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764B1 - 이동식 탑승교 - Google Patents

이동식 탑승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764B1
KR102105764B1 KR1020180098515A KR20180098515A KR102105764B1 KR 102105764 B1 KR102105764 B1 KR 102105764B1 KR 1020180098515 A KR1020180098515 A KR 1020180098515A KR 20180098515 A KR20180098515 A KR 20180098515A KR 102105764 B1 KR102105764 B1 KR 10210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unnel
boarding bridge
outer tunn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654A (ko
Inventor
조승상
박상훈
송지연
이병관
이재중
양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에이지이(주)
주식회사 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에이지이(주), 주식회사 트라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8009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764B1/ko
Priority to DE112019004215.7T priority patent/DE112019004215B4/de
Priority to PCT/KR2019/010252 priority patent/WO2020040469A1/ko
Priority to ES202190009A priority patent/ES2845024B2/es
Publication of KR20200022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를 개시한다.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 및 내부터널의 외면에 배치되고, 내부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외부터널을 포함하고, 외부터널은 외부터널의 승객이 통행하는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되, 외부터널의 내부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빗물받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탑승교{PASSENGER BOARDING BRIDGE}
본 발명은 이동식 탑승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터널과 외부터널의 바닥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제거하고, 비노출 빗물받이를 구비하는 외부터널을 구비하는 이동식 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탑승교의 2단 터널 구조로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바닥면의 큰 단차로 인하여 구조상 연결발판의 경사도가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승객의 이동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급격한 경사도로 인해 보행자가 전도하여 골절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휠체어를 이용하는 이용객은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특허로는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사이에 발생하는 바닥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한 등록 특허 제JP4700643호(발명의 명칭: 보딩 브릿지)는 외부터널의 이동에 따라 스프로켓을 회전시켜 가변통로를 감아 꺼냄으로써, 가변통로에 의해 외부터널과 내부터널 사이의 단차를 없애는 특허가 있다.
그러나, 가변통로를 구성하는 분할판, 분할판 바닥부품 및 가변통로의 이동을 위한 체인, 스프로켓 등 구성 부품의 수가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갖고 이동식 탑승교는 이중구조의 내부터널 및 외부터널이 이중구조로 구성되고 별도의 지지롤러가 필요하여 설치가 어렵고 생산비용이 높다. 내부터널과 외부터널 사이에 발생하는 바닥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한 종래의 보딩 브릿지는 가동을 위한 부품 수가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른 고장 발생률도 증가하며, 부품의 고장시 전체 구조물을 분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딩 브릿지는 공통적으로 보온기능을 하지 못하는 바닥면으로 구성되며, 바닥면이 외부와 단절없이 노출됨에 따라 냉난방 효과가 저하되어 에너지 소비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단차를 없애며, 구성이 쉬워, 설치 비용이 적게들어,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탑승교 장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시 예의 목적은, 외부터널과 내부터널의 단차를 줄여 승객의 이동시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이동식 탑승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빗물받이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탑승교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승객 및 공항 근무자의 이동 및 수하물 운반 시 불편 및 전도로 인한 사고발생의 위험을 방지하는 이동식 탑승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바닥면을 보온재로 구성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식 탑승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식 탑승교는 내부터널 및 상기 내부터널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외부터널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의 승객이 통행하는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터널의 내부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빗물받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외부터널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 상기 빗물받이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빗물받이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터널의 바닥면을 형성하되, 상기 외부터널 프레임과 사이에 상기 빗물받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상부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부바닥판은, 상기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사이의 간격보다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빗물받이부는, "ㄴ"자 형상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빗물받이부는, "ㄷ"자 형상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ㄷ"자 