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539B1 - 다목적 구장 - Google Patents
다목적 구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6539B1 KR102096539B1 KR1020190070102A KR20190070102A KR102096539B1 KR 102096539 B1 KR102096539 B1 KR 102096539B1 KR 1020190070102 A KR1020190070102 A KR 1020190070102A KR 20190070102 A KR20190070102 A KR 20190070102A KR 102096539 B1 KR102096539 B1 KR 1020965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iling
- mesh
- ballpark
- disposed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2—Shaping of the surface of courts according to the necessities of the different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8—Mechanical means for marking-out
- A63C2019/085—Fences; Nets; Barrier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8—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static electri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구장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 공간을 이루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펜스부 및 상기 플레이 공간의 천장을 이루며 걷을 수 있게 상기 펜스부와 연결되어 있는 천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목적 구장에 관한 것이다.
축구, 야구 등의 프로 스포츠(Professional sports) 흥행으로 인해 전용 구장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프로 스포츠 흥행으로 인해 스포츠 동호회 개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구장의 개수가 늘어가고 추세지만 구장 토지 확보에 따른 막대한 토지매입 비용 및 이에 따른 지역주민과의 마찰 해소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
이에 한 경기장에서 축구, 풋살(Futsal), 족구, 핸드볼, 하키, 농구, 야구, 티볼(Tee Ball) 등의 여러 종목의 경기를 할 수 있는 다목적 구장이 주목받고 있다. 다목적 구장은 인조잔디, 탄성포장 등으로 형성된 바닥부, 바닥부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펜스부를 포함한다.
펜스부는 지주와 금속 네트로 형성되어 경기 진행 시 공이 바닥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차단할 뿐 바람이 다목적 구장 내부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없었다. 또한 펜스부가 바닥부의 외곽을 따라 고정 설치되므로 경기 종목 또는 바닥부의 유지 보수 시 펜스부를 걷을 수 없어 다목적 구장의 둘레를 개방할 수 없었다.
그리고 실외에 형성된 다목적 구장의 경우 상부(천장)가 개방되어 있어 햇빛을 차단하지 못하였다. 이에 다목적 구장으로 유입되는 햇빛에 의해 바닥부 온도가 상승하고, 플레이어의 경기력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스포츠 종목에 맞게 구장을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구장은, 플레이 공간을 이루며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곽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펜스부 및 상기 플레이 공간의 천장을 이루며 걷을 수 있게 상기 펜스부와 연결되어 있는 천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라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잔디모듈은, 제1 파일부 및 상기 라인들을 형성하는 제2 파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디모듈은, 제1 파일부, 상기 라인들을 형성하는 제2 파일부 및 상기 제1 파일부와 상기 제2 파일부가 터프팅된 기포층을 포함하며, 상기 라인들을 형성하는 제2 파일부는 라인마다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일부와 상기 제2 파일부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파일부의 길이는 상기 기포층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파일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을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바닥부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차단부 및 상기 제1 차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걷힐 수 있는 제2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목적 구장은, 상기 제1 차단부는 그물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차단부는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 또는 상기 멤브레인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불화 비닐 수지(polyvinyl fluoride; PVF), 이소불화비닐(Poly Vinyldien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EF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차단부는, 이웃한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고정된 그물망, 그리고 상기 그물망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지지하고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이웃한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설치 와이어, 상기 제1 차단부와 마주하고 상기 한 쌍의 설치 와이어의 사이에 위치한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과 상기 한 쌍의 설치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한 쌍의 설치 와이어를 따라 설치되고 걷힐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의 간격은 4m 내지 6m일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는 수평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이웃한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천장부는, 상기 펜스부의 상단을 따라 설치된 천장 외곽 프레임부,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를 덮고 있는 그물망,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그물망을 덮고 있는 차광부재 및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그물망 및 상기 차광부재를 각각 지지하는 처짐 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물망과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를 따라 움직여 걷힐 수 있다.
