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906B1 - 루버창 - Google Patents

루버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906B1
KR101576906B1 KR1020130136839A KR20130136839A KR101576906B1 KR 101576906 B1 KR101576906 B1 KR 101576906B1 KR 1020130136839 A KR1020130136839 A KR 1020130136839A KR 20130136839 A KR20130136839 A KR 20130136839A KR 101576906 B1 KR101576906 B1 KR 10157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louver
coupled
fram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420A (ko
Inventor
이수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태우
Priority to KR1020130136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9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루버창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창틀프레임(10);과, 상기 창틀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창틀프레임(20);과,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양측으로 높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내장되고, 회전축(32)이 안창틀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유닛(30);과,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내측에서 상기 각 회전유닛(30)과 연결되어 상기 각 회전유닛(30)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과,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된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루버블레이드(50);과,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연동수단(40)에 의해 루버블레이드(5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되는 개폐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수단(60)은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의 개폐를 랙크와 피니언 결합에 의해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는 양단부에 결합되는 캡(51)을 매개로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과 결합되고, 상기 캡(51)은 창틀프레임(10)의 분해 없이 루버블레이드(50)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캡편(511)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루버창{RUBBER WINDOW}
본 발명은 루버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루버블레이드의 개폐 각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창틀프레임의 분해 없이 루버블레이드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며, 또한 루버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레버가 접이 되도록 하여 모기장의 기능을 하는 와이어메쉬의 설치시 레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한 루버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실외기실이나 보일러실에 환기의 목적으로 루버창을 설치하게 된다.
예컨대, 루버창은 폭이 좁은 다수의 판형 루버블레이드를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배열하여 각각이 동시 회전개폐되게 하되 개방각과 방향이 조절되게 하여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 볼 수 있으면서 실외에서는 내부를 볼 수 없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종래의 루버창(공개번호:제2011-0110480호)는 루버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레버가 부채꼴 형상의 각도조절판에 결합되어 레버블레이드의 각도를 일정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때문에 루버블레이드의 각도조절판에 의해 레버블레이드의 각도가 결정됨으로써, 루버블레이드의 미세각도 조절이 불가능하고, 또한 레버가 돌출되어 있어 레버의 간섭으로 인해 와이어메쉬와 같은 모기장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루버창은 루버블레이드가 창틀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엇, 루버블레이드가 손상될 경우, 창틀프레임을 분리시켜 교체해야 되기 때문에 루버블레이드의 교체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랙크와 피니언의 조합에 의해 루버블레이드의 개폐 각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창틀프레임의 분해 없이 루버블레이드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루버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루버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레버가 접이 되도록 하여 모기장의 기능을 하는 와이어메쉬의 설치시 레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한 루버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루버창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창틀프레임(10);과, 상기 창틀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창틀프레임(20);과,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양측으로 높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내장되고, 회전축(32)이 안창틀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유닛(30);과,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내측에서 상기 각 회전유닛(30)과 연결되어 상기 각 회전유닛(30)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과,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된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루버블레이드(50);과,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연동수단(40)에 의해 루버블레이드(5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되는 개폐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수단(60)은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의 개폐를 랙크와 피니언 결합에 의해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는 양단부에 결합되는 캡(51)을 매개로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과 결합되고, 상기 캡(51)은 창틀프레임(10)의 분해 없이 루버블레이드(50)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캡편(511)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각 회전유닛(30)은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중앙에 형성되어 안창틀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축(32)과, 상기 몸체(3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돌기(33)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수단(40)은 상기 각 회전유닛(30)이 일체로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31)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링크돌기(33)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수단(60)은 안창틀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되는 레버가이드(61)와, 상기 레버가이드(6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블럭(62)과, 상기 이동블럭(62)의 하부에 형성되는 랙크(621)와,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피니언(6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발명은, 제 3발명에서, 상기 이동블럭(62)의 상부에는 레버(63)가 접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상기 레버(63)의 양측에는 이동블럭(6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레버가이드(61)의 측부를 가압하는 가압편(63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창틀프레임(10)은 실내방향 일측으로 와이어메쉬(11)가 탄력적으로 권회되어 인출입 가능하게 수용되고, 와이어메쉬(11)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창틀프레임(10)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프레임(12)이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5발명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의 내부에는 