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342B1 - 롤 방충망 장치 - Google Patents

롤 방충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342B1
KR101522342B1 KR1020130136200A KR20130136200A KR101522342B1 KR 101522342 B1 KR101522342 B1 KR 101522342B1 KR 1020130136200 A KR1020130136200 A KR 1020130136200A KR 20130136200 A KR20130136200 A KR 20130136200A KR 101522342 B1 KR101522342 B1 KR 10152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roller
fix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150A (ko
Inventor
함재화
Original Assignee
(주)샤빈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빈창산업 filed Critical (주)샤빈창산업
Priority to KR102013013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3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6Screens; Insect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방충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볼트결합부,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며 상부결합공이 포함되는 한 쌍의 상부결합부와 하측이 개방된 상부프레임과, 회전롤러와, 축부와, 제1측판과, 제2측판과, 하부프레임과, 하부측판과, 걸림부와, 작동부와, 측면프레임과, 상측은 상기 회전롤러의 롤러에 형성된 끼움부에 결합되고 하측은 하부프레임의 방충망고정부에 형성된 방충망홈과 하부측판에 형성된 보조방충망홈에 결합되며 양측은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측면브러시와 밀착되는 방충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회전롤러에 형성된 제1, 2고정판과 축부, 제1, 2측판을 통해 상부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고정되며, 축부의 스프링이 축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축이 제1측판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스프링이 뒤틀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회전하게 되면서 방충망이 뒤틀어지지 않고 편평하게 풀려지거나 감겨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롤 방충망 장치{A mothproof 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롤 방충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에 설치된 롤 방충망을 사용할 때, 롤 방충망 장치에서 롤 방충망이 분리되더라도 롤 방충망이 파손되지 않으면서 롤 방충망 장치에 용이하게 원상복귀가 가능함은 물론, 원터치 형태로 롤 방충망을 사용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롤 방충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롤 방충망은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206002호와 같이 몸체프레임, 회전부재, 지지축, 텐션스프링, 막음부재, 텐선조절부재를 통하여 방충망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롤 방충망을 사용하더라도 롤 방충망의 측면이 제대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롤 방충망을 펼치거나 접을 때, 롤 방충망의 측면으로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서 모기와 같은 해충들이 쉽게 실내로 들어올 수 있으며, 롤 방충망이 고정되는 회전부재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게 되어 롤 방충망이 제대로 펼쳐지거나 접혀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롤 방충망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여 롤 방충망 장치의 제작이 어려워 제조가격이 증가됨은 물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롤 방충망을 원상복귀시키는 텐션스프링의 텐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서 롤 방충망이 제대로 원상복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롤 방충망 장치는 내측의 공간부에 형성되는 볼트결합부,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며 상부결합공이 포함되는 한 쌍의 상부결합부와 하측이 개방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공간부에 위치되며 외측으로 끼움부와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롤러, 상기 롤러의 일측으로 결합되도록 타측으로 롤러에 형성된 돌기부의 사이로 위치되는 제1롤러고정부와 상기 롤러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돌출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고정판, 상기 롤러의 타측으로 결합되도록 일측으로 롤러에 형성된 돌기부의 사이로 위치되는 제2롤러고정부와 롤러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고정대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제2고정판이 구성된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에 형성된 롤러와 제1, 2고정판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일측으로 축돌기와 타측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는 축, 상기 축이 내측으로 결합되되 일측은 회전롤러의 제1고정판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며 타측은 축에 형성된 절개부에 결합되는 스프링이 구성된 축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으로 위치되며 상기 축에 형성된 축돌기가 결합되는 축결합공이 포함되고 상기 회전롤러에 형성된 제1고정판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부,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상부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돌출부, 상기 제1돌출부의 하측으로 제1보조돌출부가 구성된 제1측판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타측으로 위치되며 회전롤러의 제2고정판에 형성된 끼움돌기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상부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돌출부, 상기 제2돌출부의 하측으로 제2보조돌출부가 구성된 제2측판과, 상측으로 방충망홈이 형성되는 방충망고정부, 상기 방충망고정부의 하측으로 방충망고정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한 쌍의 거치슬라이드와 상기 거치슬라이드의 하측으로 제1슬라이드홈이 형성된 제1슬라이드부와 상기 제1슬라이드부의 인접한 지점에 슬라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면의 하측으로 하부브러시가 결합된 하부브러시홈이 형성되며 전면으로 볼트홈이 형성되는 하부몸체로 구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으로 결합되며 방충방고정부에 형성된 방충망홈과 대응되는 보조방충망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된 거치슬라이드에 위치되는 제1슬라이드돌출부, 하부몸체에 형성된 슬라이드면에 위치되어 슬라이드되는 제2슬라이드돌출부, 상기 제2슬라이드돌출부와 인접한 위치에 이동홈이 구성된 하부측판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하부몸체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보조스프링, 상기 보조스프링의 양측으로 밀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몸체에 형성된 볼트홈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탄성고정부와 하측으로 이동바고정홀과 이동바고정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몸체, 타측으로 상기 지지몸체에 형성된 이동바고정홀과 이동바고정부에 대응되는 이동바돌출부와 이동바홈이 포함되며 일측으로 경사면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측판에 형성된 이동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이동바가 구성된 걸림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하부몸체의 외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된 볼트홈에 삽입되어 걸림부의 지지몸체에 형성된 탄성고정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탄성고정부를 슬라이드시키는 스위치가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가 내측으로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손잡이몸체, 상기 손잡이몸체의 개방된 방향으로 결합되고 손잡이에 형성된 스위치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장공형태의 장공홀이 형성되는 후판으로 구성된 작동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 양측으로 위치되며 각각 제1측판에 형성된 제1보조돌출부와 제2측판에 형성된 제2보조돌출부가 결합되는 보조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턱, 측면브러시가 결합되는 측면돌출부, 상기 보조턱에 형성된 보조홈의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에 형성된 이동바가 밀착되는 걸림턱이 구성된 측면프레임과, 상측은 상기 회전롤러의 롤러에 형성된 끼움부에 결합되고 하측은 하부프레임의 방충망고정부에 형성된 방충망홈과 하부측판에 형성된 보조방충망홈에 결합되며 양측은 상기 측면프레임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측면브러시와 밀착되는 방충망이 포함되어 회전롤러에 형성된 제1, 2고정판과 축부, 제1, 2측판을 통해 상부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고정되며, 축부의 스프링이 축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축이 제1측판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스프링이 뒤틀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회전하게 되면서 방충망이 뒤틀어지지 않고 편평하게 풀려지거나 감겨지게 된다.
