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66U -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66U
KR20130005866U KR2020120002555U KR20120002555U KR20130005866U KR 20130005866 U KR20130005866 U KR 20130005866U KR 2020120002555 U KR2020120002555 U KR 2020120002555U KR 20120002555 U KR20120002555 U KR 20120002555U KR 20130005866 U KR20130005866 U KR 201300058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wning plate
groove
insertion groove
awning
sun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준
Original Assignee
이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준 filed Critical 이석준
Priority to KR2020120002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866U/ko
Publication of KR20130005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되게 벽면에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상부끼움홈, 중간끼움홈 및 하부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의 상면에 적재되며,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부삽입홈이 형성된 상부차양판과; 상기 상부삽입홈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상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끼움홈에 결합되는 상부삽입고리와; 상부영역이 상기 중간끼움홈에 삽입되고,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하부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래킷의 후단부에 상기 상부차양판과 단차지게 배치되는 하부차양판과; 상기 하부삽입홈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하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끼움홈에 결합되는 하부삽입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AWNING HAVING DOUBLE STRUCTURE}
본 고안은 차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차양이 단차지게 형성된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에 관한 것이다.
차양은 주택이나 상가 또는 가건물 등의 외벽에 설치되는 햇빛이나 눈,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132361에는 옥외용 차양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옥외용 차양은 브래킷와, 브래킷 상에 지지되는 덮개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옥외용 차양은 브래킷 상에 덮개판이 덮여지므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길이가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즉, 햇빛을 차폐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해 덮개판을 크게 할 경우 덮개판의 하중을 브래킷가 지지하지 못해 부러지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덮개판에는 빗물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빗물의 무게에 의해 덮개판이 무너져 내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덮개판은 하부에서 부는 바람에 의해 덮개판이 브래킷으로부터 들려져 브래킷와 분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차양은 브래킷를 벽면에 볼트에 의해 일일이 체결하고, 브래킷의 상면에 덮개판을 다시 결합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자의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차양은 브래킷과의 결합을 위해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의 형상때문에 복수개를 서로 적층하여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며 차양의 길이 연장이 용이한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양의 물받이 구조를 개선하여 빗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심미감도 제공할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바람에 의해 차양이 브래킷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양 자체의 판면에 돌출 형상을 구비하지 않아 설치전에 복수개의 차양을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은 서로 이격되게 벽면에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상부끼움홈, 중간끼움홈 및 하부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의 상면에 적재되며,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부삽입홈이 형성된 상부차양판과; 상기 상부삽입홈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상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끼움홈에 결합되는 상부삽입고리와; 상부영역이 상기 중간끼움홈에 삽입되고,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하부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래킷의 후단부에 상기 상부차양판과 단차지게 배치되는 하부차양판과; 상기 하부삽입홈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하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끼움홈에 결합되는 하부삽입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과 상기 상부차양판의 결합영역 및 상기 하부차양판의 결합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결합영역을 은폐하는 상부마감부재와 하부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삽입고리와 상기 하부삽입고리는 상기 상부삽입홈과 상기 하부삽입홈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양은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측면지지브래킷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서로 단차지게 적층배치되므로 차폐면적을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다.
이 때,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겹쳐지는 영역에 바람이 소통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의 단부영역에 각각 물받이를 구비하여 빗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의 형상이 외측방향으로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가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면브래킷과 상부차양판 및 측면지지브래킷이 서로 치합되는 구조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체결부재의 체결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빠르고 신속하게 견고한 차양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차양이 설치되는 장소의 면적을 고려하여 설치시에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에 상부삽입고리와 하부삽입고리를 각각 착탈가능하게 형성하여 조립전에는 복수개의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을 함께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어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조립시에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의 필요한 위치에 상부삽입고리와 하부삽입고리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위치와 형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100)이 설치된 상태의 외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100)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100)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100)은 차양이 설치될 벽면(A)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정면브래킷(140)과, 정면브래킷(140)의 양단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과,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상면에 단차지게 배치되는 상부차양판(120) 및 하부차양판(130)과, 측면지지브래킷(110)과 상부차양판(120)의 결합영역을 은폐하는 상부마감부재(150)와, 측면지지브래킷(110)과 하부차양판(130)의 결합영역을 은폐하는 하부마감부재(160)을 포함한다.
