의 상기 전극으로 구성된 전극쌍 중 적어도 일부의 전극쌍은, 전극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고, 일방의 전극의 외측의 표면과, 타방의 전극의 내측의 표면이 접촉하고 있는 브리지형 구조를 가지는 쇼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형 구조의 전극쌍의 전극끼리는, 굴곡부위보다 선단의 부분에 있어서 상호 접촉되어 있는 쇼벨.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축전셀의 각각의 상기 전극은, 상기 판형상부분의 두께방향의 중심위치보다, 일방의 표면인 배면(背面)측에 치우친 위치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축전셀의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축전셀은, 상기 배면끼리 마주보는 자세, 또는 상기 배면과는 반대측인 복면(腹面)끼리 마주보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면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상기 축전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전극의 상호 대향하는 표면에 있어서 접촉하고 있고,
    상기 복면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상기 축전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브리지형 구조의 전극쌍을 구성하고 있는 쇼벨.
  4. 청구항 1에 있어서,
    배면끼리를 대향시킨 2개의 상기 축전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기 전극은, 상기 적층방향으로 굴곡된 L자형 구조를 가지는 쇼벨.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층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축전셀의 사이에 배치된 전열(傳熱)판을 더욱 가지는 쇼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층방향에 평행한 시선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전열판은, 상기 전극이 인출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축전셀의 가장자리보다 외측까지 넓어져 있는 쇼벨.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전셀을, 상기 적층방향으로 가압하여 수용하는 케이싱을 더욱 가지는 쇼벨.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호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전극이 삽입되어, 상기 축전셀의 적층방향 및 상기 전극의 인출방향의 어느 것에도 평행한 가상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하여, 삽입된 상기 2개의 전극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구속하는 고정부재를 더욱 가지는 쇼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쇼벨.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된 상기 2개의 전극은, 상기 판형상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출된 후, 상기 축전셀의 적층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선단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된 상기 2개의 전극의 상기 선단부분끼리가 겹쳐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2개의 전극이 삽입되어, 상호 겹쳐진 상기 선단부분의 외측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가지는 쇼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측면에, 상기 전극의 절곡부위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전극의, 상기 개구 내로의 삽입깊이를 규제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쇼벨.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축전셀의 각각을 덮는 외장필름을 더욱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외장필름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쇼벨.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된 전극을 가지는 상기 2개의 축전셀의 일방의 측에 적층된 다른 2개의 축전셀의 각각의 하나의 전극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다른 고정부재를 더욱 가지고,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다른 고정부재는, 상호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가상평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관하여, 상기 2개의 고정부재의 상대적인 위치를 구속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는 쇼벨.
KR1020127033575A 2010-05-26 2011-05-26 축전모듈을 구비한 쇼벨 KR101403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0285 2010-05-26
JP2010120285 2010-05-26
JP2011046121 2011-03-03
JPJP-P-2011-046121 2011-03-03
PCT/JP2011/002942 WO2011148641A1 (ja) 2010-05-26 2011-05-26 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297A KR20130031297A (ko) 2013-03-28
KR101403779B1 true KR101403779B1 (ko) 2014-06-03

Family

ID=4500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3575A KR101403779B1 (ko) 2010-05-26 2011-05-26 축전모듈을 구비한 쇼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18768B2 (ko)
JP (1) JP5570592B2 (ko)
KR (1) KR101403779B1 (ko)
CN (1) CN102906900B (ko)
DE (1) DE112011101767B4 (ko)
WO (1) WO2011148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028B1 (de) * 2011-10-13 2015-06-15 Avl List Gmbh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WO2013118874A1 (ja) * 2012-02-10 2013-08-1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JP5968211B2 (ja) * 2012-02-14 2016-08-1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その製造方法、及び作業機械
JP6032977B2 (ja) * 2012-07-09 2016-11-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型ショベル
JP6020900B2 (ja) * 2012-10-10 2016-11-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6115298B2 (ja) * 2013-05-09 2017-04-19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の製造方法
CN104241673B (zh) * 2013-06-20 2017-01-18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蓄电模块、及蓄电模块的制造方法
JP6112987B2 (ja) * 2013-06-20 2017-04-1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633621B1 (ja) * 2013-11-08 2014-12-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US20160014910A1 (en) * 2014-07-10 2016-01-14 Peerless Industries, Inc. Enclosed media device with improved heat transfer capabilities
JP6357944B2 (ja) * 2014-07-23 2018-07-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CN105576180B (zh) * 2014-11-04 2019-12-27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以及蓄电装置的制造方法
JP6414478B2 (ja) * 2015-02-03 2018-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GB2537431B (en) * 2015-04-13 2018-01-03 Tata Motors European Technical Ct Plc Battery Module
MY169020A (en) * 2015-10-22 2019-01-29 Envision Aesc Japan Ltd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EP3367460B1 (en) * 2015-10-22 2021-05-05 Envision AESC Japan Ltd. Method for assembling a battery pack, and battery back
JP7034419B2 (ja) * 2015-12-14 2022-03-14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該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該バッテリーパックを含む自動車
