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967A -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 Google Patents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967A
KR20230014967A KR1020210096173A KR20210096173A KR20230014967A KR 20230014967 A KR20230014967 A KR 20230014967A KR 1020210096173 A KR1020210096173 A KR 1020210096173A KR 20210096173 A KR20210096173 A KR 20210096173A KR 20230014967 A KR20230014967 A KR 20230014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unit
pair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816B1 (ko
Inventor
김민소
Original Assignee
김민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소 filed Critical 김민소
Priority to KR102021009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8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차양막부재를 소정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서포트부재; 상기 차양막부재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부재; 상기 회전프레임부재의 상면과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부재;를 마련하여 기존의 건축물에 휴게공간 또는 휴식공간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내부공간부와 옥상공간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2층 구조로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가족 단위의 여가 활ŠE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Multi-stage variable aw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추가 공간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용도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해서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 등에 커튼, 블라인드 및 롤스크린 등과 같은 차양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상술한 목적 이외에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을 갖는다.
또한, 벽이나 유리에서 느껴지는 단단하고 차가운 느낌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바꿔 인테리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차양장치는 개폐 동작에 따라 좌우로 개폐되는 방식과 상하로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분은 일반적이고 개괄적인 구분일 뿐이며, 실질적으로는 롤 블라인드(roll blind), 버티컬 블라인드(vertical blind), 스크린 블라인드(screen blind), 로만셰이드(roman shade), 콤비 스크린(combi screen) 등의 스크린 또는 블라인드를 브라켓의 한쪽에 설치된 스프로킷(sprocket)에 연결된 볼체인과 같은 구동와이어를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차양막이 권취바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블라인드에서 차양막을 상하 내지 좌우로 작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구동와이어에 아이들이 걸려 넘어지거나, 심지어 상기 구동와이어에 목이 감겨 질식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최근들어 어린 아이들이 상기 구동와이어에 목이 걸려 질식하거나 사망에까지 이르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에 기출시된 블라인드 제품 5000만여개가 리콜 조치되는 일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블라인드를 안전관리품목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으며, 이에 맞춰 상기 구동와이어의 안전 기준을 마련한 계획이다.
한편 상기 창호프레임을 개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실내 송풍장치에 의해 상기 차양막이 요동되는 경우 상기 차양막을 중력방향으로 펼치기 위해 상기 차양막 하단에 구비되는 무게부재가 상기 창호프레임과 충돌되어 소음이 발생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무게부재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인접한 가구 등의 물체와 충돌하는 경우 파손되는 문제점 역시 야기될 수 있었다.
차양장치는 건물의 출입구나 벽면 등에 직사광선이나 빗물을 막아 출입을 용이하게 하거나, 상점의 경우 적재된 상품의 보호는 물론이고 매장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통상적으로 차양막을 고정시켜 구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렇게 고정식으로 구성할 경우 바깥쪽으로 펼쳐진 차양막이 차량에 부딪히거나 바람이나 눈 또는 비가 많을 경우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차양막이 감기는 회전축이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고, 차양막의 끝단을 이동시켜 펼치도록 하는 링크장치로 구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차양막을 펼치는 절첩식 아암의 길이에 한계가 있고, 과도한 길이로 펼칠 경우 아암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넓은 면적으로의 차양을 설치할 수 없었고, 차양막이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아암에 의해 지지되어 강풍이나 폭설 및 폭우 등에 견디는 힘이 약하여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는 차양막이 회전 승강되도록 권취되되, 일단부에 제1스프로킷부가 구비된 회전구동부가 연결된 권취바와, 회전견인됨에 따라 상기 권취바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상단부가 상기 제1스프로킷부 외주에 권취 결합되는 볼체인으로 이루어진 구동와이어 및 상기 구동와이어의 하단부가 외주에 권취 결합되는 제2스프로킷부와, 상기 제2스프로킷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되 외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케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케이스부는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단턱홈이 형성된 전면케이스와, 상기 결합단턱홈과 대향되는 위치에 돌설되되, 상기 결합단턱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 후면케이스와, 상기 제2스프로킷부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케이스 및 상기 후면케이스에 결합되어 회전지지하는 관통결합부와, 상기 전면케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와이어의 길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외부 구조물에 고정되는 안전브라켓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은 다단 관람석-상기 다단 관람석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됨-에 설치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있어서,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영역인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와, 상기 다단 관람석와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와, 상기 차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가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부분과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차단제한부 및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제한부를 지지하는 차단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1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측면과 상기 제2 관람석단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측면에 연결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12418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989051호 대한민국 실용산안 공개번호 제20-2013-00017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실 공간과 휴양 공간 등의 다양한 용도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소강 프레임과 폴리카보네이트를 체결수단으로 조립하여 차양막 구조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족단위의 독립공간을 제공하여 글램핑 시설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오염 및 화재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유지 및 보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은 차양막부재(170)를 소정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서포트부재(110); 상기 차양막부재(170)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부재(130);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30)의 상면과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10)는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111)와 제3 서포트(113); 상기 제1 서포트(111)와 제3 서포트(113)의 후방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서포트(112)와 제4 서포트(114); 상기 차양막부재(170)를 원하는 각도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상기 제1 서포트(111) 내지 제4 서포트(114)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회전브래킷(115) 