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671B1 -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 Google Patents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671B1
KR102030671B1 KR1020180024451A KR20180024451A KR102030671B1 KR 102030671 B1 KR102030671 B1 KR 102030671B1 KR 1020180024451 A KR1020180024451 A KR 1020180024451A KR 20180024451 A KR20180024451 A KR 20180024451A KR 102030671 B1 KR102030671 B1 KR 102030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se
locking
roll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702A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Priority to KR102018002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6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는 창틀 또는 문들에 설치되는 롤 케이스; 상기 롤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상기 방충망을 감는 회전롤; 상기 회전롤에 감긴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연결된 핸들 케이스; 상기 롤 케이스에 기울어지게 설치되며, 상기 핸들 케이스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 케이스; 상기 핸들 케이스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 로드; 상기 레일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에 걸리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를 상기 레일 케이스에 나사 결합시키는 결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레일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ROLL SCREEN DEVICE}
본 발명은 문 또는 창에 설치되는 방충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은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물로서 건물의 창호 외측, 창호를 구성하는 문틀이나 창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문 또는 창의 개방을 위해, 방충망을 감거나 푸는 회전롤이 마련된 방충망 기기가 문틀이나 창틀에 설치될 수 있다.
방충망이 회전롤에 자동으로 감기거나 회전롤로부터 풀린 방충망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회전롤은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롤에 감긴 방충망의 단부에는 손잡이 및 설정 위치에서 방충망의 자동 감김을 중지시키는 잠금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방충망 기기에는 회전롤의 회전 속도 또는 방충망의 권회 속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 방충망 단부에 형성된 잠금 수단에 걸리는 걸림 수단, 걸림 수단으로부터 잠금 수단이 풀렸을 때 방충망이 회전롤에 급속하게 감기는 현상을 방지하는 방지 수단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115197호에는 로울러식 방충망의 망체손잡이용 잠금기구가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115197호
본 발명은 탄력적으로 감기는 방충망을 펼쳐진 상태로 유지하는 방충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는 창틀 또는 문들에 설치되는 롤 케이스; 상기 롤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상기 방충망을 감는 회전롤; 상기 회전롤에 감긴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연결된 핸들 케이스; 상기 핸들 케이스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 케이스; 상기 핸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며 이동 가능한 로킹 로드;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에 걸리는 로킹부 및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를 상기 로킹부까지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후크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유니트는 상기 레일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 유니트를 상기 레일 케이스에 체결하는 나사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이 상기 후크 유니트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로킹부 및 상기 경사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에 따르면, 잠금 유니트에 걸리는 로킹부가 레일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합 구멍을 통해 레일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 결합 구멍은 로킹부 및 로킹부의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므로,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는 로킹 로드의 잘못된 걸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킹부는 레일 케이스의 단부를 덮는 후크 유니트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로킹부의 설치 공정이 후크 유니트의 설치 공정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방충망 장치의 신속한 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후크 유니트로 인해 로킹부의 설치 위치가 초기 설계값에 맞춰 정확하게 정렬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 구멍이 후크 유니트에 형성되므로, 레일 케이스에 대한 후크 유니트의 설치 및 로킹부의 설치가 동일한 나사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로킹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로킹부에 대한 로킹 로드의 로킹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레일 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레일 케이스에 후크 유니트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핸들 케이스에 설치된 슬라이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핸들 케이스에 마련된 로킹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방충망 장치는 롤 케이스(10), 레일 케이스(30), 핸들 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롤 케이스(10) 또는 레일 케이스(30)는 창틀 또는 문들에 설치될 수 있다. 롤 케이스(10)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 케이스(10)는 창틀 또는 문틀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롤 케이스(10)는 지면에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롤 케이스(10) 내에는 방충망(90)이 탄력적으로 감기는 회전롤(110), 롤 케이스(10)에 대해 회전롤(110)을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롤(110)은 롤 케이스(10)의 내부에 수납되고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롤(110)은 롤 케이스(10)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는 롤 케이스(10)에 대해 회전롤(110)을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130), 토션 스프링(130)을 지지하는 축봉(15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30)은 축봉(150)의 외측에 감길 수 있다. 회전롤(110)이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때, 축봉(150) 및 토션 스프링(130)은 회전롤(110)의 중공에 설치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30)은 롤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고, 롤 케이스(10)에 대해 회전롤(110)에 비틀림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축봉(150)은 회전롤(110)과 별개로 설치되고 회전롤(110)의 권회 속도를 증감시키는 토션 스프링(130)에 연결될 수 있다.
