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409B1 - 연결형 천막 - Google Patents

연결형 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409B1
KR102034409B1 KR1020190054210A KR20190054210A KR102034409B1 KR 102034409 B1 KR102034409 B1 KR 102034409B1 KR 1020190054210 A KR1020190054210 A KR 1020190054210A KR 20190054210 A KR20190054210 A KR 20190054210A KR 102034409 B1 KR102034409 B1 KR 102034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s
shaft
tent
shared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인
Original Assignee
오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인 filed Critical 오상인
Priority to KR102019005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2015/326Frame members connected by elastic c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형 천막에 관한 것이다. 이는, 수직으로 연장된 기둥, 상기 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구조체, 상기 기둥 및 접철구조체의 상부에 씌워지는 차양막을 가지며, 상호 연접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천막과; 상기 천막 중 상호 이웃하는 천막에 공유되어 천막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하나의 공유필러와, 상기 공유필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이웃하는 천막에 동시에 결합하여 천막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커넥터부가 구비된 갖는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연결형 천막은, 하나의 기둥을 이웃 천막과 공유하므로 전체적 구성 부품이 작고 천막 경계부위의 구조가 심플하며, 천막의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형 천막{Connected tent}
본 발명은 야외 행사에 주로 사용하는 차양용 천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천막을 나란히 배치할 때 천막을 상호 고정시켜 천막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연결장치가 구비된 연결형 천막에 관한 것이다.
각종 야외 행사나 캠핑시에 사용되는 천막은, 직사광선이나 눈 또는 비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간이 시설이다. 이러한 천막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를테면, 사용목적이나 장소 또는 계절에 따라 그 구조가 달라진다.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천막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네 개의 기둥과, 각 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며 다수의 링크아암으로 구성된 접철구조체와, 기둥 및 접철구조체의 상부에 씌워지는 차양막으로 이루어진다. 기둥이나 접철구조체는 중량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차양막은 방수나 발수성 원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천막은, 하나만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보다 넓은 차양공간이 필요할 때에는 여러 개를 나란하게 배치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천막(10)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링크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천막(10)은,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11), 기둥(11)의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구조체(13), 접철구조체(13) 및 기둥(11)의 상부에 씌워지는 차양막(15)으로 이루어진다. 접철구조체(13)는 다수의 링크아암(13d)을 연결핀(13c,13f)을 통해 연결하는 것으로서, 연결핀(13f)을 중심으로 교차운동하며 접히거나 펼쳐진다.
또한 기둥(11)에 접철구조체(13)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부홀더(13a) 및 하부홀더(13g)가 적용된다. 상부홀더(13a)는 기둥(11)의 상단부에 고정된 부재로서, 연결핀(13c)을 통해 일측 링크아암(13d)을 지지한다. 하부홀더(13g)는 기둥(11)에 지지되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부속으로서 타측 링크아암(13d)에 연결된다.
기둥(11)의 간격을 좁히면 하부홀더(13g)가 하강하며 접철구조체(13)가 접히고, 반대로 기둥(11)의 간격을 벌리면, 하부홀더(13g)가 상승하고 접철구조체(13)가 펼쳐진다. 접철구조체(13)에는, 접철구조체가 최대한 펼쳐진 상태에서 자동으로 작동하여, 접철구조체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수단(미도시)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 차양막(15)은 기둥이 최대한 멀게 이격된 상태에서 그 네 귀퉁이부가 상부홀더(13a)에 걸려 팽팽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천막(10)은, 여러 개의 천막을 붙여 사용할 경우, 천막(10) 상호간의 간격이 점점 벌어지기 마련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의 천막으로 충분한 차양공간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 다수의 천막(10)을 최대한 가깝게 붙여 사용하는데, 천막의 사이가 벌어지면, 직사광선이 세어 들어올 수 있고, 비나 눈을 차단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인접한 기둥을 줄로 묶기도 하는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9145호 (접철식 천막의 연결구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541호 (절첩식 천막의 프레임 연결구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전체적 구성 부품이 작고 천막 경계부위의 구조가 심플하며, 천막의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형 천막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연결형 천막은, 수직으로 연장된 기둥, 상기 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구조체, 상기 기둥 및 접철구조체의 상부에 씌워지는 차양막을 가지며, 상호 