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213B1 -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213B1
KR100467213B1 KR10-2002-0027960A KR20020027960A KR100467213B1 KR 100467213 B1 KR100467213 B1 KR 100467213B1 KR 20020027960 A KR20020027960 A KR 20020027960A KR 100467213 B1 KR100467213 B1 KR 100467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protective cover
mesh
lock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0016A (ko
Inventor
박우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to KR10-2002-002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2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0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의 잠금부재들을 보호커버로 덮어서 보호되도록 한 구조로서, 그 양측의 잠금부재들이 원래의 잠금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적인 미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잠금부재의 오동작 가능성을 배제시킨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는 하우징(1) 내에 권취되는 그물망체(2)의 끝단부에 고정되며 한쌍의 레일부재(3)를 따라 승강되는 망체손잡이(4)의 전면에 안내홈(41)을 형성하고, 상기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 상의 길이방향 중간에 누름버튼(62)들이 탄력적으로 내장된 조작수단(6)을 설치하며, 상기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에 의하여 상기 레일부재(3)들내에 각각 설치된 걸이부재(8)에 잠금 또는 해지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망체손잡이(4)의 전면에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여유 있게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간에 연결통로(51)를 가지는 보호커버(5)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 외부에 누름버튼(62)들이 위치하도록 조작수단(6)을 설치하며,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에는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를 통하여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과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판(71)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Device for fastening screen window}
본 발명은 창문이나 출입문 등을 개폐하여 주도록 설치되는 로울러식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커버 내에서 잠금부재들이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로울러식 방충망은 하우징 내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그물망체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망체손잡이의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양끝부분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재에 안내되어서 상기 그물망체가 펼쳐지거나 감겨지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로울러식 방충망에 있어 그물망체는 하우징 내에 탄력적으로 권취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하우징으로부터 그물망체를 펼쳐서 창문이나 출입문(이하 창문으로 통칭함)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망체손잡이를 고정시켰다가, 필요시에 망체손잡이를 풀어서 하우징 내에 그물망체가 감겨서 보관되도록 하면서 창문을 개방하도록 단속하기 위한 잠금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로울러식 방충망용 망체손잡이의 잠금장치와 관련하여 유럽특허 EP 0397619호(1990.11.14일 공고)에는 "닫힌 위치에서 창문 개구부와 같은 것들을 보호하기 위한 롤-업 커튼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부 면에서 커튼의 아래쪽 모서리를 조이기 위한 시트를 형성하고, 그리고 개구부를 감싸고 있는 프레임의 기둥 내에 삽입되는 각각의 수직 가이드 내에서 구동되는 두 개의 슬라이더를 지탱하는 테 구역, 상기 테 구역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되면서 대칭적으로 동작되고 그리고 상기 기둥의 관련 베이스 내에 만들어진 각각의 잠금 시트와 닫힌 위치에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역의 끝 부분으로부터 돌출 되도록 만들어진 두 개의 빗장수단, 상기 빗장수단을 바깥쪽으로 동작시키기에 적합하고 그리고 상기 장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작동하기에 적합한 탄성수단이 설치된 푸시버튼 수단을 포함하는 커튼 잠금장치"가 선출원공고되어 있다.이 커튼 잠금장치는 탄성수단을 가지는 푸시버튼에 의하여 테 구역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두 개의 빗장수단이 프레임의 기둥의 관련 베이스 내에 만들어진 잠금 시트에 잠기거나 해지되도록 하여서, 롤-업커튼이 개구부를 닫은 위치에서 확실하게 잠금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커튼 잠금장치는 테 구역의 전면에 형성된 채널 내에 빗장수단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잠금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롤-업커튼의 외적인 미관을 저하시켜서 사용자가 거부감을 일으키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된 빗장수단과 채널 사이의 틈새로 먼지나 오염물이 무단으로 유입됨에 따라, 빗장수단이 유입된 먼지나 오염물에 의하여 원활히 동작하지 못하고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양측의 잠금부재들을 보호커버로 덮어서 보호되도록 한 구조로서, 그 양측의 잠금부재들이 원래의 잠금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외적인 미관이 획기적으로 향상된 고품격의 로울러식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잠금부재의 오동작 가능성을 배제시킨 고품질의 로울러식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부재가 잠긴 상태를 예시한 것임
도 4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잠금부재가 해지된 상태를 예시한 것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망체손잡이 5: 보호커버 6: 조작수단
7: 잠금부재 8: 걸이부재 41: 안내홈
51: 연결통로 52: 고정용 장공 61: 케이싱
62: 누름버튼 71: 연장판