롤 케이스(10)의 중공에는 축봉(150)에 연결되고, 회전롤(110)에 가해지는 토션 스프링(130)의 비틀림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 실린더(20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롤(110)에 가해지는 토션 스프링(130)의 비틀림 탄성력에 따라 회전롤(110)의 회전 속도 또는 방충망(90)이 회전롤(110)에 감기는 권회 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30)의 일단은 회전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롤(110)의 중공에 삽입되는 회전부(140)에 토션 스프링(13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140)는 회전롤(1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140)에 연결된 토션 스프링(130)의 일단은 회전롤(1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30)의 타단은 축봉(150) 또는 조절 실린더(2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실린더(200)에 연결된 토션 스프링(130)의 타단은 조절 실린더(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조절 실린더(200)는 축봉(150)과 동축 상에 설치되며, 회전부(140) 또는 회전롤(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조절 실린더(200)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제1 맞물림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 등의 제1 도구를 사용하여 제1 맞물림부(210)를 돌리면, 조절 실린더(200) 및 토션 스프링(130)이 함께 회전되면서 토션 스프링(130)의 비틀림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맞물림부(210)는 축봉(150), 토션 스프링(130)과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30)과 동축 상에 형성된 제1 맞물림부(210)에 따르면, 제1 도구의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토션 스프링(130)의 타단이 회전되면서 비틀림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조절 실린더(200)의 일측에는 조절 실린더(200)의 정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는 폴(930)(pawl)과 래칫(230)(ratchet)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정방향 회전은 방충망(90)을 감는 회전롤(11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폴(930)에는 외부에 노출되는 로커(931)(locker)가 마련될 수 있다. 드라이버 등의 제2 도구를 이용해 로커(931)를 돌리면, 래칫(230)에 대한 폴(930)의 걸림이 해제되고, 조절 실린더(200)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롤(110)에서 조절 실린더(200) 측 단부에는 축부(170)가 체결될 수 있다. 축부(170)는 조절 실린더(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축부(170)에 의해, 조절 실린더(200)와 회전롤(110)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롤(110)을 멈춘 상태에서 조절 실린더(200)를 회전시키면, 토션 스프링(130)의 비틀림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레일 케이스(30)는 롤 케이스(10)에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레일 케이스(30)는 창틀 또는 문틀의 좌측 단부, 우측 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레일 케이스(30)는 롤 케이스(10)에 기울어지게, 예를 들어 수직하게 연장되며, 핸들 케이스(5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는 방충망(90)의 단부에 연결되며, 레일 케이스(30)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 케이스(50)의 단부에는 레일 케이스(30) 내에 형성된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700)가 마련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는 롤 케이스(10)를 향해 접근하는 제1 방향 ① 및 롤 케이스(10)로부터 멀어지는 제2 방향 ②로 움직일 수 있다. 토션 스프링(130)은 핸들 케이스(50)를 제1 방향 ①로 잡아당기도록 회전롤(110)에 비틀림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방향 ① 및 제2 방향 ②는 레일 케이스(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방충망(90)의 일단부(상단부)는 회전롤(110)에 권취될 수 있다. 방충망(90)의 타단부(하단부)는 핸들 케이스(50)에 고정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를 이동시키면, 방충망(90)은 롤 케이스(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롤 케이스(10)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에 대면되는 롤 케이스(10)의 일면에는 방충망(90)이 출입하는 출입구(19)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 ②로 핸들 케이스(50)를 잡아당기면, 회전 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롤(110)에 감긴 방충망(90)이 펼쳐지면서 핸들 케이스(50)가 제2 방향 ②로 움직일 수 있다. 회전롤(110)로부터 풀린 방충망(9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핸들 케이스(50)는 롤 케이스(10)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를 제2 방향 ②로 잡아당기는 외력이 해제되면, 토션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방충망(90)이 다시 회전롤(110)에 되감기고, 레일 케이스(30)에 가이드되는 핸들 케이스(50)는 제1 방향 ①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를 제2 방향 ②로 잡아당기는 외력이 해제되더라도 핸들 케이스(50)가 설정 위치에 멈추도록, 핸들 케이스(50)에는 로킹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로킹 유니트는 핸들 케이스(50)의 외부에 노출된 조작 버튼(610), 조작 버튼(610)에 의해 신축되는 한 쌍의 로킹 로드(6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로드(650)의 신축은 핸들 케이스(50)의 양단부에 설치된 슬라이딩부(70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한 쌍의 로킹 로드(650)는 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로 인해 전체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작 버튼(610)이 조작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한 쌍의 로킹 로드(65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레일 케이스(30)에는 로킹 로드(650)의 단부에 걸리는 로킹부(51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체 길이가 늘어난 한 쌍의 로킹 로드(650)의 단부는 로킹 유니트로부터 돌출되고, 로킹부(510)에 걸릴 수 있다. 