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200A - 이동식 좌석 및 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좌석 및 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200A
KR20020025200A KR1020027000923A KR20027000923A KR20020025200A KR 20020025200 A KR20020025200 A KR 20020025200A KR 1020027000923 A KR1020027000923 A KR 1020027000923A KR 20027000923 A KR20027000923 A KR 20027000923A KR 20020025200 A KR20020025200 A KR 20020025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ck
seat
deck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츠롤린디
루에드케토마스제이
Original Assignee
케이스 티.달렌
시코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스 티.달렌, 시코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스 티.달렌
Publication of KR2002002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2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04H3/126Foldable, retractable or tiltable tribu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이동식 좌석 라이저 시스템은 데크와 지지받침을 포함한 복수의 라이저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데크와 프레임은 상승구조로 배열된 다른 높이의 다수 레벨을 제공한다. 이동식 극장좌석을 데크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는 극장좌석을 스테이지에 이동 및 고정시킬 프레임에 장착가능한 로크 및 받침을 포함한다. 로크는 받침부와 스테이지 데크의 후방 아래에 자동 연장되는 연동장치를 포함하며 로크 속에 삽입될 때 극장시트의 장착판에 자동으로 고정된다.

Description

이동식 좌석 및 그 고정장치{PORTABLE SEATING AND LOCKING APPARATUS THEREFOR}
경기장, 스타디움, 대강당 및 유사현장과 같은 복합 시설물들은 복합 이벤트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이한 좌석배열이 필요하다. 전형적으로 상기 시설물들은 팔받이를 따라 피벗회전형(pivoting) 좌석부 및 붙박이식 등받이를 갖춘 영구장착된 극장좌석을 포함한다. 이벤트에 대한 입장료가 고가일수록, 참석자들에게 접이식 의자 또는 벤치와 같은 좌석보다는 최상의 대가를 제공하고 안락한 고급좌석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동식 좌석은 벤치 또는 접이식 의자로서만 유효하다. 극장식 좌석은 붙박이식으로 제한되며, 스타디움 또는 대강당에서는 좌석이 위로 갈수록 각 열마다 영구적인 수직벽내에 장착된다. 이동식 좌석이 필요한 공공영역으로는 하키경기, 농구경기 및 콘서트와 같은 다수의 복합이벤트를 치르는 경기장이 있다. 이와 같은 영역은 하키경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경우 대형 하키링크에서 다른 이벤트를치르는 동안도 유효하다. 이같은 좌석은 라이저 상에 설비되며 일반적으로 스테이지 또는 코트에 근접한다. 상기 위치는 일반적으로 스테이지 또는 코트에 근접하여 잘 보일수록 고가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는 임의로 좌석이 유효한 것은 벤치 또는 접이식 의자만이다. 그러므로, 구매자는 라이저 구조도 아니고 잘 보이지도 않는 보다 덜 안락한 좌석에 대해 비싼 값을 지불한다.
일반적으로 극장식 좌석은 뒷면이 수직면에 장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동식 라이저 스테이지 또는 데스크에 맞춘 이동식 좌석은 설계상으로만 시도되었다. 복도측에 폭넓은 공간을 만들기 위해 또한 유사공간에 보다 많은 좌석을 제공함과 동시에 청중에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해, 극장식 좌석은 일반적으로, 접이식 의자의 정면에 다리와 같은, 전방 연장형 받침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동식 스테이지 및 라이저 상에서 극장식 좌석을 지지하면 좌석 고정에 있어서 공간 제한 및 장애를 가져온다. 이동식 라이저에 로크(lock)를 제공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이것이 데스크 상에서 연장하는 영구 붙박이물이라면 이동식 스테이지의 실용성은 감소한다. 또한, 안전상의 이유로 좌석이 스테이지 후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하므로 표준접이식 의자의 후방 다리가 기능할 수 있게 해야한다.
이동식 스테이지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은 스테이지의 후방부에 좌석을 고정할 때 일부 공간적인 장애가 있을 수 있다. 종종, 벽은 이동식 스테이지부 뒤의 상측으로 연장한다. 일반적으로 스테이지는 벽에 근접하여 요구되는 공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스테이지 데스크의 후방좌석은 좌석 줄의 정면에서 복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데스크의 후방에 고정시키는 구조는 공간제한이라는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상승형 구조에서, 각 열들은 가까이 위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1개 열의 후방부 및 다음 열의 전방부 사이의 공간이 작거나 또는 없는 것이 전형적이다. 이들이 개방되어있다 해도 데스크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공간은 매우 제한되며, 모든 로크 상에 추가 디자인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문제점은 상기 좌석 및 그 형태의 이동성 여부에서 생긴다. 데크 및 스테이지는 보관하기 쉽게 이동가능하고 접을 수 있어야 하며, 높이조절기능을 제공해야한다. 상기 시스템은 스테이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며 고정 구조를 스테이지에서 전체적으로 분리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은 청중이 좌석에서 안락함을 느끼도록 충분한 안정성을 제공해야한다. 상기 고정시스템은 또한 용이하게 삽입가능하고 제거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접근이 제한된 데크의 후방에 고정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자체 인도형이어야 하고 용이하게 작동가능해야 하며 제거가능해야한다. 또한 상기 고정시스템은 좌석이 적절한 경우 스테이지에 자동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고정시스템이 의외의 상황에서 느슨해지지 않고 좌석을 확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스테이지와 결합된 프레임 또는 데크의 측면 밑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라이저 구조의 공간제한 조건하에서 로크를 배치시키는 것은 어렵다. 리테이너(retainer)를 데크의 측면아래에 결합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은 원격적으로 행해져야하므로 어렵다. 또한, 상기 결합을 한번 완성한 후, 결합을 해제하고 결합장치를 철회하는 것은 라이저 구조의 공간제한에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설계상의 시도를 나타낸다. 