상기 천장부는,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의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천장 설치 와이어, 그리고 상기 그물망 및 상기 차광부재의 외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천장 설치 와이어와 연결된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천장 설치 와이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그물망 또는 상기 차광부재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불화 비닐 수지(polyvinyl fluoride; PVF), 이소불화비닐(Poly Vinyldien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EF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다목적 구장은 상기 플레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 공간에서 진행되는 경기 종목에 따라 설치되는 네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부는, 상기 천장부에 각각 접힐 수 있게 연결된 한 쌍의 네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네트 프레임을 연결하는 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목적 구장은, 상기 펜스부 및 상기 천장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 공간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목적 구장은, 상기 바닥부에 배치된 정전기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상기 바닥부에 배치된 격자부재, 그리고 상기 격자부재와 상기 펜스부를 연결하는 바닥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자부재는 스테인리스 또는 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출입구를 가지며,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상기 출입구의 주변 바닥부에 배치된 동판부재, 그리고 상기 동판부재와 상기 출입구의 틀을 연결하는 출입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도전사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사는 상기 펜스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야구, 배드민턴 등 공중볼이 발생하는 경기 시 차광부재를 걷어 천장부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천장부 개방으로 공중 볼 발생에 따른 경기의 방해 요소가 제거되어 경기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광부재가 플레이 공간을 덮고 있으므로 여름철에 햇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바닥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햇빛으로부터 플레이어를 보호할 수 있어 경기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펜스부의 차단부재를 멤브레인으로 형성되므로 바람이 플레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볼이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아 경기력이 향상되며, 겨울철 플레이어를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전기 방지부에 의해 다목적 구장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정전기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경기 종목에 따라 네트부를 변경하므로 네트를 가지고 진행하는 여러 종목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다목적 구장의 활용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구장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펜스부의 제2 차단부와 천장부의 그물망과 차광부재가 걷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바닥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의 펜스부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4의 제2 차단부가 걷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2의 천장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천장부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천장부에 네트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A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네트 프레임이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1의 프레임부에 분무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도 3의 바닥부에 정전기 방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펜스부의 제2 차단부와 천장부의 그물망과 차광부재가 걷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의 바닥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의 펜스부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도 4의 제2 차단부가 걷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2의 천장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천장부를 자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천장부에 네트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개략도.
도 10은 도 9의 A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네트 프레임이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도 1의 프레임부에 분무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도 3의 바닥부에 정전기 방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구장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구장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펜스부의 제2 차단부와 천장부의 그물망과 차광부재가 걷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바닥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1의 펜스부 일부분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1 차단부와 제2 차단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2 차단부가 걷힌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2의 천장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의 천장부를 자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천장부에 네트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개략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네트 프레임이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도 1의 프레임부에 분무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3은 도 3의 바닥부에 정전기 방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경기 종목에 맞게 구장 환경을 변경할 수 있는 다목적 구장(1)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라인(113a)들이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 공간(1a)을 이루는 바닥부(10), 바닥부(10)의 외곽에 배치되어 플레이 공간(1a)의 볼이 플레이 공간(1a)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플레이어를 보호하는 펜스부(20), 플레이 공간(1a)의 천장을 이루며 걷을 수 있게 펜스부(20)와 연결된 천장부(30)를 포함한다.
도 3을 더 참고하면, 바닥부(10)는 지면(G)에 놓이며 배수로(12a)를 가지는 패드(12), 그리고 패드(12)에 배치되어 있고 라인(113a)들이 형성된 잔디모듈(11)을 포함한다.
잔디모듈(11)은 제1 파일부(112), 라인(113a)을 형성하는 제2 파일부(113) 및 기포층(111)을 포함한다.
기포층(111)은 부직포, 웹 구조로 형성되어 우수가 통과할 수 있으며 패드(12)의 상면과 접하고 있다. 기포층(111)은 직물, 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파일부(112)와 제2 파일부(113)는 파일사가 기포층(111)에 터프팅되어 형성되어 있다. 파일사가 기포층(111)에 터프팅될 때 1m X 1m 단위 사이즈에 파일사의 땀수가 24,000 ~ 28,000ea일 수 있다. 이에 파일사의 터프팅 밀도는 24,000 ~ 28,000ea/㎡일 수 있다. 파일사의 터프팅 밀도가 24,000ea/㎡ 미만인 경우 공의 반력 및 구름성이 저하되어 경기력이 저하될 수 있다. 28,000ea/㎡ 초과할 경우 중량 증가와 더불어 제조의 어려움 및 제조에 따른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파일부(112)의 길이는 기포층(111)을 기준으로 25mm 내지 35mm일 수 있다. 제1 파일부(112)는 속파일사(112a)와 걷파일사(112b)를 포함한다. 속파일사(112a)와 걷파일사(112b)는 기포층(111)에 함께 더프팅되어 있다. 여기서 속파일사(112a)와 걷파일사(112b)의 비율은 4:4.5일 수 있다. 속파일사(112a)의 섬도는 8000 ~ 10000데니어고, 걷파일사(112b)의 섬도는 4500 ~ 6500데니어일 수 있다. 그리고 파일부의 중량은 3.5kg/㎡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잔디모듈(11)은 공 반발력은 0.72m ~ 0.90m일 수 있으며, 공 구름성은 4.5m ~ 7m일 수 있다.
