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948B1 - 이동식 탑승교 - Google Patents

이동식 탑승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948B1
KR101389948B1 KR1020130133805A KR20130133805A KR101389948B1 KR 101389948 B1 KR101389948 B1 KR 101389948B1 KR 1020130133805 A KR1020130133805 A KR 1020130133805A KR 20130133805 A KR20130133805 A KR 20130133805A KR 101389948 B1 KR101389948 B1 KR 101389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walking deck
outer tunnel
variable
inner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수
양석철
김동수
임원래
도기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3013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948B1/ko
Priority to EP14860666.8A priority patent/EP3067277B1/en
Priority to ES14860666T priority patent/ES2703346T3/es
Priority to PCT/KR2014/005071 priority patent/WO2015068923A1/ko
Priority to TR2018/19975T priority patent/TR201819975T4/tr
Priority to JP2016552373A priority patent/JP6142095B2/ja
Priority to CN201480060684.2A priority patent/CN105705418B/zh
Priority to US15/034,022 priority patent/US958669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0Travelling bridges, i.e. roller bridges; Sliding bridges; Rotary cylinder bridges, i.e. rotating about longitudinal axis to invert and raise the r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내부터널, 및 상기 내부터널의 후방에서 상기 내부터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에 대해 전방으로 수축 이동 또는 후방으로 확장 이동 가능한 외부터널을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로서, 상기 이동식 탑승교는,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의 상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보행통로를 형성하는 내부터널 보행데크; 및 상기 외부터널의 바닥의 상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외부터널의 보행통로를 형성하는 외부터널 보행데크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는,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과 상기 내부터널 보행데크 사이의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탑승교{BOARDING BRIDGE}
본원은 이동식 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탑승교는 승객이 항공기에 안전하게 탑승하기 위하여 공항의 탑승 게이트와 항공기 사이를 연결해주는 통로로서, 항공기의 계류 여부 및 위치에 따라 안전하게 항공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로 이루어지는 2단 터널 또는 3단 터널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의 바닥면과 외부터널의 바닥면의 높이가 달라,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사이에 약 25 cm 내외의 큰 단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단차가 발생하는 위치에 경사진 연결발판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터널과 외부터널의 큰 단차로 인하여 구조상 연결발판의 경사도가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승객의 이동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객은 자가 이동이 불가능하고, 일반인도 급격한 경사도로 인해 전도하여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러한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사이에 발생하는 단차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장치와 관련하여, 일본 등록 특허 제4700643호(발명의 명칭: 보딩 브릿지)에는 외부터널의 이동에 따라 스프로켓을 회전시켜 가변통로를 감아 꺼냄으로써, 가변통로에 의해 외부터널과 내부터널 사이의 단차를 없애는 보딩 브릿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보딩 브릿지는 가변통로를 구성하는 분할판, 분할판 지지부품 및 가변통로의 이동을 위한 체인, 스프로켓 등 구성 부품의 수가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딩 브릿지는 가동을 위한 부품 수가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른 고장 발생률도 증가하며, 부품의 고장시 전체 구조물을 분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변통로가 분할판 구조로 되어 있어, 높은 강성을 갖는 구조로 제작되기 힘들고, 이로 인해 한번에 많은 승객이 이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원은 외부터널과 내부터널 사이의 단차를 줄여 승객의 이동시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높은 강성을 가지는 이동식 탑승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내부터널, 및 상기 내부터널의 후방에서 상기 내부터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에 대해 전방으로 수축 이동 또는 후방으로 확장 이동 가능한 외부터널을 포함하는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는,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의 상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보행통로를 형성하는 내부터널 보행데크; 및 상기 외부터널의 바닥의 상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외부터널의 보행통로를 형성하는 외부터널 보행데크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는,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과 상기 내부터널 보행데크 사이의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 각각이, 바닥과 보행통로(외부터널 보행데크 및 내부터널 보행데크)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외부터널의 이동에 따라 외부터널 보행데크가 내부터널 보행데크의 하측으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부터널과 외부터널의 보행통로 높이를 맞추어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식 탑승교 전체의 이동통로가 완만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터널 보행데크가 일체형 구조를 가지므로, 부품의 수가 작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고장 발생률이 현저히 낮고,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B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내부터널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 9는 외부터널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D-D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의 E-E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전방, 후방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보았을 때 위쪽이 상측, 아래쪽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보았을 때, 내부터널(10) 쪽이 전방, 외부터널(30) 쪽이 후방이 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이하 '본 이동식 탑승교'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을 포함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10), 외부터널(30),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포함한다.
