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222B1 -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222B1
KR101387222B1 KR1020127017505A KR20127017505A KR101387222B1 KR 101387222 B1 KR101387222 B1 KR 101387222B1 KR 1020127017505 A KR1020127017505 A KR 1020127017505A KR 20127017505 A KR20127017505 A KR 20127017505A KR 101387222 B1 KR101387222 B1 KR 10138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product
rack
product storage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737A (ko
Inventor
요시오 야사카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hand-operated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individually suspended from stationary sup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Abstract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31)을 좌우 방향을 따라 병설하여 이루어지며, 수납실(1a)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된 상품 랙(30a∼30d)을 구비하고,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 상품 랙(30a∼30d)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하며,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단의 상품 랙(30a∼30d)만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랙 선택 기구(60)와,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칼럼(31)으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고, 랙 선택 기구(60)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 동작하여 최전방의 상품만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취출 기구(50)와, 상품 랙(30a∼30d)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 어느 하나의 취출 기구(50)만이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는 규제 수단(70)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로서, 상품 수납 칼럼과 버킷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품 수납 칼럼은, 복수의 상품을 정렬한 상태로 수납하는 것이다. 이 상품 수납 칼럼은, 반출 장치가 구동된 경우에는 그 전단부로부터 상품을 하나씩 지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 랙에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이 좌우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다. 또한, 이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 랙이 자동 판매기 본체의 수납실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어 있다.
버킷은, 상품 수납 칼럼으로부터 반출되는 상품을 수취하는 것이다. 이 버킷은, 버킷 구동 수단에 의해 복수의 상품 랙의 전방 영역을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버킷 구동 수단은, 버킷을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X축 반송 기구와, 이 X축 반송 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버킷을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Y축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이용자가 정해진 금액 이상의 금전을 투입하고 상품 선택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버킷 구동 수단이 구동되어 버킷을 구입 희망 상품이 수납된 상품 수납 칼럼의 앞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품 수납 칼럼으로부터 버킷에의 상품의 반출이 행해진 후, 버킷을 상품 취출구 근방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상품 취출구를 통하여 상품을 취출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64050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자동 판매기에서는, 상품의 판매에 있어서 버킷 구동 수단을 구동시켜 버킷을 이동시키는 것이 필수이다. 또한, 이러한 자동 판매기에서는, 버킷의 이동에 여러가지 제어가 필요로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부품 개수가 증대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센서 등도 필요로 하고 있어, 비용의 증대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무인으로 상품을 판매한다고 하는 자동 판매기 본래의 기능을 유지시키는 것을 전제로, 상품 판매 동작의 일부를 이용자의 조작에 위임함으로써,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하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창작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형성된 개구가 도어체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 판매기 본체와, 상품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수납된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을 병설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에 복수단 설치된 상품 랙을 구비하고,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상품 랙을 가지며, 또한 상기 도어체가 개방 이동하여 상기 개구가 개방되는 경우에 이용자가 상기 상품의 동체부(胴體部)를 잡고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품 수납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전술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장치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 상품 랙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하는 한편,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단의 상품 랙만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는 랙 선택 기구와, 상품 수납 칼럼마다 설치되고, 또한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자신이 설치된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된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이 상품 수납 칼럼을 갖는 상품 랙이 상기 랙 선택 기구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개구에 가장 근접하는 상품만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취출 기구와, 상품 랙마다 설치되며, 또한 자신이 설치된 상품 랙이 상기 랙 선택 기구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취출 기구가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상품 랙에 있어서의 다른 취출 기구가 동작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전술한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취출 기구는,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의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여 가장 하류측에 있는 최하류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그 최하류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게이트 부재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상기 제1 게이트 부재에 연계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한편, 상기 제1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여 상기 최하류 상품의 상류측에 인접하는 상품이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게이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랙 선택 기구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게이트 부재를 자유로운 상태로 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압박 수단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제2 게이트 부재에 접하는 한편, 상기 제1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것에 연계하여 상기 제2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경우에는, 그 제2 게이트 부재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 제2 게이트 부재를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자세로 유지하는 록 부재와,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록 부재를 자유로운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록 부재를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게이트 부재의 상방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접촉하여 그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한편, 해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에 접촉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캠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전술한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부재는, 판 스프링 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게이트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상태로 그 상품 수납 통로의 하류측으로부터 진입한 상품에 접촉되었을 때에는, 상기 판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그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전술한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덮개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덮개 부착부로부터 동체부까지의 사이에 잘록한 부분을 갖는 상품의 상기 덮개 부착부를 지지함으로써, 그 상품을 기립 자세로 현수한 상태로 지지하는 레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전술한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상면 및 하면이 폐색된 통 형상을 이루는 상품을 기립 자세로 배치하는 배치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전술한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의 병설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의 수용 영역에 복수의 단편 부재가 그 가이드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취출 기구의 일부가 상기 수용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다른 취출 기구의 일부가 그 수용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여 그 취출 기구의 동작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전술한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칼럼마다 설치되고, 또한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되는 상품을 전방을 향하여 미는 푸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따른 자동 판매기는, 전술한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 및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 중 적어도 한쪽은, 투명 판재에 의해 구성되는 창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상품 수납 장치가 상기 상품 랙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체가 개방 이동하여 자동 판매기 본체의 개구가 개방되는 경우에, 이용자가 상품의 동체부를 잡고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자동 판매기와 같이 버킷 구동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이용자에게 희망하는 상품을 구입시킬 수 있다. 더구나, 무인으로 상품을 판매한다고 하는 자동 판매기 본래의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 동작의 일부를 이용자의 취출 조작에 위임함으로써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의 간이화 및 부품 개수의 삭감을 행함으로써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품 수납 장치가, 이용자가 상품의 동체부를 잡고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상품의 냉각 상태 혹은 가온 상태를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품이 유연하며 투명한 수지에 의해 패킹된 식품 등인 경우, 이용자는 이러한 상품의 탄력 상태를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상품의 신선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상품 수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최상단의 상품 랙에 있어서의 가장 우측에 있는 상품 수납 칼럼을 전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확대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최상단의 상품 랙의 주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주변 구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주변 구조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주변 구조의 주요부를 일부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주변 구조의 주요부를 상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각 전환 캠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6∼도 7에 나타낸 상품 랙을 구성하는 상품 수납 칼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나타낸 상품 수납 장치를 구성하는 규제 수단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나타낸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판매 제어 처리의 주된 처리 내용에 대해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1 슬라이드판이 좌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에 접촉된 제1 슬라이드판이 좌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최전방의 상품이 취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록 부재가 제2 게이트 부재의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록 부재가 제2 게이트 부재의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1 슬라이드판 및 제2 슬라이드판이 좌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1 슬라이드판 및 제2 슬라이드판이 좌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1 슬라이드판 및 제2 슬라이드판이 좌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상품 수납 칼럼에 상품을 보충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캔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칼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상품 수납 칼럼에 있어서 최전방의 상품이 취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자동 판매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각 전환 캠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낸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판매 제어 처리의 주된 처리 내용에 대해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낸 제어 수단이 실시하는 판매 제어 처리의 주된 처리 내용에 대해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판매기의 적합한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본체 캐비닛(1)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 캐비닛(1)은, 전면(前面)에 형성된 개구가 외부 도어(도어체)(2)에 의해 개폐되는 직육면체형의 케이스이다. 외부 도어(2)는 단열재가 적절하게 이용되어 구성되어 있고, 단열 유리 등의 투명 판재를 감입하여 이루어지는 창부(2a)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 판매기는 외부 도어(2)의 창부(2a)를 통하여 내부를 시인(視認)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 도어(2)의 우단측 전면의 중앙부에는 손잡이(2b)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도어(2)는, 록/언록 기구(3)에 의해 개폐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며, 그 개폐 상태는 도어 스위치(4)에 의해 검출된다. 록/언록 기구(3)는, 록 상태에 있어서는 외부 도어(2)가 개방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여, 본체 캐비닛(1)에 있어서의 전면 개구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록/언록 기구(3)는, 언록 상태에 있어서는 외부 도어(2)가 개폐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도어 스위치(4)는, 외부 도어(2)가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경우에 온 상태가 된다. 그 한편, 외부 도어(2)가 개방 이동하여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어 스위치(4)는 오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 캐비닛(1)은, 내부가 상하 2개로 구획되어 있고, 상측이 수납실(1a), 하측이 기계실(1b)로 되어 있다. 수납실(1a)은, 그 내부를 미리 설정된 온도 상태로 유지하는 실이며, 이 수납실(1a)을 구성하는 벽 부재는 각각 단열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실(1a)에는, 증발기 등과 같은 수납실의 내부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수단(도시하지 않음)이나, 전열 히터 등과 같은 수납실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계실(1b)에는, 상기 증발기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도시하지 않음)나 각종 제어 기기 등(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 캐비닛(1)의 우측면에는, 입력 처리 유닛(10)이 부착되어 있다. 입력 처리 유닛(10)은, 상자형의 유닛 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닛 본체(11)는, 견고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유닛 본체(11)의 전면(前面)에는, 주화 투입구(12), 표시부(13), 랙 선택 버튼(14) 등이 설치되어 잇다. 유닛 본체(11)의 내부에는, 금전 처리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주화 투입구(12)는, 주화를 투입하기 위한 개구이다. 표시부(13)는, 제어 수단(100)으로부터 표시 지령이 부여됨으로써 각종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이 표시부(13)는, 예컨대 투입된 금전의 금액(투입 금액)이나, 해당 자동 판매기가 판매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 「판매중」인 취지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랙 선택 버튼(14)은,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4개) 있으며, 상하로 배열되도록 설치된 푸쉬 버튼이다. 랙 선택 버튼(14)은, 각각이 후술하는 상품 수납 장치(20)를 구성하는 상품 랙(30a∼30d)과 관련되어 있고, 이용자에게 푸쉬 조작됨으로써 입력 신호를 제어 수단(100)에 부여하는 것이다.