한편, 속파일사(112a)의 길이는 기포층(111)을 기준으로 걷파일사(112b)의 길이보다 짧으며, 속파일사(112a)는 크림프(crimp)가공되어 있다. 속파일사(112a)는 걷파일사(112b)에 의해 보이지 않는다. 속파일사(112a)는 걷파일사(112b)를 지지하여 걷파일사(112b)가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걷파일사(112b)는 직립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파일부(113)는 여러 경기 종목에 따른 라인(113a)을 형성한다. 제2 파일부(113)의 길이는 패드(12)를 기준으로 제1 파일부(112)의 걷파일사(112b) 길이보다 짧다. 그러나 제2 파일부(113)의 길이는 패드(12)를 기준으로 걷파일사(112b)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제2 파일부(113)는 경기 종목에 따른 라인(113a)이 구별되도록 경기 종목에 따른 라인마다 다른 색상을 갖는다. 예컨대 축구 라인은 빨간색, 풋살 라인은 흰색, 배드민턴 라인은 노란색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파일부(112)와 제1 파일부(112)가 구별될 수 있도록 제1 파일부(112)는 제2 파일부(113)가 형성하지 않은 연두색, 파란색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일부(112)와 제2 파일부(113)의 색상은 다목적 구장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파일부(113)은 야간 경기 시 라인(113a)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축광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야간조명 등과 같은 부대시설의 부족함으로 인한 야간 경기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 밝기를 낮출 수 있어 조명 가동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기포층(111)의 아래에는 코팅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코팅층은 파일사가 기포층(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코팅층은 배수성을 위해 타공되어 있다.
패드(12)는 지면(G)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배수로(12a)가 형성되어 있다. 잔디모듈(11)을 통과한 우수는 배수로(12a)를 통해 다목적 구장(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에 바닥부(10)는 배수성이 향상되어 오수 따위가 고이지 않으므로 경기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패드(12)의 상면에는 저장공간(12b)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공간(12b)은 패드(12)의 상면이 부분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저장공간(12b)으로 규사, 탄성칩 따위가 유입되지 않도록 저장공간(12b)에는 미세구멍을 갖는 덮개(13)가 배치되어 있다. 우수는 미세구멍을 통해 저장공간(12b)에 저장될 수 있다. 대기 온도가 높아질 때 저장공간(12b)의 우수는 증발할 수 있다. 이에 제1 파일부(112)와 제2 파일부(113)의 온도를 낮아질 수 있다. 바닥부(10)의 온도 상승에 따른 경기력 저하를 방지하고 슬라이딩 시 피부 화상 등을 예방할 수 있어 플레이어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패드(12)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지면에 완충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완충부의 위에 잔디모듈(11)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면(G)에 배수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0)에는 경기력을 높이고 플레이어를 보호하기 위해 규사, 충진재 따위가 포설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고하면, 펜스부(20)는 바닥부(10)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프레임부(21), 프레임부(21)에 설치된 제1 차단부(22) 및 제2 차단부(23)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1)는 수직 프레임(211) 및 수평 프레임(212)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211)은 바닥부(10)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11)의 하단부는 지면에 앵커 볼트 따위로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수직 프레임(211)의 상단에는 천장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의 간격은 4m 내지 6m일 수 있다.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의 간격은 다목적 구장(1)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직 프레임(211)을 평면에서 본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일 수 있다. 수직 프레임(211)의 외부 둘레에는 쿠션(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어 있다. 쿠션은 플레이 중 플레이어가 수직 프레임(211)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211)에는 야간에 바닥부(10)를 비추는 조명이 설치될 수 있다. 조명은 바닥부(10)와 (-)접지되어 있다. 그러나 다목적 구장(1) 외부에 별도의 조명 시설(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12)은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 사이에 위치하여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을 연결한다. 수평 프레임(212)은 바닥부(10)에서 상부로 대략 1m 정도 이격되어 있다. 수평 프레임(212)은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의 사이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차단부(22)와 제2 차단부(23)는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 사이에 위치하여 마주한다. 제1 차단부(22)는 다목적 구장(1)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 차단부(23)는 다목적 구장(1)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차단부(22)는 그물망을 포함하며 경기 진행 중 볼이 플레이 공간(1a)을 벗어나는 것을 차단한다. 제2 차단부(23)는 멤브레인(membrane)을 포함한다. 제2 차단부(23)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 등의 외부 요건이 플레이 공간(1a)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여기서, 제1 차단부(22)의 그물망, 제2 차단부(23)의 멤브레인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불화 비닐 수지(polyvinyl fluoride; PVF), 이소불화비닐(Poly Vinyldien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EF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물망과 멤브레인을 위 재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차단부(22)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 차단부(22)는 그물망(221)과 지지부재(223)를 포함한다.