정면브래킷(140)은 차양이 설치될 벽면(A)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길이 결합된다. 정면브래킷(140)은 벽면(A)에 결합되는 정면브래킷본체(141)와, 정면브래킷본체(141)의 판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가이드홈(142)을 형성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43)과, 가이드레일(143)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측면지지브래킷(110)과 결합되는 측면브래킷삽입리브(145)를 포함한다.
정면브래킷본체(141)는 일정 길이를 판상재질로 구비된다. 정면브래킷본체(141)의 길이는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가로길이에 비해 일정길이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면브래킷본체(141)는 내구성을 위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정면브래킷본체(141)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47)에 의해 벽면(A)에 고정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43)은 정면브래킷본체(141)의 판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 돌출형성되어 둘 사이에 가이드홈(142)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143)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홈(142)에는 상부차양판(120)의 상부영역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위치가 구속된다. 이에 의해 상부차양판(120)을 고정하기 위해 상부차양판(120)을 벽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된다.
측면브래킷삽입리브(145)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43) 중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43)의 하면에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정면브래킷결합홈(119)에 결합된다. 이러한 측면브래킷삽입리브(145)와 정면브래킷결합홈(119)의 결합구조에 의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고정시에 작업자는 측면지지브래킷(110)의 하부영역만 체결부재로 체결하게 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된다.
즉, 정면브래킷(140)의 설치에 의해 측면지지브래킷(110)과 상부차양판(120)의 위치고정구조가 간편해지므로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측면지지브래킷(110)은 아치형상을 갖는 측면브래킷본체(111)와,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양측에 연장형성되어 측면브래킷본체(111)를 벽면(A)에 고정하는 고정리브(112)와,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면을 따라 상부끼움홈(113a), 중간끼움홈(115a) 및 하부끼움홈(117a)이 형성되도록 돌출형성된 상부끼움돌기(113), 중간끼움돌기(115) 및 하부끼움돌기(117)를 포함한다.
측면브래킷본체(111)는 상면에 적재되는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일정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된다.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수평길이는 상부차양판(120)의 길이와 하부차양판(130)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계된다.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도 원호형상으로 적재되게 된다.
여기서,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부영역은 정면브래킷(140)에 접촉지지되고, 하부영역은 고정리브(112)가 벽면에 체결부재(112a)에 의해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측면브래킷본체(11)의 상부영역은 정면브래킷(140)의 가이드레일(135)와 정면브래킷결합홈(119)에 끼워맞춰지도록 형성된다.
즉, 측면지지브래킷(110) 설치시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정면브래킷결합홈(119)이 측면브래킷삽입리브(145)를 수용하도록 측면브래킷본체(111)를 정면브래킷(140)의 하부영역에 밀착시키고 체결부재(112a)를 벽면에 결합시켜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 때, 작업자는 측면지지브래킷(110)을 정면브래킷(140)의 가이드레일(143) 하부영역으로 밀착시킨 후 하부영역만 체결부재(112a)로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공수가 줄어들게 된다.
상부끼움돌기(113)와 중간끼움돌기(115) 및 하부끼움돌기(117)는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면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상부끼움돌기(113), 중간끼움돌기(115) 및 하부끼움돌기(117)가 측면브래킷본체(111)의 상면에 일정길이 돌출되게 되므로 각 끼움돌기(113,115,117))의 하부영역에는 상부끼움홈(113a), 중간끼움홈(115a) 및 하부끼움홈(117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끼움돌기(113)과 하부끼움돌기(117)의 표면에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끼움요철(113b)과 제2끼움요철(117a)이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요철되는 형상과 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거나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요철간의 높이와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부차양판(120)은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전면에 적재된다. 상부차양판(120)은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상면에 덮혀지며 햇빛을 가리는 상부차양판본체(121)와, 상부차양판본체(121)의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함몰형성되어 상부삽입고리()가 삽입되는 상부삽입홈(127)과, 상부삽입홈(127)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부삽입고리(123)를 포함한다.