고정장치가 제거하는 동안 잡혀있거나 또는 걸려있다면, 철회 및제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접근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이동식 좌석 라이저(rise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식 극장좌석을 고정하여 데스크를 지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갖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좌석 라이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좌석 라이저 시스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대한 상측면상에서 도 3의 로크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부착전에 스테이지의 상측면상에서 도 3의 로크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스테이지 프레임을 갖춘 정렬된 리테이너 부재를 부착하도록 위치된 도 3의 로크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극장 좌석을 지지하며 스테이지에 부착된 고정된 배치로 도 3의 로크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로크장치를 제거하기위한 해제위치에서 도 3의 로크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좌석 장착 플레이트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근접 스테이지상에 지지된 브릿징 데크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좌석된 라이저 배열의 상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좌석 고정장치 및 좌석된 라이저의 상측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거된 리프트툴 및 스테이지과 결합하는 고정장치를 갖는 본 발명의 좌석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하강된 리프트툴및 스테이지과 결합하는 고정장치를 갖는 도 12의 좌석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작동된 리프트툴 및 스테이지을 고정하고 결합하도록 배치된 고정장치를 갖는 도 12의 좌석 고정장치의 제거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스테이지과의 결합전에 고정장치의 삽입을 위해 작동된 리프트툴 갖는 도 12의 좌석 고정장치의 제거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스테이지 데크들 사이의 제 1 라이즈를 갖는 라이저과 결합하도록 조절된 도 2의 좌석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 1 라이즈보다 큰 스테이지 데크들 사이의 제 2 라이즈를 갖는 라이저과 결합하도록 조절된 도 12의 좌석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 2 라이즈보다 큰 스테이지 데크들 사이의 제 3 라이즈를 갖는 라이저과 결합하도록 조절된 도 12의 좌석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제 3 라이즈보다 큰 스테이지 데크들 사이에서 제 4 라이즈를 갖는 라이저과 결합하도록 조절된 도 12의 좌석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1의 극장 좌석의 좌석 장착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12의 좌석 고정장치의 리프트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10의 좌석 라이저 배열에 대한 안전한 레일의 제거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새롭고 향상된 이동식 좌석 시스템이 필요하게된다. 상기 시스템은 라이저 구조로 된 극장식 좌석을 지지해야한다. 상기 시스템은 라이저의 이동식 스테이지에서 좌석은 물론 고정 및 지지시스템을 완전히 제거해야한다. 상기 시스템은 용이하게 작동가능하며 좌석에 부착 및 지지를 제공한다. 고정 및 지지 시스템은 또한 라이저형 구조와 결합된 제한된 공간에서 쉽게 조작가능해야한다. 본 발명은 이동식 좌석을 제공하는 데에 관련된 상기 요구사항은 물론 다른 문제점까지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 좌석 및 라이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착식 극장식 좌석을 지지하는 라이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좌석은 영구적인 극장식 좌석이 불가능한 공간에서 실용적이지만, 고가의 안락한 좌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라이저형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인접한 이동식 스테이지가 상향하는 높이 구조에 위치됨에 따라 정방의 좌석이 후방의 좌석보다 낮도록 한다. 상기 이동식 스테이지는 사용하지않는 경우 치밀하게 보관되도록, 보관구조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테이지는 지지 프레임을 갖춘 스테이지들 사이에서 엔드 투 엔드 구조로 형성된 브릿징(bridging) 데크를 지지한다. 상기 브릿징 데크는 스테이지로부터 각 말단에서 지지된다. 브릿징 데크 아래에 있는 구조물(framework)이 제거됨에 따라, 시스템은 보다 더 가볍고 꼭 맞게된다.
좌석은 측면 및 붙박이된 백(back)에서 프레임 부재를 갖는 극장식 좌석에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패드(pad) 된 좌석부분은 사용부분 및 상승부분 사이에서 피벗회전(pivot)하여 복도에 더욱 접근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좌석은 지지용으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다리없이 후방의 수직벽내에 장착되는 구조이다. 수직면의 후방에 장착하는 것은 의도되지 않은 몇몇 설계상의 장애이다. 이동식 스테이지은 수평 데크를 제공하지만 수직 장착면은 제공하지않는다. 또한, 스테이지가 데크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수직면을 제공한다면, 이동식 스테이지의 용도는 보류된다. 그러므로, 이동식 로크(고정) 시스템은 탈착식 구조에서 스테이지 데크의 후방 엣지에 있는 스테이지에 좌석을 장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로크 시스템은 극장 착상으로부터 장착 플레이트(plate) 또는 바(bar)를 수용하는 수직 슬롯(slot)을 형성하는 베이스(base)를 포함한다. 상기 극장 좌석은 단일 좌석으로 연결되며 설치된거나 연결된 복합 좌석의 유닛에 설치된다. 로크는 좌석유닛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프레임의 가장 바깥 다리부 각각에 적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록의 제 1 실시예는 스테이지의 데크 및 프레임 뒤쪽과 밑쪽으로 연장하는 연동장치(linkage)상에 장착된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리테이너부재는 프레임의 바닥 바로 밑을 훅으로 매달아서 이동식 스테이지에 로크를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연동장치는 상기 베이스에서 앞쪽으로 연장하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중간링크(link)를 연결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하여 리테이너와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진 후방교차면을 갖춘 두개의 벤드(bend)를 포함함으로써 데크의 후방 엣지에 대해 피벗회전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커버(cover)에 대해 피벗회전형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커버는 피벗회전형적으로 연결된 베이스의 후방에 대해 상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다. 상기 로크는 후방이 데크의 후방엣지를 넘어로 약간 연장하도록 슬라이드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워커(worker)가 액츄에이터의 하측방향에 이르거나 또는 로크를 확보하는 것을 수행하지않고 후방으로부터의 적은 간격내에 맞추기 위함이다. 상기 연동장치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하는 경우 베이스의 후방의 피벗(pivot)이 데크의 백엣지 넘어로 약간 연장하는 데 한해서 리테이너부재가 프레임의 정면엣지를 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훅을 갖춘 프레임의 하측 그리고 하단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고정되며 구성된다. 극장 좌석의 장착 플레이트을 베이스의 슬롯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부재를 하측방향으로 밀어내고 후방을 피벗회전시킴에 따라, 리테이너에 대한 연결링크를 올리고 프레임을 확보하도록 리테이너부재를 상측방향으로 당긴다. 상기 로크는 요구된 툴(tool)없이 자동이다.
