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638B1 -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638B1
KR101394638B1 KR1020130031976A KR20130031976A KR101394638B1 KR 101394638 B1 KR101394638 B1 KR 101394638B1 KR 1020130031976 A KR1020130031976 A KR 1020130031976A KR 20130031976 A KR20130031976 A KR 20130031976A KR 101394638 B1 KR101394638 B1 KR 101394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resent
weight
lauroyl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297A (ko
Inventor
최재영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화학
Priority to KR102013003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6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8Treatment with low-molecular-weight non-polyme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3Chem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0Compounds of aluminium
    • C09C1/405Compounds of aluminium containing combined silica, e.g. m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C01P2006/82Compositional purity water cont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a) 말단에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는 분체, 및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을 교반장치가 구비된 반응기에 건식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기를 교반시켜 라우로일 라이신이 분체의 표면에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에 의한 개질 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MODIFIED POWDER}
본 발명은 개질 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을 습식방법이 아닌 건식방법을 이용하는 개질 분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개질 분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에는 안료, 유제, 수제 등의 원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혼합비율이나 사용원료에 차이가 있다. 화장료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료는 분체(powder)인 안료로서 이는 화장의 고유한 색상을 나타내거나 피부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안료에는 무기안료와 유기안료가 있는데, 피부색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무기색소계열의 안료가 선택되며 특정부위의 색상을 나타낼 경우에 한하여 유기색소계열의 안료와 무기색소계열의 안료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한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무기안료로는 순수 무기안료, 체질안료, 운모티탄 등이 있다. 즉, 순수 무기안료는 색소의 함량이 높으며 색의 계열과 명도 등을 좌우하는 것으로 이산화티탄, 황색산화철이나 흑색산화철 등의 산화철류, 감청, 군청 등이 있고, 체질안료는 색소의 함량이 적고 순수 무기안료의 색상을 보조적으로 도와주거나 사용감, 물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탈크, 운모(백운모, 흑운모), 견운모, 카올린, 실리카, 칼슘카보네이트, 산화아연 등의 무기계열의 체질안료와 나이론-6, 나이론-12, 셀룰로스 분말, 아크릴계 분말 등의 유기계열의 체질안료가 있으며, 또한 피부에 진주광택, 홍채색 또는 메탈감을 전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펄이라는 특수한 광학적 효과를 가진 안료가 있다.
오랜 동안 눈 부위 또는 얼굴에 사용할 목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상기 분체들의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일반적인 접근방법으로는 이들 제형내 주요 안료의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다. 현재 이러한 표면처리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장쇄 아실기를 함유한 N-모노아실화 염기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N-라우로일-L-라이신)으로 무기안료를 코팅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들 공정은 모두 원료를 용액상에서 혼합하여 액상에서 반응시키고, 탈수처리한 후 건조하는 과정에 의한 습식공정에 의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습식공정은 별도의 탈수 및 건조공정이 필요하고, 반응에 촉매를 투여하거나 산-염기에 의한 중화반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연속식 공정에 적합하지 않는 등 그 절차가 복잡하고 많은 설비를 요구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탈수공정이 불필요하고, 분체 혼합기 이외의 다른 추가적인 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며, 별도의 건조공정이 요구되지 않고, 기존 습식공정에서와 같은 회분식 공정뿐만 아니라 PFR, CSTR 과 같은 정상상태에서의 공정이 가능하며, 반응에 별도의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산-염기 중화 반응이 요구되지 않으며, 뿐만 아니라, 기존 습식 대비 동일한 설비조건하에서 비교할 때 생산량의 증가 및 생산시간의 감소가 현저한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을 건식으로 코팅하는 개질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개질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a) 말단에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는 분체, 및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을 교반장치가 구비된 반응기에 건식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기를 교반시켜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이 분체의 표면에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식에 의한 개질 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개질 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질 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습식에 의해서만 제조되어 오던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 코팅 개질 분체를 건식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탈수공정이 불필요하고, 분체 혼합기 이외의 다른 추가적인 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며, 별도의 건조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기존 습식공정에서와 같은 회분식 공정 뿐만 아니라 PFR, CSTR 과 같은 정상상태에서의 공정이 가능하며, 반응에 별도의 촉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산-염기 중화 반응이 필요 없다. 뿐만 아니라, 기존 습식 대비 동일한 설비조건하에서 비교할 때 생산량의 증가 및 생산시간의 감소가 현저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개질 분체 (MICA-LL)의 전자현미경사진(SEM)이다.
