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041Y1 -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041Y1
KR200456041Y1 KR2020090009129U KR20090009129U KR200456041Y1 KR 200456041 Y1 KR200456041 Y1 KR 200456041Y1 KR 2020090009129 U KR2020090009129 U KR 2020090009129U KR 20090009129 U KR20090009129 U KR 20090009129U KR 200456041 Y1 KR200456041 Y1 KR 200456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ing
locking device
pai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651U (ko
Inventor
김성수
함석일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riority to KR2020090009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04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0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085With means for assisting depression of the latch bolt during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이드 레일(30)의 하단에 고정턱(77)을 구비하는 고정 돌기(70)를 설치하고, 방충망(4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패널(50)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가이드 레일(30)의 내부로 돌출는 접촉 바아(110), 접촉 바아(110) 밑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종단부에 톱니홈(135)을 구비하는 고정 바아(130),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를 연결하는 힌지 바아(120), 고정 바아(130) 종단의 톱니홈(135)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선단부에 톱니홈(135)과 맞물리는 톱니돌기(155)를 구비하는 랫치암(150), 및 랫치암(150)의 종단을 눌러 피벗회전시키는 푸시부(57)를 구비하는 록킹 기구로 구성되어 컴팩트하고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줄이고, 조작성이 우수한 롤 타입 방충망의 록킹 장치를 제공한다.
롤 타입 방충망, 록킹 기구, 고정 바아, 접촉 바아, 힌지 바아, 랫치암, 톱니홈, 톱니돌기, 슬림한 구성요소, 자동 록킹

Description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Locking Device For Roll Type Insect Net}
본 고안은 롤 타입 방충망의 손잡이에 설치되어 방충망을 창틀의 하단에 고정하기 위한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들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05-0115197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래크와 피니언 기어 및 한 쌍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회전조작구를 회전시켜서 잠금부재를 동작시키는 방식과, 등록특허 제 10-07253381 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와, 조작 레버에 의해 연동하는 캠기구 및 복귀 스프링과 한 쌍의 걸림바 등을 사용하는 복잡한 기구에 의해 방충망을 록킹하고 해제하는 방식의 방충망 록킹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들은 한 쌍의 스프링과 래크와 피니언기구 혹은 복잡한 구조의 캠부재 등을 방충망의 하단 패널에 설치해야 하므로 방충망 하단 패널의 부피가 커져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다는 디자인상의 한계를 가진 것은 물론이고 하단 패널에 설치되는 소형의 회전조작구나 소형의 레버를 돌려서 캠기구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조작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슬림하고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롤 와인딩 장치에 의해 롤에 권취되는 방충망의 하단에 설치되어 록킹 기구를 내장하는 하단 패널과 방충망을 안내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롤 타입 방충망의 록킹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하단에 방충망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경사면의 하단에 고정턱을 구비하는 고정 돌기를 설치하고, 하단 패널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며 그 선단부의 저면에 상기 고정 돌기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접촉 바아, 접촉 바아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단 패널의 측단부 내측에 접촉 바아와 수평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 종단에 톱니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고정 바아, 접촉 바아의 종단과 고정 바아의 선단부를 피벗연결하는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접촉 바아와 고정 바아와의 피벗부의 적어도 일측에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한 쌍의 힌지 바아, 고정 바아의 종단의 톱니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피벗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힌지부에 토션 스프링과 선단부에 톱니홈과 맞물리는 톱니돌기를 구비하는 한 쌍의 랫치암, 및 상기 한 쌍의 랫치암의 종단을 눌러 피벗회전시키는 푸시부를 구비하는 록킹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타입 방충망의 록킹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 바아의 톱니홈을 직각부가 선단을 