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027B1 - 식모 인조잔디 - Google Patents

식모 인조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027B1
KR102487027B1 KR1020210146101A KR20210146101A KR102487027B1 KR 102487027 B1 KR102487027 B1 KR 102487027B1 KR 1020210146101 A KR1020210146101 A KR 1020210146101A KR 20210146101 A KR20210146101 A KR 20210146101A KR 102487027 B1 KR102487027 B1 KR 10248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ed
substrate
artificial turf
hair transpla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태
권영훈
배기태
황세준
조광수
노현석
정은선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20Industrial for civil engineering, e.g. geotextiles
    • D10B2505/202Artificial gr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모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식모홈, 복수의 배수홀 및 복수의 분무홀이 형성되어 있는 식모기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식모홈에 각각 식모되어 상기 식모기판의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파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파일부는 각각, 복수의 장파일, 상기 식모기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장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단파일 및 양단이 끊어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식모기판을 관통하여 양단이 서로 결속되어 있고 상기 장파일과 상기 단파일을 결합하여 하단이 상기 식모홈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장파일과 상기 단파일은 6:4 또는 7:3 비율로 식모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모 인조잔디{ARTIFICIAL TURF OF PLANTING}
본 발명은 식모 인조잔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의 대용품으로써 관리가 손쉬워 운동장, 스포츠 구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조잔디는 시공하는 데 많은 인력 소모와 더불어 장시간의 시간이 소요되며, 사용 년 한이 증가할수록 극심한 마모가 발생하여 선택적으로 보수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인조잔디의 파일은 경기자에 의해 압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서 눕게 되면서 직립성을 잃게 된다. 누운 파일에 의해 볼 구름성이 저해될 수 있다. 이에 파일이 누운 부분의 인조잔디 원단 부분을 분리 재단하여 새로운 인조잔디 원단으로 갈아 넣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인조잔디 운동장의 온도는 천연잔디 운동장의 온도에 비해 높고, 태양열을 흡수한다. 이러한 인조잔디에서 슬라이딩을 하면 마찰열이 더해져 피부화상을 입게 되고, 고온현상에 의해 피로감이 증가하여 사용감이 좋지 못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0404호 (2017.08.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6298호 (2020.03.27.)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직립성이 우수하고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식모 인조잔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는 복수의 식모홈, 복수의 배수홀 및 복수의 분무홀이 형성되어 있는 식모기판,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식모홈에 각각 식모되어 상기 식모기판의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파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파일부는 각각, 복수의 장파일, 상기 식모기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장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단파일 및 양단이 끊어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식모기판을 관통하여 양단이 서로 결속되어 있고 상기 장파일과 상기 단파일을 결합하여 하단이 상기 식모홈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파일과 상기 단파일은 1:0.4 내지 0.7 비율로 식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무홀은 각각, 3㎜ 내지 5㎜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모 인조잔디는 상기 분무홀을 분할하고 있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모기판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 ne resin), 나이론(Nylo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목재(Woo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식모홈의 지름은 4㎜ 내지 8㎜이고, 이웃한 식모홈의 중심간 거리는 10㎜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식모 인조잔디는 받침배수홀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모기판을 지지하고 있는 받침부재,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에 배치되어 상기 분무홀과 연결된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이 배치된 받침부재의 중앙 부분과 상기 받침배수홀이 형성된 받침부재의 외측 부분은 격벽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의 중앙에는 배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식모배수홀이 상기 식모홈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식모배수홀을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본체의 상면을 기준으로 단파일의 길이는 단파일의 길이보다 짧다. 파일부를 밟았을 때 단파일이 장파일은 지지하고 있어 장파일은 주저 앉지 않는다. 이에 장파일의 직립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본체가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분리가능한 기판본체에 의해 식모 인조잔디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무홀을 통해 유체가 파일부로 분무되므로 파일부의 표면 온도는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에 고온현상에 의해 경기자에게 가해지는 피로감이 최소화되어 플레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모 인조잔디의 우수가 배수홀과 식모배수홀을 통해 지면으로 배수되므로 배수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이에 경기자의 경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부재가 장파일과 단파일의 하단을 묶음한 상태에서 식모홈에서 양단이 식모홈의 바닥을 통해 기판본체의 내부에 삽입된다. 결속부재의 양단이 기판본체의 내부로 삽입될수록 장파일과 단파일의 하단에 압력이 가해져 장파일과 단파일의 하단은 식모홈의 바닥에 밀착된다. 이에 장파일과 단판일의 인발강도가 높아져 식모홈에서 빠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을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을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1의 C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의 식모기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D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의 식모기판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을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을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1)는 식모기판(10), 그리고 파일부(20)를 포함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직립성이 우수하며 온도저감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1)는 받침부재(40), 그리고 배관(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모기판(10)은 기판본체(11)와 조립부(13)를 포함하며 식모 인조잔디(1)의 베이스 기능을 할 수 있다.
