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506B1 -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7506B1 KR101647506B1 KR1020160031337A KR20160031337A KR101647506B1 KR 101647506 B1 KR101647506 B1 KR 101647506B1 KR 1020160031337 A KR1020160031337 A KR 1020160031337A KR 20160031337 A KR20160031337 A KR 20160031337A KR 101647506 B1 KR101647506 B1 KR 1016475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water
- present
- toxicity
- examp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생약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를 위해 황련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1 단계 및 그 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 분획물을 얻는 2단계를 포함하는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련 추출물은 그 본래의 유용한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성이 존재하는 생약제로 알려져 있어 그 사용에 제한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황련 추출물은 그 본래의 효능을 발휘하면서도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 추출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련 추출물은 그 본래의 유용한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성이 존재하는 생약제로 알려져 있어 그 사용에 제한이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황련 추출물은 그 본래의 효능을 발휘하면서도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 추출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황련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1 단계 및 그 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 분획물을 얻는 2단계를 포함하는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황련 생약 추출물 및 그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의 호흡기는 물리·화학적인 자극에 대해 끊임없이 방어하고 있는 기관 중 하나로 자극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면 기도 벽에 있는 미세한 섬모의 운동에 의해 위로 혹은 밖으로 내보내지게 되는데, 바로 이것이 기침의 기본 작용원리이다. 기침과 같은 원리로 외부에서 먼지나 자극물질 등이 유입되면 우리 몸의 기관지에서는 타액과 함께 근육운동을 해서 외부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것이 객담 형성의 원인이며 폐 등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서 짙은 화농성 객담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대부분의 거담제는 천연물로부터 민간약 또는 경험처방으로 사용하여 왔고 화합물로는 카르보시스테인(carbocysteine),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 시스테인에틸에스테르염산염 등과 같은 시스테인 유도체가 거담제로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시스테인 유도체들이 거담제로 사용될 때 완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며 특히, N-아세틸시스테인 및 시스테인에틸에스테르염산염은 모두 독성이 강하고 화학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물리, 화학적 안정성은 좋으면서 보다 적은 부작용과 독성, 우수한 거담효과를 갖는 거담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진해제로 널리 쓰이는 codeine 등의 기존 약물들은 호흡 및 기침에 대한 진정 작용이 뛰어나지만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발하여 히스타민을 유리시키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상기의 약물들은 진해거담에 대하여 효과가 있으나, 여러 가지 독성 및 부작용이 존재하여 실제적으로 안전한 약물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며, 이와 관련하여 부작용 없이 호흡기 질환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 조성물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약은 한약의 원료가 되는 천연약물이고 전통 천연약물로써 한방의 치료목적으로 수 천 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1977년부터 본격적으로 한방의 의료보험 수혜에 따라 즉, 생약의 액기스제는 의료보험 해당 약품이 된 이후 한약제제 뿐 아니라 생약제제 추출 및 분획 등에 의한 천연물 신약으로서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이들의 안전성 및 독성에 관한 현대 과학적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종래에 민간요법이나 대체보완요법제, 건강기능식품 등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생약의 섭취가 독성간염유발 등 생체부작용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논란되었으며(2004년 2월 2일 파이넨셜 뉴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원은 한림대 의대 김동준 교수(내과)에게 의뢰해 ‘식이유래 독성간염의 진단 및 보고체계 구축을 위한 다기관 예비연구’를 실시한 결과, 독성간염의 90.8%는 한약, 한약재, 민간요법, 기능성식품 섭취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성간염의 원인으로는 한약과 한약재 61.7%(34건), 민간요법과 건강식품 29.1%(16건), 일반의약품 7.3%(3건) 순으로 파악됐으며, 독성간염이 간질환 환자에게 중복 발생되어 사망한 예도 3.6%에 달했다.
황련(黃連, Coptidisrhizoma)은 미나리아제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중국황련 (中國黃連) CoptischinensisFranchet, 삼각엽황련 (三角葉黃連) Coptisdeltoidea C. Y. Cheng et Hsiao 또는 운련 (雲連) CoptisteetaWallich의 뿌리줄기로서 베르베린(Berberine)이 주성분이다(대한약전). 한방에서는 건위, 진정, 소염, 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위염, 장염, 복통, 구토, 이질, 정신불안 등의 치료에 처방한다.