외부터널(30)은 내부터널(10)의 후방에서 내부터널(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내부터널(10)에 대해 전방으로 수축 이동 또는 후방으로 확장 이동 가능하다.
내부터널 보행데크(12)는 내부터널(10)의 바닥(11)의 상에 이격 배치되고, 내부터널(10)의 보행통로를 형성한다.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외부터널(30)의 바닥(31)의 상에 이격 배치되고, 외부터널(30)의 보행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사이의 높이에 구비된다.
이를 통해, 외부터널(30)의 이동시,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빠져나올 수 있다.
본 이동식 탑승교는, 종래의 이동식 탑승교의 통행로로 이용되고 있는 내부터널(10)의 바닥과 외부터널(30)의 바닥에 대하여, 이와 별도로 구비되는 내부터널 보행데크(12)와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통행로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내부터널(10)의 통행로와 외부터널(30)의 통행로의 단차를 약 2.5 cm 이내로 매우 작게 줄일 수 있으므로, 통행에 불편이 없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용객의 편의를 최대한 증진시킬 수 있다.
이동식 탑승교는 승객이 항공기에 안전하게 탑승하기 위하여 공항의 탑승 게이트와 항공기 사이를 연결해주는 통로로서, 항공기의 계류 여부 및 위치에 따라 안전하게 항공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내부터널과 외부터널을 포함하는 2단 터널 구조로 되어있다.
종래의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사이에 큰 단차가 있어, 경사진 연결발판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발판은 내부터널과 외부터널의 큰 단차로 인하여 경사도가 크기 때문에,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에게는 매우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이동식 탑승교는, 터널의 구조물 바닥을 보행통로로 사용하는 기존의 이동식 탑승교와 달리, 내부터널(10) 및 외부터널(30) 각각의 바닥과 보행통로를 분리하여,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식 탑승교는 기본적으로 외부터널이 슬라이드 이동되어 내부터널이 외부터널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을 통해 길이가 조절되는데, 내부터널이 외부터널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터널의 바닥과 외부터널의 바닥의 높이차가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사이의 보행통로의 단차가 크게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분리된 내부터널 보행데크(12)와 외부터널(30)의 바닥(31)과 분리된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보행통로로 사용함으로써, 내부터널(10)이 외부터널(3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외부터널(30)의 바닥(31) 간의 높이차는 종래와 같이 유지하되, 이와 별개로, 각 터널의 보행통로인 내부터널 보행데크(12)와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높이를 맞추어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동식 탑승교 전체의 보행통로가 완만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이동식 탑승교는 외부터널(30)이 내측에 내부터널(10)을 삽입 배치시키는 방향, 즉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부터널(30)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만큼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외부터널(30)이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부터널(30)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만큼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외부터널(30)의 이동에 대응하여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다른 구성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10)이 바닥과 보행통로가 서로 분리되어, 그 사이 공간으로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들어갈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부터널(30)의 이동에 대응하여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다른 구성들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이동식 탑승교는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장애가 있거나 몸이 불편한 승객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동식 탑승교의 기본설치 취지인 편의성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이동식 탑승교는 외부터널(30)의 바닥(31) 상측에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구비하고, 내부터널(10)의 바닥(11) 상측에 내부터널 보행데크(12)를 구비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고장 발생률이 현저히 낮으며,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외부터널(30)의 이동시에 함께 움직이므로, 무동력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이동식 탑승교와 관련된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B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2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내부터널(1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내부터널(10)의 바닥(11)에 대한 내부터널 보행데크(12)의 이격 높이는, 내부터널(10)의 바닥에 대한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이격 높이와,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두께를 합한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내부터널 보행데크(12)의 하면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외부터널(30)과 내부터널(10)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내부터널(10)은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내부터널(10)의 바닥(11)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롤러(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4)는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보다 원활하게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터널(30)은 외부터널 슬라이딩 롤러(33)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동되는데, 외부터널(30)이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를 수축하는 방향, 즉, 외부터널(3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롤러(14)는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외부터널(30)이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방향, 즉, 외부터널(3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이드롤러(14)는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롤러(14)는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사이에 도입되는 위치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보행데크(32)가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사이에 도입되는 위치라 함은, 내부터널(10)의 바닥(11)의 후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롤러(14)는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가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전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면에는, 가이드롤러(14)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후방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롤러(14)는 한 쌍이 내부터널(10)의 내측 벽면 각각에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둘레에는 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가이드롤러(14)각각은 레일 각각을 따라 구름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균형이 유지되며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내부터널(10)은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면을 지지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내부터널 보행데크(1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될 때,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연속적으로 지지되며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으므로,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롤러(13)는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지지하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터널(30)이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를 수축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복수개의 지지롤러(13) 중 외부터널 보행데크(32)에 접촉되는 지지롤러(13)부터 순차적으로 구름 운동되면서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롤러(13)는,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터널(10)의 폭방향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대칭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롤러(13)는 내부터널(10)의 길이에 따라 세 지점 내지 다섯 지점마다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롤러(13)가 내부터널(10)의 바닥(11)에 설치되는 경우, 지지롤러(13)의 파손시, 내부터널(10)의 바닥(11) 만을 분해하여 이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외부터널(30)은, 외부터널(30)의 바닥(11)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변지지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외부터널(30)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X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D-D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9의 E-E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외부터널(30)이 내부터널(10)로부터 최대한 빠져있는 상태, 즉,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가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전단은 앞서 설명한 가이드롤러(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후단은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외부터널(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는데,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양단이 가이드롤러(14)와 힌지(35)에 의해 각각 지지되므로,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중간 부분에는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긴 양단 지지보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중간에 처짐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지지부(34)는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중간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승객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외부터널 보행데크(32) 상으로 보행할 수 있다.
