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790U -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790U
KR20130001790U KR2020110008581U KR20110008581U KR20130001790U KR 20130001790 U KR20130001790 U KR 20130001790U KR 2020110008581 U KR2020110008581 U KR 2020110008581U KR 20110008581 U KR20110008581 U KR 20110008581U KR 20130001790 U KR20130001790 U KR 201300017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plate
fitting
bracket
a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이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준 filed Critical 이석준
Publication of KR20130001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7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되게 벽면에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상부끼움홈, 중간끼움홈 및 하부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의 상면에 적재되며, 양측면의 가운데 영역에 상기 상부끼움홈에 삽입되는 상부삽입고리가 형성된 상부차양판과; 상부영역이 상기 상부끼움홈에 삽입되고, 가운데 영역에 상기 하부끼움홈에 삽입되는 하부삽입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지지브래킷의 후단부에 상기 상부차양판과 단차지게 배치되는 하부차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AWNING HAVING DOUBLE STRUCTURE}
본 고안은 차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차양이 단차지게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에 관한 것이다.
차양은 주택이나 상가 또는 가건물 등의 외벽에 설치되는 햇빛이나 눈,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132361에는 옥외용 차양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옥외용 차양은 브래킷와, 브래킷 상에 지지되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옥외용 차양은 브래킷 상에 덮개판이 덮여지므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길이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즉, 햇빛을 차폐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덮개판을 크게 할 경우 덮개판의 하중을 브래킷이 지지하지 못해 부러지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덮개판에는 빗물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빗물의 무게에 의해 덮개판이 무너져 내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덮개판은 하부에서 부는 바람에 의해 덮개판이 브래킷로부터 들려져 브래킷와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차양은 브래킷를 벽면에 볼트에 의해 일일이 체결하고, 브래킷의 상면에 덮개판을 다시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자의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며 차양의 길이 연장이 용이한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양의 물받이 구조를 개선하여 빗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심미감도 제공할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바람에 의해 차양이 브래킷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양은 서로 이격되게 벽면에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상부끼움홈, 중간끼움홈 및 하부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의 상면에 적재되며, 양측면의 가운데 영역에 상기 상부끼움홈에 삽입되는 상부삽입고리가 형성된 상부차양판과; 상부영역이 상기 상부끼움홈에 삽입되고, 가운데 영역에 상기 하부끼움홈에 삽입되는 하부삽입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지지브래킷의 후단부에 상기 상부차양판과 단차지게 배치되는 하부차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바의 상면은 원호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차양판과 상기 하부차양판은 상기 지지바의 판면을 따라 라운딩지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의 하부영역에는 판면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라운딩지게 돌출형성된 상부물받이와 하부물받이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끼움홈돌기와 상기 하부끼움돌기의 판면에는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제1끼움돌기 및 제2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고리와 상기 하부결합고리의 판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와 상기 제2끼움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끼움돌기와 상기 상부결합고리 및 상기 하부끼움돌기와 상기 하부결합고리는 각각 후크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면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부영역에 상기 측면지지브래킷이 결합지지되는 정면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면브래킷은,판상의 정면브래킷본체와; 상기 정면브래킷본체의 판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차양판의 상부영역이 삽입수용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중 하부에 위치한 하부가이드레일에는 하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브래킷삽입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브래킷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측면브래킷삽입리브가 삽입되는 정면브래킷결합홈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지지브래킷은 상기 정면브래킷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양은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측면지지브래킷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서로 단차지게 적층배치되므로 차폐면적을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다.
이 때,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겹쳐지는 영역에 바람이 소통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의 단부영역에 각각 물받이를 구비하여 빗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의 형상이 외측방향으로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가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면브래킷과 상부차양판 및 측면지지브래킷이 서로 치합되는 구조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체결부재의 체결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빠르고 신속하게 견고한 차양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차양이 설치되는 장소의 면적을 고려하여 설치시에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100)의 외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100)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100)은 차양이 설치될 벽면(A)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정면브래킷(140)과, 정면브래킷(140)의 양단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과,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상면에 단차지게 배치되는 상부차양판(120) 및 하부차양판(130)을 포함한다.
정면브래킷(140)은 차양이 설치될 벽면(A)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길이 결합된다. 정면브래킷(140)은 벽면(A)에 결합되는 정면브래킷본체(141)와, 정면브래킷본체(141)의 판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홈(142)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43)과, 가이드레일(143)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측면지지브래킷(110)과 결합되는 측면브래킷삽입리브(145)를 포함한다.