일 예로, 로킹부(510)는 레일 케이스(30)의 단부를 덮는 후크 유니트(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 레일 케이스(30)에 설치되는 후크 유니트(500)와 타측 레일 케이스(30)에 설치되는 후크 유니트(500)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 ②로 움직인 핸들 케이스(50)는 외력이 해제되더라도, 로킹 로드(650)가 로킹부(510)에 걸리는 위치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킹 로드(650)가 로킹부(510)에 걸리는 위치는 회전롤(110)에 감긴 방충망(90)이 펼쳐져서 창틀 또는 문틀을 폐쇄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버튼(610)이 조작되면, 한 쌍의 로킹 로드(65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고, 로킹 유니트로부터 돌출된 로킹 로드(650)의 단부는 핸들 케이스(50)로 들어갈 수 있다. 로킹 로드(650)의 단부가 핸들 케이스(50)로 들어가면 로킹부(510)에 걸린 로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로킹 상태의 해제로 인해 방충망(90)은 회전롤(110)에 감기고, 핸들 케이스(50)는 롤 케이스(10)를 향하는 제1 방향 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방충망(90)은 토션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롤(110)에 휘리릭 감기며, 핸들 케이스(50)는 매우 빠른 속도로 움직이면서 롤 케이스(10)에 충돌할 수 있다.
방충망(90)이 회전롤(110)에 감기면서 발생되는 훼손을 방지하고 롤 케이스(10)에 대한 핸들 케이스(50)의 충돌 충격을 줄이기 위해, 롤 케이스(10)에는 회전롤(11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유니트(30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감속 유니트(300)는 회전롤(110)의 회전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생성하고, 토션 스프링(130)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롤(11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회전롤(110)에 연결되고, 회전롤(11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롤 실린더(190)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롤 실린더(190)는 조절 실린더(200)의 반대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감속 유니트(300)는 회전롤 실린더(190)를 가압하는 조임부(310), 조임부(310)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330)에 의해 조절된 조임부(31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롤 실린더(190) 및 회전롤(110)의 회전 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회전롤(11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면 제1 방향 ①로 움직이는 핸들 케이스(50)의 속도가 느려지므로, 핸들 케이스(50)와 롤 케이스(10) 간의 충돌로 인한 각종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롤 케이스(10)의 양단은 개구될 수 있다. 이때, 롤 케이스(10)의 개구된 양단부를 덮는 롤 덮개(900)가 마련될 수 있다.
롤 케이스(10)의 양단에 설치된 롤 덮개(900)는 레일 케이스(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롤 케이스(10)에서 조절 실린더(200) 측 단부에는 제1 롤 덮개(910)가 설치되고, 감속 유니트(300) 측 단부에는 제2 롤 덮개(92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롤 덮개(910)에는 조절 실린더(2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롤 덮개(920)에는 회전롤(110)에 연결되는 회전롤 실린더(19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롤 덮개(920)에는 회전롤 실린더(19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929)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 덮개(920)에 형성된 회전축(929), 조절 실린더(200), 축봉(150), 토션 스프링(130), 회전롤(110), 축부(170), 회전롤 실린더(190)는 모두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로킹부(5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로킹부(510)는 핸들 케이스(5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케이스(30)에 형성될 수 있다.
대량 생산을 위해 롤 케이스(10), 핸들 케이스(50) 및 레일 케이스(30)는 압출 공정 등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압출 공정 등에 생산된 롤 케이스(10)는 모든 구간의 단면 형상이 동일하다. 핸들 케이스(50) 및 레일 케이스(30) 역시 각각 모든 구간의 단면 형상이 동일하다.
길이 방향을 따라 전구간에 걸쳐 직선상으로 연장되며, 전구간에 걸쳐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레일 케이스(30)의 내면에 로킹 로드(650)에 걸리는 걸림턱을 갖는 로킹부(510)가 일체로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로킹부(510)는 레일 케이스(30)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별도로 마련된 로킹부(510)는 레일 케이스(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로킹부(510)의 측면은 탄성적으로 신축되는 로킹 로드(650)의 단부가 쉽게 올라타도록, 레일 케이스(30)에 기울어지고 결합 구멍(570)과 별도로 형성된 경사면(5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513)은 로킹 로드(650)의 단부를 로킹부(510)까지 안내할 수 있다.
