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512B1 - 회전식 차양막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차양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512B1
KR102296512B1 KR1020210050912A KR20210050912A KR102296512B1 KR 102296512 B1 KR102296512 B1 KR 102296512B1 KR 1020210050912 A KR1020210050912 A KR 1020210050912A KR 20210050912 A KR20210050912 A KR 20210050912A KR 102296512 B1 KR102296512 B1 KR 10229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wning
rotating
rota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소
Original Assignee
김민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소 filed Critical 김민소
Priority to KR1020210050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512B1/ko
Priority to US17/572,629 priority patent/US1204402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6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telescoping and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차양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 개의 프레임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프레임의 상면 끝단에서 기설정된 거리에 안착되고, 제1 받침부 및 제2 받침부로 구성되는 받침부재, 제1받침부 상면에 설치되며,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부재, 제1받침부 측면에 설치되며, 원형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원형프레임, 다수 개의 절곡프레임 및 다수 개의 고정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회전프레임부재, 절곡프레임에 고정되는 회전서포트부재, 회전서포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양막부재 및 차양막부재의 펼침 위치를 조절하며, 차양막부재가 펼쳐지는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전개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차양막 장치 {ROTARY SUNSHADE DEVICE }
본 발명은 회전식 차양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막을 설치하여 원하는 각도 및 방향으로 차양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빛을 조절하기 위해서 건물의 창이나 출입구 등에 커튼, 블라인드 및 롤스크린 등과 같은 차양막 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차양막 장치는 상술한 목적 이외에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거나, 방음, 방서, 방한 등의 목적을 갖는다.
또한, 벽이나 유리에서 느껴지는 단단하고 차가운 느낌을 부드럽고 따뜻하게 바꿔 인테리어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종래의 차양막 장치는 차양막을 고정시켜 구성된 것이 사용되어, 사용자가 차양막을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하려면 차양막 장치 전체를 재설치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양막 회전이 용이한 회전식 차양막 장치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989051호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프레임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양막의 방향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턴버클을 사용함으로써,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고, 차양막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방향의 받침부재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차양막 회전 시 차양막 중심의 이동 및 흔들림을 막고,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한 회전식 차양막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차양막이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는, 다수 개의 프레임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프레임의 상면 끝단에서 기설정된 거리에 안착되고, 제1 받침부 및 제2 받침부로 구성되는 받침부재, 제1받침부 상면에 설치되며,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부재, 제1받침부 측면에 설치되며, 원형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원형프레임, 다수 개의 절곡프레임 및 다수 개의 고정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회전프레임부재, 절곡프레임에 고정되는 회전서포트부재, 회전서포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양막부재 및 차양막부재의 펼침 위치를 조절하며, 차양막부재가 펼쳐지는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전개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의 제1 받침부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프레임의 상면 끝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하여 부착되는 롤러 베이스, 가로프레임, 가로프레임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제1 세로프레임 및 제2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1 세로프레임이 롤러베이스의 상면과 접촉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롤러프레임 및 제1 세로프레임과 제2 세로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제2 받침부는, 가로프레임, 가로프레임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제1 세로프레임 및 제2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가로프레임이 프레임의 상면 끝단에 접촉 결합되는 롤러프레임 및 제1 세로프레임과 제2 세로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의 회전서포트부재는, 차양막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브래킷 및 제1 회전브래킷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의 차양막부재는,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차양막, 제1 차양막과 인접하여 마련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차양막, 제2 차양막과 인접하여 마련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차양막, 제1 차양막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제1 회전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프레임, 제1 차양막의 타단과 제2 차양막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제1 회전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프레임, 제2 차양막의 타단과 제3 차양막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제1 회전브래킷에 고정 결합되는 제3 회전프레임 및 제3 차양막의 타단을 고정시키고, 제1 회전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회전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의 전개조절부재는, 제1 회전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턴버클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 다수 개의 고정부를 통과하며, 일단이 턴버클에 고정되며, 타단이 제4 회전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 및 제1 와이어의 일단과 제2 와이어의 타단을 연결하고, 제1 회전프레임, 제2 회전프레임, 제3 회전프레임 및 제4 