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13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13B1
KR101577913B1 KR1020140166500A KR20140166500A KR101577913B1 KR 101577913 B1 KR101577913 B1 KR 101577913B1 KR 1020140166500 A KR1020140166500 A KR 1020140166500A KR 20140166500 A KR20140166500 A KR 20140166500A KR 101577913 B1 KR101577913 B1 KR 101577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nnect
housing
bearing
hub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한종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디스커넥트 샤프트와 디스커넥트 허브를 양단에서 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 및 하중에 대한 흔들림, 처짐, 굽힘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별도의 하우징이 없이 감속기와 하우징이 일체화되도록 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리니어 센서가 아닌 홀센서를 사용하여 구조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감속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감속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디스커넥트 샤프트와, 상기한 하우징과 디스커넥트 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과,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에 제2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등속조인트가 연결되는 디스커넥트 허브와, 상기한 하우징과 디스커넥트 허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베어링 및 제4 베어링과, 내주면이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 및 디스커넥트 허브의 외주면들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시프트 이동됨으로써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디스커넥트 허브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슬리브와, 상기한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한 슬리브를 시프트 이동시키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하우징과 시프트 포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과, 상기한 하우징에 연결되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한 시프트 포크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Disconecting device for hybrid vehicle}
이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디스커넥트 샤프트와 디스커넥트 허브를 양단에서 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 및 하중에 대한 흔들림, 처짐, 굽힘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별도의 하우징이 없이 감속기와 하우징이 일체화되도록 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리니어 센서가 아닌 홀센서를 사용하여 구조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석연료가 고갈되어 감에 따라 휘발유, 경유 등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차량 대신에 수소연료를 사용하는 연료전지 자동차, 축전지를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화석연료와 전기를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화석연료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과, 전기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한 엔진의 회전동력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시프트 포크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동력을 차단 또는 전달을 하면서, 리니어 센서를 이용하여 시프트 포크의 이송거리를 정확하게 측정 및 모니터링함으로써 회전동력의 차단 또는 전달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13414호(공개일자 2014년 02월 05일)의 "하이브리드 차량용 디스커넥터 장치"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개번호 10-2014-0013414호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전반적으로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커넥트 샤프트와 디스커넥트 허브를 양단에서 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 및 하중에 대한 흔들림, 처짐, 굽힘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별도의 하우징이 없이 감속기와 하우징이 일체화되도록 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리니어 센서가 아닌 홀센서를 사용하여 구조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감속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감속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디스커넥트 샤프트와, 상기한 하우징과 디스커넥트 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과,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에 제2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등속조인트가 연결되는 디스커넥트 허브와, 상기한 하우징과 디스커넥트 허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베어링 및 제4 베어링과, 내주면이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 및 디스커넥트 허브의 외주면들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시프트 이동됨으로써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디스커넥트 허브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슬리브와, 상기한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한 슬리브를 시프트 이동시키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하우징과 시프트 포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과, 상기한 하우징에 연결되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한 시프트 포크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액츄에이터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한 피스톤와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스프링과, 상기한 피스톤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2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3 베어링과 제4 베어링은 디스커넥트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디스커넥트 샤프트와 디스커넥트 허브를 양단에서 지지함으로써 외부 충격 및 하중에 대한 흔들림, 처짐, 굽힘 등의 변형을 방지하고, 별도의 하우징이 없이 감속기와 하우징이 일체화되도록 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리니어 센서가 아닌 홀센서를 사용하여 구조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방향에 관한 용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의 구성은, 감속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과, 상기한 하우징(1)의 내부에 설치되어 감속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디스커넥트 샤프트(3)와, 상기한 하우징(1)과 디스커넥트 샤프트(3)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9)과,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3)에 제2 베어링(10)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등속조인트(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는 디스커넥트 허브(4)와, 상기한 하우징(1)과 디스커넥트 허브(4)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베어링(7) 및 제4 베어링(11)과, 내주면이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3) 및 디스커넥트 허브(4)의 외주면들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시프트 이동됨으로써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3)의 회전동력을 디스커넥트 허브(4)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슬리브(5)와, 상기한 슬리브(5)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한 슬리브(5)를 시프트 이동시키는 시프트 포크(6)와, 상기한 하우징(1)과 시프트 포크(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12)과, 상기한 하우징(1)에 연결되는 케이스(2)와, 상기한 케이스(2)에 결합되어 상기한 시프트 포크(6)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액츄에이터(8)의 구성은,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82)과, 상기한 피스톤(82)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커버(84)와, 상기한 피스톤(82)와 커버(8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스프링(83)과, 상기한 피스톤(82)과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있는 홀센서(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2 베어링(10)은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3 베어링(7)과 제4 베어링(11)은 디스커넥트 샤프트(3)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감속기로부터 등속 조인트로 전달되는 회전 구동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8)가 작동되면, 피스톤(82)이 전진 운동을 하면서 커버(84)를 밀어낸다. 이 때, 상기한 피스톤(82)과 하우징(1)에 설치되어 있는 홀센서(85)에 의해 액츄에이터(8)의 작동 여부가 감지된다.
