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426B1 -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426B1
KR101398426B1 KR1020070026278A KR20070026278A KR101398426B1 KR 101398426 B1 KR101398426 B1 KR 101398426B1 KR 1020070026278 A KR1020070026278 A KR 1020070026278A KR 20070026278 A KR20070026278 A KR 20070026278A KR 101398426 B1 KR101398426 B1 KR 10139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cine
group
extract
respiratory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4477A (ko
Inventor
박현
윤용갑
손동환
김윤철
김옥진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2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2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한 뛰어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오배자, 목단피, 항균, 항바이러스

Description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Galla Rhois and Moutan Cortex Radicis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viral activity}
도 1은 대조군(A) 및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B)의 분변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A) 및 대조군(B) 폐장의 육안 병변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대조군 폐장(A:흉막 폐렴,B: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육안 병변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대조군(A) 및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B) 간의 병리조직검사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대조군(A) 및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B) 소장의 병리조직검사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대조군(A) 및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B) 대장의 병리조직검사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대조군 폐장조직(A:간질성 폐렴 병변, B:기관지성 폐렴 병변)의 병리 조직검사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 폐장조직(A:정상 폐포를 포함한 폐장조직, B:다른 개체의 정상 폐장조직)의 병리조직검사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9는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A) 및 대조군(B)의 장기로부터 조직을 채취한 후 세균분리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A) 및 대조군(B)의 장기와 분변으로부터 DNA와 RNA를 추출하여 수행한 증식성회장염에 대한 PCR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11은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A) 및 대조군(B)의 장기와 분변으로부터 DNA와 RNA를 추출하여 수행한 결장염에 대한 PCR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12는 대조군(A) 및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B) 간 조직의 고배율 관찰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13은 대조군(A) 및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B) 신장 조직의 고배율 관찰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생제가 가축의 질병예방에 만병통치약으로 인식되면서 사료첨가제 형태로 많은 양의 항생제들이 축산 동물에 급여되고 있다. 사료첨가제 항생제들은 전염병 의 예방과 그로 인한 증체율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으나, 공중보건학적으로 식육 중의 항생제 잔류와 그를 섭취한 사람들에서 항생제 내성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가축에서의 항생제 및 항균제 사용은 축산물의 안전성 문제로 인해 규제가 날로 강화되고 있으며 특히 배합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 사용규제가 향후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잔류검사 강화로 축산 농가들도 휴약 기간이 긴 항생제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농가들이 이의 대체제로 생균제 사용을 선호하고 있지만 확실한 효력검증이 되지 않아 축산 농가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와같은 항생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대체할 물질이 절실히 필요하다.
오배자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붉나무(Rhus javanica L.)의 잎에 오배자진딧물(Aphis chinensis J. Bell)이 자상(刺傷)을 주어생긴 벌레집을 말하는데, 우리나라 각지 에 분포한다. 오배자의 형태를 보면, 외면은 회갈색으로 연한 털이 있고, 길이는 3 ∼ 7cm, 폭 2 ∼ 5cm, 두께 2mm 정도이며 단단하면서도 쉽게 부숴 진다. 속은 대개 비어 있거나 회백색의 죽은 벌레와 분비물이 남아 있을 때도 있고, 역겨운 냄새가 나기도 한다. 채집한 오배자는 햇볕에 말리거나 삶거나 찐다. 주성분은 피로가롤 탄닌 (pyrogalloltannin)이 50 ~ 70% 함유되어 있으며, 몰식자산, 갈산(gallic acid) 등이 있다. 약효로는 수렴, 지사, 지혈제로 설사, 가래, 당뇨, 하혈, 빈혈 등에 이용한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 380~384, 영림사, 1998)