내지 제4 회전프래킷(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30)는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1 차양막(171)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1 차양막유닛(131);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2 차양막(172)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2 차양막유닛(135);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3 차양막(173)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3 차양막유닛(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차양막(171)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삼각프레임(132)과, 상기 제1 차양막(171)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삼각프레임(132)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3)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33)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1 중간프레임(1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차양막(172)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삼각프레임(136)과, 상기 제2 차양막(172)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삼각프레임(136)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7)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37)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2 중간프레임(13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은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의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보다 길이와 폭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차양막(173)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사각프레임(142)과, 상기 제3 차양막(173)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42)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 수평프레임(143)과, 상기 한 쌍의 제3 수평프레임(143)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3 중간프레임(1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이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보다 길이와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에는 제3 수평프레임(14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전방프레임(145); 상기 전방프레임(145)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고정브래킷(146); 간격조절와이어(150)를 탄력적으로 감아줄 수 있게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46)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롤러(147);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수평프레임(133)에 설치되는 하부고정브래킷(148);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4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149); 상기 탄성롤러(147)와 상기 회전롤러(149)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전개 시 팽팽하게 전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간격조절와이어(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에 의하면, 기존의 건축물에 휴게공간 또는 휴식공간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내부공간부와 옥상공간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2층 구조로 공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여 가족 단위의 여가 활ŠE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에 의하면, 탄소강 프레임과 패널을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하여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글램핑 시설 대비 오염 및 화재로부터 자유로우며, 유지와 보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의 간격조절와이어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은 차양막부재(170)를 소정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서포트부재(110)와, 상기 차양막부재(170)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부재(130)와,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30)의 상면과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부재(1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부재(110)는 데크(10)상에 놓여지는 것으로, 차양막부재(170)를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10)는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111)와 제3 서포트(113)와, 상기 제1 서포트(111)와 제3 서포트(113)의 후방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서포트(112)와 제4 서포트(114)와, 상기 차양막부재(170)를 원하는 각도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상기 제1 서포트(111) 내지 제4 서포트(114)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회전브래킷(115) 내지 제4 회전프래킷(118)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부재(110)는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111)와 제2 서포트(1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서포트(111)와 제2 서포트(112)의 후방에는 각 서포트(111, 112)에 대응되게 제3 서포트(113)와 제4 서포트(114)가 설치된다.
도 4는 차양막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차양막유닛(131, 135, 141)을 분해한 것이고, 도 4(b)는 회전프레임부재(130)가 결합된 상태의 입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서포트(111~114)의 상면에는 회전브래킷(115~118)가 설치되며, 이들 회전브래킷(115~118)은 회전프레임부재(130)의 각 차양막유닛(131, 135), 141)을 원하는 각도로 전개(접힘과 펼침)가 이루어지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즉, 각 회전브래킷(115~118)은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 및 제3 차양막유닛(141)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의 간격조절와이어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30)는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1 차양막(171)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2 차양막(172)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2 차양막유닛(135)과,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3 차양막(173)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3 차양막유닛(141)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30)는 제1 차양막(171)이 설치되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2 차양막(172)이 설치되는 제2 차양막유닛(135)과, 제3 차양막(173)이 설치되는 제3 차양막유닛(141)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차양막유닛(131, 135, 141)은 각 회전브래킷(115~1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차양막(171)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삼각프레임(132)과, 상기 제1 차양막(171)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삼각프레임(132)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3)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33)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1 중간프레임(134)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차양막(172)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삼각프레임(136)과, 상기 제2 차양막(172)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삼각프레임(136)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7)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37)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2 중간프레임(1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은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의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양측에는 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한 쌍의 제1 삼각프레임(132)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삼각프레임(132) 사이에는 제1 수평프레임(133)이 설치된다.
