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122B1 -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 Google Patents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122B1
KR101996122B1 KR1020160182236A KR20160182236A KR101996122B1 KR 101996122 B1 KR101996122 B1 KR 101996122B1 KR 1020160182236 A KR1020160182236 A KR 1020160182236A KR 20160182236 A KR20160182236 A KR 20160182236A KR 101996122 B1 KR101996122 B1 KR 101996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guide
drum
t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7655A (ko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이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102016018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1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5Storm panels; hurricane 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천막 등과 같은 막구조물의 환기를 위한 창문 등에 위해 설치되는 비닐 및 방충망 이중 구조의 버티컬 셔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천막 등과 같은 막구조물의 창문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수단으로 모터 구동에 의해 상하로 동작하는 개별 작동식 이중 차단막 형태로 이루어진 듀얼 타입의 셔터를 적용함으로써, 창문 개방 및 차단 시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바람이나 노출 등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천막 내부를 효과적으로 완전 차단 또는 부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천막 내부의 환기 시에도 모기나 해충 등의 침입을 완전히 봉쇄할 수 있는 등 기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듀얼 타입의 각 셔터의 권취를 위한 드럼 및 액추에이터를 위아래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셔터가 앞쪽과 뒷쪽에서 나란하게 풀려서 내려오거나 감겨서 올라가는 개폐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셔터 구동부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와 함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또 외부와 접하는 바깥쪽에는 투명 또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 소재로 이루어진 외측 셔터와 내부에 속하는 안쪽에는 방충망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셔터를 조합한 듀얼 타입의 셔터를 적용함으로써, 외부 환경 차단 효과와 더불어 실내 환기 등을 구현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Vertical shutter of membrane structures}
본 발명은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천막 등과 같은 막구조물의 환기를 위한 창문 등에 위해 설치되는 비닐 및 방충망 이중 구조의 버티컬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구조물은 여러 개의 지주를 세우고 그 위에 천막시트를 씌워 그늘이나 차양을 만들어 줌으로써, 햇빛이나 눈, 비로부터 천막 내의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막구조물은 크게 일체형과 조립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천막의 모양, 크기, 재질 등은 천막의 사용 목적, 장소, 인원, 계절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최근에는 소수의 작업자로도 설치 및 해체 가능한 조립식 천막 등과 같은 막구조물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리조트나 골프장 등의 야외에 프레임 구조물로 기둥을 세우고 천막으로 지붕과 벽체를 씌워서 시공한 구조의 막구조물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막구조물은 일반 구조물에 비해 자재비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막구조물은 내구성이 뛰어나 악천후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질 수 있고, 크기 및 형태의 변경이 용이하여 설치 공간에 대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그리고, 막구조물은 철거가 용이하여 설치 이후 이전이 용이한 등의 장점이 있어서 전시시설, 공항시설, 공장시설, 군사시설, 항만시설, 체육시설, 쇼핑몰 등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보통 막구조물에는 내부 공간으로 사용자가 드나들 수 있는 출입문은 물론, 내부 공간의 환기를 위한 창문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막구조물의 창문은,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5-000340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막을 이루는 천막피의 측면에 일정면적을 절개한 형태의 개폐부를 형성하고, 개폐부의 가장자리에 벨크로 테이프와 지퍼를 부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막구조물의 창문은 개방 또는 차단만이 가능한 단순한 개폐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환기나 외부 조망을 위해 창문을 오픈하는 경우, 야외의 해충이나 벌레, 모기 등의 침입에 취약한 면을 보이는 단점이 있으며, 지퍼가 고장나는 사례가 빈번하여 사용 시의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10-1620059호에서는 조립식 천막의 개폐형 셔터를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한 셔터를 통해 출입은 물론 천막 내부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셔터의 경우 기존과 같이 사람의 힘에 의해 들어 올려져 개방되거나 하향 가압하여 밀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개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각각의 기둥형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는 셔터 구조로 인해 단일의 조립식 천막에 대하여 매우 많은 수의 셔터가 장착되므로 이들 다수의 셔터를 개폐하는데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셔터는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제작하거나 합성수지재 패널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셔터 하단에서의 밀폐성에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은 물론 셔터의 양측단 및 기둥형 프레임과의 상호 연계부에서의 기밀성이 떨어져 막 구조물 내의 온도 유지에 상당한 불합리성을 초래하는 폐단을 갖고 있다.
