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539B1 -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 Google Patents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539B1
KR102340539B1 KR1020190140185A KR20190140185A KR102340539B1 KR 102340539 B1 KR102340539 B1 KR 102340539B1 KR 1020190140185 A KR1020190140185 A KR 1020190140185A KR 20190140185 A KR20190140185 A KR 20190140185A KR 102340539 B1 KR102340539 B1 KR 10234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brush
foam paper
coating agent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261A (ko
Inventor
김봉진
Original Assignee
김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진 filed Critical 김봉진
Priority to KR102019014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5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브러쉬가 구비된 기포지와, 기포지의 일면에 형성된 브러쉬의 내측에 고정되는 인조잔디와, 기포지의 인조잔디가 고정된 반대면에 도포되는 코팅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Unfilled Artificial Turf Assemblies Using Eco-Friendly Materials}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포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브러쉬가 인조잔디와 함께 충격을 흡수하며, 설치현장에서 펼쳐진 기포지 측에 투입되는 규사를 브러쉬 사이 사이에서 잡아주고, 기포지 및 그 기포지의 뒷면에 코팅되는 코팅제를 전체적으로 PE소재로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재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부드러운 PE소재로 인해 기포지에 인조잔디를 심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 잔디는 조경재료의 하나로서, 잔디의 형태를 갖추어 인공적으로 만든 잔디의 대용품이다.
운동 경기용 또는 조경용 천연잔디의 유지 비용은 고가이고, 천연잔디는 경기장의 그늘진 부위에서는 잘 자라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천연잔디에 격한 마찰과 충격을 주게 되면 그 부위는 마모되어진다.
또한, 천연잔디의 표면은 격한 사용에 의하여 질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노출된 표토에 물과 흙이 축적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인조잔디는 격하게 사용되는 운동 경기장의 유지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프로스포츠가 열리게 되는 경기장 표면이 보다 고른 표면이 되도록, 그리고 잔디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어 왔다.
인조잔디는 1966년 미국 텍사스주(州) 애스트러돔 실내야구장에 처음으로 채용된 이후, 축구장, 필드하키장, 각종 실내 인테리어 및 레저시설 등 전천후 시설로 각광 받고 있다.
한편, 인조잔디는 항상 푸르게 유지할 수 있고 환경조건의 제한을 받지 않고 시공 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계절감이 없고 잔디보다 질감이 다소 떨어지며 시간이 오래 경과하면 퇴색하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종래의 선행기술에 의하면, 지반 상에 침하 방지와 배수를 고려하여 기초층을 구축하고, 그 기초층의 상부에 시공되는 기포지에 심어진 인조잔디의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충격 흡수를 가능하도록 폐타이어 등을 작은 크기로 분쇄 또는 파쇄한 충진물을 일정한 높이로 투입하는 구조로 잔디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내구성이 약해 기포지와 인조잔디 간의 분리현상이 발생하며, 기포지와 인조잔디가 각각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반드시 분리 수거가 필요하고, 인조잔디 조립체가 잘 절단되지 않아 사용되는 기계의 마모를 발생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99206호(2017.01.17) KR 등록특허공보 제10-2000917호(2019.04.11)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의 목적은, 기포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브러쉬가 인조잔디와 함께 충격을 흡수하며, 설치현장에서 펼쳐진 기포지 측에 투입되는 규사를 브러쉬 사이 사이에서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의 다른 목적은, 기포지와 그 기포지의 뒷면에 코팅되는 코팅제를 전체적으로 PE소재로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재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의 다른 목적은, 부드러운 PE소재로 인해 기포지에 인조잔디를 심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는, 일정 면적을 가지며,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브러쉬가 구비된 기포지; 상기 기포지의 일면에 형성된 브러쉬의 내측에 고정되거나, 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브러쉬와 브러쉬 사이에 배치되는 인조잔디; 및 상기 기포지의 인조잔디가 고정된 반대면에 도포되는 코팅제; 를 포함하되, 상기 인조잔디의 배치구조는 PE재질로만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배치하는 단일 구조, 또는 PE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와 함께 PP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함께 배치하는 2중 구조, 또는 각각 PE재질과 PP재질 및 모노필라멘트 또는 피브릴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함께 배치하는 