향하도록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랫치암의 톱니돌기를 톱니홈에 대응하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고정 바아가 돌출할 때 고정 바아의 톱니홈을 따라 랫치암이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방충망 사용시 별도의 록킹 조작없이 방충망을 내리면 자동으로 록킹 상태로 작동할 수 있으며 방충망의 해제시에만 해제버튼을 누르면 되도록 조작이 편리하고 조작감이 우수한 롤 타입 방충망의 록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는 얇은 바아 형태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므로,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를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복잡한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에 비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롤 타입 방충망의 손잡이를 슬림하고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여 롤 타입 방충망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조비용 절감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는 접촉 바아가 가이드 레일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 돌기에 접촉하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며, 록킹 장치의 해제시에만 해제버튼을 눌러 랫치암를 분리하는 것으로 해제가 가능하게 되므로 롤 타입 방충망의 조작용이성은 물론 조작감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도 아울러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를 적용한 방충망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롤 타입 방충망은 방충망 와인딩 기구를 내장하여 권취된 방충망을 수납하는 창틀(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롤 수납부(20), 롤 수납부(20)의 양측을 따라 창틀(10)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30), 롤 수납부(20) 내에 설치된 롤(도시하지 않음)에 일단이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30)에 양측단이 안내되어 창틀(10)의 하단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충망(40), 및 방충망(40)의 하단에 설치되며 손잡이(55)와 록킹 기구가 내장된 하단 패널(5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창틀(10)의 하단부를 부분적으로 단면처리한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록킹 장치는 가이드 레일(30, 30') 내에 설치되는 고정 돌기(70, 70')와 손잡이(55)가 설치되는 방충망의 하단 패널(50) 내에 설치되는 록킹 기구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는 하단 패널(5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가이드 레일(30, 30')의 홈 내로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접촉 바아(110, 110')와 하단 패널(50) 내에 수납되어 접촉 바아(110, 110')로부터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각각 힌지 바아(120, 120')를 통해 접촉 바아(110, 110')와 상호 피벗운 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 바아(130, 130')로 구성된다.
고정 바아(130, 130')는 접촉 바아(110, 110')와 달리 하단 패널(50)의 종단 혹은 종단 내측에 배치되어, 접촉 바아(110, 110')가 하단 패널(50)의 내측로 인입됨에 따라, 힌지 바아(120, 120')에 의해 하단 패널(5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고정 바아(130, 130')의 종단부근의 상방에 한 쌍의 랫치암(150, 150')이 설치되며, 랫치암(150, 150')의 상부에는 한 쌍의 랫치암(150, 150')과 접하도록 푸시부(57)가 설치되며, 푸시부(57)는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손잡이(55)에 압축스프링 등을 통해 탄성적으로 설치된 해제버튼(56)과 연결되어 해제버튼(56)을 누르면 하방으로 이동하여 랫치암(150, 150')을 피벗회전시켜 고정 바아(130, 120')의 종단과 분리하고, 해제버튼(56)을 해제하면 상방으로 복귀하여 랫치암(150. 150')이 고정 바아(130, 130')의 종단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하단 패널(50)의 양 측에 배치되는 록킹 기구들의 구성은 방향만 반대로 되어 있을 뿐 그 구성과 작동이 서로 동일하므로,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도 2의 좌측에 배치된 록킹 기구의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레일(30)의 하단에 배치된 고정 돌기(70)는 경사면(71)과 경사면(71)의 종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면(73) 및 수직면(73)의 하단에서 수직면(73)으로부터 직각으로 경사면(71)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고정턱(77)을 구비하고 있다. 