금전 처리 장치(15)는, 주화 투입구(12)를 통하여 투입된 주화의 진위와 금전 종류을 식별하고, 금전 종류마다 주화를 수용하는 금전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 금전 처리 장치(15)는, 주화 투입구(12)를 통하여 투입된 금액 정보를 제어 수단(100)에 부여하며, 거스름돈의 지급을 행하는 것이다. 거스름돈의 지급은, 주화 반환구(16)를 통하여 행한다. 또한, 금전 처리 장치(15)는, 주화 투입구(12)를 통하여 주화가 투입된 후에 이용자에 의해 반환 레버(17)가 조작된 경우에도, 주화 반환구(16)를 통하여 투입된 주화의 지급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금전 처리 장치(15)는, 식별할 수 없었던 주화에 대해서도 주화 반환구(16)를 통하여 주화의 지급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 캐비닛(1)에 있어서의 수납실(1a)에는 상품 수납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 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품 수납 장치(20)는, 상품 랙(30a∼30d)과, 랙 선택 기구(60)와, 취출 기구(50)와, 규제 수단(7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품 랙(30a∼30d)은,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상품 랙(30a∼30d)은, 도시하지 않는 좌우 한쌍의 랙 지지 측판 사이에 걸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최상단의 상품 랙(30a) 및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30b)은, 페트병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상단으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30c) 및 최하단의 상품 랙(30d)은, 캔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페트병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최상단의 상품 랙(30a) 및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30b))은,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5개)의 상품 수납 칼럼(31)을 좌우 방향을 따라 병설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품 수납 칼럼(31)은, 각각 좌우 한쌍의 레일 부재(3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레일 부재(32)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상호의 사이에 상품 수납 통로를 구획하는 것이다.
도 4는 최상단의 상품 랙(30a)에 있어서의 가장 우측에 있는 상품 수납 칼럼(31)을 전방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확대 전면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최상단의 상품 랙(30a)에 있어서의 가장 우측에 있어서의 상품 수납 칼럼(31)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최상단의 상품 랙(30a) 및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30b)을 구성하는 다른 상품 수납 칼럼(31)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최상단의 상품 랙(30a) 및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30b)에 수납되는 상품은, 캡(200a)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캡 부착부(200b)로부터 동체부(200d)까지의 사이에 잘록한 부분(200c)을 갖는 용기(페트병)의 내부에 음료가 봉입된 것이다.
레일 부재(32)는, 각각 상단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321)에 연결되어 있다. 이 베이스(321)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방측 수평 부재(21) 및 후방측 수평 부재(22)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측 수평 부재(21) 및 후방측 수평 부재(22)는, 상기 랙 지지 측판 사이에 걸쳐져 있다.
이러한 레일 부재(32)는, 강판이 적절하게 굴곡되어 구성된 것으로, 한쪽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 L자형을 이루고, 다른 쪽이 정면에서 본 경우에 역 L자형을 이루어 좌우 한쌍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 한쌍의 레일 부재(32)에 있어서의 상호의 간극인 상품 수납 통로의 폭은, 대상 상품(페트병 음료)의 잘록한 부분(200c)의 최대폭보다 크고, 또한 그 상품의 캡 부착부(200b)의 최대폭보다 작은 것이다.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상품 수납 통로에 상품의 잘록한 부분(200c)이 삽입되도록 상품이 기립한 자세로 투입되면, 좌우 한쌍의 레일 부재(32)에 있어서의 가장자리 단부(32a)에 그 상품의 캡 부착부(200b)의 일부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레일 부재(32)는, 상품의 캡 부착부(200b)를 지지함으로써 이 상품을 현수한 상태로 지지하며, 이 상품을 상품 수납 통로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하도록 수납시키는 것이다.
캔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최상단으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30c) 및 최하단의 상품 랙(30d))은, 페트병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30a, 30b)과 마찬가지로,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5개)의 상품 수납 칼럼(31)을 좌우 방향을 따라 병설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품 랙(30c, 30d)에 수납되는 상품은, 내부에 음료가 봉입되고, 또한 상면 및 하면이 폐색된 원통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이들 상품 수납 칼럼(31)은, 각각 좌우 한쌍의 안내 부재(33) 및 배치 부재(3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33)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것으로, 상호의 사이에 상품 수납 통로를 구획하는 것이다. 안내 부재(33)는, 각각 상단부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331)에 연결되어 있다. 이 베이스(331)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방측 수평 부재(21) 및 후방측 수평 부재(22)에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배치 부재(34)는, 안내 부재(33)의 하방 영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것이다. 이 배치 부재(34)는, 상호 대향하는 기립편의 단부(341)에 상품을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 부재(34)도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상기 랙 지지 측판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배치 부재(34)의 전단부에는, 상호를 연결하도록 규제 부재(34a)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상품 수납 칼럼(31)에 있어서는, 전방으로부터 상품 수납 통로에 상품이 기립한 자세로 투입되면, 그 상품이 배치 부재(34)에 배치된 상태로 상품 수납 통로에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수납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최상단의 상품 랙(30a)의 주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주변 구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주변 구조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주변 구조의 주요부를 일부 발췌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주변 구조의 주요부를 상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일부의 구성 요소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을 필요에 따라 이용하여 랙 선택 기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랙 선택 기구(60)는, 제1 슬라이드판(61)과, 제2 슬라이드판(62)과, 지지 로드(63)와, 모드 검출 스위치(6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판(61)은, 각 상품 랙(30a∼30d)에 있어서 각각의 상품 수납 칼럼(31)의 전방측 상방 영역을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판(61)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라이드 베이스(61a)와, 이 슬라이드 베이스(61a)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슬라이드 바닥부(61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 바닥부(61b)에는, 슬라이드 베이스(61a)에 형성된 절결에 연속하는 절결부(61b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 바닥부(61b)에 형성되는 절결부(61b1)의 수는, 상품 랙을 구성하는 상품 수납 칼럼(31)의 수에 일치하고 있으며 5개이다. 이러한 제1 슬라이드판(61)은, 제1 스프링 부재(61S)에 의해 항상 우방을 향하여 압박되고 있으며,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슬라이드판(62)은, 각 상품 랙(30a∼30d)에 있어서 각각의 상품 수납 칼럼(31)의 전방측 상방 영역을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슬라이드판(62)은, 제1 슬라이드판(61)의 후방측에 있어서 이 제1 슬라이드판(61)과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슬라이드판(62)은, 제2 스프링 부재(62S)에 의해 항상 우방을 향하여 압박되고 있으며,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슬라이드판(62)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6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621)을 관통하도록 록 부재(6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록 부재(622)는, 후단부가 록 스프링 부재(622S)에 연결되어 있고, 이 록 스프링 부재(622S)에 의해 우방을 향하여 압박되고 있다. 또한, 록 부재(622)는, 제1 슬라이드판(61)을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전단부가 제1 슬라이드판(61)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로드(63)는, 상품 랙(30a∼30d)의 전방측의 우방 영역에 있어서 상하를 따라 연장되는, 예컨대 육각주형의 봉형체이다. 이 지지 로드(63)의 상단부에는 연결 기어(631)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기어(631)는 연계 기어(632)를 개재하여 모터(M)의 출력 기어(633)에 맞물려 있다. 여기서 모터(M)는, 제어 수단(100)(도 2 참조)으로부터 구동 지령이 부여됨으로써 구동하는 구동원이며, 출력 기어(633)를 상방에서 본 경우에 이 출력 기어(63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출력 기어(633)에 연계 기어(632)를 개재하여 맞물리는 연결 기어(631)도 상방에서 본 경우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지지 로드(63)도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 로드(63)에는 복수(예컨대 4개)의 전환 캠 부재(65)가 부착되어 있다. 전환 캠 부재(65)는, 자신의 관통 구멍이 지지 로드(63)에 관통되도록 부착되어 있고, 각각이 각 상품 랙(30a∼30d)의 높이 레벨에 대응하고 있다. 이들 각 전환 캠 부재(65)는, 지지 로드(6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전환 캠 부재(65)는, 지지 로드(63)에 관통된 상태로 그 지지 로드(63)의 연장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변위 가능하여, 각 상품 랙(30a∼30d)의 높이 레벨에 따라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다. 즉, 전환 캠 부재(65)는, 각 상품 랙(30a∼30d)의 높이 레벨에 따라 추종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환 캠 부재(65)에는, 제1 돌출편(651)과 제2 돌출편(652)과 제3 돌출편(65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편(651)은, 전환 캠 부재(65)의 외주면의 하방측에 있어서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돌출편(651)은, 전환 캠 부재(65)의 중심축(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예컨대 60°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편(652)은, 제1 돌출편(651)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돌출편(653)은, 제2 돌출편(652)으로부터 중심축(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이격된 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 로드(63)에 부착된 각 전환 캠 부재(65)는, 제1 돌출편(651) 및 제2 돌출편(652)이 상호 그 지지 로드(63)의 중심축 주위에 정해진 각도만큼 이격된 양태로 설치되어 있고, 제3 돌출편(653)은, 상호 상하로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 제2 돌출편(652) 및 제3 돌출편(653)의 설치예에 대해서 서술한다. 또한, 여기서 나타내는 것은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11은 각 전환 캠 부재(65)를 상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 11의 (a)는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의 (b)는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의 (c)는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1의 (d)는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를 나타내고 있다.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는, 제1 돌출편(651) 및 제2 돌출편(652)이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 및 제2 돌출편(652)에 대하여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6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는, 제1 돌출편(651) 및 제2 돌출편(652)이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 및 제2 돌출편(652)에 대하여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6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는, 제1 돌출편(651) 및 제2 돌출편(652)이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 및 제2 돌출편(652)에 대하여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6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3 돌출편(653)은, 그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의 중앙부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24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3 돌출편(653)은, 그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의 중앙부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8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3 돌출편(653)은, 그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의 중앙부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20°틀어져 설치되어 있고,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3 돌출편(653)은, 그 전환 캠 부재(65)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의 중앙부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6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모드 검출 스위치(64)는, 모터(M)의 출력 기어(633)에 맞물리는 모드 기어(641)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전환 캠 부재(65)의 회전 각도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드 검출 스위치(64)는, 회전 각도 위치를 검출하면, 그 취지를 검출 신호로서 제어 수단(100)에 부여한다. 여기서 모드 검출 스위치(64)가 검출하는 회전 각도 위치의 일례에 대해서 서술한다. 또한, 여기서 나타내는 것은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모드 검출 스위치(64)가 검출하는 회전 각도 위치는, 「대기 위치」, 「60°회전 위치」, 「120°회전 위치」, 「180°회전 위치」, 「240°회전 위치」, 「300°회전 위치」의 6개이다.