본 발명은 회전롤러에 형성된 제1, 2고정판과 축부, 제1, 2측판을 통해 상부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고정되며, 축부의 스프링이 축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축이 제1측판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스프링이 뒤틀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회전하게 되면서 방충망이 뒤틀어지지 않고 편평하게 풀려지거나 감겨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측판에 형성된 제1, 2보조돌출부를 통해 상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거치슬라이드, 제1슬라이드홈, 제1슬라이드부와 슬라이드면에 의해 하부측판이 하부프레임에 용이하면서 편리하게 고정됨은 물론, 이동바가 흔들리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프레임에 형성되는 받침턱, 보조받침턱에 의해 하부프레임이 하부 창문틀에 틈새 없이 높은 밀착력으로 밀착되어 틈새로 해충 등이 쉽게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되며, 하부브러시에 의해 하부프레이 하부 창문틀에 위치될 때 하부프레임과 하부 창문틀이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지지몸체 및 이동바와 작동부의 손잡이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동바로 전해지는 힘이 일정하게 전달되면서 방충망을 편리하게 펴거나 말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충망의 양측이 측면프레임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간편하게 끼워져 있어, 방충망의 전면, 후면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방충망이 바로 측면프레임에서 분리되어 방충망이 파손되지 않게 되고, 파손된 방충망만을 측면프레임에서 분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방충망이 풀려지거나 감겨질 때 측면프레임에 의해 방충망이 뒤틀어지지 않고 편평하게 가이드 되면서 펼쳐지거나 감겨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에서 방충망이 이탈되더라도 방충망이 스프링에 의해 펼쳐지거나 감겨지면서 다시 측면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상기 측면프레임에 형성된 측면브러시를 통해 방충망, 하부측판이 펼쳐지거나 감겨질 때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작동부의 스위치가 좌, 우로 이동하게 될 때 작동부에 형성된 장공홀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상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과 4는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회전롤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제1측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제2측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하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하부측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걸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작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와 13은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측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와 15는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상부프레임, 회전롤러, 축부, 제1측판, 제2측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하부프레임, 하부측판, 걸림부, 작동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7과 18은 본 발명인 롤 방충망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롤 방충망 장치(200)는 상부프레임(10), 회전롤러(20), 축부(30), 제1측판(40), 제2측판(50), 하부프레임(60), 하부측판(70), 걸림부(80), 작동부(90), 측면프레임(100), 방충망(110)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상부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도면에 미도시)의 상측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11)의 임의의 지점에 하나 이상의 볼트(도면에 미도시)가 삽입되는 볼트결합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1) 하측 방향으로 상부결합공(13a)이 형성된 상부결합부(13)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하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롤러(20)는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공간부(11)에 위치되며 외측으로 끼움부(21a)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21a)와 인접한 지점에 다수개의 돌기부(21b)를 포함하는 중공관 형태의 롤러(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21)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제1고정판(22)과, 타측으로 결합되는 제2고정판(23)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판(22)은 롤러(21)의 일측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롤러(21)를 향하는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롤러(21)에 다수개로 형성된 돌기부(21b)의 사이로 결합되는 제1롤러고정부(22a)와 상기 롤러(21)의 내측으로 결합되며 볼트와 같은 나선을 이루는 나사부(22b)가 형성되며, 롤러(21)와 반대 방향인 일측방향으로 돌출결합부(22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고정판(23)은 롤러(21)의 타측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롤러(21)를 향하는 방향인 일측 방향으로 롤러(21)에 다수개로 형성된 돌기부(21b)의 사이로 결합되는 제2롤러고정부(23a)와 롤러(2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고정대(23b)가 형성되며, 롤러(21)와 반대 방향인 타측 방향으로 끼움돌기(23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판(22)과 제2고정판(23)에 형성된 고정대(23b)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고정판(22)에 형성된 제1롤러고정부(22a)와 제2고정판(23)에 형성된 제2롤러고정부(23a)와 고정대(23b)가 롤러(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롤러(21)의 양측으로 제1고정판(22)과 제2고정판(23)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축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러(20)에 형성된 롤러(21)와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는 제1고정판(22)과 제2고정판(23)에 형성된 고정대(23b)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일측으로 축돌기(31a)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절개부(31b)가 포함되는 축(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3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회전롤러(20)에 형성된 롤러(21)의 내부로 위치되며 일측은 상기 회전롤러(20)의 제1고정판(22)에 형성된 나사부(22a)에 끼워지고 타측은 축(31)의 타측 방향에 형성된 절개부(31b)에 결합되는 스프링(32)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2)은 일반적으로 나선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스프링(32)의 일측이 상기 회전롤러(20)의 제1고정판(22)에 볼트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나사부(22a)에 끼워지게 되어 제1고정판(22)에 스프링(32)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됨은 물론, 스프링(32)의 타측이 축(31)의 절개부(31b)에 끼워지게 되면서 축(31)에서도 스프링(32)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측판(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축(31)에 형성된 축돌기(32b)가 삽입되는 축결합공(41a)이 포함되면서 상기 회전롤러(20)에 중공관 형태로 형성된 제1고정판(2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부(4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41)에 형성된 축결합공(41a)에 축(31)에 형성된 축돌기(32b)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축(31)과 제1결합부(41)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축(31)의 헛회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41)의 하측으로 상부프레임(10)의 상부결합부(13)에 형성된 상부결합공(13a)에 대응되면서 끼워지는 제1돌출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42)의 하측으로 제1보조돌출부(4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측판(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타측으로 결합되며 상기 회전롤러(20)의 제2고정판(23)에 형성된 끼움돌기(23c)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51)의 하측으로 상부프레임(10)의 상부결합부(13)에 형성된 상부결합공(13a)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제2돌출부(52)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출부(52)의 하측으로 제2보조돌출부(5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제1측판(40)과 제2측판(50)에는 제1, 2측판(40, 50)이 상부프레임(10)의 