형상의 상측의 길이가 하측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외부터널은, 상기 빗물받이부 및 상기 상부바닥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보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보온부는, 상기 상부바닥판의 폭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보온부는, 상기 상부바닥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의 폭방향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격벽 중 일 격벽은 상기 상부바닥판 및 상기 빗물받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 격벽은 인접한 다른 지지보온부의 일 격벽과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일 격벽은, 양단의 돌출길이가 중앙부의 돌출길이보다 소정길이 작게 돌출되고, 상기 일 격벽의 중앙부는 상기 상부바닥판에 결합되고, 상기 일 격벽의 양단은 상기 빗물받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보온부는, 상기 일 격벽의 중앙부에서 상기 상부바닥판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닥판를 지지하는 바닥판 결합부 및 상기 일 격벽의 양단에서 상기 빗물받이부의 저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빗물받이부를 지지하는 빗물받이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보온부는,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내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의 내부 바닥면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하부마감판 및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보온부는,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보온부는, 상기 하부마감판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마감판 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한 쌍의 격벽 중 일 격벽은 상기 하부마감판과 결합되고, 타 격벽은 인접한 타 보온부의 일 격벽과 결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보온부는, 일 격벽의 하부마감판 쪽 단부에서 상기 하부마감판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마감판과 결합되는 마감판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보온부 중 상기 외부터널 쪽에 가장 인접한 보온부는 상기 외부터널 쪽 일단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내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 쪽에 가장 인접한 보온부의 상면과 상기 하부마감판의 외부터널 쪽 일단의 상면을 연결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경사부는, 상기 보온부의 상면과 상기 하부마감판의 일단의 상면을 연결하는 경사지지판,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마감판의 일단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하부마감판 및 상기 경사지지판 사이에 충진되는 보온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터널과 내부터널의 단차를 줄여 승객의 이동시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할 수 있다.
또한, 빗물받이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탑승교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승객 및 공항 근무자의 이동 및 수하물 운반 시 불편 및 전도로 인한 사고발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을 보온재로 구성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바닥면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바닥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식 탑승교의 내부터널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터널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이동식 탑승교의 외부터널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동식 탑승교의 외부터널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이동식 탑승교의 외부터널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바닥면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바닥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이동식 탑승교(1)는 공항의 항공기(미도시)를 이용하는 승객이 항공기에 안전한 탑승 및 하기를 위하여 공항 여객터미널의 탑승구와 항공기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이동식 탑승교는 항공기의 주기장 계류 여부 및 주기 위치에 따라 안전하게 항공기와 접현할 수 있도록 탑승교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부터널(10) 및 외부터널(20)로 이루어지는 2단 터널 구조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이동식 탑승교(1)는 로툰다(30), 로툰다(30)에 연결된 내부터널(10), 내부터널의 외면에 배치되어 내부터널(10)과 같은 방향인 좌우 또는 상하로 회전하거나 내부터널(10)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외부터널(20), 외부터널(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리프트칼럼(40), 리프트칼럼(40)에 연결되어 이동식 탑승교(1)의 전후 이동 또는 좌우 회전시키는 캐리지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
내부터널(10)은 내부터널 프레임(11), 하부마감판(12), 보온부(13), 경사부(14)를 포함하고, 외부터널(20)은 외부터널 프레임(21), 상부바닥판(22), 지지보온부(23) 및 빗물받이부(24)를 포함한다.
