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961B1 - 기재 필름 - Google Patents

기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961B1
KR101383961B1 KR1020090063958A KR20090063958A KR101383961B1 KR 101383961 B1 KR101383961 B1 KR 101383961B1 KR 1020090063958 A KR1020090063958 A KR 1020090063958A KR 20090063958 A KR20090063958 A KR 20090063958A KR 101383961 B1 KR101383961 B1 KR 101383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layer
adhesive layer
film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348A (ko
Inventor
히데이치 사토우
마사후미 구리모토
Original Assignee
산·톡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톡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톡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쪽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기재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은 각각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층을 갖는 적층체 필름이고, 이들 2층이 각각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을 구성하며,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표면의 평균 조도(Ra)가 0.25 ㎛ 이하이고,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의 평균 조도(Ra)가 0.30 ㎛ 이상이며, 광학 부품용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상기 기재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재 필름은, 특히 광학 부품의 보호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 광학 부품용 보호 필름, 피쉬아이

Description

기재 필름 {BASE FILM}
본 발명은 한쪽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기재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보호 필름으로 한 후, 권취시 및 피착체(피보호체)에 부착할 때에 기포 혼입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보호 필름용 기재 필름이며, 특히 광학 부재의 표면 보호 필름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기재 필름에 관한 것이다.
강판, 수지판, 자동차, 광학 부품 등의 제조 중 및 제조 후의 이송, 보관시에, 흠집이나 오염물 부착 등으로부터 제품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제품 표면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여 보호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들 보호 필름은, 통상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된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광학 부품, 특히 액정 관련 분야에서의 각종 부품의 표면 보호 필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광학 부품은 다수의 부품을 조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각 부품의 표면은 매우 고도한 평활성이 요구되고 있고(일본 특허 공개 (평)11-160505호 공보 참조), 부품 표면에의 이물질의 혼입, 흠집은 최대한 피해야 한다. 이들 광학 부품의 제조에 있어서는, 각 공정에서 생산된 부품에 대해서, 후 속 공정에 도달되기까지의 사이의 흠집, 오염 등으로부터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서, 생산 후 청정한 조건하에서 즉시 표면 보호 필름이 부착되고, 그 상태로 보관, 수송되어 부품 스펙의 광학 검사도 보호 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광학 부품의 광학 검사를 적정히 행하기 위해, 점착제층을 개재시켜 피착체(광학 부품)에 보호 필름을 부착할 때, 기포가 혼입되지 않는 것이 엄격하게 요청된다. 또한, 한번 부착된 표면 보호 필름은 부품의 보관, 수송 중에 부주의에 의해 박리되어서는 안되지만, 반대로 후속 공정에 도착했을 때에는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을 요하고, 게다가 제거 후 광학 부품의 표면에 점착제의 흔적을 남겨서는 안된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상기 광학 검사에 지장이 되지 않도록 피쉬아이(fisheye)가 최대한 적은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보호 필름은 롤상으로 권취된 권회체로서 제조되고, 보존되는 것이 편의하다. 이 권회체의 제조에 있어서, 점착제층과 하나 아래의 필름층 사이에 기포가 혼입되면, 점착제층에 기포의 흔적이 남아 상기 광학 검사에 지장이 된다. 가장 심한 경우에는, 권취시에 주름이 발생하여,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은 권회체로 했을 때에, 그 점착제층이 하나 아래의 필름층의 기재 필름과 바람직하지 않은 강고한 부착을 일으키지 않고, 사용시에 보호 필름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의 점착성에는, 장면 및 접촉 상대에 따라서 여러가지 성능이 요구되고, 미세한 조정이 요구된다. 종래는, 이 조정을 점착제의 재료면 및 권회체 제조시의 권취 조건의 최적화로부터 행하는 것이 통상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권회체의 제조시 및 사용시에 요구되는 성능과, 보호 필름으로서의 성능과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더구나 그 재현성도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지적되고 있다.
이 점,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60598호 공보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보호 필름에 관하는 것으로서, 보호 필름의 한쪽면을 조면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동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프린트 배선 기판의 감광성 레지스트 수지 조성물층 표면에 요철을 전사하기 위한 조면의 형성에 관한 것이고, 광학 부품용 보호 필름을 권회체로 했을 때에 점착제층과 하나 아래의 필름층의 기재 필름과의 바람직하지 않은 강고한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는 미약하며, 동 공보의 기재 필름은 2축 연신 필름이고, 편광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광학 부품의 광학 검사에는 부적합하다.
