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928B1 -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 Google Patents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928B1
KR102496928B1 KR1020210188819A KR20210188819A KR102496928B1 KR 102496928 B1 KR102496928 B1 KR 102496928B1 KR 1020210188819 A KR1020210188819 A KR 1020210188819A KR 20210188819 A KR20210188819 A KR 20210188819A KR 102496928 B1 KR102496928 B1 KR 102496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sunshade
plat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소
Original Assignee
김민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소 filed Critical 김민소
Priority to KR102021018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928B1/ko
Priority to PCT/KR2022/008398 priority patent/WO202226535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38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expansible, e.g. extensible in a fan type mann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은,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받침서포트, 받침서포트 상면에 설치되는 회전브래킷,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회전프레임,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회전프레임,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3 회전프레임 및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4 회전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LINK MODULE FOR VARIABLE MULTI-LEVEL AWNING DEVICE}
본 발명은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양막이 펼쳐지고 접히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충돌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적은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해서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 등에 커튼, 블라인드 및 롤스크린 등과 같은 차양막 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차양막 장치는 상술한 목적 이외에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을 갖는다.
또한, 벽이나 유리에서 느껴지는 단단하고 차가운 느낌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바꿔 인테리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종래의 차양막 장치는 차양막을 펼치고 접는 과정에서 프레임이 충돌되거나 간섭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적은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890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프레임이 축 상에서 기설정된 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결합됨으로써, 차양막을 펼치고 접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충돌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적은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각 회전프레임들과 각 차양프레임들이 접하는 부분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최대한 밀접 접촉함으로써, 차양막유닛이 최대로 접히는 경우에 최소의 부피를 형성하게 되어,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 개의 차양막을 다단으로 겹치거나 펼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차양막을 전개시킬 수 있는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은,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받침서포트, 받침서포트 상면에 설치되는 회전브래킷,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회전프레임,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회전프레임,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3 회전프레임 및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4 회전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브래킷은, 일측이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 제1 관통홀을 구비한 제1 판, 제1 판과 소정거리 이격되고, 일측이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며, 중앙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한 제2 판 및 제1 판 및 제2 판의 타측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브래킷은,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축결합되는 회전축, 회전축 외주면에 결합되고, 회전축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일측에 슬릿이 구비되는 다수 개의 슬리브, 슬리브 외주면에 결합되고, 제1 판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슬리브 외주면에 축결합되고, 제1 판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슬리브 외주면에 축결합되고, 제2 가이드 타측, 제2 판 일측에 위치하는 제3 가이드 및 슬리브 외주면에 축결합되고, 제2 판 타측에 위치하는 제4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제1 회전프레임, 제2 회전프레임, 제3 회전프레임 및 제4 회전프레임은, 회전축 상에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직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 가이드, 제2 가이드, 제3 가이드 및 제4 가이드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가이드판 및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제1 가이드의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 사이공간에는 제1 회전프레임 일측이 축결합되고, 제2 가이드의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 사이공간에는 제2 회전프레임 일측이 축결합되며, 제3 가이드의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 사이공간에는 제3 회전프레임 일측이 축결합되고, 제4 가이드의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 사이공간에는 제4 회전프레임 일측이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 회전프레임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 제1-1 프레임 및 제1-1 프레임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한 제1-2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2 회전프레임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 제2-1 프레임 및 제2-1 프레임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한 제2-2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제3 회전프레임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 제3-1 프레임 및 제3-1 프레임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한 제3-2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4 회전프레임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 제4-1 프레임 및 제4-1 프레임 타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한 