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035Y1 - 방충용 도어 - Google Patents

방충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035Y1
KR200322035Y1 KR20-2003-0014514U KR20030014514U KR200322035Y1 KR 200322035 Y1 KR200322035 Y1 KR 200322035Y1 KR 20030014514 U KR20030014514 U KR 20030014514U KR 200322035 Y1 KR200322035 Y1 KR 200322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ont door
fixed
screen
ins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표
Original Assignee
강춘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춘표 filed Critical 강춘표
Priority to KR20-2003-0014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0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충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현관문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고, 케이스 내부에 감겨진 방충망과 프레임들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된 결합홈(11)이 열려진 유리 현관문(1)의 외측면에 삽입 고정되고, 지지프레임(10) 일측에 절곡 형성된 연결편(12)에는 방충망 케이스(20)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케이스(20) 내부 회전관(23)에 감겨진 방충망(21)은 회전관(23) 내부에 장착된 코일스프링(23a)에 의하여 케이스(20) 일측 안내홈(24)을 통해 탄력적으로 인출되고, 케이스(20)의 상,하부에 경첩(33)으로 각각 힌지 결합된 가이드레일(31)(32)의 가이드홈(31a)(32a)들에는 방충망(21)의 상,하부가 각각 삽입되며, 인출된 방충망(21)의 선단에 고정된 지지편(22)이 상,하측 가이드홈(31a)(32a)들의 일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31)(32)들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34)에 의하여 고정되고, 경첩(33)에 의하여 케이스(20)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된 방충망(21)이 현관문(1)의 열려진 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용 도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충용 도어{a door of mothproof}
본 고안은 방충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현관문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고, 케이스 내부에 감겨진 방충망과 프레임들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간편하게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모기, 파리, 나방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각종 해충(害蟲)들이 실내로 날아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창틀에 설치되는 눈이 촘촘한 그물로 구성된 것으로서 주로 여름철에 날아다니는 각종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전술한 방충망은 주로 사각 틀체로 결합된 프레임의 내부에 눈이 촘촘한 망이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고, 창문과 함께 창틀에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창문을 통해 날아드는 각종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충망들은 주로 창문을 통해 날아드는 해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므로 창문들이 여닫을 수 없도록 설계된 건축물에는방충망을 설치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건축물은 주로 건물의 전면에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현관문이 설치된 경우가 많고 이때에는 방충망을 현관문에 설치할 수밖에 없었으나, 양측으로 회전되면서 열려지는 유리 현관문의 구조상 방충망의 설치가 거의 불가능하였다.
특히, 유리 현관문은 그 일측 상,하부에 돌출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축은 현관문의 외측에서 일정간격 이격한 내측에 장착되는 것이므로 현관문을 열었을 때 열려진 부위를 방충망으로 커버한다 하더라도 열려진 현관문의 외측에는 축의 간격만큼 유통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이 공간을 커버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현관문에 간편하게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고, 케이스 내부에 감겨진 방충망과 프레임들이 조립식으로 결합되어 간편하게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는 방충용 도어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지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된 결합홈(11)이 열려진 유리 현관문(1)의 외측면에 삽입 고정되고, 지지프레임(10) 일측에 절곡 형성된 연결편(12)에는 방충망 케이스(20)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케이스(20) 내부 회전관(23)에 감겨진 방충망(21)은 회전관(23) 내부에 장착된 코일스프링(23a)에 의하여 케이스(20) 일측 안내홈(24)을 통해 탄력적으로 인출되고, 케이스(20)의 상,하부에 경첩(33)으로 각각 힌지 결합된 가이드레일(31)(32)의 가이드홈(31a)(32a)들에는 방충망(21)의 상,하부가 각각 삽입되며, 인출된 방충망(21)의 선단에 고정된 지지편(22)이 상,하측 가이드홈(31a)(32a)들의 일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31)(32)들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34)에 의하여 고정되고, 경첩(33)에 의하여 케이스(20)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된 방충망(21)이 현관문(1)의 열려진 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용 도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평면도,
도 4a와 도 4b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방충망 케이스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현관문 1a : 축
2 : 공간부 10 : 지지프레임
11 : 결합홈 12 : 연결편
20 : 케이스 21 : 방충망
22 : 지지편 23 : 회전관
23a : 코일스프링 24 : 안내홈
31, 32 : 가이드레일 31a, 32a : 가이드홈
33, 43 : 경첩 34 : 스크류
40 : 보조프레임 41 : 레일홈
42 : 브러시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현관에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현관문(1)이 설치되어 있고, 현관문(1)의 상,하부에 장착된 축(1a)을 중심으로 현관문(1)이 양측으로 회전되면서 열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의 현관문(1)은 닫혀져 있고, 우측의 현관문(1)은 그 후방으로 직각 회전되어 열려져 있으며, 현관문(1)의 우측면이 전면을 향하도록 열려져 있다.