또한, 기존의 셔터는 설치 및 해체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셔터와 셔터 사이드 간의 무리한 간섭이나 마모가 발생하면서 극심한 소음 및 파손의 우려가 매우 큰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20-2015-0003403호 한국 등록특허 10-162005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조립식 천막 등과 같은 막구조물의 창문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수단으로 모터 구동에 의해 상하로 동작하는 개별 작동식 이중 차단막 형태로 이루어진 듀얼 타입의 셔터를 적용함으로써, 창문 개방 및 차단 시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바람이나 노출 등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천막 내부를 효과적으로 완전 차단 또는 부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천막 내부의 환기 시에도 모기나 해충 등의 침입을 완전히 봉쇄할 수 있는 등 기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듀얼 타입의 각 셔터의 권취를 위한 드럼 및 액추에이터를 위아래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셔터가 앞쪽과 뒷쪽에서 나란하게 풀려서 내려오거나 감겨서 올라가는 개폐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셔터 구동부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와 함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와 접하는 바깥쪽에는 투명 또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 소재로 이루어진 외측 셔터와 내부에 속하는 안쪽에는 방충망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셔터를 조합한 듀얼 타입의 셔터를 적용함으로써, 외부 환경 차단 효과와 더불어 실내 환기 등을 구현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립식 천막의 버티컬 셔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조립식 천막의 버티컬 셔터는 외측 셔터의 권취를 위한 제1셔터 드럼 및 상기 제1셔터 드럼을 구동시켜주는 제1드럼 액추에이터와, 내측 셔터의 권취를 위한 제2셔터 드럼 및 상기 제2셔터 드럼을 구동시켜주는 제2드럼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1셔터 드럼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 내려오거나 감겨 올라가면서 천막 창문을 개폐하는 외측 셔터와, 상기 제2셔터 드럼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 내려오거나 감겨 올라가면서 천막 창문을 개폐함과 더불어 외측 셔터의 뒷쪽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측 셔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1셔터 드럼과 제2셔터 드럼은 케이스의 내부에서 윗쪽과 아래쪽에 나란하게 수평 배치됨과 더불어 제1셔터 드럼과 제2셔터 드럼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 셔터 드럼에서 풀려나거나 감겨지는 내외측 셔터는 서로 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천막 내외측으로 나란하게 이중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셔터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비닐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내측 셔터는 유리섬유 소재 등의 방충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셔터의 양측단부는 케이스측이나 천막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속되어 상승 및 하강 시에 안내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은 내외측 셔터의 양측단부에 있는 슬라이드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측과 가이드 부재측 사이에 개재되어 셔터 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 전체를 가이드 프레임 벽면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가이드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버티컬 셔터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 시공 오차를 보상하는 수단으로서, 가이드 레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천막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이동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측에 체결되어 이동 브라켓을 움직여주는 조절나사로 구성되는 높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레일 설치부위 주변의 틈새를 막아주는 가림막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 셔터 및 내측 셔터의 하단부 측단에는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셔터 하단부를 가이드 레일측, 실질적으로는 가이드 레일측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측에 고정 및 해제시켜주는 록/언록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모터 구동에 의해 상하로 동작하는 개별 작동식 이중 차단막 형태로 이루어진 듀얼 타입의 셔터를 적용함으로써, 천막 환기 등을 위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바람이나 노출 등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천막 내부를 효과적으로 차단 및 개방할 수 있으며, 특히 야외에 설치되는 특성상 해충이나 모기 등의 벌레가 막구조물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등 셔터를 포함하는 천막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듀얼 타입의 각 셔터를 권취하기 위한 각각의 드럼 및 액추에이터를 위아래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드럼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셔터 구동부의 폭(앞뒤 두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와 함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천막 본체와의 일체감을 조성할 수 있는 등 외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투명 또는 불투명의 비닐류 