황련추출물의 독성에 대하여는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 행동관찰 결과 웅크림, 무기력, 경련등의 신경독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뇨중빌리루빈 분석결과 신장 및 간장애 뿐 아니라 치사율도 20% 내지 100%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노쇠화된 13주령 마우스에서는 치사율 80% 이상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실지 임상에서 호흡기 치료대상이 대부분 유아 또는 고령의 환자임을 감안할 때 임상에서 사용 시 깊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J. Toxicol.Pub.Health, 15(1) pp103-107.1999).
이와 같이, 황련의 경우 유용한 효능 뿐 아니라 부작용에 대하여 알려져 있어 생약을 추출하여 복용할 경우에는 예기치 못할 독성작용이 나타날 가능성과 임상에 사용할 독성허용범위가 매우 좁아져서 안전성 측면에서 주의해야할 측면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739호 및 등록특허 10-113025호에는 황련 또는 황련, 아이비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거담 활성 및 진해 활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황련의 독성을 저감화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황련추출물 경우 신경독성 등으로 인한 치사 등의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성 및 부작용 제거에 대한 어떠한 내용도 문헌 또는 특허에 개시되어 있지 않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황련추출물 제조 시 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법을 통해 추출물의 주요 활성성분인 베르베린은 고함량을 유지하면서 독성을 저감화시킴으로써 생약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황련의 활성성분인 베르베린은 고함량을 유지하면서 독성을 저감화시킬 수 있는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황련 생약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황련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1 단계 및 그 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 분획물을 얻는 2단계를 포함하는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황련은 호흡기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유용한 생약재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유용한 효능 뿐 아니라 비교적 독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어 그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이와 같이, 황련 추출물은 고농도 또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독성이 커 인체에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저농도로 사용할 경우는 효과적인 약효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생약 추출물의 활용 측면에서, 본래의 효능을 발휘하면서도 세포독성이 저감된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할 것인데, 본 발명자들은 호흡기 질환에 효과가 있는 생약 추출물에 대해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을 통해 독성이 현저히 줄어드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또한, 황련추출물의 독성이 줄어든다 하여도 생약재의 본래 효능을 유지할 수 없다면 문제가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련추출물은 독성이 줄어들면서도 생약제의 본래 효능인 호흡기 질환에 대한 효과에는 전혀 감소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의 추출은 일반적으로 생약제를 추출하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열수추출 또는 환류 추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1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 또는 수포화 부틸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상기 조건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 용매는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상기용어 “분획물(fraction)”은 상기 황련 추출물이 용매의 용해도에 따라 그 일부의 성분으로 나누어진 물질, 즉 분획된 물질을 나타낸다. 상기 분획물을 용매 분획화(fractionation)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분획화는 황련 추출물을 용매와 혼합하고 상기 용매에 존재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획물은 상기 황련 추출물이 분말 상태일 경우에는 물에 현탁 시킨 후 동량의 비극성 유기용매인 헥산, 벤젠,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 등으로 혼합하여 분획 후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분획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황련 추출물이 농축액 상태일 경우에는 직접 동량의 비극성 유기용매인 헥산, 벤젠,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혼합하여 분획 후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얻어진 분획물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황련의 추출물은, 건조된 황련을 세절하여 무게(㎏)의 약 3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5배 내지 15배의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형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10 내지 70%(v/v)의 에탄올 수용액 또는 수포화 부틸알코올로, 4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추출온도에서 약 0.5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시간 동안 냉침, 온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여액을 모으고, 필요하다면 다시 잔사에 생약 원료 중량의 4 내지 7배의 물, 알코올 수용액 또는 수포화 부틸알코올을 가하여 가온 후 1~5시간 재 추출하고 여과하여 이전의 여액과 혼합할 수 있다.