상기 로크를 제거하기 위해, 극장 좌석은 베이스로부터 결합해제하도록 상측방향으로 완전히 슬라이드된다. 연동장치의 무게는 리테이너를 프레임에서 해제된 위치까지의 하측방향으로 제거시키지만, 여전히 프레임밑으로 연장한다. 상기 로크를 정면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은 연동장치를 후방으로 약간 연장하게하여 리테이너의 훅 위치가 프레임의 바닥상에 캐치하지않도록 한다. 액츄에이터를 하측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훅부재는 위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캐칭없이 데크의 후방엣지에 걸쳐 슬라이드된다. 이는 툴(tool)없이 데크 또는 프레임의 엣지상에 캐칭없이 로크를 제거하며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을 제공한다.
제 2 실시예는 좌석록이 좌석록 아래의 프레임보다는 다음의 보다 높은 데크의 스테이지 데크의 프레임과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로크는 베이스에 수직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제 2 부재를 갖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훅은 베이스의 후방에서 연장하며 아래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후방레일(rail) 또는 근접하는 더 높은 스테이지 데크의 로크 뒤의 프레임의 바닥과 결합한다. 상기 훅은 베이스에 대해 피벗회전하며 제 2 부재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것과 같이 위 아래로 이동한다. 제 2 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훅은 근접 데크의 프레임 아래로 연장하는 훅의 립(lip)과 함께 떨어진다. 제 2 부재가 하강하는 경우 훅은 프레임과 함께 결합위치에서 피벗회전된다.
또한 제 2 좌석 로크는 제 2 부재상에 장착되며 결합되는 경우 베이스와 결합하는 멈추개(stop)을 포함한다. 상기 멈추개은 제 2 부재가 리프트되는 것을 막으며, 이에 따라 훅이 프레임에서 결합해제되는 것을 막는다. 제 2 훅은 제 2 부재를 들어올리도록 하는 동작하는 툴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트 툴은 제 2 부재의 정면상에서 노치(notch)와 결합하며 제 2 부재를 용이하게 들어올리는 데 있어서 기능적 잇점을 사용함으로써, 훅을 낮춰서 로크가 프레임 밑에서부터 당겨지거나 또는 슬라이드시킨다. 상기 베이스는 수직으로 배치된 부분 장착홀(hole)을 포함한다. 상기 훅은 스테이지 데크들 사이의 라이즈(rise)에 상응하는 홀들 중 하나에 장착가능하다. 상기 구조는 다른 라이즈들을 수용하기 위해 훅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새로운 특성 및 본 발명을 특징짓는 그외 다양한 잇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이는 일반적으로 설계된 이동식 라이저 좌석 시스템(2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20)은 여러가지 높이의 이동식 스테이지(22, 24, 26, 28)을 포함하는 것으로 극장식 좌석(30)을 지지하는 라이저 시스템을 형성한다. 이동식 시스템(20)을 형성하는 탈착식 좌석(30) 및 상기 이동식 스테이지(22, 24, 26, 28)은 개선된 관람라인과 안락함을 위해 상승하는 줄로된 극장 좌석(30)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스테이지(22)만을 기술하지만, 다른 높이로 된 스테이지(24, 26, 28)상에서도 유사한 구조가 나타난다. 스테이지(22)는 구조물(52)상에 지지된 상측데크(50)를 포함하는 것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보관에 맞게 접히는 것이다. 레그(54)는 보관위치에서 데크(50)의 하측면에 접히며 구조물 접음으로써 작동된다. 다양한 스테이지(22, 24, 26 28)는 상호고정 부재(64, 66)을 갖춘 근접 스테이지에 확보되는데 그 예로는 도 9에 도시된 브릿징 데크가 있다.
상기 시스템(20)은 유연성이 있으며 다른 넓이와 다른 부재의 줄을 수용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전형적인 형태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스테이지, 또는 접히는 라이저,는 스테이지들 사이에서 브릿징 데크를 지지하며 서로 번갈아 교차한다. 좌석은 각 좌석에 쉽게 접근하기 위한 복도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설치된 라이저 시스템(20)은 또한 연장된 넓이의 라이저에대한 프레임(62)상에 지지된 브릿징 데크(60)을 포함한다. 브릿징 데크(60)의 말단은 각각의 스테이지(22)에 엔드 투 엔드로 부착됨으로써 연장된 스테이지면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데크(60)은 상호고정 부재(64, 66)으로 확보된다. 이와 같은 배열로, 연장된 스테이지면은 각 브릿징 데크(60) 아래의 레그(54)없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경제적으로 유용하며 다루기 용이하고 보관공간이 거의 필요하지않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극장 좌석(30)은 전형적으로 스테이지상의 장착용 유닛으로서 결합된 복수의 좌석을 포함한다. 영구 극장 좌석은 종종 스타디움 또는 경기장에서 극장좌석뒤의 수직면에 장착된다. 좌석 유닛은 피보팅 좌석(34)를 지지하는 프레임(32)을 포함하는 것으로 백(36)에도 패드된다. 암 레스트(38)는 좌석(34) 및 백(36)의 다른 면상에서 연장하며 근접 좌석들 사이에 분담된다. 일반적으로 좌석(34)은 스프링 로드되거나 또는 고정됨으로써 상측으로 약간 기울며 피벗회전함으로써 사용배치의 하부로 당겨져야한다. 좌석 점유자의 무게는 전형적으로 더욱 낮춘 자세로 좌석을 유지한다. 레그(42)는 프레임(32)에서 후측 및 하측으로 연장하며 장착바(bar) 또는 장착플레이트(plate)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서 로크를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수직으로 연장하는데, 이는 하기에 기술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착플레이트(44)은 로케이터(locator) 또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볼 디텐트(detent)(46)와 같은 것은 좌석받침에 형성된 리세스(recess)(48)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낮춰지거나 또는 높여진 상태에서 장착플레이트(44)을 잡기위함이다. 극장 좌석(30)이 일반적으로 기술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구조는 본 발명의 개념에 속하지않을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좌석 로크(lock)(100)의 제 1 실시예는 좌석(30)을 지지하며 스테이지(22)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크(100)은 좌석 또는 장착바의 레그(42)에 슬라이딩 액츄에이터 또는 개별 액츄에이터과 함께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상기 로크(100)은 슬롯(106)을 형성하는 좌석받침(104) 및 베이스(102)을 포함하는 것으로 슬롯은 로크(100)을 작동하고 스테이지(22)를 자동으로 확보하는 장착플레이트(44)을 수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좌석받침(104)는 좌석받침(104)를 통해 슬롯(106)의 측면에 형성된 홀(48) 또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슬롯은 디텐트(46)를 수용하며 장착플레이트(44)을 특정높이에서 장착하는 구조로 된다. 일반적으로 설계된 연동장치(108)는 스테이지(22)의 후방엣지에서 프레임(52)에 고정하고 작동시킨다.