본 발명도 하우징(1) 내에 권취되는 그물망체(2)의 끝단부에 고정되며 한쌍의 레일부재(3)를 따라 승강되는 망체손잡이(4)의 전면에 안내홈(41)을 형성하고, 상기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 상의 길이방향 중간에 누름버튼(62)들이 탄력적으로 내장된 조작수단(6)을 설치하며, 상기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에 의하여 상기 레일부재(3)들내에 각각 설치된 걸이부재(8)에 잠금 또는 해지되도록 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 발명의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망체손잡이(4)의 전면에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여유 있게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간에 연결통로(51)를 가지는 보호커버(5)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 외부에 누름버튼(62)들이 위치하도록 조작수단(6)을 설치하며,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에는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를 통하여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과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판(71)을 형성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는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장판(71)이 각각 형성된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보호커버(5) 내에 덮여지도록 하고,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의 연장판(71)이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를 통하여 그 연결통로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과 각각 연결되게 하여서,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보호커버(5) 내에 덮여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에 의하여 잠금 또는 해지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보호커버(5)로 덮여져서 보호되는 상태로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로울러식 방충망의 외적인 미관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뿐만 아니라,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과 양측의 잠금부재(7)들 사이로 유입되는 먼지나 오염물을 차단하여서,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원활히 동작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0은 창문틀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 그물망체(2), 양측의 레일부재(3)는 이미 알려진 통상의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망체손잡이(4)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상체로서 그 전면의 하부에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구획되는 안내홈(41)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 안내홈(41)은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이동하면서 잠금기능을 수행하도록 안내하여 주는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망체손잡이(4)는 상부에 양분되어 마주하는 돌출편(42)들의 내측 하부에 끼움홈(43)을 형성하여 상기 그물망체(2)의 끝부분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그 끼움홈(43)의 직하부 후면에 격벽(44)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개방된 형태로 구획된 조립홈(45)의 양단에 상기 양측의 레일부재(3)를 따라 승강되는 가이드편(46)을 결착시켜서 된다.
보호커버(5)는 상기 망체손잡이(4) 전면의 상단부 근처와 하단부를 경계로 찬넬형의 단면형상으로 연이어져서 내부에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형성하여서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커버(5)에는 상면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연결통로(51)를 가져서, 상기 보호커버(5) 내에 덮여진 양측의 잠금부재(7)들의 연장판(71)이 연결통로(51)를 통하여 그 연결통로 외부에 설치되는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 양단에 직각방향으로 연통되는 고정용 장공(52)들을 가져서, 그 고정용 장공(52)을 통하여 상기 조작수단(6)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5)는 상기 양측의 레일부재(3)의 폭을 감안하여 망체손잡이(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되, 그 보호커버(5)의 양측단에 각각 마구리판(53)을 착설하여서 된다. 이는 상기 보호커버(5)를 상기 양측의 레일부재(3)에 상기 망체손잡이(4)의 양단을 끼워서 승강되도록 설치하는 데 지장이 없게 하여 주는 동시에, 개방된 보호커버(5)의 양단을 밀봉시켜서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더욱 확실하게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커버(5)의 하부에 결착홈(54)을 요입 형성하여 두고, 그 결착홈(54)을 통하여 하향 돌출되도록 완충부재(55)를 결착시켜서, 상기 망체손잡이(4)를 하강시켜서 바닥에 접지시킬 때에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조작수단(6)은 하부가 트여진 내부에 중간벽(61b)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삽입홀(61a)들이 형성되는 케이싱(61)과, 그 케이싱의 삽입홀(61a)들내에 각각 끼워져서 중간벽(61b)에 탄지되는 탄발스프링(62a)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누름버튼(62)들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61)은 좌우측 양끝단에 형성된 고정돌기(61c)들을 통하여 상기 보호커버(5)의 고정용 장공(52)에 끼워맞춰서 결착되고, 상기 누름버튼(62)들은 내측 하단에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62b)가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를 통하여 양측의 잠금부재(7)의 연장판(71)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수단(6)은 도 3에서와 같이 누름버튼(62)들이 탄발스프링(62a)의 탄력에 의하여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서로 밀어내도록 작용하여,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의 끝단이 양측의 레일부재(3)에 부설된 걸이부재(8)에 걸어져서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도 4에서와 같이 누름버튼(62)들을 누르면 탄발스프링(62a)이 눌려지면서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서로 당겨주도록 작용하여,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의 끝단이 양측의 레일부재(3)에 부설된 걸이부재(8)로부터 이탈하여서 해지되게 하여 준다.