여과 분리 후 얻어진 물 또는 저급 알코올 추출여액은 40~60℃로 감압 농축하여 시료 중에 잔존하는 용매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황련 분획물은 상기 황련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동량의 헥산과 혼합하거나 혹은 황련추출농축액을 동량의 헥산과 혼합한 후 일정시간 동안 방치한 후 헥산층을 분리 제거하고, 다시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후 일정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 제거하고, 다시 물층에 디클로로메탄을 혼합한 후 일정시간 동안 방치한 후 디클로로메탄층을 분리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분획물을 농축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분획화는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으며 유기용매 분획순서는 반드시 순차적일 필요는 없으며 일부 유기용매 분획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획화는 또한 얻어진 분획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감압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황련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요 활성성분인 베르베린을 10.0 내지 40.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원발명의 환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이 황련 추출물에 존재하는 독성을 저감화 시키면서도 황련 추출물의 활성 성분은 유지하여 황련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황련 생약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이비엽 추출물 또는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 용매, 분획 용매에 따라 추출된 황련 추출물의 경우 독성이 저감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본래의 약효가 감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거담 배출, 기침 억제 효과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 대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련 추출물에 아이비엽 추출물 또는 펠라고니움 시도이데스 추출물을 더 혼합한 추출물의 경우, 황련 단독 추출물보다 호흡기 질환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물은 독성이 저감화 되어 그 사용 범위에 제약이 없으면서도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원발명의 황련 추출물이 약학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황련 추출물 외에 추가로 진해거담 치료제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아이비엽추출물,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추출물,레보프로피진(levopropizine), 벤조나테이트(benzonatate), 벤조자인(benzozaine), 클렌부테롤(clenbuterol), 밤부테롤(bambuterol), 포르모테롤(formoterol), 테오필린(theophylline), 아미노필린(aminophylline),아세피필린(acepifylline), 바미필린(bamifylline),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e)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이비"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고, 송악속(Hedera)의 식물들(Hedera spp.)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예로 헤데라알제리엔시스(Hederaalgeriensis), 헤데라아조리카(Hederaazorica), 헤데라카나리엔시스(Hederacanariensis), 헤데라콜키나(Hederacolchica), 헤데라헬릭스(Hedera helix), 헤데라히베르니카(Hederahibernica), 헤데라마데렌시스(Hederamaderensis), 헤데라네팔렌시스(Hederanepalensis), 헤데라파츠초위(Hederapastuchowii) 또는 헤데라롬베아(Hederarhombea)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이비는 점액 분비를 용해하는 작용 효과를 가지며, 또한 진해 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이의 추출물을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에 포함시키는 경우, 이를 진해 또는 거담 효과를 가지는 경구투여용 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이비는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적으로 채취 또는 재배한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이비엽 추출물"은 상기 아이비엽을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아이비엽 분쇄물을 물, 다양한 탄소수의 알코올, 예컨대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틸알코올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이를 감압여과하고, 그 여과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아이비엽 추출물을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에서, 상기 황련 추출물을 아이비엽 추출물과 혼합할 경우, 고형분 기준으로 1:1 내지 1:10 중량비(w:w)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Pelargonium Sidoides)"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내륙 및 연안의 고산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칼로바(kaloba), 움카(umcka) 또는 주콜(zucol)로도 명명된다. 상기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는 진해 또는 거담 효능을 가지므로, 이의 추출물을 포함시켜 진해 또는 거담용 경구투여용 제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는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또는 재배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를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추출물은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분쇄물을 물, 다양한 탄소수의 알코올, 예컨대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또는 부틸알코올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수 있으며, 이를 감압여과하고, 그 여과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추출물을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추출물은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11% 에탄올추출물(1→8~10)ㆍ글리세롤(8:2) 혼합물(w:w)의 형태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구투여용 제제에서, 상기 황련 추출물을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추출물과 혼합할 경우, 황련 추출물 및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11% 에탄올추출물(1→8~10)ㆍ글리세롤(8:2) 혼합물(w:w)을 1:10 내지 1:1, 500의 중량비(w:w)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기침 또는 가래를 동반하는 폐기종,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기관지선종, 고립성폐결절, 폐결핵, 농흉, 폐농양, 감기, 