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164B1 - 근접 센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근접 센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164B1
KR101376164B1 KR1020127011400A KR20127011400A KR101376164B1 KR 101376164 B1 KR101376164 B1 KR 101376164B1 KR 1020127011400 A KR1020127011400 A KR 1020127011400A KR 20127011400 A KR20127011400 A KR 20127011400A KR 101376164 B1 KR101376164 B1 KR 10137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opening
main body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472A (ko
Inventor
에이이치 고스게
히데토 요나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폰아레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폰아레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폰아레프
Publication of KR2012007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5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being in movable 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coating, e.g. bearing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72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a clamping screw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telescop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8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 F15B15/2892Mean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e.g. end of strok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제1 피(被)고정 부위(21)와 제1 피고정 부위(21)와 이격(離隔)되어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24)를 가지고, 제1 피고정 부위(21)에 대하여 상대 변위 불가능한 제2 피고정 부위(22)와의 사이의 공간(23)에 배치 고정되는 체결부(securing portion)(40)를 구비한 고정 부재(12)이다. 체결부(40)는, 제1 및 피고정 부위에 대하여, 개구(24)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回動軸) L 주위로 회동 가능한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제1 피고정 부위(21)에 맞닿는 제1 접촉부(51)와 개구(24)의 단부(端部) 주위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에 맞닿는 복수 개의 제2 접촉부(52)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제2 접촉부(52)는, 각각 한쪽의 회동 방향측일수록 개구(24) 측으로 되도록 주위 방향으로 경사지고, 회동축 L측일수록 개구(24) 측으로 되도록 직경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42)을, 회동축 L을 중심으로 가진다. 체결부(40)는, 회동에 의해 각 안내 경사면(42)이 각각 제2 피고정 부위(22)에 압접(壓接)됨으로써 고정된다.

Description

근접 센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PROXIMITY SENSOR, PROXIMITY SENSOR ATTACHING STRUCTURE, AND PROXIMITY SENSOR 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한쪽에 개구를 가지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피고정 부위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이 고정 부재를 구비한 근접 센서와, 이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와,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대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 연결 구조체와, 이 회동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부재를 다른 부재에 고정시킬 때,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각종 부재에 직접 나사부와 같은 고정 수단을 설치하여 각종 부재 자체를 고정 부재로서 고정시키거나 하는 것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근접 센서(99)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스위치(98)가 연질 수지(97)에 매설되고, 그 표면이 경질 수지(96)에 의해 덮힌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근접 센서(99)를,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튜브와 같은 기체(基體)(95)에, 미리 근접 센서(99)의 단면(斷面) 형상에 대응한 단면이 대략 원형인 홈부(94)를 형성하여 두고, 이 홈부(94)에 근접 센서(99)를 수용하여 나사(92)에 의해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홈(94)에 수용하기 전에, 근접 센서(99)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공(93)에 나사(92)를 나사결합하고, 홈부(94)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나사공(93) 내에 나사(92)를 수용하여 둔다.
이 상태에서, 근접 센서(99)를 홈부(94)의 단부(94a)로부터 삽입하고, 홈부(94) 내를 원하는 검출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근접 센서(99)의 돌출 부분(99a)이나 리드선(91)은, 홈부(94)의 개구(90) 내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원하는 검출 위치에서 양호한 정밀도로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나사(92)를 단단히 조여, 그 위치에서 근접 센서(99)를 고정시킨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92)를 홈부(94)의 바닥부(94b)에 맞닿게 하여 단단히 조이면, 나사(92)의 반력(反力)에 의해 근접 센서(99)가 개구(90) 측으로 밀어올려지고, 근접 센서(99)의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외표면이 홈부(94)의 내벽면에서의 개구(90) 주위로 가압된다.
그 후, 또한 나사(92)를 단단히 조이면, 나사공(93)과의 나사 결합 강도에 의해, 나사(92)가 홈부(94)의 바닥부(94b)에 강하게 가압되고, 이로써, 근접 센서(99)가 원하는 검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일본 특허 제3407196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이 근접 센서(99)를 홈부(94)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내측으로부터 고정시키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근접 센서(99)에 나사(92)의 전체 길이분을 나사 결합시키고 나서 홈부(94)에 삽입하고, 위치 결정 후에 재차 나사(92)를 단단히 조이는 것이 필요해지므로, 장착 작업에 수고를 요하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근접 센서(99)를 홈부(94)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근접 센서(99)의 외경 형상을 홈부(94)의 개구(90)보다 크게 형성하는 동시에, 근접 센서(99)의 외형 형상과 홈부(94) 및 개구(90)와의 사이에 충분한 클리어런스를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근접 센서(99)의 외형 형상으로 제약이 있을뿐아니라, 근접 센서(99)를 홈부(94)의 단부(94a)로부터 삽입하여 원하는 검출 위치까지 슬라이드시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장착 작업에 수고를 요하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나사(92)를 근접 센서(99)의 나사공(93)에 나사 결합시켜 사용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장착 전 등에 나사(92)를 느슨하게 한 상태, 즉 나사(92)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하여 두면, 근접 센서(99)로부터 나사(92)가 나사공(93)으로부터 벗어나 이탈하는 경우가 있어, 문제점이 있었다.
이들과 같은 문제는, 근접 센서(99)를 홈부(94) 내에 나사(92)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고정시키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개구를 가지는 중공부(中空部) 내에 각종 부재를 내측으로부터 고정시키는 경우나, 각종 고정 부재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다른 부재에 지지하는 경우 등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개구를 가지는 중공부 내에 각종 부재를 내측으로부터 고정시킬 때, 용이하게 착탈(着脫)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서는, 개구보다 넓은 폭의 중공부에 장착할 때, 개구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근접 센서 및 그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대 회동 가능하게 각종 부재를 다른 부재에 연결할 때, 각종 부재가 다른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회동 연결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3 및 제4 목적으로 한다.
제1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고정 부재는, 제1 피고정 부위와 이 제1 피고정 부위와 이격(離隔)되어 대향하고, 또한 개구를 가지는 제2 피고정 부위와의 사이에 고정되는 체결부(securing portion)를 구비한 고정 부재로서,
체결부는, 개구를 관통하는 회동축 주위로 회동 가능한 형상을 이루고, 회동축과 직교하는 대향 위치 사이의 거리가 개구보다 넓은 돌출부와 개구보다 좁은 협폭부(狹幅部)를 구비하고, 또한 제1 피고정 부위에 맞닿는 제1 접촉부와 돌출부에 설치되어 제2 피고정 부위의 개구 주위에 맞닿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제2 접촉부는, 한쪽의 회동 방향측일수록 개구측으로 되도록 주위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을 가지고, 제1 접촉부가 제1 피고정 부위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동에 의해 각 안내 경사면이 제2 피고정 부위에 압접(壓接)됨으로써 고정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 의하면, 회동축과 직교하는 대향 위치 사이의 거리가 개구보다 넓은 돌출부와 개구보다 좁은 협폭부를 구비하고, 돌출부에 제2 피고정 부위의 개구 주위에 맞닿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개구 및 개구보다 넓은 중공부 내에 각종 부재를 내측으로부터 고정시킬 때, 다른 부분보다 좁은 폭의 협폭부를 이용하여, 개구의 정면측으로부터 체결부를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체결부를 회동시킴으로써, 그 개구 주위에 제2 접촉부를 내측으로부터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의 제2 접촉부에, 주위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부를 제1 피고정 부위와 제2 피고정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체결부의 제1 접촉부를 제1 피고정 부위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제2 피고정 부위에 안내 경사면을 압접시킬 수 있어, 체결부를 제1 피고정 부위와 제2 피고정 부위와의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개구 및 개구보다 넓은 중공부 내에 각종 부재를 내측으로부터 고정시킬 때, 중공부 내에 단부측으로부터 장착할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고정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는, 안내 경사면이 회동축 측일수록 개구측으로 되도록 직경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안내 경사면이 제2 피고정 부위의 개구 주위로 압접되면, 안내 경사면의 직경 방향의 경사에 의해 개구의 중앙측의 적절한 위치로 어긋날 수가 있어, 개구에 대하여 파스너가 편심되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체결부를 가지는 고정 부재를 용이하게 개구의 중심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에서는, 복수 개의 안내 경사면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복수 개의 안내 경사면에 의해 각각 제2 피고정 부위의 개구 주위로 압접할 수 있어, 중심에 위치맞춤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체결부로부터 회동축을 따라 돌출되고,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축부를 구비한다. 이로써, 축부를 이용하여 고정 부재를 각종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걸 수 있어, 각종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 가능하다.