수직면(73)의 높이는 접촉 바 아(110)의 하단과 고정 바아(130)의 상단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며, 고정턱(77)의 폭은 접촉 바아(110)의 인입길이 및 고정 바아(130)의 돌출길이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바아(130)가 고정 돌기(70)에 록킹된 상태에서, 접촉 바아(110)의 선단 경사부(111)는 고정 돌기(70)의 경사면(71)의 하단과 접하고 고정 바아(130)의 선단부는 고정턱(77)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첨부도면들에서 고정 바아(130)의 선단부가 접촉 바아(110)의 선단 경사부(111)와 유사한 경사부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 바아(130)는 고정 돌기(70)의 경사면(71)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경사부를 두지 않고 선단을 사각형니아 원형 등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한편, 도면들에서 고정 돌기(70)는 경사면(71)과 수직면(73)을 갖도록 구성하고 수직면(73)에 고정턱(77)이 형성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경사면(71)의 하단에 고정턱(77)을 설치하고 수직면(73)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의 선단에,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 경사부를 형성하여, 접촉 바아(110)가 경사면(71)을 따라 하단부근까지 이동했을 때 고정 바아(130)가 경사면(71) 하단의 고정턱(73)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고정 돌기(70)의 형태나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의 선단부의 구성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펀, 고정 바아(130)의 종단부에는 그 상단부에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다수의 톱니홈(1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톱니홈(135)의 상방에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될 손잡이의 해제버튼(56)과 연결된 푸시부(57)에 의해 피벗회전하게 되는 랫치암(15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접촉 바아(110)가 하단 패널(5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접촉 바아 안내부(113)가 하단 패널(50)의 측단부 내측에 접촉 바아(110)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며, 고정 바아(130)가 하단 패널(50)의 길이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 바아 안내부(133)가 하단 패널(50)의 측단부으로부터 이격되어 하단 패널(50)의 내측에 고정 바아(1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힌지 바아(120)는 양단부에 인접하여 한 쌍의 장공(121, 126)을 구비하여, 장공(121. 126)을 통해 접촉 바아(110) 및 고정 바아(130)와 피벗핀(122, 127)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피벗핀(122,127)에는 토션 스프링(123, 128)이 설치되어 있다. 힌지 바아(120)의 장공(121, 126)은,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 기구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장공(121, 126)의 내측단과 피벗핀(122, 127)이 접촉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상태에서는 장공(121, 126)의 외측단과 피벗핀(122, 127)이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도 3과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록킹 해제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힌지 바아(120)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피벗회전함에 따라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의 피벗핀(122, 127)이 장공(121, 126)의 내측단으로부터 외측단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록킹 상태에서 록킹 해제 상태로 전환하게 되면, 힌지 바아(120)가 도면상 시계 반대 방향으로 피벗회전함에 따라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의 피벗핀(122, 127)이 장공(121, 126)의 외측단으로부터 내측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접촉 바아(110)의 상승에 따라 힌지 바아(120)가 도면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 바아(130)는 고정 돌기(70)의 고정턱(77)으로부터 이탈하고(도 5의 상태), 이어 접촉 바아(110)의 상승에 따라 고정 돌기(70)의 수직면(73)로부터 이격되며(도 3의 상태) 하단 패널(5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도 6의 상태).
한편, 하단 패널(50)의 고정 바아(130)의 종단부에 형성된 톱니홈(135)의 상부에는 선단에 톱니돌기(155)를 구비한 랫치암(150)이 설치되어 있으며, 랫치암(150)의 상부에는 랫치암(150)과 접촉하도록 하단 패널(50)의 해제버튼(56)과 연결되어 연동하게 되는 푸시부(57)가 설치된다. 랫치암(150)의 힌지부에도 토션 스프링(157)이 설치되어, 푸시부(57)가 랫피암(150)의 종단부를 누르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푸시부(57)가 상승하여 랫치암(150)의 종단부로부터 이탈하면 랫치암(150)의 토션 스프링(157)의 복원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랫치암(150)의 톱니돌기(155)는 고정 바아(130)의 톱니홈(135)과 결합하게 된다(도 5와 도 6 참조).
또한, 고정 바아(130)의 종단부에 형성된 톱니홈(135)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가 선단을 향하도록 직각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하고, 랫치암(150) 하단의 톱니돌기(155)를 이에 대응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므로써, 방충망(40)을 폐쇄할 때 해제버튼(56)을 누르지 않더라도 접촉 바아(110)가 후퇴함 에 따라 힌지 바아(120)에 의해 고정 바아(130)가 강제로 인출되게 되며 이 때 랫치암(150)이 상방으로 피벗진동하면서 톱니홈(135)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해제버튼(56)을 록킹 장치를 해제하여 롤 타입 방충망을 상승시킬 때만 눌러도 본 고안에 따른 록킹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도 4와 도 6 참조).