도 2는 비교예 및 본 발명 실시예 1에 의한 개질 분체(MICA-LL)의 발수력 실험 결과 사진이다.
본 발명의 개질분체의 제조방법은 a) 말단에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는 분체, 및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을 교반장치가 구비된 반응기에 건식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기를 교반시켜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이 분체의 표면에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분체는 말단에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는 분체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 공지된 분체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분체의 형태로는 미립자 분체 또는 박편상 분체 또는 이들의 혼합 분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체의 원료로서 사용하는 미립자 분체의 입자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0.001-1000 um의 입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0.001-100 um,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1-50 um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입자의 크기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코팅성 및 화장료로 제조시 사용감이 특히 좋다. 평균 1차입자경의 측정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주사형 혹은 투과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한 입자 지름의 측정 방법 또는 입도 분석기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입자의 예로는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분체의 원료로서 사용가능한 박편상 분체로는 미립자 분체의 응집을 억제하고, 분산성을 높이는 기능이 있는 분체라면 특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박편상 분체란 판상 분체, 인편상 분체를 포함하고, 장경에 대한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0.001-1000 um의 분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0.001 내지 50 um의 범위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미립자 분체의 응집을 억제하고,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능력이 매우 높다. 이들 박편상 분체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바륨, 실크 파우더, 탈크, 운모, 견운모, 카올린, 이산화티탄 코팅운모, 산화철코팅운모, 산화크롬 코팅운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황산마그네슘 등 및 이들의 표면 처리 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박편상 분체와 미립자 분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박편상 분체의 함량은, 분체의 종류, 크기, 형상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미립자 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2.5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미립자 분체가 높은 부착성을 유지한 채로, 개질 분체의 투명성을 높이는 효과, 감촉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 미립자 분체와 박편상 분체 내지 이들의 혼합 분체를 얻는 방법은, 예를 들면, 양자를 믹서 등을 이용해 건식 혼합시키는 방법, 또는 물, 에탄올 등의 적당한 용매 중에 양자를 넣어 잘 교반 한 후, 용매를 제거하고, 건조 및 분쇄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은 시판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N-라우로일-L-라이신, N-라우로일-D-라이신을 단독 또는 2종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조되는 개질 분체의 사용 감촉이나 원료 코스트의 점에서, N-라우로일-L-라이신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의 양은 사용되는 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내지 5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분체의 피부에의 부착성을 저해하지 않고, 개질 분체에 충분한 매끄러움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질 분체의 제조방법에서는 a) 상기 말단에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는 분체, 및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을 교반장치가 구비된 반응기에 건식 혼합하는 바, 상기 분체와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을 용액상태에서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습식공정을 채택하지 않고, 고체상태 또는 분말상태에서의 혼합에 의한 건식공정에 의해 반응을 진행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공정에 의해 수행되어지는 반응은 단순한 물리적인 혼합이 아닌 화학결합에 의한 반응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반응기는 분체와 라우로일 라이신이 반응할 수 있는 교반을 통한 충분한 마찰력이나 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반응기가 가열장치를 더욱 구비하여 반응기의 내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는 것이면 더욱 좋다. 교반장치와 가열장치는 반응기에 자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로 장치를 상기 반응기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반응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헨셀믹서, Reactor dryer, 기타 파우더 자체를 교반할 수 있는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에서 반응기 내의 pH는 임의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종래의 습식공정이 반드시 특정 pH(4-6)를 맞추어 주어야만이 코팅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pH를 맞추어 주지 않아도 코팅이 가능하며, 반응기 내의 pH를 5-9로 유지할 경우 별도의 공정 없이 1회의 공정으로 화장품 원료로 적합한 개질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되는 개질분체의 pH를 맞추기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분체를 반응기에 투입한 후 pH 조절제를 투입하여 pH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체로서 운모를 사용하여 라우로일 라이신으로 코팅할 경우 운모-라우로일 라이신의 pH가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게 되므로 이 경우 pH 조절제가 첨가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pH 조절제로 예를 들어, 화장료에 사용가능한 각종 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들 수 있다. 