동시에, 각종 피고정물에 수용공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에 축부를 수용한 상태로 하면, 체결부를 회전시킬 때, 수용공에 의해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고정 전에 고정 부재를 소정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축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피고정물의 수용공에 나사홈을 형성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용공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나사에 의한 체결력이 아니고, 고정 부재에 의한 가압력으로 고정시키므로, 수용공의 주위의 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피고정물의 폭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는, 상기와 같은 고정 부재와, 고정 부재의 축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 한쪽 면 측에 설치된 제1 피고정 부위 및 다른쪽 면 측에 설치된 검출면을 가지는 근접 센서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 부재에 의해 스위치 본체를 고정하므로, 고정 부재의 제2 접촉부의 안내 경사면을 제2 피고정 부위에 압접시키면, 그 반력에 의해 제1 접촉부에 의해 근접 센서 본체의 제1 피고정 부위가 가압되고, 이로써 검출면을 피검출물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검출면을 피검출물 측으로 밀착시켜 장착할 수 있어, 충분한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정시킴으로써 피검출물 측의 표면에 상흔(傷痕)이 쉽게 생기지 않으므로, 고정 및 해제를 반복해도 감도가 쉽게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근접 센서 본체를 고정 부재의 체결부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고정하므로, 종래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의 구멍에 나사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 주위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폭을 넓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근접 센서 본체의 폭을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에 의해서는, 고정 부재보다 검출면 측에서의 근접 센서 본체의 폭이, 개구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 부재의 협폭부의 방향을 근접 센서 본체의 폭 방향에 맞추면, 근접 센서 전체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긴 구멍이나 홈과 같은 개구 및 개구보다 광폭(廣幅)의 중공부를 가지는 공간 내에, 개구를 통해 근접 센서 본체 및 고정 부재를 삽입시키기 용이하다. 그리고, 공간 내에 삽입한 후에 고정 부재를 회동시키면, 안내 경사면을 근접 센서 본체의 최대폭보다 넓은 폭으로 배치할 수 있어, 이 안내 경사면을 개구의 단부 주위에 맞닿게 하여, 근접 센서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개구보다 넓은 폭의 중공부에, 근접 센서를 개구로부터 삽입할 수 있어, 장착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근접 센서와, 근접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 및 개구보다 광폭의 중공부를 구비하고, 중공부는, 개구와 대향하여 피검출물 측에 형성되는 바닥부를 가지고, 근접 센서 본체는, 한쪽에 제1 피고정 부위를 가지는 동시에, 다른 쪽에 검출면을 가지고, 검출면이 중공부의 바닥부에 압접하여 장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중공부가 개구와 대향하여 피검출물 측에 형성되는 바닥부를 가지고, 근접 센서 본체의 검출면이 중공부의 바닥부와 맞닿아 장착되어 있으므로, 근접 센서 본체의 검출면을 피검출물 측으로 밀착시켜 배치할 수 있어, 충분한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를 나사에 의해 고정하는 것이 아니고, 근접 센서 본체의 검출면을 중공부의 바닥부에 압접하므로, 바닥부에 나사에 의한 상흔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반복 근접 센서 본체를 착탈하거나, 위치맞춤하도록 한 경우라도, 중공부의 바닥부에 형성된 상흔에 의해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는, 근접 센서 본체의 검출면이 경사 철면(凸面)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중공부의 바닥부가 검출면에 대응하는 요면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근접 센서 본체의 검출면이 중공부의 바닥부에 가압됨으로써, 근접 센서 본체의 검출면측이 바닥부의 소정 위치로 안내되어, 근접 센서 본체의 검출면을 바닥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는, 제1 피고정 부위와 제1 접촉부와의 사이, 또는 검출면과 바닥부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근접 센서 본체가 장착되는 부위에 진동이 가해지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근접 센서를 장착한 후에, 고정 부재에 의한 고정력이 저하되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동 연결 구조체는, 헤드부 및 단면이 원형인 축부를 구비한 제1 부재와, 축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또한 헤드부 측의 단부가 헤드부보다 작은 수용공을 가지고 성형된 제2 부재를 구비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대 회동 가능하며, 축부는, 헤드부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와 스트레이트 축부의 헤드부와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를 구비하고, 수용공은, 스트레이트 축부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와 스토퍼 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스토퍼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회동 연결 구조체에 의하면, 제1 부재가 헤드부 및 단면이 원형인 축부를 구비하고, 축부가 헤드부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와 스트레이트 축부의 헤드부와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를 구비하고, 한편, 제2 부재에 형성된 수용공의 한쪽의 단부가 헤드부보다 작고, 또한 스트레이트 축부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2 부재의 수용공에 제1 부재의 축부가 배치됨으로써, 축부에 의해 제2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을뿐아니라, 헤드부와 스토퍼 축부에 의해 제2 부재의 축 방향 양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대 회동 가능한 제1 부재가 제2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 축부는 헤드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스토퍼 지지부는 스토퍼 축부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축부의 헤드부와 스토퍼 지지부와의 사이의 거리와 수용공의 단부와 스토퍼 지지부와의 사이의 거리와의 차이를 작게 설정하고 있어도, 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축 방향의 어긋남을 작게 억제하여 상대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부 및 스토퍼 지지부가 테이퍼 형상이면, 근소한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테이퍼 부분의 전체면이 서로 이격되게 할 수 있어, 슬라이드 이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동 연결 구조체는, 제2 부재가, 기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부재가, 회동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구로서, 기체에 대하여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회동 연결 구조체는, 제2 부재가, 기체에 대하여 고정되는 피고정물로 이루어지고, 제1 부재는, 피고정물을 기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로서, 기체에 대하여 고정 가능한 고정부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회동 연결 구조체는, 피고정물이, 기체의 피검출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본체부와 검출 본체부를 봉지(封止)하는 수지 봉지부를 가지는 근접 센서 본체이며, 수지 봉지부에 고정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회동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은, 헤드부와, 단면이 원형인 축부를 구비하고, 축부는, 헤드부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와 스트레이트 축부의 헤드부와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를 구비한 제1 부재를 제작하는 제1 부재 제작 공정과, 제2 부재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캐비티를 가지는 성형형(成形型)을 사용하고, 제1 부재의 헤드부를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스토퍼 축부를 캐비티 내에 배치한 상태로 제1 부재를 성형형에 배치하고, 캐비티 내에서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제1 부재의 축부에 제2 부재가 접합된 상태의 성형체를 제작하는 제2 부재 제작 공정과, 성형체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축부에 따라 상대 가압하여 축부와 제2 부재와의 접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연결된 회동 연결 구조체를 얻는 해제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회동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부재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된 헤드부, 스트레이트 축부 및 스토퍼 축부를 가지는 제1 부재를 제작하고, 제2 부재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1 부재의 헤드부를 성형형의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스토퍼 축부를 캐비티 내에 배치한 상태로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제1 부재의 축부에 제2 부재가 접합한 상태의 성형체를 제작하고, 그 후에 제1 부재의 헤드부를 가압하여 제1 부재와 제2 부재와의 접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하므로, 제1 부재에 대하여 제2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양자가 상대 회동 가능한 회동 연결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회동 연결 구조체의 제조 공정이나 작업을 적게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회동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성형형은, 제1 부재의 축부와 대향하는 형면(型面)에 공극부(空隙部)를 형성하기 위한 입체 형상부를 가지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부품의 제작 공정에 의해 얻어진 성형체에 있어서, 제1 부재의 축 방향 인접 위치에 공극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부재의 헤드부를 가압하여 접합 상태를 해제할 때, 제1 부재의 축부가 성형체 내의 공간 부분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접합 상태의 해제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 회동 연결 구조체의 제조 방법에서는, 스토퍼 축부를 헤드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부재를 제2 부재에 대하여 약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상대 회동 가능할 정도로 접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접합형체의 해제 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근접 센서 장착 도중을 나타낸 사시도, (b)는 근접 센서의 장착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고정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b)의 A-A 단면도, (b)는 고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b)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근접 센서의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근접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고정 부재의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배면도, (e)는 평면도, (f)는 저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고정 도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근접 센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 부재를 성형형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성형체를 나타낸 단면도, (c)는 성형체를 나타낸 단면도, (d)는 근접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제2 실시예에 관한 고정 부재의 정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d)는 배면도, (e)는 평면도, (f)는 저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고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제3 실시예에 관한 고정 부재의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관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에서의 고정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관한 레일 및 훅 부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4 실시예에 관한 레일 및 훅 부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의 (a)는 제5 실시예에 관한 전구 및 소켓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b)는 소켓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제6 실시예에 관한 캐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6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7 실시예에 관한 고정 장착 부재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8 실시예에 관한 행거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근접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은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11) 및 고정 부재(12)를 가지는 근접 센서(10)와, 이 근접 센서(10)를 기체(13)에 장착한 장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고정 부재란, 다른 부재에 고정되는 부재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각종 부재를 다른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이다. 근접 센서란, 피검출물의 위치를 비접촉으로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발하는 장치이다.
제1 실시예의 장착 구조에서는, 피검출물을 가지는 기체(13)에 근접 센서(10)가 장착되어 있다. 피검출물을 가지는 기체(13)란, 근접 센서(10)에 의해 위치를 검출 가능한 피검출물이 상대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피검출물은 기체(13)에 내장되어 있어도 되고, 외장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체압 실린더 등에서는, 기체(13)로서의 실린더 블록에 피검출물로서의 피스톤 또는 실린더가 상대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실린더 블록의 외표면에 근접 센서(10)가 장착됨으로써, 피스톤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장착 구조에서는, 기체(13)에 홈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14)에 근접 센서 본체(11)가 수용되고, 근접 센서 본체(1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피고정 부위(21)와 홈부(1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피고정 부위(22)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 본체(11)가 고정 부재(12)에 의해 내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피고정 부위(21)와 제2 피고정 부위(22)는 이격되어 대향하는 위치로 설정되고, 높이 방향의 상대 변위가 불가능으로 되어 있고, 양 부위 사이에 고정 부재(12)를 배치하는 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기체(13)의 홈부(14)는, 기체(13)의 표면에 1방향으로 연장되는 개구(24)를 가지는 동시에, 내부에 개구(24)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중공부(25)를 가진다. 여기서는, 중공부(25)는 개구(24)의 폭보다 큰 직경의 단면이 원형 또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구(24)와 대향하여 피검출물 측으로 되는 바닥부(26)는, 홈부(14)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일정한 원호형을 가지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홈부(14)의 제2 피고정 부위(22)는, 개구(24)의 단부의 내측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24)의 단부의 내측 주위는, 개구(24)와 인접하는 위치라도 되지만, 개구(24)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라도 된다. 제2 피고정 부위(22)는, 고정 부재(12)의 장착 방향인 회전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중공부(25)의 내 표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근접 센서(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11)와, 근접 센서 본체(11)를 기체(13)에 장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12)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부재(12)는, 축부(27)가 근접 센서 본체(11)의 일단측에 형성된 수용공(28)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됨으로써, 근접 센서 본체(11)에 지지되어 있다.
근접 센서 본체(11)는, 피검출물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본체부로서의 리드 스위치(31)가 기판(32)에 지지되고, 기판(32)에 리드 스위치(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리드선(33)이 고정되고, 리드 스위치(31), 기판(32), 리드선(33)의 단부가 수지 봉지부(34)에 매설되어 있고, 수지 봉지부(34)로부터 리드선(33)이 연장되어 있다.