독감 또는 폐의 조직구 증식증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폐렴, 감기, 독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경피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여러 가지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좌약, 액제, 현탁액제, 에멀전제, 페이스트제(pastes), 연고제, 겔제, 크림제, 로션제, 산제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 등의 고형제제 또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의 액상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조성물을비경구 투여를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또는 좌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담체,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서방성 또는 속방성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을 특정 부위에 방출할 수 있도록 서방성 또는 속방성 제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서방성 제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장용성 고분자, 수불용성중합체, 소수성 화합물 또는 친수성 고분자등의 중합성 물질 또는 왁스와 같은 조성물을 사용하여 서방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정제, 캡술제, 환제 또는 과립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외부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서방성으로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 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첨가되는 담체,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또는 희석제 등의 부형제 및 첨가제의 함량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제형화에 사용되는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투여기간 또는 간격, 배설률, 체질 특이성, 제제의 성질,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이 추출되기 전의 분쇄물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10 g/k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1 g/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 횟수는 일일 1 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독성이 저감화된 황련 추출물 황련 추출물과 아이비엽 혼합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과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혼합추출물의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르면 황련은 그 본래의 유용한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성이 존재하는 생약제로 알려져 있어 그 사용에 제한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정 추출방법으로 제조된 황련 추출물은 그 본래의 효능을 발휘하면서도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 추출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독성이 저감화된 황련 추출물을 이용하여 호흡기 질환에 효과가 있는 안전한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황련 분획물의 추출 및 분획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시료의 준비
본 발명에 사용한 황련, 아이비엽 및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는 2015년 6월경 서울 경동 약령시장 및 의 생약 재료상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실시예 1: 황련 열수추출물의 분획물 제조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건조된 황련(CoptidisRhizoma)의 오염물을 제거한 뒤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황련 50g에 정제수 500㎖을 가해 80℃에서 3시간 열수추출하고 추출물을 공경(pore size) 10㎛ 여과필터(Sartorius)로 여과한 다음 40-50℃ 조건에서 100㎖까지 감압농축한 후 분액깔때기(Separatory funnel)에 넣고 동량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EtOAc),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을 단독 또는 1종 이상으로 선택된 용매로 순차적으로 2회 용매 분획한 후 비극성 유기용매층은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남은 물층은 감압농축 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분획물7.5g±1.6g 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황련 수포화 부틸알코올의 분획물 제조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건조된 황련(CoptidisRhizoma)의 오염물을 제거한 뒤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황련 50g에 수포화 n-부틸알코올 500㎖을 가해 80℃에서 3시간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공경(pore size) 10㎛ 여과필터 (Sartorius)로 여과한 다음 40-50℃ 조건에서 100㎖까지 감압 공비농축한 후 분액깔때기(Separatory funnel)에 넣고 동량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EtOAc), 클로로포름 또는 디클로로메탄을 단독 또는 1종 이상으로 선택된 용매로 순차적으로 2회 용매 분획한 후 유기용매층은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남은 알코올층은 감압 공비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 분획물6.2±1.2g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아이비엽 추출물 제조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건조된 아이비(Hedera helix) 잎의오염물을 제거한 뒤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아이비잎 50g에 30%(v/v) 에탄올 수용액 500㎖을 가해 80℃에서 3시간씩 2회 환류 추출한 추출물을 공경(pore size) 10㎛ 여과필터로 여과한 다음 40-50℃ 조건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아이비엽추출물 8.1g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추출물 제조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Pelargonium sidoides, Geraniaceae) 건조근의 오염물을 제거한 뒤 건조근을 적절한 크기(10mm이하 95% 이상)로 한 다음 35% 에탄올 (2분량)로 적신 뒤 5.3% 에탄올(8분량)을 가하여 추출한 액을 공경(pore size) 10㎛ 여과필터로 여과하여 120~121℃에서 30초 간 가열한 것으로서 이 약 1g으로부터 9.7g의 추출액을 얻었다. 이 액을 85% 글리세롤과 8:2(w/w)비율로 혼합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황련 열수 추출물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건조된 황련(CoptidisRhizoma)의 오염물을 제거한 뒤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황련 50g에 정제수500㎖을 가해 80℃에서 3시간 열수추출하고 추출물을 공경(pore size) 10㎛ 여과필터(Sartorius)로 여과한 다음 40-50℃ 조건에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11.5g 을 수득하여 하기 비교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황련수포화부틸알코올 추출물