양측방향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볼트결합부(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도면에 미도시)가 삽입되는 홀(b)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60)은 상부프레임(10)의 하측 방향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방충망홈(61a)이 형성되는 방충망고정부(6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충망고정부(61)의 하측으로 방충망고정부(6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몸체(6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62)에는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한 쌍의 거치슬라이드(62a)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슬라이드(62a)의 하측으로 제1슬라이드홈(62b)이 포함되는 제1슬라이드부(62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61c)와 인접한 지점에 슬라이드면(6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61c)와 슬라이드면(62d)의 하측으로 다양한 재질의 하부부러시(62e)가 결합되는 하부브러시홈(62f)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상기 하부몸체(62)의 전방으로 하나 이상의 볼트홈(62g)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하부몸체(62)의 하부 전면으로 하부몸체(62)의 길이방향으로 받침턱(62h)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하부 후면으로 한 쌍의 보조받침턱(62i)이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받침턱(62h)과 보조받침턱(62i)은 하부프레임(60)이 창문틀에 위치될 때, 하부프레임(60)이 창문틀에 견고히 밀착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작동부(90)가 상기 받침턱(62h)에 밀착되면서 흔들리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측판(7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60)의 양측으로 결합되며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방충망홈(61a)과 방충망고정부(61)와 대응되는 형상의 보조방충망홈(71)이 형성되며, 하부프레임(60)의 하부몸체(62)에 형성된 거치슬라이드(62a)에 위치되어 슬라이드되는 제1슬라이드돌출부(7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슬라이드돌출부(72)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제1슬라이드돌출부(72)를 압출이나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할 때, 제작비감소 및 무게의 최소화를 위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살빼기홈(도면에 미도시)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슬라이드돌출부(72)의 하측으로 상기 하부프레임(60)의 하부몸체(62)에 형성된 슬라이드면(62d)에 위치되어 슬라이드되는 제2슬라이드돌출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드돌출부(73)와 인접한 지점에 위치하면서 하부프레임(60)의 제1슬라이드부(62c)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홈(62b)과 대응되는 지점에 관통된 형태의 이동홈(7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측판(70)은 하부프레임(60)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2개가 한 쌍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하부몸체(62)의 내부 중앙부분에 위치되는 보조스프링(8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스프링(81)의 양측으로 밀착되어 보조스프링(81)을 고정하면서 하부프레임(60)의 하부몸체(62)에 형성된 볼트홈(62g)과 대응되는 지점에 탄성고정부(82a)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고정부(82a)의 하측 반대방향으로 이동바고정홀(82d)과 이동바고정부(82c)가 포함되는 지지몸체(8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8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스프링(81)의 양측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지지몸체(82)에는 지지몸체(82)의 강도 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수개의 보강대(82d)를 더 포함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82)에 형성된 이동바고정홀(82b)과 이동바고정부(82c)가 위치된 방향으로 상기 이동바고정홀(82b)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이동바돌출부(83a)와 상기 이동바고정부(82c)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이동바홈(83b)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돌출부(83a)와 이동바홈(83b)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면(83c)이 형성되고 하부프레임(60)의 제1슬라이드부(62c)에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홈(62b)과 하부측판(70)에 형성된 이동홈(7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어 하부측판(70)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노출되는 이동바(83)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9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하부몸체(62)의 외측으로 결합되되 상기 하부몸체(62)에 형성된 볼트홈(62g)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어 상기 볼트홈(62g)에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부(80)의 지지몸체(82)에 형성된 탄성고정부(82a)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몸체(82)를 슬라이드시키는 스위치(91a)가 포함되는 손잡이(91)가 한 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91)의 상, 하측 방향으로 손잡이(91)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정지턱(91b)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손잡이(91)가 내부 양측으로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손잡이몸체(9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몸체(92)의 내부 양측으로 손잡이(91)에 형성된 정지턱(91b)과 대응되어 밀착되는 보조정지턱(92a)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손잡이(91)에 형성된 정지턱(91b)과 상기 손잡이몸체(92)에 형성된 보조정지턱(92a)이 서로 대응되어 밀착되면서 손잡이몸체(92)에서 손잡이(91)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손잡이몸체(92)의 하측으로 하부프레임(60)의 하부몸체(62)에 형성된 받침턱(62h)에 밀착되는 간격유지구(92b)를 더 포함시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손잡이몸체(92)에 형성된 간격유지구(92b)가 하부프레임(60)의 하부몸체(62)에 형성된 받침턱(62h)의 상측으로 밀착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손잡이 몸체(92)가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지점에 위치하면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몸체(92)의 개방된 부분인 후면방향으로 위치되며 손잡이(91)에 형성된 스위치(91a)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장공형태의 장공홀(93a)이 포함되는 후판(9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몸체(92)와 후판(93)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볼트(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며, 볼트에 의해 손잡이몸체(92)와 후판(93)에 볼트에 의한 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손잡이몸체(92)와 후판(93)이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하부몸체(62)에 용이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상술한 볼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상기 손잡이몸체(92)와 후판(93) 및 하부몸체(62)를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때도 볼트에 의한 홈이 형성되는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100)은 도 12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0)의 하부 양측으로 위치되며 내측으로 제1측판(40)에 형성된 제1보조돌출부(43)와 제2측판(50)에 형성된 제2보조돌출부(53)가 각각 결합되는 보조홈(101a)이 포함되는 한 쌍의 보조턱(1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턱(101)과 인접한 지점에 측면브러시(102a)가 결합되는 측면돌출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턱(101)에 형성된 보조홈(101a)의 하측으로 상기 걸림부(80)의 이동바(83)가 움직이면서 밀착되거나 분리되는 걸림턱(10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80)의 이동바(83)에는 경사면(83c)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면(83c)에 의해 하부프레임(6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이동바(83)가 상기 걸림턱(103)과 쉽게 분리되면서 하부프레임(60)이 용이하게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하부프레임(6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경사면(83c)에 의해 이동바(83)가 걸림턱(103)에 걸리게 되면서 하부프레임(60)이 자중에 의해 쉽게 상측으로 이동하기 않게 된다.
