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172Y1 -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172Y1
KR200281172Y1 KR2020020011101U KR20020011101U KR200281172Y1 KR 200281172 Y1 KR200281172 Y1 KR 200281172Y1 KR 2020020011101 U KR2020020011101 U KR 2020020011101U KR 20020011101 U KR20020011101 U KR 20020011101U KR 200281172 Y1 KR200281172 Y1 KR 200281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window frame
guid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형
Original Assignee
조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형 filed Critical 조진형
Priority to KR2020020011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172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窓門)과 창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과 창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최소화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한편 방음효과를 높여줄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사각 프레임(11) 내부에 유리창(10a)을 구비한 창문(10)이 사각 틀체를 이루는 창틀(20) 프레임(21)의 내부에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20)의 상,하부 프레임(21)들 내측에는 폭이 좁은 가이드홈(22)들이 각각 형성되고, 창문(10)의 상,하부 프레임(11)들 외측에는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어 창틀(20)의 가이드홈(22)들에 각각 삽입되며, 창틀(20)의 하부 프레임(21) 내부에는 회전축(31)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30)들이 축설되어 하부 가이드홈(22)에 삽입된 창문(10)의 가이드레일(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창틀(20)의 내부에 형성된 폭이 좁은 가이드홈(22)들 내부에 창문(10)에 형성된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어 롤러(30)에 의하여 부드럽게 여닫히는 것이므로 창틀(20)과 창문 사이에는 틈새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동시에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창문(10)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a combination of window and sash}
본 고안은 창문(窓門)과 창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과 창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최소화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한편 방음효과를 높여줄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창틀에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주로 창문의 하부에 결합된 바퀴(戶車)가 창틀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 위에 놓여져 이동되면서 창문의 여닫음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창문의 상부는 창틀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창문을 창틀에 결합시킬 때에는 깊게 형성된 창틀의 상부 가이드홈에 창문을 삽입하여 그 하부 바퀴가 창틀의 가이드레일 위에 놓여지도록 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므로 창문의 상부와 창틀의 가이드홈 사이에는 상당한 간격이 형성되어 결국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되므로 가이드홈 내부가 더러워지거나 먼지가 실내로 침투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또한, 창문의 하부 바퀴가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 위에 놓여지므로 바퀴와 가이드레일 사이에도 상당한 틈새가 발생되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투될 뿐 아니라 방음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특히, 창문이 창틀에 설치되면 창문의 상부와 깊게 형성된 가이드홈의 사이에는 상당한 공간부가 형성되어 결국 틈새가 발생되었고, 바퀴도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 위에 불안정하게 놓여져 이동되는 것이므로 전체적으로 창틀과 창문 사이에는 상당한 유동이 발생되어 그 내구성이 저하되었을 뿐 아니라 소음이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창문과 창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최소화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한편 방음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사각 프레임(11) 내부에 유리창(10a)을 구비한 창문(10)이 사각 틀체를 이루는 창틀(20) 프레임(21)의 내부에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20)의 상,하부 프레임(21)들 내측에는 폭이 좁은 가이드홈(22)들이 각각 형성되고, 창문(10)의 상,하부 프레임(11)들 외측에는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어 창틀(20)의 가이드홈(22)들에 각각 삽입되며, 창틀(20)의 하부 프레임(21) 내부에는 회전축(31)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30)들이 축설되어 하부 가이드홈(22)에 삽입된 창문(10)의 가이드레일(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일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창문 10a : 유리창
11, 21 : 프레임 11a : 안내홈
11b : 구멍 12 : 가이드레일
13 : 지지대 13a : 레버
14 : 스프링 20 : 창틀
22 : 가이드홈 30 : 롤러
31 : 회전축 32 : 보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10)은 사각형 관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1)들이 사각 틀체를 이루어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유리창(10a)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창틀(20)도 사각형 관으로 이루어진 프레임(21)들이 사각 틀체를 이루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창틀(20)의 내측에는 창문(10)이 결합된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창문(10)과 창틀(20)은 이미 공지된 기술 사상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구성은 창틀(20)과 창문(10)에 폭이 좁은 가이드홈(22)과 가이드레일(12)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창틀(20)의 상,하부 프레임(21)들 내측에는 폭이 좁은 가이드홈(22)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22)들은 사각형 관으로 형성된 프레임(2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창문(10)의 상,하부 프레임(11)들 외측에는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1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12)들은 창틀(20)의 상,하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22)들에 각각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창틀(20)의 하부 프레임(21) 내부에는 롤러(30)들이 축설되어 있고, 이 롤러(30)는 하부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그 하부로 돌출되는 창문(10)의 가이드레일(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창문(10)을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롤러(30)의 회전축(31)은 창틀(20)의 하부 프레임(21) 내부 양측에 형성된 보스(32)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창틀(20)의 내부에 형성된 폭이 좁은 가이드홈(22)들 내부에 창문(10)에 형성된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어 롤러(30)에 의하여 부드럽게 여닫히는 것이므로 창틀(20)과 창문 사이에는 