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637B1 - 신규한 인돌 화합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인돌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637B1
KR101378637B1 KR1020087004317A KR20087004317A KR101378637B1 KR 101378637 B1 KR101378637 B1 KR 101378637B1 KR 1020087004317 A KR1020087004317 A KR 1020087004317A KR 20087004317 A KR20087004317 A KR 20087004317A KR 101378637 B1 KR101378637 B1 KR 10137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nyl
indole
chloro
propionic acid
methyl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020A (ko
Inventor
베넷사 보비아
마틴 바르트
쟝 비네트
피에르 도디
크리스챤 르장드르
올리비아 포루파르딘-올리비에르
Original Assignee
라보라뚜와르 푸르니에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뚜와르 푸르니에 에스.아. filed Critical 라보라뚜와르 푸르니에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80049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8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61P5/5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for increasing or potentiating the activity of insu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2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3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구항에 정의된 것과 같이 일반 구조식(I):
Figure 112008013302988-pct00089
(I)
의 인돌로부터 유래된 화합물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가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의 제조공정, 이들이 포함되는 약학적 조성물, 및 특히, 고트리글리세라이드증, 고지질증, 고콜레스테롤증, 당뇨병, 내피의 기능이상, 심혈관 질환, 염증성 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활성인 기질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인돌 화합물{NOVEL INDOLE COMPOUNDS}
본 발명은 신규한 인돌 화합물, 이들의 제조방법 및 PPAR 타입 핵 수용체를 포함하는 병리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이들의 치료적 사용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계 질환은 건강에 대한 중요한 위험 인자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질환은 때로는 높은 준위의 콜레스테롤 및/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결과이고, 그리고 따라서 이들 준위를 의사에 의해 일반적으로 허용된 수치 아래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콜레스테롤의 경우에, LDL에 결합한 콜레스테롤를 제거하는 치료를 적절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지질단백질에 결합한 콜레스테롤의 양을 평가하는 것이 특히 필수적이다. 이들 변수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 화합물의 알려진 류 중에는 LDL-콜레스테롤의 과도하게 높은 준위를 치료하는 것을 필수적으로 가능하게 하고 HMG CoA 리덕타제 저해제인 스타틴, 및 PPARα (퍼옥시좀 증식자-활성화 리셉터 알파) 핵 수용체를 활성화함에 의해 작용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의 준위를 낮게 할 수 있는 피브레이트 계열의 화합물이 있다.
PPAR 핵 수용체의 연구는 소위 PPARα, PPARγ 및 PPARδ로 알려진 세 종류의 서브타입의 동정을 이끌어 냈다. DNA의 정확한 분획에 결합함에 의해 이들 다양한 수용체는 지질 대사작용 조절 메카니즘에 포함된 단백질을 코드하는 타겟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따라서:
- PPARα는 간에서 반드시 발현되고 그리고 β- 및 ω-산화를 조절함에 의해 지방산 이화작용에 포함됨;
- PPARδ는 여러 곳에서 발현되지만, 주로 신장, 골격 근, 심장 및 내장에 존재한다.
다른 PPAR 타입 수용체와 같이, PPARδ는 RXR (레티노이드 X 리셉터)와 헤테로다이머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핵의 어떤 타겟 유전자 요소에 결합할 수 있고 전사인자를 조절할 수 있다. 이 핵 수용체에 기여된 다양한 연구 중에서, 예를 들어 PPARδ의 활성화가 db/db 마우스 (FEBS Letters (2000), 473, 333-336) 및 인슐린-의존성 비만 붉은 털 원숭이에서 HDL-콜레스테롤의 준위를 증가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인간 THP-1 세포에서 Apo A1을 통해 콜레스테롤의 흐름을 좋게 할 수 있게 한다(Proc. Nat. Ac. Sci. USA (2001), 98, 5306-5311)는 것이 입증되어 졌다.
이들 다양한 핵 수용체의 연구의 결과로서, PPARα수용체 또는 PPARδ 수용체의 하나 또는 이들 양자의 수용체를 동시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화합물이 고지질증, 고콜레스테롤증 및 대사증후군의 결과인 심혈관계통의 다양한 질환과 같은 병리적인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극히 유익한 약학적 프로필을 가질 것이라고 여겨 진다.
이러한 화합물을 언급하는 종래 기술의 문헌은, 예를 들어 PPARδ 수용체 어고니스트를 기술하는 문헌 WO 97/28149, PPARα 수용체 어고니스트를 기술하는 문헌 WO 01/60807, 또는 PPAR 수용체에 작용하는 인돌 화합물을 제시하는 문헌 WO 05/009958 및 WO 06/060535를 포함한다.
다른 레퍼런스는 문헌 WO 02/071827 및 Bioorg. Med. Chem. Lett., 14 (11) pp. 2759-2763 (06/2004)를 포함하고, 이것은 RXR 수용체 조절자 유도체들과 대사증후군에 포함된 병인을 치료하기 위한 이들의 치료적 용도를 기술하고 있다.
더욱이, 다양한 인돌 화합물이 여러 종래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 문헌 WO 00/46196 및 WO 99/07678은 인돌-2-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의 항-염증성 활성에 대해 기술하고;
- 문헌 WO 98/41092는 통증에 작용하는 인돌-2-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를 기술한다.
본 발명은 PPAR 활성자이고,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인돌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화합물류에 관한 것이다:
i)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1
(Ⅰ)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C1-C4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또는 C1-C4 알킬나 CF3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 기임;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나 CF3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 기임;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4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n = 1, 2 또는 3이고;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그리고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릴, 이소퀴놀릴,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또는 복소고리 방향족으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OR2, S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및,
ii)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위에 언급된 구조식 (I)의 화합물이다:
- 적어도 하나의 Ra 및 Rb는 수소원자 이외의 것임;
- Ar은 페닐 또는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질소-함유 복소고리 방향족으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CF3, CN, CO-R2, OR2, S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및,
n은 1 또는 2임.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일의 특정 류는 X가 산소원자인 구조식 (I)의 화합물과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이의 특정 류는 X가 단일결합이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R3 및 R4가 C1-C4 알킬 기인 구조식 (I)의 화합물과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삼의 특정 류는 X가 단일결합이고 그리고 R3 및 R4가 C1-C4 수소원자인 구조식 I의 화합물과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된다.
제이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활성인 기질로서의 이들의 용도에 대한 상기 언급된 화합물 및 또한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이, 특히 고콜레스테롤증, 고지질증, 고트리글리세라이드증,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내성, 당뇨 또는 비만 뿐 아니라 또한 혈청 지질단백질의 불균형의 결과인 심혈관 질환에 대처하기 위한 치료학적 용도를 위한 약물의 조제를 위한 활성 주재로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식 (I)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류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혈관내피 기능이상,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뇌혈관 문제, 예를 들어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및 특히 알쯔하이머 질환 및 파킨슨 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물의 활성 주재로서 유용하다.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서, 용어 "C1-Cn 알킬기"(n은 정수임)는 1 내지 n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 탄화수소 사슬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C1-C6 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1-메틸에틸, 1-메틸프로필, 2-메틸프로필, 1,1-디메틸에틸, 1-메틸부틸, 1,1-디메틸프로필, 1-메틸펜틸, 또는 1,1-디메틸부틸과 같은 일반식 CnH2n+1의 직선형 또는 분지형 기이거나 또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또는 시클로펜틸메틸과 같은 일반식 CnH2n -1의 고리형기 일 수 있다.
R이 수소 원자인 구조식(I)의 화합물은 유리산의 형태로 또는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실산이고, 상기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비독성 미네랄 또는 유기염기를 산과 조합함으로 얻어진다. 사용될 수 있는 미네랄 염기 중에는,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마그네슘 및 수산화 칼슘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염기 중에는, 예를 들어, 아민류, 아미노 알코올류, 라이신 또는 아르기닌과 같은 염기성 아미노 산, 또는 일례로 베타인 또는 콜린과 같은 제4급 암모니움 관능기를 담지한 화합물이다.
치환체 R3 및 R4가 다른 구조식(I)의 화합물은 비대칭 중심을 갖는다. 이들 화합물들에 대해, 본 발명은 별개로 고려되어 지는 양 라세미체 화합물 및 각 광학적 이성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Ar이 페닐기 또는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인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화합물은 Ra가 수소원자이거나 트리플루오로메틸인 것뿐 아니라 n이 1 또는 2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되는 제일 공정에 따라 제조되어 질 수 있다:
a) 소노가시라 반응(Sonogashira reaction; 예를 들어: Tet. Lett., 1975, 4467 참고)을 사용하여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2
(Ⅱ)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염소 또는 브롬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기임; 및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이나 CF3 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기임,
을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3
(Ⅲ)
여기서:
n = 1, 2 또는 3;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기이고;
R은 C1-C3 알킬기이고; 그리고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임,
의 아세틸렌 유도체와, 요오드화 동, 예를 들어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같은 팔라듐-기재 촉매, 및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같은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DMF) 같은 용매에서, 0 내지 60℃ 사이의 온도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4
(Ⅳ)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화합물을 얻음;
b) 상기 구조식 IV의 화합물에 담지된 "니트로" 기를 환원하여, 예를 들어 에탄올의 존재하에, 예를 들어 에틸아세테이트 같은 용매에서, 실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함에 의해, 다음 구조식 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5
(Ⅴ)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c) 구조식 V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6
(Ⅵ)
여기서: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또는 복소고리 방향족으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SR2, O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의 아릴술포닐 크로라이드와, 피리딘의 존재하에서, 실온에서, 10 내지 120분 동안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7
(Ⅶ)
여기서:
Ra, Rb, n, X, R3, R4, R 및 A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d) 구조식 VII의 화합물을 고리화, 즉 1,2-디클로로에탄과 같은 용매에서, 용매의 환류온도에 근접한 온도에서, 구리(II) 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J. Org. Chem., 2004, 69 (4), 1126-1136 참고)와 4 내지 24 시간 동안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8
(Ⅰa)
여기서:
Ra, Rb, n, X, R3, R4, R 및 A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그리고
e) 만일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리튬과 같은 무기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과정으로 구조식 Ia의 화합물의 에스테르 기를 가수분해하고, 그런 다음 산물을 산으로 처리하여 그 유리 산 형태로 구조식 I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09
(Ⅰb)
조제 공정의 제일의 변형형태로는, 구조식 I의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반응을 통해 수득되어 질 수 있다:
a) 예를 들어, 벤질트리메틸암모니움 디클로로요오데이트같은 할로겐화 제제의 도움으로, 디클로로메탄 또는 메탄올과 같은 용매에서, 실온에서 5 내지 24시간 동안,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0
(Ⅷ)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기이고; 그리고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이나 CF3 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기임,
의 아닐린 상에 할로겐화 반응, 바람직하기로는 요오드화 반응을 수행하여 다음 구조식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1
(Ⅸ)
여기서:
Ra 및 Rb는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b) 구조식 IX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2
(Ⅲ)
여기서:
n = 1, 2 또는 3;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기이고;
R은 C1-C3 알킬기이고; 그리고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임,
의 아세틸렌 유도체와, 상기 일반 공정의 단계 a)에 대해 기술된 것과 유사한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3
(Ⅴ)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화합물을 얻음;
c) 상기 구조식 V의 화합물을 상기 일반 공정의 단계 (d)를 수행하기 위해 기술한 것과 유사한 조건 하에서 고리화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4
(Ⅹ)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인돌 화합물을 얻음;
d) 상기 구조식 (X)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5
(Ⅵ)
여기서: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또는 복소고리 방향족으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SR2, O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의 아릴술포닐 클로라이드와,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같은 용매에서, 실온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하고, 일반적으로 수산화나트륨으로 구조식 (X)의 인돌 화합물의 활성화 후 다음 구조식(Ia)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6
(Ⅰa)
여기서:
Ra, Rb, n, X, R3, R4, R 및 A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그리고
e) 만일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리튬과 같은 무기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과정으로 구조식 Ia의 화합물의 에스테르 기를 가수분해하고, 그런 다음 산물을 산으로 처리하여 그 유리 산 형태로 구조식 I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7
(Ⅰb)
조제 공정의 제이의 변형형태로는, 구조식 I의 화합물은 다음으로 구성되는 일련의 반응을 통해 수득되어 질 수 있다:
a) 구조식 IX의 화합물: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8
(Ⅸ)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염소 또는 브롬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기이고; 그리고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이나 CF3 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기임,
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19
(Ⅵ)
여기서: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또는 복소고리 방향족으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OR2, S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의 아릴술포닐 클로라이드와,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같은 용매에서, 실온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0
(ⅩⅠ)
여기서:
Ra, Rb 및 A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b) 구조식 XI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1
(Ⅲ)
여기서:
n = 1, 2 또는 3;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기이고;
R은 C1-C3 알킬기이고; 그리고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임,
의 아세틸렌 유도체와, 상기 일반 공정의 단계 a)에 대해 기술된 것과 유사한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2
(Ⅶ)
여기서:
Ra, Rb, n, X, R3, R4, R 및 A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c) 상기 구조식 VII의 화합물을 상기 일반 공정의 단계 (d)를 수행하기 위해 기술한 것과 유사한 조건 하에서 고리화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3
(Ⅰa)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인돌 화합물을 얻음;
d) 만일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리튬과 같은 무기염기와의 반응에 의해,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과정으로 구조식 Ia의 화합물의 에스테르 기를 가수분해하고, 그런 다음 산물을 산으로 처리하여 그 유리 산 형태로 구조식 I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4
(Ⅰb)
이 마지막 공정 중에, 두 단계 b) 및 c)를 단일 조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Ra (이 공정은 또한 Rb에 적용됨)가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 고리인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 I의 화합물은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5
(Ⅰc)
여기서:
Ra는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기로는 브롬원자이고, Rb는 수소원자, 불소, 염소 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기이고;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이나 CF3 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4 알킬 기이고;
R은 C1-C3 알킬 기이고;
n = 1, 2 또는 3;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그리고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또는 복소고리 방향족으로, 염소 및 불소 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OR2, S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의 할로겐화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6
(ⅩⅡ)
여기서:
Rx는 수소원자 또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임,
의 페닐보론산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과, 소디움 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용매, 즉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메탄올 및 물에서, 30℃와 용매의 환류온도 사이에서, 5 내지 24시간 동안, SUZUKI 반응 (예를 들어, Chem. Rev., 1995, 95 , 2457 참고)에 따라 구조식 Id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7
(Ⅰd)
여기서:
R, Rb, Rx, X, R3, R4, n 및 Ar은 시발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무기 또는 유기 염기를 갖는 구조식 Ib 산의 염의 형태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함에 의해, 예를 들어 화학양론적인 양의 산과 염기를 예를 들어 물 또는 물/알코올 혼합물 같은 용매에서 혼합하고 그런 다음 얻어진 용액을 동결-건조함에 의해 통상적으로 수득되어 질 수 있다.
상술한 몇 가지의 반응 단계에서는, 유익하기로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인에게 잘 알려진 전통적인 가열수단을 이 반응 양식에 적용된 반응기를 사용하는 마이크로파 가열로 대체하여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인은 "가열하는" 시간은 표준 가열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비교하여 상당하게 감소되어 질 것으로 이해할 것이다.
구조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 대한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되어 지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닌 이들 실시예에서, "제조예"는 중간체 화합물의 합성을 설명하는 예를 나타내고, 그리고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 (I)의 화합물의 합성을 설명하는 예를 나타낸다. 약어 중에서, "mM"은 밀리몰을 의미한다. 용융점은 코플러 벤치 상에서 또는 메틀러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그리고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값은 시그널과 연계된 프로톤의 수와 시그널의 형상(싱글렛에 대하여 s, 더블렛에 대하여 d, 이중 더블렛에 대하여 dd, 트리플렛에 대하여 t, 쿼드러플렛에 대하여 q, 퀸테트플렛에 대하여 quin, 그리고 멀티플렛에 대하여 m)에 의해, TMS에 대하여 계산된 화학적 전이에 의해 특징되어 진다. 작업 주파수 및 사용 용매는 각 화합물에 대해 나타냈다. 실온은 20℃ ± 5℃이다. 어떤 경우에는, 화합물의 구조는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따른 질량 스펙트로스코피 (LC/MS 커플링)에 의해 에 의하여 확인되어 졌다; 측정은 HDO 상으로 UPTISPHERE HDO 컬럼 (컬럼: 50 x 2 mm x 3 ㎛) 상에서, 유동비: 0.6 ml/min (split: 1/3), 이동상: A = H2O + 0.5% TFA (트리플루오로초산), B = 아세토니트릴 + 0.5% TFA (기울 기 프로그래밍: B = 7분 내에 10에서 90%, 그런 다음 2분 동안 90% 유지, 그런 다음 1분 내에 10%로 복귀 그리고 10%에서 3분 동안 안정화); 수행 온도: 45℃; UV 검출: 210 내지 260 nm로 되었다. 질량 스펙트럼은 ESI+, 스프레이: 3500 V, 소스 블럭 온도: 130℃, 탈용매화: 230℃, 탈용매화 가스: 600 l/h, 콘 가스: 100 l/h, 전압: 10 V/30 V/60 V에 의해 얻어졌다. 그 결과는 질량(m/z) 및 잔류 시간(Tr)으로 표현되었다.
조제예 1
5-(5- 클로로 -2- 니트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35.5 g (125 mM)의 4-클로로-2-요오도-1-니트로벤젠, 510 ml의 트리에틸아민, 2.88 g (2.5 mM)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72 g의 요오드화 구리 및 50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DMF)가 혼합되었다. 14 g (125 mM)의 4-펜티노산의 메틸 에스테르가 그런 다음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부가되고 반응 혼합물은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다. 100 ml의 톨루엔이 부가되고 그리고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되었다. 증류 잔사는 15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와 80 ml의 N 염산에 취해졌다. 유기 상이 분리되고, 물로 수세되고 그런 다음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 하에서 농축되었다. 수득된 갈색 오일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9/1;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21.5 g의 기대 산물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5%).
M.p. = 75-78℃.
조제예 2
5-(2-아미노-5- 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90.6 g (400 mM)의 염화 제1주석, 7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22 ml의 에탄올이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로 사입되었다. 이 혼합물은 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고, 21.5 g (80 mM)의 조제예 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의 용액이 서서히 부가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200 g의 얼음과 200 ml의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혼합물에 따루어졌다. 얻어진 혼합물은 20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회 추출되고; 혼합된 유기 상은 물로 수세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얻어진 오일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80/20;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9.1 g의 기대 화합물 오렌지-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0%).
M.p. = 67℃.
조제예 3
[5- 클로로 -2-( 페닐술포닐아미노 )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15 ml의 피리딘 내에 1.2 g (5 mM)의 조제예 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의 용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0.77 ml (6 mM)의 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가 부가되었다. 이 혼합물은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여 오일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8/2;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1.8 g의 기대 화합물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1H NMR (DMSOd6, 300 MHz) δ = 2.56 (s, 4H), 3.65 (s, 3H), 7.28-7.36 (m, 3H), 7.54-7.72 (m, 5H), 9.69 (s, 1H).
실시예 1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35 ml의 1,2-디클로로에탄 내에 300 mg (0.79 mM)의 조제예 3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의 용액이 준비되고, 15 mg (0.08 mM)의 구리 (제이구리) 아세테이트가 부가되었고, 혼합물은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환류되었다. 요매는 그런 다음 감압하에서 제거되었고 남은 점성의 고체는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9/1;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230 mg의 수득된 화합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7%).
M.p. = 93-96℃.
실시예 2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180 mg (0.46 mM)의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가 16 ml의 THF 및 4 ml의 물과 혼합되었고 그리고 20 mg (0.48 mM)의 수산화리튬 (LiOH.1H2O)이 부가되었다. 혼합물은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증류 잔사는 10 ml의 물에 취해지고 그리고 용액은 1 N 염산 용액으로 산성화되었다. 백색 침전물이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되고 그리고 유기 상은 분리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어 160 mg의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M.p. = 165-168℃.
실시예 2a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나트륨 염
114 mg (0.313 mM)의 실시예 2에 따라 얻어진 산이 10 ml의 물 및 0.313 ml의 N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혼합되었다. 수 방울의 메탄올이 교반하면서 부가되어 용액이 수득되었다. 이 혼합물은 1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부분적으로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여 용액은 그런 다음 여과되고 동결 건조되어 115 mg의 기대 염이 미세한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250℃.
조제예 4
2- 요오도 -4-( 트리플루오로메틸 )아닐린
90 ml의 메탄올과 30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5 g (31 mM)의 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의 용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3.56 g (35.6 mM)의 칼슘 카보네이트가 부가되었다. 14.9 g (42.7 mM)의 트리메틸벤질암모니움 디클로로요오다이드가 그런 다음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점적 부가되었다. 반응 배지는 2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여과되어 미네랄 염이 제거되었다. 여액은 감압하에서 농축되었고 조 산물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8/2;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6.65 g의 기대 화합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5%).