환류냉각관을 부착시킨 둥근 플라스크에 건조된 황련(CoptidisRhizoma)의 오염물을 제거한 뒤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황련50 g에 수포화 n-부틸알코올500 mL을 가해 80℃에서3시간환류 추출하고 추출물을 공경(pore size) 10㎛ 여과필터 (Sartorius)로 여과한 다음 40-50℃ 조건에서 감압 공비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7.6g을 수득하여 하기 비교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세포독성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황련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세포주인 vero cell(신장 세포주, monkey kidney cell line; KCLB 10081)과 chang cell(간 세포주, human liver cell line; ATCC CCL13)은 각각 한국 세포주 은행(Korean Cell Lines Bank) 및 미국유전자은행(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vero cell과 chang cell의 배지로는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1% 항생제가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를 사용하였고, 38℃에서 5% CO2 인큐베이터(MCO-17AIC, Sanyo Electric Co., Toky, Japan)를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하여 상기 비교예 1 내지 2 및 실시예 1 내지 2 분획물의 vero cell과 chang cell에 대한 독성 측정에는 MTT(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으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MTT 분석법은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사슬(respiratory chain)에 존재하며 생존세포에만 활성이 있는 숙시네이트-테트라졸리움 환원효소(succinate-tetrazolium reductase)와 반응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를 청자색의비수용성 MTT 포르마잔(formazan)으로 환원시키는 능력을 이용한 검사법이다. Vero cell 및 chang cell을 24웰 플레이트에 3×104 cell/mL/웰 씩 분주하여 1일간(chang cell은 2일간)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0.1%의 DMSO(Dimethylsulfoxide)에 용해시킨 실시예 1 내지 2 분획물에 대한 독성을 비교하고자 고농도인 500㎍/mL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에는 세포에 0.1% DMSO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에 용해시킨 MTT solution 300㎕ 씩을 각 웰에 분주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제거하고, 250㎕의 DMSO를 가하여 형성된 formazan 결정을 용해시켰다. 100㎕ 씩을 96웰 플레이트에 취하여 ELISA 리더(Spectra Max 250, Molecular Devices Co, Sunnyvale, CA, U.S.A.)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생존율(%)은 ((대조군의흡광도-실험군의흡광도)/대조군의흡광도)×100 식으로부터 구하였으며, 세포독성 결과는 하기 표 1에 세포생존율로 나타내었다.
조건 | 추출용매 | 분획용매 | 세포생존율(%) | |
vero cell (신장 세포주) |
chang cell (간 세포주) |
|||
실시예1-1 | 물 | 핵산 | 87.21 | 87.45 |
실시예1-2 | 물 | 에틸아세테이트 | 90.23 | 91.36 |
실시예1-3 | 물 | 클로로포름 | 91.47 | 91.21 |
실시예1-4 | 물 | 디클로로메탄 | 92.28 | 93.23 |
실시예1-5 | 물 |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 95.34 | 96.25 |
실시예1-6 | 물 |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디클로로메탄 |
97.21 | 98.12 |
실시예2-1 | 수포화부틸알코올 | 핵산 | 86.52 | 88.22 |
실시예2-2 | 수포화부틸알코올 | 에틸아세테이트 | 91.63 | 90.27 |
실시예2-3 | 수포화부틸알코올 | 클로로포름 | 91.21 | 92.65 |
실시예2-4 | 수포화부틸알코올 | 디클로로메탄 | 92.23 | 93.27 |
실시예2-5 | 수포화부틸알코올 |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 94.41 | 95.24 |
실시예2-6 | 수포화부틸알코올 |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디클로로메탄 |
98.22 | 97.43 |
비교예1 | 물 | - | 47.43 | 48.63 |
비교예2 | 수포화부틸알코올 | - | 40.82 | 43.32 |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련추출물을 물 또는 수포화부틸알코올로 추출 후 비극성 유기용매를 단독 또는 1종 이상 선정하여 순차적으로 분획 후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얻은 분획물을 정상세포주인 신장세포주 및 간세포주에 처리했을 때의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용매 분획물 제거 후 얻은 분획물에서 비교예의 분획하지 않은 추출물에 비해 생존율이83% 내지 119% 이상으로 현저한 세포독성이 저감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급성독성실험
황련 분획물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시 급성적으로 동물체 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1주간 관찰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노화가 진행된 13주령 ICR 마우스 계통 150마리를 대조군에 10마리, 실험군에 각각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추출물을 2.0 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여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조건 | 추출용매 | 분획용매 | 투여용량 (mg/kg) | 동물치사율 (%) |
실시예1-1 | 물 | 핵산 | 2000 | 20 |
실시예1-2 | 물 | 에틸아세테이트 | 2000 | 10 |
실시예1-3 | 물 | 클로로포름 | 2000 | 20 |
실시예1-4 | 물 | 디클로로메탄 | 2000 | 10 |
실시예1-5 | 물 |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 2000 | 0 |
실시예1-6 | 물 |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디클로로메탄 |
2000 | 0 |
실시예2-1 | 수포화부틸알코올 | 핵산 | 2000 | 20 |
실시예2-2 | 수포화부틸알코올 | 에틸아세테이트 | 2000 | 20 |
실시예2-3 | 수포화부틸알코올 | 클로로포름 | 2000 | 20 |
실시예2-4 | 수포화부틸알코올 | 디클로로메탄 | 2000 | 10 |
실시예2-5 | 수포화부틸알코올 |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 2000 | 10 |
실시예2-6 | 수포화부틸알코올 |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디클로로메탄 |
2000 | 0 |
비교예1 | 물 | - | 2000 | 60 |
비교예2 | 수포화부틸알코올 | - | 2000 | 70 |
대조군 | - | - | 0 |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 후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의 경우 치사율이 0% 내지 20% 이하로 우수한 독성 저감화 효과를 보였다. 상기 비교예로 추출한 시료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60 내지 70%로 치사율이 증가되는 심각한 독성을 보였다.