유기산의 예로는 구연산, 푸마르산, 숙식산 등을 들 수 있고, 무기산의 예로는 질산, 염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연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운모의 경우 pH는 9.4이고, N-라우로일-L-라이신의 pH가 5.4일 경우 단순히 이들 원료 물질을 건식공정으로 반응시킬 경우 9 이상의 pH가 얻어질 수 있으므로 원료의 혼합단계에서 산 용액 등을 적량 첨가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상기 pH 설정 범위로 까지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분체로써 탈크(pH 8.2), 견운모(pH 5.7) 등의 물질이 사용될 경우에는 반응결과 얻어지는 개질 분체는 상기 바람직한 pH 범위를 만족하게 되므로 별도로 pH 조절제를 투입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분체, 라우로일 라이신 및 선택적으로 pH 조절제가 투입된 상기 반응기를 회전시켜 교반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반응기가 가열장치를 더욱 구비하여 반응기의 내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다. 상기 반응온도는 사용되는 원료 물질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속으로 반응 물질들을 교반하면서 온도나 색상을 관찰하고 발수력이나 사용감을 체크하면서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혼합초기 온도로부터 80 내지 200 ℃에서 선택되는 적정 온도로까지 점차적으로 승온시키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반응온도는 80 내지 150 ℃이다. 상기 반응온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조되는 개질분체의 발수력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록 라우로일 라이신의 융점이 상기 설정온도 보다 고온 (예를 들어, N-라우로일-L-라이신의 경우 약 230 ℃)이지만, 혼합단계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및 열에 의해 분체 표면에 코팅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교반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00 rp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7000 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3000 rpm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제조된 개질분체의 코팅성, 즉 물에 대한 발수력이 우수하여 화장료로 사용 시 사용감이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건식방식에 따른 분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얻어지는 개질분체의 수분은 통상적으로 0.5 중량% 미만으로, 원료의 혼합과정에서 산성 용액을 투입하여 pH를 조절한다고 하여도 수분함량이 2 중량%를 넘지 않으므로 별도의 후속하는 건조공정이 필요 없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질 수 있는 상기 개질분체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과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개질 분체의 분체 화장료 중에 배합량은 그 제품의 특성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바람직하기로는 분체 화장료의 총량에 대해서 0.5 내지 30 중량%이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화장료 특성 및 사용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면, 파우더 파운데이션, 백분, 페이스 파우더, 아이쉐도우, 프레스트 파우더, 치크 칼라, 액상 파운데이션, 유성 파운데이션, 립스틱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발휘할 수 있는 분체 화장료로서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백분, 페이스 파우더, 아이쉐도우, 프레스트 파우더, 치크 칼라의 파우더 상의 것, 또는 그 타형품이다. 본 발명의 분체 화장료에는, 상기 개질 분체 외에, 통상 분체 화장료에 사용되는 분체류, 착색제, 유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살균제, 향료, 용제, 염류, 점제, 고분자, 방부제 등을 동시에 배합할 수 있다. 특히, 분체류에 대해서는 종래 공지의 무기 분체, 유기 분체, 색소, 및 이러한 복합 분체, 및 실리콘 처리, 불소 화합물 처리, 금속 비누 처리, 유제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가한 분체류를 들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개질 분체를 한층 더 종래 공지의 표면 처리 수법으로 표면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운모(MC0800, pH 9.4) 20 kg을 헨셀 믹서에 투입한 후, 5% 구연산 수용액0.0075 kg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pH를 조절하였다. N-라우로일-L-라이신(AMIHOPE-LL, pH 5.4) 0.4 kg을 투입하고 스팀을 천천히 넣으면서 80 ℃ 까지 승온시켜 고속으로 교반(500-3000 rpm) 하여 N-라우로일-L-라이신이 코팅된 운모를 제조하였다. 교반하는 동안 반응물의 온도와 색상을 관찰하면서 발수력이나 사용감을 체크하였다. 최종생성물의 PH는 6.8이었고, 수분함량은 0.51 중량%이었다. 이때 발생한 폐수는 없었으며, 총 제조시간은 10 시간미만이 소요되었다.
[실시예 2]
운모(MC0800, pH 9.4) 20 kg을 헨셀 믹서에 투입한 후, 5% 구연산 수용액0.0075 kg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pH를 조절하였다. N-라우로일-L-라이신(AMIHOPE-LL, pH 5.4) 0.4 kg을 투입하고 스팀을 천천히 넣으면서 100 ℃ 까지 승온하고 교반(500-3000 rpm)하여 N-라우로일-L-라이신이 코팅된 운모를 제조하였다. 교반하는 동안 반응물의 온도와 색상을 관찰하면서 발수력이나 사용감을 체크하였다. 최종생성물의 PH는 6.82이었고, 수분함량은 0.50 중량%이었다. 이때 발생한 폐수는 없었으며, 총 제조시간은 10 시간미만이 소요되었다.