목단피(Moutan Cortex Radicis)는 작약과(Paeoniaceae) 목단의 뿌리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중국 서부 원산이며 신라시대 선덕여왕의 기록으로 미루어 중국에서 도입된 귀화식물로 추측된다. 내한성이 강하여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지만, 충북 단양군, 제원군과 전남 화순군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생김새는 관상의 껍질조각으로 바깥 면은 어두운 갈색 또는 자색을 띤 갈색이며 가로로 길고 작은 타원형의 곁뿌리 자국과 세로주름이 있다. 안쪽 면은 엷은 회갈색이나 어두운 자색을 띠고 편평하며 꺾은 면은 거칠다. 안쪽 면 및 꺾은 면에는 때때로 흰색의 결정이 붙어 있다. 성분은 파에오노사이드(paeonoside), 파에오놀라이드(paeonolide)와 파에오놀(paeonol)을 함유하며, 파에오노사이드는 저장중에 분해되어 당과 파에오놀을 생성한다. 파에오니프로린(paeoniflorin), 옥시파에오니프로린(oxypaeoniflorin), 벤조일파에오니프로린(benzoylpaeoniflorin), 파에오놀라이드 탄닌(paeonolide tannin), 프로시아니딘 B1(procyanidin B1). 벤조일옥시파에오니프로린(benzoyloxypaeoniflorin), 파에오닌(paeonin),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페라고닌(pelargon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은 근피뿐만 아니라 목심부에도 존재함이 조직화학적으로 확인 되었다. 목단피는 혈열로 인한 생리불순, 생리통, 멍들었을 때, 토혈, 코피, 반점이 나타나는 증상, 허열로 인해 뼛골이 쑤시는 증상, 혈압상승, 어혈제거, 타박상, 소염진통, 종기치료, 맹장염초기 등에 사용하며 가슴답답증을 없애준다. 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 항염증, 항혈전, 항알레르기, 위액분비억제, 자궁점막충혈,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 521, 영림사, 199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제재를 개발하였고 시험관내(in vitro ) 실험에서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추출물은 오배자 추출물 : 목단피 추출물이 1~10:1, 바람직하게는 1~5:1,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의 중량배합비로 배합된 생약의 복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환은 사람을 포함한 돼지, 소, 염소 등의 포유동물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 호흡기 질환 원인균은 맨하이미아 해모리티카(Mannheimia haemolytica), 해모필러스 솜너스(Haemopilus somnus), 파스튜렐라 멀토시다(Pasteurella multocida), 마이코 플라즈마(Mycoplasma hyopneumoniae) 및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파스튜렐라 멀토시다(Pasteurella multocida), 마이코 플라즈마(Mycoplasma hyopneumoniae) 및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 호흡기 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PVC-2(Porcine circo virus type 2), PPV(Porcine parvovirus), PEV(Porcine entero virus), SIV(Swine influenza virus) 및 PRRSV(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PRRSV(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 소화기 질환 원인균은 에르시니아(yersinia), 하이오디센테리아(hyodysenteriae),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살모넬라(Salmonella spp.),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Brachyspira pilosicoli) 및 대장균(E.coli)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Salmonella spp.),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Brachyspira pilosicoli) 및 대장균(E. coli)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 및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Brachyspira pilosicoli)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 소화기 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TGE(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바이러스, PEDV(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및 코로나바이러스 (coronaviridae)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PEDV(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를 포함한다.
상기 돼지 호흡기 질환은 돼지 파스튜렐라 폐렴,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돼지 위축성 비염, 돼지 흉막폐렴, 글래써병, PRRS(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PMWS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이유후 전신성 소모성증후군) 및 PRDC(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돼지호흡기 복합증후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돼지 파스튜렐라 폐렴,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돼지 위축성 비염 및 돼지 흉막폐렴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및 돼지 흉막폐렴을 포함한다.