3중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포지와, 인조잔디 및 코팅제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포지의 인조잔디가 고정된 반대면에 형성되는 코팅제는 도포방식으로 코팅되되, 코팅제를 도포하는 방식은 스프레이 분사방식, 또는 열융착방식, 또는 여러번 나누어 덧칠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포지, 또는 코팅제, 또는 인조잔디의 조성물은, PE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LDPE 14.3~26.3중량부, LLDPE 52.4~68.4중량부, HDPE 14.3~26.3중량부, 12.3~21.3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안료,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어 첨가되되, 안료,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어 첨가되되, 상기 안료는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을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 첨가되며,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상기 조성물 1kg을 기준으로 5,000 내지 10,000 ppm이 첨가되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조성물 1kg을 기준으로 500 내지 1,000 ppm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기포지의 브러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상기 브러쉬의 배치구조는 일렬 구조, 또는 병렬 구조, 또는 S자 구조, 또는 지그재그 구조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되며, 상기 브러쉬는 내부에 인조잔디가 심어질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가지는 원형 돌기 형태를 이루면서 적어도 2~5개로 절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포지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조잔디를 고정하는 브러쉬의 내측에 투입되는 규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규사는 상기 브러쉬 내측에 인조잔디가 고정되고, 인조잔디가 구비된 반대면에 코팅제가 코팅되어 건조된 상태를 이룬 후, 작업 현장에 시공되는 과정에서 기포지가 펼쳐지도록 하여 투입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에 의하면, 기포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브러쉬가 인조잔디와 함께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뒷면(인조잔디가 심겨진 반대면)에 코팅제가 도포된 기포지를 설치현장에서 펼친 후, 기포지 브러쉬 측에 규사를 투입하되, 브러쉬 사이 사이에서 규사를 잡아줌으로써 규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브러쉬 밑동부분(바닥부)이 배수로 역할을 수행하여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인조잔디가 심겨진 기포지의 뒷면에 도포방식으로 코팅되는 코팅제를 PE소재로 이용함으로써 재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어, 부드러운 PE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기포지에 인조잔디를 심어 제작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기포지 및 인조자디를 동일한 재질로 마련함으로써 분리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침수후에도 기포지 및 인조잔디간의 인발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조잔디의 배치구조를 PE재질로만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배치하는 단일 구조, 또는 PE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와 함께 PP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함께 배치하는 2중 구조, 또는 각각 PE재질과 PP재질 및 모노필라멘트 또는 피브릴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함께 배치하는 3중 구조 등 다양하게 마련함으로써 설치 및 사용환경에 맞게 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브러쉬의 배치구조를 일렬, 병렬, S자, 지그재그 구조 등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특히 지그재그로 브러쉬를 배치할 경우 인조잔디가 사용기간이 경과하여도 어느 한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고 균일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선수들을 보호함과 아울러 공과 인조잔디 간의 마찰계수(미끄럼지수)를 최소화하여 스포츠 경기 중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의 패스를 예측할 수 있고,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잔디와 같은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면서도 인장강도, 내후성, 내마모성 및 직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를 제조 및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게재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첨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를 제조 및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100)는, 일면에 브러쉬(111)가 형성된 기포지(110)와, 인조잔디(artificial turf)(140)가 심어진 브러쉬(111) 내측에 투입되는 규사(120)와, 기포지(110)의 후면에 도포되는 코팅제(130)와, 브러쉬(111)의 내측에 고정되는 인조잔디(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기포지(110)는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며, 그 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브러쉬(111)가 마련된다.