[실시예 3]
탈크(JA-46R, pH 8.2) 20 kg을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N-라우로일-L-라이신 0.4 kg을 투입하고 스팀을 천천히 넣으면서 80 ℃ 까지 승온시켜 고속으로 교반(500-3000 rpm)하였다. 교반하는 동안 반응물의 온도와 색상을 관찰하면서 발수력이나 사용감을 체크하였다. 최종 생성물(TALC-LL)의 pH는 8.0 이었고, 수분함량은 0.6 중량%이었다. 이때 발생한 폐수는 없었으며, 총 제조시간은 10 시간미만이 소요되었다.
[실시예 4]
탈크(JA-46R, pH 8.2) 20 kg을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N-라우로일-L-라이신 0.4 kg을 투입하고 스팀을 천천히 넣으면서 100 ℃ 까지 승온시켜 고속으로 교반(500-3000 rpm)하였다. 교반하는 동안 반응물의 온도와 색상을 관찰하면서 발수력이나 사용감을 체크하였다. 최종 생성물(TALC-LL)의 pH는 8.0 이었고, 수분함량은 0.59 중량%이었다. 이때 발생한 폐수는 없었으며, 총 제조시간은 10 시간미만이 소요되었다.
[실시예 5]
견운모(B-PAS1000, pH 5.7) 20 kg을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N-라우로일-L-라이신 0.4 kg을 투입하고 스팀을 천천히 넣으면서 80 ℃ 까지 승온시켜 고속으로 교반(500-3000 rpm)하였다. 교반하는 동안 반응물의 온도와 색상을 관찰하면서 발수력이나 사용감을 체크하였다. 최종 생성물(SERI-LL)의 PH는 5.5 이었고, 수분함량은 0.6 중량%이었다. 이때 발생한 폐수는 없었으며, 총 제조시간은 10 시간미만이 소요되었다.
[실시예 6]
견운모(B-PAS1000, pH 5.7) 20 kg을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N-라우로일-L-라이신 0.4 kg을 투입하고 스팀을 천천히 넣으면서 100 ℃ 까지 승온시켜 고속으로 교반(500-3000 rpm)하였다. 교반하는 동안 반응물의 온도와 색상을 관찰하면서 발수력이나 사용감을 체크하였다. 최종 생성물(TALC-LL)의 PH는 8.0 이었고, 수분함량은 0.52 중량%이었다. 이때 발생한 폐수는 없었으며, 총 제조시간은 10 시간미만이 소요되었다.
[비교예]
운모(MC0800, pH 9.4) 20 kg을 물 154.4 kg, 20% HCl 6.417 kg, CaCl2 0.4 kg이 함유된 용액에 첨가하여 교반하고, 상기 반응물을 N-라우로일-L-라이신(AMIHOPE-LL, pH 5.4) 0.4 kg이 50% NaOH 2.976 kg에 용해된 반응물과 혼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탈수처리하고, 건조하여 최종 생성물(MICA-LL)을 얻었다. 이때 발생한 폐수는 160.1kg 이었고, 총 제조시간은 84시간이 소요되었다.
[실험예]
실시예 1과 비교예에 의한 최종 생성물의 차이를 비교 판단한 결과는 하기 표 1에서와 같았으며, 도 1에 이들 각 공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의 SEM 사진을 제시하였다. 발수력은 물 100 ml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파우더 10 g을 풀어 1분간 약수저로 저은 후 관찰하는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특성 규격 비교예 실시예 1
외형 엷은 흰색 분말 엷은 흰색 분말 엷은 흰색 분말
중앙입자경(㎛) 15.0-20.0 17.50 17.02
수분함량(%) 2.0 max 0.69 0.51
PH 5.0-9.0 5.89 6.88
발수력(5max) 3.5 이상 4 4.3
사용감 표준인 기준 기준 기준보다 부드러움
상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식공정에 의한 개질 분체의 특성은 종래 습식공정에 의한 분체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발수력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제품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감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 제품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개질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a) 탈크, 또는 견운모로부터 선택되는 분체로서, ⅰ) 0.01-50 um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미립자 분체 100 중량부 및 ⅱ) 0.001 내지 50 um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박편상 분체 2.5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은 혼합분체 100 중량부 및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 0.5 내지 50 중량부
    를 교반장치가 구비된 반응기에 건식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반응기를 80 내지 200 ℃로 승온하고 500-7000 rpm으로 교반시켜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이 혼합분체의 표면에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식에 의한 개질 혼합분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반응기 내의 pH가 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분체의 제조방법.