정면브래킷본체(141)는 일정 길이를 판상재질로 구비된다. 정면브래킷본체(141)의 길이는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가로길이에 비해 일정길이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면브래킷본체(141)는 내구성을 위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정면브래킷본체(141)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47)에 의해 벽면(A)에 고정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43)은 정면브래킷본체(141)의 판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형성되어 둘 사이에 가이드홈(142)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43)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홈(142)에는 상부차양판(120)의 상부영역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위치가 구속된다. 이에 의해 상부차양판(120)을 고정하기 위해 상부차양판(120)을 벽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된다.
측면브래킷삽입리브(145)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43) 중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43)의 하면에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정면브래킷결합홈(119)에 결합된다. 이러한 측면브래킷삽입리브(145)와 정면브래킷결합홈(119)의 결합구조에 의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고정시에 작업자는 측면지지브래킷(110)의 하부영역만 체결부재로 체결하게 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된다.
즉, 정면브래킷(140)의 설치에 의해 측면지지브래킷(110)과 상부차양판(120)의 위치고정구조가 간편해지므로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측면지지브래킷(110)은 아치형상을 갖는 측면브래킷본체(111)와,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양측에 연장형성되어 측면브래킷본체(111)를 벽면(A)에 고정하는 고정리브(112)와,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면을 따라 상부끼움홈(113a), 중간끼움홈(115a) 및 하부끼움홈(117a)이 형성되도록 돌출형성된 상부끼움돌기(113), 중간끼움돌기(115) 및 하부끼움돌기(117)를 포함한다.
측면브래킷본체(111)는 상면에 적재되는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일정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된다.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수평길이(L1)는 상부차양판(120)의 길이(L2)와 하부차양판(130)의 길이(L3)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도 원호형상으로 적재되게 된다.
여기서,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부영역은 정면브래킷(140)에 접촉지지되고, 하부영역은 고정리브(112)가 벽면에 체결부재(112a)에 의해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부영역은 정면브래킷(140)의 가이드레일(135)와 정면브래킷결합홈(119)에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된다.
즉, 측면지지브래킷(110) 설치시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정면브래킷결합홈(119)이 측면브래킷삽입리브(145)를 수용하도록 측면브래킷본체(111)를 정면브래킷(140)의 하부영역에 밀착시키고 체결부재(112a)를 벽면에 결합시켜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 때, 작업자는 측면지지브래킷(110)을 정면브래킷(140)의 가이드레일(143) 하부영역으로 밀착시킨 후 하부영역만 체결부재(112a)로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된다.
상부끼움돌기(113)와 중간끼움돌기(115) 및 하부끼움돌기(117)는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면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상부끼움돌기(113), 중간끼움돌기(115) 및 하부끼움돌기(117)가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면에 일정길이 돌출되게 되므로 각 끼움돌기(113,115,117))의 하부영역에는 상부끼움홈(113a), 중간끼움홈(115a) 및 하부끼움홈(117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끼움돌기(113)과 하부끼움돌기(117)의 표면에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끼움요철(113b)과 제2끼움요철(117b)이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요철되는 형상과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거나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요철간의 높이와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차양판(120)은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전면에 적재된다. 상부차양판(120)은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상면에 덮혀지며 햇빛을 가리는 상부차양판본체(121)와, 상부차양판본체(121)의 가운데 영역의 양측에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부끼움홈(113a)에 삽입되는 상부삽입고리(123)를 포함한다.
상부차양판본체(121)는 상부끼움홈(113a)과 중간끼움홈(115a)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부차양판본체(121)의 하부영역은 중간끼움홈(115a)에 대해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면을 커버하여 적층구조를 이루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은 측면지지브래킷(110)의 가운데 영역에서 서로 적층되며 다단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다단구조에 의해 외부로 보이는 디자인적인 요소가 배가되어 차양이 단순히 햇빛을 가리는 용도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관을 부각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본체(121)의 하단면에는 상부물받이(125)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상부물받이(125)가 상부차양판본체(121)에 대해 돌출 형성되므로 상부차양판본체(121)를 따라 빗물이 넘치거나 쌓이지 않고 양측면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빗물의 무게에 의해 상부차양판(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부물받이(125)는 판면으로부터 일정높이(h1) 돌출되므로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다단구조를 보다 강조하고 디자인적인 요소도 부가시킬 수 있다.