그런데 보호 필름을 광학 부품의 표면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이 광학 부품의 한쪽면뿐만 아니라, 양면의 각각에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 광학 부품의 표리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2매의 보호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을 착색된 필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필름을 착색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필름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필름의 성형과는 별개로, 추가로 인쇄를 실시하는 공정이 필요해져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필름 표면에 얇고 균일하게 인쇄하는 것이 곤란하고, 인쇄 불균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인쇄 불균일 때문에 광학 부품의 광학 검사에 지장을 초래한다 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쇄법에 의해 제조된 착색 필름은, 이후 점착제층의 적층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제로 표면의 인쇄 잉크가 용출된다는 문제도 있다.
필름을 착색하는 별도의 방법으로서,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시에,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세로 방향으로 연신한 후에 착색제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포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에, 추가로 가로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인쇄 불균일이 없는 착색 필름을 하나의 공정에서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0-25108호 공보). 그러나 필름 표면의 인쇄 잉크가 유기 용제로 용출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으며, 2축 연신 필름은 편광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광학 부품의 광학 검사에는 애당초 부적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부품의 표면 보호 필름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재 필름은 종래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권회체로서 제조할 때에 기포가 혼입되지 않고, 권회체로부터의 취출을 신속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게다가 피착체, 특히 광학 부품에 부착할 때에 기포가 혼입되지 않는 보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기재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한쪽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기재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은 각각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층을 갖는 적층체 필름이고, 이들 2층이 각각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을 구성하며,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표면의 평균 조도(Ra)가 0.25 ㎛ 이하이고,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의 평균 조도(Ra)가 0.30 ㎛ 이상이며,
광학 부품용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상기 기재 필름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그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 에, 그 위에 적층된 점착제층도 마찬가지로 평활해지고,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보호 필름은, 이를 피착체에 부착했을 때에 기포의 혼입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그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이 적절한 표면 조도를 갖기 때문에, 점착 가공 후에 권취할 때에 효율적으로 공기를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권회체의 제조시에 기포의 혼입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공정 시간이 짧은 간이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가공시의 열 열화물에 기인하는 피쉬아이가 매우 적은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특히 광학 부품의 광학 부품용 보호 필름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각각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층을 갖는 적층체 필름이다. 이들 2층은 각각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이들 2층 이외의 층을 중간층(내층)으로서 갖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의 특성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에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표면의 평활성을 확보하고, 피쉬아이의 발생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고, JIS K 7210에 준거하여 230 ℃에서 측정한 멜트플로우레이트(MFR)가 1 내지 25 g/10 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10 g/10 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융점으로는 12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내지 16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는 프로필렌의 단독 중합체(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랜덤-폴리프로필렌) 또는 블록 공중합체(블록-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다른 α-올레핀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4-메틸-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 비율은 10 몰% 이하로 하는 것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결정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가 피쉬아이 발생이 적은 것 이외에, 투명성이 높은 것 및 평활성이 발현하기 쉽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의 두께는, 반대측 즉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 요철의 영향을 줄여 평활한 표면으로 하는 관점에서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이며, 10 내지 3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에는 착색제가 배합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블렌드가 바람직하다. 즉,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서로 비상용이고, 이들 블렌드는 해도(海島)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표면에 적당한 요철이 생겨, 이에 따라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의 평균 조도(Ra)가 0.30 ㎛ 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상기에 예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피쉬아이의 발생이 적은 것, 투명성이 높은 것 및 바람직한 표면 요철이 발현된다는 관점에서, 호모-폴리프로필렌 또는 블록-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LDPE)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이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는, JIS K 7210에 준거하여 190 ℃에서 측정한 멜트플로우레이트(MFR)가 0.5 내지 15 g/10 분인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0 g/10 분인 폴리에틸렌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얻어지는 기재 필름의 투명성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 요철의 발현성의 관점에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LDPE)이다.