소재로 이루어진 외측 셔터를 바깥쪽으로 배치하고, 방충망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 셔터를 안쪽으로 배치한 구조의 듀얼 타입 셔터를 적용하여, 내외측 셔터를 선택적으로 펼쳐 놓거나 감아 놓음으로써, 외부 환경 차단 효과와 더불어 실내 환기 등을 구현할 수 있는 등 사용 시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내외측 셔터의 양측에 스프링을 배치하여 셔터의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바람 등에 의해 셔터가 이탈되어 젖혀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등 셔터 본연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셔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셔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셔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셔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셔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셔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셔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버티컬 셔터는 막구조물의 창문, 예를 들면 조립식 천막의 창문이나 출입구 등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수단으로서, 2개의 셔터를 내외측으로 배치한 이중 차단막 형태로 이루어지며, 특히 각 셔터의 권취를 위한 드럼 및 액추에이터를 상하 배치하여 셔터 구동부의 사이즈를 최소화한 구조, 즉 듀얼 타입 셔터의 폭을 최소화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버티컬 셔터는 셔터 권취와 드럼 구동을 위한 수단으로 제1셔터 드럼(11) 및 제1드럼 액추에이터(12)와 제2셔터 드럼(14) 및 제2드럼 액추에이터(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셔터 드럼(11)과 제2셔터 드럼(14)은 서로 나란한 수평 자세를 유지하면서 위아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외측 셔터(10)의 권취를 위한 제1셔터 드럼(11)은 윗쪽에, 내측 셔터(13)의 권취를 위한 제2셔터 드럼(14)은 아래쪽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제1셔터 드럼(11)과 제2셔터 드럼(14)은 천막 창문(미도시)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천막 프레임(미도시) 상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16)의 내부에 케이스 길이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나란하게 위치되고, 양단의 드럼 축(미도시)을 이용하여 케이스의 벽면과 드럼 액추에이터의 액추에이터 축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셔터 드럼(11)과 제2셔터 드럼(14)의 각 한쪽 드럼 축은 케이스(16)의 벽면에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지지되고, 각 다른 한쪽 드럼축은 제1드럼 액추에이터(12)와 제2드럼 액추에이터(15)의 각 액추에이터 축에 직결 또는 커플링(미도시) 등을 매개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드럼 액추에이터(12)와 제2드럼 액추에이터(15)는 정역구동이 가능한 모터로서, 케이스(16)의 벽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제1드럼 액추에이터(12)와 제2드럼 액추에이터(15)의 액추에이터 축은 각각 제1셔터 드럼(11)과 제2셔터 드럼(14)의 각 한쪽 드럼 축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드럼 액추에이터(12)의 작동 시 제1셔터 드럼(11)이 회전하게 되고, 결국 드럼에 감겨있던 외측 셔터(10)가 풀려나거나 드럼에 재차 감겨질 수 있게 되는 한편, 이와 더불어 상기 제2드럼 액추에이터(15)의 작동 시 제2셔터 드럼(14)이 회전하게 되고, 결국 드럼에 감겨있던 내측 셔터(13)가 풀려나거나 드럼에 재차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드럼 액추에이터(12)와 제2드럼 액추에이터(15)는 작동 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면서 제1셔터 드럼(11)과 제2셔터 드럼(14)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드럼 액추에이터(12)가 정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제1셔터 드럼(1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외측 셔터(10)를 아래로 풀어줄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제2드럼 액추에이터(15)가 역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면, 제2셔터 드럼(14)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측 셔터(13)를 아래로 풀어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드럼 액추에이터(12)를 포함하는 제1셔터 드럼(11)과 상기 제2드럼 액추에이터(15)를 포함하는 제2셔터 드럼(13)을 수직 방향으로 위아래 나란하게 배치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셔터 구동부(드럼 및 액추에이터)가 차지하는 전후 폭(두께)을 좁게 설정할 수 있게 되고, 마찬가지로 이중막 형태의 내외측 셔터(10,13) 간의 폭 또한 최소한의 폭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서, 조립식 천막에 사용되는 듀얼 타입의 버티컬 셔터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버티컬 셔터는 조립식 천막의 창문을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수단으로 외측 셔터(10)와 내측 셔터(13)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셔터(10)는 천막의 내부와 외부를 기준할 때 천막 바깥쪽, 즉 외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막(幕)으로서, 제1셔터 드럼(11)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 내려오거나 감겨 올라가면서 천막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외측 셔터(10)의 양쪽 측단 가장자리에는 띠 모양의 슬라이더(18a)가 나란하게 부착되며, 이때의 슬라이더(18a)는 후술하는 가이드 레일(17a)에 속해 있는 가이드 부재(21)의 홈 내에 위치되어 홈을 따라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내외측 셔터에 있는 슬라이더는 한 쌍의 지퍼 중에서 한쪽 지퍼 