1H NMR (CDCl3, 300 MHz) δ = 5.0 (s, 2H), 6.82 (d, J = 5.5 Hz, 1H), 7.38 (dd, J = 5.5 Hz, 1.3 Hz, 1H), 7.79 (d, J = 1.3 Hz, 1H).
조제예 5
5-[2-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1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 2 ml의 디에틸아민 내에 1.5 g (5.23 mM)의 조제 예 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0.644 g (5.75 mM)의 메틸 4-펜티노에이트 및 90 mg (0.13 mM)의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의 용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50 mg (0.26 mM)의 요오드화 구리가 부가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120℃에서 10분 동안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방사되었다. 용매는 그런 다음 감압하에서 제거되었고 그리고 증류 잔사는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8/2;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1.16 g의 기대 화합물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2%).
1H NMR (DMSOd6, 300 MHz) δ = 2.65-2.75 (m, 4H), 3.64 (s, 3H), 5.99 (s, 2H), 6.78 (d, J = 8.3 Hz, 1H), 7.31 (d, J = 8.3 Hz, 1H), 7.33 (s, 1H).
조제예 6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 ml의 1,2-디클로로에탄 내에 1.16 g (4.28 mM)의 조제예 5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의 용액이 준비되고 1.3 g (6.4 mM)의 제이구리 아세테이트가 부가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150℃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파 오븐에서 방사되었고 그런 다음 냉각되고 여과되었다. 여액은 감압하에서 농축되어 1 g의 기대 화합물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M.p. = 106-108℃.
실시예 3
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0.18 g (4.6 mM)의 수소화나트륨 (오일 내에 60% 분산)이 0℃에서 1 g (3.69 mM)의 조제예 6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의 용액에 부가되었다. 이 혼합물은 15분 동안 교반되었고 그리고 0.98 g (5.5 mM)의 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가 여전히 0℃에서 부가되었다. 이 혼합물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고 그리고 100 ml의 15% 수성 암모니움 크로라이드 용액이 그런 다음 부가되었다. 이 혼합물은 5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삼 회 추출되었다. 혼합된 유기 상은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여 오일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8/2;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0.95 g의 기대 산물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어, 오렌지색 별꼴로 결정화되었다(수율 = 62%).
M.p. = 81-83℃.
실시예 4
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M.p. = 170-172℃.
조제예 7
5-(2-아미노-5- 브로모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브로모-2-요오도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3%).
1H NMR (DMSOd6, 250 MHz) δ = 2.61-2.74 (m, 4H), 3.63 (s, 3H), 5.46 (s, 2H), 6.63 (dd, J = 8.3 Hz, 0.7 Hz, 1H), 7.1-7.2 (m, 2H).
조제예 8
5- 브로모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화합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1H NMR (DMSOd6, 250 MHz) δ = 2.75 (t, J = 7.3 Hz, 2H), 2.98 (t, J = 7.2 Hz, 2H), 3.60 (s, 3H), 6.14 (s, 1H), 7.1 (dd, J = 8.5 Hz, 1.9 Hz, 1H), 7.2 (d, J = 8.5 Hz, 1H), 7.58 (d, J = 1.9 Hz, 1H), 11.1 (s, 1H).
실시예 5
5- 브로모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화합물이 밝은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5%).
M.p. = 109-113℃.
실시예 6
5- 브로모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화합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188-190℃.
실시예 7
1-( 페닐술포닐 )-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 ml의 THF 내에 0.5 g (1.18 mM)의 실시예 5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 및 0.68 g (0.59 mM)의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의 용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2.5 ml의 메탄올 내에 0.84 g (4.4 mM)의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론 산의 용액 이 부가되었고, 1 ml의 물 내에 282 mg (2.6 mM)의 소디움 카보네이트의 용액이 부가되었다. 혼합물은 그런 다음 24시간 동안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교반되었다. 실온으로 복귀 후, 혼합물은 2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었다. 얻어진 용액은 감압하에서 농축되었고 그리고 증류 잔사는 50 ml의 에틸 에테르에 용액으로 취해졌다. 얻어진 용액은 15 ml의 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삼 회 수세되었고 그런 다음 물로 수세 물이 중성이 될 때까지 수세되었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여 오일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85/15;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57 mg의 기대 화합물 베이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0%).
1H NMR (DMSOd6, 250 MHz) δ = 2.84 (t, J = 7.1 Hz, 2H), 3.32 (d, J = 7.2 Hz, 2H), 3.62 (s, 3H), 6.68 (s, 1H), 7.56-7.71 (m, 5H), 7.78-7.91 (m, 6H), 8.13 (d, 1H).
실시예 8
1-( 페닐술포닐 )-5-[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M.p. = 162℃.
조제예 9
5-(2- 니트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1-요오도-2-니트로벤젠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3%).
M.p. = 44-46℃.
조제예 10
6-(5- 클로로 -2- 니트로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5-헥시노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3%).
1H NMR (DMSOd6, 250 MHz) δ = 1.81 (m, 2H), 2.54 (m, 4H), 3.60 (s, 3H), 7.69 (dd, 1H), 7.81 (d, 1H), 8.09 (d, 1H).
조제예 11
7-(5- 클로로 -2- 니트로페닐 )-6- 헵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6-헵티노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 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1H NMR (DMSOd6, 250 MHz) δ = 1.34-1.73 (m, 4H), 2.36 (t, 2H), 2.53 (t, 2H), 3.59 (s, 3H), 7.66 (dd, 1H), 7.79 (d, 1H), 8.09 (d, 1H).
조제예 12
5-(2- 아미노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3%).
1H NMR (DMSOd6, 250 MHz) δ = 2.67 (m, 4H), 3.63 (s, 3H), 5.25 (s, 2H), 6.46 (m, 1H), 6.65 (dd, 1H), 7.02 (m, 2H).
조제예 13
6-(2-아미노-5- 클로로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1%).
1H NMR (DMSOd6, 250 MHz) δ = 1.83 (m, 2H), 2.48 (m, 4H), 3.59 (s, 3H), 5.40 (s, 2H), 6.67 (d, 1H), 7.03 (dd, 1H), 7.08 (d, 1H).
조제예 14
7-(2-아미노-5- 클로로페닐 )-6- 헵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8%).
M.p. = 66℃.
조제예 15
5-(2-아미노-5- 플루오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플루오로-2-요오도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5%).
1H NMR (DMSOd6, 300 MHz) δ = 2.6-2.75 (m, 4H), 3.63 (s, 3H), 5.16 (s, 2H), 6.6-6.7 (m, 1H), 6.8-6.85 (m, 2H).
조제예 16
5-(2-아미노-4,5- 디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5-디클로로-2-요오도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결정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1H NMR (DMSOd6, 300 MHz) δ = 2.65-2.75 (m, 4H), 3.63 (s, 3H), 5.70 (s, 2H), 6.87 (s, 1H), 7.24 (s, 1H).
조제예 17
5-(2-아미노-5,6- 디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3,4-디클로로-2-요오도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9%).
1H NMR (DMSOd6, 300 MHz) δ = 2.6-2.8 (m, 4H), 3.63 (s, 3H), 5.74 (s, 2H), 6.65 (d, 1H), 7.20 (d, 1H).
조제예 18
5-[2-아미노-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5-(트리플루오로메틸)-2-요오도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결정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M.p. = 42℃.
조제예 19
5-(2-아미노-5- 아세틸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아미노-3-요오도아세토페논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9%).
1H NMR (DMSOd6, 300 MHz) δ = 2.39 (s, 3H), 2.65-2.75 (m, 4H), 3.64 (s, 3H), 6.15 (s, 2H), 6.69 (d, 1H), 7.64 (dd, 1H), 7.69 (d, 1H).
조제예 20
5-(2-아미노-4- 클로로 -5- 플루오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4-플루오로-2-요오도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결정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67-68℃.
조제예 21
5-(2-아미노-5- 시아노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아미노-3-요오도벤조니트릴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 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2%).
1H NMR (DMSOd6, 300 MHz) δ = 2.65-2.75 (m, 4H), 3.63 (s, 3H), 6.27 (s, 2H), 6.73 (d, 1H), 7.38 (dd, 1H), 7.46 (d, 1 Hz, 1H).
조제예 22
5-(2-아미노-5- 벤조일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아미노-3-요오도벤조페논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4%).
1H NMR (DMSOd6, 300 MHz) δ = 2.63-2.73 (m, 4H), 3.62 (s, 3H), 6.28 (s, 2H), 6.75 (d, 1H), 7.47-7.61 (m, 7H).
조제예 23
5-(2-아미노-3,5- 디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4-디클로로-6-요오도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암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1H NMR (DMSOd6, 300 MHz) δ = 2.6-2.8 (m, 4H), 3.64 (s, 3H), 5.55 (s, 2H), 7.13 (d, 1H), 7.33 (d, 1H).
조제예 24
5-[2-[( 페닐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2%).
1H NMR (DMSOd6, 300 MHz) δ = 2.57 (s, 4H), 3.65 (s, 3H), 7.13 (m, 1H), 7.22-7.28 (m, 3H), 7.52-7.62 (m, 3H), 7.71 (dd, 2H), 9.49 (s, 1H).
조제예 25
5-[5- 클로로 -2-[[(4- 메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p-톨루엔-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1H NMR (DMSOd6, 250 MHz) δ = 2.35 (s, 3H), 2.56 (s, 4H), 3.65 (s, 3H), 7.31 (m, 5H), 7.59 (d, 2H), 9.57 (s, 1H).
조제예 26
5-[5- 클로로 -2-[[(2,3-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3-디클로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M.p. = 64℃.
조제예 27
5-[5- 클로로 -2-[[(3- 메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m-톨루엔-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2%).
M.p. = 69℃.
조제예 28
5-[5- 클로로 -2-[[(2,4-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4-디클로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 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1H NMR (DMSOd6, 300 MHz) δ = 2.56 (s, 4H), 3.64 (s, 3H), 7.27 (dd, J = 8.4, 0.78 Hz, 1H), 7.36 (m, 2H), 7.58 (dd, 1H), 7.84 (d, 1H), 7.89 (s, 1H), 10.06 (s, 1H).
조제예 29
5-[5- 클로로 -2-[[[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 메틸 에스테르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핑크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M.p. = 80℃.
조제예 30
5-[5- 클로로 -2-[[(4- 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4%).
1H NMR (DMSOd6, 300 MHz) δ = 2.58 (s, 4H), 3.65 (s, 3H), 3.80 (s, 3H), 7.05 (m, 2H), 7.29 (m, 2H), 7.36 (dd, 1H), 7.63 (m, 2H), 9.47 (s, 1H).
조제예 31
5-[5- 클로로 -2-[[(4- 아세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아세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9%).
M.p. = 88℃.
조제예 32
5-[2-[([1,1'-비페닐]-4- 일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1,1'-비페닐)-4-일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93℃.
조제예 33
5-[5- 클로로 -2-[[[2-(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 메틸 에스테르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3%).
1H NMR (DMSOd6, 250 MHz) δ = 2.56 (s, 4H), 3.63 (s, 3H), 7.27-7.42 (m, 3H), 7.83 (m, 2H), 7.96 (m, 2H), 9.95 (s, 1H).
조제예 34
5-[5- 클로로 -2-[[(3- 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3-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1H NMR (DMSOd6, 300 MHz) δ = 2.56 (s, 4H), 3.65 (s, 3H), 3.76 (s, 3H), 7.12-7.31 (m, 4H), 7.37 (dd, 1H), 7.44 (m, 1H), 7.69 (s, 1H), 9.69 (s, 1H).
조제예 35
5-[5- 클로로 -2-[[(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5-디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 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LC/MS: m/z = 438; Tr = 5.97 min.
조제예 36
5-[5- 클로로 -2-[[[4-(1,1-디메틸에틸) 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tert-부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LC/MS: m/z = 434; Tr = 6.89 min.
조제예 37
5-[5- 클로로 -2-[[(4- 에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에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7%).
LC/MS: m/z = 406; Tr = 6.40 min.
조제예 38
5-[5- 클로로 -2-[[[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이소프로필-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LC/MS: m/z = 420; Tr = 6.95 min.
조제예 39
5-[5- 클로로 -2-[[(4- 프로필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프로필-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2%).
LC/MS: m/z = 420; Tr = 6.92 min.
조제예 40
5-[5- 클로로 -2-[[(4- 펜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펜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LC/MS: m/z = 448; Tr = 7.61 min.
조제예 41
5-[5- 클로로 -2-[[(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3,5-디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LC/MS: m/z = 406; Tr = 6.70 min.
조제예 42
5-[5- 클로로 -2-[[(2,4,6- 트리메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4,6-트리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3%).
LC/MS: m/z = 420; Tr = 6.66 min.
조제예 43
5-[5- 클로로 -2-[[(4- 클로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 테르
4-클로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6%).
LC/MS: m/z = 412; Tr = 6.27 min.
조제예 44
5-[5- 클로로 -2-[[(4- 플루오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클로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8%).
LC/MS: m/z = 396; Tr = 5.99 min.
조제예 45
5-[5- 클로로 -2-[[(4- 클로로 -3- 메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틸 에스테르
4-클로로-3-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9%).
LC/MS: m/z = 426; Tr = 6.80 min.
조제예 46
5-[5- 클로로 -2-[[[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 메틸 에스테르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LC/MS: m/z = 446; Tr = 6.58 min.
조제예 47
5-[2-[[[4-( 아세틸아미노 ) 페닐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틸 에스테르
4-(아세틸아미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4%).
LC/MS: m/z = 435; Tr = 5.15 min.
조제예 48
5-[5- 클로로 -2-[[(4- 시아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 테르
4-시아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LC/MS: m/z = 403; Tr = 5.71 min.
조제예 49
5-[5- 클로로 -2-[[(4- 펜옥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펜옥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LC/MS: m/z = 470; Tr = 6.67 min.
조제예 50
5-[5- 클로로 -2-[(1- 나프탈레닐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1-나프탈렌-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1H NMR (DMSOd6, 300 MHz) δ = 2.15 (t, 2H), 2.44 (t, 2H), 3.63 (s, 3H), 7.18 (s, 1H), 7.34 (s, 2H), 7.62 (m, 3H), 8.01 (dd, 1H), 8.04 (d, 1H), 8.22 (d, 1H), 8.72 (d, 1H), 10.01 (s, 1H).
조제예 51
5-[5- 클로로 -2-[(2- 나프탈레닐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나프탈렌-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2%).
LC/MS: m/z = 428; Tr = 6.63 min.
조제예 52
5-[5- 클로로 -2-[[(4- 메틸 -1- 나프탈레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틸 에스테르
4-메틸-1-나프탈렌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7%).
1H NMR (DMSOd6, 250 MHz) δ = 2.24 (t, 2H), 2.37 (t, 2H), 2.70 (s, 3H), 3.64 (s, 3H), 7.25 (s, 1H), 7.33 (s, 2H), 7.45 (dd, 1H), 7.68 (m, 2H), 7.93 (d, 1H), 8.15 (m, 1H), 8.75 (m, 1H), 9.91 (s, 1H).
조제예 53
5-[2-[[[5-( 아세틸아미노 )-1- 나프탈레닐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4- 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5-(아세틸아미노)-1-나프탈렌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5 따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1H NMR (DMSOd6, 300 MHz) δ = 2.18 (s, 3H), 2.23 (t, 2H), 2.41 (t, 2H), 3.62 (s, 3H), 7.18 (s, 1H), 7.32 (s, 2H), 7.62 (m, 2H), 7.76 (d, 1H), 8.04 (dd, 1H), 8.35 (d, 1H), 8.58 (d, 1H), 10.03 (s, 1H).
조제예 54
5-[5- 클로로 -2-[(8- 퀴놀리닐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8-퀴놀린-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 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LC/MS: m/z = 429; Tr = 5.96 min.
조제예 55
6-[5-클로로-2-[(페닐술포닐아미노)페닐]-5-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6%).
M.p. = 90℃.
조제예 56
6-[5- 클로로 -2-[[(2,3-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3-디클로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1H NMR (DMSOd6, 250 MHz) δ = 1.72 (m, 2H), 2.35 (t, 2H), 2.43 (t, 2H), 3.60 (s, 3H), 7.25-7.36 (m, 2H), 7.39 (s, 1H), 7.48 (t, 1H), 7.79 (d, 1H), 7.90 (d, 1H), 10.28 (s, 1H).
조제예 57
6-[5- 클로로 -2-[[(4- 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4-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3%).
1H NMR (DMSOd6, 250 MHz) δ = 1.73 (m, 2H), 2.35-2.48 (m, 4H), 3.62 (s, 3H), 3.81 (s, 3H), 7.04 (d, 2H), 7.25-7.35 (m, 3H), 7.60 (d, 2H), 9.57 (s, 1H).
조제예 58
6-[5- 클로로 -2-[(8- 퀴놀리닐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8-퀴놀린-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8%).
1H NMR (DMSOd6, 300 MHz) δ = 1.77 (m, 2H), 2.44 (m, 4H), 3.61 (s, 3H), 7.29 (s, 2H), 7.43 (d, 1H), 7.75 (m, 2H), 8.32 (d, 1H), 8.39 (d, 1H), 8.55 (d, 1H), 9.01 (s, 1H), 9.08 (d, 1H).
조제예 59
6-[5- 클로로 -2-[[[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4-이소프로필-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1H NMR (DMSOd6, 300 MHz) δ = 1.20 (d, 6H), 1.71 (m, 2H), 2.34 (t, 2H), 2.41 (t, 2H), 2.73 (m, 1H), 3.61 (s, 3H), 7.26-7.62 (m, 5H), 9.71 (s, 1H).
조제예 60
6-[5- 클로로 -2-[(2- 나프탈레닐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나프탈렌-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9%).
1H NMR (DMSOd6, 300 MHz) δ = 1.59 (m, 2H), 2.20 (t, J = 7.1 Hz, 2H), 2.32 (t, J = 7.4 Hz, 2H), 3.61 (s, 3H), 7.08-7.34 (m, 3H), 7.63-7.74 (m, 3H), 7.99-8.33 (m, 3H), 9.91 (s, 1H).
조제예 61
6-[5- 클로로 -2-[[(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3,5-디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M.p. = 92-94℃.
조제예 62
6-[5- 클로로 -2-[[(3- 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3-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2%).
M.p. = 71-76℃.
조제예 63
6-[5- 클로로 -2-[[(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5-디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M.p. = 115-117℃.
조제예 64
6-[5- 클로로 -2-[(1- 나프탈레닐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1-나프탈렌-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93-95℃.
조제예 65
5- 플루오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1H NMR (DMSOd6, 300 MHz) δ = 2.75 (t, 2H), 2.98 (t, 2H), 3.61 (s, 3H), 6.14 (dd, 1H), 6.82 (ddd, 1H), 7.15 (dd, 1H), 7.25 (dd, 4.68 Hz, 1H), 11.02 (s, 1H).
조제예 66
5,6- 디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00%).
M.p. = 142℃.
조제예 67
4,5- 디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1H NMR (DMSOd6, 300 MHz) δ = 2.78 (t, 2H), 3.01 (t, 2H), 3.61 (s, 3H), 6.24 (s, 1H), 7.17 (d, 1H), 7.29 (d, 1H) 11.49 (s, 1H).
조제예 68
6-(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1%).
M.p. = 108-110℃.
조제예 69
5-아세틸-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1%).
1H NMR (DMSOd6, 250 MHz) δ = 2.57 (s, 3H), 2.77 (t, 2H), 3.01 (t, 2H), 3.61 (s, 3H), 6.32 (s, 1H), 7.34 (d, 1H), 7.66 (dd, 1H), 8.15 (d, 1H), 11.33 (s, 1H).
조제예 70
6- 클로로 -5- 플루오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회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138-139℃.
조제예 71
5,7- 디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0%).
1H NMR (DMSOd6, 250 MHz) δ = 2.77 (t, 2H), 3.02 (t, 2H), 3.61 (s, 3H), 6.26 (s, 1H), 7.15 (d, 1H), 7.47 (d, 1H), 11.47 (s, 1H).
조제예 72
5- 시아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2%).
1H NMR (DMSOd6, 250 MHz) δ = 2.77 (t, 2H), 3.02 (t, 2H), 3.60 (s, 3H), 6.33 (s, 1H), 7.35 (dd, 1H), 7.35 (dd, 1.6 Hz, 1H), 7.4 (d, 1H), 7.93 (d, 1H), 11.56 (s, 1H).
조제예 73
5- 벤조일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4%).
1H NMR (DMSOd6, 250 MHz) δ = 2.77 (t, 2H), 3.02 (t, 2H), 3.61 (s, 3H), 6.33 (s, 1H), 7.42 (d, 1H), 7.45-7.75 (m, 7H), 7.86 (d, 1H), 11.42 (s, 1H).