상기 독성시험(실험예 1-2)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표 1 내지 2의 정상세포주을 이용한 세포독성실험과 급성독성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법으로 제조한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거한 실시예 1 내지 2에서 독성이 현저히 감소 또는 제거되어 세포독성 및 급성독성에 의한 동물치사율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2의 황련 열수추출물 및 수포화부틸알코올 추출물의 경우 독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거담 활성 평가 시험
Engler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Engler H, Szelenyi I, J. Pharmacol.Moth., 11, 151~157, 1984, ; Jian-Hua Shang et al, J. Ethnopharmacology, 129, 293~298, 2010) 본 발명의 분획물에 대한 거담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로는 체중 30~33g의 웅성 ICR 마우스(오리엔트바이오, 국내)를 각 군당 8마리씩 사용하였다. 전날 절식시킨 마우스에 실험군 별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추출분획물 및 비교약물인 암브록솔(250㎎/㎏, ambroxol,Sigma)을 경구 투여하고, 30분 후 5% 페놀레드(phenol red)를 복강 주사하였다. 30분 후, 경추탈골하여 복부 대동맥을 방혈 시킨 후 기관 (trachea) 전체를 절제하였다. 분리된 기관을 1㎖의 생리 식염수에 넣어 냉장보관 하였다. 24시간 후 냉장 보관된 기관을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에 1N 가성소다(NaOH)를 첨가(상등액 1㎖당 1N NaOH 0.1㎖)한 후에 546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레드의 농도로서 거담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 투여용량 (mg/kg) | 객담배출율 (%) |
실시예 1-5 | 300 | 40 |
실시예 1-6 | 300 | 43 |
실시예 2-5 | 300 | 41 |
실시예 2-6 | 300 | 45 |
실시예 1-5 + 실시예 3 (1:3) | 300 | 59 |
실시예 1-6 + 실시예 3 (1:3) | 300 | 63 |
실시예 2-5 + 실시예 3 (1:3) | 300 | 61 |
실시예 2-6 + 실시예 3 (1:3) | 300 | 63 |
실시예 1-5 + 실시예 4 (1:20) | 300 | 57 |
실시예 1-6 + 실시예 4 (1:20) | 300 | 59 |
실시예 2-5 + 실시예 4 (1:20) | 300 | 59 |
실시예2-6 + 실시예 4 (1:20) | 300 | 61 |
비교예1 | 300 | 25 |
비교예2 | 300 | 26 |
양성대조군 암브록솔(Ambroxol) |
250 | 27 |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2의 분획물은 양성대조약물보다 48%내지 66%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 후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거하는 제조공정을 거쳐 얻은 분획물(실시예 1 내지 2)과 아이비엽 추출물(실시예 3) 또는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실시예 4)를 혼합하여 투여한 복합투여군의 경우, 비교예 시료 투여군 대비 객담 배출능이 증가되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실시예 1 내지 2의 단독 투여군 보다도 우수한 활성을 타나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진해 활성 평가 시험
본 발명의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진해 활성을 평가(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1998, 158[1], 42-48)하기 위해 실시예 1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추출물을 기니피그에 투여한 후, 시트르산(citric acid)을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한 다음 기침 횟수를 측정하였다. 시트르산은 기도의 감각 신경 활성을 연구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물질로서, 흡입하게 되면 기관지수축, 코 자극, 기침, 기관지 과민반응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로는 체중 350~400g의 웅성 Hartely계 기니피그(오리엔트바이오, 국내)를 각 군당 7마리씩 사용하였다. 전날 절식시킨 기니피그에 실험군 별로 실시예에서 제조된 분획물 및 비교약물인 테오브로민(50㎎/㎏, theobromine, 시그마)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에 동물에게 기침유발물질인 0.3M 시트르산을 10분간 분무하여 기침을 유발하였다. 기침유발물질에 노출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15분 동안 발생되는 기침 횟수를 Whole Body Plethysmometer (BUXC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음성대조군(1% CMC 투여 군)의 기침 횟수를기준으로 억제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 투여용량 (mg/kg) | 진해억제율 (%) |
실시예 1-5 | 200 | 67 |
실시예 1-6 | 200 | 70 |
실시예 2-5 | 200 | 68 |
실시예 2-6 | 200 | 72 |
실시예 1-5 + 실시예 3 (1:3) | 200 | 88 |
실시예 1-6 + 실시예 3 (1:3) | 200 | 90 |
실시예 2-5 + 실시예 3 (1:3) | 200 | 89 |
실시예 2-6 + 실시예 3 (1:3) | 200 | 90 |
실시예 1-5 + 실시예 4 (1:20) | 200 | 82 |
실시예 1-6 + 실시예 4 (1:20) | 200 | 85 |
실시예 2-5 + 실시예 4 (1:20) | 200 | 84 |
실시예 2-6 + 실시예 4 (1:20) | 200 | 85 |
비교예1 | 200 | 40 |
비교예2 | 200 | 42 |
양성대조군 테오브로민(Theobromine) |
50 | 47 |
그 결과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획물 200 ㎎/㎏ 투여군에서 시트르산으로 유발된 기니피그의 동물 모델에서의 기침 억제 효과가 비교약물인 테오브로민보다 44% 내지 53%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독성저감화 제조공정을 거친 황련 분획물(실시예 1 내지 2)과 아이비엽 추출물(실시예 3) 또는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실시예 4)를 혼합하여 투여한 복합투여군의 경우, 약물인 테오브로민 대비 기침억제능이 78% 내지 91% 증가될 뿐만 아니라 실시예 1 내지 2의 단독 투여군보다도 우수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황련 분획물의 성분 분석