연접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천막과; 상기 천막 중 상호 이웃하는 천막에 공유되어 천막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하나의 공유필러와, 상기 공유필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이웃하는 천막에 동시에 결합하여 천막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커넥터부가 구비된 갖는 연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각 접철구조체에 고정되며 하부로 개방된 중공형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고정된 상태로 각 수직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직파이프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록킹샤프트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바디에는,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록킹샤프트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다수의 샤프트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유필러는,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바디의 중심을 통해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공유필러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제1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1롤러의 하부에는 다수의 제2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공유필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과 회전축을 공유하며 공유필러의 외부에 위치하고 그 외주면에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라쳇휠, 상기 권취롤 및 라쳇휠을 회전시키는 핸들, 상기 라쳇휠의 상측에 위치하며 라쳇휠의 역회전을 차단하는 휠스토퍼를 갖는 윈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수용공간에 끼워진 각 록킹샤프트와 권취릴의 사이에는, 그 일단부가 록킹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권취릴에 감기며, 상기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인장되어 상기 록킹샤프트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와이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상부로 개방되며 일정 내경을 갖는 두 개 이상의 피봇구멍과, 각 피봇구멍을 바디의 측부로 개방하는 수평의 암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봇구멍에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구멍이 외주면을 따라 등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피봇축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봇축의 상단부에는, 바디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가 상기 록킹샤프트의 하단부와 결합하는 수평아암이 구비되며, 상기 암나사구멍에는, 암나사구멍을 통해 상기 피봇축의 고정구멍에 끼워져 피봇축의 축회전을 차단하는 유지나사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연결형 천막은, 하나의 기둥을 이웃 천막과 공유하므로 전체적 구성 부품이 작고 천막 경계부위의 구조가 심플하며, 천막의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천막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링크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천막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천막에서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장치를 이용해 네 개의 천막을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일부 절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도 3에 도시한 연결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연결장치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연결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연결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도 10에 도시한 연결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천막(20)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연결형 천막에서의 연결장치(3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천막(20)은, 다수의 천막(10)과, 천막(10)의 사이에 설치되며 천막(10)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장치(30)로 구성된다. 연결장치(30)는 이웃하는 두 개의 천막(20)에 공유되며 연결형 천막(2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천막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수용능력은 제각기 다를 수 있다.
상기 천막(10)은, 다수의 기둥(11), 기둥의 상단부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철구조체(13), 기둥(11) 및 접철구조체(13)의 상부에 씌워지는 차양막(15)으로 이루어진다. 천막(10)의 기본 구조는 종래 천막과 같다.
연결장치(30)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천막에 공유되어 천막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하나의 공유필러(31)와, 공유필러(31)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이웃하는 천막에 동시에 결합하여 천막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커넥터부(3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넥터부(33)의 기본 구조는, 접철구조체(13)의 단부에 고정되며 하부로 개방된 중공형 수직파이프(13k), 수직파이프(13k)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바디(35), 바디(35)의 상부에 고정된 다수의 록킹샤프트(37)를 갖는다.
상기 수직파이프(13k)는, 기둥(11)의 상단부, 즉, 하부홀더(13g)를 최대한 상승시킨 상태에서 하부홀더(13g)의 바로 아래 부분을 절단한 것일 수도 있고, 기둥(11)과 관계없이. 별도의 중공파이프를 접철구조체(13)의 내측에 고정한 것일 수도 있다. 수직파이프(13k)는 중공형 사각파이프이다.