「대기 위치」는, 기준이 되는 위치이며, 전환 캠 부재(65)의 모든 것이 제1 슬라이드판(61) 및 제2 슬라이드판(62)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이다.
「6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6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이 최상단의 상품 랙(30a)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12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12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이 최상단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 랙(30b)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18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이 최상단으로부터 3번째의 상품 랙(30c)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24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24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이 최하단의 상품 랙(30d)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30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30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모든 전환 캠 부재(65)의 제3 돌출편(653)이 각 상품 랙(30a∼30d)의 제1 슬라이드판(61) 및 제2 슬라이드판(62)에 접촉하여 이들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12는 도 6∼도 7에 나타낸 상품 랙(30a)을 구성하는 상품 수납 칼럼(3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우측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 1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 기구(50)는, 상품 수납 칼럼(31)마다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최상단의 상품 랙(30a)의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것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지만, 취출 기구(50)는, 각 상품 랙(30a∼30d)의 상품 수납 칼럼(31)마다 설치되어 있다.
취출 기구(50)는, 제1 게이트 부재(51)와 제2 게이트 부재(5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부재(51)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부(50a)에 지지되는 기단부(511)와, 이 기단부(511)보다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선단부(5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게이트 부재(51)는, 축부(50a)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1 게이트 부재(51)와 축부(50a)의 사이에는, 게이트 스프링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개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게이트 부재(51)는, 게이트 스프링 부재에 압박되어 하방을 향하여 회전한 자세로 되어 있고,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게이트 부재(51)의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선단부(512)는 최전방의 상품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게이트 부재(51)는, 게이트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면,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게 된다.
또한, 제1 게이트 부재(51)는,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걸림편(513)을 가지고 있다. 제1 게이트 부재(51)의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자세로서, 또한 제1 슬라이드판(61)이 기준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1 걸림편(513)이 절결부(61b1)의 좌측 가장자리부의 상방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도 8 참조). 이에 의해 제1 게이트 부재(51)는,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고자 하여도 제1 걸림편(513)이 절결부(61b1)의 좌측 가장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상방을 항한 회전이 규제되고 있다.
제2 게이트 부재(52)는, 제1 게이트 부재(51)보다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축부(50a)의 중심축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2 게이트 부재(52)는, 제1 게이트 부재(51)와 판 스프링 부재(53)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게이트 부재(52)는, 제1 게이트 부재(51)의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한 자세가 되는 것이다. 그 한편으로, 제1 게이트 부재(51)의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자세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선단부(522)는, 최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의 전방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2 게이트 부재(52)는, 좌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2 걸림편(523)을 가지고 있다. 이 제2 걸림편(523)은, 제1 게이트 부재(51)에 있어서의 제1 걸림편(513)의 전방측의 함몰부에 진입하여 걸려 있다.
이러한 제2 게이트 부재(52)는, 제1 게이트 부재(51)와 판 스프링 부재(53)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제1 게이트 부재(5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제2 게이트 부재(52)는, 선단부(522)에 대하여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시키는 것과 같은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는, 그 판 스프링 부재(53)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상품 수납 칼럼(31)에 있어서는, 푸셔 부재(40) 및 취출 검출 센서(5)(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푸셔 부재(40)는, 상품 수납 통로에 진입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푸셔 부재(4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태엽 스프링 부재(41)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들 태엽 스프링 부재(41)는, 각각 선단부가 레일 부재(32)의 선단 부분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푸셔 부재(40)는,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된 상품 중 최후미의 상품에 접촉하여 전방을 향하여 압박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에서는, 각 상품이 전방측을 향하여 압박되어 수납된다.
취출 검출 센서(5)는,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제1 게이트 부재(51)의 선단부(512)보다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취출 검출 센서(5)는, 예컨대 광 센서와 같은 것이며, 정해진 감시 영역을 상품이 통과한 경우에 그 취지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인 검출 신호를 제어 수단(100)에 송출하는 것이다.
도 13은 도 3에 나타낸 상품 수납 장치(20)를 구성하는 규제 수단(7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규제 수단(70)은, 가이드 부재(71)와 단편 부재(7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1)는, 각 상품 랙(30a∼30d)에 있어서 각각의 상품 수납 칼럼(31)의 전방측 상방 영역을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단편 부재(72)는,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단편 부재(72)는, 가이드 부재(71)의 수용 영역(71a)에 각각이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규제 수단(70)에 있어서 수용 영역(71a)에 형성되는 스페이스(S1, S2)의 합계 폭은, 취출 기구(50)를 구성하는 제1 게이트 부재(51)의 돌출부(512a)의 폭보다 약간 큰 것이다.
따라서,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기구(50) 중, 어느 하나의 제1 게이트 부재(51)의 돌출부(512a)가 수용 영역(71a)에 진입한 경우에는, 그 수용 영역(71a)에는 다른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의 돌출부(512a)가 진입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규제 수단(70)은,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하나의 제1 게이트 부재(51)에 있어서의 선단부(512)의 돌출부(512a)가 수용 영역(71a)에 진입한 경우에, 다른 취출 기구(50)에 있어서의 제1 게이트 부재(51)의 선단부(512)의 돌출부(512a)가 그 수용 영역(71a)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여, 다른 취출 기구(50)에 있어서의 제1 게이트 부재(51)의 상방에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다.
도 14는 도 2에 나타낸 제어 수단(100)이 실시하는 판매 제어 처리의 주된 처리 내용에 대해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판매 제어 처리를 설명하면서, 상기 상품 수납 장치(20)를 구비한 자동 판매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판매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 수단(100)은, 금전 처리 장치(15)로부터 부여된 투입 금액(금액 정보)이 상품 가격 이상이 되는 경우(단계 S101: Yes), 해당하는 랙 선택 버튼(14)을 유효한 것으로 한다(단계 S102).
유효한 것으로 한 랙 선택 버튼(14) 중 최상단의 상품 랙(30a)에 관련된 랙 선택 버튼(14)이 눌린 경우(단계 S103: Yes), 제어 수단(100)은,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것으로 하여 모터(M)를 구동시킨다(단계 S104). 그리고,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60°회전 위치」가 검출된 경우(단계 S105: Yes), 제어 수단(100)은, 모터(M)를 구동 정지로 하며 록/언록 기구(3)를 구동시켜 언록 상태가 되게 한다(단계 S106, 단계 S107). 이에 의해 이용자는, 외부 도어(2)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60°회전 위치」에서 정지시켰기 때문에, 지지 로드(63)는 「대기 위치」로부터 60°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이 제1 슬라이드판(61)의 제1 슬라이드 접촉부(612)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슬라이드판(61)은, 제1 스프링 부재(61S)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좌방을 향하여 이동한다(도 15 및 도 16 참조).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드판(61)이 좌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제1 슬라이드판(61)의 절결부(61b1)가 제1 게이트 부재(51)의 제1 걸림편(513)의 하방 영역에 위치하고, 제1 걸림편(513)의 하방 영역은 개방되게 된다. 이에 의해 최상단의 상품 랙(30a)에 있어서의 각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는, 게이트 스프링 부재에 압박되어 있지만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최상단의 상품 랙(30a) 이외의 상품 랙(30b∼30d)에서는, 각각의 상품 랙(30b∼30d)에 대응하는 높이 레벨에 부착된 전환 캠 부재(65)가 제1 슬라이드 접촉부(612)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최상단 이외의 상품 랙(30b∼30d)에서는, 각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가 제1 슬라이드판(61)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상품 랙(30b∼30d)에서는, 각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상품을 취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랙 선택 기구(60)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 상품 랙(30a∼30d)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하는 한편,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단의 상품 랙(30a)만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상품 랙(30a)의, 예컨대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최전방의 상품의 동체부(200d)를 잡고 전방으로 인출하는 취출 조작을 행하면, 취출 기구(5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부재(51)는, 게이트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도록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제2 게이트 부재(52)도 제1 게이트 부재(51)와 일체적으로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게이트 부재(52)의 선단부(522)는, 취출되는 최전방의 상품과 최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2 게이트 부재(52)가 하방을 향하여 회전하면,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제1 게이트 부재(51)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며 록 부재(622)가 록 스프링 부재(622S)에 압박되어 우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록 부재(622)가 제2 게이트 부재(52)의 제2 걸림편(523)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2 게이트 부재(52)는, 하방을 향하여 회전한 자세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제1 게이트 부재(51)도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최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보다 후방측에 수납된 상품을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없어, 동일한 상품 수납 칼럼(31)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이 전방으로 취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 제1 게이트 부재(51)는, 선단부(512)의 돌출부(512a)가 규제 수단(70)을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71)의 수용 영역(71a)에 진입하게 된다. 이에 의해 최상단의 상품 랙(30a)에 있어서의 다른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는, 돌출부(512a)가 단편 부재(72)의 존재에 의해 가이드 부재(71)의 수용 영역(71a)에 진입하는 것이 저지되고, 결과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동일한 상품 랙(30a)에 있어서 다른 상품 수납 칼럼(31)으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용자에 의해 정해진 상품 수납 칼럼(31)으로부터 최전방의 상품이 취출되면, 그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검출 센서(5)가 그 취지를 검출하고, 제어 수단(100)에 검출 신호를 부여하게 된다.
