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051B1 -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 Google Patents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051B1
KR101989051B1 KR1020180064877A KR20180064877A KR101989051B1 KR 101989051 B1 KR101989051 B1 KR 101989051B1 KR 1020180064877 A KR1020180064877 A KR 1020180064877A KR 20180064877 A KR20180064877 A KR 20180064877A KR 101989051 B1 KR101989051 B1 KR 101989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blocking
external force
unit
blea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64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6Foldable, retractable or tiltable tribu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4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with material fixed on sections of a collapsible frame especially Florentine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은 다단 관람석 - 상기 다단 관람석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됨 - 에 설치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있어서,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영역인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 및 상기 다단 관람석와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SHADING MODULE FOR MULTI-STEP SEATS}
본 발명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되는 다단 관람석에 설치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단 관람석은 체육관, 강당 및 각종 공연장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단 관람석은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펼쳐놓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일정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다단 관람석은 실내 공간을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실내 체육관, 실내 강당 등 주로 건물 내의 공간에 많이 설치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야외 공연장 혹은 야외 체육관 시설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외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실외 공간에도 다단 관람석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다만,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다단 관람석은 단지 사람들이 착석할 수 있는 공간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다단 관람석에 착석하고 있는 사람들은 강렬한 햇빛 혹은 비, 눈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단 관람석에 착석한 사람들이 외부의 요인에 최소로 노출되도록 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은 다단 관람석 - 상기 다단 관람석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됨 - 에 설치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있어서,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영역인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 및 상기 다단 관람석와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태 변화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과 함께 위치 이동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1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현되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차단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가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부분과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차단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1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제한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평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제한부를 지지하는 차단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지지부는, 상기 차단지지부와 상기 차단제한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저감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은,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동시에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위 단인 제3 관람석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보관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되도록, 상기 제3 관람석단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1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과 함께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위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제3 관람석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측 방향에 대해서 상기 차단부가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제1 거리 이상, 상기 차단부가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차단부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차단한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은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관람석단;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으로서,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관람석단;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제1 관람석단 및 제2 관람석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는 외력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에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따르면, 관람석에 착석한 사람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다단 관람석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사용 상태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배치되는 다단 관람석이 구비하는 이동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위치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사용 상태에서 보관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위치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사용 상태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사용 상태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단 관람석(100)은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복수의 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은 제1 관람석단(110),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120) 및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위 단인 동시에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위 단인 제3 관람석단(13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관람석단(110), 상기 제2 관람석단(12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은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구비하는 단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다단 관람석(100)은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보관 상태에서는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에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이 은닉되고,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에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은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인출되고,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이 인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관람석단(110), 상기 제2 관람석단(12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130)에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의자가 도시되어 있지 않았지만,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관람석단(110), 상기 제2 관람석단(12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130)에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의자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다단 관람석(100)은 제1 관람석단(110), 제2 관람석단(120) 및 제3 관람석단(130)만을 구비하는 것을 기준으로 서술하겠으나,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200)은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영역인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210) 및 상기 다단 관람석(100)와 상기 차단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100)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210)를 지지하며,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210)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210)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200)은 상기 차단부(210)가 소정의 거리(D10)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에 연결되는 부분과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210)의 위치를 제한하는 차단제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200)은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제한부(230)를 지지하는 차단지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210)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다단 관람석(100)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외부 요인을 차단하여, 상기 다단 관람석(100)에 착석하고 있는 사람을 외부 요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요인은 햇빛, 비 또는 눈 등과 같은 자연에서 발생되는 요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외부 요인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차단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 영역은 상기 차단부(210)의 상측의 임의의 점의 지면 상의 정사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차단부(210)의 상측에서 상기 차단부(210) 방향으로 빛을 비추었을 때, 상기 지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차단부(210)의 그림자일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에 연결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100) 상측에 위치 되어 상기 차단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차단부(210)는 최대한 확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 영역은 최대 크기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차단부(210)는 최소로 확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단부(210)는 폴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 영역은 최소 크기일 수 있다.