수지 봉지부(34)의 수지는, 종래와 같이 장착을 위한 큰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기체(13)의 홈부(14) 내에 장시간 압접 상태로 유지되어도 변형이 쉽게 생기지 않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각종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지 봉지부(34)에서는, 리드선(33)보다 더 일단측에, 고정 부재(1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공(28)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28)은, 후술하는 고정 부재(12)의 헤드부로서의 체결부(40)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28)에 인접하는 상면의 주위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 피고정 부위(21)로 되어 있다.
한편, 리드 스위치(31)가 아래쪽에 배치됨으로써, 수지 봉지부(34)의 타단측의 넓은 범위의 하면이 검출면(41)으로 되어 있다. 이 검출면(41)은, 요면(凹面) 형상을 이루는 홈부(14)의 바닥부(26)에 대응한 경사 철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수지 봉지부(34)에서는, 제1 피고정 부위(21)보다 검출면(41) 측의 폭이, 홈부(14)의 개구(2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고, 제1 피고정 부위(21)에 맞닿는 고정 부재(12)보다 검출면(41) 측의 전체가 홈부(14) 내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부재(1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23)에 배치 고정되는 헤드부로서가 체결부(40)와, 체결부(40)로부터 회동축 L을 따라 돌출하고,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축부(27)를 구비한다.
체결부(40)는, 제1 및 제2 피고정 부위(21, 22)에 대하여, 개구(24)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 L 주위로 회동 가능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46)과, 중앙부(46)의 측 주위로부터 측방으로 단차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회동축 L과 직교하는 대향 위치 사이의 거리가 개구(24)의 폭보다 넓은 돌출부(47)를 구비한다.
이 체결부(40)에서는, 근접 센서 본체(11)의 제1 피고정 부위(21) 측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제1 접촉부(51)로 되어 있다. 돌출부(47)의 개구(24) 측 표면이, 개구(24)의 단부 주위와 맞닿는 제2 접촉부(52)로 되어 있고, 여기서는, 2개의 제2 접촉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접촉부(52)에는, 각각 한쪽의 회동 방향측일수록 개구(24) 측으로 되도록 주위 방향으로 경사지고, 또한 회동축 L측일수록 개구(24) 측으로 되도록 직경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42)이, 회동축 L을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안내 경사면(42)은, 회동축 L 주위에 반주(半周)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짧은 범위로 형성해도 된다. 반회전보다 크게 형성되면, 각 안내 경사면(42)의 주위 방향의 경사를 균등하게 형성하기 어려워, 각 안내 경사면(42)을 양호한 밸런스로 제2 접촉부(52)에 맞닿게 하여 체결부(40)를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게 될 수 있다.
여기서는, 각 안내 경사면(42)은, 각 안내 경사면(42)이 동일 형상으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회동축 L을 중심으로 축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우쳐 설치되면, 체결부를 양호한 밸런스로 고정시키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 안내 경사면(42)은, 제1 접촉부(51)를 제1 피고정 부위(21)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는, 가장 낮은 위치, 즉 축부(27) 측의 위치가 제2 피접촉 부위(2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가장 높은 위치가 제2 피접촉 부위(2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각 안내 경사면(42)의 주위 방향의 경사 θ1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1°이상 89° 이하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상 15° 이하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 경사면(42)의 주위 방향의 경사가 과잉으로 커지면, 개구(24)의 단부에 압접되었을 때, 반력에 의해 압접을 해제하는 방향의 회전력이 가해지기 쉬워, 압접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기울기가 과잉으로 작아지면, 장착 시에 체결부(40)를 회전시키는 각도가 커지므로, 조작성이 저하된다.
이들 안내 경사면(42)은, 주위 방향의 경사 θ1이 각각 동일 기울기로 되게 된다. 이로써, 체결부(40)를 회동시켰을 때, 각각의 제2 접촉부(52)를 제2 피고정 부위(22)의 개구(24)의 단부 주위에 각각 같은 접촉압으로 접촉시키기 쉬우므로, 양호한 밸런스로 체결부(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각 안내 경사면(42)의 개구단부에 압접되는 부위에서의 직경 방향의 경사 θ2도, 적절히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면, 90°미만의 범위에서 주위 방향의 경사 θ1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사가 급준하면, 제2 피고정 부위에 맞닿게 했을 때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어, 체결부(40)의 조심(調心) 작용을 크게 얻을수 있지만, 조정 범위가 좁아지기 쉽다. 한편, 과잉으로 완만하면, 가로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이 작아져, 충분한 조심 작용을 얻기 어려워진다.
이 안내 경사면(42)의 직경 방향의 경사 θ2는, 각 안내 경사면(42)이 맞닿는 개구(24)의 단부 주위의 경사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한 경사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이한 경사이면, 서로 맞닿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지는 만큼, 슬라이드 이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직경 방향의 경사 θ2는 직경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직경 방향 주위둘레 측일수록 기울기가 커지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40)에서는, 회동축 L과 직교하는 한쌍의 대향 위치로서, 2개의 안내 경사면(42) 사이의 위치에는, 회동축 L과 직교하는 대향 위치 사이의 거리가 개구(24)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협폭부로서의 모따기부(chamfering portion)(53)가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모따기부(53)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따기부(53)를 형성함으로써, 모따기부(53)를 홈부(14)의 개구(24)의 둘레부를 따르게 하면, 홈부(14)의 개구(24)를 통하여, 체결부(40)의 돌출부 측을 용이하게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고정 부재(12)의 축부(27)는, 체결부(40)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56)와, 스트레이트 축부(56)의 체결부(40)와는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56)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57)를 구비한다. 스트레이트 축부(56)는 회동축 L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일정한 원형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 축부(57)는, 회동축 L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스트레이트 축부(56)의 단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일정한 원형으로 되어 있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스트레이트 축부(56) 측으로부터 단부측을 향해, 즉 체결부(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서서히 직경이 커지도록 단면이 원형인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고정 부재(12)의 축부(27)를 지지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므로, 스트레이트 축부(56)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54)와, 스토퍼 축부(57)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스토퍼 축부(57)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스토퍼 지지부(55)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12)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압접 상태로 장시간 유지해도 변형이 생기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적합하고, 예를 들면, 철, 동, 알루미늄 등의 각종 금속, 고성능 플라스틱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은 근접 센서(1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근접 센서(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미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스위치(31)가 기판(32)에 지지되고, 기판(32)에 리드 스위치(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리드선(33)이 고정된 상태의 중간 구조체(61)를 제작하여 둔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로서의 체결부(40)와 단면이 원형인 축부(27)를 구비하고, 축부(27)가, 체결부(40)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56)와, 스트레이트 축부(56)의 체결부(40)와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56)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57)를 구비한 고정 부재(12)를, 예를 들면, 성형, 기계 가공, 압조(壓造) 등에 의해 제작하는 등, 적절한 방법으로 준비한다(제1 부재 제작 공정).
그 후,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11)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캐비티(62)를 가지는 성형형(60)에, 고정 부재(12)가 체결부(40)를 캐비티(62)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스토퍼 축부(57)를 캐비티(62)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12)를 배치한다. 체결부(40)를 캐비티(62)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여기서는 캐비티(62)와 체결부(40)의 제1 접촉부(51)와의 사이에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66)를 개재시키고 있다. 동시에, 미리 제작된 중간 구조체(61)의 소정 부위를 캐비티(62) 내에 배치한다.
이 성형형(60)에는, 고정 부재(12)의 스토퍼 축부(57)와 축 L 방향으로 대향하는 형면의 소정 위치에, 축부(27)의 최대 단면부(斷面部)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입체 형상부(63)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 부재(12)를 배치한 상태로 형체결됨으로써, 고정 부재(12)의 스토퍼 축부(57)와 입체 형상부(63)가 접촉하여 배치된다. 입체 형상부(63)는, 성형형(60)과는 별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인서트품이어도 되지만, 여기서는, 성형형(60)의 캐비티(62)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성형형(60)에 일체로 설치된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성형형(60)을 형체결한 후,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티(62) 내에 수지(64)를 사출하여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지 봉지부(34)를 성형한다(제2 부재 제작 공정).
이로써,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구조체(61)가 매설되고, 또한 고정 부재(12)의 축부(27)의 일부가 매설되어, 고정 부재(12)가 접합된 수지 봉지부(34)를 구비한 성형체(65)가 성형된다. 이 때, 스토퍼 축부(57)와 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축부(27)의 최대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공극부(30)가 입체 형상부(63)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부재 제작 공정에서 얻어진 성형체(65)를 성형형(60)으로부터 꺼내고, 근접 센서 본체(11)를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12)가 체결부(40)를 회동축 L 방향을 따른 스토퍼 축부(57) 측에, 예를 들면, 충격력을 가함으로써 가압한다. 그러면, 스토퍼 축부(57)와 수지(64)와의 접합 상태가 해제되고, 이로써,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11)와 고정 부재(12)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수용공(28)에 있어서 연결된 근접 센서(10)의 제조가 완료된다(해제 공정).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근접 센서(10)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근접 센서(10)를 기체(13)의 홈부(14)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1의 (a) 및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11)에 대하여, 고정 부재(12)를 수용공(28) 내에서 회동시켜, 체결부(40)의 모따기부(53)를 근접 센서 본체(11)의 폭 방향에 배치하고, 근접 센서(10) 전체의 폭을 좁게 한다. 그 상태에서, 근접 센서 본체(11)의 검출면(41)을 바닥부(26) 측으로 배향시켜, 개구(24)로부터 홈부(14)에 삽입한다.