바디(35)는 공유필러(31)의 상단부에 고정된 블록형 부재로서, 다수의 록킹샤프트(37)를 수직으로 고정시킨다. 록킹샤프트(37)는 각 수직파이프(13k)의 삽입통로(13m)에 끼워진 상태로 수직파이프(13k)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즉, 수직파이프(13k)가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하나의 바디(35)에 구비되는 록킹샤프트(37)는 두 개 또는 네 개 이다. 즉, 두 개의 천막을 연결하는 커넥터부(33)에는 두 개의 록킹샤프트(37)가, 네 개의 천막을 연결하는 커넥터부(33)에는 네 개의 록킹샤프트가 적용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장치(30)를 이용해 네 개의 천막을 연결한 모습을, 천막의 상부에서 내려다 본 일부 절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천막(10)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파이프(13k)가, 바디(35) 상부의 록킹샤프트(37)에 의해 최대로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천막(10)이 설치된 지 오래되더라도 천막(10) 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최대한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a 내지 6d는 도 3에 도시한 연결장치(30)의 여러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한 연결장치(30)는, 수직으로 연장된 공유필러(31), 공유필러의 상단부에 고정된 육면체 형태의 바디(35), 바디(35)에 고정된 네 개의 록킹샤프트(37)로 이루어진다. 각 록킹샤프트(37)는 도 5와 같이 상호 인접한 네 개의 천막(10)에 구비되는 수직파이프(13k)의 삽입통로(13m)에 끼워진다.
도 6b의 커넥터부(33)에는 두 개의 록킹샤프트(37)가 적용되어 있다. 록킹샤프트(37)가 두 개 이므로, 좌우로 연접하는 두 개의 천막(10)을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커넥터부(33)는, 두 개의 암나사구(35a)가 마련되어 있는 바디(35)와, 각 암나사구(35a)에 나사 결합하는 두 개의 록킹샤프트(37)로 이루어진다. 암나사구(35a)의 개수는 네 개일 수도 있다.
상기 록킹샤프트(37)는 수직으로 연장된 환봉형 부재로서 그 하단부에 수나사부(37a)를 갖는다. 수나사부(37a)를 암나사구(35a)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커넥터부(33)가 구현된다. 록킹샤프트(37)의 직경은, 당연히, 삽입통로(13m)의 간격보다 작다.
도 6d의 바디(35)는, 상부로 개방되며 그 내벽면에 지지홈(35c)을 갖는 끼움구멍(35b)을 갖는다. 끼움구멍(35b)은 당연히 록킹샤프트(37)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또한 지지홈(35c)은 탄력스토퍼(37e)가 끼워지는 오목홈이다.
상기 록킹샤프트(37)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측부홈(37b)이 형성되어 있다. 측부홈(37b)은 록킹샤프트(37)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는 홈으로서,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아울러 측부홈(37b)의 입구부에는 지지턱(37d)이 마련된다.
또한 각 측부홈(37b)의 내부에는 스프링(37c)과 탄력스토퍼(37e)가 설치된다. 스프링(37c)은 탄력스토퍼(37e)를 록킹샤프트(37)의 반지름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력스토퍼(37e)는 지지턱(37d)에 걸린 상태로 그 일부가 록킹샤프트(37)의 외주면으로부터 튀어나온 부재이다.
탄력스토퍼(37e)는, 록킹샤프트(37)를 끼움구멍(35b)의 내부로 삽입할 때, 측부홈(37b) 내부로 밀려들어가고, 지지홈(35c)에 도달한 순간 스프링(37c)의 작용에 의해 지지홈(35c)내에 삽입된다. 탄력스토퍼(37e)는 록킹샤프트(37)가 바디(35)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연결장치(30)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디(35)는 열십자형 구획벽(35f)에 의해 구분된 네 개의 샤프트수용공간(35e)을 갖는다. 각 샤프트수용공간(35e)에는 사각봉 형태의 록킹샤프트(37)가 끼워진다. 상기 샤프트수용공간(35e)은 두 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바디(35)의 양측부에는 암나사구멍(35d)이 형성되어 있고, 록킹샤프트(37)의 하단에는 맞춤구멍(37g)이 위치한다. 맞춤구멍(37g)은, 록킹샤프트(37)를 샤프트수용공간(35e)에 끼운 상태에서 암나사구멍(35d)에 대응한다.
도면부호 36은 유지나사이다. 유지나사(36)의 수나사부(36a)를 암나사구멍(35d)에 나사 결합한 상태로 헤드부(36b)를 회전시키면, 수나사부(36a)는 축회전하며 맞춤구멍(37g)의 내부로 들어가, 바디(35)에 대한 록킹샤프트(37)의 결합을 유지시킨다.