이러한 기포지(110)의 브러쉬(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지(110)와 일체형을 이루며, 기포지(110)의 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포지(110)의 브러쉬(111)는 그 내부에 인조잔디(140)를 심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이 구비되며, 적어도 2~5개로 절개되어 방사상 외측으로 약간 벌어진 형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기포지(110)의 브러쉬(111)는 인조잔디(140)를 감싸거나, 내측에 규사(120)가 투입되는 조건을 충족한다면 5개 이상으로 절개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브러쉬(111)의 배치구조는 사용자의 요구, 경기장의 조건, 설치 및 시공 환경 등에 따라 일렬, 병렬, S자, 지그재그 구조 등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브러쉬(111)를 S자, 또는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할 경우 인조잔디가 사용기간이 경과하여도 어느 한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고 균일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선수들을 보호함과 아울러 공과 인조잔디 간의 마찰계수(미끄럼지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스포츠 경기 중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의 패스를 예측할 수 있고,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로 절개되어 외측으로 벌어진 기포지(110)의 브러쉬(111)는 일정한 텐션을 가지고, 후술하는 인조잔디(140)와 함께 충격을 흡수하여 인조잔디(140) 위에서 경기하는 선수(player)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포지(110)의 브러쉬(111) 하단부(밑동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관통된 배수로(112)를 형성하여 물(비 또는 겨울철에 눈이 녹아 생긴 물 등)을 배수시킬 수 있다.
한편, 기포지(110)의 브러쉬(111) 측에 배수로(11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브러쉬(111)들 하단부 사이(브러쉬와 브러쉬 밑동부분 사이)에서 배수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기포지(110), 기포지(1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쉬(111)는 부드러운 폴리에틸렌(PE)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규사(120)는 기포지(1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조잔디(140)를 고정하는 브러쉬(111)의 내측에 투입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규사(120)는, 브러쉬(111) 내측에 인조잔디(140)가 고정되고, 그 인조잔디(140)가 구비된 반대면에 코팅제(130)가 도포 및 코팅되어 건조된 상태를 이룬 후, 작업 현장에 시공되는 과정에서 기포지(110)가 펼쳐지도록 하여 브러쉬(111) 내측에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브러쉬(111) 내측에 투입된 규사(120)는 브러쉬(111)들 사이 사이에서 잡아주게 됨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규사(120)는 브러쉬(111) 내측에 심어져 고정되는 인조잔디(140)를 직립, 즉, 세우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팅제(130)는 기포지(110)의 인조잔디(140)가 고정된 반대면에 도포되는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코팅제(130)는, 브러쉬(1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기포지(110)와, 브러쉬(111) 내측에 고정되는 인조잔디(140)와 동일한 PE재질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코팅제(130)를 브러쉬(111)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기포지(110) 및 인조잔디(140)와 동일한 PE재질로 마련하면, 각각의 코팅제(130), 기포지(110) 및 인조잔디(140)를 분리하지 않고도 한번에 수거할 수 있어 재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포지(110), 또는 코팅제(130), 또는 인조잔디(140)에 동일 소재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은 제조방법에 따라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로 구분되는데,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밀도가 높고 강도가 세며, 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HDPE에 비하여 밀도가 낮고 강도가 약하지만 HDPE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LLDPE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LDPE과 밀도도 같고 부드럽지만 강도는 LDPE와 HDPE의 중간이며 폴리에틸렌은 전반적으로 유연성이 좋고 부품성의 특성인 벌키성(bulkiness)이 좋은 특징이 있다.
여기서, PE조성물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LDPE 14.3~26.3중량부, LLDPE 52.4~68.4중량부, HDPE 14.3~26.3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LLDPE는 LDPE와 같은 유연성과 벌키성을 지니면서도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HDPE는 LDPE에 비해 벌키성은 떨어지지만 강도가 제일 높으므로 각각의 물성을 고려하여 상기 조성비로 PE조성물을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PE조성물에는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제로 투입할 수 있다. 즉, PE조성물에 자외선 차단제를 투입함으로써 인조잔디가 옥외의 햇빛에 노출되었을 때 햇빛 속에 포함되는 자외선 성분이 인조잔디의 원재료를 광분해하여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PE조성물에 투입되는 자외선 차단제는 PE조성물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2.3~21.3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PE조성물에 투입되는 자외선차단제의 투입량은 작업현장 또는 설치환경에 따라 자외선 노출정도를 고려하여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기포지(110), 또는 코팅제(130), 또는 인조잔디(140)의 조성물은 상기의 구성외에, 안료,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중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되어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료는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을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 첨가되며,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상기 조성물 1kg을 기준으로 5,000 내지 10,000 ppm이 첨가되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조성물 1kg을 기준으로 500 내지 1,000 ppm이 첨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인조잔디용 원사에 필요한 조건은 내마모성, 자외선 안정성과 높은 인열강도, 압축 회복성 및 인성(Toughness)외에도 낮은 슬라이딩 저항성 등의 물리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감성 특성으로 천연잔디의 특성을 지니는 촉감 및 부드러움을 포함한다.