취출 검출 센서(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되고, 또한 그 후에 외부 도어(2)가 폐쇄 이동되어 도어 스위치(4)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단계 S108: Yes, 단계 S109: Yes), 제어 수단(100)은, 상품이 취출된 후에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가 폐쇄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한 제어 수단(100)은, 록/언록 기구(3)를 구동시켜 록 상태가 되게 한 후, 금전 처리 장치(15)에 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하며, 해제 지령을 모터(M)에 부여하여 구동시킨다(단계 S110, 단계 S111, 단계 S112).
이러한 제어 수단(100)으로부터 취출 지령 출력이 부여된 금전 처리 장치(15)에서는, 거스름돈이 있는 경우에는 거스름돈을 주화 반환구(16)에 지급하며, 상품 가격에 상당하는 금전을 금전 종류마다 수용한다.
또한, 모터(M)를 구동시킴으로써, 지지 로드(63)를 정해진 정지 위치인 「대기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지지 로드(63)의 회전에 의해,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는, 제1 돌출편(651)에 연속하는 제2 돌출편(652)이, 제2 슬라이드판(62)의 우단측인 제2 슬라이드 접촉부(623)에도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2 슬라이드판(62)은, 제2 스프링 부재(62S)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좌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20∼도 22 참조). 이 제2 슬라이드판(62)이 좌방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록 부재(622)도 좌방을 향하여 이동하여, 제2 게이트 부재(52)의 상방으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의해 제2 게이트 부재(52)의 상방 영역은 개방된다. 이에 의해 게이트 스프링 부재에 압박되어 제1 게이트 부재(51)가 하방을 향하여 회전하며, 제2 게이트 부재(52)도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제1 게이트 부재(51)의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고, 제2 게이트 부재(52)의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한다.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된 상품은, 푸셔 부재(40)에 압박되어 전방측에 가까워진다.
그 후, 지지 로드(63)의 회전에 의해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의 제2 돌출편(652)과, 제1 슬라이드 접촉부(612) 및 제2 슬라이드 접촉부(623)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1 슬라이드판(61) 및 제2 슬라이드판(62)은, 제1 스프링 부재(61S) 및 제2 스프링 부재(62S)에 압박되어 각각 우방을 향하여 이동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렇게 하면, 제1 게이트 부재(51)의 제1 걸림편(513)의 하방에는 제1 슬라이드판(61)의 절결부(61b1)의 좌측 가장자리부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게이트 부재(51)는, 상방을 향하여 회전할 수 없다.
그리고,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정해진 위치, 즉 「대기 위치」가 검출된 경우(단계 S113: Yes), 제어 수단(100)은, 모터(M)를 구동 정지되게 하고(단계 S114),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금번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하면, 이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108에 있어서, 취출 검출 센서(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되지 않고 도어 스위치(4)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단계 S108: No, 단계 S115: Yes), 제어 수단(100)은, 상품이 취출되지 않고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가 폐쇄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한 제어 수단(100)은, 록/언록 기구(3)를 구동시켜 록 상태가 되게 한 후, 금전 처리 장치(15)에 미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한다(단계 S116, 단계 S117). 이러한 제어 수단(100)으로부터 미취출 지령 출력이 부여된 금전 처리 장치(15)는, 투입 주화를 주화 반환구(16)에 지급한다.
그리고, 미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한 제어 수단(100)은, 해제 지령을 부여하여 모터(M)를 구동시키고(단계 S118), 그 후에 전술한 단계 S113 및 단계 S114의 처리를 행하고 나서 순서를 리턴시켜 금번의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품을 보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제어 수단(100)이, 모드 검출 스위치(64)가 「300°회전 위치」를 검출할 때까지 모터(M)를 구동시킨다. 이에 의해 모든 전환 캠 부재(65)의 제3 돌출편(653)이 제1 슬라이드 접촉부(612) 및 제2 슬라이드 접촉부(623)에 접촉하여 제1 슬라이드판(61) 및 제2 슬라이드판(62)을 제1 스프링 부재(61S) 및 제2 스프링 부재(62S)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는,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게이트 부재(51)를 상방을 향하여 회전시켜 대상이 되는 상품 수납 칼럼(31)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보충 상품을 상품 수납 통로에 진입시킨다. 이때 진입된 상품은 제2 게이트 부재(52)의 선단부(522)에 접촉하게 되지만, 이러한 제2 게이트 부재(52)는, 록 부재(622)에 의해 그 회전이 규제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판 스프링 부재(53)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여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한다. 따라서, 상품 수납 칼럼(31)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정해진 개수의 상품을 진입시켜 보충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캔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최상단으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30c) 및 최하단의 상품 랙(30d))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상품이 취출된다. 또한, 여기서는 최하단의 상품 랙(30d)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상품은, 배치 부재(34)에 배치된 상태로 안내 부재(33)에 의해 좌우 방향을 항한 이동이 규제되어, 상품 수납 통로에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수납된다. 그 후, 금전의 투입 및 랙 선택 버튼(14)이 눌리면, 전환 캠 부재(65)의 제1 돌출편(651)에 접촉된 제1 슬라이드판(61)이 좌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드판(61)이 좌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절결부(61b1)가 제1 게이트 부재(51)의 제1 걸림편(513)의 하방 영역에 위치하고, 제1 걸림편(513)의 하방 영역은 개방되게 된다. 이에 의해 최하단의 상품 랙(30d)에 있어서의 각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는,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용자가 상품 랙(30d) 중 어느 하나의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최전방의 상품의 취출 조작을 행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이러한 취출 조작에 있어서는, 배치 부재(34)의 전단부에는 규제 부재(34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전방의 상품을 앞으로 기운 자세로 하여 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즉, 최전방의 상품이 단순히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는 것을 규제 부재(34a)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최전방의 상품이 앞으로 기운 자세로 전방으로 인출되면, 제1 게이트 부재(51)는, 게이트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도록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제2 게이트 부재(52)도 제1 게이트 부재(51)와 일체적으로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게이트 부재(52)의 선단부(522)는, 취출되는 최전방의 상품과 최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2 게이트 부재(52)가 하방을 향하여 회전하면, 록 부재(622)가 록 스프링 부재(622S)에 압박되어 우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록 부재(622)가 제2 게이트 부재(52)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2 게이트 부재(52)는, 하방을 향하여 회전한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최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보다 후방측에 수납된 상품을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없어, 동일한 상품 수납 칼럼(31)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이 전방으로 취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 제1 게이트 부재(51)는, 선단부(512)의 돌출부(512a)가 규제 수단(70)을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71)의 수용 영역(71a)에 진입하게 된다. 이에 의해 최상단의 상품 랙(30a)에 있어서의 다른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는, 돌출부(512a)가 단편 부재(72)의 존재에 의해 가이드 부재(71)의 수용 영역(71a)에 진입하는 것이 저지되고, 결과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동일한 상품 랙(30a)에 있어서 다른 상품 수납 칼럼(31)으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랙 선택 기구(60)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 상품 랙(30a∼30d)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랙 선택 기구(60)는,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단의 상품 랙(30a)만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로 한다. 상품 수납 칼럼(31)마다 배치된 취출 기구(50)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그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그 상품 수납 칼럼(31)을 갖는 상품 랙(30a)이 랙 선택 기구(60)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최전방의 상품만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품 랙(30a∼30d)마다 배치된 규제 수단(70)은, 자신이 설치된 상품 랙(30a∼30d)이 랙 선택 기구(60)에 의해 상품의 취출이 허용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취출 기구(50)가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상품 랙(30a∼30d)에 있어서의 다른 취출 기구(50)가 동작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자동 판매기와 같이 버킷 구동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이용자에게 희망하는 상품을 구입시킬 수 있다. 더구나, 무인으로 상품을 판매한다고 하는 자동 판매기 본래의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 동작의 일부를 이용자의 취출 조작에 위임함으로써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의 삭감 등을 행함으로써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상품 수납 장치(20)가, 이용자가 상품의 동체부(200d)를 잡고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상품의 냉각 상태 혹은 가온 상태를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상품 수납 장치(20)에 있어서는, 제1 슬라이드판(61)이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여, 제1 게이트 부재(51)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규제하기 때문에,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환 캠 부재(65)가 제1 슬라이드판(61)을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제1 게이트 부재(51) 및 제2 게이트 부재(52)를 자유로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용자에 의해 상품 수납 통로의 최전방의 상품이 취출되면, 제1 게이트 부재(51)는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고, 제2 게이트 부재(52)는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다. 제2 게이트 부재(5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면, 록 부재(622)가 그 제2 게이트 부재(52)의 제2 걸림편(523)의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게이트 부재(52)는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자세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최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이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전환 캠 부재(65)가 제1 슬라이드판(61)뿐만 아니라 제2 슬라이드 부재도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록 부재(622)를 제2 게이트 부재(52)의 제2 걸림편(523)의 상방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게이트 부재(51)를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시키며, 제2 게이트 부재(52)를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의 취출 조작을 이용자에게 위임함으로써 종래의 자동 판매기와 같이 버킷이나 버킷 구동 수단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더구나 제1 게이트 부재(51)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여도 제2 게이트 부재(5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함으로써 상품 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하나씩 취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하면서,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된 상품을 하나씩 확실하게 취출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상품 수납 장치(20)에 있어서는, 각 상품 수납 칼럼(31)을 구성하는 레일 부재(32)가, 상품의 캡 부착부(200b)를 지지함으로써 그 상품을 기립 자세로 현수한 상태로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시키기 때문에, 동체부(200d)가 플랫 형상 등의 이형 용기에 수용된 상품에 대해서도 상품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상품 수납 장치(20)에 있어서는, 각 상품 수납 칼럼(31)을 구성하는 배치 부재(34)가, 원통형의 상품을 기립 자세로 배치하여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시키기 때문에, 레일 부재(32)로 현수할 수 없는 용기에 수용된 상품에 대해서도 상품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고 양호하게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상품 수납 장치(20)에 있어서는, 규제 수단(70)이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하나의 제1 게이트 부재(51)의 돌출부(512a)가 수용 영역(71a)에 진입한 경우에, 다른 취출 기구(50)에 있어서의 제1 게이트 부재(51)의 돌출부(512a)가 그 수용 영역(71a)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여, 다른 취출 기구(50)에 있어서의 제1 게이트 부재(51)의 퇴행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상품 랙(30a∼30d)으로부터 복수의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상품 수납 장치(20)에 있어서는, 상품을 기립 자세의 상태로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시키기 때문에, 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소50-27749호 공보 등에 기재된 종래 기술과 같이, 상품을 옆으로 뉘인 자세로 수납시키고, 또한 캡측으로부터 상품을 시인시키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상품 전체를 이용자에게 시인시킬 수 있으며, 더구나 이용자에게 구입 상품을 직접 보고 만지게 할 수 있어, 이용자에게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하나의 본체 캐비닛(1)에 하나의 입력 처리 유닛(10)이 부착되어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처리 유닛(10)과, 입력 처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복수의 본체 캐비닛(1)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하나의 입력 처리 유닛(10)과 복수의 본체 캐비닛(1)이 접속하여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이에 의해서도 이용자의 희망 상품을 하나만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구나 다종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1인 자동 판매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본체 캐비닛(1)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 캐비닛(1)은, 전면에 형성된 개구가 외부 도어(도어체)(2)에 의해 개폐되는 직육면체형의 케이스이다. 이 본체 캐비닛(1)의 우측면에는, 입력 처리 유닛(10a)이 부착되어 있다. 입력 처리 유닛(10a)은, 상자형의 유닛 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닛 본체(11)는, 견고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전면에는, 주화 투입구(12), 표시부(13), 랙 판매 램프(14RL) 등이 설치되어 있다.
