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6641B1 -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6641B1
KR101616641B1 KR1020140164654A KR20140164654A KR101616641B1 KR 101616641 B1 KR101616641 B1 KR 101616641B1 KR 1020140164654 A KR1020140164654 A KR 1020140164654A KR 20140164654 A KR20140164654 A KR 20140164654A KR 101616641 B1 KR101616641 B1 KR 101616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ing cylinder
lead screw
clutch gear
present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6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6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4Brakes for railway vehicles coming into operation in case of accident, derailment or damage of rolling stock or super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액츄에이터로서 리드스크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구조가 단순해지도록 하고, 클래쉬(clash) 또는 버팅(butting)의 발생을 방지하여 파킹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리드스크류와, 내주면이 상기한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시프팅 실린더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시프팅 실린더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와 제2 시프팅 실린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한 제2 시프팅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는 슬리브와,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 클러치 기어와, 고정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슬리브에 의해 구동축 클러치 기어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고정체 클러치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Electronic parking device for vehicle}
이 발명은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액츄에이터로서 리드스크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구조가 단순해지도록 하고, 클래쉬(clash) 또는 버팅(butting)의 발생을 방지하여 파킹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차시의 안전성을 위하여 손이나 발을 사용하여 파킹을 할 수 있는 파킹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한 파킹장치는 기계식 파킹 장치와 전자식 파킹장치로 대별될 수 있는데, 기계식 파킹장치는 파킹 기어와 파킹 스프라그가 물려서 파킹이 이루어지며, 전자식 파킹 장치는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아웃풋 샤프트가 고정형 클러치에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피킹이 이루어진다.
참고로, 전자식 파킹 장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80267(공개일자 2014년 06월 30일)의 "전기자동차용 파킹장치"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번호 10-2014-0080267를 포함한 종래의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는 액츄에이터로서 캠을 사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클래쉬(clash) 또는 버팅(butting)의 발생으로 인하여 파킹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츄에이터로서 리드스크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구조가 단순해지도록 하고, 클래쉬(clash) 또는 버팅(butting)의 발생을 방지하여 파킹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리드스크류와, 내주면이 상기한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시프팅 실린더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시프팅 실린더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와 제2 시프팅 실린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한 제2 시프팅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는 슬리브와,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 클러치 기어와, 고정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슬리브에 의해 구동축 클러치 기어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고정체 클러치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에는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에는 단부에 니플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2 시프팅 실린더에는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의 니플 걸림홈과 결합되기 위한 니플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액츄에이터로서 리드스크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구조가 단순해지도록 하고, 클래쉬(clash) 또는 버팅(butting)의 발생을 방지하여 파킹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운행시 정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파킹시 정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방향에 관한 용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단면 구조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운행시 정면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파킹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구성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11)와, 상기한 모터(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리드스크류(12)와, 내주면이 상기한 리드스크류(12)와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1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시프팅 실린더(13)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1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시프팅 실린더(14)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13)와 제2 시프팅 실린더(14)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5)과, 상기한 제2 시프팅 실린더(14)에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포크(16)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16)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는 슬리브(17)와, 구동축(18)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 클러치 기어(19)와, 고정체(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슬리브(7)에 의해 구동축 클러치 기어(19)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고정체 클러치 기어(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13)에는 스프링 안착홈(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에 니플 걸림홈(13b)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 시프팅 실린더(14)에는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13)의 니플 걸림홈(13b)과 결합되기 위한 니플(14a)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고정체(20)는 케이스나 하우징과 같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체를 지칭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을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에 모터(11)로부터 정방향의 회전동력이 발생되면, 모터(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리드스크류(1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리드 스크류(1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한 리드스크류(12)와 내주면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1 시프팅 실린더(13)가 리드스크류(1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제2 시프팅 실린더(14)를 향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제1 시프팅 실린더(13)가 스프링(15)을 압축시키면서 제2 시프팅 실린더(14)를 향하여 이동을 하게 되면 제2 시프팅 실린더(14)에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포크(16)가 고정체 클러치 기어(21)에 결합되어 있던 슬리브(17)를 구동축 클러치 기어(19)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축 클러치 기어(19)가 고정체 클러치 기어(21)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스프링(15)의 탄성력은 슬리브(17)가 완충력을 가지면서 구동축 클러치 기어(19)와 고정체 클러치 기어(21)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동측 클러치 기어(19)가 고정체 클러치 기어(21)에 연결되면, 고정체 클러치 기어(21)는 케이스나 하우징과 같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체(2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축 클러치 기어(19)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18)이 회전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차량이 안전하게 파킹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차량을 운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모터(11)로부터 역방향의 회전동력이 발생되면, 모터(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리드스크류(1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리드 스크류(1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한 리드스크류(12)와 내주면이 나사결합되어 있는 제1 시프팅 실린더(13)가 리드스크류(1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모터(11)를 향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제1 시프팅 실린더(13)가 모터(11)를 향하여 이동을 하게 되면 제2 시프팅 실린더(14)에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포크(16)가 슬리브(17)를 고정체 클러치 기어(21)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축 클러치 기어(19)가 고정체 클러치 기어(2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동측 클러치 기어(19)가 고정체 클러치 기어(21)로부터 분리되면, 구동축(18)이 다시 회전가능하게 됨으로써 차량이 운행될 수 있도록 한다.
11 : 모터 12 : 리드 스크류
13 : 제1 시프팅 실린더 14 : 제2 시프팅 실린더
15 : 스프링 16 : 시프트 포크
17 : 슬리브 18 : 구동축
19 : 구동축 클러치 기어 20 : 고정체
21 : 고정체 클러치 기어