상기 안료는 천연잔디와 같은 색감 부여를 위해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 조사 시 원사 분해 촉진 물질인 아민의 생성이 방해되도록 하는 내후성 보강재 역할을 하며, 상기 설계된 비율로 이루어진 조성물1 kg을 기준으로 5,000 내지 10,000 ppm이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는 열에 의해 원사가 취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조성물1 kg을 기준으로 500 내지 1,000 ppm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계 수지는 원료 구성 이후 공정인 압출 또는 사출의 가공성 및 원사의 부드러운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인조잔디용 원료에 첨가되는 범위를 벗어날 경우 우수한 내구성 및 인열강도, 인성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에 있어서도 잔디에 요구되는 특성에서 크게 벗어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코팅제(130)를 기포지(110)의 인조잔디(140)가 고정된 반대면, 즉, 브러쉬(111)가 형성된 반대면에 도포하여 코팅함에 있어, 스프레이 분사방식, 또는 열융착 방식, 또는 여러번 나누어 덧칠하는 방식, 또는 일부를 스프레이 분사방식으로 도포하고 그 위에 시간차를 두고 덧칠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도포 및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140)는 기포지(110)의 일면에 형성된 브러쉬(111)의 내측에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인조잔디(140)는, 한 묶음의 필라멘트들(filaments) 또는 테이프 실들(tape yarns)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인조잔디(140)는, 기포지(110)의 브러쉬(111) 내측에 억지끼움 방식, 열융착 방식, 매듭방식 등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인조잔디(140)가 고정된 반대면에 PE재질의 코팅제(130)로 도포하여 브러쉬(111) 내측에 고정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인조잔디의 배치구조는 PE재질로만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배치하는 단일 구조, 또는 PE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와 함께 PP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함께 배치하는 2중 구조 중 어느 하나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각 PE재질과 PP재질 및 모노필라멘트 또는 피브릴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함께 배치하는 3중 구조 등 다양하게 마련함으로써 설치 및 사용환경에 맞게 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브릴레이트라 함은 고분자 필름으로 분자가 배향될 수 있도록 어느 정도까지 연신한 후, 일정 장력 하에서 꼬임을 부여해 실이나 트와인(twine)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찢거나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지니는 섬유의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피브릴레이트는, 필름의 가로폭을 10 내지 15 mm, 두께는 100 내지 150 ㎛로 압출하여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브릴레이트를 세로 방향으로 분리할 때 각 섬유당 폭은 0.5 내지 1.5 mm로 하며, 폭당 3 내지 7개의 컷(cut)으로, 길이 방향으로 2개의 반복단위로, 꼬임수는 30 내지 40 꼬임수/ inch인 피브릴레이트 형태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의 두께가 100 ㎛ 미만이고, 필름을 절개 시 각 피브릴레이트의 폭이 0.5 mm 미만인 경우, 인조잔디에 적용 직립성이 저하되며, 필름의 두께가 150 ㎛를 초과하고, 필름 절개 시 각 피부릴레이트의 폭이 1.5 mm를 초과하는 경우, 인조잔디의 촉감이 뻣뻣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투수특성 아스콘 베이스층 또는 쇄석지반 상부에 상기 피브릴레이트와 폴리아미드 소재의 200 내지 500의 범위의 모노 데니어 원사를 1:1 교호로 기포층에 파일을 30 내지 70 mm 로 터프팅법으로 형성시킨다. 상기 아스콘 베이스층 또는 쇄석지반 상부에 패드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일의 밀도는 가로 X 세로로 총 13,000 내지 22,000 개/m2를 터프팅하여 인조잔디를 완성시킨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브러쉬(111)가 일체로 형성된 기포지(110)를 준비(S1 단계)한 후, 그 기포지(110)에 형성된 브러쉬(111) 내측에 인조잔디(140)를 심어 고정하게 된다(S2 단계).