상기 현관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 열려진 현관문(1)의 우측면에는 지지프레임(10)이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그 후방에는현관문(1)의 유리 두께와 상응하는 폭을 갖는 결합홈(1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홈(11)이 열려진 우측 현관문(1)에서 전면을 향하는 우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론,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잡아당기면 결합홈(11)이 현관문(1)의 우측면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이므로 지지프레임(10)은 현관문(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현관문(1)에 결합된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는 연결편(12)이 절곡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편(12)에는 방충망 케이스(20)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0)는 접착테이프에 의하여 연결편(12)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회전관(23)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고, 회전관(23)은 그 내부에 장착된 코일스프링(23a)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상기 회전관(23)의 외부에는 방충망(21)이 감겨져 있고, 케이스(20) 일측에 형성된 폭이 좁은 안내홈(24)을 통해 탄력적으로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0)의 상,하부에는 가이드레일(31)(32)들이 경첩(33)으로 연결되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레일(31)(32)의 내측에는 가이드홈(31a)(32a)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31a)(32a)들에는 방충망(21)의 상,하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인출되고, 인출된 방충망(21)의 선단에는 일정 폭을 갖는 금속 지지편(2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방충망(21)과 함께 인출된 지지편(22)은 상,하측 가이드홈(31a)(32a)들의 우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31)(32)들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34)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방충망(21)은 우측의 케이스(20)와 상,하측의 가이드레일(31)(32)들과 좌측의 지지편(22)이 서로 결합되어 사각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현관문(1)의 열려진 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경첩(33)들에 의하여 방충망(21)이 케이스(20)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접착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지지프레임(10)의 일측 연결편(12)에 케이스(20)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경첩(33)을 사용하여 케이스(20)의 상,하부에 가이드레일(31)(32)들을 결합시킨 후 지지편(22)을 잡아당기면 케이스(20)의 안내홈(24)을 통해 방충망(21)이 인출되고, 방충망(21)과 함께 인출된 지지편(22)이 상,하측 가이드홈(31a)(32a)들을 따라 가이드레일(31)(32)들의 우측에 위치되면 스크류(34)를 체결하여 지지편(22)을 고정시키면 방충망(21)이 사각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방충망(21)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현관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 열려진 현관문(1)의 우측면에 지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된 결합홈(11)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방충망(21)이 현관문(1)의 열려진 부위를 커버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경첩(33)으로 결합된 가이드레일(31)(32)들에 의하여 방충망(21)을 여닫을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유리 현관문(1)을 닫아야 하는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0)을 잡아당기기만 하면 지지프레임(10)의 결합홈(11)이 현관문(1)의 우측면에서 이탈되면서 방충망(21) 전체가 분리되는 것이므로 일시 보관하였다가 다음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특히, 여름철이 지나 방충망의 사용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케이스(20)에 결합된 가이드레일(31)(32)들을 분리하고 지지편(22)을 고정시키는 스크류(34)을 분리하면 방충망(21)이 코일스프링(23a)의 탄발력에 의하여 다시 케이스(20) 내부에 감겨지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부품들이 간편하게 분리될 뿐 아니라 전체적인 부피가 최소화되어 매우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에는 보조프레임(40)이 경첩(43)으로 결합되어 열려진 현관문(1)과 벽 사이의 공간부(2)를 커버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보조프레임(40)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홈(41)에는 브러시(42)들이 각각 결합되어 보조프레임(40)과 