이어서, 검출면(41)이 홈부(14)의 바닥부(26)에 맞닿은 상태에서, 근접 센서 본체(11)에 대하여 체결부(40)를 회동시킨다. 그러면, 체결부(40)의 안내 경사면(42)이 주위 방향의 경사에 의해, 개구(24)의 단부 주위의 제2 피고정 부위(22)에 맞닿고, 그 반력에 의해 체결부(40)의 제1 접촉부(51)가 근접 센서 본체(11)의 제1 피고정 부위에 맞닿는다.
그 후, 또한 체결부(40)를 회동시키면, 안내 경사면(42)의 주위 방향의 경사에 의해, 안내 경사면(42)과 개구(24)의 단부 주위의 제2 피고정 부위(22)와의 접촉 압력이 증가한다. 그러면, 안내 경사면(42)의 직경 방향의 경사에 따라 제2 피고정 부위(22)로부터의 반력의 가로 방향 성분에 의해 체결부(40)에 개구(24)의 중심측을 향한 힘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홈부(14)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체결부(40)가 배치되어 있어도, 이 힘에 의해 중심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24)의 양측의 제2 피고정 부위(22)에 각 안내 경사면(42)이 맞닿음으로써, 서로 반대로 되는 가로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체결부(40)가 조심된다.
동시에, 각 안내 경사면(42)이 제2 피고정 부위(22)를 가압한 반력에 의해, 체결부(40)의 제1 접촉부(51)가 근접 센서 본체(11)의 제1 피고정 부위를 압압하고, 이로써, 근접 센서 본체(11)의 검출면(41)이 홈부(14)의 바닥부(26)에 압접된다. 그러면, 검출면(41)과 홈부(14)의 바닥부(26)가 서로 대응하는 철면 형상과 요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부(40)의 조심과 서로 작용하여, 근접 센서(10) 전체가 홈부(14)의 중심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1의 (b) 및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11)에 대하여 체결부(40)를 충분히 회동시켜, 각 안내 경사면(42)와 제2 피고정 부위(22)를 충분히 압접시키고, 또한 체결부(40)의 제1 접촉부(51)으로 제1 피고정 부위(21)을 충분히 압접시킴으로써, 근접 센서(10)의 장착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서 본체(11)에 대한 체결부(40)의 회동량은, 안내 경사면(42)의 주위 방향의 경사나 공간(23)의 크기에 따른 것으로 되지만, 최대라도 반회전(180°)이며,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체결부(40)의 전체 회동량은, 근접 센서(10)를 홈부(14)에 개구(24)로부터 삽입한 상태로부터 1/10 회전 ~ 4/10 회전, 바람직하게는 1/6 회전 ~ 5/6 회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회전 ~ 3/8 회전, 특히 1/4 회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피고정 부위(21)와 제1 접촉부(51)와의 사이, 또는 검출면(41)과 바닥부(26)와의 사이에는, 도 6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를 개재시켜, 진동에 의한 고정 부재(12)의 느슨함을 방지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상의 같은 근접 센서(10)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사용한 고정 부재(12)에 의하면, 체결부(40)의 복수 개의 제2 접촉부(52)에, 주위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42)이 회동축 L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부(40)를 제1 피고정 부위(21)와 제2 피고정 부위(22)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제1 접촉부(51)로부터 안내 경사면(42)의 각 위치까지의 거리가, 안내 경사면(42)의 주위 방향을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한다.
그러므로, 체결부(40)를 회동시킴으로써, 체결부(40)의 제1 접촉부(51)를 제1 피고정 부위(21)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제2 피고정 부위(22)에 안내 경사면(42)을 압접시킬 수 있고, 이로써, 체결부(40)를 제1 피고정 부위와 제2 피고정 부위와의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축 L과 직교하는 대향 위치 사이의 거리가 개구보다 넓은 돌출부(47)와 개구(24)보다 좁은 모따기부(53)를 구비하고, 돌출부(47)에 제2 피고정 부위(22)의 개구(24)의 주위에 맞닿는 제2 접촉부(52)를 구비함으로써, 다른 부분보다 좁은 폭의 모따기부(25)를 이용하여, 개구(24)의 정면측으로부터 체결부(40)를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파스너(40)를 회동시킴으로써, 그 개구(24)에 안내 경사면(42)을 내측으로부터 접촉시킬 수 있어, 고정 부재(12)에 의한 고정 조작이 용이하다.
여기서는 안내 경사면(42)이 개구(24)와 개구(24)의 주위에 대향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안내 경사면(42)이 개구(24)의 주위의 제2 피고정 부위(22)에 압접되면, 안내 경사면(42)의 직경 방향의 경사에 의해 개구(24)의 중앙측의 적절한 위치로 어긋날 수 있어, 개구(24)에 대하여 체결부가 편심되어 고정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체결부(40)를 가지는 고정 부재(12)를 용이하게 개구(24)의 중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고정 부재(12)에 의하면, 복수 개의 안내 경사면(42)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회동축 L을 중심으로 축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접촉부(51)로부터 각 안내 경사면(42)의 각 위치까지의 거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 개의 안내 경사면(42)의 회동축 L로부터 직경 방향의 각 위치에서의 경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형의 개구(24)에 체결부(40)의 안내 경사면(42)을 맞닿게 하여 압접시킴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중심에 위치맞춤시킬 수 있다.
이 고정 부재(12)에 의하면, 체결부(40)로부터 회동축 L을 따라 돌출하고,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축부(27)를 구비함으로써, 축부(27)를 이용하여 고정 부재(12)를 근접 센서 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거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근접 센서 본체(11)에 수용공(28)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28)에 축부(27)를 수용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체결부(40)를 회전시킬 때, 수용공(28)에 의해 유지하게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고, 또한 고정 전에 고정 부재(12)를 용이하게 소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근접 센서 본체(11)에 축부(27)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28)을 형성하고, 개구(24) 및 개구(24)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공간(23) 내에, 고정 부재(12)와 함께 각종 부재를 수용하고, 이 상태에서 체결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체결부에 의해 각종 부재를 바닥부(26)에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에 나사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용공(28)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근접 센서 본체(11)를 고정시키지 않고,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수용공(28)의 주위의 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근접 센서 본체(11)의 폭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근접 센서 본체(11)의 폭을 작게 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근접 센서(10)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특정한 고정 부재(12)에 의해 근접 센서 본체(11)를 고정하므로, 고정 부재(12)의 제2 접촉부(52)의 안내 경사면(42)을 제2 피고정 부위(22)에 압접시키면, 그 반력에 의해 제1 접촉부(51)에 의해 근접 센서 본체(11)의 제1 피고정 부위(21)가 가압되고, 이로써 다른쪽 면 측의 검출면(41)을 피검출물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검출면(41)을 피검출물 측으로 밀착시켜 장착하기 용이하므로, 충분한 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근접 센서(99)에서는, 나사(92)를 단단히 조여 근접 센서(99)를 홈부(94)에 고정시키면, 근접 센서(99)의 검출면이 길이 방향 한쪽으로 홈부(94)의 바닥부(94b)로부터 부상하여, 근접 센서(99)의 각 위치와 피검출물과의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고, 그 결과, 감도가 저하되어 최적의 검출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홈부(94) 내에서 최적의 위치로 위치맞춤시켜도, 근접 센서(99)를 고정시킨 후에는 감도가 저하되거나 검출 위치가 어긋나거나 하므로, 피검출물의 최적의 검출을 행하기 어렵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근접 센서(10)에서는, 홈부(14) 내에서 위치 결정한 후, 고정 부재(12)로 고정시키면, 검출면(41)을 홈부(14) 내에서 피검출물 측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검출면이 부상하지 않아, 근접 센서(10)의 고정 전과 고정 후에 감도나 검출 위치의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부가하여, 이와 같이 검출면(41)을 홈부(14)의 바닥부(26)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면, 검출면(41)이 홈부(14)의 바닥부(26)에 면접촉하여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고정 후에 바닥부(26)에 상흔 등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근접 센서(10)의 고정과 해제를 반복해도, 홈부(14)의 바닥부(26)의 상흔에 검출면(41)을 접촉시켜 근접 센서(10)를 고정시키도록 하지 않으므로, 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 본체(11)를 고정 부재(12)가 체결부(40)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고정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근접 센서 본체(11)의 구멍에 나사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그 주위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폭을 넓게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근접 센서 본체(11)의 폭을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 근접 센서(10)에서는, 근접 센서 본체(11)의 제1 피고정 부위(21)보다 검출면(41) 측의 최외폭(最外幅)이 개구(2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부재(12)의 모따기부(53)의 방향을 근접 센서 본체(11)의 폭 방향에 맞추면, 근접 센서(10) 전체의 폭을 좁게 할 수 있어, 홈부(14)의 개구(24) 및 개구(24)보다 광폭의 중공부(25)를 가지는 공간(23) 내에, 개구(24)를 통해 근접 센서 본체(11) 및 고정 부재(12)를 삽입시키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공간(23) 내에 삽입한 후에 고정 부재(12)를 회동시키면, 안내 경사면(42)을 근접 센서 본체(11)의 최대폭보다 넓은 폭으로 배치할 수 있어, 이 안내 경사면(42)을 개구(24)의 단부 주위에 맞닿게 하여, 근접 센서(10)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개구(24)보다 넓은 폭의 중공부(25)에, 근접 센서(10)를 개구(24)로부터 직접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한편, 근접 센서(10)가 열화되는 등, 근접 센서(10)를 홈부(14)로부터 분리해 내어 교환하도록 한 경우에는, 고정 부재(12)를 회동시켜 고정 부재(12)의 모따기부(53)의 방향을 근접 센서 본체(11)의 폭 방향에 맞추면, 용이하게 근접 센서(10)를 개구(24)로부터 직접 인출할 수 있어, 예를 들면, 근접 센서(10)가 장착되어 있는 기체(13) 전체를 분리해내는 것과 같은 작업은 불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이 개구(24)로부터 근접 센서(10)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으면, 근접 센서(10)가 장착되는 기체(13)를 설치하는 주위나 홈부(14)의 단부 부근에 근접 센서(10)의 착탈을 위한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배치 스페이스의 공간 절약화가 가능하다.