제4-2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제1-1 프레임의 길이는 제2-1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고, 제2-1 프레임의 길이는 제4-1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며, 제4-1 프레임의 길이는 제3-1 프레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x축,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y축, x축 및 y축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방향을 z축이라할 때, 제1-2 프레임, 제2-2 프레임, 제3-2 프레임 및 제4-2 프레임 일단의 x 좌표값이 동일하고, 제1 회전프레임, 제2 회전프레임, 제3 회전프레임 및 제4 회전프레임을 최대로 접은 경우에는 제1-2 프레임, 제2-2 프레임, 제3-2 프레임 및 제4-2 프레임 일단의 x 좌표값 및 z 좌표값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은, 회전프레임이 축 상에서 기설정된 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결합됨으로써, 차양막을 펼치고 접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충돌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적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은, 각 회전프레임들과 각 차양프레임들이 접하는 부분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최대한 밀접 접촉함으로써, 차양막유닛이 최대로 접히는 경우에 최소의 부피를 형성하게 되어,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은, 다수 개의 차양막을 다단으로 겹치거나 펼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차양막을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의 전개조절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가 상부에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펼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브래킷 및 회전프레임의 결합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 회전프레임, 제2 회전프레임, 제3 회전프레임 및 제4 회전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이 접힌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받침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 및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는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링크모듈(201)과 상기 제1 링크모듈(20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링크모듈(202)로 이루어진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과, 상기 제1 링크모듈(201)과 제2 링크모듈(20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차양막유닛(131, 135, 141)으로 이루어지는 차양막부재(13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차양막유닛(131, 135, 141)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과, 상기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양막부재(130)와, 상기 차양막부재(130)의 전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전개조절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은 차양막부재(1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링크모듈(201)과 차양막부재(130)의 타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링크모듈(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링크모듈(201)와 제2 링크모듈(202)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은 도 12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은 받침서포트(210), 회전브래킷(220), 제1 회전프레임(230), 제2 회전프레임(240), 제3 회전프레임(250) 및 제4 회전프레임(260)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서포트(210)는 소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서포트(210)는 도 1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받침서포트(2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받침서포트(210)는 제1 서포트판(211), 제2 서포트판(212), 제3 서포트판(213), 제4 서포트판(214), 제5 서포트판(215) 및 제6 서포트판(2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트판(211)은 지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하고, 평행사변형 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서포트판(212)은 상기 제1 서포트판(21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서포트판(211)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서포트판(213)은 상기 제1 서포트판(211)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평행사변형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 서포트판(214)은 상기 제3 서포트판(213)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3 서포트판(213)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5 서포트판(215)은 상단 측면이 상기 제1 서포트판(211), 제2 서포트판(212), 제3 서포트판(213) 및 제4 서포트판(214)의 상단 측면과 결합되고, 하단 측면이 상기 제3 서포트판(213) 및 제4 서포트판(214) 측면과 결합되며, 경사진 'ㄷ'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6 서포트판(216)은 절곡된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제5 서포트판(215)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서포트판(211) 및 제2 서포트판(212)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고하면, 회전브래킷(220)은 상기 받침서포트(210)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브래킷(220)은 도 1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브래킷(22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브래킷(220)은 제1 판(221), 제2 판(222) 및 제3 판(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221)은 일측이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 제1 관통홀(22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판(222)은 상기 제1 판(221)과 소정거리 이격되고, 일측이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며, 중앙에 제2 관통홀(222-1)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판(223)은 상기 제1 판(221) 및 제2 판(222)의 타측을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판(221)과 제3 판(223) 접합부에는 경사진 형태의 보강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고하여 상기 회전브래킷(220)의 또다른 실시례를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브래킷(220) 및 회전프레임(230, 240, 250, 260)의 결합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회전브래킷(220)은 회전축(224), 슬리브(225), 제1 가이드(226), 제2 가이드(227), 제3 가이드(228) 및 제4 가이드(2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224)은 상기 제1 관통홀(221-1) 및 제2 관통홀(222-1)에 축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225)는 