벽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현관문(1)을 열었을 때 현관문(1)의 외측과 벽 사이에 축(1a)의 간격만큼 형성되는 공간부(2)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실내로 침입하는 해충들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10), 케이스(20), 가이드레일(31)(32)들을 결합하여 방충망(21)이 사각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현관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 열려진 현관문(1)의 우측면에 지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된 결합홈(11)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방충망(21)이 현관문(1)의 열려진 부위를 커버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해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는 경첩(33)으로 결합된 가이드레일(31)(32)들에 의하여 방충망(21)을 여닫을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지지프레임(10)에 수직으로 형성된 결합홈(11)이 열려진 유리 현관문(1)의 외측면에 삽입 고정되고, 지지프레임(10) 일측에 절곡 형성된 연결편(12)에는 방충망 케이스(20)가 수직으로 고정되며, 케이스(20) 내부 회전관(23)에 감겨진 방충망(21)은 회전관(23) 내부에 장착된 코일스프링(23a)에 의하여 케이스(20) 일측 안내홈(24)을 통해 탄력적으로 인출되고, 케이스(20)의 상,하부에 경첩(33)으로 각각 힌지 결합된 가이드레일(31)(32)의 가이드홈(31a)(32a)들에는 방충망(21)의 상,하부가 각각 삽입되며, 인출된 방충망(21)의 선단에 고정된 지지편(22)이 상,하측 가이드홈(31a)(32a)들의 일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31)(32)들을 각각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크류(34)에 의하여 고정되고, 경첩(33)에 의하여 케이스(20)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장착된 방충망(21)이 현관문(1)의 열려진 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용 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타측에는 보조프레임(40)이 경첩(43)으로 결합되어 열려진 현관문(1)과 벽 사이의 공간부(2)를 커버할 수 있고, 보조프레임(40)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홈(41)에는 브러시(42)들이 각각 결합되어 보조프레임(40)과 벽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용 도어.
KR20-2003-0014514U 2003-05-12 2003-05-12 방충용 도어 KR200322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14U KR200322035Y1 (ko) 2003-05-12 2003-05-12 방충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14U KR200322035Y1 (ko) 2003-05-12 2003-05-12 방충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035Y1 true KR200322035Y1 (ko) 2003-07-31

Family

ID=4941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514U KR200322035Y1 (ko) 2003-05-12 2003-05-12 방충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0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164B1 (ko) * 2019-05-03 2020-05-18 주식회사 세이인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KR102235750B1 (ko) 2020-08-26 2021-04-02 주식회사승리블라인드 방충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164B1 (ko) * 2019-05-03 2020-05-18 주식회사 세이인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KR102235750B1 (ko) 2020-08-26 2021-04-02 주식회사승리블라인드 방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6710A1 (en) Modular glass door assembly
US6401663B1 (en) Pet enclosure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200322035Y1 (ko) 방충용 도어
KR200329031Y1 (ko) 방충용 도어
KR20140128127A (ko) 창틀 보조용 덧창
KR20190118258A (ko) 창호용 빗물 유입 방지 패널
KR200437856Y1 (ko) 방충문이 구비된 이중문
KR970004555Y1 (ko) 분합문용 방충망 레일
KR101195894B1 (ko) 전,후 개폐식 창문용 방충망 수납장치
KR20040018007A (ko) 출입문용 방충망
KR200256852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KR200349223Y1 (ko) 권취식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구조
KR200403180Y1 (ko) 방충용 도어
JP3244403U (ja) 外付け防虫窓網
KR200296940Y1 (ko) 롤 스크린 방충망의 부착구조
KR200256851Y1 (ko) 출입문용 절첩식 방충망
CN219412333U (zh) 一种新型三防窗
JPS5919117Y2 (ja) 換気小窓つき窓
JPS5819273Y2 (ja) ル−バ−付ドア
JP2002013359A (ja) 自然換気用建具
CN210370439U (zh) 一种内置纱窗的建筑门窗
KR930002729Y1 (ko) 개폐식 방충장치
JPH0375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