또 상기 한 쌍의 제1 수평프레임(133)에는 중간 위치에 제1 중간프레임(134)이 설치된다.
또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의 양측에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 삼각프레임(136)이 설치되고, 상지 한 쌍의 제2 삼각프레임(136) 사이에는 한 쌍의 제2 수평프레임(137)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2 수평프레임(137)의 중간에는 제2 중간프레임(138)이 설치된다.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차양막(173)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사각프레임(142)과, 상기 제3 차양막(173)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42)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 수평프레임(143)과, 상기 한 쌍의 제3 수평프레임(143)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3 중간프레임(1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이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양측에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사각프레임(142)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사각프레임(142) 사이에는 한 쌍의 제3 수평프레임(143)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3 수평프레임(143)의 중간 위치에는 제3 중간프레임(144)이 설치된다.
또 상기 제3 수평프레임(143)의 전반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전방프레임(145)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45)의 하부에는 상부고정브래킷(146)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46)의 저면에는 간격조절와이어(150)를 탄력적으로 감아주는 탄성롤러(14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수평프레임(133)에는 하부고정브래킷(148)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48)에는 탄성롤러(147)에 대응되는 회전롤러(14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탄성롤러(147)와 회전롤러(149)에는 간격조절와이어(150)가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절와이어(150)의 일단은 탄성롤러(147)에 고정되고, 상기 간격조절와이어(150)의 타단은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수평프레임(133)에 고정된다.
상기 간격조절와이어(150)는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펼침 시 전개된 상태를 팽팽하게 유지시켜 줄 뿐만 아니라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접힘 시 이들 차양막유닛(131, 135, 141)이 접힌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또한 상기 각 중간프레임(134, 138, 144)의 외측에는 간격조절와이어(1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구(151)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이에 간격조절와이어(150)는 안내구(151)를 따라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탄성롤러(147)에는 간격조절와이어(150)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감겨지며, 상기 탄성롤러(147)는 토션스프링 또는 인장스프링 등의 탄성에 의해 간격조절와이어(150)를 감거나 풀어주게 된다.
상기 차양막유닛(131, 135, 141)의 외면에는 각각 차양막부재(170)가 설치되는데, 제1 차양막유닛(131)의 외면에는 제1 차양막(171)이 설치되고, 제2 차양막유닛(135)의 외면에는 제2 차양막(172)이 설치되며, 제3 차양막유닛(141)의 외면에는 제3 차양막(173)이 설치된다.
또 상기 각 차양막유닛(131, 135, 141)의 양 측면에는 각각 측면차양막(174)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측면차양막(174)은 제1 차양막유닛(131)에 설치되는 제1 측면차양막(175), 제2 차양막유닛(135)에 설치되는 제2 측면차양막(176), 제3 차양막유닛(141)에 설치되는 제3 측면차양막(17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4 측면차양막(178)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은 데크(10) 등에 서포트부재(110)를 설치하며, 상기 서포트부재(110) 상에 회전프레임부재(130)인 각 차양막유닛(131, 135, 141)을 설치하게 된다.
이들 각 차양막유닛(131, 135, 141)은 회전브래킷(115~1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은 회전브래킷(115~1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외측에는 제2 차양막유닛(13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차양막유닛(135)의 외측에는 제3 차양막유닛(14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은 제1 차양막유닛(131)이 내측으로 전개되게 제1 차양막유닛(131)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제2 차양막유닛(135)이 내측으로 전개되게 제2 차양막유닛(135) 보다 크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서포트부재 111: 제1 서포트
112: 제2 서포트 113: 제3 서포트
114: 제4 서포트 115: 제1 회전브래킷
116: 제2 회전브래킷 117: 제3 회전브래킷
118: 제4 회전브래킷
130: 회전프레임부재 131: 제1 차양막유닛
132: 제1 삼각프레임 133: 제1 수평프레임
134: 제1 중간프레임 135: 제2 차양막유닛
136: 제2 삼각프레임 137: 제2 수평프레임
138: 제2 중간프레임
141: 제3 차양막유닛 142: 사각프레임
143: 제3 수평프레임 144: 제3 중간프레임
145: 전방프레임 146: 상부고정브래킷
147: 탄성롤러 148: 하부고정브래킷
149: 회전롤러 150: 간격조절와이어
170:차양막부재 171: 제1 차양막
172: 제2 차양막 173: 제3 차양막
174: 측면차양막

Claims (6)

  1. 차양막부재(170)를 소정 높이에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서포트부재(110);
    상기 차양막부재(170)를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부재(130);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30)의 상면과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110)는 전방에 설치되는 제1 서포트(111)와 제3 서포트(113);
    상기 제1 서포트(111)와 제3 서포트(113)의 후방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서포트(112)와 제4 서포트(114);
    상기 차양막부재(170)를 원하는 각도로 접거나 펼칠 수 있게 상기 제1 서포트(111) 내지 제4 서포트(114)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회전브래킷(115) 내지 제4 회전프래킷(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30)는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1 차양막(171)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1 차양막유닛(131);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2 차양막(172)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2 차양막유닛(135);