부분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셔터(10)는 투명의 비닐 소재, 반투명의 비닐 소재, 불투명의 비닐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의 비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에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소재는 물론 천 등과 같은 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측 셔터(13)는 천막의 내부와 외부를 기준할 때 천막 안쪽 공간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막(幕)으로서, 제2셔터 드럼(14)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 내려오거나 감겨 올라가면서 천막 창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내측 셔터(13)의 양쪽 측단 가장자리에는 띠 모양의 슬라이더(18b)가 나란하게 부착되며, 이때의 슬라이더(18b)는 후술하는 가이드 레일(17b)에 속해 있는 가이드 부재(21)의 홈 내에 위치되어 홈을 따라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셔터(13)는 유리섬유 소재 등으로 되어 있는 방충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 셔터(10)와 내측 셔터(13)는 각각의 드럼에 반대 방향을 권취되어 풀림 또는 감김 시에 서로 간의 간섭없이, 또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풀리거나 감길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측 셔터(10)는 제1셔터 드럼(11)에 시계 방향으로 권취되고, 상기 내측 셔터(13)는 제2셔터 드럼(14)에 반시계 방향으로 권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측 셔터(10)는 제1셔터 드럼(11)으로부터 풀려나오면서 천막 창문의 외측을 수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내측 셔터(13)는 제2셔터 드럼(11)으로부터 풀려나오면서 외측 셔터(10)와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천막 창문의 내측을 수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셔터 드럼(11)과 제2셔터 드럼(1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각 셔터 드럼에서 풀려지는 내외측 셔터(10,13)는 서로 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천막 내외측으로 나란하게 이중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티컬 셔터는 셔터의 풀림과 감김 동작 시 그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가이드 레일(17a,17b)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7a,17b)은 내외측 셔터(10,13) 및 제1,2셔터 드럼(11,14)이 속해 있는 케이스(16)의 양단부 저면에 볼트 체결구조나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관 부재로서, 내측 셔터(10)와 외측 셔터(13)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는 총 두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셔터 양측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17a,17b)이 배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가이드 레일(17a,17b)은 케이스(16)와 창문틀을 조성하는 천막 프레임(미도시)에 함께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레일(17a,17b)은 알루미늄 압출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사각통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20) 실질적으로 내외측 셔터(10,13)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21), 셔터 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21) 전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다수 개의 가이드 스프링(19)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의 안쪽 측면에는 내외측 셔터(10,13)의 단부 진입을 위해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된 형태의 절개홀(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절개홀(25)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브러시(26)가 부착되어 있어서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로 이물질 등의 침입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1)는 내외측 셔터(10,13)의 양측단부에 있는 슬라이드(18a,18b)가 끼워져 안내되는 홈과 날개부를 가지는 길다란 띠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에서 프레임 안쪽 벽면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스프링(19)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프레임 벽면측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스프링(19)은 양편의 "ㄷ"자형의 절곡부(19a)와 이 절곡부(19a)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2개의 탄력부(19b)의 일체형 구조로서, 양편의 절곡부(19a)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재(21)의 저면과 양쪽의 플랜지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가이브 부재(21)측에 결합되고, 2개의 탄력부(19b)를 이용하여 가이드 프레임(20)의 바깥쪽 벽면측에 접촉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스프링(19)은 가이드 프레임(20) 내에 삽입 시 2개의 탄력부(19b)가 약간 눌려진 상태로 삽입되며, 이때의 탄력부(19b)가 발휘하는 탄성력에 의해 절곡부(19a)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21)는 프레임 안쪽 벽면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항상 압축된 상태에서 프레임 전후 폭방향으로 복원되려는 힘을 가지고 있는 가이드 스프링(19)의 탄력을 상시 받고 있는 양편의 가이드 부재(21)가 이에 슬라이드 결속되어 있는 내외측 셔터(10,13)의 양쪽 단부를 잡아주게 되므로, 내외측 셔터(10,13)는 항상 팽팽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바람이나 충격 