기판본체(1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식모 인조잔디(1)의 시공면에 놓여 서로 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기판본체(11)의 상면에는 식모홈(111), 배수홀(112) 및 분무홀(113)이 형성되어 있다.
식모홈(111)은 기판본체(11)의 상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식모홈(111)의 깊이는 기판본체(11) 두께의 1/2 또는 2/3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식모홈(111)의 깊이는 식모 인조잔디(1)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식모홈(111)은 기판본체(11)의 상면에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식모홈(111)의 지름은 4㎜ 내지 8㎜일 수 있다. 식모홈(111)의 지름은 6㎜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웃한 식모홈(111)의 중심간의 거리는 10㎜ 내지 15㎜일 수 있다. 이웃한 식모홈(111)의 중심간의 거리는 12.5㎜일 수도 있다. 식모홈(111)의 지름을 4㎜ 미만으로 형성하고 중심간 거리를 15㎜ 초과하여 형성하면 단위 면적당 파일부의 개수 감소로 인조잔디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식모홈(111)의 지름을 8㎜ 초과하여 형성하고 중심간 거리를 10㎜ 미만으로 형성하면 단위 면적당 파일부의 개수 증가로 중량이 증가하여 이송 및 제조에 따른 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배수홀(112)은 이웃한 식모홈(111)의 사이의 기판본체(11)를 상하 관통하고 있다. 배수홀(112)의 지름은 식모홈(111)의 지름보다 크다. 그러나 배수홀(112)의 지름은 식모홈(111)의 지름과 같거나 작을 수도 있다. 우수, 살수 따위의 유체는 배수홀(112)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배수홀(112)은 X축과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배수홀(112)에는 충진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는 부직포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분무홀(113)은 기판본체(11)를 상하 관통하고 있다. 분무홀(113)의 지름은 3㎜ 내지 5㎜일 수 있다. 분무홀(113)의 지름은 4㎜일 수 있다. 분무홀(113)에는 복수의 리브(12)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2)는 분무홀(113)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분무홀(113)을 복수의 홀로 분할하고 있다. 분할된 각 홀의 지름은 공지의 탄성칩, 규사 따위의 충진재의 지름보다 작다. 이에 규사, 탄성칩 따위의 충진재가 분무홀(113)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분무홀(113)이 충진재의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분무홀(113)은 기판본체(11)의 X축 방향의 중앙에서 Y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분무홀(113)은 기판본체(11)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중심에서 40㎜ 내지 80㎜ 폭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분무홀(113)이 형성된 폭 범위는 기판본체(11)의 전체적인 넓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조립부(13)는 결합돌기(131) 및 결합홈(132)을 포함하며 시공면에서 배열된 이웃한 기판본체(11)들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한다.
기판본체(11)를 평면에서 본 모양을 직사각형으로 했을 때 결합돌기(131)는 기판본체(11)의 외부 둘레에서 서로 연결된 제1 면과 제2 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기판본체(11)의 외부 둘레에서 서로 연결된 제3 면과 제 4면에는 결합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홈(132)의 형상은 결합돌기(131)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기판본체(11)가 이웃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면과 제 4면은 접하고 결합돌기(131)가 결합홈(132)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이웃한 기판본체(11)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기판본체(1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식모 인조잔디(1)의 시공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이와 같은 식모기판(10)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 ne resin), 나이론(Nylo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목재(Woo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식모기판(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파일부(20)는 파일사(복수의 장파일(21), 복수의 단파일(22)) 및 결속부재(23)를 포함하며 식모홈(111)에 식모되어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은 하단이 결속부재(23)로 묶음되어 식모홈(111)에 삽입되어 있으며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단파일(22)의 길이는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장파일(21)의 길이가 짧다.