    상기 서포트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차양막부재(170) 중 제3 차양막(173)을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제3 차양막유닛(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차양막(171)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삼각프레임(132)과, 상기 제1 차양막(171)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제1 삼각프레임(132)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3)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33)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1 중간프레임(1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차양막(172)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삼각프레임(136)과, 상기 제2 차양막(172)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삼각프레임(136)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7)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37)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2 중간프레임(13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은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의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차양막(173)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사각프레임(142)과, 상기 제3 차양막(173)의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고정되도록 상기 사각프레임(142) 사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3 수평프레임(143)과, 상기 한 쌍의 제3 수평프레임(143)의 중간에 고정되는 제3 중간프레임(1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이 내측으로 전개되도록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에는 제3 수평프레임(143)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전방프레임(145);
    상기 전방프레임(145)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고정브래킷(146);
    간격조절와이어(150)를 탄력적으로 감아줄 수 있게 상기 상부고정브래킷(146)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롤러(147);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수평프레임(133)에 설치되는 하부고정브래킷(148);
    상기 하부고정브래킷(14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149);
    상기 탄성롤러(147)와 상기 회전롤러(149)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전개 시 팽팽하게 전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간격조절와이어(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KR1020210096173A 2021-07-22 2021-07-22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KR10265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73A KR102655816B1 (ko) 2021-07-22 2021-07-22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173A KR102655816B1 (ko) 2021-07-22 2021-07-22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967A true KR20230014967A (ko) 2023-01-31
KR102655816B1 KR102655816B1 (ko) 2024-04-05

Family

ID=8510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173A KR102655816B1 (ko) 2021-07-22 2021-07-22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81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5371Y (zh) * 1995-06-23 1997-01-22 张国清 转合式晴雨篷
US20100071740A1 (en) * 2006-02-07 2010-03-25 James Harrison Beach Cabana
KR20130001790U (ko) 2011-09-06 2013-03-14 이석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101415935B1 (ko) * 2012-12-27 2014-07-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우산
KR20160012418A (ko) 2014-07-24 2016-02-03 김용현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9-06-1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5371Y (zh) * 1995-06-23 1997-01-22 张国清 转合式晴雨篷
US20100071740A1 (en) * 2006-02-07 2010-03-25 James Harrison Beach Cabana
KR20130001790U (ko) 2011-09-06 2013-03-14 이석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101415935B1 (ko) * 2012-12-27 2014-07-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우산
KR20160012418A (ko) 2014-07-24 2016-02-03 김용현 안전장치가 구비된 차양장치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9-06-1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816B1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68920B (zh) 卷帘组装件
KR100754441B1 (ko) 멀티 쉐이드장치
US4799524A (en) Protection and/or decorative device for apertures in walls, windows and the like
JP2005533948A (ja) 格納式自動回転ブラインド
US6186215B1 (en) Multi-positional rolling window screen
US20150047793A1 (en) Vertical blind assembly
KR101996122B1 (ko)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CN101684716A (zh) 带有可倾斜板条的卷式百叶窗
KR101514016B1 (ko) 캐노피형 어닝
US12044029B2 (en)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KR101932129B1 (ko) 혹한과 혹서를 대비한 버스 대기소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102655816B1 (ko)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JP4126380B1 (ja) 折り畳み式雨戸
KR101746553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차양장치
KR100500716B1 (ko)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JP2000096877A (ja) オーニング装置
CA2432247C (en) Combination window covering
KR101930344B1 (ko) 스크린 고정부재가 구비된 천장, 경사 및 곡면용 롤 스크린 블라인드
JP5713496B2 (ja) オーニング装置兼用開閉装置
KR200275877Y1 (ko)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US20090078376A1 (en) Retractable Pool Privacy Screen
KR200365871Y1 (ko) 권취형 버티컬 블라인드
KR102612970B1 (ko) 아암 승강식 어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