록(100)에 대한 연동장치(108)는 액츄에이터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부재는 로크(100)의 정면에서 접근가능한 제 1 부분(112)을 가지며 쉽게 작동하고 매달리도록 상측각도에서 연장한다. 제 1 부분(112)은 제 3 부분(116)에 후방으로 연장하는 중간부분(114)을 연결한다. 상기 제 3 부분(116)은 중간링크(120)에서의 피벗(150)을 경첩식으로 연결한다. 상기 중간링크(120)는 데크(50) 및 프레임(52) 뒤의 하측방향으로 연장하며 약간 휜 것으로 제 2 피벗(152)에서 리테이너(140)를 경첩식으로 연결한다. 리테이너(140)는 스테이지 프레임(52)의 낮춰진 부분을 수용하는 구조로 된 단면을 갖춘 수용영역을 형성하는 립부분(142)을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140)은 또한 제 3 피벗(154)에서 커버부재(130)를 연결한다.상기 커버부재(130)는 자동으로 고정 및 비고정하기 위한 배치로 연동장치를 유지하며 보조하도록 구성되며 휘어진 결합면(1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로크는 제거용으로 배치되고 작동된다. 상측말단에서, 오른쪽으로 각도된 부분(134)은 전방으로 연장하며 베이스(102)의 후방을 경첩식으로 연결하는 제 4 피벗(156)을 포함한다.
라이저 좌석 시스템(20)을 설정하기 위해, 상승된 스테이지(22, 24, 26, 28)는 접히지않으며 높아지는 배열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좌석 요구사항에 따라, 브릿징 데크(60)가 첨가된다. 두 스테이지(22) 및 브릿징 데크(60)이 도시되어 있지만, 추가 브릿징 데크(60) 및 스테이지(22)는 대량으로 연장된 고정 라이저시스템을 형성하도록 추가되는 것으로, 도 10을 참조한다. 근접 스테이지(22, 24, 26, 28)는라이저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또다른 것에 연결된다. 스테이지가 똑바로 세워진다면, 로크(100)은 다양한 스테이지상에 설치되며 부분별로 배치됨으로써 좌석(30)으로부터 장착플레이트(44)을 수용하도록 한다. 로크(100)이 레그(42)의 한 부분으로 또는 장착바(160)상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면, 좌석유닛(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치에서 로크(100)에 부착되도록 설치된다. 좌석(30)은 두개의 좌석 로크(100)을 포함하는 각각의 좌석유닛으로 된 복합좌석을 갖는 유닛으로 배열된다. 로크(100)을 설치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데크(50)의 정상부상을 베이스로 하여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배치된 경우, 로크(100)은 연동장치(108)가 도 5에 도시된 배치로 자가 정렬하는 리테이너 요소(140)로 하부방향으로 연장할 때까지 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도 4를참조하면, 상기 로크(100)은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동장치 및 고정된 액츄에이터(110)으로 배열됨으로써 정방부분에서 상승된 배치로 된다. 중간링크(120)는 하부방향으로 연장하는 립(142)을 포함시키기 위해 리테이너(140)를 강제한다.
상기 로크(10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로 후방으로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중간링크(120) 및 커버(130)은 하부방향 및 약간 후방향으로 연장한다. 중간링크(120) 및 결합면(132)에서 휘기때문에, 데크(50)의 후방 및 수직벽 또는 다른 스테이지(24) 사이에 연동장치(108)가 동작할 수 있도록 2인치보다 약간 넓은 간격이 필요하다. 상기 연동장치(108)는 고정되며 구성됨으로써 충분히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는 경우, 리테이너(140)가 프레임(52)의 정면엣지 넘어로 정방향으로 돌출하는 립으로 연장한다. 제 1 피벗(150)은 스테이지 데크(50)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액츄에이터(110)는 제 3 영역(116)상의 데크(50)의 후방엣지에 놓여있게된다. 이는 액츄에이터(110)가 로크 베이스(102)에서 따로 떨어진 중간영역(114)의 상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한다.
도 5와 같이 배치된 경우, 로크(100)은 장착플레이트(44)을 좌석(30)에서 수용하며 프레임(52)에 좌석을 자동으로 확보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착플레이트(44)이 슬롯(106)내에서 낮춰지는 경우, 플레이트(44)은 액츄에이터(110)의 상측면과 결합하며 플레이트(44)의 더 낮은 엣지는 슬롯(106)의 낮은 말단상에 놓여진다. 상기 동작은 액츄에이터링크(110)을 데크(50)의 후방엣지에 대해 피벗하고, 이에 따라 제 1 피벗(150)을 상승시킨다. 제 1 피벗(150)을 상승시키는 것이 중간링크(120)를 상측방향으로 당기며, 이에 따라 제 2 피벗(152)를 상측방향으로 당겨지게되고 리테이너(140)를 상승시키게 함에 따라 립(142)은 프레임부재(52)를 따라 정면으로 연장하고 로크는 스테이지(22)와 결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배치에서, 연동장치(108)가 고정된 배치에서 확보됨으로써 로크(100)은 제거될 수 없다. 상기 좌석(30)은 배치되어 좌석점유자 및 좌석의 중량의 중앙은 로크 베이스(102)의 정면이 된다. 그러나, 로크(100)이 후방에서 확보되기 때문에, 모든 정방 톨크(torque)는 연동장치(108)에 의해 프레임(52)에 확보된 리테이너(140)와 함께 상쇄된다. 로크(100)에 대한 좌석(30)의 결합은 장착플레이트(44)이 슬롯(106)내에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그리고 요구된 툴없이 자동으로 결합하도록 액츄에이터(110)의 상측면을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완성된다.