나사 결합을 위해 로킹부(510)의 경사면(513)에 나사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비교 실시예를 상정한다.
해당 구멍에 나사가 결합되면, 로킹 로드(650)의 단부에 대면되는 경사면(513)에는 나사의 머리 또는 나사의 말단이 노출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가 로킹부(510)를 향하는 제2 방향 ②를 따라 움직이면, 핸들 케이스(50)에 마련된 로킹 로드(650)의 단부는 경사면(513)을 올라타게 된다. 이때, 로킹 로드(650)의 단부는 경사면(513)에 노출된 나사의 머리 또는 나사의 말단에 잠시 걸리게 되므로, 조작성이 매우 저하되며, 심각한 경우 로킹 로드(650)의 단부가 로킹부(510)의 걸림턱까지 이동하지 못하고 멈출 수 있다.
경사면(513)에 노출된 나사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에 따르면, 경사면(513)에 형성된 나사의 구멍이 배제될 수 있다. 대신, 레일 케이스(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결합 구멍(570)이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 구멍(570)은 레일 케이스(3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로드(650)가 올라탈 수 있는 경사면(513)의 형성을 위해 로킹부(510)는 레일 케이스(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케이스(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나사 몸체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570)을 로킹부(510) 또는 경사면(513)에 형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본 발명의 로킹부(510)는 레일 케이스(30)의 개구된 단부를 덮는 후크 유니트(5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후크 유니트(500)에는 레일 케이스(30)의 단부를 덮는 판 형상의 몸체부(530), 몸체부(530)로부터 레일 케이스(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5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로킹부(510)는 로킹 로드(650)에 대면되는 연장부(52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케이스(30)에 나사 결합되는 결합 구멍(570)은 몸체부(530) 중 연장부(520) 및 로킹부(510)로부터 도피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530)에서 로킹부(510)로부터 도피된 위치에 형성된 결합 구멍(570)은 레일 케이스(30)와 후크 유니트(500)의 나사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레일 케이스(30)와 후크 유니트(500)를 나사 결합시키는 나사는 결합 구멍(570)을 관통할 수 있다. 레일 케이스(30)와 후크 유니트(500) 간의 나사 결합에 따르면, 후크 유니트(500)에 형성된 로킹부(510) 역시 레일 케이스(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멍(570)을 관통하는 나사는 로킹부(5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로킹부(510)의 경사면(513)에는 나사와 관련된 어떠한 기하학적 구조도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끝까지 로킹 로드(650)의 단부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는 평탄한 경사면(513)이 제공될 수 있다.
연장부(520) 또는 로킹부(510)는 판 형상의 몸체부(53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몸체부(53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520) 또는 로킹부(5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로킹부(510) 또는 연장부(520)에 대면되는 몸체부(530)의 일면과, 연장부(520)의 밑둥 또는 로킹부(510)의 밑둥을 연결하는 보강부(54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53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520)의 단부 또는 로킹부(510)의 단부가 허공에서 낭창거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정렬부(529)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정렬부(529)는 경사면(513)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렬부(529)는 로킹 로드(650)에 대면되는 연장부(5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정렬부(529)는 연장부(520)의 가장자리와 로킹부(510)의 경사면(513) 가장자리 사이 구간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로킹부(510)에 대한 로킹 로드(650)의 로킹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핸들 케이스(50)는 레일 케이스(30)의 일측으로부터 로킹부(510)가 형성된 레일 케이스(30)의 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와 함께 움직이는 로킹 로드(650)는 로킹부(510)의 경사면(513)의 말단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 탄성적으로 길이가 줄어들면서 경사면(513)을 올라타게 된다.
레일 케이스(30)에 기울어지게 경사진 경사면(513)을 따라 움직이는 로킹 로드(650)는 로킹부(510)를 향해 돌출된 길이가 점차 줄어들다가, 걸림턱에 해당하는 로킹부(510)에 진입하면 돌출된 길이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로킹부(510)에 걸릴 수 있다. 이후에는 사용자의 외력이 해제되더라도 로킹 로드(650)와 로킹부(510)가 물리적으로 서로 걸린 로킹 상태로 인해 핸들 케이스(50)는 현재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조작 버튼(610)을 조작하면, 로킹 로드(650)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로킹 로드(650)와 로킹부(510) 간의 로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로킹 상태가 해제되면, 토션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 케이스(50)는 롤 케이스(10)를 향해 움직일 수 있다.