회전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는 바닥판부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펜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프레임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양막의 방향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턴버클을 사용함으로써,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고, 차양막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받침부재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차양막 회전 시 차양막 중심의 이동 및 흔들림을 막고,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차양막이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베이스부재 및 받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베이스부재, 받침부재 및 회전프레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프레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서포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서포트부재 및 차양막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전개조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의 차양막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펜스부재를 제외한 회전식 차양막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차양막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차양막부재를 분해 도시한 저면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받침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는 베이스부재(110), 받침부재(120), 바닥판부재(130), 회전프레임부재(140), 회전서포트부재(150), 차양막부재(160) 및 전개조절부재(17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10)는 방사형을 이루는 다수 개의 프레임(1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받침부재(120)는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 끝단에서 기설정된 거리에 안착되고, 제1 받침부(121) 및 제2 받침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20)는 상기 다수 개의 프레임(111) 각각에 상기 제1 받침부(121)와 상기 제2 받침부(122)가 번갈아가며 안착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121) 및 상기 제2 받침부(122)는 도 3과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베이스부재(110) 및 받침부재(12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베이스부재(110), 받침부재(120) 및 회전프레임부재(1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1 받침부(121)는 롤러 베이스(123), 롤러프레임(124) 및 롤러(12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베이스(123)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 끝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롤러 베이스(123)는 사각뿔대 형상이 아닌 높이를 가진 여러가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롤러프레임(124)은 가로프레임(126), 상기 가로프레임(126)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제1 세로프레임(127) 및 제2 세로프레임(128)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세로프레임(127)이 상기 롤러베이스(123)의 상면과 접촉 결합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125)는 상기 제1 세로프레임(127)과 상기 제2 세로프레임(128)의 사이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2 받침부(122)도 상기 롤러프레임(124) 및 롤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받침부(122)의 상기 롤러프레임(124)은 제1 받침부(121)의 상기 롤러프레임(124)과 달리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 끝단에 상기 가로프레임(126)이 접촉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받침부(122)를 90° 회전시켜 상기 롤러베이스(123) 위에 부착시키면 상기 제1 받침부(121)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121)와 상기 제2 받침부(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4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20)는 기어드 모터(1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기어드 모터(129)는 전동기(129A)와 감속 기어 장치(129B)를 하나로 조합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기어드 모터(129) 구성은 도 1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받침부재(1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기어드 모터(129)는 상기 받침부재(12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드 모터(129)는 전동기(129A) 및 감속 기어 장치(129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125) 중앙부에 결합된 축은 상기 감속 기어 장치(129B)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속 기어 장치(129B)가 구비될 때, 상기 롤러베이스(123)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사각뿔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감속 기어 장치(129B)는 상기 롤러베이스(123) 내부에 마련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 기어 장치(129B)는 전동기(129A)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동기(129A)와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입력을 받으면, 상기 감속 기어 장치(129B)가 작동하여 상기 축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축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축과 결합된 상기 롤러(125)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20)는 상기 기어드 모터(129)를 구비함으로써,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40)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125)는 마찰이 큰 고무 및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125)가 정지 상태일 때,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40)도 상기 롤러(125)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회전을 멈출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121)는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40)의 상하이동을 막아주고, 상기 제2 받침부(122)는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40)의 좌우이동을 막아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받침부재(120)가 상기 제1 받침부(121)와 상기 제2 받침부(122)를 둘 다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40)의 이동 및 흔들림을 막고,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한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바닥판부재(130)는 상기 제1 받침부(121) 상면에 설치되며, 평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받침부(121)의 상기 제2 세로프레임(128)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부재(130)는 