도 8은 상기 연결장치(3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바디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유필러(31)가 바디(35)의 중앙부를 상향 통과하여 바디(35)의 측벽과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공유필러(31)는 와이어통로(31a)를 갖는 중공형 사각봉으로서 바디(35)와 일체를 이룬다.
상기 바디(35)는 공유필러(31) 상단부의 양측에 샤프트수용공간(35e)을 제공한다. 샤프트수용공간(35e)에 록킹샤프트(37)가 끼워짐은 물론이다.
록킹샤프트(37)는 그 하단부에 고무발(37h)을 갖는다. 고무발은 탄력고무로 형성된 캡형 부재로서, 록킹샤프트(37)의 하단부가 샤프트수용공간(35e)의 바닥면을 긁지 않도록 적용된 것이다.
또한 록킹샤프트(37)는 샤프트수용공간(35e)의 내벽면에 타이트하게 접하지 않고,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말하자면, (마치, 연필꽂이에 연필이 꽂혀 있는 것처럼) 기울어진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록킹샤프트(37)의 상단부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호 연결할 천막(10)을, 굳이 최대한 근접시키지 않고 어느 정도 떨어진 상태에서, 록킹샤프트(37)의 상단부를 삽입통로(13m)의 입구 정도에 끼운 후, 화살표 z방향으로 강제로 오므려 천막을 밀착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37j는 와이어고리이다. 와이어고리(37j)는 후술할 인장와이어(38)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이다.
록킹샤프트(37)를 화살표 z방향으로 오므리기 위하여, 인장와이어(38)와 윈치부(39)가 적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공유필러(31)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제1롤러(35g)가 구비된다. 제1롤러(35g)는 지지축(35h)에 의해 나란하게 배치된 풀리로서, 와이어고리(37j)와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아울러 제1롤러(35g)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롤러(35k)가 위치한다. 제2롤러(35k)는 와이어통로(31a) 내부에 설치된 풀리로서 인장와이어(38)의 상승과 하강을 가이드 한다.
인장와이어(38)는 금속와이어로서, 윈치부(39)에 의해 하부로 인장되며 록킹샤프트(37)를 오므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윈치부(39)는, 와이어통로(31a)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롤(39b), 권취롤(39b)과 회전축(39k)을 공유하며 공유필러(31)의 외부에 위치하는 라쳇휠(39c), 라쳇휠(39c)을 회전시키는 핸들(39d), 라쳇휠(39c)의 상부에 설치되는 휠스토퍼(39e)를 구비한다.
권취롤(39b)은 인장와이어(38)의 타단부와 고정되며 핸들(39d)을 화살표 p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인장와이어(38)를 감아 화살표 Y방향으로 인장한다. 권취롤(39b)이 인장와이어(38)를 인장하면, 와이어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고리(37j)가 화살표 x 방향으로 당겨짐은 물론이다. 와이어고리(37j)가 당겨지면 양측의 록킹샤프트(37)가 화살표 z방향으로 오므라지며,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파이프(13k)를 오므려 천막을 밀착시킨다.
상기 라쳇휠(39c)의 외주면에는 일방향 톱니(39g)가 형성되어 있다. 일방향 톱니(39g)는, 이를테면 반시계 방향으로 편향된 톱니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휠스토퍼(39e)는 라쳇휠(39c)의 상측부에 설치된 쐐기형 부재로서, 스토퍼지지핀(39f)에 의해 지지된다. 휠스토퍼(39e)의 무게중심은 스토퍼지지핀(39f)보다 낮다. 따라서, 휠스토퍼(39e)의 하단부는 항상 톱니(39g)와 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휠스토퍼(39e)는 라쳇휠(39c)이 화살표 p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톱니(39g)를 통과시키지만,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톱니(39g)의 사이에 끼어들어 역회전을 방지한다.
도 10은 상기 연결장치(3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디(35)에는 네 개의 피봇구멍(35m)과 각 피봇구멍(35m)을 측방향으로 개방하는 암나사구멍(35p)이 형성되어 있다. 피봇구멍(35m)은 일정내경을 갖는 홈으로서 피봇축(37m)을 축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암나사구멍(35p)은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유지나사(36)의 수나사부(36a)와 나사 결합한다. 수나사부(36g)는 암나사구멍(35p)을 통과하여 피봇축(37m)의 고정구멍(37n)에 끼워져 피봇축(37m)의 축회전을 방지한다.