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블렌드 비율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합계에 대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을 5 내지 50 중량%로 하는 것이 표면 요철이 바람직하게 발현되며, 추가로 피쉬아이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블렌드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이 5 중량%보다 적은 경우, 표면 요철이 충분히 발현하지 않고, 기재 필름에 점착 가공을 실시하여 얻어진 보호 필름을 권취할 때에 기포가 혼입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보다 많은 경우, 표면 요철은 매우 커지지만, 반면 폴리에틸렌계 수지에서 유래하는 피쉬아이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어, 광학 부품 등의 표면 보호 필름에 이용하기에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블렌드에 있어서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이다.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블렌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펠릿을 소정 비율로 적당한 혼련기에 투입하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에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분간 혼련한 후에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의 제조에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혼련기로는, 예를 들면 압출기를 들 수 있고, 특히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블렌드의 제조에 압출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이 온도는 수지 온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블렌드에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블렌드 비율 및 혼련기에서의 혼련 조건(특히 공유)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얻어지는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 표면의 표면 조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의 두께는,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에 적당한 요철을 확실하게 발현하는 관점에서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이며, 10 내지 3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에는 착색제가 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중간층>
본 발명의 기재 필름에 있어서, 최외층 양면의 표면 요철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이 때문에 한 쪽 최외층의 표면 요철이 반대측 최외층의 표면 요철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 이외의 층을 중간층으로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중간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는,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상기에 예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로는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 외층에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 상기에 예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중간층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피쉬아이의 발생이 적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기재 필름의 유연성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 특히 랜덤-폴리프로필렌 또는 블록-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간층은 1층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필름 제조에 있어서의 간편성의 관점에서 1층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간층의 두께는 2 내지 96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0 ㎛이며, 10 내지 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간층 중 적어도 1층에는 착색제가 배합될 수도 있다.
<착색제의 배합>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 및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중간층 중 적어도 1층은 착색제가 배합된 층일 수도 있다. 착색제가 배합된 층을 적어도 1층 갖는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착색 불균일이 없고, 게다가 유기 용제로의 인쇄 잉크(내지 착색제)가 용출하는 문제가 없는 착색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기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로는, 염료 및 안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유기 용제로의 용 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내후열화가 적다는 점에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안료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플라스틱용 안료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유기계 안료 및 무기계 안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계 안료로는, 예를 들면 아조계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아닌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무기계 안료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적산화철, 군청, 카본 블랙, 코발트 블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료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계 안료가 안료 자체의 이차 응집물에 의한 피쉬아이 등의 결함의 발생이 적은 것 이외에,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의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한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대한 혼합 비율은 기재 필름의 두께,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의 두께 등에 의해서 적절하게 결정되지만, 최종적인 보호 필름으로서의 투명성(투광성)을 감안하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혼합 비율이 0.01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 색상이 불분명하고, 착색된 보호 필름의 부착 여부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혼합 비율이 5 중량부보다 많은 경우, 보호 필름으로서의 투명성(투광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안료 자체의 이차 응집물에 의한 피쉬아이 등의 결함의 발생이 현저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착색제의 비용 부담도 커지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착색제를 배합하는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펠릿에 착색제를 직접 배합하는 방법, 일단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착색제를 미리 혼합하여 착색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마스터배치(착색제 마스터배치)를 제조하고, 이 착색제 마스터배치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펠릿을 혼합하는 방법 등에 의할 수 있지만, 착색제의 분산 상태, 성형기에 착색제의 부착을 회피하는 것 등을 감안하면, 착색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배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1층에 착색제를 배합하여 착색 필름으로 하는 경우, 상기 기재 필름이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 이외에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을 갖고, 상기 착색제가 배합된 층이 상기 