상기 돼지 소화기 질환은 에르시니아 장염, 증식성 회장염, 결장염, 돈적리, 비감염성 결장염, 살모넬라성 장염, 대장균성 설사, TGE(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전염성 위장염) 및 PED(Porcine Epidemic Diarrhea, 돼지유행성설사)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증식성 회장염, 결장염, 대장균성 설사 및 살모넬라성 장염을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증식성 회장염 및 결장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은, 건조된 오배자 및 모란 뿌리껍질인 목단피를 세절하여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5시간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 5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은 종류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투여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 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정에서 얻어지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원인균에 대해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의 제조
1-1. 오배자 추출물의 제조
익산시 대학한약국으로부터 구입한 건조된 오배자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가 30메시(mesh)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오배자 분말을 수득한 후, 상기에서 수득한 건조된 오배자 분말(1 kg) 질량의 3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하여 100℃에서 3시간동안 환류 냉각 추출하고 여과 및 열풍건조하여 600 g의 오배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2. 목단피 추출물의 제조
익산시 대학한약국에서 구입한 건조된 모란 뿌리껍질인 목단피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가 30메시(mesh)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목단피 분말을 수득한 후, 상기에서 수득한 건조된 목단피 분말(1 kg) 질량의 3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하여 100℃에서 3시간동안 환류 냉각 추출하고 여과 및 열풍 건조하여 217 g의 목단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3. 오배자 및 목단피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및 1-2에서 수득한 오배자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을 3:1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하기 실험예 1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하 ‘GM-1'이라 명명함)
참고예 1. 실험준비
본 발명은 건강한 이유 자돈을 50두씩 2군으로 구분하여 전라축산(전북 익산시)에서 기존 문헌에 기재된 실험 방법(Hoflack G. et al..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 Series B, 48, pp655-664, 2001)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돼지는 질병이 없고 외관상 건강한 돼지로 군 구성 시 체중 평균이 유사하도록 분류하였고 사료는 퓨리나(한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공정으로 수득된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일반 가축용 사료에 1%(w/w)만큼 넣어 균일하게 섞은 뒤 총 130 일 동안, 총 130 회, 자유급식 투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리군에 투여하였다.
실험군 구성
개체수 기존사료 실시예 1-3의 GM -1 별도관리
대조군
(실시예 1-3의
GM-1 미첨가)

50

0

X

X
처리군
(실시예 1-3의
GM-1 첨가)

50

0

0

X
상기 실험군에 따라 체중변화 및 사료소비량, 관찰기간동안 임상증상, 분변의 상태, 도축 검사 및 샘플링, 육안 검사, 병리조직학적 검사, 세균분리 검사, PCR에 의한 병원체 검사, 시험물질에 의한 독성여부 평가 등 9가지 항목을 평가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체중변화 및 사료소비량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투여한 처리군과 기존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체중변화 및 사료소비량을 측정하기위해 이유 후 입식할 때와 출하시 총 130 일 동안 총 2 회 각 실험군 돼지들의 체중과 사료소비량을 측정하여 평가해 보았다.
체중변화표
개시체중 종료체중 기간내 증체량 1일 증체량
대조군 35.6kg 109.89kg 74.29kg 0.816kg
처리군 34.9kg 110.95kg 76.05kg 0.836kg
실험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돼지군의 도입시 대조군 및 처리군의 체중은 각각 35.6, 34.9kg으로 평균체중이 유사하였으나, 실시예 1-3의 GM-1 투여 후 처리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평균1.76kg 더 증가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
대조군 11075kg 3.27
처리군 10575kg 3.04
실험결과,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500kg을 덜 섭취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3의 GM-1은 돼지의 체중을 늘리고 사료섭취량을 줄이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임상증상의 관찰
실험기간 (50일령 ~ 180일령) 동안에 각 군의 동물들의 기침, 폐렴 및 설사 등의 임상증상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동물들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활력도가 좋아 관리자가 돈방에 들어가기 힘들 정도였고 호흡기를 비롯한 임상증상 발현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적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의 경우에 항생제를 이용한 치료가 임상증상이 심한 5두에서 수행되었으나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에서는 치료가 수행되지 않았다. 폐렴으로 의심되는 경우는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동물들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기간 동안에 매우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실험기간 동안의 임상증상 발생 수
임상증상 대조군
(개체수=50)
처리군
(개체수=50)
감기(caugh) 10 3
폐렴(Pneumonia) 22 10
위축증(Atrophy) 2 2
희생물(Sacrifice) 6 5
묽은변(Soft stool) 2 2
체온증가(Increased body temperature) 1 0
항생치료(Antibiotic therapy) 5 0
실험결과,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감기는 대조군은 10회, 처리군은 3회 발생하였고, 폐렴은 대조군은 22회, 처리군은 10회 발생하였으며, 항생치료는 대조군은 5회, 처리군은 0회로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은 호흡기 질환을 비롯한 임상증상 발현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적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분변상태 관찰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 및 대조군 동물들의 분변상태를 관찰하고 그 이상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 진행 과정 동안 정기적으로 샘플링하여 분변 상태를 관찰해 보았다.