상부삽입고리(123)는 상부차양판본체(121)의 가운데 영역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상부끼움홈(113a)에 후크결합된다. 상부삽입고리(123)는 상부끼움돌기(113)와 상부끼움홈(113a)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이 상부차양판(120)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때, 상부삽입고리(123)의 판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성된 제1결합돌기(123a)가 구비된다. 제1결합돌기(123a)는 상부삽입고리(123)가 상부끼움홈(113a)에 후크결합될 때 상부끼움돌기(113)의 제1끼움요철(113b) 형상과 맞물리면서 후크결합된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하부차양판(130)은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의 후단부영역에 적재된다. 하부차양판(130)은 측면지지브래킷(110) 상에 적재되는 하부차양판본체(131)와,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중간끼움홈(115a)에 삽입되는 중간삽입돌기(133)와, 하부차양판본체(131)의 가운데영역에 구비되어 하부끼움홈(117a)에 끼워지는 하부삽입고리(135)와, 하부차양판본체(131)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하부물받이(137)를 포함한다.
하부차양판본체(131)는 중간끼움홈(115a)에서 하부끼움홈(117a)을 걸쳐 하부영역으로 일정길이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부영역은 상부차양판(120)의 상부물받이(125)의 하부영역으로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 때,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부영역과 상부차양판본체(121)의 하부영역 사이는 일정 간격(도6의 h)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이격 간격은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 사이에 바람이 소통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바람이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강하게 불 때 이격 간격으로 소통하게 되므로 바람에 의해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이 들리거나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중간삽입돌기(133)는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중간삽입돌기(133)는 중간끼움홈(115a)의 크기에 대응되게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부영역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삽입고리(135)는 하부끼움홈(117a)과 하부끼움돌기(117)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 때, 하부삽입고리(135)의 판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형성된 제2결합돌기(135a)가 구비된다. 제2결합돌기(135a)는 하부삽입고리(135)가 하부끼움홈(117a)에 후크결합될 때 하부끼움돌기(117)의 제2끼움요철(117b) 형상과 맞물리면서 후크결합된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하부물받이(137)는 하부차양판본체(131)의 하단면에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물받이(125)의 절곡높이(h1)와 하부물받이(137)의 절곡높이(h2)는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른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은 서로 다른 색상과 디자인으로 구비되어 심미감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100)의 설치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벽면에 정면브래킷(140)을 설치한다. 정면브래킷본체(141)를 체결부재(147)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정면브래킷본체(141)의 양단부에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을 설치한다.
정면브래킷본체(141)의 상부영역을 정면브래킷본체(141)의 가이드레일(143)에 접촉시키고 정면브래킷결합홈(119)에 측면브래킷삽입리브(119)가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지지리브(112)를 벽면에 접촉시키고, 체결부재(112a)를 이용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위치를 고정한다.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면에 상부차양판(120)을 설치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차양판본체(120)의 상부영역을 가이드홈(142)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한 후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삽입고리(123)를 상부끼움홈(113a)에 삽입하여 후크결합시켜 위치를 고정한다.
상부차양판(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하부차양판(130)을 설치한다. 하부차양판(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삽입돌기(133)를 중간끼움홈(115a)에 삽입하고, 하부삽입고리(135)를 하부끼움홈(117a)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이 때도 하부삽입고리(135)를 먼저 하부끼움홈(117a)에 삽입한 후 중간삽입돌기(133)를 탄성적으로 중간끼움홈(115a)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차양은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의 이중구조로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세 개의 차양을 단차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측면지지브래킷에 끼움홈을 추가로 배치하고, 추가 차양을 단차지게 배치하여 차양의 전체 크기를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의 길이는 설치되는 벽면의 창의 크기를 고려하여 현장에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의 폭이 길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지지브래킷을 일정간격으로 복수개(110a,110b,110c)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양은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측면지지브래킷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서로 단차지게 적층배치되므로 차폐면적을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다.