상기 비교예 1 내지 2 및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HPLC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황련 추출물에는 베르베린, 팔마틴, 콥티신, 컬럼바민 및 자트로리진이 함유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특히 상기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의 성분 중 주요 활성물질인 베르베린 함량을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석은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는워터스얼라이언스 2695 모델로 워터스피디에이(PDA) 2996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컬럼은 써모하이퍼실 C18(ThermoHypersil GOLD C18, 5㎛, 4.6×250mm I.D)을 사용하였고 컬럼온도는 30℃±1을 유지하였다. 시료농도는 1mg/ml로 제조하여 10㎕ 주입하였으며 유속은1.0ml/min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표준물질인 베르베린은 머크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0.1% TFA(트리플루로아세트산)용액(용매 A)과 메탄올(용매 B)의 농도구배 조건으로 0분~5분(A:B=8:2~7:3), 5분~30분(A:B=7:3~6.5:3.5), 30분~40분(A:B=6.5:3.5~6:4), 40분~65분(A:B=6:4~8:2)으로 분석하였다. 추출물 중의 활성성분 함량의 계산은 표준물질 베르베린에 대한 면적비를 중량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분석 시료 | 추출용매 | 분획용매 | 베르베린 함량 (%) |
실시예 1-2 | 물 | 에틸아세테이트 | 19.1 |
실시예 1-5 | 물 |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 26.9 |
실시예 1-6 | 물 |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디클로로메탄 |
30.3 |
실시예2-2 | 수포화부틸알코올 | 에틸아세테이트 | 27.5 |
실시예2-5 | 수포화부틸알코올 | 에틸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 28.8 |
실시예2-6 | 수포화부틸알코올 |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디클로로메탄 |
32.9 |
비교예1 | 물 | - | 14.7 |
비교예2 | 수포화부틸알코올 | - | 24.9 |
실험결과, 상기 표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추출 및 분획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분획물의 주요 성분인 베르베린의 경우, 베르베린 19.1 내지 32.9 중량부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대비 실시예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의 경우 활성성분인 베르베린 함량이 오히려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1의 물추출 후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방법에 의해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 제거 후 최종적으로 남은 물 분획물을 제조한 경우, 비교예 2의 황련을 알코올로 추출한 경우보다 경제적으로 베르베린 고함량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기용매인 디클로로메탄 분획시 황련의 약리활성성분인 베르베린 추출효율이 높다고 알려진(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81640호)분획물을 본 발명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남아 있는 분획물 사용시에도 오히려 베르베린 손실 없이 활성이 증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 제조 시 독성을 저감시키고 효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최적의 분획조건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은 진해거담효과를 갖는 호흡기질환 치료제의 독성 또는 부작용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보다 안전한 치료 및 예방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형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 20g을 락토오스 50g, 감자전분 3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5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20g, 활석 5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형예 2: 액제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1g을 이성화당 20g, 만니톨10g을 혼합하였다.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주사액제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 2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제형예 4: 밀가루 식품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을 0.1-5.0 중량%로 하여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밀가루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을 0.1-1.0 중량%로 하여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6: 음료 제조
실시예 1 내지 2의 황련 분획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야채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7)
- 황련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는 1 단계 및 그 추출물을 비극성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물, 알코올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용매 분획물을 얻는 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극성 용매는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황련 생약 추출물.