이하, 다단 관람석(100)과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2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100)이 구비하는 관람석단은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걸림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 연결되는 돌출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면에 연결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 한계를 규정하는 이동제한부,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베이스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는 롤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상기 제1 관람석단(110), 제2 관람석단(120) 및 제3 관람석단(130)에 적용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은 제1 베이스부(111), 제1 걸림부(112), 제1 돌출부(113), 제1 가이드부(114), 제1 이동제한부(117), 제1 베이스지지부(115) 및 제1 롤러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람석단(12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130)도 상술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람석단(120)는 제2 베이스부(121), 제2 걸림부(122), 제2 돌출부(123), 제2 가이드부(124), 제2 이동제한부(127), 제2 베이스지지부(125) 및 제2 롤러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제2 베이스부(121)는 제2 상 베이스부(121a)와 제2 하 베이스부(1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상 베이스부(121a)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하 베이스부(121b)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 베이스부(121b)의 하부 공간에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 및 제1 관람석단(110)이 은닉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이동제한부와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 범위를 규정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외력인가부에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제한부가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제한부와 함께, 상기 베이스부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위치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배치되는 다단 관람석이 구비하는 이동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제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가이드부에 외삽될 수 있도록, 삽입 공간(S117)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기 제1 돌출부(113)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제3 가이드부(134)에 외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베이스부(111)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는 상기 제3 가이드부(134)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가이드부(134)와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의 매개로 인해, 상기 제1 베이스부(111)는 미리 정해진 경로로만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제3 돌출부(133)에 연결되는 제3 이동제한부(137)는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제2 가이드부(124)에 외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베이스부(131)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이동제한부(137)는 상기 제2 가이드부(124)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가이드부(124)와 상기 제3 이동제한부(137)의 매개로 인해, 상기 제2 베이스부(121)는 미리 정해진 경로로만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력인가부(221, 222)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상태 변화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100)과 함께 위치 이동되어, 상기 차단부(210)의 상기 차단 영역이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21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일측로드부,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타측로드부 및 상기 일측로드부와 상기 타측로드부에 연결되는 외력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에 연결되는 제1 외력인가부(221) 및 상기 제2 관람석단(120)에 연결되는 제2 외력인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는 제1 일측로드부(221a), 제1 타측로드부(221b), 제1 외력연결부(221c)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외력인가부(222)는 제2 일측로드부(222a), 제2 타측로드부(222b), 제2 외력연결부(222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기 제1 걸림부(112)의 측면(상기 제1 걸림부(112)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1)에 연결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기 제1 걸림부(112)의 측면(상기 제1 걸림부(112)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1)에 연결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일측로드부(222a)는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타측로드부(222b)는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제2 일측로드부(222a)는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상기 제2 베이스부(121)의 상면(구체적으로 상기 제2 상 베이스부(121a)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타측로드부(222b)는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상기 제2 베이스부(121)의 상면(구체적으로 상기 제2 상 베이스부(121a)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외력연결부, 상기 차단제한부(230) 및 상기 차단지지부(24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외력연결부는 상기 일측로드부와 연결되는 일측연장부, 상기 타측로드부와 연결되는 타측연장부, 상기 일측연장부의 일단부와 상기 타측연장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하단횡부, 상기 일측연장부의 타단부와 상기 타측연장부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상단횡부 및 상기 하단횡부와 상기 상단횡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단횡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완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제1 외력연결부(221c)는 제1 일측연장부(221c-1), 제1 타측연장부(221c-2), 제1 하단횡부(221c-3), 제1 상단횡부(221c-4) 및 제1 보완부(221c-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외력연결부(222c)는 제2 일측연장부(222c-1), 제2 타측연장부(222c-2), 제2 하단횡부(222c-3), 제2 상단횡부(222c-4) 및 제2 보완부(222c-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일측연장부(221c-1)는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타측연장부(221c-2)는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단횡부(221c-3)는 상기 제1 일측연장부(221c-1)의 일단부와 상기 제1 타측연장부(221c-2)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에는 상기 차단지지부(240)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의 측면에는 상기 차단지지부(24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에는 상기 차단제한부(230)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의 상면에는 상기 차단제한부(2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단횡부(221c-4)는 상기 제1 일측연장부(221c-1)의 타단부와 상기 제1 타측연장부(221c-2)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에는 상기 차단부(210)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의 상면에는 상기 차단부(21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위치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도 위치 이동이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에 연결된 상기 차단부(210)도 함께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 및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는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와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가 벤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보완부(221c-5)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완부(221c-5)의 타단부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보완부(221c-5)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의 중단부에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보완부(221c-5)의 타단부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의 중단부에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완부(221c-5)는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를 지지하여, 상기 차단부(210)에 의해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가 벤딩되거나,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력연결부(222c)가 구비하는 제2 일측연장부(222c-1), 제2 타측연장부(222c-2), 제2 하단횡부(222c-3), 제2 상단횡부(222c-4) 및 제2 보완부(222c-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차단부(21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21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222)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차단부(21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210)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상단횡부(222c-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제한부(230)는 일단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222)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제한부(230)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의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평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차단제한부(230)는 상기 외력연결부에 연결되는 주요링크부(231a, 231b) 및 상기 주요링크부(231)에 연결되는 보조링크부(232a, 232b)를 구비할 수 있다.