랙 판매 램프(14RL)는,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4개) 있으며, 상하로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랙 판매 램프(14RL)는, 각각이 상품 수납 장치(20)를 구성하는 상품 랙(30a∼30d)과 관련되어 있고, 대응하는 상품 랙(30a∼30d)이 판매 가능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100a)으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점등하는 것이다.
상품 수납 장치(20)는, 상품 랙(30a∼30d)과, 랙 선택 기구(60)와, 취출 기구(50)와, 규제 수단(7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품 랙(30a∼30d)은,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상품 랙(30a∼30d)은, 도시하지 않는 좌우 한쌍의 랙 지지 측판 사이에 걸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단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최상단의 상품 랙(30a) 및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30b)은, 페트병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상단으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30c) 및 최하단의 상품 랙(30d)은, 캔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는, 각 상품 랙(30a∼30d)에서는, 랙마다 동일 가격의 상품을 수납하고 있다.
도 29는 랙 선택 기구(60)를 구성하는 지지 로드(63)에 지지되는 각 전환 캠 부재(65B)를 상방에서 본 경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 29의 (a)는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9의 (b)는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9의 (c)는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9의 (d)는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B)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예시하는 전환 캠 부재(65B)에는, 제1 돌출편(651a)과 제2 돌출편(652a)과 제3 돌출편(65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편(651a)은, 전환 캠 부재(65B)의 외주면의 하방측에 있어서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돌출편(651a)은, 전환 캠 부재(65B)의 중심축(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각각 정해진 각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돌출편(652a)은, 제1 돌출편(651a)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돌출편(653)은, 제2 돌출편(652a)으로부터 중심축(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이격된 개소에 설치되어 있고,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이들 전환 캠 부재(65B)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는, 제1 돌출편(651a)이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에 대하여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6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는, 제1 돌출편(651a)이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에 대하여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6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는, 제1 돌출편(651a)이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에 대하여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6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의 제3 돌출편(653)은, 그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a)의 단부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270°틀어져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돌출편(652a)으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의 제3 돌출편(653)은, 그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a)의 단부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210°틀어져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돌출편(652a)으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의 제3 돌출편(653)은, 그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a)의 단부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150°틀어져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돌출편(652a)으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의 제3 돌출편(653)은, 그 전환 캠 부재(65B)에 있어서의 제1 돌출편(651a)의 단부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틀어져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돌출편(652a)으로부터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30°틀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는, 제1 돌출편(651a)이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240°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는, 제1 돌출편(651a)이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180°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는, 제1 돌출편(651a)이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120°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B)는, 제1 돌출편(651a)이 지지 로드(63)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60°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환 캠 부재(65B)의 제2 돌출편(652a) 및 제3 돌출편(653)은, 각각 상호 상하로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전환 캠 부재(65B)가 이러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검출되는 「대기 위치」는, 기준이 되는 위치이며, 전환 캠 부재(65B)의 모든 것이 제1 슬라이드판(61) 및 제2 슬라이드판(62)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이다.
또한,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검출되는 「6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6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상단의 상품 랙(30a)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검출되는 「12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12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가 최상단의 상품 랙(30a)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키며,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상단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 랙(30b)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검출되는 「18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가 최상단의 상품 랙(30a)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키며,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상단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 랙(30b)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상단으로부터 3번째의 상품 랙(30c)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검출되는 「24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24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가 최상단의 상품 랙(30a)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키고,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상단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 랙(30b)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키며,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상단으로부터 3번째의 상품 랙(30c)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최하위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하단의 상품 랙(30d)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검출되는 「300°회전 위치」는, 「대기 위치」로부터 지지 로드(63)가 시계 방향으로 300°회전한 위치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모든 전환 캠 부재(65B)의 제3 돌출편(653)이 각 상품 랙(30a∼30d)의 제1 슬라이드판(61) 및 제2 슬라이드판(62)에 접촉하여 이들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투입 금액에 따라, 최상단의 상품 랙(30a)만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 상품 랙(30a, 30b)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 상품 랙(30a∼30c)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 혹은 모든 상품 랙(30a∼30d)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도 30은 도 28에 나타낸 제어 수단(100a)이 실시하는 판매 제어 처리의 주된 처리 내용에 대해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판매 제어 처리를 설명하면서, 본 실시형태 2의 자동 판매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판매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 수단(100a)은, 금전 처리 장치(15)로부터 부여된 투입 금액(금액 정보)이 상품 가격 이상이 되는 경우(단계 S201: Yes), 해당하는 랙 판매 램프(14RL)를 유효한 것으로 하여 점등한다(단계 S202).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계 S201에서 투입된 금전이 상품 랙(30a∼30c)에 수납된 상품의 가격 이상이라고 하면, 이들 상품 랙(30a∼30c)에 대응하는 랙 판매 램프(14RL)를 유효한 것으로 하여 점등한다. 바꾸어 말하면, 단계 S201에 있어서는, 최하단의 상품 랙(30d)에 수납된 상품 가격 이상의 금전이 투입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최하단의 상품 랙(30d)에 대응하는 랙 판매 램프(14RL)에 대해서는 점등시키지 않는다.
해당하는 랙 판매 램프(14RL)를 점등시킨 제어 수단(100a)은,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것으로 하여 모터(M)를 구동시킨다(단계 S203). 그리고,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180°회전 위치」가 검출된 경우(단계 S204: Yes), 제어 수단(100a)은, 모터(M)를 구동 정지로 하며 록/언록 기구(3)를 구동시켜 해제 상태가 되게 한다(단계 S205, 단계 S206). 이에 의해 이용자는, 외부 도어(2)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180°회전 위치」에서 정지시켰기 때문에, 지지 로드(63)는 「대기 위치」로부터 180°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최상위의 전환 캠 부재(65B)가 최상단의 상품 랙(30a)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키며, 최상위로부터 2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상단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 랙(30b)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최상위로부터 3번째의 전환 캠 부재(65B)의 제1 돌출편(651a)이 최상단으로부터 3번째의 상품 랙(30c)의 제1 슬라이드판(61)에 접촉하여 이것을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드판(61)이 좌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제1 슬라이드판(61)의 절결부(61b1)가 제1 게이트 부재(51)의 제1 걸림편(513)의 하방 영역에 위치하여, 제1 걸림편(513)의 하방 영역은 개방되게 된다. 이에 의해 각 상품 랙(30a∼30c)에 있어서의 각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는, 게이트 스프링 부재에 압박되어 있지만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들 상품 랙(30a∼30c) 이외의 최하단의 상품 랙(30d)에서는, 상품 랙(30d)에 대응하는 높이 레벨에 부착된 전환 캠 부재(65B)가 제1 슬라이드 접촉부(612)에 접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최하단의 상품 랙(30d)에서는, 각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가 제1 슬라이드판(61)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상품 랙(30d)에서는, 각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상품을 취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랙 선택 기구(60)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 상품 랙(30a∼30d)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하는 한편,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단의 상품 랙(30a∼30c)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상품 랙(30a)의, 예컨대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최전방의 상품의 동체부(200d)를 잡고 전방으로 인출하는 취출 조작을 행하면, 취출 기구(5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1 게이트 부재(51)는, 게이트 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도록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 경우, 제2 게이트 부재(52)도 제1 게이트 부재(51)와 일체적으로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2 게이트 부재(52)의 선단부(522)는, 취출되는 최전방의 상품과 최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2 게이트 부재(52)가 하방을 향하여 회전하면, 좌측의 제1 게이트 부재(51)가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여 록 부재(622)가 록 스프링 부재(622S)에 압박되어 우방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록 부재(622)가 제2 게이트 부재(52)의 제2 걸림편(523)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제2 게이트 부재(52)는, 하방을 향하여 회전한 자세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제1 게이트 부재(51)도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최전방으로부터 2번째의 상품보다 후방측에 수납된 상품을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없어, 동일한 상품 수납 칼럼(31)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이 전방으로 취출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 제1 게이트 부재(51)는, 선단부(512)의 돌출부(512a)가 규제 수단(70)을 구성하는 가이드 부재(71)의 수용 영역(71a)에 진입하게 된다. 이에 의해 최상단의 상품 랙(30a)에 있어서의 다른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는, 돌출부(512a)가 단편 부재(72)의 존재에 의해 가이드 부재(71)의 수용 영역(71a)에 진입하는 것이 저지되고, 결과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동일한 상품 랙(30a)에 있어서 다른 상품 수납 칼럼(31)으로부터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용자에 의해 정해진 상품 수납 칼럼(31)으로부터 최전방의 상품이 취출되면, 그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검출 센서(5)가 그 취지를 검출하여, 제어 수단(100a)에 검출 신호를 부여하게 된다.