즉, 도 20에 나타낸 종래의 근접 센서(99)와 같이, 홈부(94)의 단부(94a)로부터 삽입하여 홈부(94) 내를 슬라이드시켜 장착하는 경우, 근접 센서(99)가 장착되는 에어 실린더 등의 피장착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피장착 장치 자체의 설치 스페이스 외에, 그 피장착 장치의 주위에 근접 센서(99)를 홈부(94)의 단부(94a)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근접 센서(10)와 같이, 홈부(14)의 개구(24)로부터 직접 장착할 수 있으면, 피장착 장치의 주위에 그와 같은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 결과,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부가하여, 근접 센서(10)를 홈부(14)에 삽입하는 시점으로부터 홈부(14) 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때까지의 사이에, 고정 부재(12)가 체결부(12)를 반회전 이하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되므로, 근접 센서(10)의 장착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도 20에 나타낸 종래의 근접 센서(99)에서는, 먼저, 홈부(94)의 단부(94a)로부터 삽입하기 위해서는, 나사(92)를 몇번이나 회동시킴으로써, 나사공(93) 내에 거의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하고, 다음에, 근접 센서(99)를 슬라이드시킨 후, 소정 위치에서는, 나사(92)를 복수 회전시켜야만 했었다. 그런데, 이 실시예의 근접 센서(10)에서는 전부 반회전 이하로 할 수 있어, 회전시키는 수고를 적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10)의 장착 구조에 의하면, 근접 센서 본체(11)의 검출면(41)이 경사 철면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홈부(14)의 바닥부(26)가 검출면(41)에 대응하는 요면 형상을 이루므로, 근접 센서 본체(11)의 검출면(41)이 중공부(25)의 바닥부(26)에 가압되므로, 근접 센서 본체(11)의 검출면(41) 측이 바닥부(26)의 소정 위치로 용이하게 안내되어, 근접 센서 본체(11)의 검출면(41)을 바닥부(26)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은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근접 센서(10)에 의하면, 고정 부재(12)가 체결부(40) 및 단면이 원형인 축부(27)를 구비하고, 축부(27)가 체결부(40)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56)와 스트레이트 축부(56)가 체결부(40)와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56)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57)를 구비하고, 한편, 근접 센서 본체(11)에 형성된 수용공(28)의 한쪽의 단부가 체결부(40)보다 작고, 또한 스트레이트 축부(56)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5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에 고정 부재(12)의 축부(27)가 배치됨으로써, 축부(27)에 의해 근접 센서 본체(1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체결부(40)와 스토퍼 축부(57)에 의해 근접 센서 본체(11)의 축 방향 양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착 작업 시에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에 고정 부재(12)를 장착시키는 수고나, 근접 센서 본체(11)로부터 고정 부재(12)가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12)를 홈부(14)에 고정시킬 때는, 고정 부재(12)가 회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에 배치됨으로써, 근접 센서 본체(11)로부터 이탈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근접 센서(12)를 기체(13)에 장착할 때까지의 사이라고 하더라도, 고정 부재(12)는 근접 센서 본체(11)에 지지되어 있어 이탈되지 않고, 장착 시에 별개의 부재의 비스 등을 근접 센서 본체(11)에 장착하여 나사 결합시키는 것 같은 수고는 불필요하다. 동시에, 근접 센서 본체(11)에 고정 부재(12)가 지지되어 있어도, 이탈되지 않으므로, 고정 부재(12)를 낙하시키거나 분실하거나 하도록 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12)를 장착 후에, 체결력이 부족한 것과 같은 경우, 기체(13)의 진동 등으로 고정 부재(12)가 느슨해졌다고 해도, 근접 센서 본체(11)로부터 고정 부재(12)가 이탈되어 낙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별개의 부재를 사용하여 완만한 멈춤부를 행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부품 관리나 이송, 또는 장착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근접 센서(10)에 의하면, 스토퍼 축부(57)가 체결부(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스토퍼 지지부(55)가 스토퍼 축부(57)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므로, 축부(27)의 체결부(40)와 스토퍼 지지부(55)와의 사이의 거리와 수용공(28)의 단부와 스토퍼 지지부(55)와의 사이의 거리와의 차이를 작게 형성하고 있어도, 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 부재(12)와 근접 센서 본체(11)와의 축 방향의 어긋남을 작게 억제하여 상대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스토퍼 축부(57) 및 스토퍼 지지부(55)가 테이퍼 형상이므로, 근소한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테이퍼 부분의 전체면이 서로 이격될 수 있어, 슬라이드 이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수용공(28)으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키지 않는 한, 스토퍼 축부(57)와 스토퍼 지지부(55)가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 저항을 작게 억제하기 어렵지만, 테이퍼 형상이면, 근소한 간극으로 전체를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이동 저항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근접 센서(10)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부재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된 체결부(40), 스트레이트 축부(56) 및 스토퍼 축부(57)를 가지는 고정 부재(12)를 제작하고, 제2 부재 제작 공정에 있어서, 고정 부재(12)가 체결부(40)를 성형형(60)의 캐비티(62)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스토퍼 축부(57)를 캐비티(62) 내에 배치한 상태로 수지(64)를 성형하고, 그 후에 고정 부재(12)가 체결부(40)를 가압하여 고정 부재(12)로 근접 센서 본체(11)과의 접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하므로, 고정 부재(12)에 대하여 근접 센서 본체(1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양자가 상대 회동 가능한 근접 센서(10)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근접 센서(10)의 제조 공정이나 작업을 적게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성형형(60)은, 캐비티(62)의 한쪽 면 측에 배치된 고정 부재(12)의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위치에, 캐비티(62)의 다른쪽 면까지, 제1 축부(27)의 최대 단면부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중공부(25)를 형성하기 위한 입체 형상부(63)를 구비함으로써, 근접 센서 본체(11)의 제작 공정에 의해 얻어진 성형체(65)에 있어서, 고정 부재(12)의 축 방향 인접 위치에 공극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 부재(12)가 체결부(40)를 가압하여 접합 상태를 해제할 때, 고정 부재(12)의 축부(27)가 성형체(65) 내의 공극부(30)에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접합 상태의 해제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스토퍼 축부(57)를 체결부(4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고정 부재(12)를 근접 센서 본체(11)에 대하여 약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고정 부재(12)와 근접 센서 본체(11)가 상대 회동 가능한 정도로 접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접합형체의 해제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근접 센서(10)를 제조할 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 부재(12)를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체결부(40) 대신에 다른 헤드부를 가지는 것이어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수지 봉지부(34)의 고정 부재(12)보다 검출면(41) 측의 폭이 홈부(14)의 개구(2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폭이 개구(24)의 폭보다 넓어도, 홈부(1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면, 본원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 경우, 근접 센서(10)의 장착 시에는, 근접 센서 본체(11)를 홈부(14)의 단부측으로부터 슬라이드시켜 수용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중공부의 바닥부(26)가 곡면 형상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중심부가 깊어지는 경사면 등이라도 되고, 바닥부(26)가 평면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안내 경사면(42)으로서 주위 방향의 경사 θ1과 함께 직경 방향의 경사 θ2를 가지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안내 경사면(42)에 직경 방향의 경사 θ2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2 실시예)
도 8 및 도 9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12)에 있어서, 축부(27)의 단부측에 코킹부(caulking portion)(29)가 형성되어 있고, 소성(燒成) 변형되기 쉬운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코킹부(29)는, 축부(27)의 단부측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중심공(29a)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축부(27)의 벽면(29b)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 부재(12)는,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에 미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근접 센서 본체(11)는, 고정 부재(12)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용공(28)을 형성한 제1 실시예의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한다.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은, 일정 단면 형상을 이루는 스트레이트 지지부(54)와, 검출면(41) 측일수록 확개(擴開)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스토퍼 지지부(55)를 구비한다.
이 근접 스위치 본체(11)에 고정 부재(1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려면, 근접 스위치 본체(11)의 수용공(28)에, 고정 부재(12)의 축부(27)를 삽입하고, 체결부(40)의 제1 접촉부(51)를 제1 피고정 부위(21)에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수용공(28)의 검출면(41) 측의 단부로부터 코킹용 공구를 삽입하고, 코킹부(29)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축부(27)의 코킹부(29)의 외주 형상을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토퍼 축부(57)를 형성한다.
이 때, 축부(27)의 잔부(殘部)가 스트레이트 축부(56)로 되고, 이 스트레이트 축부(56) 및 스토퍼 축부(57)가, 수용공(28)의 스트레이트 지지부(54) 및 스토퍼 지지부(55)에 대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수용공(28) 내에 축부(27)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부(40)에 있어서, 안내 경사면(42)이 중앙부(46)의 전체 주위에 형성되어, 모따기부(53)가 다소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는 제1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고정 부재(12), 이 고정 부재(12)를 사용한 근접 센서(10), 이 근접 센서(10)를 사용한 장착 구조라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특히 고정 부재(12)의 축부(27)에 코킹부(2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근접 센서(10)를 제조할 때, 코킹부(29)를 변형시킴으로써 고정 부재(12)와 근접 센서 본체(11)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 부재(12)를 배치한 상태에서 근접 스위치 본체(11)를 성형하는 제1 실시예의 제조 방법과는 상위하지만,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근접 센서(10)의 제조도 용이하다.
(제3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3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12)의 축부(27)와 근접 센서(10)의 수용공(28)은, 모두 회동축 L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일정한 원형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지 봉지부(34)의 폭이, 홈부(14)의 개구(24)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는, 제1 실시예의 장착 구조와 같다.
이 장착 구조에서는, 근접 센서(10)를 장착할 때, 근접 센서 본체(11)를 홈부(14)의 개구(24)를 통과시켜 장착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도 20에 기재되어 있는 구조와 마찬가지로, 기체(13)의 측면으로 개구되는 홈부(14)의 단부로부터 삽입하고, 홈부(14)의 내부를 슬라이드시켜 원하는 장착 위치에 배치한다.