그 결과,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분변이 대조군보다 진한 초콜렛 색을 띠는 건강한 분변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3의 GM-1 투여시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도 1 참조).
실험예 4. 도축 검사 및 샘플링
약 180일령의 출하시점에 각 군의 실험 돼지들을 도축하여 도체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개체의 등급을 점수화 하여 실험군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A등급; 5, B등급; 4, C등급; 3, D등급; 2)
도축 후 내부 장기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특이 사항을 기록하였고, 육안검사 후 각 장기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도체검사
도체중 등지방 등심 수율 등급
대조군
(개체수=44)
86.65±6.58 20.25±4.08 47.11±22.72 53.57±25.60 4.38±0.78
처리군
(개체수=45)
87.11±8.38 19.88±4.42 51.59±16.71 59.72±18.99 4.13±0.91
실험 결과, 상기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군간 유의성은 찾을 수 없었지만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체중이 대조군보다 높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의 샘플링
샘플 장기 병리조직용 세균분리용 PCR용
DNA추출 RNA추출
폐장 1 1 1 1
공장 1 X X 1
결장 1 1 1 X
간장 1 X X X
신장 1 X X X
실험예 5. 육안검사
도축 후 내부 장기의 이상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표 7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육안으로 관찰해 보았다. 그 결과 폐에서만 이상을 확인하였고, 그 원인을 알아보고 대조군과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폐렴병변 정도를 알아보기 폐장의 폐렴병변%를 구해보았다.
폐렴병변%는 폐장의 배측면과 복측면의 폐렴병변 면적을 표기하여 하기 수학식1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그리고 각 개체의 폐렴병변%로부터 실험군의 폐렴병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폐렴병변% = 100x폐렴면적/전체 폐장의 면적
각 기관의 육안 검사 결과
기관 대조군 (개체수=44) 처리군 (개체수=45)
무손상 무손상
소장 무손상 무손상
대장 무손상 무손상
신장 무손상 무손상
폐렴 폐렴
실험 결과, 상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과 대조군 모두에게서 폐장을 제외한 특이한 장기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고, 폐장을 자세히 육안 검사한 결과 건강한 폐장에서는 분홍색의 반죽양 경도(doughy consitency)가, 그리고 폐렴병변 폐장에서는 암적색의 경화소가 관찰되었다 (하기 도 2 참조).
폐장병변(폐렴병변, %)
개체수 폐렴병변 % 경우(case)
대조군 44 20.10±17.82 34
처리군 45 3.97±5.83** 23
*p < 0.05, **p < 0.01
상기 표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폐장에서는 두 군의 개체 모두에게서 폐렴 병변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동물들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폐렴 병변을 가진 개체의 수가 적고 병변의 면적 또한 현저히 적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폐렴병변은 흉막폐렴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소견들이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하기 도 3 참조).