등에 셔터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셔터가 눌거나 또는 단부가 빠져서 이탈되는 문제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가이드 스프링(19)은 가이드 부재(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스프링(19)을 이용하여 가이드 부재(21)를 가이드 프레임(20)측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가이드 부재(21)의 조립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스프링(19)의 절곡부(19a)를 가이드 부재(19)의 플랜지부에 끼워 걸어서 가이드 부재(21)에 가이드 스프링(19)을 일체식으로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 스프링(19) 및 가이드 부재(21)를 가이드 프레임(20)의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밀어서 삽입하게 되면, 가이드 스프링(19)의 탄력부(19b)의 단부는 프레임 바깥쪽 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됨과 더불어 가이드 스프링(19)의 절곡부(19a)의 이면은 가이드 부재(21)와 함께 프레임 안쪽 벽면에 밀착되면서 가이드 부재(21)를 고정시켜주게 되므로서, 가이드 프레임(20) 내에 가이드 부재(21)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셔터 단부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부재(21)의 홈 내에 내외측 셔터(10,13)가 가지는 슬라이더(18a,18b)가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게 되며, 결국 슬라이더(18a,18b)를 포함하는 셔터는 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21)에 형성되는 홈의 입구의 폭은 셔터 두께보다는 크고 슬라이드 두께 보다는 작은 크기의 폭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슬라이더(18a,18b)가 홈의 바깥쪽으로는 빠지지 않게 되고, 결국 셔터에 바람 등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셔터는 가이드 레일측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편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천막 창문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티컬 셔터는 가이드 레일(17a,17b)의 설치 시 설계 오차, 가공 오차, 시공 오차 등을 보상할 수 있는 수단으로 높이조절장치(22)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22)는 가이드 레일(17a,17b)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2a), 천막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이동 브라켓(22b), 고정 브라켓(22a)측에 체결되어 이동 브라켓(22b)을 움직여주는 조절나사(22c)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2a)은 상부 및 측부가 개방되어 있는 대략 "ㄷ"자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삽입체(27)를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17a,17b)의 가이드 프레임(20)의 하단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22a)의 상부는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과 연통될 수 있게 되고, 이때의 고정 브라켓(22a)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셔터측의 록킹편(29)이 삽입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브라켓(22b)은 대략 "ㄴ"자형 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그 안쪽 벽면을 이용하여 고정 브라켓(22a)의 후면과 밀착 조합되면서 고정 브라켓(22a)의 하부에 결합되어 천막 프레임(미도시)측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 브라켓(22b)의 벽체에는 상하방향의 장공(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공(28)을 통해 고정 브라켓(22a)의 후면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 브라켓(22a)과 이동 브라켓(23b)이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장공(28)을 통해 이동 브라켓(22b)의 위아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절나사(22c)는 고정 브라켓(22a)의 홈 부분 내측에서 브라켓 바닥을 관통하는 구조로 체결되고, 이렇게 체결되는 조절나사(22c)의 하단부는 이동 브라켓(22b)의 바닥체 상면과 접하면서 체결 진행에 의해 이동 브라켓(22b)을 아래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 브라켓(22a)과 이동 브라켓(22b)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를 푼 다음, 상기 조절나사(22c)를 돌려서 이동 브라켓(22b)을 움직여주고, 계속해서 이러한 조절 후에 고정 브라켓(22a)과 이동 브라켓(22b)을 재차 스크류로 체결하여 이동 브라켓(22b)의 위치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높이조절장치(22)의 전체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높이조절장치(22)가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7a,17b)의 전체 설치 높이를 천막 프레임의 높이에 맞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나사(22c)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는 정도에 따라 조절나사(22c)가 그 만큼 전진하면서 이동 브라켓(22b)을 아래로 밀어낼 수 있게 되므로, 높이조절장치(22)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17a,17b)의 설치 부위의 하단 갭에 맞게 적절히 이동 브라켓(22b)을 움직여가면서 이때의 천막 프레임측 간의 갭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장치(22)의 고정 브라켓(22a)의 전면에는 레버 걸림홈(30)이 형성되며, 이때의 레버 걸림홈(30)에는 후술하는 록/언록장치(24)의 레버(31)가 삽입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걸려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티컬 셔터는 가이드 레일(17a,17b)의 설치부위 주변의 틈새로 바람 등이 새어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수단으로 가림막(23)을 포함한다.