고정 부재(12)는, 근접 센서 본체(11)에 대하여 이탈 및 장착 가능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근접 센서 본체(11)를 소정의 검출 위치에 배치한 후, 홈부(14)의 정면측의 개구(24)를 통하여, 축부(27)를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에 삽입함으로써 장착하고, 그 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체결부(40)를 이용하여 홈부(14) 내에 고정시킨다. 이로써, 근접 센서(10)를 홈부(14)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의 같은 장착 구조라도, 체결부(40)의 복수 개의 제2 접촉부(52)에, 주위 방향으로 경사지고, 직경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42)이 회동축 L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체결부(40)를 제1 피고정 부위(21)와 제2 피고정 부위(22)와의 사이에 배치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임의의 특정 위치에 있어서, 제1 접촉부(51)로부터 안내 경사면(42)의 각 위치까지의 거리가, 안내 경사면(42)의 주위 방향을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한다.
그러므로, 체결부(40)를 회동시킴으로써, 체결부(40)의 제1 접촉부(51)를 제1 피고정 부위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제2 피고정 부위(22)에 안내 경사면(42)을 압접시킬 수 있고, 이로써, 체결부(40)를 제1 피고정 부위와 제2 피고정 부위와의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안내 경사면(42)이 개구(24)와 개구(24)의 주위에 대향하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안내 경사면(42)이 개구(24)의 주위의 제2 피고정 부위(22)에 압접되면 안내 경사면(42)의 직경 방향의 경사에 의해 개구(24)의 중앙측의 적절한 위치에 어긋날 수가 있어, 개구(24)에 대하여 체결부가 편심되어 고정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체결부(40)를 가지는 고정 부재(12)를 용이하게 개구(24)의 중심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고정 부재(12)에 의하면, 복수 개의 안내 경사면(42)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회동축 L을 중심으로 축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접촉부(51)로부터 각 안내 경사면(42)의 각 위치까지의 거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 개의 안내 경사면(42)의 회동축 L로부터 직경 방향의 각 위치의 직경 방향의 경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형의 개구(24)에 체결부(40)의 안내 경사면(42)을 맞닿게 하여 체결부(40)를 압접시킴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중심에 위치맞춤할 수 있다.
이 고정 부재(12)에 의하면, 체결부(40)로부터 회동축 L을 따라 돌출하고,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축부(27)를 구비함으로써, 축부(27)를 이용하여 고정 부재(12)를 근접 센서 본체(11)에 회동 가능하게 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근접 센서 본체(11)에 수용공(28)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28)에 축부(27)를 수용한 상태로 할 수 있어, 체결부(40)를 회전시킬 때, 수용공(28)에 의해 유지하여 회동시킬 수 있고, 또한 고정 전에 고정 부재(12)를 용이하게 소정 위치에 배치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는, 근접 센서 본체(11)에 축부(27)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28)을 형성하고, 개구(24) 및 개구(24)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공간(23) 내에, 고정 부재(12)와 함께 각종 부재를 수용하고, 이 상태에서 체결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체결부에 의해 각종 부재를 바닥부(26)에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근접 센서 본체(11)의 수용공(28)에 나사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용공(28)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나사의 나사 결합에 의해 근접 센서 본체(11)를 고정시키지 않고,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수용공(28)의 주위의 강도가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근접 센서 본체(11)의 폭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어, 근접 센서 본체(11)의 폭을 작게 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 체결부(40)에 의하면, 회동축 L과 직교하는 대향 위치 사이의 거리가 개구(24)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모따기부(5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 부분보다 좁은 폭의 모따기부(53)를 이용하여, 홈부(14)의 개구(24)의 에지부 사이로부터, 모따기부(53)의 방향을 맞추어 삽입할 수 있는 동시에, 체결부(40)를 회동시킴으로써, 동일한 개구(24)에 안내 경사면(42)을 내측으로부터 맞닿게 할 수 있어 안내 경사면(42)의 폭보다 좁은 폭의 개구(24)에, 정면측으로부터 체결부(40)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정 부재(12)에 의한 고정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2 및 도 13은,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4 실시예에서는, 천정, 벽, 가구 등의 각종 부위에 고정되는 레일(67)에, 고정 부재로서의 훅 부재(68)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이며, 이 훅 부재(68)의 훅(69)에 각종 부재를 걸어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레일(67)은, 예를 들면, 수지, 금속 등에 의해, 단면이 대략 C 자형으로 장척(長尺)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면측에 개구(24)가 형성되고, 배면측으로 각종 부위에 나사,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레일(67)은, 제1 피고정 부위(21)와 제1 피고정 부위(21)로 이격되어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24)를 가지고 있고, 제1 피고정 부위에 대하여 제2 피고정 부위가 상대 변위 불가능하게 형성되고, 또한 개구(24)의 내측 단부 주위가, 훅 부재(68)의 회동축 L에 대하여 직교 방향의 면으로 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피고정 부위와 제2 피고정 부위가 별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피고정 부위와 제2 피고정 부위는, 동일한 레일(6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훅 부재(68)는, 예를 들면, 수지, 금속 등에 의해 형성되고, 레일(67) 측에 배치되는 체결부(40)와, 체결부(4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훅(69)을 구비하고 있다. 체결부(40)는, 제1 및 제2 피고정 부위(21, 22)에 대하여, 개구(24)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 L 주위로 회동 가능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46)와 중앙부(46)의 측 주위로부터 측방으로 단차형(段差形)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47)를 구비한다.
체결부(4)는, 제1 및 제2 피고정 부위(21, 22)에 대하여, 개구(24)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 L 주위로 회동 가능한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46)와 중앙부(46)의 측 주위로부터 측방으로 단차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47)를 구비한다.
이 체결부(40)에서는, 배면이 제1 접촉부(51)로 되어 있고, 돌출부(47)의 개구(24) 측 표면이 제2 접촉부(52)로 되어 있다. 제2 접촉부(52)에는, 각각 한쪽의 회동 방향측일수록 개구(24) 측으로 되도록 주위 방향으로 경사지는 동시에, 회동축 L측일수록 개구(24) 측으로 되도록 직경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42)이, 회동축 L을 중심으로, 각각 반주 이하로 설치되어 있다.
각 안내 경사면(42)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회동축 L을 중심으로 축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경사면(42)은, 개구(24)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가, 제1 접촉부(51)가 제1 피고정 부위(21)에 맞닿은 상태에서, 개구(24) 단부의 주위에 접촉하지 않는 동시에, 안내 경사면(42)의 개구(24)에 가장 근접한 위치가, 제1 접촉부(51)가 제1 피고정 부위(21)에 맞닿은 상태에서, 개구(24)의 주위둘레에 압접할 수 있는 위치보다 위로 되는 것이 필요하다.
각 안내 경사면(42)의 주위 방향의 경사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장착 시에 체결부(40)의 회전량이 대략 90° 정도로 고정 가능한 정도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것이, 훅(69)을 수직으로 배치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각 안내 경사면(42)의 직경 방향의 경사는, 제1 실시예와 같아도 된다.
이 실시예의 체결부(40)에서는, 회동축 L과 직교하는 한쌍의 대향 위치로서, 2개의 안내 경사면(42) 사이의 위치에는, 회동축 L과 직교하는 대향 위치 사이의 거리가 개구(24)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모따기부(53)가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모따기부(53)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모따기부(53)와 평행하게 훅(69)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착 구조에서는, 훅(69) 및 체결부(40)를 레일(67)의 개구(24)를 따르는 방향으로 하여, 개구(24)를 통하여, 훅 부재(68)가 체결부(40)를 레일(67) 내에 삽입하고, 제1 접촉부(51)를 레일(67)의 바닥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대략 90° 회동시킴으로써, 안내 경사면(42)을 개구(24)의 내면 단부의 측 에지에 압설(壓設)하고, 훅 부재(68)를 레일(67)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훅(69)에 각종 부재를 걸어 사용할 수 있다. 이 장착 구조라도,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5 실시예)
도 14의 (a), (b)는, 제5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5 실시예에서는, 고정 부재로서의 전구(72)가, 접속공(73)을 가지는 소켓(74)에 장착된 장착 구조이다.
소켓(74)은, 접속공(73)의 바닥부에 소켓 전극(75)을 구비하고 있고, 이 소켓 전극(75)이 제1 피고정 부위(21)로 되어 있다. 제1 피고정 부위(21)와 이격되어 대향하는 위치에는 접속공(73)의 중심측을 향해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76)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76) 사이에 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24)의 내측 단부의 주위에는, 제1 피고정 부위(21)에 대하여 상대 변위 불가능한 제2 피고정 부위가 설치되어 있다.