사용자가 차양막 아래에 앉을 수 있도록 나무판재 등의 평평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부재(140)는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프레임부재(1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회전프레임부재(140)는 상기 제1받침부(121) 측면에 설치되며, 원형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원형프레임(141), 다수 개의 절곡프레임(142) 및 다수 개의 고정부(143)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형프레임(141)은 지름은 상기 바닥판부재(130)의 폭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절곡프레임(142)의 높이 및 폭은 각각 필요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43)는 상기 전개조절부재(170)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프레임(141)과 절곡프레임(142)에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40)가 상기 받침부재(120)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차양막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회전서포트부재(150)는 상기 절곡프레임(14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서포트부재(150)는 도 6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서포트부재(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회전서포트부재(150)는 제1 회전브래킷(151) 및 제2 회전브래킷(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브래킷(151)은 상기 차양막부재(1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정브래킷(151)에는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제1 회전프레임(164), 제2 회전프레임(165) 및 제4 회전프레임(167)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회전프레임(166)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브래킷(152)에는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 및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결합된 상기 차양막부재(161)는 상기 제2 회전브래킷(152)을 중심으로 180°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서포트부재(150)는 상기 차양막부재(161)의 양 끝단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차양막부재(160)는 상기 회전서포트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양막부재(160)는 햇빛을 차단시켜 사용자에게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양막부재(160)는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서포트부재(150) 및 차양막부재(1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차양막부재(160)는 제1 차양막(161), 제2 차양막(162), 제3 차양막(163), 제1 회전프레임(164), 제2 회전프레임(165), 제3 회전프레임(166) 및 제4 회전프레임(16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양막(161)은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양막(162)은 상기 제1 차양막(161)과 인접하여 마련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차양막(163)은 상기 제2 차양막(162)과 인접하여 마련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프레임(164)은 상기 제1 차양막(161)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프레임(165)은 상기 제1 차양막(161)의 타단과 상기 제2 차양막(162)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3 회전프레임(166)은 상기 제2 차양막(162)의 타단과 상기 제3 차양막(163)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4 회전프레임(167)은 상기 제3 차양막(163)의 타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회전프레임(164), 상기 제2 회전프레임(165), 상기 제3 회전프레임(166) 및 상기 제4 회전프레임(167)의 직경은 다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양막부재(16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또 다른 실시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차양막부재(16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저면 분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차양막부재(160)는 제1 차양막(161), 제2 차양막(162), 제3 차양막(163), 제1 회전프레임(164), 제2 회전프레임(165), 제3 회전프레임(166) 및 제4 회전프레임(16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1 차양막(161)은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차양막(162)은 상기 제1 차양막(161)과 인접하여 마련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양막(162)은 상기 제1 차양막(161)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2 차양막(162)이 상기 제1 차양막(161)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 차양막(163)은 상기 제2 차양막(162)과 인접하여 마련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차양막(163)은 상기 제2 차양막(162)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3 차양막(163)이 상기 제2 차양막(162)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양막부재(160)는 각각 부채꼴 형상의 구(球)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차양막(161, 162, 163)을 선택적으로 전개(펼침 및 접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 회전프레임(164)은 상기 제1 차양막(161)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프레임(165)은 원호 직경이 큰 제2-1 회전프레임(165a) 및 제2-1 회전프레임(165a)에 비하여 보다 작은 직경의 제2-2 회전프레임(165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1 회전프레임(165a)은 상기 제2-2 회전프레임(165b) 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1 회전프레임(165a)에는 상기 제1 차양막(161)의 타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2 회전프레임(165b)에는 상기 제2 차양막(162)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1 회전프레임(165a)과 상기 제2-2 회전프레임(165b)의 높이차는 상기 제1 차양막(134)과 제2 차양막(140)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차양막부재(160) 외부에서 내부로 바람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제3 회전프레임(166)은 원호 직경이 큰 제3-1 회전프레임(166a) 및 제3-1 회전프레임(166a)에 비하여 보다 작은 직경의 제3-2 회전프레임(16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1 회전프레임(166a)은 상기 제3-2 회전프레임(166b) 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1 회전프레임(166a)에는 상기 제2 차양막(162)의 타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3-2 회전프레임(166b)에는 상기 제3 차양막(163)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1 회전프레임(166a)과 상기 제3-2 회전프레임(166b)의 높이차는 상기 제2 차양막(162)과 제3 차양막(163)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차양막부재(160) 외부에서 내부로 바람 등이 유입될 수 있다.