그물망(221)은 다목적 구장(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부측이 천장부(30)에 고정되어 바닥부(10)로 늘어트린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플레이 중 볼이 그물망(221)에 맞아도 플레이어를 향해 튕기지 않는다. 튕기는 볼로부터 플레이어를 보호할 수 있다.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 사이에는 지지부재(223)가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부재(223)의 양단은 수직 프레임(211)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부재(223)는 다목적 구장(1)의 내측에서 그물망(221)이 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223)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와이어는 튜브(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감싸고 있다. 그러나 지지부재(223)는 금속바 일 수 있다. 도면 [도 4]에서 지지부재(223)를 엑스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펜스부(20)의 설계에 따라 지지부재(223)가 설치되는 모양은 달라질 수 있다.
제2 차단부(23)는 멤브레인(231)과, 한 쌍의 설치 와이어(232) 및 연결링(233)을 포함한다.
멤브레인(231)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 사이에 위치하고 상단은 천장부(30)와 접하고 하단은 수평 프레임(212)과 접한다.
한 쌍의 설치 와이어(232)는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 사이에 위치하여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이 수직 프레임(211)에 고정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설치 와이어(232)는 멤브레인(23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위치한다.
연결링(233)은 멤브레인(23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위치하여 멤브레인(231)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연결링(233)은 멤브레인(231)을 관통하고 설치 와이어(232)에 걸려있다. 연결링(233)은 설치 와이어(23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멤브레인(231)은 이웃한 수직 프레임(211) 사이에서 펼쳐져 다목적 구장(1) 내부로 바람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겨울철 찬바람으로부터 플레이어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바람으로부터 공이 영향을 받지 않아 경기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링(233)이 설치 와이어(232)를 따라 움직일 수 있으므로 여름철 멤브레인(231)은 커튼 형태로 걷힐 수 있다. 이경우 바람이 다목적 구장(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펜스부(20)는 바닥부(10)와 수평 프레임(212)의 사이에 배치된 쿠션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24)는 수직 프레임(211) 및 수평 프레임(212)으로부터 플레이 공간(1a)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쿠션부(24)는 플레이 공간(1a)에서 플레이어가 펜스부(20)에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리고 펜스부(20)는 폴딩도어(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물망(221)과 멤브레인(231)은 생략되고, 이웃한 수직 프레임(221)의 사이에 폴딩도어가 복수 배치되며, 복수의 폴딩도어는 접힐 수 있다. 폴딩도어의 접힘으로 이웃한 수직 프레임(221) 사이의 공간은 개방될 수 있다. 폴딩도어는 그물망과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고하면, 천장부(30)는 천장 외곽 프레임부(21), 그물망(32), 차광부재(33) 및 처짐 방지부재(34)를 포함하며, 플레이 중 공이 플레이 공간(1a)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며 햇빛이 플레이 공간(1a)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천장부(30)는 공중볼이 발생하는 경기 시 걷히어 개방될 수 있다.
천장 외곽 프레임부(21)는 수직 프레임(211)들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트러스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하현재가 수직 프레임(2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다.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천장 외곽 프레임부(21)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의 가장자리는 천장 외곽 프레임부(21)를 따라 위치한다.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는 제1 차단부(22)의 그물망과 제2 차단부(23)의 멤브레인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차광부재(33)는 햇빛 차단을 위해 색상을 가지질 수 있다. 예컨대 차광부재(33)는 햇빛 반사 효율이 우수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처짐 방지부재(34)는 그물망(32)의 아래에 위치하여 그물망(32)을 지지하여 그물망(32)이 플레이 공간(1a)으로 처지지 않도록 한다. 처짐 방지부재(34)는 천장 외곽 프레임부(21)의 내측에서 종, 횡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처짐 방지부재(34)는 천장부(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한편, 천장부(30)는 천장 설치 와이어(35) 및 연결부재(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장 설치 와이어(35)는 천장부(30)의 폭 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천장 외곽 프레임부(21)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천장 설치 와이어(35)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연결부재(36)는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천장 설치 와이어(35)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36)는 천장 설치 와이어(35)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에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는 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걷히어 천장부(30)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는 다목적 구장(1)의 좌우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중앙 부분이 분할되어 있다.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의 분할된 부분에는 이동바(37)가 연결되어 있다. 이동바(37)의 단부는 천장 외곽 프레임부(21)에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동바(37)에는 모터, 풀리 따위의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이동바(37)는 천장 외곽 프레임부(21)를 따라 이동하여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를 치거나 걷을 수 있다.