취출 검출 센서(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되고, 또한 그 후에 외부 도어(2)가 폐쇄 이동되어 도어 스위치(4)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단계 S207: Yes, 단계 S208: Yes), 제어 수단(100a)은, 상품이 취출된 후에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가 폐쇄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한 제어 수단(100a)은, 록/언록 기구(3)를 구동시켜 록 상태가 되게 한 후, 금전 처리 장치(15)에 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하며, 해제 지령을 모터(M)에 부여하여 구동시킨다(단계 S209, 단계 S210, 단계 S211).
이러한 제어 수단(100a)으로부터 취출 지령 출력이 부여된 금전 처리 장치(15)에서는, 거스름돈이 있는 경우에는 거스름돈을 주화 반환구(16)에 지급하며, 상품 가격에 상당하는 금전을 금전 종류마다 수용한다.
또한, 모터(M)를 구동시킴으로써, 지지 로드(63)를 정해진 정지 위치인 「대기 위치」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지지 로드(63)의 회전에 의해, 전환 캠 부재(65B)는, 제1 돌출편(651a)에 연속하는 제2 돌출편(652a)이, 제2 슬라이드판(62)의 우단측인 제2 슬라이드 접촉부(623)에도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2 슬라이드판(62)은, 제2 스프링 부재(62S)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좌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제2 슬라이드판(62)이 좌방을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록 부재(622)도 좌방을 향하여 이동하여, 제2 게이트 부재(52)의 상방으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의해 제2 게이트 부재(52)의 상방 영역은 개방된다. 이에 의해 게이트 스프링 부재에 압박되어 제1 게이트 부재(51)가 하방을 향하여 회전하며, 제2 게이트 부재(52)도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제1 게이트 부재(51)의 선단부(512)가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고, 제2 게이트 부재(52)의 선단부(522)가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한다. 상품 수납 통로에 수납된 상품은, 푸셔 부재(40)에 압박되어 전방측에 가까워진다.
그 후, 지지 로드(63)의 회전에 의해 전환 캠 부재(65B)의 제2 돌출편(652a)과, 제1 슬라이드 접촉부(612) 및 제2 슬라이드 접촉부(623)의 접촉이 해제되면, 제1 슬라이드판(61) 및 제2 슬라이드판(62)은, 제1 스프링 부재(61S) 및 제2 스프링 부재(62S)에 압박되어 각각 우방을 향하여 이동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렇게 하면, 제1 게이트 부재(51)의 제1 걸림편(513)의 하방에는 제1 슬라이드판(61)의 절결부(61b1)의 좌측 가장자리부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게이트 부재(51)는, 상방을 향하여 회전할 수 없다.
그리고,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정해진 위치, 즉 「대기 위치」가 검출된 경우(단계 S212: Yes), 제어 수단(100a)은, 모터(M)를 구동 정지되게 하고(단계 S213),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금번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하면, 이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207에 있어서, 취출 검출 센서(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되지 않고 도어 스위치(4)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면(단계 S207: No, 단계 S214: Yes), 제어 수단(100a)은, 상품이 취출되지 않고 본체 캐비닛(1)의 전면 개구가 폐쇄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한 제어 수단(100a)은, 록/언록 기구(3)를 구동시켜 록 상태가 되게 한 후, 금전 처리 장치(15)에 미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한다(단계 S215, 단계 S216). 이러한 제어 수단(100a)으로부터 미취출 지령 출력이 부여된 금전 처리 장치(15)는, 투입 주화를 주화 반환구(16)에 지급한다.
그리고, 미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한 제어 수단(100a)은, 해제 지령을 부여하여 모터(M)를 구동시키고(단계 S217), 그 후에 전술한 단계 S212 및 단계 S213의 처리를 행하고 나서 순서를 리턴시켜 금번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랙 선택 기구(60)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 상품 랙(30a∼30d)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랙 선택 기구(60)는,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단의 상품 랙(30a∼30c)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로 한다. 상품 수납 칼럼(31)마다 배치된 취출 기구(50)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그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그 상품 수납 칼럼(31)을 갖는 상품 랙(30a∼30c)이 랙 선택 기구(60)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최전방의 상품만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품 랙(30a∼30d)마다 배치된 규제 수단(70)은, 자신이 설치된 상품 랙(30a∼30d)이 랙 선택 기구(60)에 의해 상품의 취출이 허용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취출 기구(50)가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상품 랙(30a∼30d)에 있어서의 다른 취출 기구(50)가 동작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자동 판매기와 같이 버킷 구동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이용자에게 희망하는 상품을 구입시킬 수 있다. 더구나, 무인으로 상품을 판매한다고 하는 자동 판매기 본래의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 동작의 일부를 이용자의 취출 조작에 위임함으로써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의 삭감 등을 행함으로써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상품 수납 장치(20)가, 이용자가 상품의 동체부(200d)를 잡고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상품의 냉각 상태 혹은 가온 상태를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적합한 실시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단계 S210에 있어서, 제어 수단(100a)은, 금전 처리 장치(15)에 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함으로써, 금전 처리 장치(15)에 있어서 거스름돈의 지급 등을 행하게 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100a)은, 단계 S207에서 취출 검출 센서(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된 경우에, 투입 금액으로부터 상품의 판매 가격을 감산하여 잔금을 기억하고, 기억한 잔금이 상품 가격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 S202 이후의 처리를 실시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이에 의하면 상품의 연속 구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투입 금액에 따라, 최상단의 상품 랙(30a)만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 상품 랙(30a, 30b)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 상품 랙(30a∼30c)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 혹은 모든 상품 랙(30a∼30d)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로 나누어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도 상관없다. 즉, 지지 로드를, 예컨대 16각형의 주형체로 하고, 전환 캠 부재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상품 랙(30a∼30d)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4가지)와, 상품 랙(30a∼30d) 중 임의의 2개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6가지)와, 상품 랙(30a∼30d) 중 임의의 3개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4가지)와, 모든 상품 랙(30a∼30d)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경우와, 모든 상품 랙(30a∼30d)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경우로 나누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3>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인 자동 판매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인 자동 판매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 1인 자동 판매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 판매기는, 예컨대 캔 음료나 페트병 음료 등의 상품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본체 캐비닛(1)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 캐비닛(1)은, 전면에 형성된 개구가 외부 도어(도어체)(2)에 의해 개폐되는 직육면체형의 케이스이다. 이 본체 캐비닛(1)의 우측면에는, 입력 처리 유닛(10b)이 부착되어 있다. 입력 처리 유닛(10b)은, 상자형의 유닛 본체(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닛 본체(11)는, 견고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유닛 본체(11)의 전면에는, 주화 투입구(12), 표시부(13) 등이 설치되어 있다. 유닛 본체(11)의 내부에는, 금전 처리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 캐비닛(1)에 있어서의 수납실(1a)에는 상품 수납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상품 수납 장치(20)는, 상품 랙(30a∼30d)과, 랙 선택 기구(60)와, 취출 기구(50)와, 칼럼 판매 기구(8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품 랙(30a∼30d)은,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최상단의 상품 랙(30a) 및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30b)은, 페트병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상단으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30c) 및 최하단의 상품 랙(30d)은, 캔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페트병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최상단의 상품 랙(30a) 및 최상단으로부터 2단째의 상품 랙(30b))은,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5개)의 상품 수납 칼럼(31)을 좌우 방향을 따라 병설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품 수납 칼럼(31)은, 각각 좌우 한쌍의 레일 부재(3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레일 부재(32)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상호의 사이에 상품 수납 통로를 구획하는 것이다.
캔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최상단으로부터 3단째의 상품 랙(30c) 및 최하단의 상품 랙(30d))은, 페트병 음료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랙(30a, 30b)과 마찬가지로,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5개)의 상품 수납 칼럼(31)을 좌우 방향을 따라 병설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품 랙(30a∼30d)의 전면에 있어서는, 각 상품 수납 칼럼(31)에 대응하여 복수의 칼럼 판매 램프(14CL)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칼럼 판매 램프(14CL)는, 제어 수단(100b)으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점등하는 것이다.
칼럼 판매 기구(80)는, 각 상품 수납 칼럼(31)마다 설치되어 있고, 제어 수단(100b)으로부터 부여되는 지령에 따라, 도시하지 않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해제 동작 및 규제 동작하는 것이다. 이 칼럼 판매 기구(80)는, 해제 동작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규제 동작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가 상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 1의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규제 수단(7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랙 선택 기구(60)를 구성하는 지지 로드(63)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지만, 그 회전은,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대기 위치」가 검출될 때까지, 혹은 「300°회전 위치」가 검출될 때까지 회전하는 것이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낸 제어 수단(100b)이 실시하는 판매 제어 처리의 주된 처리 내용에 대해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판매 제어 처리를 설명하면서, 본 실시형태 3의 자동 판매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판매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어 수단(100b)은, 금전 처리 장치(15)로부터 부여된 투입 금액(금액 정보)이 상품 가격 이상이 되는 경우(단계 S301: Yes), 해당하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칼럼(31)에 대응하는 칼럼 판매 램프(14CL)를 점등시키며, 그 상품 수납 칼럼(31)에 대응하는 칼럼 판매 기구(80)를 해제 동작시킨다(단계 S302, 단계 S303).
이들 단계 S302 및 단계 S303을 실시한 제어 수단(100b)은,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것으로 하여 모터(M)를 구동시킨다(단계 S304). 그리고,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300°회전 위치」가 검출된 경우(단계 S305: Yes), 제어 수단(100b)은, 모터(M)를 구동 정지되게 한다(단계 S306).