즉, 가변지지부(34)는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 때, 가변지지부(34)가 외부터널(30)의 바닥(31)에 설치되는 경우, 가변지지부(34)의 파손시, 외부터널(30)의 바닥(31) 만을 분해하여 이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 때, 가변지지부(34)는 하강 구동에 의해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면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가변지지부(34)는 외부터널(30)의 전방으로의 수축 이동 시, 내부터널(10)의 외주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강될 수 있다.
본 이동식 탑승교는 외부터널(3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외부터널 보행데크(32)가 내부터널 보행데크(12)와 내부터널(10)의 바닥(1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고, 내부터널(10)의 바닥(11)이 외부터널 보행데크(32)와 외부터널(30)의 바닥(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가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외부터널(30)의 전방 이동시,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변지지부(34)와 내부터널(10)의 외주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시 말해, 본 이동식 탑승교는 외부터널(3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내부터널(10)이 외부터널(30)의 내측으로 들어감에 따라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내부터널(1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터널(30)의 이동 정도에 따라, 내부터널(10)의 바닥(11)의 후단과 가변지지부(34)의 간섭이 발생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외부터널(30)의 바닥(31)에 구비된 가변지지부(34)는, 외부터널(30)의 전방 이동시에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강될 수 있고,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간섭될 염려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 상승하여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가변지지부(34)가 승하강 구동됨을 통해, 외부터널(30)의 이동에 따라 내부터널(10)과 간섭없이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가변지지부(34)는, 상단이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면에 접촉될 때까지 상승됨으로써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지지하고, 상단이 외부터널(30)의 바닥(31)의 상면에 비해 하측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됨으로써 외부터널 보행데크(32)에 대한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가변지지부(34)는 내부터널(10)의 바닥(11)에 간섭될 염려가 있는 한계 위치인 외부터널(30)의 바닥(31)의 상면에 대하여, 이보다 하측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변지지부(34)가 내부터널(10)의 바닥(11)에 간섭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변지지부(34)은 스크류 잭(screw jack)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스크류 잭의 하부는 외부터널(30)의 바닥(31)에 고정될 수 있고, 상부에는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는 지지판이 구비되며, 스크류 잭은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스크류 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로 구동되는 직동실린더, 유압이나 공압으로 작동하는 유공압 실린더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변지지부(34)는 복수개이고,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 각각은 외부터널(30)의 바닥(31)에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외부터널(30)이 내부터널(10)로부터 최대한 빠져있는 상태, 즉,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가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긴 양단 지지보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중간 부분에 처짐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를 외부터널(30)의 바닥(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중을 보다 골고루 분산하고,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는 외부터널(30) 전체의 길이에 따라, 두 지점 내지 다섯 지점마다, 한 개 또는 두 개씩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지점에 두 개 이상의 가변지지부(34)를 설치하는 경우, 가변지지부(34)의 각 축을 직결하거나,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하나의 모터로 동기 구동시킬 수도 있고, 각각의 가변지지부(34)에 모터를 장착하여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 각각은, 도 2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터널(30)의 바닥(31)의 폭 방향으로, 외부터널(30)의 바닥(31)의 폭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변지지부(34)가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폭방향으로 대칭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하중을 보다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 각각은, 외부터널(30)의 전방 이동시에는 하강하고, 외부터널(30)의 후방 이동시에는 상승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가 수축되는 경우,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 각각은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의 간섭이 방지되기 위해 하강 이동될 수 있고,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가 확장되는 경우,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 각각은 다시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지지하도록 상승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 각각은, 외부터널(30)의 전방으로의 수축 이동시, 내부터널(10)의 후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하강될 수 있다.