상기 가림막(23)은 막대 모양의 지지체(23a)와 이 지지체(23a)에 부착되는 일정폭의 띠 모양으로 되어 있는 비닐 재질 등의 가림판(23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림막(23)의 지지체(23a)는 가이드 레일(17a,17b)의 가이드 프레임(20)에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홈(32) 내에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지지체(23a)를 통해 가이드 프레임(20)측에 설치되는 가림막(23)의 가림판(23b)은 가이드 프레임(20)과 천막 프레임 사이의 갭을 덮는 형태로 가려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림막(23)이 가이드 레일(17a,17b)의 레일 설치부위 주변의 틈새를 막아줌으로써, 틈새를 통해 바람이 천막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버티컬 셔터는 셔터 하단부를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주는 수단으로 록/언록장치(24)를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측 셔터(10) 및 내측 셔터(13)의 하단부에는 매스(Mass) 역할을 하는 셔터 바(33)가 하단부를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셔터 바(33)의 단부에는 전면과 끝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의 가이드 홈(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 바(33)의 가이드 홈(34) 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35)를 가지는 막대 형태의 레버(31)가 수납 및 인출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레버(31)에는 레버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는 슬롯(36)이 구비되고, 이때의 슬롯(36) 내에는 가이드 홈(34)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 헤드부와 같은 스톱퍼(37)가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31)는 수납 인출 시 슬롯(36)의 양단 끝 부분이 스톱퍼(37)에 걸림에 따라 수납 위치 및 인출 위치가 규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외측 셔터(10) 및 내측 셔터(1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 바(33)의 단부에는 록킹편(29)이 돌출 형성되며, 이때의 돌출편(29)은 가이드 레일(17a,17b)의 하단부측에, 즉 높이조절장치(22)의 홈 내측에 삽입되면서 셔터를 전후측으로 걸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셔터(10)나 내측 셔터(13)를 아래로 완전히 내려서 창문을 닫게 되면, 외측 셔터(10) 및 내측 셔터(13)의 셔터 바(33)에 있는 록킹편(29)은 높이조절장치(22)에 있는 홈 내측에 삽입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록/언록장치(24)의 레버(31)를 바깥쪽으로 인출시켜서 높이조절장치(22)에 있는 레버 걸림홈(30) 내에 위치시키면, 외측 셔터(10)나 내측 셔터(13)는 록킹편(29)에 의해 앞뒤 방향으로, 레버(31)에 의해 위아래 방향으로 걸려지게 되므로서, 셔터 하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티컬 셔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막(100)에 형성되어 있는 창문(110)의 상부에는 외측 셔터(10)가 권취되어 있는 제1셔터 드럼(11) 및 제1드럼 액추에이터(12)와 내측 셔터(13)가 권취되어 있는 제2셔터 드럼(14) 및 제2드럼 액추에이터(15)가 들어 있는 케이스(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11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레일(17a,17b)이 수직 배치된다.
이때, 외측 셔터(10)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레일(17a)은 천막 바깥쪽에, 내측 셔터(13)의 안내를 위한 가이드 레일(17b)은 천막 안쪽에 각각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를 조작을 통해 제1드럼 액추에이터(12) 또는 제2드럼 액추에이터(15)를 구동시키면, 제1셔터 드럼(11) 또는 제2셔터 드럼(14)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각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외측 셔터(10) 또는 내측 셔터(13)가 풀려서 내려와 창문(110)을 차단하거나, 또는 말려서 올라가 창문(110)을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내외측 셔터(10,13)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도 5에서는 외측 셔터(10), 예를 들면 비닐막이 감겨져 올라가 있고 내측 셔터(13), 예를 들면 방충막이 풀려져 내려와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도 5는 비닐막은 걷어놓고 방충망을 친 상태를 나타낸다.