조제예 74
7-[5- 클로로 -2-[( 페닐술포닐 )아미노] 페닐 ]-6- 헵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4%).
1H NMR (DMSOd6, 250 MHz) δ = 1.55 (m, 4H), 2.33 (m, 4H), 3.60 (s, 3H), 7.22 (m, 3H), 7.61 (m, 5H), 9.75 (s, 1H).
조제예 75
6-[5- 클로로 -2-[[(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조옥사진-7-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M.p. = 131-133℃.
조제예 76
6-[5- 클로로 -2-[[[1,2,3,4- 테트라하이드로 -2-( 트리플루오로아세틸 )-7- 이소퀴 놀리닐]-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1,2,3,4-테트라하이드로-2-(트리플루오로아세틸)-7-이소퀴놀린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1H NMR (DMSOd6, 300 MHz) δ = 1.70-1.75 (m, 2H), 2.35-2.45 (m, 4H), 3.0 (t, 2H), 3.85 (t, 2H), 4.80 (s, 2H), 7.30-7.35 (m, 4H), 7.60 (dd, 1H), 7.65 (d, 1H), 9.80 (s, 1H).
조제예 77
6-[5- 클로로 -2-[[(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아미노] 닐]-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3-디하이드로-1,4-벤조다이옥신-6-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1H NMR (DMSOd6, 250 MHz) δ = 1.70-1.81 (m, 2H), 2.37-2.51 (m, 4H), 3.61 (s, 3H), 4.25-4.32 (m, 4H), 6.59-7.37 (m, 6H), 9.63 (s, 1H).
조제예 78
6-[5- 클로로 -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3%).
1H NMR (DMSOd6, 300 MHz) δ = 1.56-1.66 (m, 2H), 2.23 (t, 2H), 2.35 (t, 2H), 3.60 (s, 3H), 7.27-7.39 (m, 3H), 7.79 (d, 1H), 8.21 (d, 1H), 8.60 (s, 1H), 9.61 (s, 1H), 9.97 (s, 1H).
조제예 79
6-[5- 클로로 -2-[[[6-(4- 모르폴리닐 )-3- 피리디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 노산 메틸 에스테르
6-(4-모르폴리닐)-3-피리딘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6%).
1H NMR (DMSOd6, 300 MHz) δ = 1.69-1.79 (m, 2H), 2.36-2.51 (m, 4H), 3.55-3.58 (m, 4H), 3.60 (s, 3H), 3.64-3.68 (m, 4H), 6.87 (d, 1H), 7.29-7.39 (m, 3H), 7.64 (dd, 1H), 8.30 (d, 1H), 9.58 (s, 1H).
조제예 80
6-[5- 클로로 -2-[[(3,5-디메틸-4- 이소옥사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 메틸 에스테르
3,5-디메틸-4-이소옥사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2%).
M.p. = 107-109℃.
조제예 81
6-[5- 클로로 -2-[[(1,3,5- 트리메틸 -1 H - 피라졸 -4-일)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1,3,5-트리메틸-1H-피라졸-4-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1H NMR (DMSOd6, 250 MHz) δ = 1.73-1.81 (m, 2H), 2.05 (s, 3H), 2.15 (s, 3H), 2.36 (d, 2H), 2.42 (d, 2H), 3.61 (s, 3H), 3.62 (s, 3H), 7.31-7.41 (m, 3H), 9.38 (s, 1H).
조제예 82
6-[5- 클로로 -2-[[(1- 메틸 -1 H - 이미다졸 -4-일)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1-메틸-1H-이미다졸-4-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76-79℃.
조제예 83
6-[2-[[(2,1,3- 벤조티아디아졸 -4-일)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5- 헥시노 메틸 에스테르
2,1,3-벤조-티아디아졸-4-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1H NMR (DMSOd6, 300 MHz) δ = 1.49-1.59 (m, 2H), 2.03 (t, 2H), 2.32 (t, 2H), 3.60 (s, 3H), 7.25-7.38 (m, 3H), 7.82 (dd, 1H), 8.13 (dd, 1H), 8.37 (dd, 1H), 9.83 (s, 1H).
조제예 84
6-[2-[[(2,1,3- 벤조티아디아졸 -5-일)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5- 헥시노 메틸 에스테르
2,1,3-벤조-티아디아졸-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2%).
1H NMR (DMSOd6, 300 MHz) δ = 1.52-1.62 (m, 2H), 2.20 (t, 2H), 2.33 (t, 2H), 3.59 (s, 3H), 7.31-7.40 (m, 3H), 7.95 (dd, 1H), 8.31 (dd, 1H), 8.36 (dd, 1H), 10.3 (s, 1H).
조제예 85
6-[5- 클로로 -2-[[(3,4- 디하이드로 -2,2-디메틸-2 H -1- 벤조피란 -6-일)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3,4-디하이드로-2,2-디메틸-2H-1-벤조피란-6-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 다 (수율 = 88%).
1H NMR (DMSOd6, 300 MHz) δ = 1.28 (s, 6H), 1.70-1.79 (m, 4H), 2.35-2.51 (m, 4H), 2.72 (t, 2H), 3.60 (s, 3H), 6.80 (d, 1H), 7.25-7.65 (m, 5H), 9.48 (s, 1H).
조제예 86
6-[5- 클로로 -2-[[(5,6,7,8- 테트라하이드로 -5,5,8,8- 테트라메틸 -2- 나프탈레 닐)-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렌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5%).
M.p. = 113-115℃.
조제예 87
6-[2-[[(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 닐]-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죽상의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 율 = 88%).
1H NMR (DMSOd6, 250 MHz) δ = 1.68-1.80 (m, 2H), 2.17 (s, 3H), 2.39 (t, 2H), 2.43 (t, 2H), 3.14 (t, 2H), 3.61 (s, 3H), 4.14 (t, 2H), 7.25 (dd, 1H), 7.32-7.37 (m, 2H), 7.48 (d, 1H), 7.52 (d, 1H), 8.07 (d, 1H), 9.59 (s, 1H).
조제예 88
6-[5- 클로로 -2-[[(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8%).
M.p. = 103-106℃.
조제예 89
6-[2-[[[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5-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M.p. = 138-140℃.
조제예 90
6-[2-[[(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M.p. = 61-65℃.
조제예 91
6-[5- 클로로 -2-[[(2- 메틸 -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6-벤조옥사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1H NMR (DMSOd6, 250 MHz) δ = 1.65 (m, 2H), 2.15 (t, 2H), 2.39 (t, 2H), 2.65 (s, 3H), 3.61 (s, 3H), 7.26-7.39 (m, 3H), 7.65 (dd, 1H), 7.81 (d, 1H), 7.95 (s, 1H), 9.93 (s, 1H).
조제예 92
6-[5- 클로로 -2-[[(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 노산 메틸 에스테르
2,3-디하이드로-5-벤조퓨란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1H NMR (DMSOd6, 300 MHz) δ = 1.76 (m, 2H), 2.40-2.49 (m, 4H), 3.23 (t, 2H), 3.85 (s, 3H), 4.62 (t, 2H), 6.85 (d, 1H), 7.25-7.45 (m, 4H), 7.77 (s, 1H), 9.51 (s, 1H).
조제예 93
6-[5- 클로로 -2-[[(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5-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2%).
M.p. = 68-72℃.
조제예 94
6-[2-[[(2-아미노-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아미노-6-벤조옥사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
M.p. = 135℃.
조제예 95
6-[2-[[[2-( 아세틸아미노 )-4- 메틸 -5- 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5-헥 시노 메틸 에스테르
2-(아세틸아미노)-4-메틸-5-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2%).
M.p. = 147-149℃.
조제예 96
6-[5- 클로로 -2-[[(1,2,3,4- 테트라하이드로 -2-옥소-6- 퀴놀리닐 ) 술포닐 ]아미 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6-퀴놀린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7%).
M.p. = 53-57℃.
조제예 97
5-[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1H NMR (DMSOd6, 300 MHz) δ = 2.44 (s, 4H), 3.63 (s, 3H), 7.26-7.39 (m, 3H), 7.25-7.65 (m, 5H), 7.80 (dd, 1H), 8.21 (dd, 1H), 8.62 (d, 1H), 9.62 (s, 1H), 9.88 (s, 1H).
조제예 98
5-[2-[[[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4-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 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85℃.
조제예 99
5-[2-[[(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 닐]-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4%).
M.p. = 154℃.
조제예 100
5-[2-[[(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틸 에스테르
1,3-벤조-디옥솔-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1H NMR (DMSOd6, 300 MHz) δ = 2.60 (s, 4H), 3.65 (s, 3H), 6.15 (s, 2H), 7.01 (d, J = 8.73 Hz, 1H), 7.20 (dd, 2H), 7.27 (s, H), 7.30-7.38 (m, 2H).
조제예 101
6-[2-[[(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5- 헥시노산 틸 에스테르
1,3-벤조-디옥솔-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1H NMR (DMSOd6, 300 MHz) δ = 1.76 (m, 2H), 2.37-2.45 (m, 4H), 3.61 (s, 3H), 6.14 (s, 2H), 7.0 (d, 1H), 7.38-7.71 (m, 5H), 9.68 (s, 1H).
조제예 102
6-[5- 클로로 -2-[[[4-(4- 모르폴리닐술포닐 ) 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 노산 메틸 에스테르
4-(4-모르폴리닐술포닐)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6%).
M.p. = 135-139℃.
조제예 103
6-[2-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5-헥시노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4%).
1H NMR (DMSOd6, 250 MHz) δ = 1.86 (q, 2H), 2.45-2.54 (m, 4H), 3.6 (s, 3H), 5.96 (s, NH2), 6.78 (d, 1H), 7.30 (dd, 1H), 7.36 (d, 1H).
조제예 104
5-[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4- 펜티 노산 메틸 에스테르
5-[2-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4-펜티노산의 메틸 에스테르(조제예 5)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97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1H NMR (DMSOd6, 500 MHz) δ = 2.53 (d, 2H), 2.55 (d, 2H), 3.65 (s, 3H), 6.80 (d, 1H), 7.54-7.66 (m, 3H), 7.90 (dd, J1H), 8.22 (d, 1H), 8.73 (d, 1H), 9.63 (s, 1H), 10.13 (s, 1H).
조제예 105
6-[2-[[(2- 메틸 -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5-헥 시노 메틸 에스테르
6-[2-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5-헥시노산의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03) 및 2-메틸-6-벤조옥사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9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4%).
1H NMR (DMSOd6, 300 MHz) δ = 1.65-1.75 (m, 2H), 2.33-2.43 (m, 4H), 2.65 (s, 3H), 3.60 (s, 3H), 7.49 (d, 1H), 7.62 (s, 1H), 7.63 (d, 1H), 7.74 (dd, 1H), 7.82 (d, 1H), 8.07 (s, 1H), 10.16 (s, 1H).
조제예 106
6-[2-[[(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 오로메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죽상의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6%).
1H NMR (DMSOd6, 300 MHz) δ = 1.74-1.83 (m, 2H), 2.16 (s, 3H), 2.43-2.48 (m, 4H), 3.15 (t, 2H), 3.61 (s, 3H), 4.13 (t, 2H), 7.44-7.47 (m, 1H), 7.58-7.61 (m, 4H), 8.07-8.10 (m, 1H), 9.86 (s, 1H).
조제예 107
6-[2-[[(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3-디하이드로-5-벤조퓨란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9%).
1H NMR (DMSOd6, 250 MHz) δ = 1.80 (t, 2H), 2.43-2.51 (m, 4H), 3.21 (t, 2H), 3.61 (s, 3H), 4.62 (t, 2H), 6.87 (d, 1H), 7.48 (d, 1H), 7.55 (dd, 1H), 7.60-7.67 (m, 3H), 9.77 (s, 1H).
조제예 108
6-[2-[[(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5-헥 시노 메틸 에스테르
2-메틸-5-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5에 유사 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7%).
1H NMR (DMSOd6, 250 MHz) δ = 1.61-1.73 (m, 2H), 2.32 (t, 2H), 2.38 (t, 2H), 2.83 (s, 3H), 3.60 (s, 3H), 7.52 (d, 1H), 7.60-7.66 (m, 3H), 7.72 (dd, 1H), 8.23 (d, 1H), 8.25 (s, 1H), 10.19 (s, 1H).
조제예 109
5-[2-[[(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닐]-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9%).
1H NMR (DMSOd6, 250 MHz) δ = 2.65 (m, 4H), 3.68 (s, 3H), 7.40 (d, 1H), 7.54-7.66 (m, 4H), 7.99 (s, 2H), 8.19 (d, 1H), 9.71 (s, 1H).
조제예 110
5-[2-[[(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4-펜 티노 메틸 에스테르
2-메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 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4%).
1H NMR (DMSOd6, 300 MHz) δ = 2.54 (m, 4H), 2.84 (s, 3H), 3.65 (s, 3H), 7.53 (m, 2H), 7.56 (m, 1H), 7.65 (dd, 1H), 7.83 (dd, 1H), 8.05 (dd, 1H), 8.57 (d, 1H), 10.05 (s, 1H).
조제예 111
5-[2-[[(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4-펜 티노 메틸 에스테르
2-메틸-5-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6%).
1H NMR (DMSOd6, 250 MHz) δ = 2.55 (m, 4H), 2.83 (s, 3H), 3.65 (s, 3H), 7.55 (m, 2H), 7.66 (dd, 1H), 7.72 (dd, 1H), 8.24 (d, 1H), 8.30 (d, 1H), 10.09 (s, 1H).
조제예 112
5-[2-[[(2- 메틸 -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4-펜 티노 메틸 에스테르
2-메틸-6-벤조옥사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 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1%).
1H NMR (DMSOd6, 250 MHz) δ = 2.56 (m, 4H), 2.66 (s, 3H), 3.65 (s, 3H), 7.55 (m, 2H), 7.62 (d, 1H), 7.75 (dd, 1H), 7.83 (dd, 1H), 8.12 (dd, 1H), 10.04 (s, 1H).
조제예 113
5-[2-[[(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4-펜 티노 메틸 에스테르
2-메틸-7-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2%).
1H NMR (DMSOd6, 250 MHz) δ = 2.40 (m, 4H), 2.78 (s, 3H), 3.64 (s, 3H), 7.68 (m, 3H), 8.17 (dd, 1H), 10.40 (s, 1H).
조제예 114
5-[2-[[(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 오로메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 율 = 32%).
1H NMR (DMSOd6, 300 MHz) δ = 2.63 (m, 4H), 3.16 (t, 2H), 3.66 (s, 3H), 4.13 (t, 2H), 7.50 (d, 1H), 7.62 (m, 4H), 8.10 (d, 1H), 9.74 (s, 1H).
조제예 115
5-[2-[[(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3-디하이드로-5-벤조퓨란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3%).
1H NMR (DMSOd6, 250 MHz) δ = 2.66 (m, 4H), 3.20 (t, 2H), 3.66 (s, 3H), 4.63 (t, 2H), 6.88 (d, 1H), 7.59 (m, 5H), 9.65 (s, 1H).
조제예 116
5-[2-[[[4-(4- 모르폴리닐술포닐 ) 페닐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4-(4-모르폴리닐술포닐)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6%).
1H NMR (DMSOd6, 250 MHz) δ = 2.60 (s, 4H), 2.88 (t, 4H), 3.60 (t, 4H), 3.65 (s, 3H), 7.53 (s, 1H), 7.58 (d, 1H), 7.92 (dd, 1H), 7.99 (dd, 2H), 10.37 (s, 1H).
조제예 117
N -(4- 클로로 -2- 요오도페닐 )-2- 피리딘술폰아미드
10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1 g (3.95 mM)의 4-클로로-2-요오도아닐린과 0.65 ml의 피리딘의 용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1.68 g (9.5 mM)의 2-피리딘술포닐 크로라이드가 0℃에서 교반하면서 부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되고 그런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여 오일은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8/2;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0.74 g의 기대 산물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8%).
M.p. = 112-124℃.
조제예 118
6-[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5- 헥시 노산 메틸 에스테르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9%).
1H NMR (DMSOd6, 250 MHz) δ = 1.62-1.73 (m, 2H), 2.32 (t, 2H), 2.39 (t, 2H), 3.60 (s, 3H), 7.51 (d, 1H), 7.61-7.65 (m, 2H), 7.89 (dd, 1H), 8.23 (d, 1H), 8.69 (s, 1H), 9.62 (s, 1H), 10.22 (s, 1H).
조제예 119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03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6%).
M.p. = 115℃.
조제예 120
N -(4- 클로로 -2- 요오도페닐 ) 벤젠술폰아미드
30 ml의 피리딘 내에 2 g (7.89 mM)의 4-클로로-2-요오도아닐린의 용액 이 준비되고 그리고 1.21 ml (9.5 mM)의 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가 0℃에서 교반하면서 부가되었다. 이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되고 그런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여 오일은 5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취해지고 그리 고 수득된 용액은 물로 수세되고 그런 다음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조 산물의 분석은 약 12%의 N-(4-클로로-2-요오도페닐)-N-(페닐술포닐)벤젠술폰아미드의 존재를 나타냈다. 따라서 조산물은 60 ml의 디옥산의 용액에 취해지고 8시간 동안 온화한 환류 하에서 19 ml의 3 M 수산화칼륨의 용액으로 처리되었다. 용매는 감압하에서 제거되고 잔사는 물로 취해져 묽은 염산 용액으로 pH 2로 산성화되었다. 형성된 침전물은 여과되고, 여지 상에서 물로 수세되고 건조되어, 2.79 g의 기대 산물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126-128℃.
조제예 121
N -[2- 요오도 -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벤젠술폰아미드
2-요오도-4-(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20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4%).
M.p. = 84-86℃.
조제예 122
2-[[3-(2-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 g (7.89 mM)의 4-클로로-2-요오도아닐린, 75 mg (0.395 mM)의 요오드화 구 리, 277 mg (0.39 mM)의 비스(트리페닐포스핀)디클로로팔라듐, 221 mg (0.79 mM)의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3.08 g (19.7 mM)의 2-메틸-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 메틸 에스테르 및 15 ml의 tert-부틸아민의 혼합물이 준비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16시간 동안 완만하게 환류되었고 그런 다음 냉각되고 60 ml의 물에서 가수 분해되고 그리고 3 x 4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되었다. 혼합된 유기 상은 물로 수세되고 그런 다음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여 오일은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98/2;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1.84 g의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1H NMR (DMSOd6, 250 MHz) δ = 1.41 (s, 6H), 3.66 (s, 3H), 4.40 (s, 2H), 5.22 (broad s, 2H), 6.69 (d, 1H), 7.07 (dd, 1H), 7.13 (d, 1H).
조제예 123
2-[[3-[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닐 ] 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17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 득되었다 (수율 = 53%).
1H NMR (DMSOd6, 300 MHz) δ = 1.63 (s, 6H), 3.67 (s, 3H), 4.14 (s, 2H), 7.30 (d, 1H), 7.38 (d, 1H), 7.41 (dd, 1H), 7.85 (dd, 1H), 8.23 (d, 1H), 8.62 (d, 1H), 9.61 (s, 1H), 10.05 (s, 1H).
조제예 124
2-[[3-[2-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요오도-5-(트리플루오로메틸)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2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1H NMR (DMSOd6, 300 MHz) δ = 1.42 (s, 6H), 3.65 (s, 3H), 4.41 (s, 2H), 6.08 (s, 2H), 6.79 (d, 1H), 7.34 (d, 1H), 7.39 (s, 1H).
조제예 125
2-[[3-[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프로피닐]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2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죽상의 형태로 수 득되었다 (수율 = 23%).
1H NMR (DMSOd6, 300 MHz) δ = 1.38 (s, 6H), 3.67 (s, 3H), 4.25 (s, 2H), 7.52 (d, 1H), 7.66 (d, 2H), 7.94 (dd, 1H), 8.24 (dd, 1H), 8.72 (d, 1H), 9.63 (s, 1H), 10.33 (s, 1H).
조제예 126
2-[[3-[2-[[(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 닐]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17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8%).
1H NMR (DMSOd6, 250 MHz) δ = 1.36 (s, 6H), 2.84 (s, 3H), 3.68 (s, 3H), 4.14 (s, 2H), 7.28 (d, 1H), 7.36 (d, 1H), 7.40 (dd, 1H), 7.78 (dd, 1H), 8.03 (d, 1H), 8.46 (d, 1H), 9.96 (s, 1H).
조제예 127
2-[[3-[2-[[(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 닐]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5-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17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5%).
1H NMR (DMSOd6, 300 MHz) δ = 1.36 (s, 6H), 2.83 (s, 3H), 3.67 (s, 3H), 4.11 (s, 2H), 7.30 (d, 1H), 7.36 (d, 1H), 7.41 (dd, 1H), 7.66 (dd, 1H), 8.18 (d, 1H), 8.21 (d, 1H), 10.01 (s, 1H).