주요링크부(231)는 상기 외력인가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상기 주요링크부(231)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에 연결되는 일측주요링크부(231a) 및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에 연결되는 타측주요링크부(231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가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를 기준으로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가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의 타단부는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보조링크부(232a, 232b)는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에 연결되는 일측보조링크부(232a) 및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에 연결되는 타측보조링크부(23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링크부(232a)가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보조링크부(232a)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링크부(232b)가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타측보조링크부(232b)의 일단부는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링크부(232a)가 상기 타측보조링크부(232b)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거나, 상기 타측보조링크부(232b)가 상기 일측보조링크부(232a)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보조링크부(232a)의 타단부와 상기 타측보조링크부(232b)의 타단부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링크부(232a, 232b)는 상기 차단부(210)에 의해 상기 주요링크부(23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차단부(210)가 처짐으로써, 상기 차단부(210)의 중량을 상기 보조 링크부가 분산 지지함으로써, 상기 주요링크부(231)가 상기 차단부(210)의 과도한 하중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주요링크부(231a, 231b) 및 보조링크부(232a, 232b)는 상기 차단부(210, 도1 및 도 2 참조)가 상기 소정의 거리(D10, 도 1 참조)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2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차단부(21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부(210)의 타단부는 및 상기 제2 상단횡부(222c-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에 연결되고,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보조링크부(232a)는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타측보조링크부(232b)는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사용 상태가 아닐 경우, 상기 차단부(210)는 모두 펼쳐진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차단부(210)의 일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 부분으로 쳐질 수 있다.
여기서, 차단제한부(230)는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배치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소정의 거리(D10, 도 1 참조)를 넘어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D10, 도 1 참조)는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외력인가부(220)에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외력인가부(220)에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차단제한부(230)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제1 상단횡부(221c-4)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의 상면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차단제한부(230)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 상기 제2 관람석단(120) 및/또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외력이 상기 차단부(210)로 전달되는 경우, 이를 분산시켜 상기 차단부(21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주요링크부(231a, 231b) 및 상기 보조링크부(232a, 232b)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주요링크부(231a, 231b)는 상기 하단횡부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주요링크부(231a, 231b)는 상기 하단횡부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주요링크부(231a, 231b) 및 상기 보조링크부(232a, 232b)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차단지지부(240)는 상기 외력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제한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일측주요링크부(231a)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차단지지부(240)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타측주요링크부(231b)의 일단부는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차단지지부(240)는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에 연결된 상기 차단지지부(240)의 상면은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의 일단부와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에 연결된 상기 차단지지부(240)의 상면은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의 일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지지부(240)는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 및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 및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지지부(24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가 상기 하단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두 개의 상기 차단지지부(240)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에 연결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상기 차단지지부(240)는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차단지지부(240)는 상기 차단지지부(240)와 상기 차단제한부(230)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저감 공간(S24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단지지부(240)는 상기 차단지지부(240)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저감 공간(S24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저감 공간(S240)으로 인해, 상기 차단지지부(240)와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 및/또는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가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되어, 이로 인해 발생되는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에 적은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서 동작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위치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a)를 참조하면,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에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에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제1 돌출부(113),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제2 돌출부(123),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제3 돌출부(133)의 측면은 상기 지면의 상측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제1 돌출부(113),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제2 돌출부(123),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제3 돌출부(133)의 측면은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의 측면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 도 1 참조)와 상기 제2 외력인가부(222, 도 2 참조)의 이격 거리는 최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차단부(210)가 제공하는 상기 차단 영역은 최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차단부(210)는 폴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제2 베이스부(121, 도 3참조)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6 (b)를 참조하면, 상기 다단 관람석(100)단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하여,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을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 도 4 참조)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상기 제3 가이드부(134)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도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2 관람석단(120)(구체적으로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현되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차단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일 경우보다 폴딩되는(접히는) 정도가 적어질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210)가 형성하는 상기 차단 영역도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일 경우보다 더 넓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가 위치 이동되면서, 차단 영역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는 상기 차단부(21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3 관람석단(13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차단제한부(230)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단제한부(230)는 수평적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소정의 거리(D10, 도 1 참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 