전구(72)는 한쪽에 접속부(77)가 설치되고, 이 접속부(77)의 단부에 소켓 전극(75)과 접속 가능한 전구 전극(78)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의 측면 주위의 소켓(74) 내에 수용되는 위치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체결부(40)가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돌출부(47)에 안내 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구(72)의 장착 구조에서는, 소켓(74)의 한쌍의 돌기부(76)와는 상이한 위치에 돌출부(47)를 대응시킨 방향으로, 전구(72)의 접속부(77)를 소켓(74)의 접속공(73)에 삽입하고, 접속부(77)의 단부를 접속공(73)의 바닥부와 맞닿게 하여, 회동축 L을 대략 90° 회동시킨다. 이로써, 안내 경사면(42)을 개구(24)의 내면 단부의 측 에지에 압설하고, 전구(72)를 소켓(74)에 고정시킨다. 그와 동시에, 소켓 전극(75)에 전구 전극(78)을 접속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구(72)를 점등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장착 구조라도,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6 실시예)
도 15는, 제6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6 실시예는,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캐스터(81)의 예이며, 가상선으로 나타낸 기체(13)에 캐스터 본체(82)가 캐스터 축(83)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이 캐스터(81)는, 제2 부재로서의 캐스터 본체(82)와, 캐스터 본체(8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부재로서의 캐스터 축(83)이, 이탈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캐스터 축(83)은, 헤드부(85) 및 단면이 원형인 축부(27)를 구비하고 있고, 축부(27)가, 헤드부(85)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56)와, 스트레이트 축부(56)의 헤드부(85)와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56)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5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토퍼 축부(57)가, 헤드부(8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캐스터 본체(82)는, 외주면의 형상이 원형이며, 중심부에 축부(27)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또한 헤드부(85) 측의 단부가 헤드부(85)보다 작게 형성된 수용공(28)을 가지고 성형되어 있다. 수용공(28)은, 스트레이트 축부(56)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54)와, 스토퍼 축부(57)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스토퍼 지지부(55)를 구비하고 있고, 스토퍼 지지부(55)가 스토퍼 축부(57)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캐스터(81)라도, 제1 실시예의 근접 센서(10)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고정 부재(12) 대신에 캐스터 축(83)을 사용하고, 캐스터 본체(82)에 대응한 캐비티(62)를 가지는 성형형(60)을 사용하고, 헤드부(85)를 캐비티(62)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캐스터 본체(82)의 중심에 캐스터 축(83)을 배치하고, 형체결 후,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인서트 성형을 행한다. 이형(離型) 후, 헤드부(85)를 축 방향으로 가압하고, 캐스터 축(83)과 캐스터 본체(82)와의 접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캐스터(81)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캐스터(81)라도, 캐스터 축(83)이 헤드부(85) 및 단면이 원형인 축부(27)를 구비하고, 축부(27)가 헤드부(85)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56)와, 스트레이트 축부(56)의 헤드부(85)와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56)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57)를 구비하고, 한편, 캐스터 본체(82)에 형성된 수용공(28)의 한쪽의 단부가 헤드부(85)보다 작고, 또한 스트레이트 축부(56)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5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캐스터 본체(82)의 수용공(28)에 캐스터 축(83)의 축부(27)가 배치됨으로써, 축부(27)에 의해 캐스터 본체(8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헤드부(85)와 스토퍼 축부(57)에 의해 캐스터 본체(82)의 축 방향 양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착 작업 시에 캐스터 본체(82)의 수용공(28)에 캐스터 축(83)을 장착시키는 수고나, 캐스터 본체(82)로부터 캐스터 축(83)이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캐스터(81)에 의하면, 스토퍼 축부(57)가 헤드부(8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스토퍼 지지부(55)가 스토퍼 축부(57)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므로, 축부(27)의 헤드부(85)와 스토퍼 지지부(55)와의 사이의 거리와 수용공(28)의 단부와 스토퍼 지지부(55)와의 사이의 거리와의 차이를 작게 형성하고 있어도, 서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캐스터 축(83)과 캐스터 본체(82)와의 축 방향의 어긋남을 작게 억제하여 상대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스토퍼 축부(57) 및 스토퍼 지지부(55)가 테이퍼 형상이므로, 근소한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테이퍼 부분의 전체면이 서로 이격될 수 있어, 슬라이드 이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수용공(28)으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키지 않는 한, 스토퍼 축부(57)와 스토퍼 지지부(55)가 접촉되므로, 슬라이드 이동 저항을 작게 억제하기 어렵다. 그런데, 테이퍼 형상이면, 근소한 간극으로 용이하게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캐스터(8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부재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제작된 헤드부(85), 스트레이트 축부(56) 및 스토퍼 축부(57)를 가지는 캐스터 축(83)을 제작하고, 제2 부재 제작 공정에 있어서, 캐스터 축(83)의 헤드부(85)를 성형형(60)의 캐비티(62)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스토퍼 축부(57)를 캐비티(62)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수지(64)를 성형하고, 그 후에 캐스터 축(83)의 헤드부(85)를 가압하여 캐스터 축(83)과 캐스터 본체(82)와의 접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하므로, 캐스터 축(83)에 대하여 캐스터 본체(82)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행하지 않고, 양자가 상대 회동 가능한 캐스터(81)를 제조할 수 있어, 캐스터(81)의 제조 공정이나 작업을 적게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스토퍼 축부(57)를 헤드부(8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하므로, 캐스터 축(83)을 캐스터 본체(82)에 대하여 약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캐스터 축(83)과 캐스터 본체(82)가 상대 회동 가능한 정도로 접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부재로서, 회전 가능한 캐스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회동 부재라도 되고,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부재로서, 기체(13)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87) 등과 같이 1회전 미만의 회동을 행하는 부재라도 된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스토퍼 축부(57)가 회동축 L에 대하여 직교하는 원판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용공(28)에는 스토퍼 지지부(55)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7 실시예)
도 17은 제7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7 실시예는, 기체(13)에 대하여 고정 장착 부재(88)를 나사가 형성된 고정 부재(12)에 의해 고정한 장착 구조의 예이다. 여기서는, 제2 부재로서의 고정 장착 부재(88)와 제1 부재로서의 나사가 형성된 고정 부재(12)가 상대 회동 가능하며 이탈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나사가 형성된 고정 부재(12)는, 헤드부(85) 및 단면이 원형인 축부(27)를 구비하고 있고, 축부(27)가, 헤드부(85)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56)와 스트레이트 축부(56)의 헤드부(85)와 반대측에, 스트레이트 축부(56)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5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토퍼 축부(57)가, 헤드부(8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고, 스토퍼 축부(57)로부터 회동축 L을 따라 수나사부(86)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헤드부(85)에는, 수나사부(86)를 회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걸림부(8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 장착 부재(88)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기체(13)에 접촉 가능한 적절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소정 위치에 축부(27)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또한 헤드부(85) 측의 단부가 헤드부(85)보다 작게 형성된 수용공(28)을 가지고 있다. 수용공(28)은, 스트레이트 축부(56)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54)와, 스토퍼 축부(57)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스토퍼 지지부(55)를 구비하고 있고, 스토퍼 지지부(55)가 스토퍼 축부(57)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이트 축부(56) 및 스토퍼 축부(57)와의 합계 길이가 수용공(28)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 장착 부재(88)와 나사가 형성된 고정 부재(12)로 이루어지는 회동 연결 구조체는,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회동 연결 구조체라도, 제6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8 실시예)
도 18은, 제8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8 실시예에서는, 제2 부재로서의 행거 본체(36)에, 제1 부재로서의 훅부(37)가 회동 가능하고 또한 이탈 불가능하게 연결된 회동 연결 구조체로서의 행거(38)의 예이다.
훅부(37)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고 장척이며 단면이 원형인 헤드부(85)와, 헤드부와 칸막이 없이 연속으로 형성된 단면이 원형인 축부(27)를 구비하고 있고, 축부(27)가, 헤드부(85) 측에 형성되어 헤드부(85)와 동일 단면 형상의 스트레이트 축부(56)와, 스트레이트 축부(56)의 헤드부(85)로 반대측에 형성되어 스트레이트 축부(56)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스토퍼 축부(57)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토퍼 축부(57)가, 헤드부(85)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행거 본체(36)는 수지로 이루어지고, 중심 위치에 설치된 보스부(39)에 축부(27)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또한 헤드부(85) 측의 단부가 헤드부(85)보다 작게 형성된 수용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28)은, 스트레이트 축부(56)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54)와, 스토퍼 축부(57)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스토퍼 지지부(55)를 구비하고 있고, 스토퍼 지지부(55)가 스토퍼 축부(57)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행거(38)는,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행거(38)라도, 제6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10: 근접 센서
11: 근접 센서 본체
12: 고정 부재
13: 기체
14: 홈부
21: 제1 피고정 부위
22: 제2 피고정 부위
23: 공간
24: 개구
25: 중공부
26: 바닥부
27: 축부
28: 수용공
31: 리드 스위치
32: 기판
33: 리드선
34: 수지 봉지부
36: 행거 본체
37: 훅부
38: 행거
39: 보스부
40: 체결부
41: 검출면
42: 안내 경사면
46: 중앙부
47: 연장부
51: 제1 접촉부
52: 제2 접촉부
53: 모따기부
54: 스트레이트 지지부
55: 스토퍼 지지부
56: 스트레이트 축부
57: 스토퍼 축부
60: 성형형
61: 중간 구조체
62: 캐비티
63: 입체 형상부
64: 수지
65: 성형체
67: 레일
68: 훅 부재
69: 훅
72: 전구
73: 접속공
74: 소켓
75: 소켓 전극
76: 돌기부
77: 접속부
78: 전구 전극
81: 캐스터
82: 캐스터 본체
83: 캐스터 축
85: 헤드부
86: 수나사부
87: 레버
88: 고정 장착 부재
89: 드라이버 걸림부
L: 회동축

Claims (17)

  1. 고정 부재와 근접 센서 본체를 구비하고,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통하여 상기 개구보다 광폭(廣幅)의 중공부(中空部)를 구비하는 기체(基體)의 상기 중공부에, 상기 근접 센서 본체가 수용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근접 센서로서,
    상기 근접 센서 본체는, 한쪽 면(面) 측에 설치된 제1 피(被)고정 부위와, 다른 쪽 면에 설치된 검출면과, 상기 제1 피고정 부위에 설치된 수용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피고정 부위와 상기 제1 피고정 부위와 이격(離隔)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기체에 상기 개구를 형성하여 설치된 제2 피고정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개구를 관통하는 회동축(回動軸)을 따라 돌출하고, 상기 근접 센서 본체의 수용공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축부(軸部)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회동축 주위로 회동 가능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회동축과 직교하는 대향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개구보다 넓은 돌출부와 상기 개구보다 좁은 협폭부(狹幅部)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1 피고정 부위에 맞닿는 제1 접촉부와,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피고정 부위의 상기 개구 주위에 맞닿는 제2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한쪽의 회동 방향 측일수록 상기 개구측으로 되도록 주위 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피고정 부위에 맞닿은 상태에서, 회동에 의해 각 상기 안내 경사면이 상기 제2 피고정 부위에 압접(壓接)됨으로써 고정되는,
    근접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 본체의 상기 고정 부재보다 상기 검출면 측의 폭이 상기 개구보다 좁은, 근접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근접 센서가 상기 기체에 장착되는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로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개구와 대향하여 피검출물 측으로 되는 바닥부를 가지고, 상기 근접 센서 본체는, 상기 검출면을 상기 중공부의 바닥부에 압접시켜 장착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사면은, 상기 회동축 측일수록 상기 개구 측이 되도록 직경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검출면은, 경사진 철면(凸面)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상기 중공부의 바닥부는, 상기 검출면에 대응하는 요면(凹面) 형상을 이루는,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고정 부위와 상기 제1 접촉부와의 사이, 또는 상기 검출면과 상기 바닥부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개재시킨,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체결부 측에 형성된 스트레이트 축부와, 상기 스트레이트 축부의 상기 체결부와 반대측에, 상기 스트레이트 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은, 상기 스트레이트 축부가 슬라이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트레이트 지지부와 상기 스토퍼 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스토퍼 지지부를 구비한, 근접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축부는, 상기 체결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토퍼 지지부는, 상기 스토퍼 축부의 상기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근접 센서.