장파일(21)이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돌출된 길이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장파일(21)의 돌출 길이를 30㎜ 미만으로 형성하면 천연 잔디 묘사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60㎜ 초과하여 형성하면 장파일(21)의 직립성이 저하되어 단파일(22)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단파일(22)은 장파일(21)을 지지하여 장파일(21)이 눕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장파일(21)의 직립성이 향상되어 경기자의 플레이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길이 비율은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1:0.4 내지 0.7일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길이 비율은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6:4 또는 7:3일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길이 비율은 식모 인조잔디(1)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나일론-6(Nylon-6)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식모 인조잔디(1)가 시공 현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섬도는 5,000 ~ 16,000 Denier일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섬도를 5,000 Denier 미만으로 형성하면 충격 흡수성이 기준 값을 충족할 수 없으며 직립안전성과 압축회복 변화율이 저하될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섬도를 16,000 Denier 초과하여 형성하면 원사 선정 및 생산성에 한계가 있으며 식모 작업이 저하될 수 있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횡방향 단면 모양은 마름모, 타원형, 1-Ball, 원형, V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장파일(21)과 단파일(22)은 단면 모양이 다른 상태에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면 모양이 마름모형, 타원형인 장파일(21)과 단파일(22)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므로 직립성이 향상되는 특성이 있다.
단면 모양이 원형인 장파일(21)과 단파일(22)은 단면적 변화가 없어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단면 모양이 V형인 장파일(21)과 단파일(22)은 중앙에서 대칭으로 구부러졌 있어 복원력과 반발력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단면 모양이 1-Ball인 장파일(21)과 단파일(22)은 길이 방향 중앙에서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돌출된 돌기에 의해 중앙 부분이 보강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위와 같은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단면 모양을 마름모, 타원형, 1-Ball, 원형, V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식모 인조잔디(1)의 설계 및 시공되는 현장의 특성에 따라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단면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속부재(23)는 결속부재(23)는 양단이 끊어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 부분이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하단을 묶음하고 있다. 결속부재(23)는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하단과 함께 식모홈(111)에 삽입되어 있다. 결속부재(23)의 양단은 식모홈(111)의 바닥에서 기판본체(11)의 내부로 삽입되어 교차하고 있다. 결속부재(23)의 교차 부분은 서로 접하거나 떨어져 있을 수 있다. 결속부재(23)의 양단은 기판본체(11)의 내부를 상하 관통하지 않는다.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하단은 결속부재(23)의 양단이 기판본체(1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결속부재(23)로부터 압력을 받아 식모홈(111)의 바닥에 밀착된다. 이에 장파일(21)과 단파일(22)은 인발강도가 높아져 식모홈(111)에서 빠지지 않는다.
결속부재(23)는 금속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외부 둘레에 대전방지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결속부재(23)는 대전방지 효과를 위해 금속 도전사 또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섬유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금속 도전사는 스테인리스 스틸사로 내식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저온강도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받침부재(40)는 기판본체(11)와 같은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대(40)의 외부 둘레 결합돌기와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조립부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부는 도면 도 2의 조립부(13)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받침부재(40)는 기판본체(11)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무홀(113)과 마주하는 중앙 부분의 상면에는 배관홈(42)이 형성되어 있다. 배수홀(112)과 마주하는 받침부재(40)의 부분에는 받침배수홀(43)이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배관홈(42)은 받침부재(40)의 상면에서 돌출된 격벽(41)에 의해 형성된다. 격벽(41)에 의해 배관홈(42)은 받침배수홀(43)이 형성된 받침부재(40)의 외측 부분과 구획되어 있다.
격벽(41)은 받침부재(4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기판본체(11)의 가장자리와 접할 수 있다. 배관홈(42)을 이루고 있는 중앙의 격벽과 가장자리에 위치한 격벽은 기판본체(11)의 하면과 접하여 기판본체(11)를 지지하고 있다. 격벽(41)의 상면과 기판본체(11)의 하면 사이에는 기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기밀부재는 우수의 유동을 차단한다.
받침부재(40)는 기판본체(11)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받침부재(40)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배관(30)은 배관홈(42)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유체가 내부를 유동할 수 있다. 배관(30)에는 유체 분사를 위한 노즐(31)이 형성되어 있다. 분사된 유체는 배관홈(42)에서 분무홀(113)로 유입되어 기판본체(11)의 상면으로 분무될 수 있다. 분무되는 유체에 의해 식모 인조잔디(1)의 표면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한편, 노즐(31)은 배관(30)에서 돌출되어 기판본체(11)의 하면에서 분무홀(113)로 삽입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관(30)에서 분무홀(113)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홀(112)을 통해 배수된 유체는 받침부재(40)로 유입되어 받침배수홀(43)을 통해 지면으로 배수된다. 이때 배수되는 우수 중에 충진재가 포함될 수 있다. 우수와 충진재는 격벽(41)에 의해 배관홈(42)으로 유입되지 않고 받침배수홀(43)을 통해 지면으로 배수될 수 있다.