제4 회전프레임(167)은 상기 제3 차양막(163)의 타단을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전개조절부재(170)는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펼침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차양막부재(160)가 펼쳐지는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전개조절부재(17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제1 와이어(172) 및 제2 와이어(1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72)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164)에 일단이 고정되고, 턴버클(171)에 타단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턴버클(171)은 지지막대나 지지 와이어 로프 등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를 의미한다. 상기 제1 와이어(172)는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전개된 상태를 팽팽하게 긴장시켜 줌으로써,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172)와 제2 와이어(173)의 결속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강풍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73)는 상기 다수 개의 고정부(143)를 통과하며, 일단이 상기 턴버클(171)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4 회전프레임(16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턴버클(171)은 상기 제1 와이어(172) 및 제2 와이어(17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1 와이어(172)를 상기 턴버클(171)로부터 해제시켜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턴버클(171)에 연결된 상기 제1 와이어(172) 또는 상기 제2 와이어(173)를 해제시켜 차양막부재(160)를 간편하게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제3 와이어(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와이어(174)는 상기 제1 와이어(172)의 일단과 상기 제2 와이어(173)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 회전프레임(164), 상기 제2 회전프레임(165), 상기 제3 회전프레임(166) 및 상기 제4 회전프레임(167)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무게를 지탱하기 충분한 강도를 가진 와이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탄성조절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제2 와이어(173) 및 상기 제3 와이어(17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평상시에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접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제1 와이어(172)를 상기 턴버클(171)과 결합시키면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어서 상기 차양막부재(16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 와이어(172) 및 상기 턴버클(171)의 연결을 해제하는 즉시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가스스프링(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스프링은 상기 제2 와이어(173) 및 상기 제3 와이어(17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스스프링은 고압가스에 의해 피스톤로드를 왕복 이동시키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스스프링은 상기 제3 와이어(174)와 연결된 상기 제3 차양막(16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가스스프링을 하강시키면, 상기 제3 차양막(163)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차양막(161) 및 제2 차양막(162)은 전개되는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스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인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는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태양의 고도가 낮은 아침이나 저녁 시간대에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낮은 위치에서 펼칠 수 있고, 태양의 고도가 높은 점심 시간대에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높은 위치에서 펼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는 펜스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펜스부재(180)는 상기 바닥판부재(13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재(18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추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제외하고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의 차양막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부재(160)는 턴버클(17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와이어(172) 또는 제2 와이어(173)를 해제시킴으로써, 차양막부재(160)를 간편하게 접을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172) 또는 상기 제2 와이어(173)를 턴버클(171)에서 해제시키면, 상기 차양막부재(160)는 회전서포트부재(15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제1 회전프레임(164), 제2 회전프레임(165), 제3 회전프레임(166) 및 제4 회전프레임(167)을 순차적으로 접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의 구조 및 이와 연관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지면에 베이스부재(1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10) 상면 끝단에서 기설정된 거리에 안착된 받침부재(120)를 따라 회전프레임부재(150)와 바닥판부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50)에는 회전서포트부재(150)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서포트부재(150)에는 차양막부재(160)가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50) 및 상기 차양막부재(160)에 전개조절부재(170)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바닥판부재(130) 위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차양막부재(160)는 전개조절부재(170)를 조절하여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전개조절부재(170)의 제1 와이어(172)를 당겨 상기 턴버클(171)에 결합시키면, 상기 전개조절부재(170)가 팽팽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전개조절부재(170)와 고정되어있던 상기 차양막부재(160)도 