로킹부(510)의 경사면(513)을 쉽게 올라탈 수 있도록, 경사면(513)에 대면되는 로킹 로드(650)의 단부 측면(653)은 둥그렇게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에 해당하는 로킹부(510)에 로킹로드의 단부가 걸리도록, 로킹부(510)에 대면되는 로킹 로드(650)의 단부 상면(651)은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후크 유니트(500)의 연장부(520) 및 로킹부(510)를 지지하는 동시에, 핸들 케이스(50)에 연결된 슬라이딩부(700)의 가이드를 위해 레일 케이스(30)는 특수한 구조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레일 케이스(30)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레일 케이스(30)에 후크 유니트(500)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레일 케이스(30)에는 슬라이딩부(7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후크 유니트(500)의 로킹부(510)를 지지하는 정렬 가이드부(35), 후크 유니트(500)의 결합 구멍(570)을 통과한 나사에 결합되는 나사 리브(37)가 마련될 수 있다. 나사 리브(37)는 레일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일부, 정렬 가이드부(35), 나사 리브(37)는 레일 케이스(30)의 길이 방향 전구간에 걸쳐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충망(90)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레일부 및 슬라이딩부(700)는 2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딩부(700)는 서로 이격된 판 형상의 제1 슬라이딩부(710)와 제2 슬라이딩부(730)가 슬라이딩 연결부(720)를 통해 연결된 'H'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충망(90)의 단부는 제1 슬라이딩부(710)에 대면되는 제2 슬라이딩부(730)의 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710)에는 로킹 로드(650)의 단부가 통과하는 로드 구멍(705)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 구멍(705)을 통과한 로킹 로드(650)의 단부는 로킹부(510)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일부는 제1 슬라이딩부(710)가 슬라이딩되는 레일을 형성하는 제1 레일부(31), 제2 슬라이딩부(730)가 슬라이딩되는 레일을 형성하는 제2 레일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부(31)와 제2 레일부(33)는 제1 슬라이딩부(710)와 제2 슬라이딩부(730)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연결부(720)가 통과하는 개구에 해당하는 연통부(34)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레일부(31)는 제1 슬라이딩부를 안내하며, 방충망(90)이 인입되는 측면이 개구된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부(33)는 제2 슬라이딩부를 안내하며, 제1 레일부(31)에 대면되는 측면이 개구된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부(33)의 개구된 측면에는 제1 슬라이딩부(710)와 제2 슬라이딩부(730)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삽입 레일(38)이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2개의 삽입 레일(38) 사이의 틈이 연통부(3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레일부(31)에 제1 슬라이딩부(710)가 삽입되고, 제2 레일부(33)에 제2 슬라이딩부(730)가 삽입되며, 제1 슬라이딩부(710)와 제2 슬라이딩부(730) 사이의 틈에 삽입 레일(38)이 삽입되면, 슬라이딩부(700)는 레일 케이스(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레일 케이스(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정렬 가이드부(35)는 제1 레일부(31)에서 방충망(90)의 인입을 위해 개구된 면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정렬 가이드부는 제1 레일부의 내측면 및 제2 레일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정렬 가이드부(35)는 후크 유니트(500)에 형성된 연장부(520) 또는 로킹부(510)가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정렬 가이드부(35) 중 제1 레일부(31) 측 단부에는 연장부(520)에 형성된 정렬부(529)에 걸리는 턱부(36)가 마련될 수 있다. 턱부(36)는 정렬 가이드부(35)와 제1 레일부(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턱부(36)는 공간을 격하고 서로 대면되는 정렬 가이드부(35)의 일측 내벽면과 타측 내벽면에 각각 형성되며, 2개의 턱부(36) 사이의 틈을 통해 양 정렬부(529) 가운데에 형성된 로킹부(510)가 제1 레일부(31) 측으로 노출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제1 레일부(31) 측에 돌출된 로킹부(510)는 제1 레일부(31)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딩부(710)에 대면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710)에는 로드 구멍(705)을 통해 로킹 로드(650)의 단부가 로킹부(510) 측에 돌출될 수 있다. 로킹부(510) 측에 돌출된 로킹 로드(650)의 단부는 로킹부(510)에 걸릴 수 있다.
나사 리브(37)는 제1 레일부(31)의 외측면, 제2 레일부(33)의 외측면, 정렬 가이드부(35)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정렬 가이드부(35)는 로킹 로드(650)의 연장 방향 상으로 제1 레일부(3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레일부(33)는 로킹 로드(650)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상으로 제1 레일부(3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레일부(33)와 로킹 로드(650)는 제1 레일부(31)를 중심으로 'L' 자와 같이 꺾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케이스(3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 제2 레일부(33) 및 정렬 가이드부(35)에 대면되는 더미 영역이 텅 비게 된다.