이동식 탑승교의 길이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외부터널(30)이 이동되는 경우,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는 외부터널(30)의 이동 정도에 따라,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간섭되는 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 각각이 내부터널(10)의 후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에 있으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 모두가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터널(30)의 이동 정도에 따라,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간섭되는 위치에 있는 가변지지부(34)만이 하강될 수 있고, 나머지 가변지지부(34)는 상승된 상태로 외부터널 보행데크(32)의 지지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가변지지부(34)는 외부터널(30)의 이동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지를 풀고 외부터널(30)의 바닥(31)으로 하강될 수 있는 가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는, 내부터널(10)의 후단과 간섭되기 전에 가변지지부(34)가 하강할 수 있도록, 충분히 확보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이동식 탑승교는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가변지지부 작동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변지지부 작동센서는 외부터널 보행데크(32)와 외부터널(30)의 바닥(31) 사이에 구비되어, 내부터널(10)의 후단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변지지부 작동센서는 거리측정용 말굽센서와 포토센서를 병렬로 연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이동식 탑승교는, 가변지지부(34)가 내부터널(10)의 후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안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여, 외부터널(30)의 이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이동중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변지지부(34)가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변지지부(3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중지센서는 포토센서일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안전 거리는,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에 비해 짧은 것일 수 있다.
고장 등으로 인해, 가변지지부(34)가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에 위치함에도 하강되지 않은 경우, 이동중지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외부터널(30)의 이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즉, 가변지지부(34)는 1차적으로 가변지지부 작동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하강됨으로써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의 간섭이 방지되고, 2차적으로 이동중지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안전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감지되면 외부터널(30)의 이동 자체가 중지됨으로써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가변지지부(34)는 내부터널(10)의 후단과의 간섭이 이중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동중지센서는 내부터널(10)의 후단에서 가변지지부(34)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터널(3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내부터널(10)의 후단부터 외부터널 보행데크(32)와 외부터널(30)의 바닥(31) 사이로 삽입되며 이동되므로, 이동중지센서는 내부터널(10)의 후단에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이동중지센서가 가변지지부(34)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가변지지부(34)가 하강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프레임(frame)에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를 상판으로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승객의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울림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터널 보행데크(32)는 이용객의 이동시 발생하는 하중을 충분히 견디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내부터널 보행데크(12)는 예시적으로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를 내부터널(10)의 프레임에 용접하여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현재 국내 및 국외공항에서 운용되고 있는 이동식 탑승교는 터널 간의 큰 단차에 의해 일반 승객의 이동에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장애가 있거나 몸이 불편한 승객의 자가이동이 불가능한 구조이며, 일반승객도 단차로 인해 골절상을 입는 등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항공기 탑승시 이동식 탑승교 이용객들의 이동이 매우 불편한 실정이다.