완전히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172)는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전개된 상태를 팽팽하게 긴장시켜 줌으로써,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턴버클(171)의 중앙을 회전시켜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각도 및 높이를 조금씩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걷어내고자할 때는 상기 턴버클(171)과 상기 제1 와이어(172) 또는 상기 제2 와이어(173)의 결합을 해제하면 상기 차양막부재(160)는 회전서포트부재(15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회전프레임(164, 165, 166, 167)이 일측으로 모여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손쉽게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탄성조절부재를 구비하여 평상시에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접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상기 제1 와이어(172)를 상기 턴버클(171)과 결합시키면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어서 상기 차양막부재(16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 와이어(172) 및 상기 턴버클(171)의 연결을 해제하는 즉시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자동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가스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가스스프링을 하강시키면, 상기 제3 차양막(163)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차양막(161) 및 제2 차양막(162)은 전개되는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스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인 회전식 차양막 장치(100)는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태양의 고도가 낮은 아침이나 저녁 시간대에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낮은 위치에서 펼칠 수 있고, 태양의 고도가 높은 점심 시간대에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높은 위치에서 펼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방향을 바꾸고 싶을 때,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50)를 회전시켜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방향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손쉽게 바꿀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50)가 상기 받침부재(120)의 롤러(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50)는 상기 롤러(125)가 안내하는 경로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받침부재(120)는 일측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롤러(125)를 구비한 상기 제1 받침부(121) 및 상부를 향하는 방향의 상기 롤러(125)를 구비한 상기 제2 받침부(122)를 교번하여 마련함으로써,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40)의 이동 및 흔들림을 막고,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50) 회전 시, 상기 회전프레임부재(150)의 원주를 따라 권취된 상기 제2 와이어(173)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전개조절부재(170)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상기 차양막부재(16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펜스부재(18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회전프레임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양막의 방향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턴버클을 사용함으로써, 차양막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고, 차양막을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받침부재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차양막 회전 시 차양막 중심의 이동 및 흔들림을 막고,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차양막이 전개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회전식 차양막 장치
110: 베이스부재
111: 프레임
120: 받침부재
121: 제1 받침부
122: 제2 받침부
123: 롤러베이스
124: 롤러프레임
125: 롤러
126: 가로프레임
127: 제1 세로프레임
128: 제2 세로프레임
129: 기어드모터
129A: 전동기
129B: 감속 기어 장치
130: 바닥판부재
140: 회전프레임부재
141: 원형프레임
142: 절곡프레임
143: 고정부
150: 회전서포트부재
151: 제1 회전브래킷
152: 제2 회전브래킷
160: 차양막부재
161: 제1 차양막
162: 제2 차양막
163: 제3 차양막
164: 제1 회전프레임
165: 제2 회전프레임
165a: 제2-1 회전프레임
165b: 제2-2 회전프레임
166: 제3 회전프레임
166a: 제3-1 회전프레임
166b: 제3-2 회전프레임
167: 제4 회전프레임
170: 전개조절부재
171: 턴버클
172: 제1 와이어
173: 제2 와이어
174: 제3 와이어
180: 펜스부재

Claims (6)

  1. 다수 개의 프레임(111)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10);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 끝단에서 기설정된 거리에 안착되고, 제1 받침부(121) 및 제2 받침부(122)로 구성되는 받침부재(120);
    상기 제1받침부(121) 상면에 설치되며,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부재(130);
    상기 제1받침부(121) 측면에 설치되며, 원형 고리형태로 형성되는 원형프레임(141), 다수 개의 절곡프레임(142) 및 다수 개의 고정부(14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회전프레임부재(140);
    상기 절곡프레임(142)에 고정되는 회전서포트부재(150);
    상기 회전서포트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양막부재(160); 및
    상기 차양막부재(160)의 펼침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차양막부재(160)가 펼쳐지는 간격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전개조절부재(17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서포트부재(150)는,
    상기 차양막부재(1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브래킷(151); 및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브래킷(152);을 포함하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121)는,
    사각뿔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 끝단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하여 부착되는 롤러 베이스(123);