상기 회전축(224)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224)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일측에 슬릿이 구비되고,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225)는 상기 가이드(226, 227, 228, 229) 및 회전프레임(230, 240, 250, 260)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25)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24) 및 회전프레임(230, 240, 250, 26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226)는 상기 슬리브(225)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판(221)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227)는 상기 슬리브(225)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판(221)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가이드(228)는 상기 슬리브(225)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227) 타측, 상기 제2 판(222)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가이드(229)는 상기 슬리브(225)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판(222)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226), 제2 가이드(227), 제3 가이드(228) 및 제4 가이드(229)는 제1 가이드판(226-1) 및 제2 가이드판(2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판(226-1) 및 제2 가이드판(226-2)은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판(226-1) 및 제2 가이드판(226-2)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226)의 제1 가이드판(226-1) 및 제2 가이드판(226-2) 사이공간에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230) 일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227)의 상기 제1 가이드판(226-1) 및 제2 가이드판(226-2) 사이공간에는 상기 제2 회전프레임(240) 일측이 축결합되며, 상기 제3 가이드(228)의 상기 제1 가이드판(226-1) 및 제2 가이드판(226-2) 사이공간에는 상기 제3 회전프레임(250) 일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제4 가이드(229)의 상기 제1 가이드판(226-1) 및 제2 가이드판(226-2) 사이공간에는 상기 제4 회전프레임(260) 일측이 축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고하면, 제1 회전프레임(230), 제2 회전프레임(240), 제3 회전프레임(250) 및 제4 회전프레임(260)은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프레임(230), 제2 회전프레임(240), 제3 회전프레임(250) 및 제4 회전프레임(260)은 도 1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 회전프레임(230), 제2 회전프레임(240), 제3 회전프레임(250) 및 제4 회전프레임(26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1 회전프레임(230)은 제1-1 프레임(231) 및 제1-2 프레임(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프레임(240)은 제2-1 프레임(241) 및 제2-2 프레임(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회전프레임(250)은 제3-1 프레임(251) 및 제3-2 프레임(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회전프레임(260)은 제4-1 프레임(261) 및 제4-2 프레임(2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프레임(231), 제2-1 프레임(241), 제3-1 프레임(251) 및 제4-1 프레임(261)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2 프레임(232)은 상기 제1-1 프레임(231)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2 프레임(242)은 상기 제2-1 프레임(241)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3-2 프레임(252)은 상기 제3-1 프레임(251)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4-2 프레임(262)은 상기 제4-1 프레임(261) 타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회전프레임(260)은 항상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프레임(230), 제2 회전프레임(240), 제3 회전프레임(250) 및 제4 회전프레임(260)은 상기 회전축(224) 상에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직렬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이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축(224)의 길이 발향을 x축,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y축, 상기 x축 및 y축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방향을 z축이라할 때, 상기 제1-2 프레임(232), 제2-2 프레임(242), 제3-2 프레임(252) 및 제4-2 프레임(262) 일단의 x 좌표값이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6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 프레임(231)의 길이는 상기 제2-1 프레임(241)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1 프레임(241)의 길이는 상기 제4-1 프레임(261)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4-1 프레임(261)의 길이는 상기 제3-1 프레임(251)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이 접힌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제1 회전프레임(230), 제2 회전프레임(240), 제3 회전프레임(250) 및 제4 회전프레임(260)을 최대로 접은 경우에는 상기 제1-2 프레임(232), 제2-2 프레임(242), 제3-2 프레임(252) 및 제4-2 프레임(262) 일단의 x 좌표값 및 z 좌표값이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7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이 최대로 접힌 상태에서 제1-1 프레임(231), 제2-1 프레임(241) 및 제3-1 프레임(251)과 지면이 이루는 yz 평면 상의 각도는 90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받침서포트(210)의 상면에는 상기 차양막부재(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회전브래킷(220)이 설치된다.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사용자에게 햇빛을 차단시켜 그늘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브래킷(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의 전개조절부재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100)가 상부에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상기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차양막유닛(135)과, 상기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차양막유닛(1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각각 부채꼴 형상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차양막유닛(131, 135, 141)을 선택적으로 전개(펼침 및 접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에는 제1 차양막(134)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 차양프레임(132)이 고정되고, 제1 차양프레임(132)의 양측에는 각각 회전브래킷(220)에 결합되는 제1 회전프레임(133)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프레임(133)은 회전브래킷(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차양프레임(132)에는 머리띠밴드 형상의 제1 차양막(134)이 설치된다.