그리고,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가 펼쳐져 이동바(37)가 천장부(30) 중앙에 위치할 때 서로 접한 이동바(37)를 고정하기 위해 이동바(37)에는 자석 따위의 결속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결속수단의 결속력에 의해 서로 접한 이동바(37)는 고정될 수 있다. 결속수단을 자석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는 이동바(37)의 이동에 따라 각각 펼쳐지거나 걷힐 수 있다. 그러나 그물망(32)은 처지고 차광부재(33)는 걷힐 수 있다.
차광부재(33)가 펼쳐진 상태에서 햇빛이 플레이 공간(1a)으로 유입되는 않으므로 여름철 바닥부(1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고, 슬라이딩 시 피부 화상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여름철 플레이어의 경기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부(10)의 파일사, 충진재 등이 햇빛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면서 공 구름성, 공 반발력이 저하되어 경기력 등에도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해 통상 잔디모듈의 교체가 이루어져야만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차광부재(33)가 햇빛을 차단함으로써 파일사가 햇빛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파일사의 수명이 연장되므로 잔디모듈의 교체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플레이 공간(1a)에서 배드민턴, 배구 등과 같이 공중볼이 발생하는 경기가 진행되는 경우 그물망(32)과 차광부재(33)는 걷히어 경기를 방해하지 않는다. 아울러, 처짐 방지부재(34) 또한 천장부(30)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외측에 위치하므로 공중볼에 간섭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구장(1)은 네트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네트부(40)는 플레이 공간(1a)에 위치하여 플레이 공간(1a)에서 진행되는 경기 종목에 맞게 설치된다. 네트부(40)는, 천장부(30)와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 및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을 연결하는 네트(45)를 포함한다.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단이 힌지부재(43)로 처짐 방지부재(34)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재(43)를 기준으로 펼쳐진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은 처짐 방지부재(34)와 수직한 한 상태를 이루며 하단은 바닥부(10)와 접하여 고정된다.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은 텔레스코픽(telescopic)을 포함하여 그 길이가 가변 될 수 있다.
네트(45)는 펼쳐진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 사이에 위치하여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 사이에 설치된다. 네트(45)는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경기 종료 후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은 힌지부재(43)를 기준으로 접힌다. 이때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은 처짐 방지부재(34)와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이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네트 프레임(44a, 44b)은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로 처짐 방지부재(34)에 결속될 수 있다.
한편, 네트부(40)는 펜스부(20)에 네트고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네트가 네트고리에 결속되어 설치될 수 있다. 네트는 경기 종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부(40)는 펜스부(20) 또는 천장부(30)에 설치되지 않고 이동형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네트가 결합되어 플레이 공간(1a)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바닥부(10)에는 이동형 프레임이 고정되는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부(30) 또는 펜스부(20)에는 농구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농구공의 드리블(dribble)을 위해 농구대 주변의 바닥부는 잔디모듈을 생략하고 우레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 도 9에서 네트부(40)를 1개 도시하였다. 그러나 다목적 구장(1)의 넓이에 따라 네트부(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구장(1)은 분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분무부(50)는 유체 공급부(51) 및 노즐부(52)를 포함한다. 분무부(50)는 플레이 공간(1a)으로 유체를 분무하여 미세먼지 제거, 여름철 온도 저감, 정전기 등을 방지한다.
노즐부(52)는 펜스부(20) 및 천장부(30)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노즐부(52)는 내부가 빈 파이프를 포함하며 파이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분사홀이 형성되어 있다.
유체 공급부(51)는 펌프, 유체 저장부 등을 포함하며 노즐부(52)로 유체를 공급하여 분사홀에서 플레이 공간(1a)으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구장(1)은 정전기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지부(60)는 바닥부(10)에 배치된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격자부재(61), 그리고 격자부재(61)와 펜스부(20)를 연결하는 바닥 접지부(62)를 포함한다. 격자부재(61)는 바닥부(10)의 기포층(111)과 패드(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닥 접지부(62)는 조명등과 접지될 수 있다. 격자부재(61)와 바닥 접지부(62)에 의해 잔디모듈(11)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잔디모듈(11)은 도전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사는 수지에 카본을 고농도로 혼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도전사는 수지에 구리(Cu)를 첨가하여 만들 수 있다. 도전사는 제1 파일부(112)와 함께 기포층(111)에 터프팅되어 있다. 도전사는 펜스부와 접지될 수 있다.