내부터널(10)의 하단의 양측에는 한 쌍의 내부터널 프레임(11)이 구비되고, 외부터널(20)의 내면 양측에 내부터널 프레임(11)과 대응되는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21)이 구비되어 외부터널(2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터널 프레임(11)과 외부터널 프레임(21) 사이에는 롤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터널(10)과 외부터널(20)에 롤러뿐만 아니라 베이링(미도시) 등의 접촉마찰을 줄일 수 있는 부재가 구비되어서, 외부터널(20)이 매끄럽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내부터널 프레임(11) 간의 이격거리는 외부터널 프레임(21)의 이격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서, 내부터널의 바닥면이 외부터널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터널 프레임(11)의 도 1에서의 상하방향 길이 즉 높이는 외부터널 프레임(21)보다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 때, 내부터널 프레임(11)의 높이는 하부마감판(12)과 외부터널(20)의 상부바닥판(22)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터널 프레임(11)은 롤러 및 외부터널 프레임(21)의 세로길이에 대응하여, 하부마감판(12)과 외부터널(20)의 상부바닥판(22)이 인접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진다. 내부터널 프레임(11)은 하부마감판(12)이 상부바닥판(22)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높이를 가져 내부터널(10) 및 외부터널(20)의 바닥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마감판(12)과 상부바닥판(22)은 0.5 내지 1.5cm의 인접거리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마감판(12)과 상부바닥판(22)인접거리가 0.5cm 보다 길면 하부마감판(12)과 상부바닥판(22)이 접촉할 수 있으며, 하부마감판(12)과 상부바닥판(22)높이차가 1.5cm 보다 높은 경우에 승객이 단차에 의해 넘어질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부마감판(12)과 상부바닥판(22)의 높이차는 1cm이하 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이동식 탑승교의 내부터널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내부터널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부마감판(12)은 외부터널(20)의 내부 바닥면과 인접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하부마감판(12)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서 내부터널 프레임(11)의 하측에 결합된다. 하부마감판(12)은 내부터널(10)의 최하부 저면을 구성한다. 하부마감판(12)의 일단은 외부터널(20)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외부터널(20)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하부마감판(12)이 평판 형태로 구비되게 되면 단차 방지에는 효과적이나, 단열성이 떨어져 냉난방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보온부(13)가 구비되면 하부마감판(12)에 단열성을 제공하여 냉난방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온부(13)는 하부마감판(12)의 상면에 구비된다. 보온부(13)는 내부터널 프레임(11) 길이방향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가진다. 보온부(13)는 내부터널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보온부(13)는 내부터널(10)의 승객이 이동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31), 바닥부(131)의 양단에서 하부마감판(1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격벽(132, 133) 및 마감판 결합부(134)를 포함한다.
바닥부(131)는 상면이 평평한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바닥부(131)는 하부마감판(12)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바닥부(131)의 상면은 하부마감판(12)과 5 내지 6cm 높이차를 갖도록 배치된다. 바닥부(131)의 폭은 한 쌍의 격벽(132, 133)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승객이 이동할 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쌍의 격벽(132, 133) 중 일 격벽은 하부마감판(12)과 결합되고, 타 격벽(132)은 인접한 타 보온부의 일 격벽과 결합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격벽(132, 133)은 제1격벽(132) 및 제2격벽(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 보온부의 제1격벽(132)은 인접한 타 보온부의 제2격벽과 결합될 수 있다. 제2격벽(133)은 하부마감판(1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격벽(133)은 제1격벽(132)보다 돌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하부마감판(12)에 결합될 수 있다.
마감판 결합부(134)는 일 격벽의 하부마감판(12) 쪽 단부에서 하부마감판(12)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서, 하부마감판(12)과 결합된다. 마감판 결합부(134)는 하부마감판(12)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서 하부마감판(12)과의 면대면 결합을 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온부(13)는 마감판 결합부(134)를 제외하고, 바닥부(131), 제1격벽(132) 및 제2격벽(133)으로도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보온부(13)는 하나의 평판을 절곡하여 바닥부(131), 제1격벽(132), 제2격벽(133) 및 마감판 결합부(134)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보온부(13)는 하부마감판(12)과 사이에 바닥부(131), 제1격벽(132) 및 제2격벽(133)으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보온부(13)는 수용공간에 보온재(135)가 충진된다. 보온재(135)는 단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보온재(135)는 내부터널(10)의 바닥을 단열하여 이동식 탑승교(1)의 냉난방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보온부(13)는 상면이 하부마감판(12)의 상면과 5cm 내지 6cm의 높이차를 가진다. 보온부(13)의 상면과 하부마감판(12)의 상면이 5cm 미만인 경우에는 보온재(135)의 충진량이 적어져 단열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6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부마감판(12)과 높이차로 인해 후술하는 경사부(14)의 경사각도가 커 승객의 이동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와서 설명하면, 보온부(13)는 하부마감판(12)과 단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외부터널(20) 쪽 단부까지 보온부(13)가 구비되면 외부터널(20)과 내부터널(10)에 단차가 형성된다. 보온부(13)는 단차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마감판(12)의 외부터널(20) 쪽 일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까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보온부(13)는 하부마감판(12)의 일단으로부터 250cm 내지 350cm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14)는 복수의 보온부(13) 중 외부터널(20) 쪽에 가장 인접한 바닥부(131)의 상면과 하부마감판(12)의 일단의 상면을 연결함으로써 단차를 경사형태로 변형시킨다. 경사부(14)는 경사지지판(141), 지지대(142), 보온재(143)를 포함한다.
