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794B1 -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794B1
KR101538794B1 KR1020150051118A KR20150051118A KR101538794B1 KR 101538794 B1 KR101538794 B1 KR 101538794B1 KR 1020150051118 A KR1020150051118 A KR 1020150051118A KR 20150051118 A KR20150051118 A KR 20150051118A KR 101538794 B1 KR101538794 B1 KR 101538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base plate
injection pin
anch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박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성 filed Critical 박재성
Priority to KR1020150051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차체 구조물에 편리하게 장착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앵커 브라켓은, 구조물과 밀착되는 베이스판,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되어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며 베이스판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어 개구부 내측에서 확장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주고정부, 주고정부와 이격되고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되어 구조물에 형성된 다른 개구부에 삽입되는 부고정부, 베이스판으로부터 구조물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고리부, 및 관통공의 외측에서 관통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측 단부가 관통공과 중첩되고, 베이스판과 일체로 사출된 연결부에 의해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고정용 사출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Anchor bracket for supporting hood of ca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후드와 같은 차체 구조물에 고정되는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 구조물에 편리하게 장착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재 프레임이나 철골 등을 이용하면 크고 작은 차체 구조물들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들을 결합하여 차량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구조물들을 기계요소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 구조물의 사이를 링크요소로 연결하여 결합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힌지축과 같은 결합요소를 활용하여 구조물에 움직임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차체 구조물과 기계요소를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부위에 브라켓이나 앵커와 같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브라켓 등을 구조물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반드시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즉, 차체 등에 브라켓을 장착할 때 별도의 체결부재가 반드시 필요하였으며, 이로 인해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브라켓과 같은 부품을 차체 구조물의 특정 결합위치에 원활하게 위치시키기 어려워 작업 중에 부품을 분실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며, 플라스틱과 같이 재질이 다른 부품의 경우 철재 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진 차체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61011호, (1998. 10. 0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3728호, (2009. 02. 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체 구조물에 편리하게 장착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앵커 브라켓은, 차체 구조물과 밀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내측에서 확장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주고정부; 상기 주고정부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다른 개구부에 삽입되는 부고정부;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고리부; 및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관통공과 중첩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일체로 사출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고정용 사출핀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 브라켓은, 상기 고정용 사출핀의 타측 단부가 가압되면, 상기 연결부가 해체되어 상기 고정용 사출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사출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복수 개의 상기 고정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용 사출핀에 밀착되어 움직임이 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은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와 빗면 접촉하는 빗면부, 상기 빗면부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를 연결하는 평면부, 및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용 사출핀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용 사출핀과 밀착되는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다른 개구부와 접촉하는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끝단부에 오목하게 만입되어 상기 다른 개구부의 일 측을 파지하는 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앵커 브라켓의 제조방법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수지로 관통공을 포함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주고정부와, 상기 주고정부와 이격되는 부고정부와, 연결고리부와,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관통공과 중첩되는 고정용 사출핀을 성형하되, 상기 고정용 사출핀을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하여 일체로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용 사출핀을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판과 분리하고, 상기 고정용 사출핀이 상기 고정편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용 사출핀의 일부만을 상기 관통공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앵커 브라켓은 후드 등 차체 구조물에 매우 간편하게 장착되며, 원하는 결합위치에 매우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체 구조물에 매우 편리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앵커 브라켓의 제조방법으로 이러한 앵커 브라켓을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앵커 브라켓을 A-A'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앵커 브라켓의 고정용 사출핀과 연결부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앵커 브라켓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앵커 브라켓이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구조물'은 차량의 차체를 형성하는 '차체 구조물'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앵커 브라켓을 A-A'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앵커 브라켓의 고정용 사출핀과 연결부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1)은 베이스판(10), 베이스판(10)으로부터 돌출되고 베이스판(10)을 관통하는 관통공(도 1 및 도 2의 112참조)을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111)을 포함하는 주고정부(11), 주고정부(11)와 이격되고 베이스판(10)으로부터 돌출되는 부고정부(12), 베이스판(10)으로부터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의 반대편으로 돌출되는 연결고리부(13), 및 관통공(112)의 외측에 위치하되 관통공(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측 단부가 관통공(112)과 중첩되고(도 2 참조), 베이스판(10)과 일체로 사출된 연결부(도 3의 141참조)에 의해 베이스판(10)과 연결되는 고정용 사출핀(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1)은 개구부(도 4 내지 도 6의 Aa 및 Ab참조)가 형성된 차체 구조물(도 4 내지 도 7의 A참조)에 결합된다. 