상부차양판본체(121)는 상부끼움홈(113a)과 중간끼움홈(115a)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부차양판본체(121)의 하부영역은 중간끼움홈(115a)에 대해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면을 커버하여 적층구조를 이루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은 측면지지브래킷(110)의 가운데 영역에서 서로 적층되며 다단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다단구조에 의해 외부로 보이는 디자인적인 요소가 배가되어 차양이 단순히 햇빛을 가리는 용도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관을 부각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본체(121)의 하단면에는 상부물받이(125)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상부물받이(125)가 상부차양판본체(121)에 대해 돌출 형성되므로 상부차양판본체(121)를 따라 빗물이 넘치거나 쌓이지 않고 양측면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빗물의 무게에 의해 상부차양판(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부물받이(125)는 판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되므로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다단구조를 보다 강조하고 디자인적인 요소도 부가시킬 수 있다.
상부차양판본체(121)의 가운데 영역에는 가로방향으로 상부삽입홈(127)이 일정깊이 함몰 형성된다. 상부삽입홈(127)은 상부삽입고리(123)의 삽입판(123b)이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부삽입홈(127)은 내부에 삽입된 상부삽입고리(123)의 삽입판(123b)이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입구의 폭이 내측영역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부삽입고리(123)는 상부차양판본체(121)의 상부삽입홈(127)에 삽입된다. 상부삽입고리(123)는 상부차양판(120)의 조립전에는 상부차양판(120)과 별도로 독립적으로 보관되고, 조립시에 상부차양판(12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이에 의해 상부차양판본체(121)는 판면에 돌출된 형상없이 평면형태를 유지하므로 복수개를 적층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상부삽입고리(123)는 상부삽입홈(127)에 삽입되는 삽입판(123b)과, 삽입판(123b)의 하부영역으로 연장형성되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상부끼움홈(113a)에 후크결합되는 삽입고리(123a)로 형성된다. 삽입판(123b)은 상부삽입홈(12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삽입고리(123a)는 상부끼움돌기(113)와 상부끼움홈(113a)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이 상부차양판(120)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부삽입고리(123)는 한 쌍이 상부삽입홈(127)의 좌우측에 결합되어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에 결합된다.
하부차양판(130)은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의 후단부영역에 적재된다. 하부차양판(130)은 측면지지브래킷(110) 상에 적재되는 하부차양판본체(131)와,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부영역에 구비되어 중간끼움홈(115a)에 삽입되는 중간삽입돌기(133)와, 하부차양판본체(131)의 가운데영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끼움홈(117a)에 끼워지는 하부삽입고리(135)와, 하부차양판본체(131)의 하단면에 형성되는 하부물받이(137)를 포함한다.
하부차양판본체(131)는 중간끼움홈(115a)에서 하부끼움홈(117a)을 걸쳐 하부영역으로 일정길이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부영역은 상부차양판(120)의 상부물받이(125)의 하부영역으로 삽입되어 배치된다.
이 때,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부영역과 상부차양판본체(121)의 하부영역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이격 간격은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 사이에 바람이 소통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바람이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강하게 불 때 이격 간격으로 소통하게 되므로 바람에 의해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이 들리거나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하부차양판본체(131)의 가운데영역의 하부면에는 하부삽입고리(135)가 삽입되는 하부삽입홈(139)이 함몰형성된다. 하부삽입홈(139)은 상부삽입홈(127)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간삽입돌기(133)는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중간삽입돌기(133)는 중간끼움홈(115a)의 크기에 대응되게 하부차양판본체(131)의 상부영역으로 돌출형성되고, 하부삽입고리(135)는 하부끼움홈(117a)과 하부끼움돌기(117)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하부삽입고리(135)는 하부삽입홈(139)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하부삽입고리(135)의 형상과 결합방법은 상부삽입고리(123)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물받이(137)는 하부차양판본체(131)의 하단면에 외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물받이(125)의 절곡높이와 하부물받이(137)의 절곡높이는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른게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은 서로 다른 색상과 디자인으로 구비되어 심미감을 보다 높일 수도 있다.