  5. 제1항 기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어, a) ⅰ) 0.01-50 um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미립자 분체 및 ⅱ) 0.001 내지 50 um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박편상 분체를 포함하는 혼합분체 100 중량부에 라우로일 라이신(Lauroyl Lysine) 0.5 내지 50 중량부가 결합되어 수분함량이 2 중량% 미만인 개질 혼합분체.
  6. 삭제
  7. 제5항 기재의 개질 혼합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31976A 2013-03-26 2013-03-26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KR10139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976A KR101394638B1 (ko) 2013-03-26 2013-03-26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976A KR101394638B1 (ko) 2013-03-26 2013-03-26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268A Division KR20110021455A (ko) 2009-08-26 2009-08-26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97A KR20130045297A (ko) 2013-05-03
KR101394638B1 true KR101394638B1 (ko) 2014-05-12

Family

ID=4865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976A KR101394638B1 (ko) 2013-03-26 2013-03-26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297A (ko) 2021-04-27 2022-11-03 (주)젠텍 피부 친화성 및 발수성 부여를 위한 화장료용 1-step 복합 표면 개질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22074B (zh) * 2020-11-20 2022-04-01 宣城鸿升钙业有限公司 一种跑道颗粒用改性碳酸钙的制备方法
CN117867849B (zh) * 2024-03-12 2024-05-03 广州奥王达皮具有限公司 一种具有防腐蚀作用的箱包布面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640A (ja) * 1994-01-27 1995-08-08 Ajinomoto Co Inc 高滑沢性撥水性粉体および化粧料
JPH09208426A (ja) * 1996-01-30 1997-08-12 Kanebo Ltd 粉体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640A (ja) * 1994-01-27 1995-08-08 Ajinomoto Co Inc 高滑沢性撥水性粉体および化粧料
JPH09208426A (ja) * 1996-01-30 1997-08-12 Kanebo Ltd 粉体化粧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297A (ko) 2021-04-27 2022-11-03 (주)젠텍 피부 친화성 및 발수성 부여를 위한 화장료용 1-step 복합 표면 개질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97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037B1 (ko) 자외선 차단제의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복합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US9662280B2 (en) Self-dispersible coated metal oxide powd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and use
JP4137383B2 (ja) 高光拡散性顔料混合物
JPH07103324B2 (ja) 小薄片状基質
US20100003290A1 (en) Oil and water repellent cosmetic powd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TW201210947A (en) Sheet-shaped cerium oxide and petal-shaped cerium oxide powder which is aggregate of the sheet-shaped cerium oxide,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sheet-shaped cerium oxide and the petal-shaped cerium oxide powder, coated sheet-shaped cerium oxide and
JP5563732B2 (ja) 平滑薄片状粉体、高光輝性顔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394638B1 (ko)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WO2016189962A1 (ja) 表面処理した化粧料用粉体及び顔料級酸化チタンを配合した、白浮きのないメーキャップ化粧料
WO2011025252A2 (ko) 개질된 분체의 제조방법
JP3513866B2 (ja) 親水化処理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H0687720A (ja) 鱗片状のシリカ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6291199A (ja) 表面処理顔料およびその製造プロセス
JPS60226805A (ja) 化粧料
JPS6069011A (ja) 金属セッケンによる顔料の処理方法
JP3656313B2 (ja) フレーク状金属酸化物
JP2014101343A (ja) 睫用化粧料
KR102138786B1 (ko) 색조 화장료용 코팅 분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3002634A (ja) 着色雲母チタン
JPS60228406A (ja) 化粧料
JP2006291156A (ja) 光輝性の高い真珠光沢顔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真珠光沢顔料
JP2001302230A (ja) 雲母粉、その製造方法及び雲母粉を含む組成物
KR102193366B1 (ko) 안료 표면처리장치, 이를 이용한 안료 표면처리방법, 표면처리된 복합안료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JPS61257910A (ja) 化粧料
JPH03200879A (ja) 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