중간층 중 적어도 1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를 중간층 중 적어도 1층에만 배합함으로써, 이후 점착제층의 적층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제로 착색제가 용출한다는 문제, 성형기, 특히 다이스 내부에의 착색제의 부착의 문제 등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법, 캐스팅법, 1축으로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2축 이상의 연신은, 얻어지는 기재 필름이 편광 특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광학 부품의 보호 필름 용도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무연신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캐스팅법에 의한 무연신 필름으로 하면 열수축이 작은 기재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착 제층을 적층하는 공정에서의 치수 변화가 작고, 또한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보호 필름이 피착체의 표면 요철에 대한 추종성이 우수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이를 구성하는 모든 층이 각각 무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을 다층 구조로 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멀티매니폴드법이나 피드블록법으로 대표되는 공압출법이나 인라인라미네이트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을 드라이라미네이션 등에 의해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적층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의 두께(총 두께)는, 피착체의 면적,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1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이다. 여기서 기재 필름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이것에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공정에서의 가열에 의해서, 필름에 "열 부족"에 의한 주름이 생겨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기재 필름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표면에 요철을 갖는 피착체에 부착할 때에 피착체의 표면 형상으로 추종할 수 없어 주름이 발생하거나, 기포가 혼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그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하고, 그 외측 표면의 평균 조 도(Ra)가 0.25 ㎛ 이하이다. 이 값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0 ㎛이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표면이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평활하기 때문에,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의 표면도 마찬가지로 평활해지고, 따라서 이것을 피착체에 부착할 때에, 기포가 혼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블렌드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 표면의 평균 조도(Ra)는 0.30 ㎛ 이상이다. 이 값은 바람직하게는 0.30 내지 1.5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 내지 1.0 ㎛이며, 0.35 내지 0.8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이 상기한 바와 같이 알맞은 조면이기 때문에, 기재 필름을 점착 처리하여 보호 필름으로 한 후에 권회체로서 권취할 때에 공기를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고, 따라서 기포가 혼입되지 않으며, 권회체에 있어서의 점착제층과 하나 아래의 필름 기재 표면과의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권회체로부터의 인출을 신속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면 조도는 JIS B 060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피쉬아이가 매우 적은 것이다.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기재 필름에 있어서, 피쉬아이의 크기 및 개수는 중요하다. 즉, 기재 필름 중에 크기가 큰 피쉬아이가 존재하면, 이를 피착체(광학 부품)에 부착하여 광학 검사를 행할 때에, 시각적인 외란 요인이 되어, 해당 광학 부품이 양품이어도 불량품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있다. 작은 크기의 피쉬아이라도 그 개수가 많은 경우는 마찬가지로 시각적인 외란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장경 1.0 mm 미만의 피쉬아이의 수를 5 개/㎡ 이하로 할 수 있고, 추가로 3 개/㎡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장경 1.0 mm 이상의 피쉬아이의 수를 1 개/㎡ 이하로 할 수 있고, 추가로 0 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을 광학 부품의 보호 필름 용도에 이용하는 경우에도, 피쉬아이에 기인하는 시각적인 외란 요인이 매우 적어, 광학 부품의 광학 검사에 있어서 적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투명성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JIS K 7105에 준거하여 측정한 헤이즈를 80 % 이하로 할 수 있고, 추가로 50 %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보호 필름으로 한 후에 피착체에 부착한 경우, 광학 검사에 지장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적절한 강도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1,100 MPa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900 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50 내지 850 MPa이다. 기재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상기 필름의 MD 방향(기계 방향; Machine Direction) 및 TD 방향(횡단 방향Transverse Direction)의 쌍방에 있어서 상기한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인장 탄성률을 갖는 본 발명의 기재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보호 필름은, 이것을 피착체에 부착할 때 및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의 작업성이 우수한 것이 된 다. 이 인장 탄성률은 JIS K 7127에 준거하여 JIS-5호 시험편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1층에 착색제를 배합하고, 착색 필름으로 하는 경우, 상기 착색 필름은 착색 불균일이 없기 때문에 광학 부품의 광학 검사에서도 적정한 결과가 얻어지고, 게다가 점착제층의 적층시 유기 용제로의 착색제 용출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필름은 이것에 적층되는 점착제층과의 밀착성을 보다 높게 한다는 관점에서,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표면에 대하여 인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표면 처리를 실시한 후에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처리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프레임(화염)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평가는, 각각 이하의 절차에 의해 행하였다.
(1) 헤이즈
투명성의 지표로서, 스가 시켕키(주) 제조, 헤이즈미터(형번: HGM-2DP)를 이용하고, JIS K 7105에 준거하여 헤이즈의 측정을 행하였다.
(2) 인장 탄성률
(주)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오토그래프(형번: AG-500D)를 이용하고, JIS K 7127에 준거하여, JIS-5호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 속도 50 mm/분으로 MD 방향 및 TD 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인장 탄성률의 측정을 행하였다.
(3) 표면 조도
(주)미쯔토요 제조, 접촉식 표면 조도 측정기(형번: SJ-401)를 이용하고, JIS B 0601에 준거하여 촉침 선단 반경 2 ㎛(60°), 측정 속도 0.5 mm/s, 컷오프값(λc) 0.8 mm, 컷오프값(λs) 25 ㎛, 측정 길이 0.8 mm, 1방향에 대한 측정 횟수를 5회로 하여, 표면의 평균 조도(Ra)의 측정을 행하였다. 평균 조도(Ra)는 기재 필름의 MD 방향의 측정 5회 및 TD 방향의 측정 5회(측정 횟수 전체 10회)의 평균값으로서 나타내었다.