덧붙여, 상기 측면프레임(100)은 상부프레임(10)의 양측으로 위치되기 때문에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측면프레임(100)에 형성된 측면돌출부(102)의 상, 하측으로 꺽임부(102b)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꺽임부(102b)는 측면돌출부(102)에 결합되는 측면브러시(102a)가 측면돌출부(102)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방충망(110)은 현재 일반적으로 창문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상측은 상기 회전롤러(20)의 롤러(21)에 형성된 끼움부(21a)에 결합되고 하측은 하부프레임(60)의 방충망고정부(61)에 형성된 방충망홈(61a)과 하부측판(70)에 형성된 보조방충망홈(71a)에 결합되며 양측은 상기 측면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측면브러시(102a)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충망(110)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4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부(30)에 형성된 축(31)의 외측으로 스프링(32)을 결합한다.
그런 후, 상기 스프링(32)의 타측을 축(31)의 타측에 형성된 절개부(31b)에 끼워 축(31)과 스프링(32)의 타측을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2)의 일측을 회전롤러(2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고정판(22)에 형성된 나사부(22b)에 끼우도록 하여, 상기 나사부(22b)에서 나선형태로 감겨진 스프링(32)이 제1고정판(22)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제1고정판(22)을 롤러(21)의 일측으로 위치시키면서 상기 제1고정판(22)에 형성된 제1롤러고정부(22a)를 롤러(21)에 다수개로 형성된 돌기부(21b)의 사이로 결합하면서 축부(30)가 결합된 제1고정판(22)을 롤러(21)의 일측으로 결합하면 상기 축부(30)가 롤러(21)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그런 후, 롤러(21)의 타측으로 제2고정판(23)을 위치시키면서 상기 제2고정판(23)에 형성된 고정대(23b)를 상기 롤러(21)의 타측 내부로 끼우면서 상기 제2고정판(23)에 형성된 제2롤러고정부(23a)를 상기 제1고정판(22)의 제1롤러고정부(22a)와 동일하게 롤러(21)에 다수개로 형성된 돌기부(21b)의 사이로 끼워 롤러(21)의 타측으로 제2고정판(23)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21)에 형성된 돌기부(21b)와 제1, 2고정판(22, 23)에 형성된 제1롤러고정부(22a)와 제2롤러고정부(23a)에 의해 롤러(21)와 제1, 2고정판(22, 23) 및 축부(30)가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롤러(21)에 형성된 끼움부(21a)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방충망(110)의 상부를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방충망(110)은 끼움부(21a)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되면서 결합되는 방법으로 도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축부(30)가 회전롤러(20)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롤러(20)의 일측방향으로 축부(30)의 축(31)에 형성된 축돌기(31a)가 롤러(21)의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런 후, 상기 축돌기(31a)를 제1측판(40)의 제1결합부(41)에 형성된 축결합공(41a)에 결합하면서 상기 제1결합부(41)를 제1고정판(22)의 일측방향에 형성된 돌출결합부(22c)의 내측으로 결합하여 롤러(21)의 일측으로 제1측판(40)이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판(22)은 내부가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측판(40)의 제1결합부(41)와 축(31)이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롤러(21), 축(31)과 제1측판(40)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롤러(21)를 상부프레임(10)의 공간부(11)에 위치시키면서 롤러(21)의 타측으로 회전롤러(20)의 제2고정판(23)에 타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돌기(23c)를 제2측판(50)에 형성되는 제2결합부(51)에 결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의 공간부(11)에 롤러(21)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부프레임(10)의 양측으로 제1, 2측판(40, 5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양측으로 제1, 2측판(40, 50)을 고정시킬 때, 상기 제1, 2측판(40, 50)에 형성된 홀(b)로 볼트를 삽입하면서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볼트결합부(12)에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과 제1, 2측판(40), 50)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80)에 형성된 보조스프링(81)의 양측으로 한 쌍의 지지몸체(82)를 위치시키면서 한 쌍의 지지몸체(82)에 형성된 탄성고정부(82a)를 각각 보조스프링(81)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밀착시켜 스프링(81)과 지지몸체(82)가 밀착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지지몸체(82)에 형성된 이동바고정홀(82b)과 이동바고정부(82c)에 이동바(83)에 형성된 이동바돌출부(83a)와 이동바홈(83b)이 각각 결합되도록 하여 한 쌍의 지지몸체(82)에 각각 하나씩 이동바(83)가 결합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걸림부(80)를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하부몸체(62)의 내측으로 위치시키되 하부몸체(62)의 전면에 형성된 볼트홈(62g)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지지몸체(82)에 각각 형성된 탄성고정부(82a)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하부몸체(62)의 내부로 걸림부(80)를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62)의 내측으로 걸림부(80)를 결합시킬 때, 걸림부(80)에 형성된 이동바(83)가 하부몸체(62)의 제1슬라이드부(62c)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홈(62b)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83)가 하부몸체(62)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흔들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하부몸체(62)의 하측에 형성된 하부브러시홈(62f)에 하부브러시(62e)를 결합한다.