또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에는 제2 차양막(140)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2 차양프레임(136)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차양프레임(136)에는 제1 차양막(134)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차양프레임(136)에는 제2 차양막(138)의 일단이 고정된다.
상기 제1 차양막(134)의 일단은 제1 차양프레임(132)에 고정되고, 제1 차양막(134)의 타단은 제2 차양프레임(136)에 고정된다.
상기 제2 차양프레임(136)의 양단에는 각각 회전브래킷(220)에 결합되는 제2 회전프레임(137)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프레임(139)은 회전브래킷(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차양막유닛(135)은 제1 차양막유닛(13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이는 제2 차양막유닛(135)이 제1 차양막유닛(131)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에는 제3 차양막(145)을 고정시키는 제3 차양프레임(14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차양프레임(142)의 양단에는 각각 제3 회전프레임(144)이 설치된다.
이들 회전프레임(133, 137, 144)은 회전브래킷(2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은 제2 차양막유닛(135)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게 제2 차양막유닛(135)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간격조절부재(170)는 제1 차양막유닛(131)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3 차양막유닛(141)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171)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의 일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2 와이어(172)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과 상기 제3 차양막유닛(141)의 타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3 와이어(173)와,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브래킷(17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롤러(17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와이어(171)의 일단은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차양프레임(132)에 고정되고, 제1 와이어(171)의 타단은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제3 차양프레임(142)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와이어(171)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길이조절부재(176) 사이에 설치되는 숏와이어(171a)와,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와 제3 차양프레임(142) 사이에 설치되는 롱와이어(17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숏와이어(171a)의 일단은 제1 차양막유닛(131)의 제1 차양프레임(132)에 연결되고, 상기 숏와이어(171a)의 타단은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된다.
아울러 롱와이어(171b)의 일단은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되고, 상기 롱와이어(171b)의 타단은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제4 차양프레임(144)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와이어(171)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전개된 상태를 팽팽하게 긴장시켜 줌으로써,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 및 제3 차양막유닛(141)을 모두 전개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롱와이어(171b)가 제1 차양프레임(132), 제2 차양프레임(136), 제3 차양프레임(142) 및 제4 차양프레임(143) 전체에 연결되지 않고, 일단이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4 차양프레임(143)에 연결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재(176)는 일례로 턴버클이 사용될 수 있으며, 숏와이어(171a)와 롱와이어(171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제1 와이어(171)를 길이조절부재(176)로부터 해제시켜 차양막부재(130)를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된 숏와이어(171a) 또는 롱와이어(171b)를 해제시켜 차양막부재(130)를 간편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2 와이어(172)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제3 와이어(173)는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내부 타측에 설치된다.
이들 제2 와이어(172)와 제3 와이어(173)는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의 전개되는 범위를 제한시킨다.
즉,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은 제2 와이어(172)와 제3 와이어(173)에 의해 와이어(172, 173)의 길이만큼 제한된 범위로 펼쳐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길이조절부재(176)의 하부에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174)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래킷(174)에는 제1 와이어(17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회전롤러(175)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은 제1 와이어(171)에 의해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차양막부재(130)를 낮은 위치에 전개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와이어(171)는 한 쌍의 회전롤러(175)의 외면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므로, 차양막부재(130)가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고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이 각각 제1 와이어(17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차양막부재(130)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차양막부재(130)를 높은 위치에 전개시키게 되면, 상기 제1 와이어(171)는 차양막부재(130)의 전개 위치에 따라 제1 차양막유닛(131)과 제3 차양막유닛(141)의 양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와이어(171)가 회전롤러(175)를 따라 이동된다.