마그네틱이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창틀프레임(10)에 부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창에 따르면, 랙크와 피니언의 조합에 의해 루버블레이드의 개폐 각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틀프레임의 분해 없이 루버블레이드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루버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레버가 접이 되도록 하여 모기장의 기능을 하는 와이어메쉬의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투영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요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와이어메쉬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창의 루버블레이드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창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투영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요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와이어메쉬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루버블레이드의 개폐 각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창틀프레임의 분해 없이 루버블레이드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며, 또한 루버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레버가 접이 되도록 하여 모기장 설치시 레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한 루버창(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창(100)은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안창틀프레임(20)과, 회전유닛(30)과, 연동수단(40)과, 루버블레이드(50) 및 개폐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은 루버블레이드(50)와 결합되는 회전유닛(30)을 수용시키기 위해 창틀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유닛(30)은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양측으로 높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수용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각 회전유닛(30)은 회전축(32)이 안창틀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루버블레이드(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회전유닛(30)은 상호 간 연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내측에서 상기 각 회전유닛(30)과 연결되는 연동수단(40)에 의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유닛(30)은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중앙에 형성되어 안창틀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축(32)과, 상기 몸체(3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돌기(33)로 구성된다.(도 6에 도시)
이 때 상기 연동수단(40)은 상기 각 회전유닛(30)이 상호 간 일체로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몸체(31)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링크돌기(33)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각 회전유닛(30)과, 연동수단(40)의 연결구성은,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회전유닛(30)을 회전시키면 연동수단(40)에 의해 다수의 회전유닛(30)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루버블레이드(50)는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된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는 양단부에 결합되는 캡(51)을 매개로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과 결합되는데, 상기 캡(51)은 도 4와 같이, 창틀프레임(10)의 분해 없이 루버블레이드(50)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캡편(511)이 나사결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60)은 안창틀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연동수단(40)에 의해 각 루버블레이드(50)를 동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개폐수단(60)은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의 개폐를 직선운동하는 랙크(621)와 회전운동하는 피니언(64) 결합에 의해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수단(60)은 안창틀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되는 레버가이드(61)와, 상기 레버가이드(6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블럭(62)과, 상기 이동블럭(62)의 하부에 형성되는 랙크(621)와,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어느 하나와 고정되는 피니언(6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이동블럭(62)을 레버가이드(61)를 따라 이송시키면 이동블럭(62)의 하부에 형성된 랙크(621)가 피니언(64)을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회전유닛(30)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랙크(621)와 피니언(64)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각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에 결합된 각각의 루버블레이드(50)의 개폐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이동블럭(62)의 상부에는 레버(63)가 접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되, 상기 레버(63)의 양측에는 이동블럭(6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레버가이드(61)의 측부를 가압하는 가압편(631)이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은 레버(63)를 잡고 이동블럭(62)을 이동시켜 루버블레이드(50)의 개폐각도를 조잘하고, 이 후 레버(63)를 접이 시켜 레버(63)의 가압편(631)이 레버가이드(61)를 가압함으로써 이동블럭(62)의 위치를 고정하여 결과적으로 루버블레이드(50)의 개폐 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창틀프레임(10)은 레버(63)가 접이 되기 때문에 실내방향으로 와이어메쉬(11)를 설치할 수 경우, 레버(63)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창틀프레임(10)은 실내방향 일측으로 와이어메쉬(11)가 탄력적으로 권회되어 인출입 가능하게 수용되고, 와이어메쉬(11)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창틀프레임(10)을 따라 가이드 되는 가이드프레임(12)이 더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의 내부에는 마그네틱이 내장되어 자력에 의해 창틀프레임(10)에 부착고정되어 와이어메쉬(11)를 펼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여름철 모기와 같은 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안창틀프레임(20)에는 상기 각 회전축(32)이 노출된 위치에 스토퍼편(21)이 결합되는데, 상기 각 스토퍼편(21)은 루버블레이드(50)가 안창틀프레임(20)을 폐쇄할 때 90°이상 회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루버창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창의 루버블레이드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6의 (a)와, 도 7의 (a)와 같이, 레버(63)를 파지하고 이동블럭(62)을 레버가이드(61)를 따라 강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블럭(62)에 형성된 랙크(621)는 회전유닛(30)에 결합된 피니언(64)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6의 (b)와, 도 7의 (b)와 같이, 상기 각 회전유닛(30)은 연동수단(40)에 의해 연동되기 상기 각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에 결합된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는 동반 개폐된다.
이 후 레버(63)를 접이 시켜 레버(63)의 가압편(631)이 레버가이드(61)를 가압함으로써 이동블럭(62)의 위치를 고정하여 결과적으로 루버블레이드(50)의 개폐 각도를 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기와 같은 해충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메쉬(11)를 펼칠 경우에는 와이어메쉬(11)와 결합된 가이드프레임(12)을 당겨 창틀프레임(10)에 자력에 의해 부착시켜 고정시킨다.(도 5에 도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창틀프레임 11: 와이어메쉬 12: 가이드프레임
20: 안창틀프레임 21: 스토퍼편
30: 회전유닛 31: 몸체 32: 회전축
33: 링크돌기
40: 연동수단
50: 루버블레이드 51: 캡 511: 캡편
60: 개폐수단 61: 레버가이드 62; 이동블럭
621: 랙크 63: 레버
631: 가압편 64: 피니언