한편, 손잡이몸체(92)의 내부 양측으로 손잡이(91)를 위치시키면서 후면이 개방된 손잡이몸체(92)의 방향으로 후판(93)를 볼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몸체(92)에 손잡이(91)를 결합시킬 때, 상기 손잡이(91)에 형성된 스위치(91a)가 손잡이몸체(92)에 개방된 부분을 향하도록 하여 손잡이(91)와 손잡이몸체(92)를 결합시키고 상기 후판(93)에 형성된 장공홀(93a)에 삽입시켜 후판(93)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작동부(90)를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하부몸체(62)의 전면방향으로 위치시키면서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작동부(90)의 후판(93)의 외측으로 노출된 스위치(91a)를 하부몸체(62)에 형성된 볼트홈(62g)에 삽입하여 하부몸체(62)의 내측으로 위치시키면서 하부몸체(62)의 내측에 위치된 걸림부(80)에 한 쌍으로 위치되는 지지몸체(82)에 형성된 탄성고정부(82a)에 한 쌍의 스위치(91a)가 각각 밀착(탄성고정부가 하부몸체의 중앙부분의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스위치(91a)를 하부프레임(60)의 양끝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말함)되도록 하면서 하부몸체(62)의 전면으로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작동부(90)를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62)에는 받침턱(62h)이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몸체(92)에는 간격유지구(92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받침턱(62h)과 간격유지구(92b)가 서로 밀착되면서 작동부(90)가 흔들리거나 삐뚤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설치된다.
그런 후, 상기 하부프레임(60)의 양측으로 하부측판(70)을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측판(70)에 형성된 보조방충망홈(71)이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방충망홈(61a)이 포함되는 방충망고정부(61)와 대응되도록 하면서, 상기 하부측판(70)의 제1슬라이드돌출부(72)를 하부몸체(62)의 거치슬라이드(62a)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제2슬라이돌출부(73)를 하부몸체(62)의 슬라이드면(62d)에 위치시킨다.
그런 후, 상기 하부측판(70)을 하부몸체(62)의 중앙부분으로 이동시키면서 하부프레임(60)과 하부측판(70)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측판(70)을 하부프레임(60)에 결합할 때,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된 걸림부(80)의 이동바(83)가 하부측판(70)의 이동홈(74)을 삽입되도록 하면서 하부프레임(60)과 하부측판(70)을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측판(70)은 하부프레임(60)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부프레임(60)의 타측에도 하부측판(70)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방충망(110)의 하측으로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방충망홈(61a)과 보조방충망홈(71)에 결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100)에 형성된 측면돌출부(102)에 측면브러시(102a)를 결합시키면서 상기 측면돌출부(102)의 상, 하측 일부분을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구부려 꺽임부(102b)를 형성하여, 상기 측면돌출부(102)에서 측면브러시(102a)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홈(101a)의 하측으로 다양한 재질의 걸림턱(103)을 삽입시켜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하부 양측으로 한 쌍의 측면프레임(100)을 위치시키되 상기 측면프레임(100)에 형성된 보조홈(101a)으로 제1측판(40)에 형성된 제1보조돌출부(43)를 삽입시켜 제1측판(40)과 하나의 측면프레임(100)를 결합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60)에 하부측판(70)을 결합하고 상기 하부프레임(60), 하부측판(70)에 방충망(110)을 결합한 후, 방충망(110)의 양측으로 측면프레임(10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측면프레임(100)의 내부로 하부측판(70)의 일부분과 방충망(110)의 양측 일부분이 끼워지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측면프레임(100)에 형성된 측면브러시(102a)의 일부가 방충망(110)의 사이로 끼워지게 되면서 방충망(110)이 측면프레임(1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일정한 풍압에도 견딜 수 있으며, 측면프레임(100)과 방충망(110)의 사이의 틈새를 막아 그 틈새로 작은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각각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어, 현장에서도 얼마든지 바로 간편하게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다른 측면프레임(100)을 제2측판(50)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각 구성 간의 결합순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구성을 결합거나 창문틀에 롤 방충망 장치(200)를 결합할 때, 상기에서 상술한 볼트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현재 일반적으로 접착부재(도면에 미도시)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롤 방충망 장치(200)를 구성하게 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방충망(110)은 말려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부프레임(60), 하부측판(70)은 상부프레임(10)이 위치한 상측 방향에 위치되어 있음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각각의 구성을 결합한 후,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창문틀의 상측 부분에 상부프레임(10)을 고정시키고 창문틀의 양측 방향으로 한 쌍의 측면프레임(100)을 결합한다.