(4) 피쉬아이
기재 필름을 500 mm×500 mm의 크기(0.25 ㎡)로 절단하고, 이를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에 존재하는 피쉬아이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발견된 피쉬아이의 각각에 대해서 장경을 최소 단위가 0.1 mm의 눈금이 표시된 루페로 측정하였다. 동일한 측정을 8매의 시험편(0.25 ㎡×8매=2 ㎡)에 대하여 행하고, 발견된 피쉬아이의 개수를 1 ㎡당 개수로 환산하여 평가하였다.
(5) 기포 혼입
(5-1) 가공 후 권취시의 기포 혼입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에,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층 두께가 약 5 ㎛가 되도록 점착제층을 적층하고, 권취기로 연속적으로 권취하였다. 그 때의 기포의 혼입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5-2) 피착체 첩부시의 기포 혼입
점착제층이 적층된 기재 필름을 피착체(아크릴판)에 첩부했을 때의 기포의 혼입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각각의 기포 혼입 상태는 하기에서 판정하였다.
양호: 기포의 혼입은 보이지 않는다.
불량: 기포의 혼입이 보여 외관 불량의 상태이다.
실시예 1
(기재 필름의 제조)
호모-폴리프로필렌 A(스미또모 가가꾸(주) 제조, 품번: FLX80E4, 융점=163 ℃, MFR=7 g/10 분; 230 ℃일 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A(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품번: F120N, 밀도=0.920 g/㎤, 융점=109 ℃, MFR=1.2 g/10 분; 190 ℃일 때)를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중간층용의 스크류 직경 75 mm의 단축 압출기가 1대, 양외층용의 스크류 직경 50 mm의 단축 압출기가 2대인 합계 3대의 압출기로 이루어지는 3종 3층 구성의 T 다이 방식 필름 제막 장치를 이용하고, 중간층용 압출기에 호모-폴리프로필렌 A를,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냉각 롤측)용의 압출기에 호모-폴리프로필렌 A를, 그리고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용의 압출기에 호모-폴리프로필렌 A 90 중량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A 1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각각 공급하고, 수지 온도 250 ℃, 체류 시간 1 분, T 다이 온도 250 ℃의 조건으로 T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25 ℃의 냉각 롤을 통과시켜 두께 12 ㎛의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 두께 16 ㎛의 중간층 및 두께 12 ㎛의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으로 이루어지는 총 두께 40 ㎛의 3층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표면의 누설 지수가 42 mN/m가 되도록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추가로 40 ℃에서 24 시간 동안 에이징함으로써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기재 필름에의 점착제층의 적층)
상기에서 얻어진 기재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대하여,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하고, 두께 10 ㎛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였다.
이 점착제층 적층 후의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5)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중간층용의 압출기에 공급하는 수지를 블록-폴리프로필렌 A(닛본 폴리프로필렌(주) 제조, 품번: BC3HF,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 타입, 융점=162 ℃, MFR=7 g/10 분; 230 ℃일 때)로 하고, 추가로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용의 압출기에 공급하는 수지를 블록-폴리프로필렌 A 70 중량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A 30 중량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에 관하여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고, 기재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필름에 대하여 상기 (5)의 평 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용의 압출기에 공급하는 수지를 블록-폴리프로필렌 A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들 기재 필름에 대하여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고, 기재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필름에 대하여, 상기 (5)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용의 압출기에 공급하는 수지에 있어서의 블록-폴리프로필렌 A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A와의 혼합 비율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에 관하여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고, 기재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필름에 대해서 상기 (5)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중간층용의 압출기에 공급하는 수지를 랜덤-폴리프로필렌 A((주)프라임폴리머 제조, 품번: F327BV, 프로필렌-에틸렌-부텐-랜덤 공중합체 타입, 융점=138 ℃, MFR=7 g/10 분; 230 ℃일 때)로 하고, 추가로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용의 압출기에 공급하는 수지를 랜덤-폴리프로필렌 A 70 중량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B(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품번: F522N, 밀도=0.922 g/㎤, 융점 =110 ℃, MFR=5.0 g/10 분; 190 ℃일 때) 30 중량부를 혼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에 대해서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고, 