좌석(30) 및 로크(100)이 제거되는 경우, 좌석유닛(30)은 좌석(30)을 상측방향으로 직접 당김으로써 로크에서 쉽게 적출되고 그 결과 장착플레이트(44)은 슬롯(106) 밖으로 슬라이드하게된다. 탭(tab)(46)이 액츄에이터(110)의 정상을 결합해제하는 경우, 로크(100) 및 연동장치(108)은 도 5에 도시된 배치로 복귀하도록 고정된다. 상기 배치에서, 리테이너(140)은 프레임부재(52)의 정면에서 결합해제한다. 전체 로크(100)을 정방향으로 간단하게 당김으로써, 연동장치(108)는 데크(50)의 상측 후방코너상에서 커버(130)의 바닥 및 리테이너(140)을 상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커버의 결합면(132)으로 피벗회전한다. 그러나, 립(142)이 하부방향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로크를 정방향으로 계속 당기는 것은 립(140)을 데크(50)의 후방상에서 캐치시킨다. 캐칭을 피하기 위해, 리테이너(140)이 프레임(52)뒤로 부분적으로 상승되는 경우, 액츄에이터(110)가 정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중간링크(120)는 리테이너(140)의 정방향 부분을 정방향 및 상측방향으로 당긴다. 이는 립(142)을 결합면(132) 뒤의 상측방향으로 연장하게하는 것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로크(100)을 정방향으로 추가 이동하는 것은 연동장치(108)를 결합면(132)상에서 움직이게하면서 리테이너(140)가 커버(130)과 결합하도록 상측방향으로 당겨지게하는 것으로, 데크(50)의 후방엣지를 제거한다.
상기 로크(100)은 단순히 정방향으로 당겨지거나 또는 들어내어진다. 상기 로크(100)은 좌석(30)을 수초동안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스테이지(22)의 후방에서 수초동안 툴없이 당겨질 수 있다. 로크(100)은 데크(50)들 사이에서 복수가 다르게 상승하는 상태에서 라이저 시스템 데크에 동일하게 부착한다. 또한, 상승된 스테이지을 배치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벽 또는 다른 스테이지가 데크의 후방에 근접하도록 배치시키며 데크(50) 위로 연장하도록 한다. 이는 용이한 접근을 방해함으로써 근무자가 기능을 확보하는 모든 타입을 접근하기 위해 손을 스테이지 뒤의 하부방향으로 연장 할 수 없게한다. 그러나, 이같은 접근은 본 발명에서 요구된 바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드러나며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액츄에이터(110)의 정면으로 연동장치를 잡는 오퍼레이터(operator)를 제공한다. 또한, 로크(100)의 결합은 좌석(30)을 로크(100)내에 삽입하는 데 있어서 자동적이다. 상기 로크(100)은 또한 요구된 소형 후방 간격으로 매우 좁은 공간에서의 동작을 제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정된 라이저 시스템(20)은 로크(200)의 제 2 실시예상에 장착된 좌석(30)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로크(200)은 로크(100)과 유사하며 좌석(30)이 좌석(30)의 정면에서 데크(50)상에 고정하도록 지지한다. 그러나, 로크(200)은 데크(50)의 프레임(52)을 좌석(30)밑의 데크(50)의 프레임(52)보다는 좌석(30) 뒤로 즉시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 로크(200)이 후방에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 레일(170)은 가장 높은 데크(28)에서 좌석(30)의 가장 낮은 줄을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22를 참조한다. 이같은 라이저는 확보 및 안정상의 이유때문에 전형적으로 안정 레일(170)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추가 변형 및 비용으로 로크(200)을 수용하는 데에 손해를 입지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로크(200)은 베이스(202)를 포함하는 것으로 다음 스테이지 데크(50)에 밀어올려져서 놓여지고 더 높은 근접 데크(50)의 프레임(52)을 결합하는 상태에서 후방 스테이지 데크(50)에 놓여진다. 상기 베이스(202)는 상측방향 및 후방향으로 약간 기울어진 낮은 부분을 연장하는 정방향부분과 후방에서의 라이저부분을 포함한다. 낮은 프릭션 패드(250)은 베이스(202)의 하부면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스테이지 데크(50)의 표면상에서 보다 더 쉽게 슬라이딩하도록 하는데, 종종 안티-스키드면을 갖는다. 훅부재(204)는 베이스(202)의 후방밖으로 연장하며 경첩 또는 피벗 포인트(212)에 대해 피벗회전형으로 장착된다. 훅(204)의 수직배치는 스테이지 데크(50) 사이의 다른 라이즈를 수용하도록 조절되는 것으로 하기에 기술한다. 제 2 이동식 링크(206)은 베이스(202)에 스라이드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도 12의 낮춰진 배치 및 도 14 및 도 15의 높아진 배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툴(300)은 제 2 부재(206)을 들어올리고 베이스(202)의 상측으로 기울어진 면을 피보팅함으로써 훅(204)을 동작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도 12, 도 13, 도 20을 참조하면, 제 2 부재(206)은 멈추개(208)에 의해 배치에 고정된다. 멈추개(208)은 제 2 부재(206)상에 장착된 피벗(242)에 대해 회전하며 리테이너(246)의 아래로 연장하는 L형부분(240)을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246)은 밑으로 연장하며 멈추개으로 동작하는 다른 돌출(244) 또는 볼트를 결합한다. 상기 멈추개(208)이 고정됨으로써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중량은 리프트툴(300)에 의해 동작될 때까지 결합된 배치에서 멈추개(208)을 배치하도록 작용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 2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된 부재(206)은 립(238)을 갖춘 노치(2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리프트툴(300)상에서 결합로드(rod)(312)를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부재(206)은 베이스(202)에 대해 수직이동을 제공하며, 더 낮춰진 배치 및 높아진 배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고, 볼트 또는 스트류(232)상에 슬라이딩하는 슬롯(230)을 포함한다. 