실험예 6. 병리조직학적 검사
병리조직검사결과에서 각 병변의 상태에 따라 점수화 하여 개체 점수를 매긴 후 각 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병리조직 점수는 "0; normal, 1; mild, 2; moderate, 3; sevre"로 하였다. 간의 병리조직학적 검사 결과 대조군의 2 개체에서 일부 소엽간결재직에 국소적인 염증세포 침윤을 제외하고는 모든 동물들이 정상적인 소견이 관찰되었다(하기 도 4 참조). 소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 결과 대조군 및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모든 개체에서 점막상피하 조직에 가벼운 염증세포 침윤을 제외하고는 다른 특이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하기 도 5 참조). 대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 결과 대조군 및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모든 개체에서 점막상피하 조직에 가벼운 염증세포 침윤을 제외하고는 다른 특이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하기 도 6 참조). 신장의 병리조직학적 검사 결과 대조군의 7 개체와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2개체에서 간질의 결재직에 국소적인 염증세포 침윤 병소를 제외하고는 다른 특이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 폐장의 병변은 대조군의 8 개체와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의 3개체에서 간질성폐염과 기관지성폐염의 소견 (하기 도 7 참조)을 관찰하였으며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은 폐렴병변이 거의 없는 정상적인 폐장 조직이 관찰되었다 (하기 도 8 참조). 또한 폐장의 병변점수의 값은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p < 0.01).
병리조직 검사결과
조직 대조군(개체수=10) 처리군(개체수=10)
0.2± 0.42 0± 0
소장 1.0± 0 1.0± 0
대장 1.0± 0 1.0± 0
신장 0.7± 0.67 0.2± 0.42*
1.2± 1.13 0.3± 0.48**
*p < 0.05, **p < 0.01
실험결과, 상기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소장, 대장을 제외한 몸의 조직에서 병변점수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세균분리 검사
용혈성 박테리아, 파스튜렐라, 살모넬라 등과 같은 세균이 각 실험군에 얼마나 분포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군의 10두의 개체들의 장기로부터 조직을 무균적으로 채취한 후 세균분리를 수행하였다.
세균분리 검사결과
용혈성 박테리아
( Hemolytic bacteria )
파스튜렐라
( Pasteurella )
살모넬라( Salmonella )
대조군(건) 7 7 6
처리군(건) 5 6 2
실험결과, 상기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에서 채취된 살모넬라(salmonella)의 경우 대조군은 6, GM-1 투여군은 2가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대조군의 동물이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에 비교하여 세균 분리가 보다 많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도 9 참조).
실험예 8. PCR 에 의한 병원체 검사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원인균을 알아보기 위해 각 실험군의 10두의 개체들의 장기와 분변으로부터 DNA와 RNA를 추출하여 소화기 병원체와 호흡기 병원체에 대한 PCR검사를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 이용한 병원체 특이 프라이머는 하기 표 11과 같으며, 하기 표 11의 F는 forward, R은 reverse, nF는 nested forward, nR은 nested reverse를나타낸다.
병원체 특이 프라이머
병원체 PCR 종류 온도 반복주기 프라이머 종류 목표크기
살모넬라
(Salmonella spp.)