조제예 128
2-[[3-(2-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 에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2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9%).
1H NMR (DMSOd6, 300 MHz) δ = 1.19 (t, 3H), 1.31 (d, 3H), 4.13 (q, 2H), 4.25 (q, 1H), 4.42 (d, 1H), 4.53 (d, 1H), 5.56 (s, 2H), 6.69 (d, 1H), 7.08 (dd, 1H), 7.14 (d, 1H).
조제예 129
2-[[3-[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닐 ] 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2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2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2%).
M.p. = 166-168℃.
조제예 130
6-[2-[[(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5-헥 시노 메틸 에스테르
1,3-벤조-디옥솔-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18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어, 추가적인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되었다 (수율 = 73%).
조제예 131
5-[2-[[[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 메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04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고, 추가적인 정제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되었다 (수율 = 66%).
조제예 132
2-[[3-[2-[[(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5-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6%).
1H NMR (DMSOd6, 300 MHz) δ = 10.30 (s, 1H), 8.27 (m, 2H), 7.76 (dd, 1H), 7.69 (m, 2H), 7.53 (d, 1H), 4.22 (s, 2H), 3.67 (s, 3H), 2.83 (s, 3H), 1.39 (s, 6H).
조제예 133
2-[[3-[2-[(1,3- 벤조디옥소 l-5- 일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프 로피 닐]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1,3-벤조디옥솔-5-술포닐 크로라이드로 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1%).
1H NMR (DMSOd6, 250 MHz) δ = 9.99 (s, 1H), 7.69 (m, 2H), 7.47 (d, 1H), 7.34 (m, 2H), 7.04 (d, 1H), 6.15 (s, 2H), 4.37 (s, 2H), 3.68 (s, 3H), 1.43 (s, 6H).
조제예 134
2-[[3-[2-[[[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 오로메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3%).
M.p. = 104-106℃.
조제예 135
2-[[3-[2-[(2,3- 디하이드로벤조퓨란 -5- 일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 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3-디하이드로-5-벤조퓨란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1H NMR (DMSOd6, 250 MHz) δ = 9.88 (s, 1H), 7.68 (m, 3H), 7.61 (m, 1H), 7.49 (dd, 1H), 6.88 (d, 1H), 4.63 (t, 2H), 4.38 (s, 2H), 3.68 (s, 3H), 3.22 (t, 2H), 1.43 (s, 6H).
조제예 136
2-[[3-[2-[[(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페닐]-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7-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4%).
1H NMR (DMSOd6, 250 MHz) δ = 10.57 (s, 1H), 8.15 (d, 1H), 7.75 (m, 1H), 7.64 (m, 3H), 7.46 (d, 1H), 4.06 (s, 2H), 3.68 (s, 3H), 2.79 (s, 3H), 1.37 (s, 6H).
조제예 137
2-[[3-[2-[[(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아미노]-5-( 트리 플루오로메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3-디하이드로-1,4-벤조다이옥신-6-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9%).
1H NMR (DMSOd6, 250 MHz) δ = 9.98 (s, 1H), 7.68 (m, 2H), 7.48 (d, 1H), 7.31 (m, 2H), 7.02 (d, 1H), 4.37 (s, 2H), 4.29 (m, 4H), 3.68 (s, 3H), 1.43 (s, 6H).
조제예 138
2-[[3-[2-[[(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아미노]-5-(트 리플루오로 메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조옥사진-7-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9%).
M.p. = 98-100℃.
조제예 139
2-[[3-[2-[[(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아미노]-5-( 트리 플루오로메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4%).
M.p. = 134-136℃.
조제예 140
2-[[3-[2-[[(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프로피닐]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3,5-디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M.p. = 128-130℃.
조제예 141
2-[[3-[2-[[(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프 로피 닐]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5-디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1H NMR (DMSOd6, 300 MHz) δ = 9.13 (s, 1H), 7.13 (s, 1H), 7.66 (d, 1H), 7.56 (d, 1H), 7.32 (d, 1H), 7.20 (dd, 1H), 7.15 (d, 1H), 4.42 (s, 2H), 3.76 (s, 3H), 3.74 (s, 3H), 3.68 (s, 3H), 1.42 (s, 6H).
조제예 142
2-[[3-[2-[[[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닐]-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4-(1-메틸에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7%).
1H NMR (DMSOd6, 250 MHz) δ = 10.08 (s, 1H), 8.23 (d, 1H), 8.03 (s, 1H), 7.92 (dd, 1H), 7.76 (d, 2H), 7.67 (m, 2H), 7.46 (m, 4H), 4.33 (s, 2H), 3.67 (s, 3H), 2.96 (hep, 1H), 1.42 (s, 6H), 1.19 (d, 6H).
조제예 143
2-[[3-[2-[(1,3- 벤조디옥소 l-5- 일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닐 ] -옥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1,3-벤조디옥솔-5-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5%).
1H NMR (DMSOd6, 250 MHz) δ = 9.71 (s, 1H), 7.39 (m, 2H), 7.23 (m, 3H), 7.02 (d, 1H), 6.15 (s, 2H), 4.30 (s, 2H), 3.67 (s, 3H), 1.42 (s, 6H).
조제예 144
2-[[3-[2-[[[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 닐]-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M.p. = 80℃.
조제예 145
2-[[3-[2-[[(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아미노]-5- 클로 로페닐]-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술 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4%).
1H NMR (DMSOd6, 300 MHz) δ = 9.68 (s, 1H), 8.08 (d, 1H), 7.54 (m, 2H), 7.38 (m, 2H), 7.27 (dd, 1H), 4.30 (s, 2H), 4.13 (t, 2H), 3.67 (s, 3H), 2.17 (s, 3H), 1.41 (s, 6H).
조제예 146
2-[[3-[5- 클로로 -2-[(2,3- 디하이드로벤조퓨란 -5- 일술포닐 )아미노] 페닐 ]-2- 로피닐]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3-디하이드로-5-벤조퓨란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9%).
1H NMR (DMSOd6, 300 MHz) δ = 9.59 (s, 1H), 7.61 (d, 1H), 7.48 (dd, 1H), 7.39 (m, 2H), 7.27 (d, 1H), 6.85 (d, 1H), 4.62 (t, 2H), 4.28 (s, 2H), 3.64 (s, 3H), 3.21 (t, 2H), 1.42 (s, 6H).
조제예 147
2-[[3-[5- 클로로 -2-[[(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 닐]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7-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3%).
1H NMR (DMSOd6, 300 MHz) δ = 10.30 (s, 1H), 8.14 (dd, 1H), 7.64 (m, 2H), 7.41 (dd, 1H), 7.32 (d, 1H), 7.26 (d, 1H), 3.91 (s, 2H), 3.67 (s, 3H), 2.79 (s, 3H), 1.34 (s, 6H).
조제예 148
2-[[3-[5- 클로로 -2-[[(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3-디하이드로-1,4-벤조다이옥신-6-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1H NMR (DMSOd6, 250 MHz) δ = 9.70 (s, 1H), 7.40 (m, 2H), 7.24 (m, 3H), 6.97 (d, 1H), 4.28 (m, 6H), 3.67 (s, 3H), 1.41 (s, 6H).
조제예 149
2-[[3-[5- 클로로 -2-[[(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 닐]-아미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조옥사진-7-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9%).
M.p. = 98-100℃.
조제예 150
2-[[3-[5- 클로로 -2-[[[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닐 ]옥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4-(1-메틸에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M.p. = 65-67℃.
조제예 151
2-[[3-[5- 클로로 -2-[[(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닐 ]- 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3,5-디메틸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2%).
M.p. = 78-80℃.
조제예 152
2-[[3-[5- 클로로 -2-[[(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닐 ]-옥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5-디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1H NMR (DMSOd6, 250 MHz) δ = 8.93 (s, 1H), 7.43 (d, 1H), 7.35 (m, 2H), 7.25 (d, 1H), 7.17 (m, 2H), 4.36 (s, 2H), 3.77 (s, 3H), 3.73 (s, 3H), 3.68 (s, 3H), 1.41 (s, 6H).
조제예 153
2-[[3-[5- 클로로 -2-[[(4- 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 -2-메 틸프로피온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4-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M.p. = 98-100℃.
조제예 154
2-[[3-[5- 클로로 -2-[[(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 닐]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2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9%).
1H NMR (DMSOd6, 300 MHz) δ = 10.04 (s, 1H), 8.45 (d, 1H), 8.03 (d, 1H), 7.78 (dd, 1H), 7.41 (m, 2H), 7.27 (dd, 1H), 4.34 (d, 1H), 4.16 (m, 4H), 2.83 (s, 3H), 1.29 (d, 3H), 1.19 (t, 3H).
조제예 155
2-[[3-[5- 클로로 -2-[[(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아미 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2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3-디하이드로-1,4-벤조다이옥신-6-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5%).
1H NMR (DMSOd6, 300 MHz) δ = 9.78 (s, 1H), 7.43 (dd, 2H), 7.25 (d, 1H), 7.19 (m, 2H), 6.97 (d, 1H), 4.45 (d, 1H), 4.29 (m, 6H), 4.14 (m, 2H), 1.33 (d, 3H), 1.21 (t, 3H).
조제예 156
2-[[3-[5- 클로로 -2-[[(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 닐]-아미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2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조옥사진-7-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3%).
1H NMR (DMSOd6, 300 MHz) δ = 9.57 (s, 1H), 7.41 (m, 2H), 7.26 (d, 1H), 6.93 (m, 2H), 6.74 (d, 1H), 4.45 (d, 1H), 4.26 (m, 4H), 4.15 (m, 2H), 3.26 (m, 2H), 2.79 (s, 3H), 1.32 (d, 3H), 1.21 (t, 3H).
조제예 157
2-[[3-[5- 클로로 -2-[[(3,5-디메틸-4- 이소옥사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로피닐]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2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3,5-디메틸-4-이소옥사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0%).
1H NMR (DMSOd6, 300 MHz) δ = 10.29 (s, 1H), 7.52 (m, 2H), 7.37 (d, 1H), 4.43 (d, 1H), 4.26 (m, 2H), 4.15 (m, 2H), 2.27 (s, 3H), 2.16 (s, 3H), 1.32 (d, 3H), 1.22 (t, 3H).
조제예 158
2-[[3-[5- 클로로 -2-[[(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닐 ]-옥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2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5-디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2%).
1H NMR (DMSOd6, 300 MHz) δ = 9.11 (s, 1H), 7.46 (d, 1H), 7.37 (d, 1H), 7.29 (m, 1H), 7.24 (m, 1H), 7.16 (m, 2H), 4.49 (d, 1H), 4.36 (d, 1H), 4.24 (q, 1H), 4.16 (m, 2H), 3.75 (s, 3H), 3.72 (s, 3H), 1.31 (d, 3H), 1.21 (t, 3H).
조제예 159
2-[[3-[2-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 에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2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2%).
1H NMR (DMSOd6, 300 MHz) δ = 7.42 (d, 1H), 7.35 (dd, 1H), 6.80 (d, 1H), 6.11 (s, 2H), 4.54 (d, 1H), 4.43 (d, 1H), 4.27 (q, 1H), 4.11 (m, 2H), 1.32 (d, 3H), 1.20 (t, 3H).
조제예 160
2-[[3-[2-[[(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5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4%).
1H NMR (DMSOd6, 300 MHz) δ = 10.33 (s, 1H), 8.55 (d, 1H), 8.06 (d, 1H), 7.87 (dd, 1H), 6.68 (m, 2H), 7.50 (d, 1H), 4.43 (d, 1H), 4.26 (m, 2H), 4.15 (m, 2H), 2.84 (s, 3H), 1.31 (d, 3H), 1.20 (t, 3H).
조제예 161
2-[[3-[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프로피닐]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5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옅은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8%).
M.p. = 112-114℃.
조제예 162
2-[[3-[2-[[(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아미노]-5-( 트리 플루오로메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5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3-디하이드로-1,4-벤조다이옥신-6-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8%).
1H NMR (DMSOd6, 300 MHz) δ = 10.07 (s, 1H), 7.70 (m, 2H), 7.48 (d, 1H), 7.29 (m, 2H), 7.00 (d, 1H), 4.51 (d, 1H), 4.38 (d, 1H), 4.31 (m, 5H), 4.16 (m, 2H), 1.34 (d, 3H), 1.20 (t, 3H).
조제예 163
2-[[3-[2-[[(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아미노]-5-(트 리플루오로 메틸) 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5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조옥사진-7-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7%).
1H NMR (DMSOd6, 300 MHz) δ = 9.88 (s, 1H), 7.69 (m, 2H), 7.49 (d, 1H), 7.02 (m, 2H), 7.78 (d, 1H), 4.51 (d, 1H), 4.37 (d, 1H), 4.28 (m, 3H), 4.15 (m, 2H), 3.27 (m, 2H), 2.80 (s, 3H), 1.33 (d, 3H), 1.20 (t, 3H).
조제예 164
2-[[3-[2-[[(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2-프 로피 닐]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5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5-디메톡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5%).
1H NMR (DMSOd6, 250 MHz) δ = 9.29 (s, 1H), 7.74 (s, 1H), 7.67 (d, 1H), 7.56 (d, 1H), 7.31 (d, 1H), 7.18 (m, 2H), 4.55 (d, 1H), 4.41 (d, 1H), 4.25 (q, 1H), 4.13 (m, 2H), 3.74 (s, 6H), 1.32 (d, 3H), 1.20 (t, 3H).
조제예 165
(2S)-2-[[3-[2-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a)- (2S)-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 에틸 에스테르: 이 화합물은 프로파길 브로마이드를 미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내에서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한 (S)-(-)-락산의 에틸 에스테르와 반응함에 의해, 24%의 수율로 얻어진다 (13 hPa에서 b.p. = 70-73℃).
b)- 조제예 12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2S)-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에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1H NMR (DMSOd6, 300 MHz) δ = 7.14 (d, 1H), 7.08 (dd, 1H), 6.69 (d, 1H), 5.56 (s, 2H), 4.53 (d, 1H), 4.42 (d, 1H), 4.25 (q, 1H), 4.13 (m, 2H), 1.30 (d, 3H), 1.21 (t, 3H).
조제예 166
(2S)-2-[[3-[5- 클로로 -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 닐]- 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조제예 16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3%).
1H NMR (DMSOd6, 300 MHz) δ = 10.11 (s, 1H), 9.61 (s, 1H), 8.60 (d, 1H), 8.22 (d, 1H), 7.84 (dd, 1H), 7.40 (m, 2H), 7.30 (d, 1H), 4.32 (d, 1H), 4.15 (m, 4H), 1.28 (d, 3H), 1.21 (t, 3H).
조제예 167
(2R)-2-[[3-[2-아미노-5- 클로로페닐 ]-2- 프로피닐 ] 옥시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a)- (2R)-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 메틸 에스테르: 이 화합물은 프로파길 브로마이드를 미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내에서 수산화나트륨으로 처리한 (R)-(+)-락산의 메틸 에스테르와 반응함에 의해, 9.5%의 수율로 얻어진다 (대기압에서 b.p. = 81-88℃).
b)- 조제예 12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2R)-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1H NMR (DMSOd6, 300 MHz) δ = 7.14 (d, 1H), 7.08 (dd, 1H), 6.69 (d, 1H), 5.57 (s, 2H), 4.53 (d, 1H), 4.41 (d, 1H), 4.25 (q, 1H), 3.66 (s, 3H), 1.31 (d, 3H).
조제예 168
(2R)-2-[[3-[5- 클로로 -2-[[(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2- 프로피 닐]- 옥시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6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5%).
M.p. = 136℃.
조제예 169
6-[5- 클로로 -2-[[(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7-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1H NMR (DMSOd6, 300 MHz) δ = 10.21 (s, 1H), 8.13 (m, 1H), 7.60 (m, 2H), 7.38 (dd, 1H), 7.28 (m, 2H), 3.61 (s, 3H), 2.78 (s, 3H), 2.33 (t, 2H), 2.04 (t, 2H), 1.55 (quin, 2H).
조제예 170
6-[2-[[(1-아세틸-1 H -인돌-5-일)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1-아세틸-1H-인돌-5-술포닐 크로라이드로 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갈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9%).
1H NMR (DMSOd6, 300 MHz) δ = 9.72 (s, 1H), 8.42 (d, 1H), 8.00 (d, 1H), 7.99 (d, 1H), 7.62 (dd, 1H), 7.33 (m, 3H), 6.87 (d, 1H), 3.59 (s, 3H), 2.67 (s, 3H), 2.35 (t, 2H), 2.27 (y, 2H), 1.64 (quin, 2H).
조제예 171
5-[5- 클로로 -2-[[(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7-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정형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5%).
1H NMR (DMSOd6, 300 MHz) δ = 10.15 (s, 1H), 8.15 (m, 1H), 7.60 (m, 2H), 7.40 (dd, 1H), 7.31 (d, 1H), 7.23 (d, 1H), 3.63 (s, 3H), 2.79 (s, 3H), 2.37 (m, 2H), 2.25 (m, 2H).
조제예 172
5-[2-[[(2-아미노-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아미노-6-벤조옥사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
M.p. = 170-171℃.
조제예 173
5-[5- 클로로 -2-[[(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4- 펜티 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3-디하이드로-5-벤조퓨란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무정형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1H NMR (DMSOd6, 300 MHz) δ = 9.39 (s, 1H), 7.60 (d, 1H), 7.44 (dd, 1H), 7.31 (m, 3H), 6.85 (d, 1H), 4.62 (t, 2H), 3.65 (s, 3H), 3.21 (t, 2H), 2.60 (m, 4H).
조제예 174
5-[2-[[(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아미노]-5- 클로로페닐 ]-4- 펜티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M.p. = 175℃.
조제예 175
N -(2- 브로모 -4- 메틸페닐 )-6- 벤조티아졸술폰아미드
2-브로모-4-메틸-아닐린 및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M.p. = 171-174℃.
조제예 176
N -(2- 브로모 -4- 메틸페닐 ) 벤젠술폰아미드
2-브로모-4-메틸아닐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20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1H NMR (DMSOd6, 250 MHz) δ = 9.75 (s, 1H), 7.69 (m, 3H), 7.63 (m, 2H), 7.40 (s, 1H), 7.09 (d, 1H), 7.02 (d, 1H), 2.23 (s, 3H).
조제예 177
N -(4- 클로로 -2- 요오도페닐 )-6- 벤조티아졸술폰아미드
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비응축된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THF 내에서 반응으로 테트라부틸암모니움 플루오라이드를 사용하여, 조제예 120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1%).
M.p. = 162℃.
조제예 178
6-[5- 클로로 -2-[[(4- 플루오로 -3- 니트로페닐 ) 술포닐 ]아미노] 페닐 ]-5- 헥시노산 메틸 에스테르
4-플루오로-3-니트로벤젠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염기성 제제로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조제예 5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1H NMR (DMSOd6, 300 MHz) δ = 10.31 (s, 1H), 8.38 (dd, 1H), 8.00 (m, 1H), 7.81 (dd, 1H), 7.41 (s, 1H), 7.38 (m, 1H), 7.23 (m, 1H), 3.60 (s, 3H), 2.41 (t, 2H), 2.34 (t, 2H), 1.68 (quin, 2H).
실시예 9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5%).
M.p. = 95-99℃.
실시예 10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180-185℃.
실시예 11
5- 클로로 -1-[(4- 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100-103℃.
실시예 12
5- 클로로 -1-[(4- 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M.p. = 165-168℃.
실시예 13
5- 클로로 -1-[(2,3-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1H NMR (DMSOd6, 300 MHz) δ = 2.77 (t, 2H), 3.15 (t, 2H), 3.59 (s, 3H), 6.65 (s, 1H), 7.26 (dd, 1H), 7.67 (m, 3H), 7.84 (dd, 1H), 8.04 (dd, 1H).
실시예 14
5- 클로로 -1-[(2,3-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M.p. = 163-166℃.
실시예 15
5- 클로로 -1-[(3- 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8%).
M.p. = 105-108℃.
실시예 16
5- 클로로 -1-[(3- 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161-165℃.
실시예 17
5- 클로로 -1-[(2,4-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1H NMR (DMSOd6, 300 MHz) δ = 2.76 (t, 2H), 3.15 (t, 2H), 3.59 (s, 3H), 6.63 (s, 1H), 7.26 (dd, 1H), 7.71 (m, 3H), 7.94 (m, 2H).
실시예 18
5- 클로로 -1-[(2,4-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M.p. = 179-181℃.
실시예 19
5- 클로로 -1-[[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2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82-86℃.
실시예 20
5- 클로로 -1-[[4-(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8%).
M.p. = 179-182℃.
실시예 21
5- 클로로 -1-[(4-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8%).
M.p. = 98-99℃.