그런 후, 사용자가 방충망(110)을 사용하기 위해 하부프레임(60)이나 작동부(90)는 어느 하나를 파지하여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힘에 의해 방충망(110)이 하측으로 내려옴과 동시에 방충망(110)의 상측이 고정되어 있던 롤러(21)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21)가 회전하면서 롤러(21)에 삽입된 스프링(32)이 동시에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32)은 제1측판(40)의 제1결합부(41)에 고정된 축(31)의 지지에 의해 흔들리거나 삐뚤어지지 일정하게 회전하게 되면서 방충망(110)이 펼쳐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방충망(110)의 하측으로 위치된 하부측판(70)과 측면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충망(110)이 상부프레임(10)의 공간부(11)에 위치해 있다가 하부로 펼쳐지게 될 때, 상부프레임(10)의 개방된 부분으로 이동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스프링(32)이 결합되는 축(31)은 제1측판(40)의 제1결합부(41)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면서 회전되지 않고 스프링(31)만이 회전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런 후, 사용자가 작동부(90)에 형성된 손잡이(91)를 하부프레임(60)의 중앙부분으로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91)에 형성된 스위치(91a)가 걸림부(80)의 탄성고정부(82a)를 하부프레임(60)의 중앙부분으로 향하게 되면서 이동바(83)가 하부측판(7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이동바(83)가 측면프레임(100)에 형성된 걸림턱(103)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91)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보조스프링(81)의 탄성에 의해 하부프레임(60)의 중앙방향으로 움직였던 지지몸체(82) 및 이동바(83)가 다시 하부프레임(60)의 양측 방향으로 향하면서 하부측판(70)의 외측으로 이동바(83)가 노출되어 상기 이동바(83)가 측면프레임(100)의 걸림턱(103)에 걸리게 되면서 방충망(110)이 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쉽게 말려지지 않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하부프레임(60)의 하측으로 하부브러시(62e)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브러시(62e)와 하부 창문틀의 사이로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해충이나 바람 등이 쉽게 통과하지 못하게 되며 하부프레임(60)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하부브러시(62e)에 의해 하부프레임(60)이 하부에 설치된 창문틀과 부딪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받침턱(62h), 보조받침턱(62i)에 의해 하부창문틀과 하부프레임(60)이 높은 밀착력으로 접촉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하부프레임(60)이 창문틀에서 쉽게 흔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부(90)의 손잡이(91)를 작동시키면서 방충망(110)을 하측으로 펼칠 수도 있지만, 상기 작동부(90)를 작동시키기 않고도 방충망(110)을 펼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하부프레임(6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60)과 결합된 걸림부(80)의 이동바(83)가 측면프레임(100)의 걸림턱(103)에 걸리게 되면, 상기 이동바(83)에 형성된 경사면(83c)에 의해 이동바(83)가 자동적으로 하부프레임(60)의 중앙부분으로 움직이면서 하부프레임(60)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방충망(110)이 간편하게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충망(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이동바(83)에 형성된 경사면(82c)이 측면프레임(100)의 걸림턱(103)에 걸리게 되면서 사용자가 손잡이(91)를 움직이지 않는 이상 방충망(100)이 말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충망(110)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작동부(90)에 형성된 한 쌍의 손잡이(91)를 눌러 손잡이(91)가 하부프레임(60)의 중앙부분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이와 동시에 상기 손잡이(91)와 밀착되어 있던 걸림부(80)에 형성된 한 쌍의 탄성고정부(82a)를 동시에 하부프레임(60)의 중앙부분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몸체(82)에 결합되어 있던 이동바(83)도 동시에 하부프레임(60)의 중앙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측면프레임(100)의 걸림턱(103)에 걸려있던 이동바(83)가 이격된다.
그런 후, 상기 축부(30)에 형성된 스프링(32)이 풀려져 있다가 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다시 감겨지면서 스프링(32)이 고정된 회전롤러(20)의 롤러(21)가 최초 풀려지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게 되면서 풀려져 있던 방충망(110)이 감겨지면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32)이 회전하면서 방충망(110)을 펼치거나 말 때, 스프링(32)의 일측이 축(31)의 절개부(31b)에 고정되어 있어 스프링(32)이 뒤틀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31)이 풀어지거나 감겨지게 되어 방충망(110)이 일정하게 풀어지거나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110)의 양측이 측면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있어, 방충망(110)이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방향으로 가이드 되면서 상측 방향이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방충망(110)이 상, 하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방충망(110)의 양측으로 측면프레임(110)의 측면브러시(102a)에 방충망(110)이 밀착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방충망(110)이 움직이면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측판(70)도 상기 측면프레임(10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하부측판(70)이 상기 측면브러시(102a)와 밀착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하부측판(70)이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소음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방충망(110)의 양측이 측면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간단하게 끼워진 형태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방충망(110)의 전면방향이나 후면방향에서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방충망(110)이 측면프레임(100)에서 바로 이탈되어 방충망(110)이 파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충망(110)이 측면프레임(100)에서 분리되더라도 상기 방충망(110)을 상, 하로 여러번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방충망(110)이 감겨지거나 풀려지게 되면서 자동으로 방충망(110)의 양측이 다시 측면프레임(100)의 내부로 위치되어 얼마든지 방충망(110)을 다시 사용할 수 있으며, 방충망(110)이 꼬이면서 회전하지 않고 편평하게 풀려지거나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20) 및 축부(30)가 제1측판(40)에 형성된 제1결합부(41)와 제2측판(50)에 형성된 제2결합부(51)에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스프링(32)이 틀어지지 않고 일정하게 회전됨은 물론 스프링(32)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방충망(110)이 용이하게 감겨지거나 풀어지게 된다.
덧붙여, 상기 방충망(110)이 파손되어 사용자가 교체하더라도 측면프레임(100)에서 방충망(110)이 쉽게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측면프레임(100)이나 방충만(110)만을 별도로 분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90)에 형성된 손잡이(91)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91)이로 가해지는 힘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이동바(83)가 용이하게 좌, 우로 슬라이드된다.
