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237B1 -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 Google Patents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237B1
KR101389237B1 KR20130040579A KR20130040579A KR101389237B1 KR 101389237 B1 KR101389237 B1 KR 101389237B1 KR 20130040579 A KR20130040579 A KR 20130040579A KR 20130040579 A KR20130040579 A KR 20130040579A KR 101389237 B1 KR101389237 B1 KR 10138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fork
wheel drive
screw
type clutch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규
임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0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237B1/ko
Priority to EP14163679.5A priority patent/EP2789491B1/en
Priority to CN201410144234.3A priority patent/CN104108310B/zh
Priority to US14/252,738 priority patent/US951862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08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 F16D11/1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actuated by moving a non-rotating part axially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48/08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beve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1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ne motor mounted on a propulsion axle for rotating right and left wheels of this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02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K2023/085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automatically actuated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o-hydraul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2011/002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using an external and axially slidable sleeve for coupling the teeth of both coupling component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3Clutch actuation by cams, ramps or ball-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륜 구동시에 모터 속도를 후륜의 회전속도와 동기화시킨 후에 다판클러치가 아닌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를 이용하여 후륜으로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력 손실을 상대적으로 극소화시킬 수 있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 모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 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기어와, 상기한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 푸시케이스와, 상기한 제1 푸시케이스 내측에서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제2 푸시케이스와, 상기한 제1, 2 푸시케이스의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제1 스프링과, 상기한 제2 푸시케이스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 내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슬리브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의 일측에 탄성을 가지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Disconnector-type clutch for rear wheel-driving device in four-wheel driving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4륜 구동시에 모터 속도를 후륜의 회전속도와 동기화시킨 후에 다판클러치가 아닌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를 이용하여 후륜으로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력 손실을 상대적으로 극소화시킬 수 있는, 4륜 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바퀴 차량은 구동방식에 따라서 2륜구동 방식과 4륜구동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2륜구동 방식의 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2륜구동 차량은 엔진과 변속기의 위치가 실제 구동륜의 위치에 따라 RR(Rear Engine Rear Drive), FF(Front Engine Front Drive), FR(Front Engine Rear Drive)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한 RR 방식은 오늘날 일반적인 승용, SUV 타입의 차량보다는 스포츠카 등에만 쓰이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2륜구동 방식의 차량은 크게 FF 방식과 FR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상기한 FF 방식과 FR 방식의 차량은 엔진과 변속기가 모두 차량의 앞쪽에 설치되는 반면, 그 배치 구조가 상이하다. 즉, 상기한 FF 방식의 차량은 엔진과 변속기가 보통 차량의 측방향으로 배치되어 변속기와 일체로 이루어진 디퍼런셜(Differential)을 통해서 전륜으로 동력전달이 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한 FR 방식의 차량은 일반적으로 엔진과 변속기가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변속기로부터 추진축을 통해서 후륜까지의 동력전달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4륜구동 방식의 차량에 대하여 설명하면, 4륜구동 방식의 차량은 엔진의 구동력을 4바퀴에 적절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클러치와 변속장치 및 디퍼런셜 등을 적용하고 있으며, 상기 변속장치의 변속 방식에 따라 수동조작에 의해 전륜으로 가는 동력을 단속하는 파트 타임(part time)방식과, 항상 4륜 구동 상태를 유지하는 풀 타임(full time: 혹은 상시사륜)방식으로 구분 가능하다.