  8. 제7항에 기재된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스트레이트 축부와 테이퍼 형상의 상기 스토퍼 축부를 가지는 상기 축부 및 상기 체결부를 구비한 상가 고정 부재를 제작하는 제1 부재 제작 단계;
    상기 근접 센서 본체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캐비티를 가지는 성형형(成形型)을 사용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체결부를 상기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 축부를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성형형에 배치하고, 상기 캐비티 내에서 수지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의 상기 축부에 상기 근접 센서 본체가 접합한 상태의 성형체를 제작하는 제2 부재 제작 단계; 및
    상기 성형체의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근접 센서 본체를 상기 축부를 따라 상대 가압하여 상기 축부와 상기 근접 센서 본체와의 접합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근접 센서 본체가 연결된 회동 연결 구조체를 얻는 해제 단계;
    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27011400A 2009-10-02 2009-10-02 근접 센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 KR101376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7275 WO2011039892A1 (ja) 2009-10-02 2009-10-02 固定部材、近接センサ、近接センサの装着構造及び回動連結構造体並びに回動連結構造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472A KR20120079472A (ko) 2012-07-12
KR101376164B1 true KR101376164B1 (ko) 2014-03-19

Family

ID=4382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400A KR101376164B1 (ko) 2009-10-02 2009-10-02 근접 센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75712B2 (ko)
EP (1) EP2484923B1 (ko)
JP (1) JP5500530B2 (ko)
KR (1) KR101376164B1 (ko)
CN (1) CN102782342B (ko)
TW (1) TWI425151B (ko)
WO (1) WO2011039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6544B2 (ja) * 2013-08-09 2016-09-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500259B2 (ja) * 2014-10-27 2019-04-17 北川工業株式会社 固定具
JP6611544B2 (ja) * 2015-10-05 2019-11-27 Kyb−Ys株式会社 接合体、流体圧シリンダ、及び接合体の製造方法
EP3889935A1 (en) * 2016-07-22 2021-10-06 Stylos Design Ab Alarm triggering device and circuitry therefor
CN106945780B (zh) * 2017-05-06 2022-09-20 浙江凯驰电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助力公共自行车的电池安装结构
DE102017114906B3 (de) 2017-07-04 2019-02-21 Sick Ag Sensorgehäuse zur Fixierung in verschiedenen C-Nutvarianten metallischer Befestigungskörper durch unterschiedliche Klemmflächenpaare
JP2020009701A (ja) * 2018-07-11 2020-01-16 株式会社日本アレフ 近接センサ
US10955268B2 (en) * 2018-08-20 2021-03-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active protection of peripheral sensors
JP7320832B2 (ja) 2019-08-08 2023-08-04 株式会社日本アレフ 固定構造
CN112944124A (zh) * 2021-01-27 2021-06-11 深圳市安帕尔科技有限公司 传感器固定治具及利用该治具固定传感器的方法
CN114205681B (zh) * 2021-12-07 2024-05-28 杭州中芯微电子有限公司 一种uwb室内定位基站内置基板固定安装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4606A (ja) * 1991-05-30 1992-12-09 Koyo Mach Ind Co Ltd 工作機械用クランプ治具の製造方法
JPH0719603U (ja) * 1993-09-07 1995-04-07 株式会社コガネイ 流体圧シリンダの位置検出装置
JPH11294419A (ja) * 1998-04-07 1999-10-26 Nakajima Seisakusho:Kk 部材連結装置
JP2001125276A (ja) * 1999-10-27 2001-05-11 Fuji Photo Film Co Ltd 固定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0319A (en) * 1947-12-12 1951-12-25 Illinois Tool Works Rotary fastener
US2724867A (en) * 1952-02-26 1955-11-29 Int Harvester Co Roller and shaft assembly
DE2328412C3 (de) * 1973-06-04 1975-11-27 Springfix-Befestigungstechnik Gmbh, 7335 Salach Befestigungselement
JPS57197139A (en) * 1981-05-29 1982-12-03 Hitachi Ltd Composite molding of metal plate and resin
FR2560816B1 (fr) * 1984-03-12 1986-10-03 Simplex Ets Procede de fabrication et de montage d'organes tournants entre des flasques et les produits obtenus, utilisables notamment pour tendre et enrouler la chaine dans les changements de vitesse pour cycles et vehicules similaires
US5142834A (en) * 1990-07-12 1992-09-01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trim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DE4236181A1 (de) * 1992-10-27 1994-04-28 Philips Patentverwaltung Technisches Gerät, insbesondere elektromechanisches Laufwerk zum Bewegen von Informationsträgern
GB2282858A (en) * 1993-10-14 1995-04-19 Lin Pac Mouldings Manufacturing a bearing assembly.
DE19825426B4 (de) * 1997-07-10 2006-03-16 Werner Turck Gmbh & Co. Kg In eine T-Nut einsetzbarer Näherungsschalter bzw. Befestigungselement dafür
DE19755725C2 (de) * 1997-12-15 1999-10-28 Ticona Gmbh Drehbewegliche Kunststoffrollen
DE19925993B4 (de) * 1999-06-08 2010-07-01 Werner Turck Gmbh & Co. Kg In eine T-Nut einsetzbarer Näherungsschalter
JP3407196B2 (ja) 1999-09-06 2003-05-19 株式会社日本アレフ 近接スイッチの製造方法
EP1095768B1 (en) * 1999-10-27 2004-01-07 Fuji Photo Film Co., Ltd. Fixing structure
DE10114884A1 (de) * 2001-03-26 2002-10-24 Georg Fischer Schwab Gmbh & Co Schnellspannelement
JP3785538B2 (ja) * 2002-10-30 2006-06-14 太陽鉄工株式会社 シリンダにおけるセンサ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CN2844853Y (zh) * 2005-11-22 2006-12-06 林锦松 注塑固定可旋转螺丝的传感器结构
DE102006020697B3 (de) * 2006-05-04 2007-04-26 A. Raymond Et Cie Drehverschlu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4606A (ja) * 1991-05-30 1992-12-09 Koyo Mach Ind Co Ltd 工作機械用クランプ治具の製造方法
JPH0719603U (ja) * 1993-09-07 1995-04-07 株式会社コガネイ 流体圧シリンダの位置検出装置
JPH11294419A (ja) * 1998-04-07 1999-10-26 Nakajima Seisakusho:Kk 部材連結装置
JP2001125276A (ja) * 1999-10-27 2001-05-11 Fuji Photo Film Co Ltd 固定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4923A1 (en) 2012-08-08
JP5500530B2 (ja) 2014-05-21
TWI425151B (zh) 2014-02-01
CN102782342B (zh) 2014-11-26
EP2484923B1 (en) 2020-05-13
WO2011039892A1 (ja) 2011-04-07
US9175712B2 (en) 2015-11-03
EP2484923A4 (en) 2016-11-09
JPWO2011039892A1 (ja) 2013-02-21
US20120260751A1 (en) 2012-10-18
CN102782342A (zh) 2012-11-14
KR20120079472A (ko) 2012-07-12
TW201135078A (en) 2011-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164B1 (ko) 근접 센서, 근접 센서의 장착 구조 및 근접 센서의 제조 방법
JP4275112B2 (ja) 水準器
US7830137B2 (en) Position detecting sensor
KR101539787B1 (ko) 인서트를 포함하는 시일을 이용하여 유리 요소를 오버몰딩하는 방법 및 장치, 유리, 및 이 방법을 위한 인서트
TWI464330B (zh) 流體壓力缸的位置偵測裝置
KR101958290B1 (ko) 내부 뒤틀림-방지 보호부를 갖는 배터리 부싱
WO20070231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objects on a vehicle wall
JP2009510345A (ja) クランプ部品およびクランプ部品を有する保持装置
US11141837B2 (en) Attachment/detachment structure for clamp arm of clamping device
CN104882130A (zh) 管保持装置
US8020843B2 (en) Clamping fixture
EP1885518B1 (fr) Pince de serrage
US8974138B2 (en) Fast disassembly fastening apparatus for musical instruments
US7895925B2 (en) Clamping device for anchoring a microphone to an instrument
JP2006255391A (ja) 咬合装置
CN113134793B (zh) 一种光纤夹持不旋转的治具及其方法
RU2325975C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CN102035124B (zh) 一种便携式半刚电缆弯曲工具
JP2007083488A (ja) 丸鋸定規用クランプ
KR101498605B1 (ko) 공작기계용 툴홀더
CN215402518U (zh) 滑块组件、滑动门及电梯
CN217765834U (zh) 一种涂层剪切刚度及附着力测试工装
CN219094765U (zh) 一种尾纤固定装置及尾纤加工设备
RU2333817C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KR101538794B1 (ko)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