덧붙여, 상기 작동부(90)의 후판(93)에 형성된 장공홀(93a)에 의해 손잡이(91)의 스위치(91a)가 흔들리지 않고 일정한 방향을 유지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거치슬라이드(62a), 제1슬라이드홈(62b), 제1슬라이드부(62c)와 슬라이드면(62d)에 의해 하부측판(70)이 하부프레임(60)에 용이하게 결합고정됨은 물론, 이동바(83)가 흔들리지 않고 직선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상부결합부(13)와 측면프레임(100)에 형성된 보조홈(101a)에 의해 상부프레임(10)과 측면프레임(100)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상부프레임
11 : 공간부 12 : 볼트결합부
13 : 상부결합부
20 : 회전롤러
21 : 롤러 22 : 제1고정판
23 : 제2고정판
30 : 축부
31 : 축 32 : 스프링
40 : 제1측판
41 : 제1결합부 42 : 제1돌출부
43 : 제1보조돌출부
50 : 제2측판
51 : 제2결합부 52 : 제2돌출부
53 : 제2보조돌출부
60 : 하부프레임
61 : 방충망고정부 62 : 하부몸체
70 : 하부측판
71 : 보조방충망홈 72 : 제1슬라이드돌출부
73 : 제2슬라이드돌출부 74 : 이동홈
80 : 걸림부
81 : 보조스프링 82 : 지지몸체
83 : 이동바
90 : 작동부
91 : 손잡이 92 : 손잡이몸체
93 : 후판
100 : 측면프레임
101 : 보조턱 102 : 측면돌출부
103 : 걸림턱
110 : 방충망
200 : 롤 방충망 장치

Claims (5)

  1. 내측의 공간부(11)에 형성되는 볼트결합부(12), 상기 공간부(11)에 형성되며 상부결합공(13a)이 포함되는 한 쌍의 상부결합부(13)와 하측이 개방된 상부프레임(10);
    상기 상부프레임(10)의 공간부(11)에 위치되며 외측으로 끼움부(21a)와 다수개의 돌기부(21b)가 형성되는 롤러(21), 상기 롤러(21)의 일측으로 결합되도록 타측으로 롤러(21)에 형성된 돌기부(21b)의 사이로 위치되는 제1롤러고정부(22a)와 상기 롤러(2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나사부(22b)가 형성되며 일측으로 돌출결합부(22c)가 형성되는 제1고정판(22), 상기 롤러(21)의 타측으로 결합되도록 일측으로 롤러(21)에 형성된 돌기부(21b)의 사이로 위치되는 제2롤러고정부(23a)와 롤러(2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고정대(23b)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끼움돌기(23c)가 형성되는 제2고정판(23)이 구성된 회전롤러(20);
    상기 회전롤러(20)에 형성된 롤러(21)와 제1, 2고정판(22, 23)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일측으로 축돌기(31a)와 타측으로 절개부(31b)가 형성되는 축(31), 상기 축(31)이 내측으로 결합되되 일측은 회전롤러(20)의 제1고정판(22)에 형성된 나사부(22b)에 결합되며 타측은 축(31)에 형성된 절개부(31b)에 결합되는 스프링(32)이 구성된 축부(30);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일측으로 위치되며 상기 축(30)에 형성된 축돌기(32b)가 결합되는 축결합공(41a)이 포함되고 상기 회전롤러(20)에 형성된 제1고정판(22)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부(41),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상부결합부(13)에 결합되는 제1돌출부(42), 상기 제1돌출부(42)의 하측으로 제1보조돌출부(43)가 구성된 제1측판(40);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타측으로 위치되며 회전롤러(20)의 제2고정판(23)에 형성된 끼움돌기(23c)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51), 상기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상부결합부(13)에 결합되는 제2돌출부(52), 상기 제2돌출부(52)의 하측으로 제2보조돌출부(53)가 구성된 제2측판(50);
    상측으로 방충망홈(61a)이 형성되는 방충망고정부(61), 상기 방충망고정부(61)의 하측으로 방충망고정부(6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한 쌍의 거치슬라이드(62a)와 상기 거치슬라이드(62a)의 하측으로 제1슬라이드홈(62b)이 형성된 제1슬라이드부(62c)와 상기 제1슬라이드부(62c)의 인접한 지점에 슬라이드면(62d)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62c)와 슬라이드면(62d)의 하측으로 하부브러시(62e)가 결합된 하부브러시홈(62f)이 형성되며 전면으로 볼트홈(62g)이 형성되고 하부 전면으로 받침턱(62h)이 형성되며 하부 후면으로 한 쌍의 보조받침턱(62i)이 형성되는 하부몸체(62)로 구성된 하부프레임(60);
    상기 하부프레임(60)의 양측으로 결합되며 방충방고정부(61)에 형성된 방충망홈(61a)과 대응되는 보조방충망홈(71)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62)에 형성된 거치슬라이드(62a)에 위치되는 제1슬라이드돌출부(72), 하부몸체(62)에 형성된 슬라이드면(62d)에 위치되어 슬라이드되는 제2슬라이드돌출부(73), 상기 제2슬라이드돌출부(73)와 인접한 위치에 이동홈(74)이 구성된 하부측판(70);
    상기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하부몸체(62)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보조스프링(81), 상기 보조스프링(81)의 양측으로 밀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60)의 하부몸체(62)에 형성된 볼트홈(62g)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되는 탄성고정부(82a)와 하측으로 이동바고정홀(82b)과 이동바고정부(82c)와 다수개의 보강대(82d)가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몸체(82), 타측으로 상기 지지몸체(82)에 형성된 이동바고정홀(82b)과 이동바고정부(82c)에 대응되는 이동바돌출부(83a)와 이동바홈(83b)이 포함되며 일측으로 경사면(83c)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측판(70)에 형성된 이동홈(7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이동바(83)가 구성된 걸림부(80);
    상기 하부프레임(60)에 형성된 하부몸체(62)의 외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하부몸체(62)에 형성된 볼트홈(62g)에 삽입되어 걸림부(80)의 지지몸체(82)에 형성된 탄성고정부(82a)에 밀착되면서 상기 탄성고정부(82a)를 슬라이드시키는 스위치(91a)와 상, 하측방향으로 정지턱(91b)이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91), 상기 손잡이(91)가 내측으로 결합되되 정지턱(91b)에 대응되는 보조정지턱(92a)과 외부 하측으로 간격유지구(92b)가 포함되는 'ㄷ'자 형상의 손잡이몸체(92), 상기 손잡이몸체(92)의 개방된 방향으로 결합되고 손잡이(91)에 형성된 스위치(91a)가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장공형태의 장공홀(93a)이 형성되는 후판(93)으로 구성된 작동부(90);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하부 양측으로 위치되며 각각 제1측판(40)에 형성된 제1보조돌출부(43)와 제2측판(50)에 형성된 제2보조돌출부(53)가 결합되는 보조홈(101a)이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턱(101), 측면브러시(102a)가 결합되는 측면돌출부(102), 상기 측면돌출부(102)의 상, 하측으로 꺽임부(102b)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턱(101)에 형성된 보조홈(101a)의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80)에 형성된 이동바(83)가 밀착되는 걸림턱(103)이 구성된 측면프레임(100);