4륜구동 방식의 차량에서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전륜과 후륜으로 분배하게 되는데,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 전기 자동차에서는 후륜이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분배받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구성은, 차량 주행을 위한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0)와, 상기한 구동모터(1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감속기(20)와, 상기한 구동모터(10)의 기어결합되어 있는 디퍼렌셜(40)과, 상기한 디퍼렌셜(40)의 외주면으로 결합된 다판 클러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의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 다판 클러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 다판 클러치(30)의 구성은, 구동모터로 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31)과, 상기한 입력축(31) 원주면으로 겹겹으로 형성된 외측마찰판(34)과 내측 마찰판(33), 상기한 외측마찰판(34)과 내측마찰판(33)을 밀착해서 압력을 가하는 압력판(32), 상기한 압력판(32)을 밀착해서 외측마찰판(34)과 내측마찰판(33)을 압력을 가하면서 출력축(35)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는, 다판클러치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다판클러치 내부에 있는 마찰 플레이트간의 슬립으로 인한 구동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판클러치는 전륜의 구동력에 의해 후륜이 끌려갈 때 디퍼렌
셜의 외주면에 창작되어 불필요한 다판클러치까지 회전해야 하므로 연료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판클러치 내부에 있는 마찰 플레이트간의 슬립으로 인한 구동력 손실을 막기 위하여 다판클러치가 아닌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를 이용하여 후륜으로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력 손실을 상대적으로 극소화시킬 수 있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륜의 구동력에 의해 후륜이 끌려갈 때 다판클러치까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를 설치해서 연료손실을 방지하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 모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 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기어와, 상기한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 푸시케이스와, 상기한 제1 푸시케이스 내측에서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제2 푸시케이스와, 상기한 제1, 2 푸시케이스의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제1 스프링과, 상기한 제2 푸시케이스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 내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슬리브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의 일측에 탄성을 가지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크류는 중앙에 웜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 되어 있고, 양 방향으로 스크류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크류의 일측에는 스크류가 회전하는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1 푸시케이스는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외부 케이스에 상기한 스크류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시프트 포크는 시프트 포크의 내측에 결합되고 기어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슬리브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시프트 포크는 시프트 포크의 일측에 상기한 슬리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장치에 따르면, 4륜 구동시에 모터 속도를 후륜의 회전속도와 동기화시킨 후에 다판클러치가 아닌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를 이용하여 후륜으로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구동력 손실을 상대적으로 극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 다판 클러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가 후륜 구동장치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방향에 관한 용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가 후륜 구동장치에 설치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의 구성은, 구동모터(10)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입력축(300)과, 상기한 입력축(300)에 기어 결합하는 감속기(20)와, 상기한 입력축(300)의 끝단에 기어 결합되어 있는 디퍼렌셜(40)과, 상기한 디퍼렌셜(40) 기어가 연장되어 나오는 입력축(300)의 끝단에 결합되는 시프트 포크(200)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200)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는 출력축(400)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의 구성은,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 모터(100)와, 상기한 액츄에이터 모터(10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기어(101)와, 상기한 웜기어(101)와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102)와, 상기한 스크류(102)의 회전을 통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 푸시케이스(103a)와, 상기한 제1 푸시케이스(103a) 내측에서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제2 푸시케이스(103b)와, 상기한 제1, 2 푸시케이스(103a,103b)의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제1 스프링(202)과, 상기한 제2 푸시케이스(103b)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시프트 포크와(200), 상기한 시프트 포크(200) 내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슬리브(201)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200)의 일측에 탄성을 가지는 제2 스프링(2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크류(102)는 중앙에 웜기어(101)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양 방향으로 스크류로 이루어지진다. 또한, 스크류(102)의 일측에 스크류(102)가 회전하는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센서(105a, 10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푸시케이스(103a)는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외부 케이스에 스크류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한 시프트 포크(200)는, 시프트 포크(200)의 내측에 결합되고 기어로 형성되어 입력축(300)에서 출력축(40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슬리브(201)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륜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10)로 동력을 전달받은 입력축(300)은 감속기(20)와 디퍼렌셜(40)에 기어결합되어 회전하고, 디퍼렌셜(40)에 연장되는 입력축(300)에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1000)가 결합되어 입력축(300)에서 출력축(400)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액츄에이터 모터(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웜기어(101)가 스크류(102)와 기어결합되어 스크류(102)를 회전시키면 스크류(102)의 일측에 결합되어 맞물려 있는 너트(104)가 제1 센서(105a)가 위치하고 있는 거리 만큼 이동하게 되고, 제1 센서(105a)의 위치 거리만큼 제1 푸시케이스(103a)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스프링(202)이 제2 푸시케이스(103b)가 밀면서 시프트 포크(200)를 전방으로 밀게된다.