제 2 링크(206)의 후방에서, 낮춰진 결합면(236)은 훅(204)과 상호작용하여 결합된 배치 및 결합해제된 배치 사이의 이동 및 동작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낮춰진 결합면(236)은 스페이서 블럭(248)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라이저 높이로 된 다른 수직 훅 장착배치들을 수용한다. 상기 훅(204)은 제 2 부재(206)의 표면(236)과 상호작용하는 상측결합면(216)을 포함한다. 상기 훅(204)은 프레임부재(52)를 수용하기 위해 채널(220)을 형성하는 립(218)을 포함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리프트툴(300)은 프레임 오른쪽 상측부분(306)의 정상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연장하는 핸들(302)를 포함한다. 교차부재(308)은 추가지지를 제공한다. 상기 리프트툴(300)은 차축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바퀴(310)에 장착되기도 하는 피벗부분(304)을 포함한다. 결합로드(312)는 실질적으로 수평연장하며 로크(200)의 제 2 실시예의 노치(210)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로드(312)는 두개의 극장좌석(30)의 좌석유닛에 대해 따로 떨어진 두개의 로크(200)을 결합할 수 있는 넓이로 연장함과 동시에 단일 근무자에 의해 로크 및 좌석을 제거 및 삽입할 수 있는 넓이로 연장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좌석(30)은 단일좌석, 더블유닛 또는 그 이상으로 장착되며 전형적으로 로크(200)의 제 2 실시예의 베이스(202)에 장착하는 장착바(160)을 포함한다. 상기 바(160)은 또한 좌석 로크(100)의 제 1 실시예의 장착플레이트(44)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장착바(160)는 극장좌석(30)의 레그(42)를 수용한다. 각각의 극장 좌석 제조자는 다른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기 장착바(160)는 다양한 종류의 장착 각각에 맞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바는 U-볼트를 수용하며, 레그는 바(160)의 페이스에 직접적으로 볼트시키거나, 또는 바(160)의 정상에 걸쳐 삽입한다. 상기 장착바(160)는 각각의 말단에서 연장하며 다음 근접하는 장착바에서 결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좌석(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에서 유지된다.
도 16 내지 도 1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데크(50) 사이에서의 다른 상승에 맞도록 조절한다. 좌석시스템(20)이 요구되는 경기장의 구조에 따라, 다른 사이트라인을 제공하는 다른 라이즈를 필요로한다. 전형적인 라이즈의 예로는 5-인치, 6-인치, 7-인치, 8-인치 라이즈가 있다. 가각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있다. 본 발명은 각 실시예(100 또는 200)의 다른 높이에 맞도록 조절을 제공한다. 로크(100)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즈의 변경에 따라, 연동장치(108)는 프레임부재(52)가 스테이지 데크(50) 및 베이스(102)와 같은 거리로 유지되는 것과 같이 형을 바꾸도록 요구되지는 않는다. 프레임(52) 및 다음 낮춰진 데크(50) 사이의 공간은 로크(100)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제 2 실시예(200)에 있어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좌석(30)을 수용하는 데크와 좌석(30)의 후방에서의 보다 더 높은 근접 데크 사이에서 라이즈가 변경되기때문에, 훅(204)의 배치는 높이변경을 수용할 수 있어야한다. 이같은 상이함을 조성하기 위해, 장착 홀(214)은 베이스(202)의 후방에서 수직으로 따로 공간된다. 상기 홀(214)는 표준 라이즈에 상응하는 증가량으로 수직으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피벗(212)를 이동함으로써, 훅(204)의 배치는 수직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즈 A에 있어서, 훅(204)는 가장 낮은 장착 홀(214)에 장착된다. 도 17에서, 오리피스(orifice)는 중간 오리피스(214)에서 6인치의 라이즈 B의 상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8에 도시된 7인치의 라이즈 C, 또는 도 19의 8인치의 라이즈 D에 있어서, 피벗(212)는 가장 위에 있는 장착 홀(214)로 이동해야한다. 추가로, 8인치 라이즈에 있어서, 스페이서(spacer) 부재(222)는 볼트 또는 다른 조이는것(223)으로 훅(204)에 부착된다. 상기 스페이서 부재(222)는 훅(204)과 유사한 형태로 프레임부재(52)를 수용하는 채널 및 립을 형성한다.
상기 훅(204)의 배치에 추가로, 결합면(236)은 표면(216)에서 훅의 정상을 결합하도록 유지되어야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200)이, 바닥의 두 오리피스(214) 중 하나에 상응하는, 5 또는 6인치의 라이즈에 설정되는 경우, 결합면은 스페이서 블럭(248) 밑에 배치되어야한다. 상기 결합면(236)은 상기 낮은 라이즈에서 훅(204)의 표면(216)을 결합하도록 스페이서 블럭(248)을 삽입함으로써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면, 1인치 블럭 또는 오리피스(214)들 사이의 표준 공간에 상응하는 다른 높이가 삽입된다. 스테이지(20)이, 도 16과 같은 형태에 상응하는, 가장 낮은 라이즈로 구성되는 경우, 장착 오리피스(214)의 정상 및 바닥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는 보다 높은 스페이서(248)가 삽입되는 것으로, 대개 2인치이다.