Claims (6)

  1. 창틀프레임(10);
    상기 창틀프레임(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창틀프레임(20);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양측으로 높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내장되고, 회전축(32)이 안창틀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유닛(30);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내측에서 상기 각 회전유닛(30)과 연결되어 상기 각 회전유닛(30)을 연동시키는 연동수단(40);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된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루버블레이드(50);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켜 연동수단(40)에 의해 루버블레이드(5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창틀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되는 개폐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수단(60)은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의 개폐를 랙크와 피니언 결합에 의해 미세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루버블레이드(50)는 양단부에 결합되는 캡(51)을 매개로 회전유닛(30)의 회전축(32)과 결합되고,
    상기 캡(51)은 창틀프레임(10)의 분해 없이 루버블레이드(50)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면에 캡편(511)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개폐수단(60)은 안창틀프레임(20)의 일면에 결합되는 레버가이드(61)와, 상기 레버가이드(61)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이동블럭(62)과, 상기 이동블럭(62)의 하부에 형성되는 랙크(621)와, 상기 각 회전유닛(3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피니언(64)으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블럭(62)의 상부에는 레버(63)가 접이 가능하도록 흰지 결합하되, 상기 레버(63)의 양측에는 이동블럭(6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레버가이드(61)의 측부를 가압하는 가압편(63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유닛(30)은 몸체(31)와, 상기 몸체(31)에 중앙에 형성되어 안창틀프레임(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회전축(32)과, 상기 몸체(3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돌기(33)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수단(40)은 상기 각 회전유닛(30)이 일체로 연동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31)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링크돌기(33)에 각각 결합되는 2개의 연결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창.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0)은 실내방향 일측으로 와이어메쉬(11)가 탄력적으로 권회되어 인출입 가능하게 수용되고, 와이어메쉬(11)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창틀프레임(10)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프레임(12)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의 내부에는 마그네틱이 결합되어 자력에 의해 창틀프레임(10)에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창.
KR1020130136839A 2013-11-12 2013-11-12 루버창 KR10157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839A KR101576906B1 (ko) 2013-11-12 2013-11-12 루버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839A KR101576906B1 (ko) 2013-11-12 2013-11-12 루버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420A KR20150054420A (ko) 2015-05-20
KR101576906B1 true KR101576906B1 (ko) 2015-12-11

Family

ID=5339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839A KR101576906B1 (ko) 2013-11-12 2013-11-12 루버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9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265A (ko) 2019-07-22 2021-02-01 (주)씨앤케이산업 집합건물 공조실 루버창용 루버구동장치
KR20210111571A (ko) 2020-03-03 2021-09-1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454B1 (ko) * 2016-06-22 2018-07-31 채원식 복합기능을 갖는 창호
KR102039019B1 (ko) * 2017-09-28 2019-10-31 문성 방충 창호용 개별 슬랫 구조의 블라인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386A (ja) * 2002-07-22 2004-02-19 Nakamura:Kk ルーバー回動装置
KR200452374Y1 (ko) * 2010-07-14 2011-02-21 김창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환기 시스템용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386A (ja) * 2002-07-22 2004-02-19 Nakamura:Kk ルーバー回動装置
KR200452374Y1 (ko) * 2010-07-14 2011-02-21 김창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환기 시스템용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265A (ko) 2019-07-22 2021-02-01 (주)씨앤케이산업 집합건물 공조실 루버창용 루버구동장치
KR20210111571A (ko) 2020-03-03 2021-09-1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창틀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420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906B1 (ko) 루버창
KR101219095B1 (ko)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KR102144233B1 (ko) 접철식 방충망을 겸비한 접철식 방진망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US20150204137A1 (en) Control and movement device for mosquito screens, curtains and the like
JP2014118804A (ja) 建具
KR100946957B1 (ko)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틀
JP2011508116A (ja) 空気を取り入れるが光を遮断する窓用ブラインド
KR102216108B1 (ko) 절첩식 미세먼지 필터망이 구비된 창호
KR101274195B1 (ko) 조립식 창호 프레임 유닛
KR100938698B1 (ko) 환기창
TW201534808A (zh) 用於加大窗/門開口的具有多導軌的全開板裝置及其方法
KR20110058762A (ko)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KR100894610B1 (ko) 창호와 연동 개폐되는 방충망 장치
KR101274194B1 (ko) 일체식 창호 프레임 유닛
JP5751930B2 (ja) 換気装置
KR102530100B1 (ko) 도어 고정장치
EP3456912B1 (en) Elongated modular element, or slat , for the production of blinds, shutters, roll-up shutters, wall panels of wardrobes and casing for electrical equipment or similar
KR102024984B1 (ko) 들창용 미세 먼지 제거장치
KR20220082210A (ko) 장력 조절이 가능한 주름 방충망
KR101939680B1 (ko) 창짝 연동형 미세먼지 차단장치
KR101459075B1 (ko) 방충망 일체형 루버창 시스템
SK96094A3 (en) Device for preventing of penetrating of insect through window
JP2019007330A (ja) 面格子
KR200322035Y1 (ko) 방충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