1차 PCR 55℃ 35 Msal-F
(서열번호1)
AAATACAACAGGCCGCAGAG 634bp
R
(서열번호2)
CGTAAAAGCTGGCCAAACTC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 n-PCR 60℃ 30*2 LI1 nR
(서열번호3)
TGTGGCTGTCAAACACTCCG 300bp
LI2 F
(서열번호4)
TGAAGGTATTGGTATTCTCC
LI3nF
(서열번호5)
TGTCCCATAAGCTCAAGAGCACG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Brachyspira pilosicoli) n-PCR 60℃ 30*2 pilosicol-F
(서열번호6)
ATGGGCCATGAGGTAACAAA 434bp
R
(서열번호7)
TTCGCTATTAGGTCTGAAACCA
R2(nR)
(서열번호8)
CCTAAATGCAATTCTATA
CCAGCA
대장균(E.coli) STII 독성유전자 47℃ 30 F(서열번호9) 5-TGCCTATGCATCTACACAAT-3
R(서열번호10) 5-TAGAGATGGTACTG CTGGAAG-3
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RNA virus RT-PCR
55℃ 40 PEDV F
(서열번호11)
GGGCGCCTGTATAGAGTTTA 412bp
R
(서열번호12)
AGACCACCAAGAATGTGTGTCC
파스튜렐라
(Pasturella multocida)
1차 PCR
(Pm A)
58℃ 30*2 PM-F
(서열번호13)
TGCCAAAATCGCAGTCAG 545bp
R
(서열번호14)
TTGCCATCATTGTCAGTGAT
2차 PCR
(Pm A)
PM-nF
(서열번호15)
TTCTCAGCATTAACACATGATT
nR
(서열번호16)
TGAGCTAATAATACTGCATTGG
마이코
플라즈마(Mycoplasma hyo
pheumonia)
1차 PCR 58℃ 30*2 M.hyo F
(서열번호17)
TTCAAATTATAACCTCGGTC 706bp
R
(서열번호18)
AGCAAATTTAGTCTCTCTGC
n-PCR M.hyo-nF
(서열번호19)
CGCTTTAGTACCGATATGGG
nR
(서열번호20)
GCCATTCGCTTATATGGTGA
흉막폐렴균
(Actinobacillus pleuropne
umonia)
독소1형
1차 PCR 58℃ 35 Apx 1 F
(서열번호21)
GTGCAATCACCGGTATTATT 610bp
R
(서열번호22)
TTGACGTTTTTCACCTTTTT
흉막폐렴균
독소2형
1차 PCR 58℃ 35 Apx 3 F
(서열번호23)
CATGTTCAAGGAGGACAAAT 700bp
R
(서열번호24)
GCTCAGAGGCTAAAGAAACA
PRRSV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RNA virus RT-PCR 60℃ 38 F
(서열번호25)

5'-AGCTGAATGGCACAGATTGG-3' 13914 to 13933 365bp
(유전자 은행 등록번호
U87392)
R
(서열번호26)
5'-TGTGGAGCCGTGCTATCAT-3' 14384 to 14402
실험결과,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에 의한 증식성회장염의 경우 대조군의 샘플링된 분변으로부터 양성 반응이 검출되었고(하기 도 10 참조),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Brachyspira pilosicoli)에 의한 결장염의 경우 대조군의 샘플링된 분변으로부터 양성 반응이 검출되었으며 (하기 도 11 참조), 다른 병원체의 PCR 검사 결과 대조군과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 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로부터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주된 원인균은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Brachyspira pilosicoli)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시험물질에 의한 독성여부 평가
실시예 1-3의 GM-1을 오랜 기간 섭취함으로 인해 독성발현으로 의심되는 세포 손상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3의 GM-1 투여군과 대조군, 각각 10두의 개체들의 장기로부터 조직을 채취한 뒤 시험 약물에 의한 세포손상에 민감한 간세포를 고배율로 관찰해 보았다. 그 결과 별다른 세포손상은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도 12 참조). 또한 신장의 세포에서도 특이한 병변은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도 13 참조).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3의 GM-1...........................200㎎
유당......................................................100㎎
전분.....................................................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3의 GM-1...........................100㎎
유당.......................................................50㎎
전분.......................................................50㎎
탈크........................................................2㎎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액제의 제조
실시예 1-3의 GM-1........................1000㎎
설탕........................................................20g
이성화당.................................................20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3의 GM-1.........................1000 ㎎
비타민 혼합물..........................................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적량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5.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3의 GM-1............................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은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어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110> organization of wonkwang university fo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120> a veterinary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Galla Rhois and Moutan Cortex Radicis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viral activity <160> 2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Msal-F for Salmonella spp. <400> 1 aaatacaaca ggccgcaga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Msal-R for salmonella spp. <400> 2 cgtaaaagct ggccaaactc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sted reverse primer LI1 nR for lawsonia intracellularis <400> 3 tgtggctgtc aaacactccg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LI2F FOR lawsonia intracellularis <400> 4 tgaaggtatt ggtattctcc 20 <210> 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sted forward primer LI3nF for lawsonia intracellularis <400> 5 tgtcccataa gctcaagagc acg 23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pilosicol-F for Brachyspirapilosicoli <400> 6 atgggccatg aggtaacaaa 20 <210> 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pilosicol-R for Brachyspilosicoli <400> 7 ttcgctatta ggtctgaaac ca 22 <210> 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sted reverse primer pilosicol-R2(nR) for Brachyspira pilosicoli <400> 8 cctaaatgca attctatacc agca 24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 for E.coli ST II toxic gene <400> 9 tgcctatgca tctacacaat 20 <210> 10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R for E.coli STII toxic gene <400> 10 tagagatggt actgctggaa g 21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PEDV F for PEDV <400> 11 gggcgcctgt atagagttta 20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PEDV R for PEDV <400> 12 agaccaccaa gaatgtgtgt cc 22 <210> 1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PM-F for Pasturella multocida <400> 13 tgccaaaatc gcagtcag 18 <210> 1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PM-R for Pasturella multocida <400> 14 ttgccatcat tgtcagtgat 20 <210> 1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sted forward primer PM-nF for Pasturella multoicida <400> 15 ttctcagcat taacacatga tt 22 <210> 1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sted reverse primer PM-nR for Pasturella multocida <400> 16 tgagctaata atactgcatt gg 22 <210> 1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M.hyo F for mycoplasma hyopheumonia <400> 17 ttcaaattat aacctcggtc 20 <210> 1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M.hyo R for mycoplasma hyopheumonia <400> 18 agcaaattta gtctctctgc 20 <210> 1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sted forward primer M.hyo-nF for mycoplasma hyopheumonia <400> 19 cgctttagta ccgatatggg 20 <210> 2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ested reverse primer M.hyo-nR for mycoplasma hyopheumonia <400> 20 gccattcgct tatatggtga 20 <210> 2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Apx 1 F for actinobacillus pleurophneumonia <400> 21 gtgcaatcac cggtattatt 20 <210> 2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Apx 1 R for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 <400> 22 ttgacgtttt tcaccttttt 20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Apx 3 F for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 <400> 23 catgttcaag gaggacaaat 20 <210> 2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Apx 3 R for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 <400> 24 gctcagaggc taaagaaaca 20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 for PRRSV <400> 25 agctgaatgg cacagattgg 20 <210> 26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R for PRRSV <400> 26 tgtggagccg tgctatcat 19

Claims (13)

  1.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오배자:목단피가 1~3:1의 중량배합비(%)로 배합된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호흡기 질환 원인균은 맨하이미아 해모리티카(Mannheimia haemolytica), 해모필러스 솜너스(Haemopilus somnus), 파스튜렐라 멀토시다(Pasteurella multocida), 마이코 플라즈마(Mycoplasma hyopheumonia) 및 흉막폐렴균(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균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호흡기 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PVC-2(Porcin ciroc virus type2), PPV(Porcin parpovirus), PEV(Porcin entero virus), SIV(Swine influenza virus) 및 PRRSV(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바이러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소화기 질환 원인균은 에르시니아(yersinia), 하이오디센테리아(hyodysenteriae), 캄필로박터(campylobacter), 콜로스트리듐, 살모넬라(Salmonella spp.),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laris),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Brachyspira pilosicoli) 및 대장균(E.coli)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균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소화기 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TGE(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바이러스, PEDV(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또는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ida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바이러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호흡기 질환은 돼지 파스튜렐라 폐렴,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돼지 위축성 비염, 돼지 흉막폐렴, 글래써병, PRRS(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PMWS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이유후 전신성 소모성증후군) 및 PRDC(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돼지호흡기 복합증후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소화기 질환은 에르시니아 장염, 증식성 회장염, 결장염, 돈적리, 비감염성 결장염, 살모넬라성 장염, 대장균성 설사, TGE(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전염성 위장염) 및 PED(Porcine Epidemic Diarrhea, 돼지유행성설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 50 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12.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70026278A 2007-03-16 2007-03-16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9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78A KR101398426B1 (ko) 2007-03-16 2007-03-16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78A KR101398426B1 (ko) 2007-03-16 2007-03-16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77A KR20080084477A (ko) 2008-09-19