Claims (4)

  1.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와,
    상기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리드스크류와,
    내주면이 상기한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리드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 시프팅 실린더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시프팅 실린더와,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와 제2 시프팅 실린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한 제2 시프팅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시프트 포크에 의해 왕복운동을 하는 슬리브와,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축 클러치 기어와,
    고정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슬리브에 의해 구동축 클러치 기어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고정체 클러치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에는 단부에 니플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2 시프팅 실린더에는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의 니플 걸림홈과 결합되기 위한 니플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시프팅 실린더에는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40164654A 2014-11-24 2014-11-24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KR10161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654A KR101616641B1 (ko) 2014-11-24 2014-11-24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654A KR101616641B1 (ko) 2014-11-24 2014-11-24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6641B1 true KR101616641B1 (ko) 2016-04-28

Family

ID=5591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654A KR101616641B1 (ko) 2014-11-24 2014-11-24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66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016A (ko) * 1999-11-30 2001-06-15 이계안 전기자동차용 파킹기구
KR20020086787A (ko) * 2001-05-11 2002-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륜 구동장치
KR20130084185A (ko) * 2012-01-16 2013-07-24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 구동차량의 부변속기 구동장치
KR101389237B1 (ko) * 2013-04-12 2014-05-19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9016A (ko) * 1999-11-30 2001-06-15 이계안 전기자동차용 파킹기구
KR20020086787A (ko) * 2001-05-11 2002-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륜 구동장치
KR20130084185A (ko) * 2012-01-16 2013-07-24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 구동차량의 부변속기 구동장치
KR101389237B1 (ko) * 2013-04-12 2014-05-19 현대위아 주식회사 4륜구동 전기 자동차용 후륜 구동장치의 디스커넥터 타입 클러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052B2 (en) Decelerator and motor brake with the same
JP6097025B2 (ja) クラ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US9518620B2 (en) Disconnector-type clutch for rear wheel-driving device in four-wheel driving electric vehicle
CN104196929B (zh) 蜗杆斜蜗轮盘式电子驻车制动器
KR20160095021A (ko) 리니어 액추에이터
US20150048565A1 (en) Clamping unit, in particular for use in a machining center, or a turning or milling center
CN108443347A (zh) 用于车辆变速器的径向施加的爪式离合器的同步器
JP631645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452648B1 (ko) 차량용 습식 클러치의 구동장치
CN105765271A (zh) 螺杆驱动单元
KR101616641B1 (ko) 차량용 전자식 파킹 장치
CN110337773A (zh) 包括电动机和减速器的驱动装置
JP2018031474A (ja) 荷重依存性を有するブレーキを備えている回転駆動装置
JP6238647B2 (ja) 電動倍力装置
KR20140080267A (ko) 전기자동차용 파킹 장치
KR10157791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WO2016202599A9 (fr) Dispositif d'actionnement de systeme de freinage
JP2014223714A (ja) 電動式クランプ装置
KR102322481B1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WO2021053183A1 (en) Corrector with electric motor and mechanical stops for motor vehicle headlamp
KR20150141205A (ko)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2020143709A (ja) 直動アクチュエータ
KR20160025298A (ko) 리드 스크류 타입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쉬프트 바이 와이어용 파킹 장치
KR20160010963A (ko) 차량용 브레이크
KR20150085021A (ko) 잠수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