본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10)의 바닥(11)과 외부터널(30)의 바닥(31) 각각의 상측에 별도의 보행통로인 내부터널 보행데크(12)와 외부터널 보행데크(32)를 구비함으로써, 내부터널(10)과 외부터널(30)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하여, 승객의 단차에 의한 전도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이동식 탑승교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객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몸이 불편한 승객도 자가 이동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점차 강화되는 장애인 복지 정책에도 충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이동식 탑승교는, 터널 내부에 보행통로를 따로 설치하여 내부터널(10)의 보행통로와 외부터널(30)의 보행통로의 높이를 맞춤으로써, 내부터널(10)과 외부터널(30) 사이의 단차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발판을 없애고 이동식 탑승교 내의 통행 공간을 직선화함으로써 일반 승객뿐만 아니라 휠체어 등을 이용해야 하는 장애인 승객도 편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식 탑승교에 설치되는 빗물받이를 제거할 수 있는 등과 같은 요인을 통해, 내부공간을 확대할 수 있고 이동식 탑승교 내부의 공간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어, 승객이 편하고 쾌적하며 여유롭게 이동식 탑승교를 이용할 수 있고, 휠체어의 이동이 편리해져 항공사 직원의 업무 부담 경감으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내부터널 30: 외부터널
11: 내부터널의 바닥 31: 외부터널의 바닥
32: 외부터널 보행데크 12: 내부터널 보행데크
13: 지지롤러 14: 가이드롤러
33: 외부터널 슬라이딩 롤러 34: 가변지지부
35: 힌지

Claims (13)

  1. 내부터널, 및 상기 내부터널의 후방에서 상기 내부터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에 대해 전방으로 수축 이동 또는 후방으로 확장 이동 가능한 외부터널을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에 있어서,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 상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보행통로를 형성하는 내부터널 보행데크; 및
    상기 외부터널의 바닥 상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외부터널의 보행통로를 형성하는 외부터널 보행데크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는,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과 상기 내부터널 보행데크 사이의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에 대한 상기 내부터널 보행데크의 이격 높이는,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에 대한 상기 외부터널 보행테크의 이격 높이와,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의 두께를 합한 것에 대응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후방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이 구비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의 하면을 지지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의 바닥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의 하면을 지지하는 가변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변지지부는 하강 구동에 의해 상기 외부터널 보행데크의 하면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부는,
    상기 외부터널의 전방으로의 수축 이동시, 상기 내부터널의 외주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강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부는 복수개이고,
    상기 복수개의 가변지지부 각각은, 상기 외부터널의 바닥에 전후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변지지부 각각은,
    상기 외부터널의 전방으로의 수축 이동시, 상기 내부터널의 후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하강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부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가변지지부 작동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부가 상기 내부터널의 후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안전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이동중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터널은 상기 이동중지센서의 감지시 그 이동이 중지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안전 거리는, 상기 미리 설정된 작동 거리에 비해 짧은 것인 이동식 탑승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중지센서는,
    상기 내부터널의 후단에서 상기 가변지지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것인 이동식 탑승교.
KR1020130133805A 2013-11-05 2013-11-05 이동식 탑승교 KR101389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805A KR101389948B1 (ko) 2013-11-05 2013-11-05 이동식 탑승교
EP14860666.8A EP3067277B1 (en) 2013-11-05 2014-06-10 Mobile boarding bridge
ES14860666T ES2703346T3 (es) 2013-11-05 2014-06-10 Pasarela de embarque móvil
PCT/KR2014/005071 WO2015068923A1 (ko) 2013-11-05 2014-06-10 이동식 탑승교
TR2018/19975T TR201819975T4 (tr) 2013-11-05 2014-06-10 Taşinabi̇li̇r bi̇ni̇ş köprüsü.
JP2016552373A JP6142095B2 (ja) 2013-11-05 2014-06-10 移動式搭乗橋
CN201480060684.2A CN105705418B (zh) 2013-11-05 2014-06-10 移动登机桥
US15/034,022 US9586697B2 (en) 2013-11-05 2014-06-10 Boarding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805A KR101389948B1 (ko) 2013-11-05 2013-11-05 이동식 탑승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948B1 true KR101389948B1 (ko) 2014-05-07

Family

ID=5089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805A KR101389948B1 (ko) 2013-11-05 2013-11-05 이동식 탑승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86697B2 (ko)
EP (1) EP3067277B1 (ko)
JP (1) JP6142095B2 (ko)
KR (1) KR101389948B1 (ko)
CN (1) CN105705418B (ko)
ES (1) ES2703346T3 (ko)
TR (1) TR201819975T4 (ko)