경사지지판(141)은 복수의 보온부(13) 중 외부터널(20) 쪽에 위치한 보온부의 상면 및 하부마감판(12)의 일단의 상면을 연결한다. 여기서, 경사지지판(141)의 일단은 하부마감판(12)의 일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다. 예를 들어, 경사지지판(141)의 외부터널 쪽 단부는 하부마감판(12)의 일단부터 5 내지 15cm 이격되어 결합된다. 경사지지판(141)은 하부마감판(12)의 일단에서 이격된 지점에서 경사를 제거하여 경사와 단차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낙상사고을 방지할 수 있다.
경사지지판(141)은 보온부(13)의 상면과 하부마감판(12)의 상면에 소정기울기를 가지고 결합된다. 경사지지판(141)은 0.8 내지 1.5˚의 완만한 경사를 가진다. 경사지지판은 1.5˚를 초과하는 경사가 형성되면 승객이 이동할 때, 경사로 인한 불편함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경사지지판(141)은 내부터널(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하부마감판(12)과 평행하게 절곡되어서 보온부(13)의 상면과 하부마감판(12)의 상면을 연결한다. 경사지지판(141)의 절곡된 부분은 경사지지판(141)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사지지판(141)은 보온재 충진으로 인해 보온부(13)와 하부마감판(12)에 형성되는 높이차를 줄여, 승객의 이동시 안전과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지지대(142)는 복수로 구비되어서 경사지지판(141)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지지대(142)는 소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복수로 구비되어 경사지지판(141)을 지지한다. 지지대(142)는 하부마감판(12)의 일단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지지대(142)는 경사지지판(141)의 경사를 유지하며 지지할 수 있다.
보온재(143)는 경사지지판(141)과 하부마감판(12)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다. 보온재(143)는 앞서 설명한 보온재(135)와 동일한 단열성이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내부터널(10)은 보온재(135, 143)가 하부마감판(12) 상에 충진됨으로써 냉난방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내부터널(10)은 보온재(135) 충진으로 인한 높이차를 경사지지판(141)이 완만하게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높이차를 이동하는 승객이 느끼지 못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이동식 탑승교의 외부터널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이동식 탑승교의 외부터널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이동식 탑승교의 외부터널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외부터널(20)은 승객이 통행하는 내부 바닥면에 빗물받이부(24)를 구비한다. 여기서, 빗물받이부(24)는 외부터널(20)의 내부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비가 오는 경우에, 내부터널(10)의 저면에는 빗물이 맺히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터널(20)이 내부터널(1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내부터널(10)의 저면에 맺혀있는 빗물이 외부터널(20)의 내부 바닥면에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빗물받이부(24)가 외부터널(20)의 내부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됨으로써 내부터널에 맺힌 빗물도 빗물받이부(24)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빗물받이부(24)는 외부터널 프레임(21)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결합된다. 빗물받이부(24)는 외부터널 프레임(21)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빗물받이부(24)는 "ㄴ"형상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빗물받이부(24)는 "ㄴ"자 형상의 하측 단부가 외부터널 프레임(21)과 결합되어서 유입된 빗물이 빗물받이부(24)와 외부터널 프레임(21) 사이에 빗물을 모으게 된다. 빗물받이부(24)로 유입된 빗물은 외부터널 프레임(21)을 관통하는 별도의 배수홀(미도시) 또는 길이방향의 양단의 개구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부바닥판(22)은 빗물받이부(24)의 상측에 결합되어 외부터널(2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부바닥판(22)은 평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바닥판(22)은 외부터널(20)에서 승객이 밟고 이동하는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부바닥판(22)은 마주보는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21) 사이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바닥판(22)은 폭이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21)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바닥판(22)은 폭방향 양단이 외부터널 프레임(21) 각각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부바닥판(22)은 외부터널 프레임(21)과 빗물받이부(24)로 빗물이 유입되는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부바닥판(22)의 폭은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1 내지 3cm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바닥판(22)은 양단이 외부터널 프레임(21)과 0.5 내지 1.5cm 이격되어 배치된다. 