또한, 상기한 제2 푸시케이스(202)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한 시프트 포크(103b)는 출력축(400)에 기어결합되어 있던 슬리브(201)가 입력축(300)으로 밀리면서 입력축(300)과 결합되어 출력축(400)과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 모터(100)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스크류(101)는 스크류(101)에 결합된 너트(104)를 제2 센서(105b)가 위치하고 있는 곳까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2 푸시케이스(103b)에 의해 압축된 제2 스프링(203)이 시프트 포크(200)을 밀어주면서 입력축(300)과 결합된 슬리브(201)가 입력축(300)과 해제되면서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100 : 액츄에이터 모터 101 : 웜기어
102 : 스크류 103a,103b : 제1,2 푸시케이스
104 : 너트 105a,105b : 제1,2 센서
200 : 시프트포크 201 : 슬리브
202,203 : 제1,2 스프링 300 : 입력축
400 : 출력축

Claims (6)

  1.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 모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 모터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기어와,
    상기한 웜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한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전후로 이동하는 제1 푸시케이스와,
    상기한 제1 푸시케이스 내측에서 형성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제2 푸시케이스와,
    상기한 제1, 2 푸시케이스의 내부에 탄성을 가지는 제1 스프링과,
    상기한 제2 푸시케이스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 내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슬리브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의 일측에 탄성을 가지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크류는 중앙에 웜기어와 맞물리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양 방향으로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크류의 일측에는 스크류가 회전하는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푸시케이스는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내부 케이스에 상기한 스크류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프트 포크는 시프트 포크의 내측에 결합되고 기어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프트 포크는 시프트 포크의 일측에 상기한 슬리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KR20130040579A 2013-04-12 2013-04-12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KR101389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579A KR101389237B1 (ko) 2013-04-12 2013-04-12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EP14163679.5A EP2789491B1 (en) 2013-04-12 2014-04-07 Disconnector-type clutch for rear wheel-driving device in four-wheel driving electric vehicle
CN201410144234.3A CN104108310B (zh) 2013-04-12 2014-04-11 用于四轮驱动电动汽车的后轮驱动装置的分离器型离合器
US14/252,738 US9518620B2 (en) 2013-04-12 2014-04-14 Disconnector-type clutch for rear wheel-driving device in four-wheel driving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579A KR101389237B1 (ko) 2013-04-12 2013-04-12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237B1 true KR101389237B1 (ko) 2014-05-19

Family

ID=5044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0579A KR101389237B1 (ko) 2013-04-12 2013-04-12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18620B2 (ko)
EP (1) EP2789491B1 (ko)
KR (1) KR101389237B1 (ko)
CN (1) CN104108310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388B1 (ko) * 2014-04-29 2015-05-18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
KR101562479B1 (ko) 2014-10-31 2015-10-21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 구동차량용 디스커넥트 장치
KR101616641B1 (ko) * 2014-11-24 2016-04-28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KR20170035067A (ko) * 2015-09-22 2017-03-30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자식 구동력분배장치의 충격완화 장치
KR101768315B1 (ko) * 2015-06-23 2017-08-14 현대위아 주식회사 후륜구동 하이브리드 타입 사륜구동 시스템의 윤활 방법
KR101791329B1 (ko) * 2016-02-05 2017-10-27 현대위아 주식회사 각도 센서를 이용한 사륜구동 디스커넥터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사륜구동 차량
KR20180000905A (ko) * 2016-06-24 2018-01-04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KR20190002054A (ko) * 2017-06-29 2019-01-08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US20220266931A1 (en) * 2017-05-17 2022-08-25 Allison Transmission, Inc. Final drive disconnect mechanism via transmission
WO2023096442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디스커넥터 액츄에이터의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5854B2 (en) * 2016-04-22 2021-05-04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Driveline actuator utilizing stored energy to move an actuator output member
DE102017101744B4 (de) 2017-01-30 2019-06-19 Gkn Automotive Ltd. Antriebs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CN107387588B (zh) * 2017-07-31 2019-02-12 北京空间飞行器总体设计部 具有自锁功能的丝杠传动齿啮合式离合器
DE102018123042A1 (de) * 2018-09-19 2020-03-19 Fte Automotive Gmbh Elektrischer Kupplungsaktuator mit federbelastetem Druckstück
CN110905705B (zh) * 2019-12-02 2021-06-11 宁波奥博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汽车起动机
EP4088372A4 (en) 2020-01-14 2023-01-25 Adventech, LLC INDUCTION MOTOR DESIGNS WITH IMPROVED CONVERSE WINDING SYSTEMS AND PROCESS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617Y2 (ja) 1991-02-26 2000-12-18 株式会社フジユニバンス 2輪−4輪駆動切換装置