WO (1) WO20150689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542A (ko) * 2014-12-15 2016-06-23 한국공항공사 탑승교 충돌방지 시스템
KR101770021B1 (ko) * 2015-04-09 2017-08-21 한국공항공사 단차 제거형 이동식 탑승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5278B1 (en) * 2017-05-17 2021-06-30 Shinmaywa Industries, Ltd. Passenger boarding bridge
KR102105764B1 (ko) * 2018-08-23 2020-04-29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CN111645874B (zh) * 2020-06-18 2021-04-06 深圳市机场空港设备维修有限公司 一种远机位移动廊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908A (ja) * 2006-02-20 2007-08-30 Shin Meiwa Ind Co Ltd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1030A (en) * 1969-07-28 1971-02-09 Wollard Aircraft Equipment Inc Conveyance loader
US4357860A (en) * 1980-10-27 1982-11-09 Mccormick-Morgan, Inc. Telescoping conduit for pressurized air
US4543677A (en) * 1984-04-09 1985-10-01 Teledyne Industries, Inc. Airtight telescoping rigid conduit
US4620339A (en) * 1985-11-18 1986-11-04 Air-A-Plane Corporation Combined passenger loading bridge and utilities conduit between airport terminal and parked aircraft
US5084936A (en) * 1989-07-27 1992-02-04 Airline Industrial Machinery, Inc. Apparatus for raising and lowering a rotatable platform
DE4101430A1 (de) * 1990-02-05 1991-08-08 Falkenried Fahrzeug Gmbh Uebergangsbruecke
JPH09310308A (ja) * 1996-05-21 1997-12-02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旅客搭乗橋
CN1106977C (zh) * 2000-03-10 2003-04-30 吴俊� 一种通道结构与承重结构分离设置的登机桥
US6487743B1 (en) * 2001-11-29 2002-12-03 The Boeing Company Y-bridge airplane passenger gateway
US20030145399A1 (en) * 2002-02-01 2003-08-07 Brian Smith Extendable passenger loading bridge having improved placement of roller assemblies
CN1332854C (zh) * 2004-02-26 2007-08-22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登机桥辅助支撑装置和带有该装置的登机桥及其控制方法
CN2767325Y (zh) * 2005-01-24 2006-03-29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登机桥活动通道的移动装置
JP4700643B2 (ja) 2007-03-16 2011-06-15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4950857B2 (ja) * 2007-11-29 2012-06-13 全日空モーターサービス株式会社 伸縮長さ調整用搭乗橋
WO2009079614A2 (en) * 2007-12-18 2009-06-25 Otis Elevator Company Apparatus for moving tunnel part of boarding bridge
JP4663748B2 (ja) * 2008-03-10 2011-04-06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の接続部および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FR2962715B1 (fr) * 2010-07-13 2013-06-14 Airbus Operations Sas Systeme d'aeration pour aeronef.
JP5073109B1 (ja) * 2012-02-21 2012-11-14 全日空モーターサービス株式会社 無段差通路を有する航空機乗客搭乗橋
JP6144120B2 (ja) * 2013-06-12 2017-06-07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6908A (ja) * 2006-02-20 2007-08-30 Shin Meiwa Ind Co Ltd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542A (ko) * 2014-12-15 2016-06-23 한국공항공사 탑승교 충돌방지 시스템
KR101637778B1 (ko) 2014-12-15 2016-07-07 한국공항공사 탑승교 충돌방지 시스템
KR101770021B1 (ko) * 2015-04-09 2017-08-21 한국공항공사 단차 제거형 이동식 탑승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7277B1 (en) 2018-11-14
JP2017501085A (ja) 2017-01-12
CN105705418A (zh) 2016-06-22
TR201819975T4 (tr) 2019-01-21
US20160264261A1 (en) 2016-09-15
ES2703346T3 (es) 2019-03-08
JP6142095B2 (ja) 2017-06-07
WO2015068923A1 (ko) 2015-05-14
EP3067277A4 (en) 2017-07-05
EP3067277A1 (en) 2016-09-14
US9586697B2 (en) 2017-03-07
CN105705418B (zh)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948B1 (ko) 이동식 탑승교
US7900307B2 (en) Boarding bridge
EP3587332B1 (en) A lift for telescopic passenger stairs for boarding passengers in wheelchairs on a plane
US8555444B2 (en) Joint equipment and boarding bridge having the same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JP5721012B2 (ja) 乗下船用タラップ装置
CN106627309B (zh) 一种消防指挥综合作业车
US10604078B2 (en) Access device
KR100936020B1 (ko)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JP5099735B2 (ja) 伸縮手摺装置
KR102161136B1 (ko) 사다리 세트, 특히 소방용 사다리 및 사다리 세트가 장착된 차량
US20180265331A1 (en) Elevator commuter boar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JP6095410B2 (ja) バリアフリー乗下船設備
KR101770021B1 (ko) 단차 제거형 이동식 탑승교
CN205445620U (zh) 一种用于副井井口的可推移式行人平台
CN219339724U (zh) 一种伸缩通道维护栏
BRPI1102629A2 (pt) escada para acesso em aviÕes com elevador vertical
JP3865710B2 (ja) ヘリポート用モノレール
US9963893B2 (en) Bleacher having an integral front-aisle step
FI124435B (fi) Työlava konttilukissa olevien henkilöiden kuljettamiseksi
JPH01117194A (ja) 乗客コンベアの踏板
KR20180135165A (ko) 피난계단 겸용 객실선반
JP2008297051A (ja) 乗客コンベア
EP2653388A1 (en) Ladder with vertical elevator for access to aircrafts
JP2008297050A (ja) 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