상부마감부재(140)와 하부마감부재(150)는 측면지지브래킷(110)과 상부차양판(120) 및 하부차양판(130) 사이 결합영역에 배치된다. 상부마감부재(140)와 하부마감부재(15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결합영역을 은폐함과 동시에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마감부재(140)는 다단구조를 갖는 측면지지브래킷(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부마감부재(140)는 마감본체(141)에 폭이 더 넓게 형성되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상부끼움돌기(113)와 하부끼움돌기(115)를 은폐하는 연장부(143)를 포함한다. 연장부(143)의 단부에는 상부물받이(125)의 절곡형상에 대응되게 상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45)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마감부재(140)는 측면지지브래킷(110)에 상부차양판(120)과 하부차양판(130)의 결합이 완료된 후 배치된다.
상부마감부재(140)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잎과 같은 접착부재를 이용해 측면지지브래킷(110)과 상부차양판(120)의 결합영역에 결합된다.
한편, 하부마감부재(150)는 측면지지브래킷(110)과 하부차양판(130) 사이의 결합영역에 배치된다. 하부마감부재(150)의 구조는 상부마감부재(140)와 동일하다.
이러한 상부마감부재(140)와 하부마감부재(150)의 배치에 의해 결합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미관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차양(100)의 설치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벽면에 정면브래킷(140)을 설치한다. 정면브래킷본체(141)를 체결부재(147)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한다. 그리고, 정면브래킷본체(141)의 양단부에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을 설치한다.
정면브래킷본체(141)의 상부영역을 정면브래킷본체(141)의 가이드레일(143)에 접촉시키고 정면브래킷결합홈(119)에 측면브래킷삽입리브(119)가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지지리브(112)를 벽면에 접촉시키고, 체결부재(112a)를 이용해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위치를 고정한다.
한 쌍의 측면지지브래킷(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면에 상부차양판(120)을 설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차양판본체(121)의 상부삽입홈(127)의 좌우 양측에 상부삽입고리(123)를 각각 슬라이딩 삽입한다. 상부삽입고리(123)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부차양판본체(121)의 상부영역을 가이드홈(142)의 개방된 일측면으로 삽입한 후 가압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부삽입고리(123)를 상부끼움홈(113a)에 삽입하여 후크결합시켜 위치를 고정한다.
상부차양판(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하부차양판(130)을 설치한다. 하부차양판(130)은 하부삽입홈(139)에 하부삽입고리(135)를 결합시킨 후, 중간삽입돌기(133)를 중간끼움홈(115a)에 삽입하고, 하부삽입고리(135)를 하부끼움홈(117a)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이 때도 하부삽입고리(135)를 먼저 하부끼움홈(117a)에 삽입한 후 중간삽입돌기(133)를 탄성적으로 중간끼움홈(115a)에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차양은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의 이중구조로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세 개의 차양판을 단차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측면지지브래킷에 끼움홈을 추가로 배치하고, 추가 차양을 단차지게 배치하여 차양의 전체 크기를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의 길이는 설치되는 벽면의 창의 크기를 고려하여 현장에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부삽입고리와 하부삽입고리는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의 양측에 결합시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양은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과 측면지지브래킷 사이의 결합영역을 마감부재를 이용해 커버하여 결합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은폐하여 깔끔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양은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측면지지브래킷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서로 단차지게 적층배치되므로 차폐면적을 간편하게 연장할 수 있다.