이때, 나사 리브(37)는 더미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제1 레일부(31), 제2 레일부(33) 및 정렬 가이드부(35)의 강도 개선을 위해, 나사 리브(37)는 더미 영역 중 제2 레일부(33)의 외측면 및 정렬 가이드부(35)의 외측면이 맞닿는 교차점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해당 교차점은 제1 레일부(31)의 외면과도 교차되므로, 해당 교차점에 형성된 나사 리브(37)는 제1 레일부(31), 제2 레일부(33), 정렬 가이드부(35)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살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나사 리브(37)는 나사가 통과하는 구멍 또는 도 5와 같이 일측면이 개구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사 리브(37)의 위치는 정렬 가이드부(35)로부터 이격되므로, 후크 유니트(500)의 몸체부(530)에 형성된 연장부(520)가 정렬 가이드부(35)에 삽입될 때, 후크 유니트(500)의 몸체부(530)에 형성되고 연장부(520)로부터 이격된 결합 구멍(570)이 나사 리브(37)에 정렬될 수 있다, 서로 정렬된 결합 구멍(570)과 나사 리브(37)를 나사를 이용해 조이면, 레일 케이스(30)와 후크 유니트(500) 간의 나사 결합이 완료되며, 연장부(520)에 일체로 형성된 로킹부(510)는 양 턱부(36) 사이의 틈을 통해 제1 레일부(31)에 노출되거나 돌출될 수 있다.
도 7은 핸들 케이스(50)에 설치된 슬라이딩부(7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 레일부(31)의 개구를 통해 인입된 방충망(90)의 단부는 연통부(34)를 통해 휘어지면서 제2 슬라이딩부(730)에 연결될 수 있다. 연통부(34)를 통해 휘어지면서 제2 슬라이딩부(730)에 연결된 방충망(90)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정렬 가이드부(35)에 대면된 로킹 로드(650)는 제1 슬라이딩부(710)와 함께 제1 레일부(3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로킹부(510)의 위치까지 이동한 로킹 로드(650)는 로킹부(510)에 걸리게 되고, 외력이 해제되더라도 핸들 케이스(50)가 현재 위치에 멈춘 로킹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핸들 케이스(50)에 마련된 로킹 유니트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로킹 유니트는 조작 버튼(610), 로킹 로드(650), 링크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버튼(610)은 핸들 케이스(50)의 외부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로킹 로드(650)는 핸들 케이스(5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양단에 레일 케이스(3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링크부(630)는 핸들 케이스(50)의 외부에 설치된 조작 버튼(610)과 핸들 케이스(50)의 내부에 설치된 로킹 로드(650)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핸들 케이스(50)에는 링크부(630)가 통과하는 링크 구멍(51)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630)는 링크 구멍(51)에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 노출된 링크부(630)의 일단은 조작 버튼(610)에 연결되고, 핸들 케이스(50) 내부로 인입된 링크부(630)의 타단은 로킹 로드(650)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630)에 의해, 핸들 케이스(50)의 내부에 수납된 로킹 로드(650)는 핸들 케이스(50)의 외면에 설치된 조작 버튼(610)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조작 버튼(610)에는 링크부(630)에 연결되는 제1 링크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링크 연결부는 링크부(630)의 일단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링크부(630)는 조작 버튼(6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로드(650)에는 링크부(630)에 연결되는 제2 링크 연결부(603)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링크 연결부(603)는 링크부(630)의 타단이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는 막대 형상의 로킹 로드(650)에 제2 링크 연결부(603)를 직접 형성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제2 링크 연결부(603)의 형성을 위해 로킹 로드(650)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 실린더(660)가 마련될 수 있다. 링크 실린더(660)는 로킹 로드(650)와 함께 핸들 케이스(50)의 중공에 수납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에는 링크 실린더(660)가 슬라이딩되는 실린더 레일부(59) 및 로킹 로드(650)가 슬라이딩되는 로드 레일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 케이스(50)의 상부에는 방충망(90)의 단부(하단)가 연결되는 방충망 체결부(57)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 버튼(610)에 대면되는 링크 실린더(660)의 일면에는 링크부(630)가 삽입되는 홈 형상의 제2 링크 연결부(603)가 마련될 수 있다.
로킹 로드(650), 링크 실린더(660)는 핸들 케이스(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대면되는 링크 실린더(660)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680)가 개재될 수 있다.