한편 길이조절부재(176)는 와이어(171)의 길이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차양막부재(130)를 전개시켜 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턴버클 외에도 와이어(17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막대 스토퍼(미도시) 또는 로프 라쳇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길이조절부재(176)에 의해 숏와이어(171a)와 롱와이어(171b)의 장력이 조절되며, 제1 차양프레임(132)과 제4 차양프레임(143)에 구속된 와이어는 고정브래킷(174)과 회전롤러(175)의 고정된 와이어 가이드에 구속되어 임의의 2점(고정브래킷(174)/회전롤러(175))를 지나며 길이조절부재(176)에 의하여 숏와이어(171a)와 롱와이어(171b)의 장력이 발생하면, 고정브래킷(174)과 회전롤러(175)에 고정된 와이어 가이드의 구속력이 증가하여, 양 회전브래킷(220)에 구속되고, 차양막의 길이만큼 전개되는 제1 차양프레임(132), 제2 차양프레임(136), 제3 차양프레임(142) 및 제4 차양프레임(143)은 임의의 회전각도에서 고정 구속될 수 있다. 즉, 차양막의 장력과 전개 부재의 임의의 회전각도 고정이 길이조절부재(176)에 의하여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의 차양막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펼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부재(130)는 길이조절부재(176)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와이어(171) 중 롱와이어(171b)를 해제시킴으로써, 차양막부재(130)를 간편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롱와이어(171a)를 길이조절부재(176)에서 해제시키면, 상기 차양막부재(130)의 제1 차양막유닛(131), 제2 차양막유닛(135) 및 제3 차양막유닛(141)은 회전브래킷(22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제1 차양막유닛(131) 내지 제3 차양막유닛(141)을 순차적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은, 회전프레임이 축 상에서 기설정된 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결합됨으로써, 차양막을 펼치고 접는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충돌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적은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은, 각 회전프레임들과 각 차양프레임들이 접하는 부분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최대한 밀접 접촉함으로써, 차양막유닛이 최대로 접히는 경우에 최소의 부피를 형성하게 되어,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지고, 다수 개의 차양막을 다단으로 겹치거나 펼칠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차양막을 전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0: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210: 받침서포트
211: 제1 서포트판
212: 제2 서포트판
213: 제3 서포트판
214: 제4 서포트판
215: 제5 서포트판
216: 제6 서포트판
220: 회전브래킷
221: 제1 판
221-1: 제1 관통홀
222: 제2 판
222-1: 제2 관통홀
223: 제3 판
224: 회전축
225: 슬리브
226: 제1 가이드
226-1: 제1 가이드판
226-2: 제2 가이드판
227: 제2 가이드
228: 제3 가이드
229: 제4 가이드
230: 제1 회전프레임
231: 제1-1 프레임
232: 제1-2 프레임
240: 제2 회전프레임
241: 제2-1 프레임
242: 제2-2 프레임
250: 제3 회전프레임
251: 제3-1 프레임
252: 제3-2 프레임
260: 제4 회전프레임
261: 제4-1 프레임
262: 제4-2 프레임

Claims (6)

  1.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받침서포트;
    상기 받침서포트 상면에 설치되는 회전브래킷;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회전프레임;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회전프레임;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3 회전프레임; 및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4 회전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브래킷은,
    일측이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 제1 관통홀을 구비한 제1 판;
    상기 제1 판과 소정거리 이격되고, 일측이 원호 형상으로 마련되며, 중앙에 제2 관통홀을 구비한 제2 판;
    상기 제1 판 및 제2 판의 타측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제3 판;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 축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며, 일측에 슬릿이 구비되는 다수 개의 슬리브;
    상기 슬리브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판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상기 슬리브 외주면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1 판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상기 슬리브 외주면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타측, 상기 제2 판 일측에 위치하는 제3 가이드; 및
    상기 슬리브 외주면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2 판 타측에 위치하는 제4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프레임, 제2 회전프레임, 제3 회전프레임 및 제4 회전프레임은,
    상기 회전축 상에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직렬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제2 가이드, 제3 가이드 및 제4 가이드는,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가이드판, 및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2 가이드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은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이드의 상기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 사이공간에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 일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제2 가이드의 상기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 사이공간에는 상기 제2 회전프레임 일측이 축결합되며,