피봇축(37m)은 일정직경을 갖는 환봉형 부속으로서 그 외주면에 다수의 고정구멍(37n)을 갖는다. 고정구멍(37n)은 피봇축(37m)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등각으로 배치된다.
또한 피봇축(37m)의 상단부에는 수평아암(37k)이 고정되어 있다. 수평아암(37k)은 바디(35)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재이다. 수평아암(37k)의 길이(L)는 피봇구멍(35m) 간의 간격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가령, 수평아암(37k)의 회전반경 내에 이웃 피봇구멍(35m)이 포함되지 않는 길이를 갖는다.
수평아암(37k)의 연장 단부에는 록킹샤프트(37)가 수직으로 고정된다. 결국 각 록킹샤프트(37)는 수평아암(37k)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의 궤적을 따라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록킹샤프트(37) 간의 간격이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1a 및 11b는 도 10에 도시한 연결장치(3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a는 각 록킹샤프트(37)를 바디(35)의 중앙부로 집중시킨 상태이다. 록킹샤프트(37)를 각 수직파이프(13k)의 삽입통로(13m)에 끼운 후, 중앙부로 모은 다음, 유지나사(36)를 이용해 피봇축(37m)을 고정시키면 네 개의 천막이 최대한 근접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1b는 록킹샤프트(37)를 최대한 멀리 이격시킨 모습이다. 록킹샤프트(37)를 각 수직파이프(13k)의 삽입통로(13m)에 끼운 후, 최대한 멀리 이격시키고 유지나사(36)를 이용해 피봇축(37m)을 고정시키면, 네 개의 천막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천막을 의도적으로 이격시키되 일정 거리만큼만 이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가령 통풍을 위해 천막을 의도된 폭 정도로 벌려 놓을 수 있다. 이 때 벌어진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상태에서 유지나사(36)를 빼고 록킹샤프트(37)를 중앙으로 모으면, 벌어져 있던 천막이 다시 밀착하여 도 11a의 상태가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천막 11:기둥 13:접철구조체
13a:상부홀더 13c:연결핀 13d:링크아암
13f:연결핀 13g:하부홀더 13k:수직파이프
13m:삽입통로 15:차양막 20:연결형천막
30:연결장치 31:공유필러 31a:와이어통로
33:커넥터부 35:바디 35a:암나사구
35b:끼움구멍 35c:지지홈 35d:암나사구멍
35e:샤프트수용공간 35f:구획벽 35g:제1롤러
35h:지지축 35k:제2롤러 35m:피봇구멍
35p:암나사구멍 36:유지나사 36a:수나사부
36b:헤드부 37:록킹샤프트 37a:수나사부
37b:측부홈 37c:스프링 37d:지지턱
37e:탄력스토퍼 37g:맞춤구멍 37h:고무발
37j:와이어고리 37k:수평아암 37m:피봇축
37n:고정구멍 38:인장와이어 39:윈치부
39b:권취롤 39c:라쳇휠 39d:핸들
39e:휠스토퍼 39f:스토퍼지지핀 39g:톱니
39k:회전축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수직으로 연장된 기둥, 상기 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구조체, 상기 기둥 및 접철구조체의 상부에 씌워지는 차양막을 가지며, 상호 연접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천막과; 상기 천막 중 상호 이웃하는 천막에 공유되어 천막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하나의 공유필러와, 상기 공유필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이웃하는 천막에 동시에 결합하여 천막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커넥터부가 구비된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각 접철구조체에 고정되며 하부로 개방된 중공형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고정된 상태로 각 수직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직파이프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다수의 록킹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에는,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록킹샤프트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다수의 샤프트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유필러는,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바디의 중심을 통해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공유필러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제1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1롤러의 하부에는 다수의 제2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공유필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과 회전축을 공유하며 공유필러의 외부에 위치하고 그 외주면에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라쳇휠, 상기 권취롤 및 라쳇휠을 회전시키는 핸들, 상기 라쳇휠의 상측에 위치하며 라쳇휠의 역회전을 차단하는 휠스토퍼를 갖는 윈치부가 구비되며, 상기 샤프트수용공간에 끼워진 각 록킹샤프트와 권취릴의 사이에는, 그 일단부가 록킹샤프트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권취릴에 감기며, 상기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인장되어 상기 록킹샤프트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인장와이어가 설치된 연결형 천막.