KR20050044825A (ko) * 2003-11-08 2005-05-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사륜구동 차량의 동력단속장치
JP2012071750A (ja) 2010-09-29 2012-04-12 Univance Corp 4輪駆動車用トランスファのシフト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5814A (en) * 1981-03-23 1984-01-17 Dana Corporation Torque limiting device
US5219391A (en) * 1991-12-06 1993-06-15 Eaton Corporation Transmission shifter having automatic adjustment of control parameters
US5809833A (en) * 1996-09-24 1998-09-22 Dana Corporation Linear actuator
US6802794B2 (en) * 2003-02-21 2004-10-12 Borgwarner, Inc. Single actuator lost motion shift assembly
US7506559B2 (en) * 2004-09-24 2009-03-24 Magna Powertrain Usa, Inc. Shift mechanism for power transmission assemblies
JP4800014B2 (ja) * 2005-03-31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回路の制御装置
CN2811053Y (zh) * 2005-08-02 2006-08-30 辽宁曙光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桥间离合器装置
CN201089358Y (zh) * 2007-09-21 2008-07-23 广州天马集团天马摩托车有限公司 带有柔性结合的电动车驱动装置
KR100957151B1 (ko) * 2008-03-17 2010-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액츄에이터
FR2938938A1 (fr) * 2008-11-27 2010-05-28 Renault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pilotage d'un actionneur mecanique avec mecanisme de progressivite
CN201944249U (zh) * 2011-01-04 2011-08-24 芜湖伯特利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变速器的离合器执行机构
JP5736809B2 (ja) * 2011-02-03 2015-06-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輪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617Y2 (ja) 1991-02-26 2000-12-18 株式会社フジユニバンス 2輪−4輪駆動切換装置
KR20050044825A (ko) * 2003-11-08 2005-05-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사륜구동 차량의 동력단속장치
JP2012071750A (ja) 2010-09-29 2012-04-12 Univance Corp 4輪駆動車用トランスファのシフト機構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388B1 (ko) * 2014-04-29 2015-05-18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
KR101562479B1 (ko) 2014-10-31 2015-10-21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 구동차량용 디스커넥트 장치
KR101616641B1 (ko) * 2014-11-24 2016-04-28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KR101768315B1 (ko) * 2015-06-23 2017-08-14 현대위아 주식회사 후륜구동 하이브리드 타입 사륜구동 시스템의 윤활 방법
KR102177596B1 (ko) 2015-09-22 2020-11-11 현대위아(주) 전자식 구동력분배장치의 충격완화 장치
KR20170035067A (ko) * 2015-09-22 2017-03-30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자식 구동력분배장치의 충격완화 장치
KR101791329B1 (ko) * 2016-02-05 2017-10-27 현대위아 주식회사 각도 센서를 이용한 사륜구동 디스커넥터 장치 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사륜구동 차량
KR20180000905A (ko) * 2016-06-24 2018-01-04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KR102251325B1 (ko) * 2016-06-24 2021-05-12 현대위아(주) 4륜구동 차량용 부변속기
US20220266931A1 (en) * 2017-05-17 2022-08-25 Allison Transmission, Inc. Final drive disconnect mechanism via transmission
US11639208B2 (en) * 2017-05-17 2023-05-02 Allison Transmission, Inc. Final drive disconnect mechanism via transmission
KR20190002054A (ko) * 2017-06-29 2019-01-08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101939910B1 (ko) 2017-06-29 2019-01-17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WO2023096442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디스커넥터 액츄에이터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18620B2 (en) 2016-12-13
EP2789491B1 (en) 2017-01-04
CN104108310B (zh) 2017-06-27
CN104108310A (zh) 2014-10-22
EP2789491A1 (en) 2014-10-15
US20140305762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237B1 (ko)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US9744851B2 (en) Transfer for four-wheel drive vehicle
EP3009294B1 (en) Transfer for a vehicle
KR101260532B1 (ko) 토오크 전달 기구용 동력 작동식 클러치 액츄에이터
US9937789B2 (en)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JP7040383B2 (ja) 四輪駆動車両
US8777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eline in a hybrid vehicle
JPH1178587A (ja) 四輪駆動車における切換同期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1255846A (ja) 四輪駆動車の駆動システム及び四輪駆動車の駆動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345954B1 (ko)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
CN106931133B (zh) 差速器总成以及具有其的车辆
JP2005511996A (ja) アクティブ・トルク・バイアス継手
US20180281593A1 (en) Control device of four-wheel-drive vehicle
KR20130084185A (ko) 4륜 구동차량의 부변속기 구동장치
US20170182886A1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20160034617A (ko) 차량용 감속장치
CN106394229B (zh) 双电动机电力辅助全轮驱动
KR101521388B1 (ko)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
KR20160038333A (ko) 4륜구동 차량용 디스커넥트 장치
KR200479233Y1 (ko) 4륜 구동 전기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형 클러치
JP2020131814A (ja) 四輪駆動車両の制御装置
KR100786533B1 (ko) 4륜 구동용 동력 절환장치
CN107234965B (zh) 传动系统
JP6503971B2 (ja) 4wd車用トランスファの制御装置
KR100207116B1 (ko) 자동차의 구동륜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