이와 같이 「300°회전 위치」에서 정지시켰기 때문에, 지지 로드(63)는 「대기 위치」로부터 300°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각 전환 캠 부재(65)의 제3 돌출편(653)이 제1 슬라이드 접촉부(612) 및 제2 슬라이드 접촉부(623)에 접촉하여 제1 슬라이드판(61) 및 제2 슬라이드판(62)을 제1 스프링 부재(61S) 및 제2 스프링 부재(62S)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좌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취출 기구(50)의 제1 게이트 부재(51)는, 상방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외부 도어(2)를 개방 이동 시킨 이용자에 의해 칼럼 판매 램프(14CL)가 점등하는 어느 하나의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최전방의 상품이 취출되면, 그 상품 수납 칼럼(31)에 배치된 취출 검출 센서(5)가 그 취지를 검출하여, 제어 수단(100b)에 검출 신호를 부여하게 된다.
취출 검출 센서(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되면(단계 S307: Yes), 제어 수단(100b)은, 상기 단계 S303에서 해제 동작시킨 모든 칼럼 판매 기구(80)를 규제 동작시킨다(단계 S308). 그리고, 제어 수단(100b)은, 금전 처리 장치(15)에 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하며, 해제 지령을 모터(M)에 부여하여 구동시킨다(단계 S309, 단계 S310).
이러한 제어 수단(100b)으로부터 취출 지령 출력이 부여된 금전 처리 장치(15)에서는, 거스름돈이 있는 경우에는 거스름돈을 주화 반환구(16)에 지급하며, 상품 가격에 상당하는 금전을 금전 종류마다 수용한다.
그리고, 모드 검출 스위치(64)에 의해 정해진 위치, 즉 「대기 위치」가 검출된 경우(단계 S311: Yes), 제어 수단(100b)은, 모터(M)를 구동 정지되게 하고(단계 S312), 그 후에 순서를 리턴시켜 금번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하면, 이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307에 있어서, 취출 검출 센서(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되지 않고 미리 설정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단계 S307: No, 단계 S313: Yes), 제어 수단(100b)은, 상기 단계 S303에서 해제 동작시킨 모든 칼럼 판매 기구(80)를 규제 동작시켜, 금전 처리 장치(15)에 미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한다(단계 S314, 단계 S315). 이러한 제어 수단(100b)으로부터 미취출 지령 출력이 부여된 금전 처리 장치(15)는, 투입 주화를 주화 반환구(16)에 지급한다.
그리고, 미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한 제어 수단(100b)은, 해제 지령을 부여하여 모터(M)를 구동시키고(단계 S316), 그 후에 전술한 단계 S311 및 단계 S312의 처리를 행하고 나서 순서를 리턴시켜 금번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는, 랙 선택 기구(60)는,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모든 상품 랙(30a∼30d)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랙 선택 기구(60)는,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모든 상품 랙(30a∼30d)에 대해서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로 한다. 상품 수납 칼럼(31)마다 배치된 취출 기구(50)는,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그 상품 수납 칼럼(31)에 수납된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그 상품 수납 칼럼(31)을 갖는 상품 랙(30a∼30d)이 랙 선택 기구(60)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최전방의 상품만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품 수납 칼럼(31)마다 배치된 칼럼 판매 기구(80)는, 해제 동작된 경우에는, 대응하는 취출 기구(50)가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규제 동작된 경우에는 대응하는 취출 기구(50)가 동작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자동 판매기와 같이 버킷 구동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이용자에게 희망하는 상품을 구입시킬 수 있다. 더구나, 무인으로 상품을 판매한다고 하는 자동 판매기 본래의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 동작의 일부를 이용자의 취출 조작에 위임함으로써 구조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개수의 삭감 등을 행함으로써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상품 수납 장치(20)가, 이용자가 상품의 동체부(200d)를 잡고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상품의 냉각 상태 혹은 가온 상태를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투입 금액 이하의 판매 가격의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 수납 칼럼(31)에 대응하는 칼럼 판매 램프(14CL)를 점등시키면서, 칼럼 판매 기구(80)를 해제 동작시키기 때문에, 동일한 상품 랙(30a∼30d)에 있어서도 판매 가격이 다른 상품을 수납할 수 있어, 한정된 스페이스 중에서 여러가지 가격대의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3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3에서는, 단계 S309에 있어서, 제어 수단(100b)은, 금전 처리 장치(15)에 취출 지령 출력을 부여함으로써, 금전 처리 장치(15)에 있어서 거스름돈의 지급 등을 행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100b)은, 단계 S307에서 취출 검출 센서(5)로부터 검출 신호가 부여된 경우에, 투입 금액으로부터 상품의 판매 가격을 감산하여 잔금을 기억하고, 기억한 잔금이 상품 가격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 S302 이후의 처리를 실시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이에 의하면 상품의 연속 구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3에서는, 판매 제어 처리에 있어서 록/언록 기구(3)를 록 혹은 언록하는 것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록/언록 기구(3)를 록 혹은 언록하는 처리를 이러한 판매 제어 처리에 내장하여도 상관없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 1∼3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더욱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1∼3에서는, 외부 도어(2)의 창부(2a)를 통하여 본체 캐비닛(1)의 내부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어체(외부 도어(2))에만 한정되지 않고, 자동 판매기 본체(본체 캐비닛(1))가 투명한 단열 유리재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그 자동 판매기 본체에 창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에 의하면, 도어체에만 한정되지 않고, 자동 판매기 본체의 창부를 통하여 내부를 시인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 1∼3에서는, 페트병 음료나 캔 음료를 대상 상품으로 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연하며 투명한 수지에 의해 패킹된 식품 등을 대상 상품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용자는 이러한 상품의 탄력 상태를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상품의 신선도를 파악할 수 있다.
1 본체 캐비닛 1a 수납실
2 외부 도어(도어체) 2a 창부
3 록/언록 기구 4 도어 스위치
10 입력 처리 유닛 11 유닛 본체
12 주화 투입구 13 표시부
14 랙 선택 버튼 14RL 랙 판매 램프
14CL 칼럼 판매 램프 15 금전 처리 장치
20 상품 수납 장치 30a 상품 랙
30b 상품 랙 30c 상품 랙
30d 상품 랙 31 상품 수납 칼럼
32 레일 부재 33 안내 부재
34 배치 부재 40 푸셔 부재
41 태엽 스프링 부재 50 취출 기구
50a 축부 51 제1 게이트 부재
511 기단부 512 선단부
512a 돌출부 513 제1 걸림편
52 제2 게이트 부재 522 선단부
523 제2 걸림편 53 판 스프링 부재
60 랙 선택 기구 61 제1 슬라이드판
61S 제1 스프링 부재 61b1 절결부
62 제2 슬라이드판 62S 제2 스프링 부재
621 관통 구멍 622 록 부재
63 지지 로드 631 연결 기어
64 모드 검출 스위치 65 전환 캠 부재
651 제1 돌출편 652 제2 돌출편
653 제3 돌출편 70 규제 수단
71 가이드 부재 72 단편 부재
80 칼럼 판매 기구 100 제어 수단
100a 제어 수단 100b 제어 수단
200a 캡 200b 캡 부착부
200c 잘록한 부분 200d 동체부
M 모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형성된 개구가 도어체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 판매기 본체와,
    상품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수납된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을 병설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에 복수단 설치된 상품 랙(rack)
    을 구비하고,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상품 랙을 가지며, 상기 도어체가 개방 이동하여 상기 개구가 개방되는 경우에 이용자가 상기 상품의 동체부(胴體部)를 잡고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품 수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품 수납 장치는,
    대기 상태에서는 모든 상품 랙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하는 한편,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단의 상품 랙만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는 랙 선택 기구와,
    상품 수납 칼럼마다 설치되고, 정상 상태에서는 자신이 설치된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된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이 상품 수납 칼럼을 갖는 상품 랙이 상기 랙 선택 기구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개구에 가장 근접한 상품만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취출 기구와,
    상품 랙마다 설치되며, 자신이 설치된 상품 랙이 상기 랙 선택 기구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취출 기구가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상품 랙에 있어서의 다른 취출 기구가 동작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취출 기구는,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의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여 가장 하류측에 있는 최하류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그 최하류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게이트 부재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양태로 상기 제1 게이트 부재에 연계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한편, 상기 제1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하여 상기 최하류 상품의 상류측에 인접하는 상품이 하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게이트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랙 선택 기구는,
    정상 상태에서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게이트 부재를 자유로운 상태로 하는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정상 상태에서는 압박 수단으로 압박됨으로써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제2 게이트 부재에 접하는 한편, 상기 제1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것에 연계하여 상기 제2 게이트 부재가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경우에는, 그 제2 게이트 부재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 제2 게이트 부재를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자세로 유지하는 록 부재와,
    정상 상태에서는 기준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록 부재를 자유로운 상태로 하는 한편,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록 부재를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게이트 부재의 상방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2 슬라이드 부재와,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접촉하여 그 제1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한편, 해제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에 접촉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캠 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이트 부재는, 판스프링 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게이트 부재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기준 위치로부터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통로에 진출한 상태로 그 상품 수납 통로의 하류측으로부터 진입한 상품에 접촉되었을 때에는, 상기 판스프링 부재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그 상품 수납 통로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덮개체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덮개 부착부로부터 동체부까지의 사이에 잘록한 부분을 갖는 상품의 그 덮개 부착부를 지지함으로써 그 상품을 기립 자세로 현수한 상태로 지지하는 레일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면 및 하면이 폐색된 통 형상을 이루는 상품을 기립 자세로 배치하는 배치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의 병설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의 수용 영역에 복수의 단편 부재가 그 가이드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그 취출 기구의 일부가 상기 수용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다른 취출 기구의 일부가 그 수용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여 그 취출 기구의 동작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수납 칼럼마다 설치되고,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되는 상품을 전방을 향하여 미는 푸셔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 및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 중 한쪽 이상은, 투명 판재에 의해 구성되는 창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10. 형성된 개구가 도어체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 판매기 본체와,