이렇게 천막의 창문에 비닐막과 방충망으로 이루어진 이중막 구조의 셔터를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비닐막과 방충망을 전부 오픈하거나, 어느 1개만 오픈하거나 2개 모두를 클로즈시키면서 천막의 창문을 개폐함으로써, 주변의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적절히 창문을 막거나 열어놓을 수 있는 등 천막 사용 시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또 비닐막과 방충망이 권취되어 있는 드럼을 위아래로 배치하여 폭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천막과의 이질감없이(천막 바깥쪽이나 안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이질감없이) 셔터를 천막 일체식으로 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조립식 천막의 창문에 비닐막과 및 방충망의 이중 차단막 형태로 이루어진 듀얼 타입의 셔터를 설치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천막 내외부를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고, 특히 듀얼 타입의 각 셔터의 권취를 위한 드럼 및 액추에이터를 상하로 배치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셔터 구동부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버티컬 셔터를 제공함으로써, 천막 사용 및 환기와 관련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환기 중에도 해충이나 모기 등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구조 단순화 및 중량 저감은 물론, 폭 등의 사이즈를 줄인 이중 차단막 구조와 천막 구조 간의 매칭을 통해 천막의 전체적인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외측 셔터
11 : 제1셔터 드럼
12 : 제1드럼 액추에이터
13 : 내측 셔터
14 : 제2셔터 드럼
15 : 제2드럼 액추에이터
16 : 케이스
17a,17b : 가이드 레일
18a,18b : 슬라이더
19 : 가이드 스프링
19a : 절곡부
19b : 탄력부
20 : 가이드 프레임
21 : 가이드 부재
22 : 높이조절장치
22a : 고정 브라켓
22b : 이동 브라켓
22c : 조절나사
23 : 가림막
23a : 지지체
23b : 가림판
24 : 록/언록장치
25 : 절개홀
26 : 브러시
27 : 삽입체
28 : 장공
29 : 록킹편
30 : 레버 걸림홈
31 : 레버
32 : 슬라이드 홈
33 : 셔터 바
34 : 가이드 홈
35 : 손잡이
36 : 슬롯
37 : 스톱퍼

Claims (8)

  1. 외측 셔터(10)의 권취를 위한 제1셔터 드럼(11) 및 상기 제1셔터 드럼(11)을 구동시켜주는 제1드럼 액추에이터(12);
    내측 셔터(13)의 권취를 위한 제2셔터 드럼(14) 및 상기 제2셔터 드럼(14)을 구동시켜주는 제2드럼 액추에이터(15);
    상기 제1셔터 드럼(11)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 내려오거나 감겨 올라가면서 천막 창문을 개폐하는 외측 셔터(10);
    상기 제2셔터 드럼(14)에 권취된 상태에서 풀려 내려오거나 감겨 올라가면서 천막 창문을 개폐함과 더불어 외측 셔터(10)의 뒷쪽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측 셔터(13);
    케이스측이나 천막 프레임측에 설치되어 내외측 셔터(10,13)의 상승 및 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7a,17b);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17a,17b)은 내외측 셔터(10,13)의 양측단부에 있는 슬라이드(18a,18b)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 부재(21)와, 내외측 셔터(10,13)의 단부 진입을 위한 절개홀(25)을 가지면서 가이드 부재(21)를 수용하는 사각통 형태의 가이드 프레임(20)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20)측과 가이드 부재(21)측 사이에 개재되어 셔터 단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21) 전체를 가이드 프레임 벽면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가이드 스프링(19)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 부재(21)는 내외측 셔터(10,13)의 양측단부에 있는 슬라이드(18a,18b)가 끼워져 안내되는 홈과 날개부를 가지는 길다란 띠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이드 프레임(20)의 내부에서 프레임 안쪽 벽면측으로 밀착된 상태로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가이드 스프링(19)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프레임 벽면측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스프링(19)은 양편의 "ㄷ"자형의 절곡부(19a)와 이 절곡부(19a)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2개의 탄력부(19b)의 일체형 구조로서, 양편의 절곡부(19a)를 이용하여 가이드 부재(21)의 저면과 양쪽의 플랜지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 가이브 부재(21)측에 결합되고, 2개의 탄력부(19b)를 이용하여 가이드 프레임(20)의 바깥쪽 벽면측에 접촉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스프링(19)의 절곡부(19a)를 가이드 부재(19)의 플랜지부에 끼워 걸어서 가이드 부재(21)에 가이드 스프링(19)을 일체식으로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가이드 스프링(19) 및 가이드 부재(21)를 가이드 프레임(20)의 내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밀어서 삽입하게 되면, 가이드 스프링(19)의 탄력부(19b)의 단부는 프레임 바깥쪽 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됨과 더불어 가이드 스프링(19)의 절곡부(19a)의 이면은 가이드 부재(21)와 함께 프레임 안쪽 벽면에 밀착되면서 가이드 부재(21)를 고정시켜주게 되므로서, 가이드 프레임(20) 내에 가이드 부재(21)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셔터(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비닐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셔터(13)는 유리섬유 소재의 방충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7a,17b)의 하단측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 