및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주요링크부(231a, 231b) 및 상기 보조링크부(232a, 232b)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가 상기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를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는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가 상기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일측보조링크부(232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타측보조링크부(232b)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방식에 의해, 상기 차단제한부(230)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상기 소정의 거리(D10, 도 1 참조)가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은 상기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가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상기 제3 걸림부(132)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는 상기 제3 걸림부(132)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제3 가이드부(134)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도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210)의 상기 차단 영역도 점점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제1 베이스부(111, 도 3 참조)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21, 도 3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제한부(230)의 구동 과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은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은 사용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은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제3 이동제한부(137, 도 4 참조)가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제2 걸림부(122, 도 3 참조)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 도 1 참조)에만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다단 관람석(100)을 보관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전방 방향으로 외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은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 도 4 참조)가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상기 제3 걸림부(132, 도 3 참조)에 접촉이 되면,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은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방향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에 작용되는 외력은 상기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에 의해 상기 제2 관람석단(120)에 전달되어,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에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이 위치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에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와 상기 제2 외력인가부(222)의 이격 거리는 최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차단부(210)가 제공하는 상기 차단 영역은 최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차단부(210)는 폴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제1 베이스부(111, 도 3 참조), 상기 제2 베이스부(121, 도 3 참조) 및 상기 제3 베이스부(131, 도 3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제한부(230)의 구동 과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만을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다단 관람석(100)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에도, 상기 차단부(210)는 자동적으로 적합한 범위의 차단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을 보관 상태에서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것에 따라 자동적으로 적절한 상기 차단 영역을 제공하여, 설치 시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사용 상태에서 보관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위치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다단 관람석(100)단이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보관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하여,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을 은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은닉되려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기 제1 이동제한부(117, 도 4 참조)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상기 제3 가이드부(134, 도 4 참조) 상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 도 1 참조)도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사용 상태일 경우보다 더욱 폴딩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210)가 형성하는 상기 차단 영역도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일 경우보다 더 작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가 위치 이동되면서, 상기 차단 영역이 축소되도록,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는 상기 차단부(21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차단제한부(230)도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단제한부(230)는 수평적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소정의 거리(D10, 도 1 참조)를 넘어서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 및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의 일측에 연결된 상기 주요링크부(231a, 231b) 및 상기 보조링크부(232a, 232b)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가 상기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일측주요링크부(231a)는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타측주요링크부(231b)는 상기 제2 하단횡부(222c-3)를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단횡부(221c-3)가 상기 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일측보조링크부(232a)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타측보조링크부(232b)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방식에 의해, 상기 차단제한부(230)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수평적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소정의 거리(D10, 도 1 참조)를 넘어서 배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보관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상기 차단부(210)가 배치되는 범위가 한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210)의 과도한 처짐으로 인해, 상기 차단부(210)가 파손되거나, 상기 차단부(210)와 상기 외력인가부(220)의 연결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일부 관람석단만 인출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210)가 과도하게 쳐져서, 관람석단에 착석하고 있는 착석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은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상기 제3 걸림부(132)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도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210)의 상기 차단 영역도 점점 축소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제3 베이스부(131, 도 3 참조)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2, 도 3 참조 1)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제한부(230)의 구동 과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은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위 단인 동시에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위 단인 제3 관람석단(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 도 1 참조)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이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보관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이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되도록, 상기 제3 관람석단(130)에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110)과 함께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 도 3 참조)의 위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 도 3 참조)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3 관람석단(13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이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되도록,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은 상기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제3 걸림부(132)와 접촉되어,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을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다단 관람석(100)를 사용 상태에서 보관 상태로 용이하게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은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제2 걸림부(122)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가 후방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차양 영역도 점점 축소될 수 있다.