KR102082903B1 (ko) * 2016-02-22 2020-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32506B1 (ko) * 2016-06-08 2019-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센싱 와이어 하네스의 접속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및 그 조립방법
JP6285513B1 (ja) * 2016-09-07 2018-02-28 株式会社フジクラ 蓄電モジュール
US20190393472A1 (en) * 2017-03-10 2019-12-26 Envision Aesc Energy Devices Ltd. Battery pack manufacturing method and battery pack
DE102018202120A1 (de) 2018-02-12 2019-08-14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Batterieanordnung zur strukturellen Integration von Batterien in ein Fahrzeug
DE102018202114A1 (de) * 2018-02-12 2019-08-14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Batterieanordnung zur strukturellen Integration von Batterien in ein Fahrzeug
DE102018204420A1 (de) 2018-03-22 2019-09-26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Batterieanordnung zur lasttragenden strukturellen Integration von Batterien in ein Fahrzeug
JP7181057B2 (ja) 2018-11-09 2022-11-30 コマニー株式会社 防火ドア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933A (ja) * 2005-05-31 2006-12-14 Fuji Heavy Ind Ltd 蓄電体セルの電極接続構造
JP2008150945A (ja) * 2006-02-07 2008-07-03 Takeuchi Seisakusho:Kk 作業車
JP2008187047A (ja) * 2007-01-30 2008-08-14 Komatsu Ltd 電子部品用冷却装置および電子部品モジュール
JP2008192471A (ja) * 2007-02-06 2008-08-21 Gs Yuasa Corporation:Kk 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1244A (ja) * 1994-10-12 1996-04-30 Nissan Motor Co Ltd 積層型バッテリ装置
JP2001011889A (ja) * 1999-06-30 2001-01-1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JP2002151365A (ja) 2000-11-10 2002-05-24 Ngk Insulators Ltd キャパシタ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87781A (ja) * 2001-12-21 2003-07-04 Sony Corp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72966A (ja) 2002-03-15 2003-09-26 Nissan Diesel Motor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4617672B2 (ja) * 2003-12-26 2011-0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5357373B2 (ja) 2004-03-19 2013-12-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蓄電体の平面整列構造
JP4457812B2 (ja) * 2004-08-30 2010-04-28 新神戸電機株式会社 組電池及びモジュール電池
WO2006059434A1 (ja) * 2004-11-30 2006-06-08 Nec Corporation 電気デバイス集合体
JP4698215B2 (ja) * 2004-12-10 2011-06-0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集合体および収納ボックス構造体
JP2006164863A (ja) * 2004-12-10 2006-06-22 Aoi Electronics Co Ltd 平板状組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85733A (ja) 2004-12-27 2006-07-13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組電池
JP4670430B2 (ja) * 2005-03-30 2011-04-13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KR100933425B1 (ko) * 2005-09-02 2009-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제조가 용이한 전지
JP4457079B2 (ja) * 2006-02-23 2010-04-28 株式会社竹内製作所 建設機械の冷却システム。
JP2008123800A (ja) * 2006-11-10 2008-05-29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JP2008251263A (ja) 2007-03-29 2008-10-16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JP2009123646A (ja) * 2007-11-19 2009-06-04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5147373B2 (ja) * 2007-11-29 2013-02-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09187972A (ja) * 2008-02-01 2009-08-20 Fdk Corp 蓄電モジュール
JP5157500B2 (ja) * 2008-02-06 2013-03-06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03755B1 (ko) * 2008-09-03 2012-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버스 바 구비 리튬 2차 전지 단위 셋 및 버스 바 구비 리튬2차 전지 셋
US8869519B2 (en) * 2009-02-18 2014-10-2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Hybrid-type shovel
WO2011004330A1 (en) * 2009-07-07 2011-01-13 Gp Batteries International Limited Prismatic batteries and electronic components comprising a stack of insulated electrode plates
DE112010004703T5 (de) * 2009-12-07 2012-11-0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Schaufelbagger
US9595733B2 (en) * 2010-10-19 2017-03-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modules and assembl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933A (ja) * 2005-05-31 2006-12-14 Fuji Heavy Ind Ltd 蓄電体セルの電極接続構造
JP2008150945A (ja) * 2006-02-07 2008-07-03 Takeuchi Seisakusho:Kk 作業車
JP2008187047A (ja) * 2007-01-30 2008-08-14 Komatsu Ltd 電子部品用冷却装置および電子部品モジュール
JP2008192471A (ja) * 2007-02-06 2008-08-21 Gs Yuasa Corporation:Kk 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06900A (zh) 2013-01-30
JP5570592B2 (ja) 2014-08-13
WO2011148641A1 (ja) 2011-12-01
DE112011101767T5 (de) 2013-03-14
JPWO2011148641A1 (ja) 2013-07-25
KR20130031297A (ko) 2013-03-28
US20130065103A1 (en) 2013-03-14
US9318768B2 (en) 2016-04-19
DE112011101767B4 (de) 2020-12-17
CN102906900B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779B1 (ko) 축전모듈을 구비한 쇼벨
KR101361375B1 (ko) 쇼벨
JP5968211B2 (ja) 蓄電モジュール、その製造方法、及び作業機械
JP5925220B2 (ja) ショベル
JP5318844B2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作業機械
JP6045299B2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作業機械
JPWO2012029270A1 (ja) ショベル
JP5968228B2 (ja) ショベル
JP6112987B2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9552933B2 (en) Storage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orage module
JP6112988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2012004398A (ja) 蓄電モジュール
JP5709133B2 (ja) 蓄電モジュール
JP6029678B2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作業機械
JP2017127152A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ョベルならびにラミネートブスバー
JP2012256650A (ja) 蓄電モジュール及び作業機械
JP6021737B2 (ja) 蓄電装置及び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