도 2의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록킹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촉 바아(110, 110'), 고정 바아(130, 130'), 힌지 바아(120. 120') 및 랫치암(150, 150')으로 구성되는 록킹 기구는 하단 패널(50)의 양 측면 하단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방충망(40)의 하단 패널(50)을 가이드 레일(30, 30')의 하단부에 설치된 고정 돌기(70, 70')에 고정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록킹 장치의 작동과정을 통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본 고안에 따른 록킹 장치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방충망(40)을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가 방충망(40)의 하단 패널(50)에서 연장된 손잡이(55)를 잡고 밑으로 내려서 하단 패널(50)이 고정 돌기(70)의 상단부에 도달한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접촉 바아(110)의 선단부 하단에 형성된 경사부(111)가 고정 돌기(70)의 경사면(71)과 접촉하게 되며, 고정 바아(130)는 고정 돌기(70)의 수직면(73)과 이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바아(110)가 고정 돌기(70)의 경사면(71)을 따라 하강함에 따라 접촉 바아(110)는 하단 패널(50) 내부로 인입되 게 되며, 접촉 바아(110)와 연결된 힌지 바아(120)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고정 바아(130)는 고정 돌기(70)의 고정턱(77)에 고정되게 되게 된다. 한편, 접촉 바아(110)의 후퇴에 따라 힌지 바아(120)는 고정 바아(130)를 고정 돌기(70)를 향하여 돌출시키게 되며, 고정 바아(130)의 종단부의 톱니홈(135)은 랫치암(150)의 톱니돌기(155)를 상, 하로 진동시키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어, 고정 바아(130)가 고정 돌기(70)의 고정턱(77)에 걸린 상태에서 톱니돌기(155)는 고정 바아(130)의 톱니홈(135)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고정 바아(130)는 고정 돌기(70)의 고정턱(77)에 걸린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충망(40)을 개방하기 위해 손잡이(55)의 해제버튼(56, 도 1 참조)을 누르면 푸시부(57)가 랫치암(150)의 종단부를 눌러 랫치암(150)이 시계방향으로 피벗회전하면서, 톱니돌기(155)가 고정 바아(130)의 톱니부(135)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어, 접촉 바아(130)는 고정 돌기(70)의 경사면(71)을 따라 상승하고, 고정 바아(130)와 접촉 바아(110)를 연결하는 힌지 바아(120)가 힌지부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123, 128)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고정 바아(13)는 고정 돌기(70)의 고정턱(77)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어, 접촉 바아(110)는 고정 돌기(70)의 경사면을 따라 계속 상승하면, 고정 바아(130)는 고정 돌기(70)의 수직면(73)으로부터 멀어지며 하단 패널(50) 내로 인입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의 해제버튼(56)을 해방하게 되면 푸시부(57)가 상승하여 랫치암(15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벗회전하여 고정 바아(130)의 톱니홈(135)의 선단에 결합하게 된다. 즉, 사 용자가 하단 패널(50)의 손잡이의 해제버튼(56)을 눌렀다가 풀어주는 것만으로도 고정 바아(130)가 고정턱(77)으로부터 분리되며, 방충망(40)은 록킹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롤 와인딩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상승하게 되게 된다.
한편, 도시의 목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의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와 힌지 바아(120)의 힌지부에 각각 별도의 토션 스프링(123, 128)을 설치한 것으로 도시했으나,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는 힌지 바아(120)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게 되므로, 토션 스프링(123, 128)을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의 어느 일측에만 설치하여도 힌지 바아(120)에 의해 탄성 복원력이 전달되므로 토션 스프링(123, 128)은 어느 일측에만 설치해도 된다. 그러나, 어느 일측에만 설치할 경우에는 록킹 장치의 록킹 해제시에 고정 바아(130)가 고정 돌기(70)의 고정턱(77)으로부터 신속히 이탈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고정 바아(130) 측에만 토션 스프링(128)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는 접촉 바아(110)와 고정 바아(130), 힌지 바아(120) 및 랫치암(150) 등의 얇게 형성가능한 바아 형태의 부품들로 구성되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방충망 하단 패널(50)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에 형성되는 해제버튼(56)은 랫치암(150)의 피벗회전에 필요한 힘만 제공하면 되므로, 사용자가 해제버튼(56)을 누르는 힘도 매우 약하게 설정하여 조각감의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는 방충망의 록킹 해제시에 만 해제버튼(56)을 잠시 누르면 되므로, 방충망의 록킹과 록킹 해제시에 회전조작구나 레버를 조작해야 하는 종래의 방충망 록킹 장치에 비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도 가진 것이다.
이에 따라, 롤 타입 방충망의 록킹 장치를 보다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롤 타입 방충망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작편의성이나 조작감이 우수한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는 가이드 레일을 통해 상하로 이동하는 스크린, 셔터 등과 같은 다른 분야의 롤방식의 차폐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적용도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를 내장한 롤 타입 방충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주요 부품들의 구성도이다.