실시예 22
5- 클로로 -1-[(4-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M.p. = 95-98℃.
실시예 23
1-[(4- 아세틸페닐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M.p. = 83-87℃.
실시예 24
1-[(4- 아세틸페닐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M.p. = 159-161℃.
실시예 25
5- 클로로 -1-[(4- 페닐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8%).
1H NMR (DMSOd6, 250 MHz) δ = 2.84 (t, 2H), 3.37 (t, 2H), 3.62 (s, 3H), 6.62 (s, 1H), 7.34 (dd, 1H), 7.47 (m, 3H), 7.61 (s, 1H), 7.68 (dd, 2H), 7.88 (d, 4H), 8.07 (d, 1H).
실시예 26
5- 클로로 -1-[(4- 페닐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8%).
M.p. = 160-162℃.
실시예 27
5- 클로로 -1-[(3-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3%).
M.p. = 106-109℃.
실시예 28
5- 클로로 -1-[(3-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2%).
M.p. = 182-184℃.
실시예 29
5- 클로로 -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M.p. = 120-124℃.
실시예 30
5- 클로로 -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M.p. = 185-189℃.
실시예 31
5- 클로로 -1-[[4-(1,1-디메틸에틸)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M.p. = 130-133℃.
실시예 32
5- 클로로 -1-[[4-(1,1-디메틸에틸)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69-171℃.
실시예 33
5- 클로로 -1-[(4- 에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1H NMR (DMSOd6, 300 MHz) δ = 1.12 (t, J = 7.56 Hz, 3H), 2.63 (q, 2H), 2.81 (t, J = 7.62 Hz, 2H), 3.28 (t, J = 4.08 Hz, 2H), 3.61 (s, 3H), 6.57 (s, 1H), 7.31 (dd, J = 8.9 Hz, 2.22 Hz, 1H), 7.45 (d, J = 12.8 Hz, 2H), 7.59 (s, 1H), 7.74 (d, J = 12.78 Hz, 2H), 8.02 (d, J = 8.91, 1H).
실시예 34
5- 클로로 -1-[(4- 에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M.p. = 130-133℃.
실시예 35
5- 클로로 -1-[[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8%).
M.p. = 90-94℃.
실시예 36
5- 클로로 -1-[[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M.p. = 150-154℃.
실시예 37
5- 클로로 -1-[(4- 프로필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3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M.p. = 85-88℃.
실시예 38
5- 클로로 -1-[(4- 프로필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144-148℃.
실시예 39
5- 클로로 -1-[(4- 펜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1H NMR (DMSOd6, 300 MHz) δ = 0.81 (t, 3H), 1.22 (m, 4H), 1.50 (m, 2H), 2.58 (t, 2H), 2.81 (t, 2H), 3.28 (t, 2H), 3.61 (s, 3H), 6.58 (s, 1H), 7.31 (dd, 1H), 7.39 (d, 2H), 7.59 (d, 1H), 7.72 (d, 2H), 8.02 (d, 1H).
실시예 40
5- 클로로 -1-[(4- 펜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9%).
M.p. = 131-134℃.
실시예 41
5- 클로로 -1-[(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146-150℃.
실시예 42
5- 클로로 -1-[(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4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M.p. = 189-193℃.
실시예 43
5- 클로로 -1-[(2,4,6- 트리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5%).
M.p. = 145-148℃.
실시예 44
5- 클로로 -1-[(2,4,6- 트리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4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M.p. = 132-134℃.
실시예 45
5- 클로로 -1-[(4- 클로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89-92℃.
실시예 46
5- 클로로 -1-[(4- 클로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4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158-160℃.
실시예 47
5- 클로로 -1-[(4- 플루오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9%).
M.p. = 129-131℃.
실시예 48
5- 클로로 -1-[(4- 플루오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4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8%).
M.p. = 145-148℃.
실시예 49
5- 클로로 -1-[(4- 클로로 -3- 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9%).
1H NMR (DMSOd6, 300 MHz) δ = 2.35 (s, 3H), 2.82 (t, 2H), 3.27 (t, 2H), 3.60 (s, 3H), 6.61 (s, 1H), 7.31 (dd, 1H), 7.62 (m, 3H), 7.90 (s, 1H), 8.00 (d, J = 9.48, 1H).
실시예 50
5- 클로로 -1-[(4- 클로로 -3- 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4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160-164℃.
실시예 51
5- 클로로 -1-[[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9%).
M.p. = 98-100℃.
실시예 52
5- 클로로 -1-[[3-( 트리플루오로메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5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203-206℃.
실시예 53
1-[[4-( 아세틸아미노 ) 페닐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M.p. = 154-157℃.
실시예 54
5- 클로로 -1-[(4- 시아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2%).
M.p. = 155-159℃.
실시예 55
5- 클로로 -1-[(4- 펜옥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4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1H NMR (DMSOd6, 300 MHz) δ = 2.81 (t, 2H), 3.27 (t, 2H), 3.61 (s, 3H), 6.59 (s, 1H), 7.02-7.13 (m, 4H), 7.30 (m, 2H), 7.45 (m, 2H), 7.60 (s, 1H), 7.83 (d, 2H), 8.01 (d, 1H).
실시예 56
5- 클로로 -1-[(4- 펜옥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5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M.p. = 70-75℃.
실시예 57
5- 클로로 -1-[(1-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M.p. = 88-93℃.
실시예 58
5- 클로로 -1-[(1-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5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65-175℃.
실시예 59
5- 클로로 -1-[(2-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1H NMR (DMSOd6, 300 MHz) δ = 2.84 (t, 2H), 3.35 (t, 2H), 3.60 (s, 3H), 6.59 (s, 1H), 7.31 (dd, 1H), 7.57 (s, 1H), 7.69 (m, 3H), 7.99-8.2 (m, 4H), 8.72 (s, 1H).
실시예 60
5- 클로로 -1-[(2-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5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8%).
M.p. = 160℃.
실시예 61
5- 클로로 -1-[(4- 메틸 -1-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1H NMR (DMSOd6, 300 MHz) δ = 2.72 (t, 5H), 3.14 (t, 2H), 3.57 (s, 3H), 6.64 (s, 1H), 7.30 (dd, 1H), 7.53 (m, 2H), 7.69 (m, 3H), 7.92 (d, 1H), 8.21 (m, 1H), 8.37 (m, 1H).
실시예 62
5- 클로로 -1-[(4- 메틸 -1-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6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190-196℃.
실시예 63
5- 클로로 -1-[[5-( 아미노아세틸 )-1-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6%).
M.p. = 206-210℃.
실시예 64
5- 클로로 -1-[[5-( 아미노아세틸 )-1-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6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M.p. = 130-135℃.
실시예 65
5- 클로로 -1-[(8- 퀴놀리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8%).
M.p. = 157-161℃.
실시예 66
5- 클로로 -1-[(8- 퀴놀리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6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M.p. = 215-222℃.
실시예 67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109-112℃.
실시예 68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6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옅은 핑크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198-202℃.
실시예 69
5- 클로로 -1-[(2,3-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핑크색 분말(수율 = 72%).
M.p. = 115-117℃.
실시예 70
5- 클로로 -1-[(2,3- 디클로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6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M.p. = 195-197℃.
실시예 71
5- 클로로 -1-[(4-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97-98℃.
실시예 72
5- 클로로 -1-[(4-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7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핑크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M.p. = 138-142℃.
실시예 73
5- 클로로 -1-[(8- 퀴놀리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핑크색 분말(수율 = 93%).
M.p. = 120-124℃.
실시예 74
5- 클로로 -1-[(8- 퀴놀리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7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4%).
M.p. = 217-219℃.
실시예 75
5- 클로로 -1-[[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5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핑크색 분말(수율 = 81%).
M.p. = 95-97℃.
실시예 76
5- 클로로 -1-[[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7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148℃.
실시예 77
5- 클로로 -1-[(2-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M.p. = 116-118℃.
실시예 78
5- 클로로 -1-[(2-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7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166℃.
실시예 79
5- 클로로 -1-[(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140-143℃.
실시예 80
5- 클로로 -1-[(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7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1%).
M.p. = 204-206℃.
실시예 81
5- 클로로 -1-[(3-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M.p. = 107-109℃.
실시예 82
5- 클로로 -1-[(3-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8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9%).
M.p. = 170-172℃.
실시예 83
5- 클로로 -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152-154℃.
실시예 84
5- 클로로 -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8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201-209℃.
실시예 85
5- 클로로 -1-[(1-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크림색상의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4%).
M.p. = 94-97℃.
실시예 86
5- 클로로 -1-[(1- 나프탈레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8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206-210℃.
실시예 87
5- 플루오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결정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8%).
M.p. = 79-80℃.
실시예 88
5,6- 디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3%).
M.p. = 280℃.
실시예 89
5,6- 디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8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미세한 핑크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1%).
M.p. = 192-198℃.
실시예 90
4,5- 디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8%).
M.p. = 142℃.
실시예 91
4,5- 디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9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2%).
M.p. = 220℃.
실시예 92
1-( 페닐술포닐 )-6-(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결정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8%).
M.p. = 112-114℃.
실시예 93
1-( 페닐술포닐 )-6-(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9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결정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2%).
M.p. = 168-169℃.
실시예 94
5-아세틸-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1%).
M.p. = 122-127℃.
실시예 95
5-아세틸-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9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M.p. = 175-181℃.
실시예 96
6- 클로로 -5- 플루오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7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1%).
M.p. = 127-130℃.
실시예 97
6- 클로로 -5- 플루오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9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199-204℃.
실시예 98
5,7- 디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7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4%).
1H NMR (DMSOd6, 250 MHz) δ = 2.77 (t, 2H), 3.24 (t, 2H), 3.61 (s, 3H), 6.73 (s, 1H), 7.40 (d, 1H), 7.55-7.65 (m, 3H), 7.65-7.8 (m, 3H).
실시예 99
5,7- 디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9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3%).
1H NMR (DMSOd6, 250 MHz) δ = 2.63 (t, 2H), 3.19 (t, 2H), 6.71 (s, 1H), 7.40 (d, 1H), 7.55-7.85 (m, 6H).
실시예 100
5- 시아노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7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2%).
1H NMR (DMSOd6, 250 MHz) δ = 2.84 (t, 2H), 3.31 (t, 2H), 3.61 (s, 3H), 6.72 (s, 1H), 7.55-7.9 (m, 6H), 8.07 (d, 1H), 8.20 (d, 1H).
실시예 101
5- 시아노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0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7%).
M.p. = 187-190℃.
실시예 102
5- 벤조일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7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3%).
M.p. = 37-51℃.
실시예 103
5- 벤조일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0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M.p. = 138℃.
실시예 104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 펜타노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7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5%).
M.p. = 95-98℃.
실시예 105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 펜타노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0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9%).
M.p. = 144-148℃.
실시예 106
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톡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요오도-4-(트리플루오로메톡시)-1-니트로벤젠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1, 2 및 3 및 실시예 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최종 단계의 수율 = 64%).
1H NMR (DMSOd6, 300 MHz) δ = 2.82 (t, 2H), 3.30 (t, 2H), 3.62 (s, 3H), 6.66 (s, 1H), 7.28 (ddd, 1H), 7.53-7.57 (m, 1H), 7.57-7.64 (m, 1H), 7.68-7.75 (m, 1H), 7.83-7.88 (m, 1H), 8.11 (d, J = 9.1 Hz, 1H).
실시예 107
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톡시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0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38-146℃.
실시예 108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1- 메틸에틸 에스테르
130 mg (0.34 mM)의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메틸 에스테르, 3 ml의 이소프로판올 (1-메틸에탄올) 및 8.6 mg (0.34 mM)의 디부틸틴 옥사이드의 혼합물이 40시간 동안 환류되었다. 이 반응 배지는 그런 다음 감압하에서 농축되었고 잔여 오일은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취해졌다. 얻어진 유기 상은 소디움 비카보네이트 용액으로 그런 다음 물로 수세되고 최종적으로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얻어진 산물은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9/1;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96 mg의 기대된 에스테르가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9%).
1H NMR (DMSOd6, 300 MHz) δ = 1.14 (d, 6H), 2.75 (t, 2H), 3.26 (t, 2H), 4.89 (m, 1H), 6.57 (s, 1H), 7.31 (dd, 1H), 7.58 (m, 3H), 7.69 (d, 1H), 7.82 (d, 2H), 8.02 (d, 1H).
실시예 109
5- 클로로 -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1 H -인 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7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139-140℃.
실시예 110
5- 클로로 -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0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164-166℃.
실시예 111
5- 클로로 -1-[[1,2,3,4- 테트라하이드로 -2-( 트리플루오로아세틸 )-7- 이소퀴놀리 닐]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7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핑크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111-114℃.
실시예 112
5- 클로로 -1-[[1,2,3,4- 테트라하이드로 -7- 이소퀴놀리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1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4%).
M.p. = 176-182℃.
실시예 113
5- 클로로 -1-[[1,2,3,4- 테트라하이드로 -7- 이소퀴놀리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1.6 당량의 수산화리튬을 사용하고 그리고 실시예 11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3%).
M.p. > 250℃.
실시예 114
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1 H -인돌-2-부 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7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핑크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M.p. = 101-104℃.
실시예 115
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1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131-134℃.
실시예 116
5- 클로로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7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1%).
M.p. = 121-123℃.
실시예 117
5- 클로로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1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옅은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M.p. = 74-80℃.
실시예 118
5- 클로로 -1-[[6-(4- 모르폴리닐 )-3- 피리디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7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130-132℃.
실시예 119
5- 클로로 -1-[[6-(4- 모르폴리닐 )-3- 피리디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1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78-82℃.
실시예 120
5- 클로로 -1-[(3,5-디메틸-4- 이소옥사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1%).
M.p. = 96-98℃.
실시예 121
5- 클로로 -1-[(3,5-디메틸-4- 이소옥사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2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50-154℃.
실시예 122
5- 클로로 -1-[(1,3,5- 트리메틸 -1 H - 피라졸 -4-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3%).
M.p. = 125-127℃.
실시예 123
5- 클로로 -1-[(1,3,5- 트리메틸 -1 H - 피라졸 -4-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핑크계통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42-145℃.
실시예 124
5- 클로로 -1-[(1- 메틸 -1 H - 이미다졸 -4-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2%).
M.p. = 163-165℃.
실시예 125
5- 클로로 -1-[(1- 메틸 -1 H - 이미다졸 -4-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M.p. = 222-225℃.
실시예 126
5- 클로로 -1-[(2,1,3- 벤조티아디아졸 -4-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123-126℃.
실시예 127
5- 클로로 -1-[(2,1,3- 벤조티아디아졸 -4-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2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실시예 128
5- 클로로 -1-[(2,1,3- 벤조티아디아졸 -5-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M.p. = 103-106℃.
실시예 129
5- 클로로 -1-[(2,1,3- 벤조티아디아졸 -5-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2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갈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172-175℃.
실시예 130
5- 클로로 -1-[(3,4- 디하이드로 -2,2-디메틸-2 H -1- 벤조피란 -6-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핑크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126-129℃.
실시예 131
5- 클로로 -1-[(3,4- 디하이드로 -2,2-디메틸-2 H -1- 벤조피란 -6-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3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M.p. = 166-169℃.
실시예 132
5- 클로로 -1-[(5,6,7,8- 테트라하이드로 -5,5,8,8- 테트라메틸 -2- 나프탈레닐 ) 포닐]-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1H NMR (DMSOd6, 300 MHz) δ = 1.12 (s, 6H), 1.17 (s, 6H), 1.58 (s, 4H), 1.90-2.00 (m, 2H), 2.41 (t, 2H), 3.00 (t, 2H), 3.58 (s, 3H), 6.61 (s, 1H), 7.33 (dd, 1H), 7.46-7.62 (m, 4H), 8.09 (d, 1H).
실시예 133
5- 클로로 -1-[(5,6,7,8- 테트라하이드로 -5,5,8,8- 테트라메틸 -2- 나프탈레닐 ) 포닐]-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3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64-66℃.
실시예 134
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2%).
M.p. = 162-165℃.
실시예 135
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3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115-117℃.
실시예 136
5- 클로로 -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 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4%).
M.p. = 151-153℃.
실시예 137
5- 클로로 -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3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M.p. = 163-165℃.
실시예 138
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8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3%).
M.p. = 120℃.
실시예 139
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3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M.p. > 250℃.
실시예 140
5- 클로로 -1-[(2- 메틸 -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M.p. = 100-110℃.
실시예 141
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M.p. = 132-137℃.
실시예 142
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4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74-179℃.
실시예 143
5- 클로로 -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7%).
M.p. = 136-138℃.
실시예 144
5- 클로로 -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4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64℃.
실시예 145
1-[(2-아미노-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6%).
M.p. = 238℃.
실시예 146
1-[(2-아미노-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4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M.p. = 220℃.
실시예 147
1-[[2-( 아세틸아미노 )-4- 메틸 -5- 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6%).
M.p. = 156-160℃.
실시예 148
1-[[2-( 아세틸아미노 )-4- 메틸 -5- 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4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4%).
M.p. = 231-233℃.
실시예 149
5- 클로로 -1-[(1,2,3,4- 테트라하이드로 -2-옥소-6- 퀴놀리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9%).
M.p. = 198-205℃.
실시예 150
1-[(2-아세틸-1,2,3,4- 테트라하이드로 -7- 이소퀴놀리닐 ) 술포닐 ]-5- 클로로 -1 H -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 ml의 디클로로메탄 내에 1.25 g (2.8 mM)의 실시예 11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의 용액이 준비되고, 0.860 ml (6.17 mM)의 트리에틸아민이 부가되고 0.2 ml의 아세틸 크로라이드가 점적 부가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고 그런 다음 15 ml의 냉수에 부어졌다. 혼합물 따루어지고 수상은 2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되고 그리고 혼합된 유기 상은 물로 수세되고 그런 다음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여 오일은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9/1;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었다. 0.93 g의 기대 화합물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7%).
M.p. = 50-52℃.
실시예 151
1-[(2-아세틸-1,2,3,4- 테트라하이드로 -7- 이소퀴놀리닐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5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95-97℃.
실시예 152
5- 클로로 -1-[(2- 피리디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6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내에 350 mg (0.89 mM)의 N-(4-클로로-2-요오도페닐)-2-피리딘-술폰아미드 (조제예 117)의 용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10 ml의 디에틸아민, 8 mg (0.042 mM)의 요오드화 구리, 16 mg (0.02 mM)의 비스(트리페닐포스핀)디클로로팔라듐 및, 마지막으로, 134 mg (1.06 mM)의 5-헥시노산의 메틸 에스테르가 부가되었다. 혼합물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고 그런 다음 실온에서 밤 세워 교반되었다. 20 ml의 물에서 가수 분해 후, 혼합물은 4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되었다. 얻어진 유기상은 N 염산 용액으로 그런 다음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수세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유상의 잔사는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80/20;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0.23 g의 기대 화합물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4%).
M.p. = 94℃.
실시예 153
5- 클로로 -1-[(2- 피리디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5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192℃.
실시예 154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3%).
M.p. = 134-138℃.
실시예 155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5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M.p. = 96-100℃.
실시예 156
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0%).
M.p. = 217-221℃.
실시예 157
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5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M.p. > 250℃.
실시예 158
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 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129℃.
실시예 159
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5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220-223℃.
실시예 160
1-[(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122-129℃.
실시예 161
1-[(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6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207℃.
실시예 162
1-[(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98-103℃.
실시예 163
1-[(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6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M.p. = 154-156℃.
실시예 164
5- 클로로 -1-[[4-(4- 모르폴리닐술포닐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54℃.
실시예 165
5- 클로로 -1-[[4-(4- 모르폴리닐술포닐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6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M.p. = 181℃.
실시예 166
5- 클로로 -1-[(2- 피리디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4-펜티노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52에 유사한 절차에 따 라, 기대 산물이 오렌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2%).
M.p. = 121℃.
실시예 167
5- 클로로 -1-[(2- 피리디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6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189℃.
실시예 168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1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9%).
M.p. = 117-121℃.
실시예 169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6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175-181℃.
실시예 170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4%).
M.p. = 130-132℃.
실시예 171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7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실시예 172
1-[(2- 메틸 -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78-82℃.
실시예 173
1-[(2- 메틸 -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7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1%).
M.p. = 214-220℃.
실시예 174
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a 베이지색 분말(수율 = 70%).
M.p. = 135-139℃.
실시예 175
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7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5%).
M.p. = 183℃.
실시예 176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7%).
1H NMR (DMSOd6, 300 MHz) δ = 1.95-2.03 (m, 2H), 2.45 (t, 2H), 3.06 (t, 2H), 3.16 (t, 2H), 3.59 (s, 3H), 4.60 (t, 2H), 6.74 (s, 1H), 6.90 (d, 1H), 7.60 (dd, 1H), 7.66 (dd, 1H), 7.75 (s, 1H), 7.92 (s, 1H), 8.23 (d, 1H).