탄성 부재로 인해 각 로킹 로드(650)는 핸들 케이스(50)의 각 단부 측으로 밀려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각 단부 측으로 밀려난 각 로킹 로드(650)의 단부는 핸들 케이스(50)로부터 돌출되고, 레일 케이스(30)에 마련된 로킹부(510)에 걸릴 준비가 된 준비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버튼(610)을 조작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각 링크 실린더(660)가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핸들 케이스(50)의 단부에 돌출된 로킹 로드(650)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핸들 케이스(50) 내부로 수납되고, 로킹 로드(650)가 로킹부(510)에 걸린 로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롤 케이스 19...출입구
30...레일 케이스 31...제1 레일부
33...제2 레일부 34...연통부
35...정렬 가이드부 36...턱부
37...나사 리브 38...삽입 레일
50...핸들 케이스 55...로드 레일부
57...방충망 체결부 59...실린더 레일부
90...방충망 110...회전롤
130...토션 스프링 140...회전부
150...축봉 170...축부
190...회전롤 실린더 200...조절 실린더
210...제1 맞물림부 230...래칫
300...감속 유니트 310...조임부
330...조절부 500...후크 유니트
510...로킹부 513...경사면
520...연장부 529...정렬부
530...몸체부 540...보강부
570...결합 구멍 603...제2 링크 연결부
610...조작 버튼 630...링크부
650...로킹 로드 651...로킹 로드의 단부 상면
653...로킹 로드의 단부 측면 660...링크 실린더
680...탄성 부재 700...슬라이딩부
705...로드 구멍 710...제1 슬라이딩부
720...슬라이딩 연결부 730...제2 슬라이딩부
900...롤 덮개 910...제1 롤 덮개
920...제2 롤 덮개 929...회전축
930...폴 931...로커

Claims (13)

  1. 창틀 또는 문들에 설치되는 롤 케이스;
    상기 롤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방충망을 감는 회전롤;
    상기 회전롤에 감긴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연결된 핸들 케이스;
    상기 핸들 케이스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 케이스;
    상기 핸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며 이동 가능한 로킹 로드;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에 걸리는 로킹부 및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를 상기 로킹부까지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후크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유니트는 상기 레일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 유니트를 상기 레일 케이스에 체결하는 나사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이 상기 후크 유니트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로킹부 및 상기 경사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 케이스의 단부는 상기 레일 케이스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 케이스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를 안내하는 제1 레일부, 상기 제2 슬라이딩부를 안내하는 제2 레일부, 상기 로킹부 또는 상기 경사면이 지지되는 정렬 가이드부, 상기 결합 구멍을 통과한 나사에 결합되는 나사 리브를 구비하는 방충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유니트는, 상기 레일 케이스의 개구된 단부를 덮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레일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로킹 로드에 대면되는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상기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 케이스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로킹부로부터 도피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레일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방충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 케이스에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대면되는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 측면은 상기 경사면에 올라타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로킹부에 대면하는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 상면은 각지게 형성된 방충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케이스에는 상기 결합 구멍을 통과한 나사에 결합되는 나사 리브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충망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리브는 상기 제1 레일부의 외측면, 상기 제2 레일부의 외측면, 상기 정렬 가이드부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방충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 상기 제2 레일부, 상기 정렬 가이드부 및 상기 나사 리브는 상기 레일 케이스의 길이 방향 전구간에 걸쳐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방충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는 상기 로킹 로드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 상으로 상기 제2 레일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 리브는 상기 제1 레일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레일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렬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레일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2 레일부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방충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의 단부에는 상기 레일 케이스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가 마련되고,
    상기 레일 케이스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부가 마련되며,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는 2층 구조로 형성된 방충망 장치.