  4. 삭제
KR1020190054210A 2019-05-09 2019-05-09 연결형 천막 KR10203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10A KR102034409B1 (ko) 2019-05-09 2019-05-09 연결형 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10A KR102034409B1 (ko) 2019-05-09 2019-05-09 연결형 천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855A Division KR102151355B1 (ko) 2019-09-25 2019-09-25 연결형 천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409B1 true KR102034409B1 (ko) 2019-11-08

Family

ID=6854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10A KR102034409B1 (ko) 2019-05-09 2019-05-09 연결형 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37Y1 (ko) 2022-10-26 2023-01-31 황인의 육각기둥을 가지는 천막
FR3132418A1 (fr) * 2022-02-10 2023-08-11 Samy Berchiche Dispositif de protection tel qu’un parasol et ensemble de tels dispositifs connecté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414U (ja) * 1996-12-19 1997-08-19 静岡県 テント
KR200409541Y1 (ko) 2005-11-29 2006-03-03 김영섭 절첩식 천막의 프레임 연결구조
KR101153274B1 (ko) * 2011-08-26 2012-06-07 이동학 접철식 천막
KR20120059145A (ko) 2010-11-30 2012-06-08 안정길 접철식 천막의 연결구조
KR101864087B1 (ko) * 2017-10-27 2018-06-01 조병욱 대기중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구조물 설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414U (ja) * 1996-12-19 1997-08-19 静岡県 テント
KR200409541Y1 (ko) 2005-11-29 2006-03-03 김영섭 절첩식 천막의 프레임 연결구조
KR20120059145A (ko) 2010-11-30 2012-06-08 안정길 접철식 천막의 연결구조
KR101153274B1 (ko) * 2011-08-26 2012-06-07 이동학 접철식 천막
KR101864087B1 (ko) * 2017-10-27 2018-06-01 조병욱 대기중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구조물 설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2418A1 (fr) * 2022-02-10 2023-08-11 Samy Berchiche Dispositif de protection tel qu’un parasol et ensemble de tels dispositifs connectés
WO2023152226A1 (fr) * 2022-02-10 2023-08-17 Berchiche Samy Dispositif de protection tel qu' un parasol et ensemble de tels dispositifs connectes
KR200496437Y1 (ko) 2022-10-26 2023-01-31 황인의 육각기둥을 가지는 천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4409B1 (ko) 연결형 천막
BE1012850A6 (fr) Ensemble pour piscine.
US6827094B1 (en) Shielding assembly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KR102236864B1 (ko) 먼지부착이 방지되는 자동 차양막 클린 벤치
KR102151355B1 (ko) 연결형 천막
KR101876083B1 (ko) 조립식 스탠딩 해먹장치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KR101555705B1 (ko) 차양 장치
KR102300680B1 (ko) 중앙기둥에 다수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파라솔
KR200398147Y1 (ko) 그늘막 텐트
JP2019049160A (ja) 自立型オーニング
JP2007327322A (ja) 日除け装置
US4494558A (en) Enclosure and frame therefor
KR101614648B1 (ko) 멀티 차양 파라솔
FR2591652A1 (fr) Dispositif de tension permettant l'enroulement et le deroulement d'un store du type velum
KR20090048217A (ko) 절첩식 천막용 받침지주 승강장치
JP6995538B2 (ja) 自立型オーニング
KR101153274B1 (ko) 접철식 천막
JP2003210225A (ja) パラソル
KR102551820B1 (ko) 자바라구조의 지지살 및 이를 이용한 파라솔
KR102496928B1 (ko) 가변 다단 차양막 장치용 링크 모듈
JP4396837B2 (ja) 日除け及び雨避け用の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FR2563555A1 (fr) Dispositif de tension permettant l'enroulement et le deroulement d'un store du type velum
KR100291080B1 (ko) 그늘막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