한편, 펜스부(20)는 출입구(25)(도 1 참조)를 갖는다. 출입구(25) 주변의 바닥부(10)에는 동판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출입구(25) 출입 시 접촉 빈도가 높은 출입구(25)의 틀과 동판부재는 출입 접지부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출입구(25)에서의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다목적 구장 1a: 플레이 공간
10: 바닥부 11: 잔디모듈
111: 기포층 112: 제1 파일부
112a: 속파일사 112b: 걷파일사
113: 제2 파일부 113a: 라인
12: 패드 12a: 배수로
12b: 저장공간 13: 덮개
20: 펜스부 21: 프레임부
211: 수직 프레임 212: 수평 프레임
22: 제1 차단부 32, 221: 그물망
223: 지지부재 23: 제2 차단부
231: 멤브레인 232: 설치 와이어
233: 연결링 24: 쿠션부
25: 출입구 30: 천장부
31: 천장 외곽 프레임 32: 그물망
33: 차광부재 34: 처짐 방지부재
35: 천장 설치 와이어 36: 연결부재
37: 이동바 40: 네트부
43: 힌지부재 44a, 44b: 한 쌍의 네트 프레임
45: 네트 50: 분무부
51: 유체 공급부 52: 노즐부
60: 정전기 방지부 61: 격자부재
62: 바닥 접지부
10: 바닥부 11: 잔디모듈
111: 기포층 112: 제1 파일부
112a: 속파일사 112b: 걷파일사
113: 제2 파일부 113a: 라인
12: 패드 12a: 배수로
12b: 저장공간 13: 덮개
20: 펜스부 21: 프레임부
211: 수직 프레임 212: 수평 프레임
22: 제1 차단부 32, 221: 그물망
223: 지지부재 23: 제2 차단부
231: 멤브레인 232: 설치 와이어
233: 연결링 24: 쿠션부
25: 출입구 30: 천장부
31: 천장 외곽 프레임 32: 그물망
33: 차광부재 34: 처짐 방지부재
35: 천장 설치 와이어 36: 연결부재
37: 이동바 40: 네트부
43: 힌지부재 44a, 44b: 한 쌍의 네트 프레임
45: 네트 50: 분무부
51: 유체 공급부 52: 노즐부
60: 정전기 방지부 61: 격자부재
62: 바닥 접지부
Claims (21)
- 지면에 놓이며 우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패드와, 상기 저장공간으로 규사, 탄성칩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저장공간을 덮는 덮개 및 패드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진 라인들이 형성된 잔디모듈을 포함하며, 플레이 공간을 이루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차단부와, 상기 제1 차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걷힐 수 있는 제2 차단부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고 있는 수평 프레임 및 상기 바닥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이웃한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는 쿠션부를 포함하며, 출입구가 형성된 펜스부;
상기 플레이 공간의 천장을 이루며 걷을 수 있게 상기 펜스부와 연결되어 있는 천장부;
상기 플레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플레이 공간에서 진행되는 경기 종목에 따라 설치되는 네트부;
상기 펜스부 및 상기 천장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 공간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분무부; 및
상기 바닥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잔디모듈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줄이는 정전기 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차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이웃한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설치 와이어; 상기 제1 차단부와 마주하고 상기 한 쌍의 설치 와이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설치 와이어를 따라 설치되고 걷힐 수 있는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과 상기 한 쌍의 설치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링을 포함하며,
상기 천장부는, 상기 펜스부의 상단을 따라 설치된 천장 외곽 프레임부와,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의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천장 설치 와이어와, 상기 천장 설치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를 덮고 있는 그물망과, 상기 천장 설치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그물망을 덮고 있는 차광부재와, 상기 그물망 및 상기 차광부재의 외곽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천장 설치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천장 설치 와이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연결부재 및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그물망 및 상기 차광부재를 각각 지지하는 처짐 방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처짐 방지부재는,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종, 횡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천장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중앙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아 상기 그물망과 상기 차광부재가 걷히며 공중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네트부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길이가 