이 때,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겹쳐지는 영역에 바람이 소통할 수 있는 일정공간을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이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차양판과 하부차양판의 단부영역에 각각 물받이를 구비하여 빗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의 형상이 외측방향으로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가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면브래킷과 상부차양판 및 측면지지브래킷이 서로 치합되는 구조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체결부재의 체결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빠르고 신속하게 견고한 차양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차양이 설치되는 장소의 면적을 고려하여 설치시에 상부차양과 하부차양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차양 110 : 측면지지브래킷
111 : 측면브래킷본체 112 : 고정리브
113 : 상부끼움돌기 113a : 상부끼움홈
113b : 제1끼움요철 115 : 중간끼움돌기
115a : 중간끼움홈 117 : 하부끼움돌기
117a : 하부끼움홈 117b : 제2끼움요철
119 : 정면브래킷결합홈 120 : 상부차양판
121 : 상부차양판본체 123 : 상부삽입고리
123a : 삽입고리 123b : 결합판
125 : 상부물받이 127 : 상부삽입홈
130 : 하부차양판 131 : 하부차양판본체
133 : 중간삽입돌기 135 : 하부삽입고리
137 : 하부물받이 139 : 하부삽입홈
140 : 정면브래킷 141 : 정면브래킷본체
142 : 가이드홈 143 : 가이드레일
145 : 측면브래킷삽입리브 147 : 체결부재
150 : 상부마감부재 160 : 하부마감부재

Claims (3)

  1.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게 벽면에 설치되며, 상면을 따라 상부끼움홈, 중간끼움홈 및 하부끼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브래킷과;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의 상면에 적재되며,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상부삽입홈이 형성된 상부차양판과;
    상기 상부삽입홈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상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끼움홈에 결합되는 상부삽입고리와;
    상부영역이 상기 중간끼움홈에 삽입되고, 가운데 영역에 가로방향을 따라 하부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래킷의 후단부에 상기 상부차양판과 단차지게 배치되는 하부차양판과;
    상기 하부삽입홈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하부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끼움홈에 결합되는 하부삽입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과 상기 상부차양판의 결합영역 및 상기 하부차양판의 결합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결합영역을 은폐하는 상부마감부재와 하부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삽입고리와 상기 하부삽입고리는 상기 상부삽입홈과 상기 하부삽입홈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2020120002555U 2012-03-29 2012-03-29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KR201300058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55U KR20130005866U (ko) 2012-03-29 2012-03-29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555U KR20130005866U (ko) 2012-03-29 2012-03-29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66U true KR20130005866U (ko) 2013-10-10

Family

ID=5243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555U KR20130005866U (ko) 2012-03-29 2012-03-29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8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960A (ko) * 2016-04-05 2017-10-16 박이은 문틀용 차양 브라켓, 차양 브라켓, 차양 설치를 위한 문틀, 문틀용 차양판 및 문틀용 차양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960A (ko) * 2016-04-05 2017-10-16 박이은 문틀용 차양 브라켓, 차양 브라켓, 차양 설치를 위한 문틀, 문틀용 차양판 및 문틀용 차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59919T3 (es) Revestimiento de pared
CN107849846B (zh)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EP2820223B1 (en)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200465656Y1 (ko) 분할식 창호
AU2014100071A4 (en) Multi-groove guide rail
US20150340987A1 (en) Device for supporting at least one solar panel
CA2979613C (en) Ventilated facade
KR102030795B1 (ko) 커튼월
KR101029151B1 (ko) 칸막이 패널의 고정 프레임
KR20130001790U (ko)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EP3455443B1 (en) Removable profile structure
ITVI20060046A1 (it) Struttura di tetto modulare per edifici
KR101279140B1 (ko)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05866U (ko)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
US20190078384A1 (en) Guide device for guiding an erected screen and method for mounting a guide profile of such a guide device on a door or frame profile
EP3636850B1 (en) Pergola
KR101250508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995415B1 (ko) 개구 면적 최대화를 위한 비철거형 개보수용 창호 및 그 개보수 방법
US20140264219A1 (en) Fence assembly
KR102215879B1 (ko) 연결브라켓 교체형 창호프레임
KR101325925B1 (ko) 사춤재가 구비된 창호틀
CN102525146A (zh) 抽屉
KR101127636B1 (ko) 건물 창호용 창틀의 프레임 조인트 마감장치
KR2004525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20090009358A (ko)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한 차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