외부터널(20)로 유입되는 빗물은 상부바닥판(22)이 외부터널 프레임(21)과 형성하는 틈을 따라 빗물받이부(24)로 유입된다.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부(24)는 0.5 내지 1.5cm 틈을 제외한 대부분이 상부바닥판(22)에 의해 가려지고 있어 탑승교(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빗물받이부(24)는 승객 및 공항 근무자의 이동 및 수하물 운반 시 불편 및 전도로 인한 사고발생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빗물받이부(24)는 폭이 10 내지 20cm로 형성되고, 높이가 2 내지 3cm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서 빗물받이부(24)의 단면형상을 "ㄴ"자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빗물받이부(24)의 "ㄷ"자 형상의 단면의 하측은 상측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빗물받이부(24)의 "ㄷ"자 형상의 단면의 하측은 외부터널 프레임에 결합된다. 빗물받이부(24)의 "ㄷ"자 형상의 단면의 상측은 상부바닥판(22)에 결합되어 지지한다. 여기서, 빗물받이부(24)의 "ㄷ"자 형상의 단면의 하측과 상측의 길이차는 상부바닥판(22)과 외부터널 프레임(21) 사이의 틈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보온부(23)는 빗물받이부(24) 및 상부바닥판(22)의 하부에 결합된다. 지지보온부(23)는 빗물받이부(24) 및 상부바닥판(22)을 지지한다. 지지보온부(23)는 상부바닥판(22)의 폭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가진다. 지지보온부(23)는 양단이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21) 사이에 결합된다. 여기서, 지지보온부(23)는 복수로 구비되어 빗물받이부(24) 및 상부바닥판(22) 전체에 걸쳐 빗물받이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지지보온부(23)는 저면부(231), 한 쌍의 격벽(232, 233), 바닥판 결합부(234) 및 빗물받이 결합부(236)를 포함한다.
저면부(231)는 상부바닥판(22)의 하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 예를 들어, 저면부(231)는 상부바닥판(22)의 저면과 5cm 내지 6cm의 높이차를 가진다.
한 쌍의 격벽(232, 233)은 저면부(231)의 양단에서 각각 상부바닥판(22)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격벽(232, 233) 중 일 격벽은 상부바닥판(22) 및 빗물받이부(24)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 격벽은 인접한 다른 지지보온부의 일 격벽과 결합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격벽(232, 233)은 제3격벽(232) 및 제4격벽(2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3격벽(232)은 인접한 지지보온부(23)의 제4격벽(233)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4격벽(233)은 상부바닥판(22)의 저면 및 빗물받이부(24)의 저면에 결합되어서 지지한다.
제4격벽(233)은 양단의 돌출길이가 중앙부의 돌출길이보다 소정길이 작게 돌출된다. 예를 들어, 제4격벽(233)은 길이방향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의 중앙 방향으로 10 내지 20cm가 중앙부의 돌출길이보다 2 내지 3cm 작게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제4격벽(233)의 양단은 빗물받이부(24)의 단면의 폭 및 높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4격벽(233)의 중앙부는 상부바닥판(22)에 결합되고, 양단은 빗물받이부(24)에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제4격벽(233)의 중앙부가 양단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어서, 빗물받이부(24)가 상부바닥판(22)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빗물받이부(24)는 틈을 통해 외부터널(20)로 유입된 빗물이 유입되며, 또한, 상부바닥판(22)에 유입된 빗물도 유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부바닥판(22)이 빗물받이부(24)의 대부분을 상부에서 가려 탑승교(1)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닥판 결합부(234)는 일 격벽의 중앙부에서 상부바닥판(22)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빗물받이 결합부(236)는 일격벽의 양단에서 빗물받이부(24)의 저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바닥판 결합부(234) 및 빗물받이 결합부(236)는 상부바닥판(22) 및 빗물받이부(24)를 지지하며, 면대면 결합으로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보온부(23)는 저면부(231) 및 한 쌍의 격벽(232, 233)으로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지지보온부(23)가 상부바닥판(22) 및 빗물받이 결합부(236)와 형성하는 수용공간에 보온재(235)가 구비된다. 보온재(235)는 보온재(135)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보온재(135, 143, 235)는 이동식 탑승교(1)의 저면 전체에 걸쳐 외기를 차단할 수 있어서 냉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탑승교 10: 내부터널
11: 내부터널 프레임 12: 하부마감판
13: 보온부 131: 바닥부
132: 제1격벽 133: 제2격벽
134: 마감판 결합부 135, 143, 235: 보온재
14: 경사부 141: 경사지지판
142: 지지대 20: 외부터널
21: 외부터널 프레임 22: 상부바닥판
23: 제2보온부 231: 저면부
232: 제3격벽 233: 제4격벽
234: 바닥판 결합부 236: 빗물받이 결합부
24: 빗물받이부 30: 로툰다
40: 리프트칼럼 50: 캐리지 어셈블리

Claims (19)

  1. 내부터널; 및