피스톤(82)이 커버(84)를 밀게 되면, 커버(84)는 제2 스프링(83)의 탄성력에 의한 완충작용을 가지면서 시프트 포크(6)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시프트 포크(6)는 디스커넥트 샤프트(3) 및 디스커넥트 허브(4)에 공통으로 결합되어 있던 슬리브(5)를 디스커넥트 샤프트(3) 쪽으로 시프트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시프트 포크(6)가 슬리브(5)를 디스커넥트 샤프트(3) 쪽으로 시프트 이동시키게 되면, 슬리브(5)에 의해 연결되어 있던 디스커넥트 샤프트(3) 및 디스커넥트 허브(4)가 서로 분리됨으로써 디스커넥트 샤프트(3)를 통하여 전달되는 감속기의 회전구동력이 디스커넥트 허브(4)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등속조인트의 회전구동력이 차단된다.
이와는 반대로, 감속기로부터 등속 조인트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8)의 피스톤(82)을 후진운동시키면, 커버(8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커버(8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하우징(1)과 시프트 포크(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서 시프트 포크(6)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시프트 포크(6)는 디스커넥트 샤프트(3)에만 결합되어 있던 슬리브(5)를 시프트 이동시켜서 디스커넥트 샤프트(3) 및 디스커넥트 허브(4)와 공통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프트 포크(6)가 슬리브(5)를 디스커넥트 샤프트(3) 및 디스커넥트 허브(4)를 공통으로 결합시키도록 시프트 이동시키게 되면, 슬리브(5)에 의해 디스커넥트 샤프트(3) 및 디스커넥트 허브(4)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디스커넥트 샤프트(3)를 통하여 전달되는 감속기의 회전구동력이 디스커넥트 허브(4)로 전달되어 등속조인트가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에 하우징(1)과 디스커넥트 샤프트(3)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베어링(9)과, 디스커넥트 샤프트(3)와 디스커넥트 허브(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베어링(10)과, 하우징(1)과 디스커넥트 허브(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베어링(7) 및 제4 베어링(11)은 디스커넥트 샤프트(3)와 디스커넥트 허브(4)가 양단에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 및 하중에 대한 흔들림, 처짐, 굽힘 등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디스커넥트 샤프트(3)와 디스커넥트 허브(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베어링(10)은 볼베어링으로서, 디스커넥트 샤프트(3)와 디스커넥트 허브(4)의 상대 속도에 대한 구름 저항을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디스커넥트 샤프트(3)와 디스커넥트 허브(4)의 동심도를 항상 유지시켜줌으로써 동력의 전달 및 차단시 작동성 및 응답속도를 향상시켜주게 된다.