  10. 창틀 또는 문들에 설치되는 롤 케이스;
    상기 롤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방충망을 감는 회전롤;
    상기 회전롤에 감긴 상기 방충망의 단부가 연결된 핸들 케이스;
    상기 핸들 케이스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레일 케이스;
    상기 핸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되며 이동 가능한 로킹 로드;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에 걸리는 로킹부 및 상기 로킹 로드의 단부를 상기 로킹부까지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후크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유니트는 상기 레일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 유니트를 상기 레일 케이스에 체결하는 나사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이 상기 후크 유니트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로킹부 및 상기 경사면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 케이스의 단부는 상기 레일 케이스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슬라이딩부 및 제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 케이스는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레일부는 상기 방충망이 인입되는 측면이 개구된 형상이고,
    상기 제2 레일부는 상기 제1 레일부에 대면되는 측면이 개구된 형상이며,
    상기 제2 레일부의 개구된 측면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 사이의 틈에 삽입되는 삽입 레일이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2개의 삽입 레일 사이의 틈이 연통부를 형성하는 방충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부의 개구를 통해 인입된 상기 방충망의 단부는 상기 연통부를 통해 휘어지면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에 연결된 방충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조작 버튼, 상기 핸들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상기 조작 버튼과 상기 핸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로킹 로드를 연동시키는 링크부가 마련된 방충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케이스에는 상기 링크부가 통과하는 링크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링크 구멍에 관통 설치되며,
    외부에 노출된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조작 버튼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상기 링크부의 타단은 상기 로킹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에 의해, 상기 핸들 케이스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로킹 로드는 상기 핸들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된 상기 조작 버튼과 함께 움직이는 방충망 장치.
KR1020180024451A 2018-02-28 2018-02-28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KR10203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51A KR102030671B1 (ko) 2018-02-28 2018-02-28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451A KR102030671B1 (ko) 2018-02-28 2018-02-28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02A KR20190103702A (ko) 2019-09-05
KR102030671B1 true KR102030671B1 (ko) 2019-11-08

Family

ID=6794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451A KR102030671B1 (ko) 2018-02-28 2018-02-28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0413A1 (en) * 2020-12-07 2022-06-16 Freedom Screens Capital Pty Ltd Retractable screen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92Y1 (ko) * 2005-04-09 2005-07-14 김준배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JP2011099271A (ja) * 2009-11-06 2011-05-19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ケース
KR200456041Y1 (ko) * 2009-07-14 2011-10-11 김성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KR101646893B1 (ko) * 2016-01-11 2016-08-08 금중식 롤 방충망의 핸들바 잠금 및 해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027B1 (ko) 2004-06-03 2006-08-10 주식회사 대상테크롤 로울러식 방충망의 망체손잡이용 잠금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92Y1 (ko) * 2005-04-09 2005-07-14 김준배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KR200456041Y1 (ko) * 2009-07-14 2011-10-11 김성수 롤 타입 방충망 록킹 장치
JP2011099271A (ja) * 2009-11-06 2011-05-19 Komatsu Denki Sangyo Kk シートシャッタのシートケース
KR101646893B1 (ko) * 2016-01-11 2016-08-08 금중식 롤 방충망의 핸들바 잠금 및 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702A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623B2 (en) Retractable screen
DE3815890C2 (de) Fernbetätigter Riegelmechanismus
EP2017107B1 (de) Beschattungsrollo mit Rolloverriegelung
KR102030671B1 (ko) 로킹부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EP1681435A2 (de) Sonnenschutzanlage mit Notraffvorrichtung
CH696340A5 (de) Fliegengitter mit Vorrichtung zur Schnellverbindung und -lösung des Griffstabes.
KR200389392Y1 (ko) 개폐식 방충망의 핸들 잠금장치
DE19549035A1 (de) Haltevorrichtung für ein Rollo
DE3523391A1 (de) Kantenschutz fuer eine kraftfahrzeugtuer
EP1223299B1 (de) Rollo, insbesondere Insektenschutz-Rollo
KR102030677B1 (ko) 감속 유니트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DE4340621C2 (de) Rolladenanordnung mit Insektenschutzgitter
DE19842502A1 (de) Jalousierbarer Rolladen
AT5481U1 (de) Vorrichtung zum schnellen ver- und entriegeln der griffstange insbesondere von fliegengittern und so erhaltene fliegengitterstruktur
KR101988616B1 (ko) 조절 실린더가 구비된 방충망 장치
JP2551913B2 (ja) 巻込み式スクリーン
CN112005994B (zh) 配备调节气缸的防虫网装置
KR102497565B1 (ko) 위치 가변형 권취형 방충 장치
AT11824U1 (de) Vertikal sowie horizontal verbaubares rollosystem, insbesondere insektenschutzgitter-rollosystem, mit geringer bautiefe
EP0383061B1 (de) Rolladen für ein Abdeckteil einer Wand- oder Dachöffnung, insbesondere für ein Dachfenster
JPH0510072A (ja) ド ア
JP2781830B2 (ja) 横引き伸縮開閉網戸
KR20100075047A (ko) 롤방충망용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방충망 장치
DE4141543C1 (en) External roller shutter for windows and doors - has winder in housing with handle, by which pull belt can be pulled through aperture in frame or wall
DE4409785A1 (de) Gurtführungseinrichtung für Rolladenkäs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