    상기 내부터널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외부터널;
    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의 승객이 통행하는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터널의 내부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빗물받이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호 마주보는 면에 상기 빗물받이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빗물받이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터널의 바닥면을 형성하되, 상기 외부터널 프레임과 사이에 상기 빗물받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상부바닥판; 및
    상기 빗물받이부 및 상기 상부바닥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보온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닥판은,
    상기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사이의 간격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는 이동식 탑승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부는,
    "ㄴ"자 형상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이동식 탑승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부는,
    "ㄷ"자 형상의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ㄷ"자 형상의 상측의 길이가 하측보다 짧게 형성되는 이동식 탑승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온부는,
    상기 상부바닥판의 폭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외부터널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이동식 탑승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온부는,
    상기 상부바닥판과 소정간격 이격되는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의 폭방향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격벽;
    을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 중 일 격벽은 상기 상부바닥판 및 상기 빗물받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 격벽은 인접한 다른 지지보온부의 일 격벽과 결합되는 이동식 탑승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 격벽은,
    양단의 돌출길이가 중앙부의 돌출길이보다 소정길이 작게 돌출되고,
    상기 일 격벽의 중앙부는 상기 상부바닥판에 결합되고,
    상기 일 격벽의 양단은 상기 빗물받이부에 결합되는 이동식 탑승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온부는,
    상기 일 격벽의 중앙부에서 상기 상부바닥판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바닥판를 지지하는 바닥판 결합부; 및
    상기 일 격벽의 양단에서 상기 빗물받이부의 저면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빗물받이부를 지지하는 빗물받이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온부는,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되는 이동식 탑승교.
  13. 내부터널; 및
    상기 내부터널의 외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외부터널;
    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의 승객이 통행하는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되, 상기 외부터널의 내부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빗물받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의 내부 바닥면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하부마감판; 및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온부;
    를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는,
    내부에 보온재가 충진되는 이동식 탑승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는,
    상기 하부마감판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내부터널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마감판 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격벽;
    을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16. 제15항에 있어서,
    한 쌍의 격벽 중 일 격벽은 상기 하부마감판과 결합되고,
    타 격벽은 인접한 타 보온부의 일 격벽과 결합되는 이동식 탑승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부는,
    일 격벽의 하부마감판 쪽 단부에서 상기 하부마감판과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마감판과 결합되는 마감판 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온부 중 상기 외부터널 쪽에 가장 인접한 보온부는 상기 외부터널 쪽 일단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내부터널은, 상기 외부터널 쪽에 가장 인접한 보온부의 상면과 상기 하부마감판의 외부터널 쪽 일단의 상면을 연결하는 경사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보온부의 상면과 상기 하부마감판의 일단의 상면을 연결하는 경사지지판;