(부호의 설명)
40 : 방충망 50 : 하단 패널
55 : 손잡이 56 : 해제버튼
70 : 고정 돌기 71 : 경사면
73 : 수직면 77 : 고정턱
110 : 접촉 바아 111 : 선단 경사부
120 : 힌지 바아 121, 126 : 장공
122, 127 : 피벗핀 123, 128 : 토션 스프링
130 : 고정 바아 135 : 톱니홈
150 : 랫치암 155 : 톱니돌기

Claims (3)

  1. 롤 와인딩 장치에 의해 롤에 권취되는 방충망의 하단에 설치되어 록킹 기구를 내장하는 하단 패널과 방충망을 안내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롤 타입 방충망의 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의 하단에 방충망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경사면의 하단에 고정턱을 구비하는 고정 돌기를 설치하고,
    상기 하단 패널의 양측단부로부터 각각 가이드 레일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며 그 선단부의 저면에 상기 고정 돌기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접촉 바아, 접촉 바아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단 패널의 측단부 내측에 상기 접촉 바아와 수평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 종단에 톱니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고정 바아, 상기 접촉 바아의 종단과 고정 바아의 선단부를 피벗연결하는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고 접촉 바아와 고정 바아와의 피벗부의 적어도 일측에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는 한 쌍의 힌지 바아, 상기 고정 바아의 종단의 톱니홈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피벗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힌지부에 토션 스프링과 선단부에 톱니홈과 맞물리는 톱니돌기를 구비하는 한 쌍의 랫치암, 및 상기 한 쌍의 랫치암의 종단을 눌러 피벗회전시키는 푸시부를 구비하는 록킹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아의 톱니홈을 직각부가 선단을 향하도록 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랫치암의 톱니돌기를 톱니홈에 대응하는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고정 바아가 돌출할 때 고정 바아의 톱니홈을 따라 랫치암이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타입 방충망 록킹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면을 구비하고, 수직면의 하단에 고정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KR2020090009129U 2009-07-14 2009-07-14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KR200456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29U KR200456041Y1 (ko) 2009-07-14 2009-07-14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129U KR200456041Y1 (ko) 2009-07-14 2009-07-14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51U KR20110000651U (ko) 2011-01-20
KR200456041Y1 true KR200456041Y1 (ko) 2011-10-11

Family

ID=4420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129U KR200456041Y1 (ko) 2009-07-14 2009-07-14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0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02A (ko)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12575B (zh) * 2015-02-05 2016-07-13 郝建松 一种自锁装置
KR101996122B1 (ko) * 2016-12-29 2019-07-03 이원재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KR101985446B1 (ko) 2017-02-17 2019-09-03 문종배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13B1 (ko) 2002-05-20 2005-01-24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609027B1 (ko) 2004-06-03 2006-08-10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로울러식 방충망의 망체손잡이용 잠금기구
KR100725338B1 (ko) 2007-02-05 2007-06-07 케이에스스크린(주) 롤식 방충망 로킹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13B1 (ko) 2002-05-20 2005-01-24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609027B1 (ko) 2004-06-03 2006-08-10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로울러식 방충망의 망체손잡이용 잠금기구
KR100725338B1 (ko) 2007-02-05 2007-06-07 케이에스스크린(주) 롤식 방충망 로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02A (ko) * 2018-02-28 2019-09-05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KR102030671B1 (ko) * 2018-02-28 2019-11-08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51U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74B1 (ko) 회동체의 왕동기구
KR200456041Y1 (ko)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KR101116985B1 (ko) 래치장치
KR200414802Y1 (ko) 롤러식 방충망의 록킹장치
JP3555268B2 (ja) シャッター用施錠装置
KR20110026835A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조립체
KR101943733B1 (ko)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20100024649A (ko) 창호용 잠금장치
JP2008057178A (ja) 引戸用把手の構造
KR20210126963A (ko) 산업용 도어
EP3498949B1 (en) Locking device for hinged door
KR100773299B1 (ko) 슬라이딩 창문의 잠금장치
JP5732338B2 (ja) 踏板押下規制機構、荷重式扉開閉装置
JP3128567U (ja) シャッター装置のシャッター錠
KR101172418B1 (ko) 창문용 버튼식 자동록킹장치
TWI744022B (zh) 顯示器及其攝像裝置
JP2008261154A (ja) シャッターの手動操作装置
JP2005120703A (ja) ドアのラッチ装置
KR20160143513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KR20130068987A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JP6831994B2 (ja) 扉錠装置
KR100420339B1 (ko) 전자레인지의 인터록장치
JP3957984B2 (ja) 食器洗い機の扉開閉装置
KR20100010031U (ko) 미닫이창문 자동잠금장치
JP3168532B2 (ja) 引き戸開閉用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