KR101398426B1 true KR101398426B1 (ko) 2014-06-18

Family

ID=4002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278A KR101398426B1 (ko) 2007-03-16 2007-03-16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213A (ko)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랩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6214A (ko)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랩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318B1 (ko) * 2011-04-19 2013-10-14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신종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엔자, 일반 및 독감감기, sars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352380B1 (ko) * 2012-02-14 2014-01-20 대한민국 목단피 추출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WO2014027832A1 (ko) * 2012-08-17 2014-02-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933260A (zh) * 2014-04-22 2014-07-23 济南伟传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治疗红白痢疾的中药
KR101692478B1 (ko) * 2014-07-10 2017-01-0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Sy­029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04906362B (zh) * 2015-06-17 2018-03-16 梧州市景泰养鳖专业合作社 一种治疗中华鳖肠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250644A (zh) * 2015-11-18 2016-01-20 郑筱权 防治黄沙鳖红脖子病的中药制剂及其生产方法
CN108379361A (zh) * 2018-03-30 2018-08-10 陆川县米场镇华屋竹鼠养殖场 一种防治猪肺疫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12089735A (zh) * 2020-09-27 2020-12-18 东北农业大学 五倍子在制备预防或治疗猪繁殖和呼吸障碍综合征的药物中的用途
WO2022220339A1 (ko) * 2021-04-15 2022-10-20 에이피알지 주식회사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3918A (ko) 2022-05-23 2023-12-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Irf-1 유전자 발현 증가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8329A (ja) * 1983-01-07 1984-07-24 Yasuo Tanaka 抗ウィルス剤
JPH01172334A (ja) * 1987-12-26 1989-07-07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豚のパスツレラ症の予防及び治療剤
JPH0987195A (ja) * 1995-07-13 1997-03-31 Showa Shell Sekiyu Kk 生薬を含有する抗エイズウイルス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8329A (ja) * 1983-01-07 1984-07-24 Yasuo Tanaka 抗ウィルス剤
JPH01172334A (ja) * 1987-12-26 1989-07-07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豚のパスツレラ症の予防及び治療剤
JPH0987195A (ja) * 1995-07-13 1997-03-31 Showa Shell Sekiyu Kk 生薬を含有する抗エイズウイルス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생약학회지(199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213A (ko)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랩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6214A (ko)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랩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477A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426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0848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79698B1 (ko) 죽순 효소분해물 또는 죽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저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1205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50108A (ko)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69255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KR101829637B1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99961B1 (ko) 방풍통성산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4125B1 (ko) 황기, 방풍, 강활, 황금 및 백출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기관지염 또는 폐렴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7445B1 (ko) 생약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성 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1956738A (zh) 一种黄精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0733335B1 (ko) 갈근 추출물의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705155A (zh) 用于预防或治疗哮喘的包括清香木提取物或其馏分的药物组合物
KR20190111537A (ko) 장기능 개선 또는 장내 유익균 증가용 조성물
KR101694617B1 (ko) 오미자 추출 원액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 원액
CN104983795B (zh) 一种用于治疗呼吸道疾病的复方兽用抗菌制剂
CN109646546B (zh) 一种用于防治牲畜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59686B1 (ko)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06208B1 (ko) 맥문동 추출물, 감초 및 계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47506B1 (ko)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9099B1 (ko)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바이러스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58671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N102973657A (zh) 芩暴红止咳合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