베이스판(10)은 구조물과 밀착되어 지지되고,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는 각각 서로 이격되어 구조물의 서로 다른 개구부에 각각 삽입된다. 앵커 브라켓(1)은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의 서로 다른 고정구조를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후드 등 차체 구조물에 매우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주고정부(11)는 관통공(112)을 중심으로 분할된 복수 개의 고정편(111)이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측에서 확장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고정편(111)과 구조물 상호간의 접촉에 의해 견고한 고정구조가 형성된다. 특히, 고정용 사출핀(14)을 관통공(112)에 삽입하여 고정편(111)의 움직임을 저지하고 확장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용 사출핀(14)이 관통공(11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분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주고정부(11)를 매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용 사출핀(14)은 베이스판(10)과 일체로 사출된 연결부(도 3의 141참조)에 의해 베이스판(10)에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즉, 고정용 사출핀(14)을 별도로 준비하거나, 따로 보관할 필요 없이 앵커 브라켓(1)에 일체로 형성하여, 언제라도 관통공(112)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앵커 브라켓(1)의 결합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능률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앵커 브라켓(1)에 대해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판(10)은 주고정부(11), 부고정부(12), 및 연결고리부(13)가 형성되는 기초가 되며, 구조물에 밀착되어 앵커 브라켓(1) 전체를 지지한다. 베이스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방형 또는 정방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베이스판(10)은 고분자 수지를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경화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연결고리부(13)는 베이스판(10)이 구조물과 밀착되는 면(즉, 주고정부 및 부고정부가 돌출된 면)과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연결고리부(13)는 베이스판(10)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13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공(131)은 각종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앵커 브라켓(1) 전체를 기계요소와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고리부(13)의 형상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결합공(131)이 형성된 형상 외에도 각종 기계요소나, 연결부재 등과 체결이 용이한 형상으로 연결고리부(13)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베이스판(10)의 동일한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는 각각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의 위치, 개수, 크기 등에 대응하여 형성된 위치나 배치상태 등이 일부 변경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고정부(11)를 복수 개 형성하여 앵커 브라켓(1)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적절한 위치에 부고정부(12)를 형성하여 앵커 브라켓(1)의 장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는 서로 이격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조물에 결합된다.
우선, 부고정부(12)는 베이스판(10)과 연결되는 지지편(121), 지지편(121)으로부터 확장되는 걸림편(122), 및 걸림편(122)의 끝단부에 오목하게 만입되어 형성되는 파지홈(123)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지지편(121)으로부터 확장된 걸림편(122)은 탄성적으로 굴절되어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와 접촉할 수 있다. 특히, 걸림편(122) 끝단부에는 오목하게 만입되는 파지홈(123)이 형성되어 부고정부(12)가 구조물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부의 일 측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부고정부(12)를 매우 간편하게 구조물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주고정부(11)는 관통공(112)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고정편(111)이 그 둘레에 분할 배치된 구조로 형성된다. 관통공(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복수 개의 고정편(111)은 관통공(112)을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주고정부(11)가 구조물의 개구부에 삽입되면 분할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편(111)이 개구부 내측에서 확장되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편(111)은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와 빗면 접촉하는 빗면부(111a), 빗면부(111a)와 베이스판(10) 사이를 연결하는 평면부(111b), 및 관통공(112)과 연결되는 연결면(111c)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특징적인 형태로 형성되어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 역시 베이스판(10)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판(10)과 일체로 형성되되 베이스판(10) 보다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은 탄성적으로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하다. 따라서, 구조물에 형성된 서로 다른 개구부 등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관통공(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고정부(11)의 고정편(111)들 사이로 베이스판(10)을 관통한다. 고정용 사출핀(14)은 관통공(112)의 외측에 위치하며 관통공(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측 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2)과 중첩된다. 즉, 고정용 사출핀(14)은 베이스판(10)을 관통하는 관통공(112)의 관통방향을 따라서 정렬되고, 일측 단부가 관통공(112)에 직면하여 삽입이 매우 유리한 상태로 제공된다.