기재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필름에 대해서 상기 (5)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각 층의 두께를,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을 25 ㎛, 중간층을 25 ㎛ 및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을 25 ㎛로 하고, 총 두께를 75 ㎛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에 관하여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고, 기재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필름에 대해서 상기 (5)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두께를 20 ㎛ 및 외층(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을 20 ㎛로 하고, 추가로 중간층의 압출기로부터의 원료 공급을 정지하여 총 두께 40 ㎛의 2층 구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에 대하여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고, 기재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필름에 대해서 상기 (5)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중간층용의 압출기에 공급하는 수지로서, 블록-폴리프로필렌 A(닛본 폴리프로필렌(주) 제조, 품번: BC3HF, 프로필렌-에틸렌-블록 공중합체 타입, 융점=162 ℃, MFR=7 g/10 분; 230 ℃일 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착색제 마스터배치(DIC(주) 제조, 품번: PEONY HP BLUE L-83285M, 랜덤-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랜덤 공중합 타입, MFR=8 g/10 분; 230 ℃일 때) 중에 약 5 중량%의 프탈로시아닌블루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5 중량부를 배합한 착색 수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하여 기재 필름을 얻었다. 이 기재 필름에 대해서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고, 기재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필름에 대해서 상기 (5)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재 필름은, 점착제층 적층시의 유기 용제로의 착색제의 용출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모든 층의 압출기에 공급하는 수지를 블록-폴리프로필렌 A만으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기재 필름을 각각 얻었다. 이 기재 필름에 대하여 상기 (1) 내지 (4)의 평가를 행하고, 기재 필름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을 적층한 필름에 대하여 상기 (5)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42687516-pat00001
Figure 112009042687516-pat00002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원료의 약칭은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이다.
H-PP-A: 호모-폴리프로필렌 A(스미또모 가가꾸(주) 제조, 품번: FLX80E4, 융점=163 ℃, MFR=7 g/10 분; 230 ℃일 때)
B-PP-A: 블록 폴리프로필렌 A(닛본 폴리프로필렌(주) 제조, 품번: BC3HF,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타입, 융점=162 ℃, MFR=7 g/10 분; 230 ℃일 때)
R-PP-A: 랜덤-폴리프로필렌 A((주)프라임폴리머 제조, 품번: F327BV, 프로필렌-에틸렌-부텐-랜덤 공중합체 타입, 융점=138 ℃, MFR=7 g/10 분; 230 ℃일 때)
LDPE-A: 저밀도 폴리에틸렌 A(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품번: F120N, 밀도=0.920 g/㎤, 융점=109 ℃, MFR=1.2 g/10 분; 190 ℃일 때)
LDPE-B: 저밀도 폴리에틸렌 B(우베 마루젠 폴리에틸렌(주) 제조, 품번: F522N, 밀도=0.922 g/㎤, 융점=110 ℃, MFR±5.0 g/10 분; 190 ℃일 때)
PhB-MB: 프탈로시아닌블루 마스터배치(DIC(주) 제조, 품번: PEONY HP BLUE L-83285M, 랜덤-폴리프로필렌(프로필렌-에틸렌-랜덤 공중합 타입, MFR=8 g/10 분; 230 ℃일 때) 중에 약 5 중량%의 프탈로시아닌블루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

Claims (6)

  1. 한쪽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기재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은 각각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층을 갖는 적층체 필름이고, 이들 2층이 각각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을 구성하며,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합계에 대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함유 비율이 5 내지 50 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폴리에틸렌계 수지와의 블렌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표면의 평균 조도(Ra)가 0.25 ㎛ 이하이고,
    상기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표면의 평균 조도(Ra)가 0.30 ㎛ 이상이며,
    광학 부품용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기재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10 내지 100 ㎛이고, 각 층의 각각이 무 연신 필름인 기재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장경 1.0 mm 미만의 피쉬아이(fisheye)가 5개/㎡ 이하이고, 장경 1.0 mm 이상의 피쉬아이가 0개/㎡인 기재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층 중 적어도 1층이 착색제를 배합한 층인 기재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측의 최외층 및 점착제층을 적층하지 않는 측의 최외층 이외에 적어도 1층의 중간층을 갖고, 상기 착색제를 배합한 층이 상기 중간층 중 적어도 1층인 기재 필름.