도면 도 5에서 배관홈(42)과 배관(30)을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배관홈(42)과 배관(30)의 형상은 식모 인조잔디(1)의 설계에 따라 원형, 타원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험예 1]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길이비와 결속부재(23)의 결속 구조에 따른 직립안정성과 인발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 식모홈(111), 배수홀(112) 및 분무홀(113)이 복수 형성된 기판본체(11)에 파일부(20)를 식모하였다. 결속부재(23)로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하단을 묶음하여 식모홈(111)에 삽입하였다. 결속부재(23)의 양단은 식모홈(111)의 바닥에서 기판본체(11)를 관통하여 기판본체(11)의 하면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트위스트 형태로 밴딩하였다. 결속부재(23)는 역 삼각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밴딩으로 역 삼각 부분은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하단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 그리고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길이비를 6:4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길이비를 7:3으로 하였으며 결속부재(23)를 역 삼각 형태로 기판본체(11)에 밴딩하여 장파일(21)과 단파일(22)을 기판본체(11)에 결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하단을 묶음하고 있는 결속부재(23)의 양단이 식모홈(111)에서 기판본체(11)를 관통한 상태에서 기판본체(11)의 하면에서 양단이 내측 구부러져 디귿 모양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즉, 비교예 1에 따른 결속부재의 양단은 트위스트 밴딩 되어 있지 않고 구부러져 서로 떨어져 있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길이비를 6:5로 하였으며 결속부재(23)를 역 삼각 형태로 기판본체(11)에 결합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기판본체(11)의 상면을 기준으로 장파일(21)과 단파일(22)의 길이비를 8:2로 하였으며 결속부재(23)를 역 삼각 형태로 기판본체(11)에 결합하였다.
[실험방법]
직립안정성은 완제품 위에 발을 올려 놓았을 때 발이 쏠리거나 파일사가 주저 앉는 등의 느낌을 감성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인발강도는 KS F 3888-1에 의거해서 평가하였다.
구 분 직립안정성 인발강도 (N)
실시예 1 양호 120
실시예 2 양호 123
비교예 1 양호 90
비교예 2 미흡 122
비교예 3 미흡 118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식모 인조잔디는 직립안정성 및 인발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내지 3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직립안정성이 양호하고 인발강도가 120N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의 경우 123N으로 가장 우수한 인발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식모 인조잔디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의 식모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식모 인조잔디(1)는, 위에서 설명한 모든 구성 요소를 그대로 포함하면서 식모홈(111)의 바닥에 식모배수홀(11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기판본체(11)에 배수홀(112)과 더불어 식모배수홀(111a)이 더 형성되어 있다. 식모배수홀(111a)의 지름은 식모홈(111)과 배수홀(112)의 지름보다 작다.
식모배수홀(111a)은 식모홈(111)의 바닥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식모배수홀(111a)은 식모홈(111)의 바닥에서 기판본체(11)를 상하 관통하여 하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식모홈(111)으로 유입된 유체는 식모배수홀(111a)을 통해 받침부재(40)로 배수될 수 있다. 살수, 우수 따위가 식모배수홀(111a), 배수홀(112)을 통해 받침부재(40)로 배수되고, 받침배수홀(43)을 통해 배수되므로 식모 인조잔디(1)의 배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결속부재(23)의 양단부는 식모배수홀(111a)을 관통하여 기판본체(11)의 하면으로 노출되어 트위스트 형태로 밴딩될 수 있다. 결속부재(23)의 단부가 식모배수홀(111a)을 관통하므로 결속부재(23)의 결합에 따른 작업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식모 인조잔디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모 인조잔디의 식모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배수홀(112)을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이에 배수홀의 생략으로 이웃한 식모홈(111)의 사이의 기판본체(11) 부분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식모 인조잔디 10: 식모기판
11: 기판본체 111: 식모홈
111a: 식모배수홀 112: 배수홀
113: 분무홀 12: 리브
13: 조립부 131: 결합돌기
132: 결합홈 20: 파일부
21: 장파일 22: 단파일
23: 결속부재 30: 배관
31: 노즐 40: 받침부재
41: 격벽 42: 배관홈
43: 받침배수홀

Claims (6)

  1. 복수의 식모홈, 복수의 배수홀 및 복수의 분무홀이 형성되어 있고 시공면에 배열될 수 있는 복수의 식모기판,
    상기 복수의 식모홈에 각각 식모되어 상기 식모기판의 상부로 돌출된 복수의 파일부,
    받침배수홀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모기판을 지지하며 돌출된 격벽에 의해 배관홈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배관홈에 배치되어 있고 유체 분사를 위한 노즐이 상기 분무홀과 연결된 배관
    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식모기판은 각각,
    상기 식모홈, 상기 배수홀 및 상기 분무홀이 형성되어 있는 기판본체, 그리고
    상기 기판본체의 외부 둘레에 형성되어 이웃한 상기 기판본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립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일부는 각각,
    복수의 장파일,
    상기 식모기판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장파일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단파일 및
    양단이 끊어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식모기판을 관통하여 양단이 서로 결속되어 있고 상기 장파일과 상기 단파일을 결합하여 하단이 상기 식모홈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결속부재
    를 포함하는
    식모 인조잔디.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분무홀은 각각, 3㎜ 내지 5㎜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무홀을 분할하고 있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모 인조잔디.