가변 될 수 있고 상단이 힌지부재로 상기 처짐 방지부재에 접힐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재를 기준으로 펼쳐져 상기 처짐 방지부재와 수직한 한 상태를 이루며 하단이 상기 바닥부와 접하여 고정되는 한 쌍의 네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네트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 상의 네트 프레임에서 분리될 수 있는 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그물망과 상기 차광부재는 다목적 구장의 좌우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중앙 부분이 분할되어 있고, 상기 그물망과 상기 차광부재의 분할된 부분에는 이동바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바의 단부는 상기 천장 외곽 프레임부에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상기 그물망과 상기 차광부재를 치거나 걷는
다목적 구장. - 제1항에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라인들이 형성되어 있는 잔디모듈을 포함하는 다목적 구장. - 제2항에서,
상기 잔디모듈은,
제1 파일부,
상기 라인들을 형성하는 제2 파일부 및
상기 제1 파일부와 상기 제2 파일부가 터프팅된 기포층
을 포함하며,
상기 라인들을 형성하는 제2 파일부는 라인마다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파일부와 상기 제2 파일부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파일부의 길이는 상기 기포층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파일부의 길이와 같거나 짧은
다목적 구장.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제1 차단부는 그물망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차단부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다목적 구장. - 제5항에서,
상기 그물망 또는 상기 멤브레인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불화 비닐 수지(polyvinyl fluoride; PVF), 이소불화비닐(Poly Vinyldien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EF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다목적 구장 - 제1항에서,
상기 제1 차단부는,
이웃한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에 고정된 그물망, 그리고
상기 그물망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그물망을 지지하고 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연결된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다목적 구장.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의 간격은 4m 내지 6m인 다목적 구장.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그물망 또는 상기 차광부재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불화 비닐 수지(polyvinyl fluoride; PVF), 이소불화비닐(Poly Vinyldienfluoride;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PEF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다목적 구장.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상기 바닥부에 배치된 격자부재, 그리고
상기 격자부재와 상기 펜스부를 연결하는 바닥 접지부
를 포함하는
다목적 구장. - 제18항에서,
상기 격자부재는 스테인리스 또는 동을 포함하는 다목적 구장. - 제18항에서,
상기 정전기 방지부는,
상기 출입구의 주변 바닥부에 배치된 동판부재, 그리고
상기 동판부재와 상기 출입구의 틀을 연결하는 출입 접지부
를 더 포함하는
다목적 구장. - 제1항에서,
상기 바닥부는 도전사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사는 상기 펜스부와 연결된 다목적 구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102A KR102096539B1 (ko) | 2019-06-13 | 2019-06-13 | 다목적 구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102A KR102096539B1 (ko) | 2019-06-13 | 2019-06-13 | 다목적 구장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6539B1 true KR102096539B1 (ko) | 2020-04-03 |
Family
ID=7028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0102A KR102096539B1 (ko) | 2019-06-13 | 2019-06-13 | 다목적 구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653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6823B1 (ko) * | 2021-10-22 | 2022-02-25 | 정현우 | 이동형 접이식 드론 축구 경기장 |
US20220127868A1 (en) * | 2020-10-23 | 2022-04-28 | Byoungkoo CHO | Multi-sport center with cooling and heating system |
KR102487027B1 (ko) * | 2021-10-28 | 2023-01-10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식모 인조잔디 |
KR102620743B1 (ko) * | 2023-05-12 | 2024-01-05 | 주식회사 필드원 | 조립식 다기능 펜스 시스템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26346A (ja) * | 1998-10-28 | 2000-05-09 | Nobuo Takayama | ゲートボール競技用施設構造体 |