KR1020090063958A 2008-07-15 2009-07-14 기재 필름 KR101383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3818 2008-07-15
JP2008183818 2008-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348A KR20100008348A (ko) 2010-01-25
KR101383961B1 true KR101383961B1 (ko) 2014-04-10

Family

ID=4181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958A KR101383961B1 (ko) 2008-07-15 2009-07-14 기재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57745B2 (ko)
KR (1) KR101383961B1 (ko)
TW (1) TWI4470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2779A (ja) * 2009-07-23 2011-03-03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JP5761571B2 (ja) * 2010-04-13 2015-08-12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5620227B2 (ja) * 2010-10-29 2014-11-05 株式会社寺岡製作所 粘着テープ
JP2014112576A (ja) * 2012-11-28 2014-06-19 Tatsut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シールドフィルム
JP6450080B2 (ja) * 2014-03-31 2019-01-09 住化プラステック株式会社 粘着テープ
KR102363884B1 (ko) * 2014-05-30 2022-02-1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필름 및 권회체
KR101737181B1 (ko) * 2014-09-30 201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8966671B (zh) * 2016-03-24 2023-09-26 琳得科株式会社 支撑片及保护膜形成用复合片
JP6286014B2 (ja) * 2016-12-19 2018-02-28 パナック株式会社 工程用保護フィルム
WO2019078290A1 (ja) * 2017-10-19 2019-04-25 デンカ株式会社 単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耐熱粘着テープ
JP6445747B1 (ja) * 2018-03-30 2018-12-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保護膜形成用複合シート
JP2020050756A (ja) * 2018-09-27 2020-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粘着フィルム
JP7211521B2 (ja) * 2019-08-02 2023-01-24 東洋製罐株式会社 シーラントフィルム、包装袋用積層フィルム、パウチ包装袋およびパウチ包装体
CN116323181A (zh) * 2020-12-23 2023-06-23 东丽株式会社 聚丙烯膜、层合体、包装材料和捆包体
JP7154661B1 (ja) 2022-01-28 2022-10-18 株式会社スミロン ホイール貼着用フィルム積層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1A (ja) * 1993-06-15 1995-01-06 Mitsui Toatsu Chem Inc 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
JP2005129363A (ja) 2003-10-23 2005-05-19 Nitta Moore Co 燃料電池用純水配管
JP2008102271A (ja) * 2006-10-18 2008-05-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1908B2 (ja) * 2006-03-23 2012-05-30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4745927B2 (ja) * 2006-09-08 2011-08-10 大倉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基材フィルム
JP2008068564A (ja) * 2006-09-15 2008-03-27 Dainippon Ink & Chem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0247513A (ja) * 2009-03-25 2010-11-04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81A (ja) * 1993-06-15 1995-01-06 Mitsui Toatsu Chem Inc 表面保護粘着フィルム
JP2005129363A (ja) 2003-10-23 2005-05-19 Nitta Moore Co 燃料電池用純水配管
JP2008102271A (ja) * 2006-10-18 2008-05-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08771A (en) 2010-03-01
JP5457745B2 (ja) 2014-04-02
TWI447022B (zh) 2014-08-01
JP2010042665A (ja) 2010-02-25
KR20100008348A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961B1 (ko) 기재 필름
JP5446369B2 (ja) 粘着フィルム
US20130052418A1 (en) Surface protective film
CA2887844C (en) Heat-shrinkable film
JP5424169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多層フィルム
MX2011004078A (es) Composicion biaxialmente orientada.
JP6540524B2 (ja) 半透明性木目調延伸フィルム
US10155364B2 (en) High optics machine direction oriented label facestock
JP6953909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板
JP5544821B2 (ja) 粘着フィルムロール
JP5445023B2 (ja) 粘着フイルム
JP5570329B2 (ja) 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211917A (zh) 聚丙烯基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1316706B1 (ko) 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JP2018069459A (ja) 二軸延伸つや消し調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フィルム
KR20120121711A (ko) 공압출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접착층용 조성물
JP4229667B2 (ja) 光半透過反射体
JP2017214559A (ja) 成型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KR101316707B1 (ko) 사출도광판 보호용 자기점착성 보호 필름
JP2006181915A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
JP5445022B2 (ja) 粘着フイルム
WO2022210896A1 (ja)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US7498291B2 (en) Sublimation thermal transfer image receiving medium
CN114311898A (zh) 一种冷裱复合膜用聚丙烯薄膜及其制备方法和冷裱复合膜
JP2022161645A (ja)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