이 때,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겹쳐지는 영역에 바람이 소통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의 단부영역에 각각 물받이를 구비하여 빗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의 형상이 외측방향으로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가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면브래킷과 상부차양판 및 측면지지브래킷이 서로 치합되는 구조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체결부재의 체결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빠르고 신속하게 견고한 차양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차양이 설치되는 장소의 면적을 고려하여 설치시에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차양 110 : 측면지지브래킷
111 : 측면브래킷본체 112 : 고정리브
113 : 상부끼움돌기 113a : 상부끼움홈
113b : 제1끼움요철 115 : 중간끼움돌기
115a : 중간끼움홈 117 : 하부끼움돌기
117a : 하부끼움홈 117b : 제2끼움요철
119 : 정면브래킷결합홈 120 : 상부차양판
121 : 상부차양판본체 123 : 상부삽입고리
123a : 제1결합돌기 125 : 상부물받이
130 : 하부차양판 131 : 하부차양판본체
133 : 중간삽입돌기 135 : 하부삽입고리
135a : 제2결합돌기 137 : 하부물받이
140 : 정면브래킷 141 : 정면브래킷본체
142 : 가이드홈 143 : 가이드레일
145 : 측면브래킷삽입리브 147 : 체결부재

Claims (7)

  1.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게 벽면에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상부끼움홈, 중간끼움홈 및 하부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의 상면에 적재되며, 양측면의 가운데 영역에 상기 상부끼움홈에 삽입되는 상부삽입고리가 형성된 상부차양판과;
    상부영역이 상기 상부끼움홈에 삽입되고, 가운데 영역에 상기 하부끼움홈에 삽입되는 하부삽입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지지브래킷의 후단부에 상기 상부차양판과 단차지게 배치되는 하부차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상면은 원호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차양판과 상기 하부차양판은 상기 지지바의 판면을 따라 라운딩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차양판과 상기 하부차양판의 하부영역에는 판면의 외측방향으로 라운딩지게 돌출형성된 상부물받이와 하부물받이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끼움홈돌기와 상기 하부끼움돌기의 판면에는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제1끼움요철 및 제2끼움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결합고리와 상기 하부결합고리의 판면에는 상기 제1끼움요철과 상기 제2끼움요철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끼움돌기와 상기 상부결합고리 및 상기 하부끼움돌기와 상기 하부결합고리는 각각 후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5. 제4항에 있어서,
    벽면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양단부영역에 상기 측면지지브래킷이 결합지지되는 정면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면브래킷은,
    판상의 정면브래킷본체와;
    상기 정면브래킷본체의 판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상부차양판의 상부영역이 삽입수용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중 하부에 위치한 하부가이드레일에는 판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측면브래킷삽입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브래킷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측면브래킷삽입리브가 삽입되는 정면브래킷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브래킷은 상기 정면브래킷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2020110008581U 2011-09-06 2011-09-23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2013000179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8104 2011-09-06
KR2020110008104 2011-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790U true KR20130001790U (ko) 2013-03-14

Family

ID=5242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581U KR20130001790U (ko) 2011-09-06 2011-09-23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79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2733A (zh) * 2020-02-23 2020-04-03 佛山市南海颐高建材有限公司 防松动伸缩型玻璃雨棚
KR102370816B1 (ko) 2021-06-15 2022-03-04 김민소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20230014967A (ko) 2021-07-22 2023-01-31 김민소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2733A (zh) * 2020-02-23 2020-04-03 佛山市南海颐高建材有限公司 防松动伸缩型玻璃雨棚
KR102370816B1 (ko) 2021-06-15 2022-03-04 김민소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20230014967A (ko) 2021-07-22 2023-01-31 김민소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40987A1 (en) Device for supporting at least one solar panel
AU2014100071A4 (en) Multi-groove guide rail
CN107849846B (zh)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EP2961905B1 (en) Partition wall system with clamping profile
US20190048658A1 (en) Construction assembly for installing a roller blind or the like
US20150034262A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EP3284877B1 (en) Ventilated façade
KR200465656Y1 (ko) 분할식 창호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US20080196843A1 (en) Rail structure for window blinds
KR20130001790U (ko)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ITPD20080379A1 (it) Sostegno antiscivolamento per pannelli solari e simili
CN105275175A (zh) 建筑外饰材料用桁架组件
US20190078384A1 (en) Guide device for guiding an erected screen and method for mounting a guide profile of such a guide device on a door or frame profile
EP3636850B1 (en) Pergola
KR101250508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130005866U (ko)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101069588B1 (ko) 경량철골 천장시스템 설치 구조
US8973904B2 (en) Fence assembly
KR102061472B1 (ko) 차량용 어닝 구조물
KR101458605B1 (ko) 루프패널과 루프패널 시공방법
JP6184055B2 (ja) 屋根構造体
KR20120003820U (ko) 조립식화장실의 칸막이용 걸레받이
KR200446097Y1 (ko) 조립식 창틀 프레임의 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