KR200242627Y1 (ko) | 2001-05-09 | 2001-10-15 | 안동기 | 미니 축구장 |
KR20080023799A (ko) | 2006-09-12 | 2008-03-17 | 김응석 | 조립식 축구장 |
KR100857817B1 (ko) * | 2007-07-26 | 2008-09-10 | 현대체육산업(주) | 공간 분할용 네트장치 |
KR20110043945A (ko) * | 2009-10-22 | 2011-04-28 | 이주엽 | 도전사를 이용한 정전기 방지타일 |
KR101034315B1 (ko) * | 2009-06-24 | 2011-05-16 | 정미숙 |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인조잔디 |
KR101119468B1 (ko) * | 2011-02-11 | 2012-02-22 | 김성민 | 인조잔디를 이용한 반영구적인 라인을 구비한 전천후 클레이코트 구축방법 |
KR101119676B1 (ko) * | 2009-07-10 | 2012-02-23 | 유지현 | 비닐하우스용 골조장치 |
CN202237179U (zh) * | 2011-09-23 | 2012-05-30 | 杭州格林康体科技有限公司 | 多用途笼式球场 |
KR101504151B1 (ko) * | 2014-03-07 | 2015-03-19 | 주식회사서륭 | 접지수단을 구비한 전자파 차폐 및 정전기 방지용 다층시트 |
KR20180077655A (ko) * | 2016-12-29 | 2018-07-09 | 이원재 |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
-
2019
- 2019-06-13 KR KR1020190070102A patent/KR1020965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26346A (ja) * | 1998-10-28 | 2000-05-09 | Nobuo Takayama | ゲートボール競技用施設構造体 |
KR200242627Y1 (ko) | 2001-05-09 | 2001-10-15 | 안동기 | 미니 축구장 |
KR20080023799A (ko) | 2006-09-12 | 2008-03-17 | 김응석 | 조립식 축구장 |
KR100857817B1 (ko) * | 2007-07-26 | 2008-09-10 | 현대체육산업(주) | 공간 분할용 네트장치 |
KR101034315B1 (ko) * | 2009-06-24 | 2011-05-16 | 정미숙 |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인조잔디 |
KR101119676B1 (ko) * | 2009-07-10 | 2012-02-23 | 유지현 | 비닐하우스용 골조장치 |
KR20110043945A (ko) * | 2009-10-22 | 2011-04-28 | 이주엽 | 도전사를 이용한 정전기 방지타일 |
KR101119468B1 (ko) * | 2011-02-11 | 2012-02-22 | 김성민 | 인조잔디를 이용한 반영구적인 라인을 구비한 전천후 클레이코트 구축방법 |
CN202237179U (zh) * | 2011-09-23 | 2012-05-30 | 杭州格林康体科技有限公司 | 多用途笼式球场 |
KR101504151B1 (ko) * | 2014-03-07 | 2015-03-19 | 주식회사서륭 | 접지수단을 구비한 전자파 차폐 및 정전기 방지용 다층시트 |
KR20180077655A (ko) * | 2016-12-29 | 2018-07-09 | 이원재 |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27868A1 (en) * | 2020-10-23 | 2022-04-28 | Byoungkoo CHO | Multi-sport center with cooling and heating system |
KR102366823B1 (ko) * | 2021-10-22 | 2022-02-25 | 정현우 | 이동형 접이식 드론 축구 경기장 |
KR102487027B1 (ko) * | 2021-10-28 | 2023-01-10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식모 인조잔디 |
KR102620743B1 (ko) * | 2023-05-12 | 2024-01-05 | 주식회사 필드원 | 조립식 다기능 펜스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6539B1 (ko) | 다목적 구장 | |
US7731594B1 (en) | Concave martial arts platform with inclined constraint net | |
US5103600A (en) | Multi-purpose stadium | |
US7793397B2 (en) | Multi-purpose portable lay-down post and fencing system | |
KR20110101634A (ko) | 롤러형 방호 울타리 | |
CA2922675A1 (en) | Golf practice tent | |
JPH11511215A (ja) | 多機能ビルディング | |
US4969651A (en) | Flexible projectile arresting device | |
US4948129A (en) | Apparatus for entrapping errant tennis balls | |
KR102721201B1 (ko) | 잔디 보호용 이중매트 | |
KR102223179B1 (ko) | 이동식 운동용 네트장치 | |
KR20060100859A (ko) | 바람 차단구조, 스포츠 구조물의 바람 차단구조, 햇빛 및바람 차단구조물 | |
CN207071212U (zh) | 快装式多功能笼式围栏 | |
KR200341499Y1 (ko) | 실외골프연습장 겸용 운동장시설 | |
KR200162576Y1 (ko) | 다용도 운동구장 | |
KR102571802B1 (ko) |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블록 | |
US20240252906A1 (en) | Retractable backstop assembly for a sport structure | |
KR100464614B1 (ko) | 개인용 골프연습장 | |
KR102617097B1 (ko) | 지중 매립형 자동 경기장 폴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경기장 시스템 | |
US11202948B2 (en) | Vertically deployed sports goal | |
KR200324659Y1 (ko) | 햇빛 가리개 | |
US20240082672A1 (en) | Vertically deployed sports goal | |
JP3178600U (ja) | 防塵用緑化フェンス | |
JP2012120598A (ja) | トライフットボール競技場 | |
JP2566025B2 (ja) | 移動観客席を備える競技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