    상측은 상기 회전롤러(20)의 롤러(21)에 형성된 끼움부(21a)에 결합되고 하측은 하부프레임(60)의 방충망고정부(61)에 형성된 방충망홈(61a)과 하부측판(70)에 형성된 보조방충망홈(71a)에 결합되며 양측은 상기 측면프레임(100)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측면브러시(102a)와 밀착되는 방충망(110);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롤 방충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36200A 2013-11-11 2013-11-11 롤 방충망 장치 KR101522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200A KR101522342B1 (ko) 2013-11-11 2013-11-11 롤 방충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200A KR101522342B1 (ko) 2013-11-11 2013-11-11 롤 방충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150A KR20150054150A (ko) 2015-05-20
KR101522342B1 true KR101522342B1 (ko) 2015-05-21

Family

ID=5339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200A KR101522342B1 (ko) 2013-11-11 2013-11-11 롤 방충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59A (ko) 2019-07-29 2021-02-08 이민형 전기를 이용한 방충망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3826B1 (ko) 2020-07-30 2021-03-05 (주)인익스 기능성망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창호 조립체
KR20220051985A (ko) 2020-10-20 2022-04-27 박장훈 청소기능을 구비한 롤타입 방충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74B1 (ko) * 2017-05-17 2019-03-26 주식회사 광산기공 바이브레이션 스크린 장치
CN110802997B (zh) * 2019-10-15 2023-10-20 商丘工学院 一种转动式自清洁汽车冷凝器防虫网
EP4077862B1 (en) * 2019-12-20 2024-03-27 VKR Holding A/S Roller screen with improved handle portion
US20240035336A1 (en) * 2022-07-28 2024-02-01 ILPEA Industries Inc. One-Piece Screening System
CN116727240B (zh) * 2023-08-10 2023-10-20 新乡市源丰钙业有限公司 一种砂石骨料多级筛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680A (ja) * 2001-06-29 2003-01-15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案内装置
KR20030090016A (ko) * 2002-05-20 2003-11-28 주식회사 대상테크롤스크린 로울러식 방충망용 망체손잡이의 잠금장치 설치구조
KR20070082595A (ko) * 2007-08-01 2007-08-21 이정봉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롤 블라인드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680A (ja) * 2001-06-29 2003-01-15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案内装置
KR20030090016A (ko) * 2002-05-20 2003-11-28 주식회사 대상테크롤스크린 로울러식 방충망용 망체손잡이의 잠금장치 설치구조
KR20070082595A (ko) * 2007-08-01 2007-08-21 이정봉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롤 블라인드 구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59A (ko) 2019-07-29 2021-02-08 이민형 전기를 이용한 방충망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3826B1 (ko) 2020-07-30 2021-03-05 (주)인익스 기능성망을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창호 조립체
KR20220051985A (ko) 2020-10-20 2022-04-27 박장훈 청소기능을 구비한 롤타입 방충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150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342B1 (ko) 롤 방충망 장치
EP2773831B1 (en) Movable mosquito screen, particularly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101659926B1 (ko) 블라인드 장치의 하부구조물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1883408B1 (ko)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KR101796670B1 (ko) 롤형 방충장치의 조립구조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KR200414802Y1 (ko) 롤러식 방충망의 록킹장치
KR200474437Y1 (ko) 소음방지 롤 방충망
KR101576906B1 (ko) 루버창
KR20090094421A (ko) 개폐식 방충망의 록 장치
KR101862647B1 (ko) 창 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 시스템
KR101636493B1 (ko) 롤 방충망용 핸들 어셈블리
KR20120041056A (ko) 태엽 스프링 구동형 방충망 장치 및 그의 롤 구동 유닛
KR101530325B1 (ko) 권취형 방충 장치
KR101530054B1 (ko) 롤방충망의 원터치식 개폐장치
KR101986515B1 (ko) 방충망장치
KR200218129Y1 (ko) 롤러식 방충망
KR102051893B1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20110085474A (ko) 출입문용 방충망의 잠금장치
KR200432402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개폐구조
KR200483044Y1 (ko) 롤 타입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 구조
KR20050113338A (ko) 착탈형 행거식 방충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