1 : 하우징 2 : 케이스
3 : 디스커넥트 샤프트 4 : 디스커넥트 허브
5 : 슬리브 6 : 시프트 포크
7 : 제3 베어링 8 : 액츄에이터
9 : 제1 베어링 10 : 제2 베어링
11 : 제4 베어링 12 : 제1 스프링

Claims (4)

  1. 감속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감속기의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디스커넥트 샤프트와,
    상기한 하우징과 디스커넥트 샤프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과,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에 제2 베어링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등속조인트가 연결되는 디스커넥트 허브와,
    상기한 하우징과 디스커넥트 허브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 베어링 및 제4 베어링과,
    내주면이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 및 디스커넥트 허브의 외주면들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시프트 이동됨으로써 상기한 디스커넥트 샤프트의 회전동력을 디스커넥트 허브로 전달 또는 차단하는 슬리브와,
    상기한 슬리브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한 슬리브를 시프트 이동시키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한 하우징과 시프트 포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스프링과,
    상기한 하우징에 연결되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한 시프트 포크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액츄에이터는,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상기한 피스톤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한 피스톤과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스프링과,
    상기한 피스톤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베어링은 볼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3 베어링과 제4 베어링은 디스커넥트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KR1020140166500A 2014-11-26 2014-11-26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KR101577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500A KR101577913B1 (ko) 2014-11-26 2014-11-26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500A KR101577913B1 (ko) 2014-11-26 2014-11-26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913B1 true KR101577913B1 (ko) 2015-12-28

Family

ID=5508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500A KR101577913B1 (ko) 2014-11-26 2014-11-26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68B1 (ko) * 2017-06-29 2018-05-25 현대위아(주) 차량의 파킹 및 디스커넥팅 장치
CN109367382A (zh) * 2018-11-23 2019-02-22 华北理工大学 全自动一体化混合动力总成
KR20200042106A (ko) * 2018-10-15 2020-04-23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구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0697A (ja) * 1996-09-30 1998-04-21 Mazda Motor Corp 4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JPH10194006A (ja) * 1997-01-14 1998-07-2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20140013414A (ko) * 2012-07-23 2014-02-05 현대위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디스커넥터 장치
KR20140055751A (ko) * 2012-11-01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0697A (ja) * 1996-09-30 1998-04-21 Mazda Motor Corp 4輪駆動車の動力伝達装置
JPH10194006A (ja) * 1997-01-14 1998-07-28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20140013414A (ko) * 2012-07-23 2014-02-05 현대위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디스커넥터 장치
KR20140055751A (ko) * 2012-11-01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와 허브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868B1 (ko) * 2017-06-29 2018-05-25 현대위아(주) 차량의 파킹 및 디스커넥팅 장치
KR20200042106A (ko) * 2018-10-15 2020-04-23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구동장치
KR102637114B1 (ko) * 2018-10-15 2024-02-14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구동장치
CN109367382A (zh) * 2018-11-23 2019-02-22 华北理工大学 全自动一体化混合动力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14041B (zh) 具有旋转振动减振器的双离合器
EP2332817B1 (en) Accelerator operating device
CN110273932B (zh) 由马达发电机单元或马达通过环形传动构件辅助或起动的发动机所使用的隔离器
US10041578B2 (en) Spring assembly for isolator
US9102224B2 (en) Hybrid powertrain for vehicle
KR10157791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 차단장치
EP2883731B1 (en) Disconnector for hybrid vehicle
KR102283406B1 (ko) 아이솔레이팅 디커플러
WO2016090487A1 (en) Isolator with first and second spring engagement surfaces which are angled relative to one another
JP2014114958A (ja) 自動車用のトルク伝達機構
CN102561858A (zh) 用于机动车的后车盖驱动装置的连接装置
US11608879B2 (en) Disconnector apparatus
JP2018105497A (ja) アイソレーション付きプーリ
US9574662B2 (en) Disconnector for hybrid vehicle
CN116171234A (zh) 车辆用驱动装置
KR101281619B1 (ko) 자동차 동력전달용 케이블 연결장치
CN111720455A (zh) 离合器,离合系统和车辆
JP6308527B2 (ja) クラッチ装置の緩衝構造
KR20200056839A (ko) 모터 장착 엔진의 댐퍼
US9074676B2 (en) Attachment structure for primary gear of engine
CN109282016A (zh) 恒速接头密封件
CN220185740U (zh) 具有分离式离合器的差速器和车辆
JP2013256233A (ja) トランスファ装置
KR101157452B1 (ko)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KR100925696B1 (ko)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