    상품이 일렬로 배열되도록 수납된 복수의 상품 수납 칼럼을 병설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동 판매기 본체에 복수단 설치된 상품 랙(rack)
    을 구비하고,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상품 랙을 가지며, 상기 도어체가 개방 이동하여 상기 개구가 개방되는 경우에 이용자가 상기 상품의 동체부(胴體部)를 잡고 하나씩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품 수납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상품 수납 장치는,
    대기 상태에서는 모든 상품 랙을 상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상태로 하는 한편, 판매 지령이 부여된 경우에는 지정된 단의 상품 랙만 상품의 취출을 허용하는 상태로 하는 랙 선택 기구와,
    상품 수납 칼럼마다 설치되고, 정상 상태에서는 자신이 설치된 상품 수납 칼럼에 수납된 상품이 취출되는 것을 규제하는 한편, 이 상품 수납 칼럼을 갖는 상품 랙이 상기 랙 선택 기구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개구에 가장 근접한 상품만이 취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취출 기구와,
    상품 랙마다 설치되며, 자신이 설치된 상품 랙이 상기 랙 선택 기구에 의해 상품의 취출을 허용받은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취출 기구가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 상품 랙에 있어서의 다른 취출 기구가 동작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상품 수납 칼럼의 병설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부재의 수용 영역에 복수의 단편 부재가 그 가이드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구성되어 있고, 상품의 취출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그 취출 기구의 일부가 상기 수용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 다른 취출 기구의 일부가 그 수용 영역에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여 그 취출 기구의 동작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KR1020127017505A 2011-03-16 2011-09-16 자동 판매기 KR101387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57524 2011-03-16
JP2011057524 2011-03-16
PCT/JP2011/071202 WO2012124192A1 (ja) 2011-03-16 2011-09-16 自動販売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737A KR20120138737A (ko) 2012-12-26
KR101387222B1 true KR101387222B1 (ko) 2014-04-21

Family

ID=4683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505A KR101387222B1 (ko) 2011-03-16 2011-09-16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38852B2 (ko)
EP (1) EP2688051A4 (ko)
JP (1) JP5853526B2 (ko)
KR (1) KR101387222B1 (ko)
CN (1) CN102804235B (ko)
BR (1) BR112013020633A2 (ko)
WO (1) WO2012124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8852B2 (en) * 2011-03-16 2015-05-26 Fuji Electric Co., Ltd.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4541310B (zh) * 2012-09-18 2017-05-17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收纳装置
TW201432628A (zh) * 2012-12-29 2014-08-16 Hon Hai Prec Ind Co Ltd 自動販賣機
JP6217418B2 (ja) * 2014-01-31 2017-10-25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
US20160095449A1 (en) * 2014-10-03 2016-04-07 Nestec S.A. Modular shelf management gravity feed system
WO2017015466A1 (en) 2015-07-23 2017-01-26 Dci Marketing, Inc. Merchandis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JP6493535B2 (ja) * 2015-08-04 2019-04-03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収納装置及び自動販売機
USD836954S1 (en) 2016-03-02 2019-01-01 Retail Space Solutions Llc Shelf components
USD843760S1 (en) 2016-03-02 2019-03-26 Dci Marketing, Inc. Shelf components
USD856040S1 (en) 2016-09-12 2019-08-13 Retail Space Solutions Llc Merchandiser parts
JP6866594B2 (ja) * 2016-09-21 2021-04-2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N107103693A (zh) * 2017-07-10 2017-08-29 上海淡竹信息技术有限公司 自动售货机的出货系统和自动售货机
CN110491025A (zh) * 2018-05-15 2019-11-22 苏璇 一种售货柜
WO2019244800A1 (ja) * 2018-06-18 2019-12-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什器
CN109147171B (zh) * 2018-08-08 2020-12-15 微互联信息技术成都有限公司 一种半开放导轨式智能售货系统
CN109008451B (zh) * 2018-08-20 2020-11-10 浙江任我行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办公桌自动供给瓶装水装置
CN109147173B (zh) * 2018-08-20 2020-10-09 福建九天达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腕带式ic卡的自助售卖服务终端及其使用方法
JP2020107049A (ja) * 2018-12-27 2020-07-09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WO2020256543A1 (en) 2019-06-20 2020-12-24 Leonard Jakob VAN SCHOTHORST First dispenser module, vending kit comprising said first dispenser module and method
US11354966B2 (en) 2019-09-03 2022-06-07 Pepsico, Inc. Handles and displays for product vending system
US11694501B2 (en) 2020-02-17 2023-07-04 True Manufacturing Co., Inc. Refrigerated vending system and method
CN111754683B (zh) * 2020-05-29 2021-12-10 上海趣致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售卖机的门控系统和方法
CN114735393B (zh) * 2022-03-31 2024-02-09 河南云迹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滑道式货柜与机器人交互系统及货品传输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086A (ja) * 1994-03-14 1995-10-03 Sanyo Electric Co Ltd びん商品の陳列販売装置
JPH07287786A (ja) * 1994-04-19 1995-10-31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00076535A (ja) 1998-08-27 2000-03-14 Toshiba Corp 自動販売機
JP2000105869A (ja) * 1998-09-28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0904A (en) * 1953-04-14 1959-04-07 Frank R Linthicum Container supply and dispensing cabinet
US2772787A (en) * 1954-02-12 1956-12-04 Thomas O Lee Bottle rack
SE415878B (sv) * 1979-02-20 1980-11-10 Johnson Huls Jiha Plast Sperranordning vid utmatningsmagasin for behallare
US4401221A (en) * 1980-01-30 1983-08-30 The Mead Corporation Forward feed merchandising device for soft drink bottles
US4310097A (en) * 1980-08-05 1982-01-12 Marlboro Marketing, Inc. Gravity feed combined display and storage unit
US4423816A (en) * 1980-08-18 1984-01-03 The Mead Corporation Forward feed merchandising device for soft drink bottles
US4705158A (en) * 1986-12-31 1987-11-10 Sun Chemical Corporation Cup feed apparatus
US5000393A (en) * 1989-09-22 1991-03-19 Rollar Corporation Dispenser for rolls of sheet material
US5209358A (en) * 1992-06-08 1993-05-11 Azbar Inc. Bottle dispensing rack for bar
JP3223059B2 (ja) * 1994-12-30 2001-10-29 株式会社エヌアンドエス 容器入り飲料の販売機
US5586687A (en) * 1995-02-16 1996-12-24 The Mead Corporation Gravity feed bottle dispensing device having a track-blocking gate mechanism
CA2143562A1 (en) * 1995-02-28 1996-08-29 Claude Brousseau Gravity fed bottle dispensing and display rack
US5695074A (en) * 1995-10-10 1997-12-09 Henschel-Steinau, Inc. Gravity feed bottle display and dispensing rack
US5706956A (en) * 1995-10-30 1998-01-13 Paul Flum Ideas, Inc. Overhead guide channel stabilizer means for use in association with product merchandising display units
US5788091A (en) * 1996-02-16 1998-08-04 The Mead Corporation Article-dispensing system having an attraction device
US5706957A (en) * 1996-03-18 1998-01-13 Rtc Industries, Inc. Gravity feed track system
US5718341A (en) * 1996-08-22 1998-02-17 Robertson; James David Merchandising track device having billboard clip
NO971464A (no) * 1997-04-01 1998-04-27 Norcool As Utdeleranordning for beholdere og anvendelse av anordningen
JP2000293751A (ja) * 1999-04-01 2000-10-20 Sanden Corp ビン商品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FR2807414B1 (fr) * 2000-04-07 2002-08-09 Netra Systems Dispositif de cadencement d'articles
FI20002371A0 (fi) * 2000-10-27 2000-10-27 Jypa Automaatio Oy Valinta-automaatti
JP4301721B2 (ja) * 2000-11-13 2009-07-22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し装置
US6523719B2 (en) * 2000-12-04 2003-02-25 True Manufacturing Co., Inc. Container dispenser for merchandiser
KR100546036B1 (ko) * 2003-11-04 2006-01-24 최병관 객실용 간이 자동 판매기
JP4379324B2 (ja) 2004-12-09 2009-12-09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JP4880346B2 (ja) * 2006-04-13 2012-02-22 サンデン株式会社 ボトル商品の自動販売機
EP2383708B1 (en) * 2007-05-16 2014-07-30 Sanden Corporation Commodity carrying out device
US9038852B2 (en) * 2011-03-16 2015-05-26 Fuji Electric Co., Ltd. Automatic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086A (ja) * 1994-03-14 1995-10-03 Sanyo Electric Co Ltd びん商品の陳列販売装置
JPH07287786A (ja) * 1994-04-19 1995-10-31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2000076535A (ja) 1998-08-27 2000-03-14 Toshiba Corp 自動販売機
JP2000105869A (ja) * 1998-09-28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04235B (zh) 2014-12-31
JP5853526B2 (ja) 2016-02-09
KR20120138737A (ko) 2012-12-26
JP2012208909A (ja) 2012-10-25
BR112013020633A2 (pt) 2016-12-13
WO2012124192A1 (ja) 2012-09-20
US9038852B2 (en) 2015-05-26
CN102804235A (zh) 2012-11-28
EP2688051A1 (en) 2014-01-22
US20130299509A1 (en) 2013-11-14
EP2688051A4 (en)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222B1 (ko) 자동 판매기
JP5668545B2 (ja) 商品収納装置
JP5825442B2 (ja) 商品収納装置
JP5810785B2 (ja) 商品収納装置
JP5895766B2 (ja) 商品収納装置
KR101974684B1 (ko) 상품 수납 장치
JP5691963B2 (ja) 自動販売機
JP5742328B2 (ja) 商品収納装置
JP5668546B2 (ja) 商品収納装置
JP5440102B2 (ja) 自動販売機
JP2013065183A (ja) 自動販売機
JP2013065192A (ja) 自動販売機
JP5842221B2 (ja) 商品収納装置
JP5810786B2 (ja) 商品収納装置
JP2011128983A (ja) 自動販売機
JP5375530B2 (ja) 自動販売機
JP5434487B2 (ja) 自動販売機
JP2011123766A (ja) 自動販売機
JP2013065184A (ja) 自動販売機
JP2013065175A (ja) 自動販売機
JP2011123765A (ja) 自動販売機
JP2011123767A (ja) 自動販売機
JP2013065173A (ja) 商品収納装置
JP2011123768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