상기 스테이지(20)이 보다 높은 라이즈에 설정되는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236)이 스라이딩 부재(206)의 후방부분의 바닥에 있을 때 공간부재가 필요하지않게된다. 가장 높은 라이즈에 있어서, 훅(204)이 스페이서(222)에 맞게 변경되기 때문에, 훅(204) 및 슬라이딩 부재(206) 사이의 상대배치는 7인치 라이즈와 동일한 것으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한다. 이에 따라, 7인치 또는 8인치 라이즈 사이에서 라이즈가 변경되는 것을 수용하도록 슬라이딩 부재(206)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1인치의 공간이 기술되어있지만, 장착 오리피스(214)들간의 상이한 거리 및/또는 상이한 스페이서(248)에 의해 다른 증가량이 사용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22은, 좌석시스템(20)의 후방 및 측면상에서 연장하는 좌석 안전레일(170)에 대한 바람직한 장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정 스크류(172)는 스테이지에 장착된 외부 튜빙(178)에 부착된 장착 플레이트(176)상에서 내부적으로 스레드된 슬리브(174)내에 삽입하고, 레일(170)의 장착 레그(180)의 플레이트(184)에서 오리피스(182)내에 삽입하여 레일(170)의 제거를 막는다. 설정 스크류 또는 볼트(172)는 장착 레그(180) 및 외부 슈빙 사이에서 로크으로 동작하므로, 이에 따라 레일(170)은 설정 스크류 또는 다른 볼트(172)를 제 1로 제거하지않고는 상측방향으로 당겨질 수 없다. 로크(200)을 삽입 및 결합하기 위해, 툴(300)은 베이스(202)의 상측면상의 피벗부분(304) 및 노치(210)를 결합하는 결합로드(312)로 베이스(202)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 15를 참조한다. 결합로드(312)를 노치(210)내에 삽입하는 것은 멈추개(208)을 돌출(244)과의 결합밖으로 밀어낸다. 이같은 이동은 제 2 부재(206)을 상승시킨다. 상기 툴(300)이 피벗회전되고 그다음 결합로드(312) 및 제 2 부재(206)가 들어올려진다. 제 2 부재(206)을 들어올리는 것은 훅(204)를 하측으로 피벗회전시킨다. 훅(204)가 낮춰지는 경우, 로크(200)은 후방으로 밀려지면서 툴(300)은 피벗회전되고 제 2 부재(206)은 들어올려진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훅(204)이 프레임(52) 밑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립(218)이 프레임(52) 뒤에 있게된다. 훅(204)이 배치되는 경우, 결합로드(312)는 낮춰지고, 이에 따라 제 2 부재가 낮아지며 훅(204)이 프레임(52)과의 결합내로 피벗회전된다. 툴(300)이 제 2 부재(206)으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경우, 프레임(52)의 바닥은 채널(220)내로 프레임뒤로 연장하는 훅(218)와 함께 연장하는 것으로, 도 13 참조, 이는 로크(200)이 외부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막는다. 상기 툴(300)이 제거되는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200)이 좌석(30)을 안정시킴으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피벗회전하지 못하게한다.
상기 로크(200)을 제거하기 위해, 결합로드(312)는 노치(210)내에 삽입되며 제 2 부재(206)을 들어올리도록 피벗회전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훅(204)를 밑으로 피벗회전함으로써 립(218)이 프레임(52)의 바닥보다 낮아지게 하는 것으로, 도 14를 참조한다. 그다음 상기 로크(2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진 제 2 부재(206) 및 낮춰진 훅(204)과 함께 정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 로크(200)이 이동되어 훅(204)이 프레임(52)의 정방향에 있게되는 경우, 결합로드(312)는 낮춰진다. 상기 로크(200)은 결합해제되며 좌석(30) 및 로크(200)은 스테이지 시스템(20)에서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분리가능한 극장식 좌석을 지지하는 라이저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이동식 좌석은 영구적인 극장식 좌석이 불가능한 공간에서 실용적이면서도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9)

  1. 수평 데크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구조;
    하측 후방부에 지지수단을 갖는 이동식 극장좌석;
    지지수단에 부착되고 또한 프레임 위 및 아래에 고정되는 탈착식 마운트로서, 지지수단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는 마운트를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좌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운트는 극장좌석받침수단의 보완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좌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마운트는 결합부를 원격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연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좌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좌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마운트는 프레임의 이면부를 구속할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좌석장치.
  6. 하측에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에 물품을 지지할 고정장치로서, 상기 고정장치는; 고정될 물품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탈착식 리시버;
    프레임을 구속하고 리시버를 데크에 고정시킬 리테이너 부재;
    훅부재에 부착되며 훅부재를 결합위치의 내외로 이동시킬 연동장치;
    연동장치를 작동시킬 액추에이터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리시버는 보완부재를 수용하도록 적용된 슬롯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보완부재의 삽입은 핸들을 구속하고 리테이너 부재를 고정하여 리시버를 데크에 고정 및 물품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보완부재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0. 프레임의 외부엣지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로서,
    프레임 위의 제1면에 장착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프레임의 외부엣지에 걸쳐 연장되는 커버;
    커버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프레임의 이면부를 구속할 리테이너;
    리테이너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제1링크; 및
    제1링크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제1면 위로 연장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커버가 프레임의 외부엣지 밑으로 하향연장 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프레임 밑으로 연장하도록 배치 및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프레임의 내부엣지에 근접하도록 상향연장되는 핑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제1링크 방향으로 하향연장되는 경사진 제1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상향 경사진 제2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베이스를 통해 형성된 통로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7. 프레임을 갖는 데크에 제1부재를 고정시키는 지지장치로서, 상기 지지장치는
    리시버부를 포함하는 지지하우징;
    리시버부를 구속할 제1부재에 장착되고 및 리시버부에 의해 지지되는 보완부재;
    프레임의 이면부를 구속하고 프레임을 고정하도록 적용된 리테이너; 및
    리테이너에 연결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되, 리테이너는 연동장치의 동작 중에 프레임의 이면부를 구속하고,
    보완부재는 리시버부 속에 삽입시 연동부재를 구속 및 자동으로 작동시키고,
    슬롯은 연동부재 상에 위치하고; 또한
    보완부재가 슬롯에 삽입되어 액추에이터를 구속 및 액추에이터의 제1말단을 당김으로써, 이에 의해 제1링크 및 리테이너를 위로 당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18. 데크를 포함하고 프레임을 지지하는 복수의 라이저 스테이지로, 스테이지가 복수의 높이를 갖고 상승구조로 배열되며;
    복수의 이동식 극장좌석과;
    극장좌석을 라이저 스테이지에 탈착식으로 고정할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로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연장되는 스테이지면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높이를 갖는 라이저 스테이지 상에서 각 말단에 지지된 브릿징 데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라이저 스테이지를 연결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록는 지지 프레임의 이면부를 탈착식으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록로 좌석을 구속할 때, 이 로크가 스테이지에 자동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저시스템.