실시예 177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7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44-149℃.
실시예 178
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갈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1H NMR (DMSOd6, 300 MHz) δ = 1.99 (t, 2H), 2.46 (t, 2H), 2.81 (s, 3H), 3.11 (t, 2H), 3.58 (s, 3H), 6.77 (s, 1H), 7.63 (dd, 1H), 7.80 (dd, 1H), 7.92 (s, 1H), 8.27 (d, 1H), 8.31 (d, 1H), 8.34 (s, 1H).
실시예 179
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7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71-178℃.
실시예 180
1-[(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0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2%).
M.p. = 135-136℃.
실시예 181
1-[(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8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9%).
M.p. > 250℃.
실시예 182
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 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1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4%).
M.p. = 214-215℃.
실시예 183
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182, 기대 산물이 옅은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2%).
M.p. = 186-187℃.
실시예 184
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1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3%).
1H NMR (DMSOd6, 300 MHz) δ = 2.81 (s, 3H), 2.85 (d, 2H), 3.32 (d, 2H), 3.61 (s, 3H), 6.74 (s, 1H), 7.63 (dd, 1H), 7.81 (dd, 1H), 7.93 (s, 1H), 8.27- 8.31 (m, 2H), 8.35 (d, 1H).
실시예 185
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8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M.p. = 235-236℃.
실시예 186
1-[(2- 메틸 -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1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6%).
1H NMR (DMSOd6, 300 MHz) δ = 2.63 (s, 3H), 2.84 (d, 2H), 3.33 (d, 2H), 353 (s, 3H), 6.73 (s, 1H), 7.61 (dd, 1H), 7.78-7.93 (m, 3H), 8.29 (d, 1H), 8.35 (s, 1H).
실시예 187
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1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M.p. = 106-108℃.
실시예 188
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1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오일(수율 = 66%).
1H NMR (DMSOd6, 300 MHz) δ = 2.1 (s, 3H), 2.8 (t, 2H), 3.1 (t, 2H), 3.3 (t, 2H), 3.61 (s, 3H), 4.1 (t, 2H), 6.7 (s, 1H), 7.6 (dd, 1H), 7.7 (s, 1H), 7.7 (dd, 1H), 7.9 (d, 1H), 8.2 (d, 1H).
실시예 189
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8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0%).
M.p. = 205-207℃.
실시예 190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1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9%).
1H NMR (DMSOd6, 300 MHz) δ = 2.83 (t, 2H), 3.19 (t, 2H), 3.32 (t, 2H), 3.62 (s, 3H), 4.61 (t, 2H), 6.71 (d, 1H), 6.90 (d, 1H), 7.60 (dd, 1H), 7.68 (dd, 1H), 7.76 (d, 1H), 7.93 (d, 1H), 8.23 (dd, 1H).
실시예 191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9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4%).
M.p. = 161-164℃.
실시예 192
1-[[4-(4- 모르폴리닐술포닐 ) 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1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8%).
M.p. = 186-187℃.
실시예 193
1-[[4-(4- 모르폴리닐술포닐 ) 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9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6%).
M.p. = 238-239℃.
실시예 194
1-[(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9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4%).
M.p. = 235-239℃.
실시예 195
1-[(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9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9%).
M.p. = 155-162℃.
실시예 196
1-[(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4 당량의 수산화리튬이 사용되는 것을 제외 ), 실시예 17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6%).
M.p. = 175℃.
실시예 197
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1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4%).
M.p. = 215℃.
실시예 198
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9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7%).
M.p. > 250℃.
실시예 199
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6-벤조티아졸술포닐 크로라이드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197에 유사한 절차에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2%).
M.p. = 163-168℃.
실시예 200
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9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M.p. = 184-187℃.
실시예 201
2-[[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600 mg (1.52 mM)의 N-(4-클로로-2-요오도페닐)벤젠-술폰아미드 (조제예 120) 및 0.5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이 마이크로파 반응 튜브에 준비되고 그리고 14 mg (0.076 mM)의 요오드화 구리, 27 mg (0.038 mM)의 비스(트리페닐포스핀)디클로로팔라듐, 357 mg (2.3 mM)의 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 에틸 에스테르 및 최종적으로 0.5 ml의 디에틸아민이 부가되었다. 혼합물은 마이크로파에 의해 130℃에서 15분 동안 가열되고 그런 다음 냉각되고 10 ml의 물로 가수분해되었다. 혼합물은 15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삼 회 추출되고, 그리고 혼합된 유기 상은 물로 수세되고 그런 다음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잔사는 시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95/5;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0.44 g의 기대 화합물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9%).
1H NMR (DMSOd6, 300 MHz) δ = 1.17 (t, 3H), 1.32 (d, 3H), 4.13 (q, 2H), 4.22 (q, 1H), 4.87 (d, 1H), 4.99 (d, 1H), 6.85 (s, 1H), 7.36 (dd, 1H), 7.58 (t, 2H), 7.68 (d, 1H), 7.70 (t, 1H), 7.96 (d, 2H), 7.99 (d, 1H).
실시예 202
2-[[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0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죽상의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1H NMR (DMSOd6, 300 MHz) δ = 1.31 (d, 3H), 4.14 (q, 1H), 4.84 (d, 1H), 5.02 (d, 1H), 6.85 (d, 1H), 7.35 (dd, 1H), 7.57 (t, 2H), 7.67 (d, 1H), 7.70 (tt, 1H), 7.96 (dt, 2H), 7.99 (d, 1H), 12.80 (broad m, 1H).
실시예 203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2-프로피닐옥시)아세트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화합물이 옅은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M.p. = 98-100℃.
실시예 204
[[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아세트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0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40-142℃.
실시예 205
2-[[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2-메틸-2-(2-프로피닐옥시)프로피온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화합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9%).
1H NMR (DMSOd6, 300 MHz) δ = 1.45 (s, 6H), 3.66 (s, 3H), 4.83 (s, 2H), 6.82 (s, 1H), 7.35 (dd, 1H), 7.61 (t, 2H), 7.68 (m, 2H), 7.96 (dt, 2H), 8.01 (d, 1H).
실시예 206
2-[[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0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죽상의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1H NMR (DMSOd6, 300 MHz) δ = 1.43 (s, 6H), 4.86 (s, 2H), 6.81 (s, 1H), 7.33 (dd, 1H), 7.58 (t, 2H), 7.67 (m, 2H), 7.94 (dt, 2H), 7.99 (d, 1H), 12.80 (broad m, 1H).
실시예 207
[[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03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21에 따라 얻어진 술폰아미드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화합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M.p. = 90-92℃.
실시예 208
[[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아세트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0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M.p. = 158-160℃.
실시예 209
2-[[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21에 따라 얻어진 술폰아미드로 부터 출발하여, 기대 화합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4%).
1H NMR (DMSOd6, 300 MHz) δ = 1.19 (t, 3H), 1.32 (d, 3H), 4.13 (q, 2H), 4.24 (d, 1H), 4.91 (d, 1H), 5.03 (d, 1H), 7.01 (s, 1H), 7.60 (t, 2H), 7.69 (dd, 1H), 7.72 (t, 1H), 8.01 (dt, 2H), 8.21 (d, 1H).
실시예 210
2-[[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0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M.p. = 72-74℃.
실시예 211
2- 메틸 -2-[[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0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21에 따라 얻어진 술폰아미드로 부터 출발하여, 기대 화합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6%).
M.p. = 62-64℃.
실시예 212
2- 메틸 -2-[[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1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M.p. = 134-136℃.
실시예 213
[2-[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에톡시 ]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3-부티닐옥시)아세트산의 에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화합물이 오렌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9%).
M.p. = 60-62℃.
실시예 214
[2-[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에톡시 ]아세트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1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135-137℃.
실시예 215
2- 메틸 -2-[[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마이크로파 반응 튜브 내에 126 mg (0.26 mM)의 조제예 123에 따라 얻어진 에스테르 및 1 ml의 1,2-디클로로에탄의 혼합물이 준비되고 그리고 48 mg (0.26 mM)의 구리 (제2구리) 아세테이트가 부가되었다. 혼합물은 마이크로파에 의해 150℃에서 15분 동안 가열되고 그런 다음 냉각되고, 6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되고 그리고 왓트만 페이퍼 상에서 여과되었다. 여액은 감압하에서 농축되고 그리고 조 산물은 디클로로메탄/에틸 아세테이트 혼합물 (97/3; 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79 mg의 기대 화합물이 죽상의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3%).
1H NMR (DMSOd6, 300 MHz) δ = 1.46 (s, 6H), 3.65 (s, 3H), 4.88 (s, 2H), 6.83 (s, 1H), 7.35 (dd, 1H), 7.66 (d, 1H), 8.02 (dd, 1H), 8.07 (d, 1H), 8.23 (d, 1H), 9.07 (d, 1H), 9.66 (s, 1H).
실시예 216
2- 메틸 -2-[[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1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74℃.
실시예 217
2- 메틸 -2-[[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2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2%).
1H NMR (DMSOd6, 250 MHz) δ = 1.46 (s, 6H), 3.65 (s, 3H), 4.92 (s, 2H), 6.98 (s, 1H), 7.65 (dd, 1H), 8.02 (s, 1H), 8.07 (dd, 1H), 8.26 (t, 2H), 9.12 (d, 1H), 9.66 (s, 1H).
실시예 218
2- 메틸 -2-[[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1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98-100℃.
실시예 219
2- 메틸 -2-[[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2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3%).
1H NMR (DMSOd6, 250 MHz) δ = 1.46 (s, 6H), 2.83 (s, 3H), 3.66 (s, 3H), 4.87 (s, 2H), 6.82 (s, 1H), 7.35 (dd, 1H), 7.66 (d, 1H), 7.96 (dd, 1H), 8.03 (d, 1H), 8.06 (d, 1H), 8.92 (d, 1H).
실시예 220
2- 메틸 -2-[[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톡시]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1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M.p. = 172-174℃.
실시예 221
2- 메틸 -2-[[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2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M.p. = 132-134℃.
실시예 222
2- 메틸 -2-[[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톡시]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2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M.p. = 134-136℃.
실시예 223
2-[[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2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1H NMR (DMSOd6, 250 MHz) δ = 1.17 (t, 3H), 1.32 (d, 3H), 4.11 (q, 2H), 4.22 (q, 1H), 4.92 (d, 1H), 5.03 (d, 1H), 6.86 (s, 1H), 7.36 (dd, 1H), 7.67 (d, 1H), 8.04 (dd, 1H), 8.08 (d, 1H), 8.21 (d, 1H), 9.08 (d, 1H), 9.66 (s, 1H).
실시예 224
2-[[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2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02-104℃.
실시예 225
1-[(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죽상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3%).
1H NMR (DMSOd6, 250 MHz) δ = 1.95-2.03 (m, 2H), 2.4 (t, 2H), 3.06 (t, 2H), 3.59 (s, 3H), 6.14 (s, 2H), 6.75 (s, 1H), 7.05 (d, 1H), 7.33 (s, 1H), 7.48 (dd, 1H), 7.59 (dd, 1H), 7.93 (s, 1H), 8.23 (d, 1H).
실시예 226
1-[(1,3- 벤조디옥소 l-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2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핑크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9%).
M.p. = 171-175℃.
실시예 227
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6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0%).
1H NMR (DMSOd6, 500 MHz) δ = 2.24 (s, 3H), 2.87 (t, 2H), 3.40 (t, 2H), 3.64 (s, 3H), 6.75 (s, 1H), 7.64 (d, 1H), 7.85 (s, 2H), 7.95 (s, 1H), 8.29 (d, 1H), 8.80 (s, 1H), 12.68 (s, 1H).
실시예 228
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2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3%).
M.p. > 290-292℃.
실시예 229
2- 메틸 -2-[[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7%).
M.p. = 164-166℃.
실시예 230
2- 메틸 -2-[[1-[(2- 메틸 -5-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229,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188-190℃.
실시예 231
2-[[1-(1,3- 벤조디옥소 l-5- 일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1%).
1H NMR (DMSOd6, 250 MHz) δ = 8.19 (d, 1H), 8.02 (d, 1H), 7.64 (m, 2H), 7.57 (d, 1H), 7.08 (d, 1H), 6.97 (d, 1H), 6.14 (s, 2H), 4.85 (s, 2H), 3.68 (s, 3H), 1.49 (s, 6H).
실시예 232
2-[[1-(1,3- 벤조디옥소 l-5- 일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메톡시]-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3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130-132℃.
실시예 233
2-[[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2%).
M.p. = 212-214℃.
실시예 234
2-[[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3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M.p. = 144-146℃.
실시예 235
2-[[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5%).
1H NMR (DMSOd6, 250 MHz) δ = 8.19 (d, 1H), 8.02 (s, 1H), 7.92 (d, 1H), 7.83 (dd, 1H), 7.63 (dd, 1H), 6.94 (s, 1H), 6.91 (d, 1H), 4.87 (s, 2H), 4.61 (t, 2H), 3.68 (s, 3H), 3.19 (t, 2H), 1.48 (s, 6H).
실시예 236
2-[[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3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92-94℃.
실시예 237
2- 메틸 -2-[[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5%).
M.p. = 118-120℃.
실시예 238
2- 메틸 -2-[[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3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1%).
M.p. = 98-100℃.
실시예 239
2-[[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 틸)-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1%).
M.p. = 128-130℃.
실시예 240
2-[[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3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75℃.
실시예 241
2-[[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5-( 트리플 루오로메틸)-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M.p. = 96-98℃.
실시예 242
2-[[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4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148-150℃.
실시예 243
2-[[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 틸)-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3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4%).
M.p. = 154-156℃.
실시예 244
2-[[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4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1%).
M.p. = 176-178℃.
실시예 245
2-[[1-[(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M.p. = 132-134℃.
실시예 246
2-[[1-[(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 시]-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4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2%).
M.p. = 150-152℃.
실시예 247
2-[[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톡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4%).
M.p. = 130-132℃.
실시예 248
2-[[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4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M.p. = 186-188℃.
실시예 249
2-[[1-[[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메톡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1H NMR (DMSOd6, 250 MHz) δ = 8.23 (d, 1H), 8.02 (d, 1H), 7.91 (dt, 2H), 7.65 (dd, 1H), 7.49 (dt, 2H), 6.96 (d, 1H), 4.86 (s, 2H), 3.68 (s, 3H), 2.92 (hep, 1H), 1.46 (s, 6H), 1.15 (d, 6H).
실시예 250
2-[[1-[[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메톡시]-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4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4%).
M.p. = 132-134℃.
실시예 251
2-[[1-(1,3- 벤조디옥소 l-5- 일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M.p. = 90-92℃.
실시예 252
2-[[1-(1,3- 벤조디옥소 l-5- 일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5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174-176℃.
실시예 253
2-[[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4%).
M.p. = 112-114℃.
실시예 254
2-[[1-[[2-( 아세틸아미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메톡시]-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5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162-164℃.
실시예 255
2-[[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0%).
M.p. = 128-130℃.
실시예 256
2-[[1-[(1-아세틸-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5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142-144℃.
실시예 257
2-[[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 시]-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1H NMR (DMSOd6, 300 MHz) δ = 8.10 (d, 1H), 7.86 (d, 1H), 7.77 (dd, 1H), 7.66 (d, 1H), 7.33 (dd, 1H), 7.89 (d, 1H), 6.79 (s, 1H), 4.83 (s, 2H), 4.60 (t, 2H), 3.67 (s, 3H), 3.18 (t, 2H), 1.47 (s, 6H).
실시예 258
2-[[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5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130-132℃.
실시예 259
2- 메틸 -2-[[5- 클로로 -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8%).
1H NMR (DMSOd6, 250 MHz) δ = 8.24 (dd, 1H), 7.95 (d, 1H), 7.84 (dd, 1H), 7.69 (m, 2H), 7.33 (dd, 1H), 6.87 (d, 1H), 4.81 (s, 2H), 3.62 (s, 3H), 2.85 (s, 3H), 1.34 (s, 6H).
실시예 260
2- 메틸 -2-[[5- 클로로 -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5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128-130℃.
실시예 261
2-[[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1H NMR (DMSOd6, 300 MHz) δ = 8.02 (d, 1H), 7.88 (d, 2H), 7.67 (d, 1H), 7.46 (d, 2H), 7.36 (dd, 1H), 6.81 (s, 1H), 4.82 (s, 2H), 3.66 (s, 3H), 2.97 (hep, 1H), 1.45 (s, 6H), 1.15 (d, 6H).
실시예 262
2-[[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6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M.p. = 156-158℃.
실시예 263
2-[[5- 클로로 -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4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M.p. = 96-98℃.
실시예 264
2-[[5- 클로로 -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6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148-150℃.
실시예 265
2-[[5- 클로로 -1-[[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1H NMR (DMSOd6, 300 MHz) δ = 8.02 (d, 1H), 7.88 (d, 2H), 7.67 (d, 1H), 7.46 (d, 2H), 7.36 (dd, 1H), 6.81 (s, 1H), 4.82 (s, 2H), 3.66 (s, 3H), 2.97 (hep, 1H), 1.45 (s, 6H), 1.15 (d, 6H).
실시예 266
2-[[5- 클로로 -1-[[4-(1- 메틸에틸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6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옅은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60℃.
실시예 267
2-[[5- 클로로 -1-[(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 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4%).
M.p. = 110-112℃.
실시예 268
2-[[5- 클로로 -1-[(3,5- 디메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6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162-164℃.
실시예 269
2-[[5- 클로로 -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 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M.p. = 132-134℃.
실시예 270
2-[[5- 클로로 -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6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M.p. = 156-158℃.
실시예 271
2-[[5- 클로로 -1-[(4-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96-98℃.
실시예 272
2-[[5- 클로로 -1-[(4- 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2- 메틸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7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150-152℃.
실시예 273
2-[[5- 클로로 -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8%).
1H NMR (DMSOd6, 250 MHz) δ = 8.93 (s, 1H), 8.00 (m, 3H), 7.66 (d, 1H), 7.35 (dd, 1H), 6.85 (s, 1H), 5.03 (d, 1H), 4.92 (d, 1H), 4.24 (d, 1H), 4.13 (d, 2H), 2.83 (s, 3H), 1.32 (d, 3H), 1.19 (t, 3H).
실시예 274
2-[[5- 클로로 -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7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106-108℃.
실시예 275
2-[[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1H NMR (DMSOd6, 300 MHz) δ = 7.98 (d, 1H), 7.68 (d, 1H), 7.46 (m, 2H), 7.35 (dd, 1H), 7.01 (d, 1H), 6.83 (s, 1H), 4.97 (d, 1H), 4.84 (d, 1H), 4.27 (m, 5H), 4.20 (q, 2H), 1.35 (d, 3H), 1.19 (t, 3H).
실시예 276
2-[[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7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70℃.
실시예 277
2-[[5- 클로로 -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5%).
1H NMR (DMSOd6, 250 MHz) δ = 8.01 (d, 1H), 7.66 (d, 1H), 7.34 (dd, 1H), 7.13 (dd, 1H), 6.99 (d, 1H), 6.78 (m, 2H), 4.98 (d, 1H), 4.85 (d, 1H), 4.23 (m, 3H), 4.18 (q, 2H), 3.24 (m, 2H), 2.80 (s, 3H), 1.34 (d, 3H), 1.19 (t, 3H).
실시예 278
2-[[5- 클로로 -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7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8%).
M.p. = 68℃.
실시예 279
2-[[5- 클로로 -1-[(3,5-디메틸-4- 이소옥사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1%).
1H NMR (DMSOd6, 300 MHz) δ = 7.84 (d, 1H), 7.78 (d, 1H), 7.40 (dd, 1H), 6.92 (s, 1H), 4.91 (d, 1H), 4.77 (d, 1H), 4.12 (q, 1H), 4.08 (q, 2H), 2.63 (s, 3H), 2.03 (s, 3H), 1.18 (m, 6H).
실시예 280
2-[[5- 클로로 -1-[(3,5-디메틸-4- 이소옥사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7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2%).
M.p. = 110-112℃.
실시예 281
2-[[5- 클로로 -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5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M.p. = 118-120℃.
실시예 282
2-[[5- 클로로 -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8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196-198℃.
실시예 283
2-[[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6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1H NMR (DMSOd6, 250 MHz) δ = 8.98 (m, 1H), 8.26 (d, 1H), 8.04 (m, 3H), 7.65 (dd, 1H), 7.01 (s, 1H), 5.07 (d, 1H), 4.95 (d, 1H), 4.26 (q, 1H), 4.14 (q, 2H), 2.83 (s, 3H), 1.34 (d, 3H), 1.16 (t, 3H).
실시예 284
2-[[1-[(2- 메틸 -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8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4%).
M.p. = 146-148℃.