시공 오차를 보상하는 수단으로서, 가이드 레일(17a,17b)측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2a)과, 천막 프레임측에 설치되는 이동 브라켓(22b)과, 고정 브라켓(22a)측에 체결되어 이동 브라켓(22b)을 움직여주는 조절나사(22c)로 구성되는 높이조절장치(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7a,17b)에는 레일 설치부위 주변의 틈새를 막아주는 가림막(2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셔터(10) 및 내측 셔터(13)의 하단부 측단에는 슬라이드 조작을 통해 셔터를 고정 및 해제시켜주는 록/언록장치(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KR1020160182236A 2016-12-29 2016-12-29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KR101996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36A KR101996122B1 (ko) 2016-12-29 2016-12-29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36A KR101996122B1 (ko) 2016-12-29 2016-12-29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655A KR20180077655A (ko) 2018-07-09
KR101996122B1 true KR101996122B1 (ko) 2019-07-03

Family

ID=6291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236A KR101996122B1 (ko) 2016-12-29 2016-12-29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94B1 (ko) * 2019-09-25 2020-02-26 김태진 스크린 가이드슬릿의 가림구조를 갖는 방화셔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390B1 (ko) * 2019-04-09 2020-12-08 박균성 롤 드롭 어닝 장치
KR102096539B1 (ko) * 2019-06-13 2020-04-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목적 구장
KR102084169B1 (ko) * 2019-06-13 2020-05-15 (주)오즈텍 벽체보정이 가능한 드랍어닝의 수직지지구조
KR102428581B1 (ko) * 2020-08-11 2022-08-03 제갈영 반자동 롤 파티션 장치
KR102311178B1 (ko) * 2021-02-17 2021-10-13 권차순 파손방지 기능이 강화된 격납고용 내풍압 셔터
CN216110476U (zh) * 2021-07-26 2022-03-22 浙江永强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遮阳篷用快装式侧边百叶隔断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164A (ja) * 1999-06-29 2001-01-16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構造
JP2005200891A (ja) * 2004-01-14 2005-07-28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620Y1 (ko) * 1985-12-10 1988-07-15 하미숙 오니 탈수장치의 압착로울러
KR200456041Y1 (ko) * 2009-07-14 2011-10-11 김성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TWI499713B (zh) * 2009-11-06 2015-09-11 Komatsu Denki Sangyo Kabushiki Kaisha 薄片活動遮門的薄片導引
KR101627745B1 (ko) * 2014-01-20 2016-06-07 유상원 듀얼 블라인드 구동장치
KR200479427Y1 (ko) 2014-03-05 2016-01-27 삼덕상공(주) 천막용 창 구조
KR101620059B1 (ko) 2015-09-21 2016-05-23 주식회사 에이원스페이스 에어 포켓형 멤브레인이 적용되는 막 구조물의 셔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164A (ja) * 1999-06-29 2001-01-16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構造
JP2005200891A (ja) * 2004-01-14 2005-07-28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94B1 (ko) * 2019-09-25 2020-02-26 김태진 스크린 가이드슬릿의 가림구조를 갖는 방화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655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122B1 (ko)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US5205334A (en) Double layer shade
KR101851044B1 (ko) 롤스크린 장치
KR910005066B1 (ko) 허니콤 블라인드 및 그 조립방법
US7128125B2 (en) Durable sealing curtain
CA2588978C (en) Window assembly with movable interior sash
US6470947B1 (en) Hidden window screen for sash window
US9970232B2 (en) Mountable cover, blind and / or shade for a window or skylight
US20070084138A1 (en) Sliding storm shutters
KR101517098B1 (ko) 공동주택 창호용 방범 방충 시설물
JP2005113577A (ja) 外付けロールスクリーン
KR20080029057A (ko) 햇빛가리개가 구비된 절첩식 방충망
KR101778077B1 (ko) 출입문용 방범 도어
US20070266653A1 (en) Combination window, screen, storm shutter and fire escape
KR102077087B1 (ko) 태양광 차단 블라인드 방범 방충망틀
KR101456931B1 (ko) 차양 장치
KR200340805Y1 (ko)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
EP3363985B1 (en) Roller shutter with lateral guides
SI25159A (sl) Zunanja žaluzija in rolo senčila, zaščitena s steklom v ohišju
KR200487195Y1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US20030019181A1 (en) Insect screens
US2856995A (en) Weather-protective covering
KR102477901B1 (ko) 창문용 롤 방충망 장치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EP2725180A1 (en) Mounting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