상기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 상기 제2 관람석단(120) 및 상기 제3 관람석단(130)과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일측로드부(221a) 및 상기 제1 타측로드부(221b)는 상기 제1 걸림부(112), 상기 제2 걸림부(121) 및 상기 제3 걸림부(131)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는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측면에 연결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일 경우 제1 외력인가부(221)는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측면,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측면 및 상기 제3 관람석단(13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차단제한부(230)의 구동 과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자동적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단 영역은 상기 제1 관람석단(110)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자동적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100)은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관람석단(110),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상위 단으로서,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관람석단(120),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210) 및 상기 제1 관람석단(110) 및 제2 관람석단(1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차단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100)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210)를 지지하는 외력인가부(221, 222)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221, 222, 도 1 참조)는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이 상기 제2 관람석단(120)의 하측 공간에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110)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210)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210)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사용 상태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이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일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1200)은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상측 방향에 대해서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외력인가부(220)에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제1 거리 이상, 상기 차단부(210)가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차단부(210)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외력인가부(220)에 연결되는 차단한정부(1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차단한정부(1250)는 상기 외력인가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한정부(1250)는 상기 차단부(210)의 상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단부(210)는 상기 차단한정부(1250) 및 상기 차단제한부(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한정부(1250)는 상기 차단부(210)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는 범위를 규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210)가 바람에 의해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상측 방향으로 흩날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제1 거리는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외력인가부(220)에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상측 방향으로의 일정한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거리는 상기 차단부(210)가 상기 외력인가부(220)에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차단한정부(1250)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차단한정부(1250)는 복 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서는 상기 차단한정부(1250)가 두 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차단한정부(1250)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차단한정부(1250)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221)의 제1 상단횡부(221c-4)에 연결되는 일측차단한정부(1250a) 및 상기 제2 외력인가부(222)의 제2 상단횡부(222c-4)에 연결되는 타측차단한정부(1250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차단한정부(1250a)는 상기 타측차단한정부(1250b)와 링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한정부(1250)는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다단 관람석(100)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한정부(1250)은 수평적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차단부(210)가 상측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 이상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거리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다단 관람석 110 : 제1 관람석단
120 : 제2 관람석단 130 : 제3 관람석단
200 :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210 : 차단부
220 : 외력인가부 230 : 차단제한부
240 : 차단지지부 1250 : 차단한정부

Claims (10)

  1. 다단 관람석 - 상기 다단 관람석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됨 - 에 설치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있어서,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영역인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
    상기 다단 관람석와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
    상기 차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가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부분과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차단제한부; 및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제한부를 지지하는 차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1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보관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측면과 상기 제2 관람석단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전방 방향으로의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태 변화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과 함께 위치 이동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며,
    상기 차단지지부는,
    상기 차단지지부와 상기 차단제한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저감 공간을 제공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현되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차단 영역이 확장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제한부는,
    일단부는 상기 제1 외력인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평적으로 형상 변형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6. 다단 관람석 - 상기 다단 관람석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됨 - 에 설치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있어서,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영역인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
    상기 다단 관람석와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
    상기 차단부가 소정의 거리를 넘어서 쳐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단부가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부분과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차단제한부; 및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제한부를 지지하는 차단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태 변화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과 함께 위치 이동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며,
    상기 차단지지부는,
    상기 차단지지부와 상기 차단제한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저감 공간을 제공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관람석은,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동시에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위 단인 제3 관람석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사용 상태에서 상기 보관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3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되도록, 상기 제3 관람석단에 외력을 제공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1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제2 외력인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과 함께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으로 은닉되는 경우, 상기 제1 외력인가부의 위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제3 관람석단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관람석단에 연결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9. 다단 관람석 - 상기 다단 관람석은, 제1 관람석단 및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인 제2 관람석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의 상대적인 인출에 의해 사용 상태가 구현되고 상대적인 은닉에 의해 보관 상태가 구현됨 - 에 설치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에 있어서,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영역인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 및
    상기 다단 관람석와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기 보관 상태에서 상기 사용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태 변화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외력인가부; 및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측 방향에 대해서 상기 차단부가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제1 거리 이상, 상기 차단부가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차단부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차단한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다단 관람석이 상태 변화되고 있는 경우, 상기 다단 관람석과 함께 위치 이동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10.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관람석단;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상위 단으로서,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관람석단;
    외부 요인이 차단될 수 있는 차단 영역을 제공하는 차단부; 및
    상기 제1 관람석단 및 제2 관람석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다단 관람석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를 지지하는 외력인가부; 및
    상기 다단 관람석의 상측 방향에 대해서 상기 차단부가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제1 거리 이상, 상기 차단부가 위치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차단부의 상측 방향으로 상기 외력인가부에 연결되는 차단한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력인가부는,
    상기 제1 관람석단이 상기 제2 관람석단의 하측 공간에서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관람석단의 위치 이동에 대응되어 상기 차단부의 상기 차단 영역이 자동적으로 변형되도록, 상기 차단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다단 관람석.