실시예 285
2-[[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6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1H NMR (DMSOd6, 250 MHz) δ = 9.67 (s, 1H), 9.13 (d, 1H), 8.21 (m, 2H), 8.14 (dd, 1H), 8.11 (m, 1H), 7.68 (dd, 1H), 7.01 (s, 1H), 5.08 (d, 1H), 4.96 (d, 1H), 4.26 (q, 1H), 4.11 (q, 2H), 1.31 (d, 3H), 1.16 (t, 3H).
실시예 286
2-[[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8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죽상의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7%).
1H NMR (DMSOd6, 300 MHz) δ = 9.67 (s, 1H), 9.15 (d, 1H), 8.24 (m, 2H), 8.11 (dd, 1H), 8.03 (s, 1H), 7.66 (dd, 1H), 7.02 (s, 1H), 5.10 (d, 1H), 4.94 (d, 1H), 4.18 (q, 1H), 1.32 (d, 3H).
실시예 287
2-[[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 틸)-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6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4%).
1H NMR (DMSOd6, 250 MHz) δ = 8.19 (d, 1H), 8.03 (s, 1H), 7.66 (dd, 1H), 7.53 (m, 2H), 7.04 (dd, 1H), 6.98 (s, 1H), 5.01 (d, 1H), 4.88 (d, 1H), 4.27 (m, 5H), 4.21 (q, 2H), 1.36 (d, 3H), 1.19 (t, 3H).
실시예 288
2-[[1-[(2,3- 디하이드로 -1,4- 벤조다이옥신 -6-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8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9%).
M.p. = 70℃.
실시예 289
2-[[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5-( 트리플 루오로메틸)-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6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1H NMR (DMSOd6, 300 MHz) δ = 8.22 (d, 1H), 8.02 (s, 1H), 7.65 (dd, 1H), 7.19 (dd, 1H), 7.04 (d, 1H), 6.96 (s, 1H), 6.78 (d, 1H), 5.03 (d, 1H), 4.89 (d, 1H), 4.24 (m, 3H), 4.14 (q, 2H), 3.24 (m, 2H), 2.80 (s, 3H), 1.36 (d, 3H), 1.19 (t, 3H).
실시예 290
2-[[1-[(3,4- 디하이드로 -4- 메틸 -2 H -1,4- 벤조옥사진 -7-일)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8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7%).
M.p. = 118-120℃.
실시예 291
2-[[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6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130-132℃.
실시예 292
2-[[1-[(2,5- 디메톡시페닐 ) 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톡시]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9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7%).
M.p. = 212-214℃.
실시예 293
(2S)-2-[[5- 클로로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 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6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7%).
1H NMR (DMSOd6, 300 MHz) δ = 9.66 (s, 1H), 9.08 (d, 1H), 8.21 (d, 1H), 8.05 (m, 2H), 7.67 (d, 1H), 7.36 (dd, 1H), 6.86 (s, 1H), 5.03 (d, 1H), 4.93 (d, 1H), 4.23 (q, 1H), 4.10 (q, 2H), 1.31 (d, 3H), 1.17 (t, 3H).
실시예 294
(2S)-2-[[5- 클로로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9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6%).
M.p. = 82℃.
[α]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8
= -41°(c = 0.39; MeOH).
실시예 295
(2R)-2-[[5- 클로로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일] 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6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0%).
1H NMR (DMSOd6, 300 MHz) δ = 9.66 (s, 1H), 9.08 (d, 1H), 8.22 (d, 1H), 8.03 (m, 2H), 7.67 (d, 1H), 7.36 (dd, 1H), 6.86 (s, 1H), 5.03 (d, 1H), 4.92 (d, 1H), 4.27 (q, 1H), 3.66 (s, 3H), 1.32 (d, 3H).
실시예 296
5- 클로로 -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69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6%).
M.p. = 129℃.
실시예 297
5- 클로로 -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9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3%).
M.p. = 177-181℃.
실시예 298
1-[(1-아세틸-1 H -인돌-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7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9%).
M.p. = 127-131℃.
실시예 299
1-[(1 H -인돌-5-일)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29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2%).
M.p. = 213℃.
실시예 300
5- 클로로 -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7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정형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1H NMR (DMSOd6, 300 MHz) δ = 8.25 (dd, 1H), 7.93 (d, 1H), 7.76 (d, 1H), 7.68 (d, 1H), 7.63 (m, 1H), 7.30 (dd, 1H), 6.64 (s, 1H), 3.59 (s, 3H), 3.24 (t, 2H), 2.83 (s, 3H), 2.77 (t, 2H).
실시예 301
5- 클로로 -1-[(2- 메틸 -7-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0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6%).
M.p. = 188-189℃.
실시예 302
1-[(2-아미노-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7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0%).
M.p. = 190-195℃.
실시예 303
1-[(2-아미노-6- 벤조옥사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0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3%).
M.p. = 242-249℃.
실시예 304
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7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무정형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8%).
1H NMR (DMSOd6, 300 MHz) δ = 8.02 (d, 1H), 7.70 (m, 1H), 7.63 (dd, 1H), 7.58 (d, 1H), 7.30 (dd, 1H), 6.89 (d, 1H), 6.56 (s, 1H), 4.60 (t, 2H), 3.62 (s, 3H), 3.28 (t, 2H), 3.18 (t, 2H), 2.81 (t, 2H).
실시예 305
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5- 벤조퓨라닐 )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0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1%).
M.p. = 170-171℃.
실시예 306
1-[(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7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7%).
M.p. = 217-222℃.
실시예 307
1-[(2-아미노-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0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5%).
M.p. = 250-255℃.
실시예 308
2-[[[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메틸 ] 티오 ]-2- 메틸 -프로피온산
조제예 12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2-(2-프로피닐티오)-프로피온산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4%).
M.p. = 150-152℃.
실시예 309
2-[[[5- 클로로 -1-( 페닐술포닐 )-1 H -인돌-2-일] 메틸 ] 티오 ]프로피온산
조제예 12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2-프로피닐티오)프로피온산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7%).
M.p. = 138℃.
실시예 310
2-[[[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틸 ] 티오 ]-2- 메틸 프로피온산
조제예 12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메틸-2-(2-프로피닐티오)-프로피온산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
M.p. = 90℃.
실시예 311
2-[[[1-( 페닐술포닐 )-5-( 트리플루오로메틸 )-1 H -인돌-2-일] 메틸 ] 티오 ]-프로피온산
조제예 12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2-프로피닐티오)프로피온산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5%).
M.p. = 120℃.
실시예 312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메틸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75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5-헥시노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 되었다 (수율 = 47%).
M.p. = 128-130℃.
실시예 313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메틸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1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M.p. = 128℃.
실시예 314
1-( 페닐술포닐 )-5- 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조제예 176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4-펜티노산의 메틸 에스테르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3%).
M.p. = 98-102℃.
실시예 315
1-( 페닐술포닐 )-5- 메틸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1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59%).
M.p. = 176-182℃.
실시예 316
1-[(6- 벤조티아졸릴 ) 술포닐 ]-5- 클로로 -α,α-디메틸-1 H -인돌-2-부탄산
조제예 17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2-디메틸-5-헥시노산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46%).
M.p. = 151℃.
실시예 317
5- 클로로 -α,α-디메틸-1-( 페닐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조제예 120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 및 2,2-디메틸-5-헥시노산으로부터 출발하여, 실시예 201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2%).
M.p. = 242℃.
실시예 318
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5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갈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37%).
M.p. = 157℃.
실시예 319
5- 클로로 -1-[(1 H -인돌-5-일) 술포닐 ]-1 H -인돌-2-프로피온산
4 ml의 톨루엔 내에 40 mg (0.1 mM)의 실시예 31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의 용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4 ml의 톨루엔 내에 22 mg (0.1 mM)의 DDQ (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의 용액이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부가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되고 그런 다음 냉각되고, M 염산 용액의 부가로 산성화되고 그리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되었다. 유기 상은 소디움 티오설페이트로 용액으로 그런 다음 물로 수세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증류 잔사는 용리액으로 아세토니트릴/물 기울기 혼합물을 사용하여 HPLC에 의해 정제되어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28%).
M.p. = 79℃.
실시예 320
5- 클로로 -1-[[4-아미노-3-( 메틸티오 ) 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16 ml의 에탄올과 16 ml의 3.5 M 수성 수산화칼륨 용액 내에 1 g (2.27 mM)의 실시예 117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의 용액이 준비되었다. 혼합물은 실온에서 5시 간 동안 교반되고, 0.9 ml의 메틸 요오다이드가 그런 다음 부가되고 반응 혼합물은 다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었다. 배지는 그런 다음 100 ml의 물로 희석되고 그리고 N 염산 용액으로 서서히 산성화되었다. 형성된 침전물은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되고, 그리고 얻어진 유기 상은 물로 수세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어, 기대 산물이 결정성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158℃.
실시예 321
5- 클로로 -1-[(4- 플루오로 -3- 니트로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215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조제예 178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옅은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6%).
M.p. = 93℃.
실시예 322
1-[(4-아미노-3- 니트로페닐 ) 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 ml의 디옥산 내에 100 mg (0.22 mM)의 실시예 321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의 용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0.77 ml의 32% 수성 암모니아가 부가되었다. 혼합물은 실 온에서 30분 동안 교반되고 그런 다음 8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되고, 물로 수세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어, 기대 산물이 옅은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95%).
M.p. = 157℃.
실시예 323
5- 클로로 -1-[(3,4- 디아미노페닐 )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8 ml의 아세트산 내에 604 mg (1.33 mM)의 실시예 322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의 현탁액이 준비되고 그리고 390 mg (7 mM)의 철 분말이 교반하면서 부가되었다. 혼합물은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되고 그런 다음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되었다. 유기 상이 분리되고, 여과되고, 물로 수세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어, 기대 산물이 옅은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70%).
M.p. = 158-160℃.
실시예 324
1-(1 H - 벤즈이미다졸 -5- 일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5 ml의 포름산 내에 498 mg (1.18 mM)의 실시예 323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의 현탁액이 준비되었다. 혼합물은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고 그런 다음 물로 희석되고, 10 ml의 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되 었다. 유기 상이 분리되고, 물로 수세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되고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되었다. 조 산물은 톨루엔/이소프로판올/수성 암모니아 혼합물 (85/15/1; v/v/v)로 용리하면서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정제되어,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포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83%).
1H NMR (DMSOd6, 300 MHz) δ = 12.95 (s, 1H), 8.46 (s, 1H), 8.10 (m, 2H), 7.72 (d, 1H), 7.56 (m, 2H), 7.32 (dd, 1H), 7.19 (m, 2H), 6.58 (s, 1H), 3.58 (s, 3H), 3.05 (t, 2H), 2.45 (t, 2H), 1.99 (quin, 2H).
실시예 325
1-(1 H - 벤즈이미다졸 -5- 일술포닐 )-5- 클로로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32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발하여, 기대 산물이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66%).
M.p. = 212℃.
실시예 326
5- 클로로 -1-[(2,3- 디하이드로 -1 H -인돌-5-일) 술포닐 ]-1 H -인돌-2-부탄산
실시예 2에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시예 134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로부터 출 발하여, 기대 산물이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수율 = 19%).
M.p. = 203℃.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의 표에 나타냈다:
표 I은 X가 단일 결합이고 R3 및 R4가 각각 수소원자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대조했다.
표 II는 X가 산소 원자인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 I의 화합물의 실시예를 대조했다.
표 III은 X가 황 원자인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 I의 화합물의 실시예를 대조했다.
표 IV는 X가 단일 결합이고 R3 또는 R4가 각각 수소원자 이외의 것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대조했다.
이들 표에서 Ac는 아세틸 기이다.
Figure 112008013302988-pct00029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0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1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2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3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4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5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6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7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8
Figure 112008013302988-pct00039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0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1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2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3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4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5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6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7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8
Figure 112008013302988-pct00049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0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1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2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3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4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5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6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7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8
Figure 112008013302988-pct00059
Figure 112008013302988-pct00060
Figure 112008013302988-pct00061
Figure 112008013302988-pct00062
Figure 112008013302988-pct00063
Figure 112008013302988-pct00064
약학적 활성
본 발명의 화합물은 어떤 병리적 상태를 치료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이들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생물학적 시험을 하였다. 제일 단계는 PPAR 핵의 수용체 활성자로서 행동하는 화합물의 능력이 평가하는 것이다.
전사촉진 시험이 일차적인 스크리닝 시험으로 사용되었다. Cos-7 세포가 PPAR-Gal4 뮤어라인 또는 인간 리셉터 (PPARα-Gal4, PPARδ-Gal4 또는 PPARγ-Gal4 리셉터) 및 5Gal4pGL3 TK Luc 레포터 플라스미드의 키메라를 발현하는 플라스미드로 전환되었다. 형질전환은 화학적 제제 (Jet PEI)의 도움으로 수행되었다.
전환된 세포는 384-웰 플레이트에 분산되고 그리고 24 시간 동안 정치되었 다.
24 시간 후, 배양 배지가 교체되었다. 시험화합물이 배양 배지에 부가되었다 (3.10-5 내지 3.10-10 M 사이의 최종 농도). 밤 세워 배양한 후, 제작자(Promega)의 지시에 따라 "SteadyGlo"의 부가 후 루시퍼라제 발현이 측정되었다.
페노피브릭 10-5 M (PPARα 어고니스트) 농도, GW501516 10-8 M (PPARδ 어고니스트) 농도 및 로지글리타존 10-6 M (PPARγ 어고니스트) 농도가 비교로 사용되었다.
결과는 적당한 비교의 활성의 백분율(비교 = 100%)로 기초 준위에 비교하여 유도의 준위(배수)로 표현되었다. 효과-농도 곡선 및 EC50 값이 어세이 익스플러러 소프트웨어(MDL)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마이크로몰의 농도에서,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특정하게 기술된 모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154% (PPARα), 127% (PPARδ) 및 100% (PPARγ)까지의 범위로 되는 유도비율을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특히 hPPARδ 수용체에 대해 모두 50nM을 넘지 않는 EC50를 가진다.
제이의 일련의 시험은 상기 언급된 수용체에 대한 이들의 친화도로부터 추론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 수행되었다. 이 시험은 미요튜브로 분화 후 뮤어라인 근육 유래의 C2C12 세포 및 인간 간장 유래의 HuH7 세포 상에 대한 β-산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들 세포는 중앙 벽을 포함하는 페트리 디쉬에 접종된다. 산물이 배양 배지 에 부가되고 다른 농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된다. 22 시간 동안 배양 후, C14-방사표지 올레이트 (올레이트 1-C14)가 배양 배지에 부가된다. β-산화 반응은 40% 과염소산 부가 2시간 후 정지되었다.
올레이트의 산화 반응 동안에 유리된 CO2는 KOH 용액에 포획되고 그런 다음 카운트되었다.
각 시험은 삼 회 시행되었다.
결과는 대조군 디쉬(화합물이 없는 디쉬)에 대하여 % 변동율로 나타냈다.
이 시험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HuH7 세포에서 10 μM의 농도에서 +148% 까지 β-산화 반응을 증가하였다. β-산화 반응은 또한, 예를 들어 C2C12 세포에 대한 시험에서 10 μM의 농도로 사용된 실시예 4에 따른 화합물의 존재로 82%까지 증가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떤 화합물은 활성 주재로서 이들의 잠재성을 확인하기 위해 db/db 마우스의 모델에서 시험되었다. 시험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다:
연구 시작 시에 11-13 주령의 호모지거스 웅성 C57BL/Ks-db 웅성 마우스 (db/db 마우스)가 9-10 동물군으로 분할되었다. 산물이 5일 동안 일일에 한번 씩 구강으로 투여되었다. 일 마우스 군은 단지 담체 (메틸 셀룰로스 용액 0.5% 또는 1%) 만이 투여되었다. 처리 전과 최종 투여 4시간 후에 혈액 샘플이 레트로-오비탈 동공에서 취하여 졌다.
원심 분리 후, 혈청이 수집되고 그리고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글 루코스의 준위가 상업적 키트로 멀티파라메터 아날라이저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결과는 대조군에 대해 최종일에 % 변동율로 나타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실시예로, 다음의 비교결과가 얻어졌다:
화합물 복용량(mg/kg) 글루코스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페노피브레이트 100 -9 -7 +32
로지글리타존 3 -41 -52 -30
실시예 2 30 0 -7 +30
실시예 4 30 -30 -12 +41
실시예 155 30 -35 -41 +38
실시예 163 30 -38 -35 -15
실시예 202 30 -52 -48 +25
PPARα 및 또는 PPARδ 핵 수용체 활성자로 기대된 변형에 따르는 이들 결과는 고트리글리세라이드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지질 및 탄수화물 대사작용 분열 동안에 정상적인 변수를 재확립하기 위한 약물의 활성 주재로서 용도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가치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내피의 기능이상, 염증성 질환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에도 유용하다.
본 발명은 더욱이 조성물이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 I의 화합물을 활성 주재로서 포함할 때 상기 언급된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 투여하기에 바람직한 형태, 예를 들어 타블렛 또는 캡슐을 얻기 위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되어 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만일 화합물이 경구로 투여되는 경우에는, 인간에 있어서의 매일의 복용량은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500 mg 사이가 될 것이다.

Claims (13)

  1.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한 인돌 유도체:
    i) 다음 구조식의 화합물:
    Figure 112013028070128-pct00065
    (Ⅰ)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C1-C4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또는 C1-C4 알킬나 CF3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 기임;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나 CF3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 기임;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C1-C4 알킬기를 나타내고;
    R은 수소원자 또는 C1-C3 알킬기를 나타내고;
    n = 1, 2 또는 3이고;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이고; 그리고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릴, 이소퀴놀릴,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아릴(aromatic) 또는 헤테로아릴(heteroaromatic ring)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OR2, S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및,
    ii)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류.