    가로프레임(126), 상기 가로프레임(126)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제1 세로프레임(127) 및 제2 세로프레임(128)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세로프레임(127)이 상기 롤러베이스(123)의 상면과 접촉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롤러프레임(124); 및
    상기 제1 세로프레임(127)과 상기 제2 세로프레임(128)의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롤러(12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받침부(122)는,
    가로프레임(126), 상기 가로프레임(126)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마련되는 제1 세로프레임(127) 및 제2 세로프레임(128)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126)이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 끝단에 접촉 결합되는 상기 롤러프레임(124); 및
    상기 제1 세로프레임(127)과 상기 제2 세로프레임(128)의 사이 공간에 마련되는 롤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부재(160)는,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차양막(161);
    상기 제1 차양막(161)과 인접하여 마련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차양막(162);
    상기 제2 차양막(162)과 인접하여 마련되고, 차양 공간을 형성하도록 방사상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차양막(163);
    상기 제1 차양막(161)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프레임(164);
    상기 제1 차양막(161)의 타단과 상기 제2 차양막(162)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프레임(165);
    상기 제2 차양막(162)의 타단과 상기 제3 차양막(163)의 일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고정 결합되는 제3 회전프레임(166); 및
    상기 제3 차양막(163)의 타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 회전브래킷(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회전프레임(167);을 포함하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조절부재(170)는,
    상기 제1 회전프레임(164)에 일단이 고정되고, 턴버클(171)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 와이어(172); 및
    상기 다수 개의 고정부(143)를 통과하며, 일단이 상기 턴버클(171)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제4 회전프레임(167)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173)를 포함하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재(13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 펜스부재(1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차양막 장치
KR1020210050912A 2021-04-20 2021-04-20 회전식 차양막 장치 KR10229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912A KR102296512B1 (ko) 2021-04-20 2021-04-20 회전식 차양막 장치
US17/572,629 US12044029B2 (en) 2021-04-20 2022-01-11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912A KR102296512B1 (ko) 2021-04-20 2021-04-20 회전식 차양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512B1 true KR102296512B1 (ko) 2021-08-31

Family

ID=7748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912A KR102296512B1 (ko) 2021-04-20 2021-04-20 회전식 차양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75B1 (ko) 2022-08-05 2023-05-10 김민소 바닥 회전형 차양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9-06-1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KR20190114459A (ko) * 2018-03-30 2019-10-10 권구중 캐노피 장치
KR102162251B1 (ko) * 2020-02-20 2020-10-06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스마트 회전식 파라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59A (ko) * 2018-03-30 2019-10-10 권구중 캐노피 장치
KR101989051B1 (ko) 2018-06-05 2019-06-13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KR102162251B1 (ko) * 2020-02-20 2020-10-06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스마트 회전식 파라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75B1 (ko) 2022-08-05 2023-05-10 김민소 바닥 회전형 차양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2112A (en) Suspension and actuation systems for specialty window shades
KR100754441B1 (ko) 멀티 쉐이드장치
KR101345274B1 (ko) 스카이 어닝
KR100866344B1 (ko) 롤 블라인드
US11208842B2 (en) Multifunctional dual roll blind having roll screen and roll screen used therefore
GB2421520A (en) Moveable cover or awning
US20060151126A1 (en) Systems and mechanisms for use with double blinds and double shades
US12044029B2 (en) Angle variable multi-stage sunshade device
US7779849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KR102296512B1 (ko) 회전식 차양막 장치
KR102031526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KR20180065576A (ko) 틸트 가능한 롤 블라인드
KR102370816B1 (ko) 각도 가변형 다단 차양막장치
JP2758320B2 (ja) ブラインド
KR101368811B1 (ko) 파라솔
JP2015224452A (ja) 巻き取り式タープ
US1847077A (en) Window shade
KR101618204B1 (ko) 스크린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어닝의 롤러튜브 내부구조
KR100866614B1 (ko) 이중 롤 블라인드
WO2020134526A1 (zh) 一种户外遮阳篷用卷帘开合装置
KR101792567B1 (ko) 주름식 공간분할 디바이더
KR200486630Y1 (ko) 부분 개폐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장치
KR102655816B1 (ko) 다단 가변형 차양막 구조물
KR102656069B1 (ko) 차양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 로프 가이드 유닛
US901715A (en) Awning reflector-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