  3. 제1항에서,
    상기 식모기판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 ne resin), 나이론(Nylo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목재(Woo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식모 인조잔디.
  4. 제1항에서,
    상기 식모홈의 지름은 4㎜ 내지 8㎜이고, 이웃한 식모홈의 중심간 거리는 10㎜ 내지 15㎜인 식모 인조잔디.
  5. 삭제
  6. 제1항에서,
    복수의 식모배수홀이 상기 식모홈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부재를 상기 식모배수홀을 관통하고 있는 식모 인조잔디.
KR1020210146101A 2021-10-28 2021-10-28 식모 인조잔디 KR10248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101A KR102487027B1 (ko) 2021-10-28 2021-10-28 식모 인조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101A KR102487027B1 (ko) 2021-10-28 2021-10-28 식모 인조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027B1 true KR102487027B1 (ko) 2023-01-10

Family

ID=8489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101A KR102487027B1 (ko) 2021-10-28 2021-10-28 식모 인조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5074B1 (ko) * 2023-12-14 2024-09-12 비아이랜드주식회사 항균성, 충격흡수성 및 배수성이 뛰어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361A (ko) * 2014-10-02 2016-04-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분무시스템이 구비된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70404B1 (ko) 2016-12-01 2017-09-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온도 저감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96298B1 (ko) 2019-06-10 2020-04-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층 섬유 충전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96539B1 (ko) * 2019-06-13 2020-04-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목적 구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361A (ko) * 2014-10-02 2016-04-14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분무시스템이 구비된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70404B1 (ko) 2016-12-01 2017-09-05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온도 저감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00917B1 (ko) *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96298B1 (ko) 2019-06-10 2020-04-02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층 섬유 충전층을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96539B1 (ko) * 2019-06-13 2020-04-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다목적 구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5074B1 (ko) * 2023-12-14 2024-09-12 비아이랜드주식회사 항균성, 충격흡수성 및 배수성이 뛰어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5248A (en) Sports playing surfaces with biodegradable backings
US6221445B1 (en) Composite artificial turf structure with shock absorption and drainage
US6305875B1 (en) Net of three-dimensional construction and vegetation method for surface of slope
US6616542B1 (en) Artificial putting system
US6295756B1 (en)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KR102487027B1 (ko) 식모 인조잔디
DE60030154T2 (de) Kunstrasen mit dämpfungsmaterial
ES2559354T3 (es) Césped mixto y proceso de producción
ES2913332T3 (es) Superficie de césped híbrido y soporte para la misma
US20140193593A1 (en) Artificial turf
EP3114282B1 (en) Mixed turf
JP4081118B2 (ja) 植物栽培具連結体及びその関連技術
JP2019078067A (ja) 芝生植栽構造
US6691455B1 (en) Sports playing surfaces with biodegradable backings
JP2007074970A (ja) 植栽基盤用トレイおよび植栽基盤材
RU2759933C1 (ru) Опорна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гибридного газона, содержащая слой каменной ваты,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такой структуры и биоразлагаемый ящик, содержащий такую структуру
KR102487024B1 (ko) 식모잔디 조립모듈
KR100930833B1 (ko) 식생매트
KR102340539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CN211036619U (zh) 一种人造仿真草坪及足球场草坪结构
WO1999056523A1 (en) Improved surface for sports and other uses
CN115003882B (zh) 具有贮水性的自冷却人造草皮系统
KR200185860Y1 (ko)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공질 콘크리트블록
KR100322869B1 (ko) 식생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다공질 콘크리트블록
CN206204734U (zh) 一种复合的人造草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