    상기 제3 가이드의 상기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 사이공간에는 상기 제3 회전프레임 일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제4 가이드의 상기 제1 가이드판 및 제2 가이드판 사이공간에는 상기 제4 회전프레임 일측이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프레임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 제1-1 프레임; 및
    상기 제1-1 프레임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한 제1-2 프레임;
    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회전프레임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 제2-1 프레임; 및
    상기 제2-1 프레임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한 제2-2 프레임;
    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 회전프레임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 제3-1 프레임; 및
    상기 제3-1 프레임 타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한 제3-2 프레임;
    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 회전프레임은,
    일측이 압착되어 일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홀을 구비한 제4-1 프레임; 및
    상기 제4-1 프레임 타측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절곡 연장되고, 다수 개의 절곡부를 구비한 제4-2 프레임;
    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1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제2-1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1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제4-1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4-1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제3-1 프레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x축,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y축, 상기 x축 및 y축에 대하여 직각이 되는 방향을 z축이라할 때,
    상기 제1-2 프레임, 제2-2 프레임, 제3-2 프레임 및 제4-2 프레임 일단의 x 좌표값이 동일하고,
    상기 제1 회전프레임, 제2 회전프레임, 제3 회전프레임 및 제4 회전프레임을 최대로 접은 경우에는 상기 제1-2 프레임, 제2-2 프레임, 제3-2 프레임 및 제4-2 프레임 일단의 x 좌표값 및 z 좌표값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KR1020210188819A 2021-06-15 2021-12-27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KR102496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819A KR102496928B1 (ko) 2021-12-27 2021-12-27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PCT/KR2022/008398 WO2022265350A1 (ko) 2021-06-15 2022-06-14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 및 링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819A KR102496928B1 (ko) 2021-12-27 2021-12-27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928B1 true KR102496928B1 (ko) 2023-02-06

Family

ID=8522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819A KR102496928B1 (ko) 2021-06-15 2021-12-27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9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322A (en) * 1979-04-23 1982-08-10 Fiddler Maurice K Portable sun shelter
KR19990084112A (ko) * 1999-09-15 1999-12-06 이성연 덮개의 개폐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
US20100071740A1 (en) * 2006-02-07 2010-03-25 James Harrison Beach Cabana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9-06-1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322A (en) * 1979-04-23 1982-08-10 Fiddler Maurice K Portable sun shelter
KR19990084112A (ko) * 1999-09-15 1999-12-06 이성연 덮개의 개폐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
US20100071740A1 (en) * 2006-02-07 2010-03-25 James Harrison Beach Cabana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9-06-1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20433A1 (zh) 柔性显示装置
CN111819388B (zh) 支撑组件及具有支撑组件的电子设备
JP4234754B2 (ja) 釣合わせ用バネを有する機械アーム
JP2005533948A (ja) 格納式自動回転ブラインド
JPH0988456A (ja) スクリーン装置
TW201206734A (en) Deployable shelter structure
US20070246168A1 (en) Corner canvas and take-up shaft therefore, and corner awning device
JP2017014883A (ja) 架台構造及び構造体
KR102496928B1 (ko)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US20220341201A1 (en)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US6948542B2 (en) Retractable self rolling blind awning or cover apparatus
KR101248407B1 (ko) 접이식 골프 연습용 구조물
KR102034409B1 (ko) 연결형 천막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JP3403652B2 (ja) スクリーン装置
WO2017002332A1 (ja) 架台構造及び構造体
KR102296512B1 (ko) 회전식 차양막 장치
JP6893155B2 (ja) 自立型オーニング
JP4956236B2 (ja) スクリーン装置
US3487842A (en) Privacy/windbreak screen
JP6896269B2 (ja) 仕切り用スクリーン装置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KR102612970B1 (ko) 아암 승강식 어닝
JP3576422B2 (ja) カーテンレール及びカーテン
US20180163448A1 (en) Folding apparatus of folding door with three s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