이와 같이, 인조잔디(140)가 기포지(110)의 브러쉬(111) 측에 고정되면, 기포지(110)를 뒤집어 PE재질로 이루어진 코팅제(130)를 도포하여 코팅을 수행하게 된다(S3 단계).
이때, 코팅제(130)를 도포하여 코팅을 수행함에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분사방식, 또는 여러번 나누어 덧칠하는 방식, 또는 일부를 스프레이 분사방식으로 도포하고 그 위에 시간차를 두고 덧칠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도포 및 코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코팅제(130)를 도포하여 코팅이 이루어지면, 일정 시간동안 코팅제(130)를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 단계)
그리고, 코팅제(130)가 건조된 기포지(110)를 설치 현장으로 이동시켜 시공과정에서 펼친 후, 기포지(110)의 브러쉬(111) 측에 규사(120)를 투입하여 인조잔디(140)가 직립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5 단계).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110 : 기포지,
111 : 브러쉬,
112 : 배수로,
120 : 규사,
130 : 코팅제,
140 : 인조잔디.

Claims (5)

  1. 삭제
  2. 일정 면적을 가지며,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배치된 원형 돌기 형태의 브러쉬가 구비된 기포지;
    상기 기포지의 일면에 형성된 브러쉬의 내측에 고정되거나, 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브러쉬와 브러쉬 사이에 배치되는 인조잔디;
    상기 기포지의 인조잔디가 고정된 반대면에 도포되며, 기포지(110) 및 인조잔디(140)와 동일한 PE재질로 이루어지는 코팅제; 및
    상기 기포지(110)의 브러쉬(111)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하 관통된 구조를 이루는 배수로(112);
    를 포함하되,
    상기 기포지와, 인조잔디 및 코팅제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조잔디의 배치구조는 PE재질로만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배치하는 단일 구조, 또는 PE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와 함께 PP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함께 배치하는 2중 구조, 또는 각각 PE재질과 PP재질 및 모노필라멘트 또는 피브릴레이트 재질로 이루어진 인조잔디를 함께 배치하는 3중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포지의 브러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상기 기포지(1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의 배치구조는 일렬 구조, 또는 병렬 구조, 또는 S자 구조, 또는 지그재그 구조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되며,
    상기 브러쉬는 내부에 인조잔디가 심어질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가지는 원형 돌기 형태를 이루면서 적어도 2~5개로 절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포지의 일면에 형성되어 인조잔디를 고정하는 브러쉬의 내측에 투입되는 규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규사는 상기 브러쉬 내측에 인조잔디가 고정되고, 인조잔디가 구비된 반대면에 코팅제가 코팅되어 건조된 상태를 이룬 후, 작업 현장에 시공되는 과정에서 기포지가 펼쳐지도록 하여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지의 인조잔디가 고정된 반대면에 형성되는 코팅제는 도포방식으로 코팅되되,
    코팅제를 도포하는 방식은 스프레이 분사방식, 또는 열융착방식, 또는 여러번 나누어 덧칠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지, 또는 코팅제, 또는 인조잔디의 조성물은,
    PE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LDPE 14.3~26.3중량부, LLDPE 52.4~68.4중량부, HDPE 14.3~26.3중량부, 12.3~21.3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안료,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어 첨가되되,
    상기 안료는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을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부 첨가되며,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상기 조성물 1kg을 기준으로 5,000 내지 10,000 ppm이 첨가되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조성물 1kg을 기준으로 500 내지 1,000 ppm이 첨가되며,
    상기 기포지, 또는 코팅제, 또는 인조잔디의 조성물을 구성한 후, 압출 또는 사출의 가공성 및 원사의 부드러운 촉감을 향상시키기 실리콘계 수지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브릴레이트는,
    필름의 가로폭을 10 내지 15 mm, 두께는 100 내지 150 ㎛로 압출하여 제조하되,
    상기 피브릴레이트를 세로 방향으로 분리할 때 각 섬유당 폭은 0.5 내지 1.5 mm로 하며, 폭당 3 내지 7개의 컷(cut)으로, 길이 방향으로 2개의 반복단위로, 꼬임수는 30 내지 40 꼬임수/ inch인 피브릴레이트 형태로 제조하며,