양측의 잠금부재(7)들은 각각 상기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막대형으로 형성하되, 그 양측의 잠금부재(7)들의 내측 끝단부에서 외측 끝단부 근처까지 길이가 짧게 상부로 연장 절곡되어서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과 연결되도록 연장판(71)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연장판(71)의 상면 내측 끝부분에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에 형성된 연결돌기(62b)가 끼워져서 고정되는 통공(71a)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양측의 잠금부재(7)는 상기 보호커버(5) 내에 덮여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에 의하여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레일부재(3)들에 부설된 걸이부재(8)에 잠기거나 해지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8)는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에 대응하도록 상기 양측의 레일부재(3)의 내측 하단부에 각각 부설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8)는 그 일측이 평활한 대접면(81)을 이루도록 하되, 상부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안내경사면(82)의 중간에 돌출되는 걸림턱(83)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걸이부재(8)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그 대접면(81)을 상기 양측의 레일부재(3)의 내측벽에 접착 고정시켜서 설치되며, 상기 망체손잡이(4)를 하부로 이동시키면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안내경사면(82)을 따라 하강하여서 걸림턱(83)에 걸려서 잠길 수 있게 하여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그 망체손잡이의 전면에 형성되는 보호커버(5)로 덮여지도록 하되, 상기 보호커버(5)는 그 전면의 길이 방향 중간에 연결통로(51)를 형성하여 두고 그 하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단차지는 절곡부(56)를 형성하며,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의 외부에 케이싱(61) 내의 양측에 탄력적으로 내장된 누름버튼(62)들이 일치되도록 조작수단(6)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에는 상기 보호커버(5)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를 통하여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과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판(71)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따르면, 망체손잡이(4)의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보호커버(5)로 덮어서 보호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보호커버(5)의 외부에 설치되는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로서 잠금 또는 해지 동작시킬 수 있게 하여 줌은 물론이고, 상기 보호커버(5)의 전면에 조작수단(6)이 배치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그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을 보다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는 양측의 잠금부재들이 보호커버로 덮여져서 보호되는 상태로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로울러식 방충망의 외적인 미관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뿐만 아니라, 망체손잡이의 안내홈과 양측의 잠금부재들 사이로 유입되는 먼지나 오염물을 차단하여서, 양측의 잠금부재들이 원활히 동작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하우징(1) 내에 권취되는 그물망체(2)의 끝단부에 고정되며 한쌍의 레일부재(3)를 따라 승강되는 망체손잡이(4)의 전면에 안내홈(41)을 형성하고, 상기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 상의 길이방향 중간에 누름버튼(62)들이 탄력적으로 내장된 조작수단(6)을 설치하며, 상기 망체손잡이(4)의 안내홈(41)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양측의 잠금부재(7)들이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에 의하여 상기 레일부재(3)들내에 각각 설치된 걸이부재(8)에 잠금 또는 해지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망체손잡이(4)의 전면에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을 여유 있게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중간에 연결통로(51)를 가지는 보호커버(5)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 외부에 누름버튼(62)들이 위치하도록 조작수단(6)을 설치하며, 상기 양측의 잠금부재(7)들에는 상기 보호커버(5)의 연결통로(51)를 통하여 상기 조작수단(6)의 누름버튼(62)들과 각각 연결되도록 연장판(71)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5)는 상기 양측의 레일부재(3)의 폭을 감안하여 망체손잡이(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되, 그 보호커버(5)의 양측단에 각각 마구리판(53)을 착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2-0027960A 2002-05-20 2002-05-20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KR100467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60A KR100467213B1 (ko) 2002-05-20 2002-05-20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960A KR100467213B1 (ko) 2002-05-20 2002-05-20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016A KR20030090016A (ko) 2003-11-28