  23. 데크의 후방에 프레임 부재를 갖는 데크 시스템에 시트레그를 고정하는 고정시스템으로서,
    좌석레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에 수직 활주식으로 장착되고 후방에 결합부를 가진 제2 부재;
    베이스 부재의 후방에 피벗식으로 장착되고 제2 부재의 결합부를 구속하는 보완부를 포함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되, 제2 부재를 하강시키면 리테이너 부재가 상향 피벗회전하고 제2 부재를 상승시키면 리테이너가 하향 피벗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록는 베이스에 대하여 제2 부재를 들어올릴 액추에이터 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리테이너 부재는 채널을 형성할 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는 복수의 장착위치를 형성하고, 리테이너는 복수의 다른 높이에서 베이스 부재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제2 부재는 제2 부재와 리테이너 부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탈착식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제2 부재는 액추에이터 툴을 수용할 노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시스템.
  29. 데크 및 데크의 위와 후방의 프레임 부재를 구비한 라이저 구조물에 좌석을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좌석을 구속하기 위해 적용된 로크를 제공하되, 로크는 로크 후방에 피벗식으로 장착된 베이스 및 훅, 또한 베이스 상에서 수직으로 활주하고 훅을 구속할 링크를 구비하는 단계와;
    제2 부재의 일부 아래에 삽입하기 위해 적용된 리프트 로드를 구비한 리프트 툴을 제공하는 단계와;
    프레임 부재의 전방에서 데크에 로크를 배치하는 단계와;
    링크의 일부 아래에 리프트 툴을 삽입하는 단계와;
    리프트 툴을 피벗회전하여 리프트 로드 및 링크를 상승시키고, 이에 의해 훅이 하강하는 단계와;
    훅이 프레임 부재의 아래로 연장할 때까지 로크를 후향 활주시키는 단계와;
    리프트 툴을 피벗회전하여 리프트 로드와 링크를 하강시키고, 이에 의해 훅이 상승하여 프레임 부재와 결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좌석 고정방법.
KR1020027000923A 1999-07-22 2000-06-28 이동식 좌석 및 그 고정장치 KR20020025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922799A 1999-07-22 1999-07-22
US09/359,227 1999-07-22
PCT/US2000/017719 WO2001006894A1 (en) 1999-07-22 2000-06-28 Portable seating and locking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200A true KR20020025200A (ko) 2002-04-03

Family

ID=2341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923A KR20020025200A (ko) 1999-07-22 2000-06-28 이동식 좌석 및 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202652A1 (ko)
JP (1) JP2003505125A (ko)
KR (1) KR20020025200A (ko)
CN (1) CN1361670A (ko)
AR (1) AR026145A1 (ko)
AU (1) AU5772700A (ko)
BR (1) BR0012663A (ko)
CA (1) CA2377173A1 (ko)
WO (1) WO2001006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070283A1 (it) * 2007-04-26 2008-10-27 Poltrona Frau Spa Unita' modulare per una struttura di pavimento per sale di teatro e simili
US8640388B2 (en) 2007-06-08 2014-02-04 Steeldeck Industries Limited Rostrum and support structure
US9848182B2 (en) 2009-12-24 2017-12-19 Magi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d projecting moving images in three dimensions
EP2540935A1 (en) 2011-06-27 2013-01-02 Frank Brusseleers Podium construction for temporary spectator seating
CN105019722A (zh) * 2015-07-02 2015-11-04 李广连 一种旋转板止动用锁架
WO2018009799A1 (en) 2016-07-08 2018-01-11 Magi International Llc Portable motion picture theater
CA3128651A1 (en) * 2020-08-21 2022-02-21 Hussey Seating Company Balcony mounted chair and integral rail sock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9493A (en) * 1933-10-11 1936-11-03 Anthony M Schoenhoff Back rest
US4114947A (en) * 1977-11-18 1978-09-19 Chas. Olson & Sons Detachable seat mounting for buses
US5580130A (en) * 1994-08-16 1996-12-03 Bleacher Comfort Licensing, Llc. Seat for bleachers
DE19515610A1 (de) * 1995-04-28 1996-10-31 Werner Hansal Abnehmbarer Sitzteil zur wahlweisen Einzelsitzbestuhlung von Stadien
JPH0928498A (ja) * 1995-07-14 1997-02-04 Kotobuki:Kk 独立固定式観客席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06894A1 (en) 2001-02-01
CN1361670A (zh) 2002-07-31
BR0012663A (pt) 2002-04-09
AR026145A1 (es) 2003-01-29
AU5772700A (en) 2001-02-13
JP2003505125A (ja) 2003-02-12
CA2377173A1 (en) 2001-02-01
EP1202652A1 (en)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3202B (zh) 椅子的臂装置
US5542748A (en) Quick release anchoring system for a seat assembly
US20050229311A1 (en) Bed frame
US7229084B2 (en) Chair conversion device
US5551757A (en) Fastening system ready-to-assemble furniture
US8438786B2 (en) Flexible venue system
TW310268B (ko)
US6948777B2 (en) Chair with storable ottoman
KR20020025200A (ko) 이동식 좌석 및 그 고정장치
US20110298256A1 (en) Floor track for seating system
US7774868B2 (en) Toilet seat elevator assembly
US20230383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ccess to steps in retracted bleachers
US4467569A (en) Telescopic risers
US4458942A (en) Three-quarter fold retracting chair
KR102279472B1 (ko) 관람석 의자용 수동 잠금장치 브라켓
JPH08228961A (ja) 便座昇降装置
EP3547878B1 (en) Flexible spectator seating
MXPA02000726A (es) Arreglo de asiento portatil y aparato de sujecion para el mismo
US20020074837A1 (en) Storable seating unit
KR102669204B1 (ko) 등받이 회전제어장치가 구비된 수납식 관람석 시스템
WO1998010682A1 (en) Seat structure
JP3533115B2 (ja) 背倒れ式椅子
JP4153437B2 (ja) 階段状観覧席における床形成装置
JP2597198Y2 (ja) 椅子収納型床装置
CZ20013918A3 (cs) Kombinace pro stání a sezení k měnitelnému vybavení trib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