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961B1 - 이동식 탑승교 - Google Patents

이동식 탑승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961B1
KR102240961B1 KR1020190112149A KR20190112149A KR102240961B1 KR 102240961 B1 KR102240961 B1 KR 102240961B1 KR 1020190112149 A KR1020190112149 A KR 1020190112149A KR 20190112149 A KR20190112149 A KR 20190112149A KR 102240961 B1 KR102240961 B1 KR 10224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boarding bridge
rain gutter
cov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690A (ko
Inventor
백인엽
김형식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에이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에이지이(주)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90112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9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05Bridges extending between terminal building and aircraft, e.g. telescopic, vertic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이동식 탑승교는, 복수의 제1 형강과, 상기 복수의 제1 형강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1 터널, 및 복수의 제2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터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탑승교{BOARDING BRIDGE}
이하의 설명은 이동식 탑승교의 경량화 및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식 탑승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탑승교는 2단의 터널 또는 3단의 터널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 터널과 외부 터널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길이가 조정되기 때문에, 터널 사이의 단차 부분에 연결 발판이 구비된다. 그런데 내부 터널과 외부 터널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로 인해 연결 발판의 경사도가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승객의 이동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외부 터널의 바닥 양쪽 단부에는 내부 터널에서 흘러 들어온 빗물 등의 처리를 위한 빗물받이부가 설치되는데, 빗물받이부가 노출되어서 미관상 또는 안전상의 불편을 초래한다.
한편, 기계적 방식으로는, 내부 터널과 외부 터널의 바닥면 사이의 단차를 줄이도록 제작 가능하고, 외부 터널의 하부에 별도 공간이 있어 빗물받이부도 보이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기계적 시스템은 터널의 크기가 커지고 별도 기계적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가 필요하며, 그로 인해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그리고 빗물받이부로 물이 떨어지는 통로에 약 100mm 정도의 홈이 있기 때문에, 그 홈을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브러쉬 장치가 필요한데, 상기 브러쉬에 변형이 발생하는 미관상의 불편도 있었다.
그리고 단차 방식의 경우, 단차가 커서 보행자의 이동 시 불편이 있으며 빗물받이부도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빗물받이부로 녹물이나 기름때 등이 흘러 들어 미관상 안 좋고, 홈통이 얕아 빗물이 넘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에, 내부 터널과 외부 터널의 단차를 최소화하고,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도록 빗물받이부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이동식 탑승교를 경량화할 수 있고,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식 탑승교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식 탑승교는, 복수의 제1 형강과, 상기 복수의 제1 형강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1 터널, 및 복수의 제2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터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형강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판재는 일 방향으로 보강된 골판재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형강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형강이 끼워지는 형태를 갖는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터널의 양측에는 상기 제2 터널의 바닥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빗물받이부가 매립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빗물받이부를 덮고 상기 빗물받이부와 착탈 가능하게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2 터널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구비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식 탑승교에서 내부 터널과 외부 터널 사이의 단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보행 편의를 제공하며 기계식 방식이 아닌 구조의 변형을 통한 방식을 적용하여 내구성 향상 및 이동식 탑승교의 경량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빗물받이부를 매립형으로 배치함으로써 빗물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에 트랜치 케이스를 설치함으로써 청소 및 유지관리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식 탑승교에서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 터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터널의 절개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에서 제2 터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터널에서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조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승교(10)의 모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식 탑승교(10)는 승객이 항공기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탑승 게이트와 항공기를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로서, 제1 터널(11)과 제2 터널(12)로 이루어진다.
제1 터널(11)은 탑승 게이트에 설치된다.
제2 터널(12)은 제1 터널(11)의 단부에서 제1 터널(11)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터널(11)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이동식 탑승교(10)의 길이를 수축 또는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터널(12)이 제1 터널(11)을 감싼 상태에서 제1 터널(1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터널(11, 12)의 연결 부분에 단차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터널(11, 12) 사이의 단차를 줄이기 위해서, 제1 터널(11)과 제2 터널(12)의 바닥면의 높이차를 줄였다.
도 2는 도 1의 이동식 탑승교(10)에서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제1 터널(1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터널(11)의 절개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서 제2 터널(12)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2 터널(12)에서 Ⅵ- 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2에서 "A"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1 터널(11) 및 제2 터널(12)은 승객이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터널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터널(11)은 제2 터널(12)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터널(11)의 바닥면(111)은 뒤틀림이나 처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갖는 제1 형강(112)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개 배치하여 형성되고, 제1 형강(112) 상에 판재(113)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서 고정된다. 판재(113)는 일 방향으로 보강된 골판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터널(12)의 바닥면(121)은 비틀림이나 처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갖는 제2 형강(122)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복수개 배치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형강(122)은 제1 터널(11)의 제1 형강(112)과는 차이가 있으며, 제1 터널(11)이 제2 터널(12)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형강(112)이 제2 형강(12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2 터널(12)의 제2 형강(122) 내부 공간에 제1 터널(11)의 제1 형강(112)의 'ㄷ'자 형태로 돌출된 부분이 삽입되고, 제1 형강(112)이 제2 형강(122)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터널(11)과 제2 터널(12)의 바닥면(111, 121)에 형강(112, 122)을 사용함으로써, 바닥면(111, 121) 사이의 높이차를 줄임으로써, 제1 및 제2 터널(11, 12) 사이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형강(112, 122)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터널(11, 12)의 구조의 뒤틀림이나 처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형강(112)은 대략 30mm 높이를 갖고, 판재(113)는 대략 4mm 높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터널(11)은 바닥면(111)의 두께를 대략 34mm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존 터널에서의 바닥 두께 약 67mm보다 대략 33mm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터널(11)과 제2 터널(12) 사이를 지지하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기존의 단차 높이 대략 135mm 에서 70mm로 줄임으로써, 대략 65mm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베어링은 용접 타입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지지점 당 롤러를 2개 배치함으로써 제1 터널(11)과 제2 터널(12) 사이에서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터널(12)의 바닥면(121)에는 빗물받이부(13)가 구비된다.
빗물받이부(13)는 제2 터널(12)의 양측 부분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오목한 대략 'U' 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빗물받이부(13)는 제2 터널(12)의 바닥면(121)에 매립되도록 빗물받이부(13)의 상면이 적어도 제2 터널(12)의 바닥면(121)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빗물받이부(13)는 제2 터널(12)의 바닥면(121)을 형성하는 구조의 'ㄱ'자 형강에 직접 용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빗물받이부(13)는 깊이를 59mm로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빗물받이부(13) 상면을 덮도록 덮개(131)가 구비된다. 덮개(131)는 빗물받이부(13)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서, 필요에 따라 덮개(131)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131)는 트랜치 형태를 갖는 길이가 긴 스텐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131)에는 빗물을 빗물받이부(13)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홀이나 개구, 슬릿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131)는 바닥면(121)과의 경계 부분에 홈이나 구배를 주어, 바닥면(121)에서 흐르는 빗물을 빗물받이부(13)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빗물받이부(13)의 구조가 단순하므로 빗물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고, 빗물받이부(13)가 덮개(131)에 의해서 은폐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및 안전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덮개(131)를 제거하여 빗물받이부(13) 내부의 청소도 가능하다.
삭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터널(11)과 제2 터널(12)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유지보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이동식 탑승교(10)의 경량화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할 수 있다. 또한, 단차를 줄임으로써 보행자의 통행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빗물받이부(13)를 매립할 수 있으므로, 빗물받이부(13)가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여 심미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효율적으로 빗물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이동식 탑승교(10)에서 빗물받이부(13)를 제2 터널(12) 내부에 매립시키므로, 제1 터널(11) 및 제2 터널(12)의 내부 공간을 확대할 수 있고, 공간을 깔끔하게 마무리할 수 있어, 승객이 편하고 쾌적하며 여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이동식 탑승교
11: 제1 터널
111: 바닥면
112: 제1 형강
113: 판재
12: 제2 터널
121: 바닥면
122: 제2 형강
13: 빗물받이부