    상기 하부마감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지지판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마감판의 일단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하부마감판 및 상기 경사지지판 사이에 충진되는 보온재;
    를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KR1020180098515A 2018-08-23 2018-08-23 이동식 탑승교 KR10210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15A KR102105764B1 (ko) 2018-08-23 2018-08-23 이동식 탑승교
DE112019004215.7T DE112019004215B4 (de) 2018-08-23 2019-08-13 Fluggastbrücke
PCT/KR2019/010252 WO2020040469A1 (ko) 2018-08-23 2019-08-13 이동식 탑승교
ES202190009A ES2845024B2 (es) 2018-08-23 2019-08-13 Puente de embarque mov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15A KR102105764B1 (ko) 2018-08-23 2018-08-23 이동식 탑승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54A KR20200022654A (ko) 2020-03-04
KR102105764B1 true KR102105764B1 (ko) 2020-04-29

Family

ID=6959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515A KR102105764B1 (ko) 2018-08-23 2018-08-23 이동식 탑승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105764B1 (ko)
DE (1) DE112019004215B4 (ko)
ES (1) ES2845024B2 (ko)
WO (1) WO202004046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1085A (ja) * 2013-11-05 2017-01-12 コリア エアポーツ コーポレーション 移動式搭乗橋
JP2017509547A (ja) * 2014-04-30 2017-04-06 コリア エアポーツ コーポレーション 移動式搭乗橋の雨ど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3830A (ja) * 2004-01-09 2005-07-21 Zennikku Motor Service Kk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CN2716138Y (zh) 2004-01-16 2005-08-10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登机桥通道
JP4700643B2 (ja) 2007-03-16 2011-06-15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CN201678049U (zh) 2010-01-11 2010-12-22 蒂森克虏伯机场系统(中山)有限公司 一种改进的登机桥
CN201703566U (zh) 2010-05-21 2011-01-12 蒂森克虏伯机场系统(中山)有限公司 一种登机桥的排水装置
CN202728581U (zh) 2012-06-07 2013-02-13 蒂森克虏伯机场系统(中山)有限公司 一种用于登机桥内部排水的多孔板结构
JP2014189055A (ja) * 2013-03-26 2014-10-06 Shin Meiwa Ind Co Ltd 旅客搭乗橋
KR101604210B1 (ko) 2015-04-03 2016-03-16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
KR101681831B1 (ko) * 2015-05-14 2016-12-13 현대로템 주식회사 배수로 노출 방지기능을 갖는 탑승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1085A (ja) * 2013-11-05 2017-01-12 コリア エアポーツ コーポレーション 移動式搭乗橋
JP2017509547A (ja) * 2014-04-30 2017-04-06 コリア エアポーツ コーポレーション 移動式搭乗橋の雨ど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45024A2 (es) 2021-07-23
DE112019004215B4 (de) 2024-05-29
KR20200022654A (ko) 2020-03-04
ES2845024B2 (es) 2022-10-10
ES2845024R1 (es) 2021-07-28
DE112019004215T5 (de) 2021-05-27
WO2020040469A1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2353B (zh) 高架在行车道路上空的且配置了立体车库的楼房或/和场地平台及其结构简化方案
US9194612B2 (en) Stand for supporting solar panels on a flat roof
EP0194372A2 (en) An outer heat insulating structure on a building roof
KR102105764B1 (ko) 이동식 탑승교
CN209457176U (zh) 一种预制轻质自保温外挂墙板
KR101604210B1 (ko) 이동식 탑승교
CN215054707U (zh) 楼梯单元、剪刀式楼梯结构及具有其的双跑楼梯
CN106013937A (zh) 高架在行车道路上空的且配置了立体车库的楼房或/和场地平台的简化方案的扩展
CN208473151U (zh) 一种预制楼梯
KR20130001790U (ko)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102240961B1 (ko) 이동식 탑승교
KR200372418Y1 (ko) 케이블 가이드
KR101770021B1 (ko) 단차 제거형 이동식 탑승교
CN215670053U (zh) 一种适于与山体立体互联互通的建筑
KR200281245Y1 (ko) 자주식 주차장치
CN203096596U (zh) 滑梯式天桥以及滑梯式天桥系统
JP4891039B2 (ja) 階段
CN220133280U (zh) 瓦片以及隔热型屋顶结构
CN109296088A (zh) 一种预制轻质自保温外挂墙板及其制作方法
EP2843158B1 (en) A modular system for the formation of guide tracks, especially for a sliding pool cover
CN113529931A (zh) 一种适于与山体立体互联互通的建筑
CN110435914B (zh) 登机桥固定端、登机桥、登机系统及登机系统的控制方法
JP6469968B2 (ja) カーポート
CN108240063B (zh) 一种装配式建筑弧形屋顶楼盖结构
KR20030049035A (ko) 자주식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