  2. 제 1항에 있어서, 치환체 Ra 및 Rb의 적어도 하나는 수소 원자가 아님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Ar은 페닐 또는 질소-함유 헤테로아릴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항에 있어서, n은 1 또는 2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나트륨 염
    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5-브로모-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브로모-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1-(페닐술포닐)-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페닐술포닐)-5-[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인돌-2-프로피온산
    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2,3-디클로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3-디클로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3-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2,4-디클로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4-디클로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1-[(4-아세틸페닐)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4-아세틸페닐)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페닐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페닐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3-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1,1-디메틸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1,1-디메틸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1-메틸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1-메틸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프로필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프로필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펜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펜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3,5-디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5-디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2,4,6-트리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4,6-트리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클로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클로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플루오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플루오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클로로-3-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클로로-3-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1-[[4-(아세틸아미노)페닐]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시아노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페녹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페녹시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1-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1-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2-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메틸-1-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메틸-1-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5-(아미노아세틸)-1-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5-(아미노아세틸)-1-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8-퀴놀리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8-퀴놀리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3-디클로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3-디클로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4-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8-퀴놀리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8-퀴놀리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4-(1-메틸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1-메틸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3,5-디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5-디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3-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1-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1-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플루오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6-디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6-디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4,5-디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4,5-디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1-(페닐술포닐)-6-(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페닐술포닐)-6-(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5-아세틸-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아세틸-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6-클로로-5-플루오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6-클로로-5-플루오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7-디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7-디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시아노-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시아노-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벤조일-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벤조일-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펜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펜탄산
    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톡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톡시)-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1-메틸에틸 에스테르
    5-클로로-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1,2,3,4-테트라하이드로-2-(트리플루오로아세틸)-7-이소퀴놀리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6-(4-모르폴리닐)-3-피리디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6-(4-모르폴리닐)-3-피리디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3,5-디메틸-4-이소옥사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5-디메틸-4-이소옥사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1,3,5-트리메틸-1H-피라졸-4-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1,3,5-트리메틸-1H-피라졸-4-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1-메틸-1H-이미다졸-4-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1-메틸-1H-이미다졸-4-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1,3-벤조티아디아졸-4-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1,3-벤조티아디아졸-4-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1,3-벤조티아디아졸-5-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1,3-벤조티아디아졸-5-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3,4-디하이드로-2,2-디메틸-2H-1-벤조피란-6-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4-디하이드로-2,2-디메틸-2H-1-벤조피란-6-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메틸-6-벤족사졸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1-[(2-아미노-6-벤족사졸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아미노-6-벤족사졸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1-[[2-(아세틸아미노)-4-메틸-5-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아세틸아미노)-4-메틸-5-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6-퀴놀리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아세틸-1,2,3,4-테트라하이드로-7-이소퀴놀리닐)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피리디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피리디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4-(4-모르폴리닐술포닐)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4-(4-모르폴리닐술포닐)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피리디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피리디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1-[(2-메틸-6-벤족사졸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메틸-6-벤족사졸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1-[(2-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1-[(2-메틸-6-벤족사졸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1-[[4-(4-모르폴리닐술포닐)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4-(4-모르폴리닐술포닐)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1-[(2-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1-[(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2-[[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아세트산
    2-[[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아세트산 메틸 에스테르
    [[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아세트산
    2-[[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메틸-2-[[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메틸-2-[[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에톡시]아세트산 에틸 에스테르
    [2-[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에톡시]아세트산
    2-메틸-2-[[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2-[[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메틸-2-[[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2-[[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메틸-2-[[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2-[[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메틸-2-[[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2-[[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부탄산
    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2-메틸-2-[[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2-[[1-[(2-메틸-5-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메틸-2-[[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2-[[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3,5-디메틸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3,5-디메틸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4-(1-메틸에틸)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4-(1-메틸에틸)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1,3-벤조디옥소l-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2-(아세틸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1-[(1-아세틸-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5-클로로-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5-클로로-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메틸-2-[[5-클로로-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메틸-2-[[5-클로로-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5-클로로-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5-클로로-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5-클로로-1-[[4-(1-메틸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5-클로로-1-[[4-(1-메틸에틸)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5-클로로-1-[(3,5-디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5-클로로-1-[(3,5-디메틸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5-클로로-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5-클로로-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5-클로로-1-[(4-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2-[[5-클로로-1-[(4-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2-[[5-클로로-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5-클로로-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5-클로로-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5-클로로-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5-클로로-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5-클로로-1-[(3,5-디메틸-4-이소옥사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5-클로로-1-[(3,5-디메틸-4-이소옥사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5-클로로-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5-클로로-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1-[(2-메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1-[(2,3-디하이드로-1,4-벤조디옥신-6-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1-[(3,4-디하이드로-4-메틸-2H-1,4-벤즈옥사진-7-일)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1-[(2,5-디메톡시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S)-2-[[5-클로로-1-[(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에스테르
    (2S)-2-[[5-클로로-1-[(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2R)-2-[[5-클로로-1-[(6-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일]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부탄산
    1-[(1-아세틸-1H-인돌-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1H-인돌-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메틸-7-벤조티아조릴)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1-[(2-아미노-6-벤족사졸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아미노-6-벤족사졸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2,3-디하이드로-5-벤조퓨라닐)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1-[(2-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2-아미노-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1H-인돌-2-프로피온산
    2-[[[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틸]티오]-2-메틸-프로피온산
    2-[[[5-클로로-1-(페닐술포닐)-1H-인돌-2-일]메틸]티오]프로피온산
    2-[[[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틸]티오]-2-메틸프로피온산
    2-[[[1-(페닐술포닐)-5-(트리플루오로메틸)-1H-인돌-2-일]메틸]티오]-프로피온산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메틸-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메틸-1H-인돌-2-부탄산
    1-(페닐술포닐)-5-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테르
    1-(페닐술포닐)-5-메틸-1H-인돌-2-프로피온산
    1-[(6-벤조티아조릴)술포닐]-5-클로로-α,α-디메틸-1H-인돌-2-부탄산
    5-클로로-α,α-디메틸-1-(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1H-인돌-5-일)술포닐]-1H-인돌-2-프로피온산
    5-클로로-1-[[4-아미노-3-(메틸티오)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5-클로로-1-[(4-플루오로-3-니트로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4-아미노-3-니트로페닐)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5-클로로-1-[(3,4-디아미노페닐)술포닐]-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1H-벤즈이미다졸-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메틸 에스테르
    1-(1H-벤즈이미다졸-5-일술포닐)-5-클로로-1H-인돌-2-부탄산; 및
    5-클로로-1-[(2,3-디하이드로-1H-인돌-5-일)술포닐]-1H-인돌-2-부탄산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어 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약학적으로 활성인 기질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7. 고트리글리세라이드증, 고지질증, 고콜레스테롤증, 비만 및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8. 심혈관 질환, 염증성 질환 및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은 알쯔하이머 질환 및 파킨슨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다음으로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구조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a) 소노가시라 반응을 사용하여 다음 구조식(Ⅱ)의 화합물
    Figure 112013094195589-pct00066
    (Ⅱ)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염소 또는 브롬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기임; 및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이나 CF3 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기임,
    을 다음 구조식(Ⅲ):
    Figure 112013094195589-pct00067
    (Ⅲ)
    여기서:
    n = 1, 2 또는 3;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기이고;
    R은 C1-C3 알킬기이고; 그리고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임,
    의 아세틸렌 유도체와, 요오드화 동, 팔라듐-기재 촉매, 및 유기 염기의 존재하에, 용매에서, 0 내지 60℃ 사이의 온도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Ⅳ)
    Figure 112013094195589-pct00068
    (Ⅳ)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구조식 (Ⅱ) 및 (Ⅲ)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화합물을 얻음;
    b) 상기 구조식 IV의 화합물에 치환되어 있는 "니트로" 기를 환원하여, 에탄올의 존재하에, 용매에서, 실온에 가까운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반응함에 의해, 다음 구조식(Ⅴ)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69
    (Ⅴ)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구조식 (Ⅳ)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c) 구조식 V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Ⅵ)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0
    (Ⅵ)
    여기서: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또는 헤테로아릴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SR2, O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의 아릴술포닐 크로라이드와, 피리딘의 존재하에서, 실온에서, 10 내지 120분 동안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Ⅶ)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1
    (Ⅶ)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Ar은 구조식(Ⅱ), (Ⅲ) 및 (VI)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d) 구조식 VII의 화합물을, 용매에서, 용매의 환류온도에 근접한 온도에서, 구리(II) 아세테이트와 4 내지 24 시간 동안 반응함에 의해 고리화하여, 다음 구조식(Ⅰa)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2
    (Ⅰa)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Ar은 구조식(Ⅱ), (Ⅲ) 및 (VI)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그리고
    e) 만일 필요하다면, 구조식 Ia의 화합물의 에스테르 기를 가수분해하고, 그런 다음 산으로 처리하여 다음 구조식 Ib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3
    (Ⅰb)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Ar은 구조식(Ⅱ), (Ⅲ) 및 (VI)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11. 다음으로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구조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a) 할로겐화 제제의 도움으로, 용매에서, 실온에서 5 내지 24시간 동안, 다음 구조식(Ⅷ)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4
    (Ⅷ)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 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기이고; 그리고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이나 CF3 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기임,
    의 아닐린 상에 할로겐화 반응을 수행하여 다음 구조식(Ⅸ)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5
    (Ⅸ)
    여기서:
    Ra 및 Rb는 구조식(Ⅷ)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b) 구조식 IX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Ⅲ)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6
    (Ⅲ)
    여기서:
    n = 1, 2 또는 3;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기이고;
    R은 C1-C3 알킬기이고; 그리고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임,
    의 아세틸렌 유도체와, 제10항에 기술된 공정의 단계 a)에 대해 기술된 것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Ⅴ)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7
    (Ⅴ)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구조식 (Ⅷ) 및 (Ⅲ)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화합물을 얻음;
    c) 상기 구조식 V의 화합물을 제10항에 기술된 공정의 단계 (d)를 수행하기 위해 기술한 것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고리화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 (Ⅹ)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8
    (Ⅹ)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R은 구조식 (Ⅷ) 및 (Ⅲ)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인돌 화합물을 얻음;
    d) 상기 구조식 (X)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
    Figure 112013094195589-pct00079
    (Ⅵ)
    여기서: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또는 헤테로아릴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SR2, O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의 아릴술포닐 클로라이드와, 용매에서, 실온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구조식 (X)의 인돌 화합물의 반응 후 다음 구조식(Ia)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0
    (Ⅰa)
    여기서:
    Ra, Rb, n, X, R3, R4, R 및 Ar은 구조식 (Ⅷ), (Ⅲ) 및 (VI)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그리고
    e) 만일 필요하다면, 구조식 Ia의 화합물의 에스테르 기를 가수분해하고, 그런 다음 산으로 처리하여 다음 구조식 Ib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1
    (Ⅰb)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Ar은 구조식 (Ⅷ), (Ⅲ) 및 (VI)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12. 다음으로 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구조식 (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a) 구조식 IX: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2
    (Ⅸ)
    여기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불소, 염소 또는 브롬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 CF3, CN, CO-R2 또는 OR2 기이고; 그리고
    R2는 C1-C4 알킬 또는 CF3 기, 또는 C1-C4 알킬이나 CF3 기에 의해 임의적으로 치환된 페닐기임,
    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Ⅵ)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3
    (Ⅵ)
    여기서:
    Ar은 페닐, 나프틸,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피리디닐,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티아졸릴, 2,1,3-벤조티아디아졸릴, 3,4-디하이드로-1,4-벤즈옥사지닐, 5,6,7,8-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레닐,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2-옥소퀴놀리닐, 3,4-디하이드로-2H-벤조피라닐, 인돌릴, 2,3-디하이드로인돌릴, 벤조퓨라닐, 2,3-디하이드로벤조퓨라닐, 1,3-벤조-디옥소릴, 1,4-벤조디옥사닐 및 벤조옥사졸릴 기로부터 선택된 방향족 또는 헤테로아릴로, 할로겐원자 및 C1-C6 알킬, 페닐, CF3, CN, CO-R2, OR2, SR2, NH-COR2, 모르폴리닐, 아미노 및 4-모르폴리노술포닐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자나 원자군으로 임의적으로 치환됨,
    의 아릴술포닐 클로라이드와, 용매에서, 실온에서 1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ⅩⅠ)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4
    (ⅩⅠ)
    여기서:
    Ra, Rb 및 Ar은 구조식 (Ⅵ) 및 (Ⅸ)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b) 구조식 XI의 화합물을 다음 구조식(Ⅲ)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5
    (Ⅲ)
    여기서:
    n = 1, 2 또는 3;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C1-C6 알킬기이고;
    R은 C1-C3 알킬기이고; 그리고
    X는 단일결합,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임,
    의 아세틸렌 유도체와, 상기 제10항에 기술된 공정의 단계 a)에 대해 기술된 것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Ⅶ)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6
    (Ⅶ)
    여기서:
    Ra, Rb, n, X, R3, R4, R 및 Ar은 구조식 (III), (Ⅵ) 및 (Ⅸ)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화합물을 얻음;
    c) 상기 구조식 VII의 화합물을 상기 제10항에 기술된 공정의 단계 (d)를 수행하기 위해 기술한 것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고리화 반응하여, 다음 구조식(Ⅰa)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7
    (Ⅰa)
    여기서:
    Ra, Rb, n, X, R3, R4, R 및 Ar은 구조식 (III), (Ⅵ) 및 (Ⅸ)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의 인돌 화합물을 얻음;
    d) 만일 필요하다면, 구조식 Ia의 화합물의 에스테르 기를 가수분해하고, 그런 다음 산으로 처리하여 다음 구조식 Ib의 화합물을 얻음:
    Figure 112013094195589-pct00088
    (Ib)
    여기서:
    Ra, Rb, n, X, R3, R4, 및 Ar은 구조식 (III), (Ⅵ) 및 (Ⅸ)의 화합물에서 정의된 것과 같음;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두 단계 b) 및 c)가 단일 조작으로 수행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20087004317A 2005-08-30 2006-08-29 신규한 인돌 화합물 KR101378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8858A FR2890071B1 (fr) 2005-08-30 2005-08-30 Nouveaux composes de l'indole
FR0508858 2005-08-30
PCT/FR2006/050818 WO2007026097A1 (fr) 2005-08-30 2006-08-29 Nouveaux composes de l'ind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020A KR20080049020A (ko) 2008-06-03
KR101378637B1 true KR101378637B1 (ko) 2014-04-01

Family

ID=3642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4317A KR101378637B1 (ko) 2005-08-30 2006-08-29 신규한 인돌 화합물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2) US7795297B2 (ko)
EP (1) EP1919869B1 (ko)
JP (1) JP5108765B2 (ko)
KR (1) KR101378637B1 (ko)
CN (1) CN101248044B (ko)
AT (1) ATE464291T1 (ko)
AU (1) AU2006286430B2 (ko)
BR (1) BRPI0615334B8 (ko)
CA (1) CA2620658C (ko)
CY (1) CY1110146T1 (ko)
DE (1) DE602006013652D1 (ko)
DK (1) DK1919869T3 (ko)
EA (1) EA013795B1 (ko)
ES (1) ES2344666T3 (ko)
FR (1) FR2890071B1 (ko)
HK (1) HK1116795A1 (ko)
HR (1) HRP20100339T1 (ko)
IL (1) IL189183A (ko)
MY (1) MY160256A (ko)
NO (1) NO340381B1 (ko)
PL (1) PL1919869T3 (ko)
PT (1) PT1919869E (ko)
RS (1) RS51332B (ko)
SI (1) SI1919869T1 (ko)
TN (1) TNSN08090A1 (ko)
UA (1) UA92025C2 (ko)
WO (1) WO2007026097A1 (ko)
ZA (1) ZA2008018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90071B1 (fr) * 2005-08-30 2007-11-09 Fournier Sa Sa Lab Nouveaux composes de l'indole
PE20090159A1 (es) * 2007-03-08 2009-02-21 Plexxikon Inc COMPUESTOS DERIVADOS DE ACIDO INDOL-PROPIONICO COMO MODULADORES PPARs
JP5225716B2 (ja) * 2008-03-11 2013-07-03 新日鉄住金化学株式会社 インド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FR2933609B1 (fr) 2008-07-10 2010-08-27 Fournier Lab Sa Utilisation de derives d'indole comme activateurs de nurr-1, pour le traitement de la maladie de parkinson.
FR2950053B1 (fr) * 2009-09-11 2014-08-01 Fournier Lab Sa Utilisation de derives d'indole benzoique comme activateurs de nurr-1, pour le traitement de la maladie de parkinson
AU2015273454B2 (en) * 2014-06-13 2019-09-05 Inventiva PPAR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fibrotic diseases.
CR20170594A (es) 2015-06-09 2018-04-27 Abbvie Inc Moduladores de receptor nuclear
CN109316601B (zh) * 2017-07-31 2021-11-09 武汉朗来科技发展有限公司 药物组合物及其用途
FR3084254B1 (fr) 2018-07-27 2020-10-23 Inventiva Derives deuteres du lanifibranor
US11504380B2 (en) 2019-11-08 2022-11-22 Inventiva Method of treatment of cirrhosis
WO2021161218A1 (en) * 2020-02-11 2021-08-19 Inorbit Therapeutics Ab Sulfinic acid and sulfonic acid compounds for use in modulat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CN111793066B (zh) * 2020-07-17 2022-04-08 瀚海新拓(杭州)生物医药有限公司 苯并五元杂环磺酰胺类化合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应用
WO2022122014A1 (zh) 2020-12-11 2022-06-16 苏州科睿思制药有限公司 Lanifibranor的晶型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6829144A (zh) * 2020-12-29 2023-09-29 广东东阳光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化合物的固体形式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4352056A1 (en) 2021-06-10 2024-04-17 Teva Pharmaceuticals International GmbH Solid state forms of lanifibrano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15466252A (zh) * 2021-06-11 2022-12-13 上海希迈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Lanifibranor的晶型及其制备方法
IL310703A (en) 2021-08-12 2024-04-01 Crystal Pharmaceutical Suzhou Co Ltd A crystalline form of lenifibrenor,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use
TW202404966A (zh) 2022-04-05 2024-02-01 法商因文帝華公司 蘭尼菲諾(lanifibranor)之晶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8103B1 (en) 1997-08-07 2001-09-11 Zeneca Limited Indole derivatives as MCP-1 receptor antagonists
WO2005009958A1 (en) 2003-07-17 2005-02-03 Plexxikon, Inc. Ppar activ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281A (en) * 1989-06-29 1997-05-20 Warner-Lambert Company N-substituted cycloalkyl and polycycloalkyl α-substituted Trp-Phe- and phenethylamine derivatives
WO1997028149A1 (en) 1996-02-02 1997-08-07 Merck & Co., Inc. Method for raising hdl cholesterol levels
ES2230676T3 (es) 1997-03-14 2005-05-01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Nuevos indolcarboxamida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procedimientos de inhibicion de la calpaina.
GB9902461D0 (en) 1999-02-05 1999-03-24 Zeneca Ltd Chemical compounds
EP1259494A4 (en) 2000-02-18 2004-09-15 Merck & Co Inc ARYLOXY ACETIC ACIDS FOR DIABETES AND LIPID DISEASES
CN1505613A (zh) * 2000-10-10 2004-06-16 ʷ��˿�������ȳ�ķ���޹�˾ 取代的吲哚、含这类吲哚的药物组合物及它们作为PPAR-γ结合剂的用途
DE60204674T2 (de) 2001-03-14 2006-05-18 Eli Lilly And Co., Indianapolis Retinoid x rezeptormodulatoren
US7563748B2 (en) 2003-06-23 2009-07-21 Cognis Ip Management Gmbh Alcohol alkoxylate carriers for pesticide active ingredients
RU2346996C2 (ru) 2004-06-29 2009-02-20 ЮРОПИЭН НИКЕЛЬ ПиЭлСи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выщелачивание основных металлов
AU2005311826A1 (en) 2004-11-30 2006-06-08 Plexxikon, Inc. Indole derivatives for use as PPAR active compounds
FR2890071B1 (fr) * 2005-08-30 2007-11-09 Fournier Sa Sa Lab Nouveaux composes de l'indole
FR2890072A1 (fr) * 2005-09-01 2007-03-02 Fournier S A Sa Lab Nouveaux composesde pyrrolopyrid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8103B1 (en) 1997-08-07 2001-09-11 Zeneca Limited Indole derivatives as MCP-1 receptor antagonists
WO2005009958A1 (en) 2003-07-17 2005-02-03 Plexxikon, Inc. Ppar activ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0658C (fr) 2015-03-31
HRP20100339T1 (hr) 2010-07-31
NO340381B1 (no) 2017-04-10
EA013795B1 (ru) 2010-06-30
AU2006286430B2 (en) 2012-04-12
CY1110146T1 (el) 2015-01-14
US8436040B2 (en) 2013-05-07
FR2890071B1 (fr) 2007-11-09
US20100286137A1 (en) 2010-11-11
BRPI0615334B1 (pt) 2020-10-13
DK1919869T3 (da) 2010-08-02
US20080153816A1 (en) 2008-06-26
ATE464291T1 (de) 2010-04-15
JP5108765B2 (ja) 2012-12-26
WO2007026097A1 (fr) 2007-03-08
RS51332B (en) 2011-02-28
PT1919869E (pt) 2010-06-30
ES2344666T3 (es) 2010-09-02
EP1919869B1 (fr) 2010-04-14
IL189183A (en) 2013-11-28
KR20080049020A (ko) 2008-06-03
FR2890071A1 (fr) 2007-03-02
TNSN08090A1 (fr) 2009-07-14
JP2009506099A (ja) 2009-02-12
BRPI0615334B8 (pt) 2021-05-25
CA2620658A1 (fr) 2007-03-08
CN101248044A (zh) 2008-08-20
NO20080595L (no) 2008-03-27
CN101248044B (zh) 2012-05-30
EP1919869A1 (fr) 2008-05-14
IL189183A0 (en) 2008-06-05
BRPI0615334A2 (pt) 2012-12-11
ZA200801886B (en) 2009-08-26
PL1919869T3 (pl) 2010-09-30
EA200800353A1 (ru) 2008-06-30
SI1919869T1 (sl) 2010-08-31
UA92025C2 (en) 2010-09-27
HK1116795A1 (en) 2009-01-02
US7795297B2 (en) 2010-09-14
MY160256A (en) 2017-02-28
DE602006013652D1 (de) 2010-05-27
AU2006286430A1 (en)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637B1 (ko) 신규한 인돌 화합물
JP6063870B2 (ja) RORγ活性の阻害用のN−スルホニル化テトラヒドロキノリンおよび関連二環化合物および病気の治療
US6787651B2 (en) Substituted indoles, pharmaceutical compounds containing such indoles and their use as PPAR-γ binding agents
JP5305914B2 (ja) オキサゾール化合物及び医薬組成物
CA2620662C (fr) Derives de pyrrolopyridine et leurs utilisations comme modulateurs des recepteurs ppar
JP2005532347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介在疾患の治療用ピロール化合物
WO2006077821A1 (ja) アルドステロン受容体調節剤としての芳香族スルホン化合物
JP2006516254A (ja) Pparモジュレータとしての縮合ヘテロ環誘導体
JP2008520715A (ja) ナイアシン受容体アゴニスト、そのような化合物を含む組成物、および治療方法
JP2002114768A (ja) 2−(2,5−ジハロゲン−3,4−ジヒドロキシフェニル)アゾール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医薬組成物
JP4986927B2 (ja) 医薬
US20030073862A1 (en) Compounds
WO2008028118A1 (en) 1h-indole-2-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eful as ppar modulators
WO2014123203A1 (ja) 糖尿病治療薬
JPWO2012081570A1 (ja) ラクタム化合物又はその塩及びppar活性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