KR100467213B1 true KR100467213B1 (ko) 2005-01-24

Family

ID=3238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960A KR100467213B1 (ko) 2002-05-20 2002-05-20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01B1 (ko) 2008-03-12 2010-02-25 홍성철 롤 방충망 개폐장치
KR200456041Y1 (ko) 2009-07-14 2011-10-11 김성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CN102877775A (zh) * 2011-07-13 2013-01-16 大常窗户系统有限公司 辊式防虫网的锁定及释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931B1 (ko) * 2007-11-14 2008-01-24 곽재석 롤 방충망의 손잡이 잠금장치
TW201443329A (zh) * 2013-05-08 2014-11-16 Taroko Door & Window Technologies Inc 具有防掀離裝置的捲軸式紗窗及其防掀離裝置
KR101522342B1 (ko) * 2013-11-11 2015-05-21 (주)샤빈창산업 롤 방충망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A (en) * 1837-10-18 Daniel stephens
US2126782A (en) * 1938-02-17 1938-08-16 Chamberlin Metal Weather Strip Roller screen
US3158195A (en) * 1962-04-23 1964-11-24 Ney Land Inc Roll up window screens
EP0397619A2 (en) * 1989-05-12 1990-11-14 Sunproject S.R.L. Device for locking a roll-up curtain, for protection of window openings and the like, in the shut position
JPH0960385A (ja) * 1995-08-24 1997-03-04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用施錠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A (en) * 1837-10-18 Daniel stephens
US2126782A (en) * 1938-02-17 1938-08-16 Chamberlin Metal Weather Strip Roller screen
US3158195A (en) * 1962-04-23 1964-11-24 Ney Land Inc Roll up window screens
EP0397619A2 (en) * 1989-05-12 1990-11-14 Sunproject S.R.L. Device for locking a roll-up curtain, for protection of window openings and the like, in the shut position
JPH0960385A (ja) * 1995-08-24 1997-03-04 Bunka Shutter Co Ltd シャッター用施錠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01B1 (ko) 2008-03-12 2010-02-25 홍성철 롤 방충망 개폐장치
KR200456041Y1 (ko) 2009-07-14 2011-10-11 김성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CN102877775A (zh) * 2011-07-13 2013-01-16 大常窗户系统有限公司 辊式防虫网的锁定及释放装置
CN102877775B (zh) * 2011-07-13 2015-03-18 大常窗户系统有限公司 辊式防虫网的锁定及释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016A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2458B2 (en) Actuator for a tilt-latch for a sash window
US20080053623A1 (en) Roller screen assemblies
KR100467213B1 (ko)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KR101236524B1 (ko) 접이문
JP4487289B2 (ja) 引戸の気密構造
JPH0960385A (ja) シャッター用施錠装置
GB1583500A (en) Door and door frame assembly
JP3659892B2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およびこの施錠装置を備えたシャッター
KR101545787B1 (ko) 도어의 안전장치
KR200430500Y1 (ko)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칸막이
KR101907996B1 (ko) p와 d 단면 형상을 갖는 도어
KR102099674B1 (ko) 벨트창호
KR200368411Y1 (ko) 출입문 안전장치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20220042921A (ko) 난간대 일체형 방충창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0720186B1 (ko) 강화유리문용 잠금장치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KR200281172Y1 (ko)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JP3148657B2 (ja) 網戸及び窓
KR100764718B1 (ko) 슬라이딩 윈도 핸들 구조
CA2593787C (en) Improvements to roller screen assemblies
JP3533627B2 (ja) 窓シャッタ−におけるシャッタ−カ−テンと障子との当接緩和構造
JPS6242075Y2 (ko)
JPH08184244A (ja) ドアの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