틈새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방음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창문(10)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2)은 창문(10) 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가이드레일(12)이 창문(10) 프레임(11)과 분리된 상태에서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창문(10)의 상측 프레임(11) 내부에는 그 상부 중앙에 가이드레일(12)이 돌출형성된 지지대(13)가 삽입되어 스프링(14)으로 탄력 지지되고, 가이드레일(12)은 프레임(11)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11a)을 관통하여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가이드레일(12)이 프레임(11)의 안내홈(11a)을 통해 출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12)이 프레임(11)의 안내홈(11a)을 통해 출입되는 경우에는 창문(10)의 하부 가이드레일(12)을 창틀(20)의 하부 가이드홈(22)에 삽입시킨 후 창문(10)의 상부 가이드레일(12)을 눌러주면 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가이드레일(12)이 프레임(11)의 안내홈(11a)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창틀(20)과 창문(10) 사이에 거의 틈새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창문(10)을 창틀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고, 창문(10)이 창틀(2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가이드레일(12)이 창틀(20)의 가이드홈(22) 직 하부에 위치되면 스프링(14)의 탄발 복원력에 의하여 가이드레일(12)이 창틀(20)의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창문을 여닫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창문(10)을 창틀(20)에 끼울 때에는 그 상부 가이드레일(12)이 프레임(11)의 안내홈(11a) 내부로 삽입되어 창문(10)을 삽입시키는 작업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므로 창문(10)과 창틀(2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최소화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방음효과를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3)에 레버(13a)가 형성되어 창문(10)의 상측 프레임(11) 전면에 뚫려진 구멍(11b)을 통해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레버(13a)를 눌러주면 구멍(11b)을 따라 하강되는 레버(13a), 지지대(13), 가이드레일(12)이 함께 하강되어 가이드레일(12)이 안내홈(11a) 내부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창문(10)을 창틀(20)에 끼울 때 매우 간편하게 가이드레일(12)을 하강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창틀(20)의 내부에 형성된 폭이 좁은가이드홈(22)들 내부에 창문(10)에 형성된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어 롤러(30)에 의하여 부드럽게 여닫히는 것이므로 창틀(20)과 창문 사이에는 틈새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방음효과를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동시에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창문(10)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사각 프레임(11) 내부에 유리창(10a)을 구비한 창문(10)이 사각 틀체를 이루는 창틀(20) 프레임(21)의 내부에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틀(20)의 상,하부 프레임(21)들 내측에는 폭이 좁은 가이드홈(22)들이 각각 형성되고, 창문(10)의 상,하부 프레임(11)들 외측에는 폭이 좁은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어 창틀(20)의 가이드홈(22)들에 각각 삽입되며, 창틀(20)의 하부 프레임(21) 내부에는 회전축(31)에 의하여 지지되는 롤러(30)들이 축설되어 하부 가이드홈(22)에 삽입된 창문(10)의 가이드레일(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10)의 상측 프레임(11) 내부에는 그 상부 중앙에 가이드레일(12)이 돌출형성된 지지대(13)가 삽입되어 스프링(14)으로 탄력 지지되고, 가이드레일(12)은 프레임(11)의 상부에 형성된 안내홈(11a)을 관통하여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에 레버(13a)가 형성되어 창문(10)의 상측 프레임(11) 전면에 뚫려진 구멍(11b)을 통해 돌출되어 지지대(13)가 레버(13a)에의하여 승감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KR2020020011101U 2002-04-12 2002-04-12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KR200281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01U KR200281172Y1 (ko) 2002-04-12 2002-04-12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101U KR200281172Y1 (ko) 2002-04-12 2002-04-12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172Y1 true KR200281172Y1 (ko) 2002-07-13

Family

ID=7312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101U KR200281172Y1 (ko) 2002-04-12 2002-04-12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17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455B1 (ko) 2008-10-22 2012-11-05 장혁수 창문시스템
KR101202127B1 (ko) 2012-03-29 2012-11-15 주식회사 윈스피아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101204813B1 (ko) 2012-03-29 2012-11-26 주식회사 윈스피아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101732675B1 (ko) 2016-08-12 2017-05-04 김충국 창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455B1 (ko) 2008-10-22 2012-11-05 장혁수 창문시스템
KR101202127B1 (ko) 2012-03-29 2012-11-15 주식회사 윈스피아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101204813B1 (ko) 2012-03-29 2012-11-26 주식회사 윈스피아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101732675B1 (ko) 2016-08-12 2017-05-04 김충국 창틀
WO2018030739A1 (ko) * 2016-08-12 2018-02-15 김충국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64819A (ja) 窓障子用ステ−
KR200281172Y1 (ko) 창문과 창틀의 결합구조
KR200331996Y1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JPH03156090A (ja) 二重ガラスはめ絶縁パネル
KR200425313Y1 (ko) 슬라이드형 샤워부스
KR101204813B1 (ko) 구름 컨베이어를 갖는 창호 개폐 장치
KR20200001929A (ko) 외부 비노출형 레일 창호
KR200183492Y1 (ko) 창문 및 창틀용 프레임
KR100467213B1 (ko) 로울러식 방충망용 잠금장치
JP2005068920A (ja) 開口部装置
KR200180534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로울러 구조
KR20100133213A (ko) 창호용 롤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창호구조
KR200180533Y1 (ko) 미닫이 창문의 개폐 로울러 구조
KR101008362B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
KR20040065362A (ko) 전후수평 개폐가 가능한 미닫이 창
KR20050009356A (ko) 틸트 및 여닫이 개폐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시스템 창호
KR200312126Y1 (ko) 전후수평 개폐가 가능한 미닫이 창
KR200402217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의 잠금장치
KR200281176Y1 (ko) 여닫이 창을 가지는 미닫이 창
KR200325944Y1 (ko) 미닫이문의 롤러조립체
JP4984065B2 (ja) スライド式折戸
KR200201605Y1 (ko) 창문샤시의 실링구조
KR200379502Y1 (ko) 시스템창
KR200421483Y1 (ko) 미닫이 도어용 호차의 높낮이 조절구조
KR200144305Y1 (ko) 창문 샷시용 가이드 기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