KR1020180064877A 2018-06-05 2018-06-05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KR101989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77A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8-06-05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877A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8-06-05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051B1 true KR101989051B1 (ko) 2019-06-13

Family

ID=6684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877A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8-06-05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05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163A (zh) * 2020-12-29 2021-04-30 温州博旺联科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挡雨临时看台
KR102296512B1 (ko) 2021-04-20 2021-08-31 김민소 회전식 차양막 장치
KR102370816B1 (ko) 2021-06-15 2022-03-04 김민소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CN114746615A (zh) * 2019-11-25 2022-07-12 唯尼太究系统株式会社 用于保管重叠的栏杆的侧面组件、用于覆盖底座组件的后盖组件以及包括它们的多级观众席
KR20220124851A (ko) * 2021-03-04 2022-09-14 권택주 야외용 관람석 부스
KR20230014967A (ko) 2021-07-22 2023-01-31 김민소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KR102496928B1 (ko) 2021-12-27 2023-02-06 김민소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US12044029B2 (en) 2021-04-20 2024-07-23 Min So Kim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577A (ko)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 호수산업 수납식 관람석
US20090140556A1 (en) * 2005-03-21 2009-06-04 Scott Degelman Collapsible bench or seating with canop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0556A1 (en) * 2005-03-21 2009-06-04 Scott Degelman Collapsible bench or seating with canopy
KR20090054577A (ko) * 2007-11-27 2009-06-01 주식회사 호수산업 수납식 관람석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6615A (zh) * 2019-11-25 2022-07-12 唯尼太究系统株式会社 用于保管重叠的栏杆的侧面组件、用于覆盖底座组件的后盖组件以及包括它们的多级观众席
CN112727163A (zh) * 2020-12-29 2021-04-30 温州博旺联科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挡雨临时看台
KR20220124851A (ko) * 2021-03-04 2022-09-14 권택주 야외용 관람석 부스
KR102460420B1 (ko) 2021-03-04 2022-10-31 권택주 야외용 관람석 부스
KR102296512B1 (ko) 2021-04-20 2021-08-31 김민소 회전식 차양막 장치
US12044029B2 (en) 2021-04-20 2024-07-23 Min So Kim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KR102370816B1 (ko) 2021-06-15 2022-03-04 김민소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KR20230014967A (ko) 2021-07-22 2023-01-31 김민소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KR102496928B1 (ko) 2021-12-27 2023-02-06 김민소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051B1 (ko)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US5765314A (en) Sensory interactive multi media entertainment theater
US5822928A (en) Motion picture theatre structure
US9808085B1 (en) Beam mounted chair assemblies, chair assemblies of use within the beam mounted chair assemblies, components for use within the chair assemblies and parts for use within the components
JP2015504495A (ja) 映画館構造および映画館構造を建設するための方法
EP2812517A1 (de) Tribüne
TR201815691T4 (tr) Multipleks sinemalarda sinemaların düzenlenmesi ve bir çok ekranlı sinema için sinema salonu.
CA2128491A1 (en) Theater construction
KR102223928B1 (ko) 사용과 보관이 간편한 수납식 관람석 의자
US20060232582A1 (en) Virtual reality theater
KR100787960B1 (ko) 영상 관람 시설 구조물
KR101530705B1 (ko) 관람용 의자 조립체
KR20200077921A (ko) 접철식 관람석
JP7375293B2 (ja) 重なった欄干が保管される側面組立体、ベース組立体をカバーする後側カバー組立体およびこれらを含む多段観覧席
DE202005005198U1 (de) Veranstaltungssaal für Multimedia-Events als temporäres Gebäude
JP4890329B2 (ja) 競技場
KR102167726B1 (ko) 흔들림 방지용 잠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
RU70283U1 (ru) Театральное помещение
KR20020025200A (ko) 이동식 좌석 및 그 고정장치
KR102022515B1 (ko) 조립이 간편하고 내진지지구조를 구비한 관람석
RU65078U1 (ru) Зрительный зал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шоу
JP4219511B2 (ja) 閉塞ユニット
KR102168945B1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걸고리형 수납식 관람석
US20040232744A1 (en) Sports stool bleacher
JP7132152B2 (ja) 観客席の座席変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