    투수특성 아스콘 베이스층 또는 쇄석지반 상부에 피브릴레이트와 폴리아미드 소재의 200 내지 500의 범위의 모노 데니어 원사를 1:1 교호로 기포층에 파일을 30 내지 70 mm 로 터프팅법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아스콘 베이스층 또는 쇄석지반 상부에 패드층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파일의 밀도는 가로 X 세로로 총 13,000 내지 22,000 개/m2를 터프팅하여 인조잔디를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KR1020190140185A 2019-11-05 2019-11-05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KR102340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85A KR102340539B1 (ko) 2019-11-05 2019-11-05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85A KR102340539B1 (ko) 2019-11-05 2019-11-05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261A KR20210054261A (ko) 2021-05-13
KR102340539B1 true KR102340539B1 (ko) 2021-12-20

Family

ID=7591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185A KR102340539B1 (ko) 2019-11-05 2019-11-05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325B1 (ko) * 2021-07-29 2023-07-28 메버텍주식회사 천연 및 인조 잔디를 포함하는 모듈형 하이브리드 잔디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985B1 (ko) * 2011-02-11 2012-02-24 주식회사 유신섬유 벌키성 인조잔디의 제조방법
KR101635536B1 (ko) * 2015-12-04 2016-07-04 케이앤비준우 주식회사 충격흡수율을 향상시킨 이중구조 인조잔디와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730B2 (ja) * 1992-09-08 2000-12-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人工芝
JPH0759892A (ja) * 1993-08-30 1995-03-07 Toru Nagasawa ゴルフ練習用マット
KR20130078103A (ko) * 2011-12-30 2013-07-10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99206B1 (ko) 2016-01-07 2017-01-23 백두옥 환경오염소재가 무충진된 친환경 인조 잔디 조립체
KR102000917B1 (ko) 2018-01-11 2019-07-1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985B1 (ko) * 2011-02-11 2012-02-24 주식회사 유신섬유 벌키성 인조잔디의 제조방법
KR101635536B1 (ko) * 2015-12-04 2016-07-04 케이앤비준우 주식회사 충격흡수율을 향상시킨 이중구조 인조잔디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261A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3726B2 (ja) 人工芝生システム
KR101036534B1 (ko) 합성 잔디
ES2339692T3 (es) Hilo para un recubrimiento de cesped artificial, recubrimiento de cesped artificial, y campo de juego que incluye dicho hilo.
EP0941387B1 (en) Combined turf
US20180371715A1 (en) Pyramidal Fabrics Having Multi-Lobe Filament Yarns and Method for Erosion Control
US20090041956A1 (en) Synthetic Turf System Having Two Types of Fibers
US8500372B2 (en) Turf reinforcement mat having multi-dimensional fibers and method for erosion control
EP1837423A1 (en) Synthetic turf resembling a grass field
JP5984311B2 (ja) 人工芝および人工芝施設
WO1995009949A1 (fr) Gazon artificiel
US20050287343A1 (en) Pyramidal fabrics having multi-lobe filament yarns and method for erosion control
HU227351B1 (en) Synthetic grass
JP5663166B2 (ja) 人工マットおよび人工芝生
CA2811271C (en) Synthetic grass cover for mse walls
NZ737764A (en) Hybrid turf surface and support therefor
KR102340539B1 (ko)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무충진 인조 잔디 조립체
EP2039831A1 (en) Artificial turf assembly
EP2520696A1 (de) Kunststofffaser für einen Kunstrasenbelag
JP5417129B2 (ja) 人工芝生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KR102487027B1 (ko) 식모 인조잔디
EP2129834B1 (en) Artificial lawn
KR20090000893U (ko) 골프 그린용 인조잔디의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