- 제 3 항에 따른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이비엽 추출물 또는 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
- 삭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경피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적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1337A KR101647506B1 (ko) | 2016-03-16 | 2016-03-16 |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1337A KR101647506B1 (ko) | 2016-03-16 | 2016-03-16 |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7506B1 true KR101647506B1 (ko) | 2016-08-10 |
Family
ID=5671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1337A KR101647506B1 (ko) | 2016-03-16 | 2016-03-16 |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750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753A (ko) | 2018-02-28 | 2019-09-0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이비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용 서방성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4144073A1 (ko) * | 2022-12-26 | 2024-07-04 | 알리코제약(주) | 황련 추출물 및 아이비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9936A (ko) * | 2008-06-13 | 2009-12-17 | 안국약품 주식회사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
KR100970739B1 (ko) | 2008-06-13 | 2010-07-16 | 안국약품 주식회사 |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30081479A (ko) * | 2012-01-09 | 2013-07-1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이비엽 및 황련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40033998A (ko) * | 2012-09-11 | 2014-03-1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사이코사포닌 a, 베르베린 및 리코이소플라본 b를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2016
- 2016-03-16 KR KR1020160031337A patent/KR1016475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9936A (ko) * | 2008-06-13 | 2009-12-17 | 안국약품 주식회사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
KR100970739B1 (ko) | 2008-06-13 | 2010-07-16 | 안국약품 주식회사 |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30081479A (ko) * | 2012-01-09 | 2013-07-17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이비엽 및 황련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40033998A (ko) * | 2012-09-11 | 2014-03-1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사이코사포닌 a, 베르베린 및 리코이소플라본 b를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3753A (ko) | 2018-02-28 | 2019-09-0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아이비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용 서방성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4144073A1 (ko) * | 2022-12-26 | 2024-07-04 | 알리코제약(주) | 황련 추출물 및 아이비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2870B1 (ko) |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10751381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relieving or treating colitis, containing complex extracts | |
KR102006738B1 (ko) |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0860080B1 (ko) |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 |
KR101691205B1 (ko) |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567235B1 (ko) |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JP6712056B2 (ja) |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 |
KR101647506B1 (ko) | 황련 추출물의 독성 저감화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독성이 저감화된 생약추출물, 및 그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286463B1 (ko) | 천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228920B1 (ko) |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 |
KR101286465B1 (ko) | 천궁 및 현호색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EP2438924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erbal extrac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phritis | |
JP6652653B2 (ja) | 芦根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癌剤副作用による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 |
KR101758639B1 (ko) | 인동등, 우방자 및 황금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 |
KR101193558B1 (ko) | 다시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조성물 | |
KR100720670B1 (ko) | 황백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ⅳ형 알레르기 및 염증치료용 조성물 | |
KR20140108104A (ko) | 한인진 및 울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720671B1 (ko) | 진교, 진피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ⅳ형 알레르기 및염증 치료용 조성물 | |
CN114728030A (zh) | 用于预防、缓解或治疗呼吸系统疾病的组合物 | |
KR101181347B1 (ko) |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190023236A (ko) | 아세톤, 또는 아세톤 및 물의 혼합용매로부터 추출된 황련 추출물 | |
KR20150072659A (ko) |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 |
KR20140142516A (ko) |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KR20190060331A (ko) | 데히드로코스투스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379395B1 (ko) | 황련 및 형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