Claims (6)

  1.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고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형강과, 상기 복수의 제1 형강 상에 설치되며 일 방향으로 보강된 골판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1 터널; 및
    상기 제1 형강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지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 형강으로 이루어지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제2 터널;
    을 포함하는 이동식 탑승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널의 양측에는 상기 제2 터널의 바닥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빗물받이부가 매립되어 구비되는 이동식 탑승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부를 덮고 상기 빗물받이부와 착탈 가능하게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제2 터널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구비되는 이동식 탑승교 .
KR1020190112149A 2019-09-10 2019-09-10 이동식 탑승교 KR102240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149A KR102240961B1 (ko) 2019-09-10 2019-09-10 이동식 탑승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149A KR102240961B1 (ko) 2019-09-10 2019-09-10 이동식 탑승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690A KR20210030690A (ko) 2021-03-18
KR102240961B1 true KR102240961B1 (ko) 2021-04-16

Family

ID=7523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149A KR102240961B1 (ko) 2019-09-10 2019-09-10 이동식 탑승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9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197B1 (ko) * 2014-04-30 2014-12-17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의 빗물받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021B1 (ko) * 2015-04-09 2017-08-21 한국공항공사 단차 제거형 이동식 탑승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197B1 (ko) * 2014-04-30 2014-12-17 한국공항공사 이동식 탑승교의 빗물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690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4269B1 (en) Eavestrough cover
KR100998202B1 (ko) 교량 확장 인도
KR102054031B1 (ko) 배수구 형성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유리난간대
US9482009B2 (en) Connector element for use in a flashing assembly for roof windows mounted side-by-side and a method for mounting a flashing assembly
CA2783834A1 (en) Eavestrough cover
KR102240961B1 (ko) 이동식 탑승교
AU2016406130B2 (en) Removable profile structure
KR101967825B1 (ko) 지붕패널 고정장치
US20150267412A1 (en) Roof Ridge Integrated Water-Shedding Apparatus
KR101522887B1 (ko)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1484B1 (ko) 건축용 배수로 덮개
KR101474197B1 (ko) 이동식 탑승교의 빗물받이
US10415254B2 (en) Device for helping a vehicle pass over an obstacle
KR101604210B1 (ko) 이동식 탑승교
US6370830B1 (en) Frame structure for mounting between two balcony slabs positioned one above the other
KR102052909B1 (ko) 배수트렌치 및 배수트렌치 세트
JP3828242B2 (ja) 目地カバー装置
KR200411537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105764B1 (ko) 이동식 탑승교
BE1028757B1 (nl) Venstertabletsamenstel
KR102618299B1 (ko)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JP6368113B2 (ja) 旅客搭乗橋
JP2018150044A (ja) 旅客搭乗橋
KR102245393B1 (ko) 비계가 필요없는 건물의 외장 보수 시스템 및 그 공법
US10065485B2 (en) Sliding roof system of an automotive vehicle and guiding rail profil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