고정용 사출핀(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1)에 의해 베이스판(10)과 직접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연결부(141)는 관통공(112)의 둘레를 형성하는 베이스판(10)으로부터 연장되고 고정용 사출핀(14)의 관통공(112)을 향하는 일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41)는 예를 들어, 수지로 이루어진 얇은 막의 형태나 수지로 이루어진 가는 선상의 연결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력을 가하면 용이하게 파손시켜 해체할 수 있다. 고정용 사출핀(14)과 연결부(141)는 베이스판(10)과 함께 성형하여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10)에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는 고정용 사출핀(14)은 상기 일측 단부 반대편의 타측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관통공(112)에 매우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즉, 고정용 사출핀(14)의 타측 단부(도 2의 하방에 위치하는 단부)를 가압하여 연결부(141)에 외력을 가하고, 연결부(141)를 해체하는 동시에, 고정용 사출핀(14) 전체를 관통공(112)으로 관통시켜 적어도 일부가 고정편(111)과 밀착되도록 관통공(112)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앵커 브라켓(1)을 구조물에 결합하고, 주고정부(11)가 구조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매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필요한 경우, 고정용 사출핀(14)은 그 일부만이 관통공(112)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연결부(141)를 형성하여 고정용 사출핀(14)과 베이스판(10)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제조하되, 출시 과정에서 고정용 사출핀(14)을 가압하여 연결부(141)를 해체하고 그 일부만이 관통공(112)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용 사출핀(14)은 고정편(111)과는 접촉되지 않도록 그 일부만이 관통공(112)에 삽입된 채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앵커 브라켓(1)을 구조물에 결합하여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고정용 사출핀(14)을 재차 가압하여 충분히 삽입하고, 관통공(112)을 관통시켜 고정용 사출핀(14)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편(111)과 밀착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앵커 브라켓의 결합과정에 대해 상세히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앵커 브라켓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구조물(A)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Aa, Ab)에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를 각각 밀착시켜 삽입한다.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는 각각의 개구부(Aa, Ab)와 접촉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개구부(Aa, Ab) 내측으로 진입된다. 이 때, 주고정부(11)의 고정편(111) 끝단부에 형성된 빗면부(111a)가 개구부(Aa)와 빗면 접촉하여 주고정부(11)의 변형을 유도하고, 변형된 주고정부(11)는 고정편(111)과 베이스판(10)을 연결하는 평면부(111b)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구부(Aa)에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부고정부(12) 역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22)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수축되어 개구부(Ab)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된다.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가 각각의 개구부(Aa, Ab)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0)과 구조물(A)이 밀착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10)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동시에, 주고정부(11) 및 부고정부(12)는 각각의 개구부(Aa, Ab) 내측에서 탄력적으로 복원되어 고정 구조를 형성한다. 특히, 부고정부(12)는 걸림편(122)이 개구부(Ab)와 접촉되고 파지홈(123)이 개구부(Ab)의 일 측을 파지하여 효과적인 고정구조를 형성하며, 주고정부(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분할 형성된 고정편(111)이 개구부(Aa) 내측에서 확장되어 효과적인 고정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앵커 브라켓(1)이 용이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앵커 브라켓(1)을 장착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사출핀(14)을 관통공(112)에 삽입하여 주고정부(11)를 견고히 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사출핀(14)의 타측 단부를 적절히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연결부(도 3의 141참조)를 해체하고, 고정용 사출핀(14) 전체를 관통공(112)의 내측에 깊숙히 삽입할 수 있다. 고정용 사출핀(14)은 관통공(112) 및 관통공(112)과 연결된 연결면(111c)을 따라 이동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관통공(112)을 통과하여 복수 개의 고정편(111)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고정편(111)은 고정용 사출핀(14)에 밀착되어 움직임이 완전히 저지된다.
즉, 베이스판(10)과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는 고정용 사출핀(14)을 관통공(112)에 간단히 삽입하여 매우 견고한 고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편(111)은 개구부(Aa) 내측에서 확장되므로 이를 다시 수축시키지 않고서는 주고정부(11) 전체를 개구부(Aa)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바, 고정용 사출핀(14)을 삽입하여 고정편(111)의 움직임을 저지하고 주고정부(11) 전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고정부(11)와 부고정부(12)를 차체 구조물(A)의 개구부(Aa, Ab)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1차적으로 앵커 브라켓(1)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고정용 사출핀(14)을 관통공(112)에 삽입하여 주고정부(11)가 구조물(A)과 분리되지 않도록 최종적으로 매우 견고한 고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고정용 사출핀(14)은 관통공(112)을 향해 정렬된 상태로 베이스판(10)과 직접 연결되어 일체로 제공되므로, 상기와 같은 견고한 고정구조를 매우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앵커 브라켓(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드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후드를 구성하는 차체 구조물(A)의 내측 면, 또는 내측 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이용하여 앵커 브라켓(1)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앵커 브라켓(1)은 차량의 후드를 형성하는 차체 구조물(A)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매우 간편하게 결합되고, 또한 고정용 사출핀(14)을 제거하지 않는 한 다시 분리가 불가능할 정도로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견고하게 고정된 앵커 브라켓(1)에 볼트나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Ba)를 체결하여 앵커 브라켓(1)을 실린더(B) 등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 중에서 앵커 브라켓의 각 구성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앵커 브라켓의 제조방법은,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S100), 준비된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S200), 수지로 관통공(도 2의 112참조)이 형성된 베이스판(도 1의 10참조)과, 관통공을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도 1 및 도 2의 111참조)을 포함하는 주고정부(도 1 및 도 2의 11참조)와, 주고정부와 이격되는 부고정부(도 1 및 도 2의 12참조)와, 연결고리부(도 1 및 도 2의 13참조)와, 관통공의 외측에서 관통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측 단부가 관통공과 중첩되는 고정용 사출핀(도 1 및 도 2의 14참조)을 성형하되, 고정용 사출핀을 베이스판과 연결하여 일체로 사출하는 단계(S300), 및 고정용 사출핀을 가압하여 베이스판과 분리하고, 고정용 사출핀이 상기 고정편과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용 사출핀의 일부만을 관통공에 삽입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즉, 앵커 브라켓은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여 전술한 베이스판, 주고정부, 부고정부, 연결고리부, 및 베이스판의 관통공 외측에서 관통공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정렬된 고정용 사출핀을 성형하되, 1차적으로 고정용 사출핀과 베이스판을 연결하여 일체로 성형한 후, 고정용 사출핀을 가압하여 그 일부만을 관통공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제조자는 고정용 사출핀이 전술한 고정편(도 1 및 도 2의 111참조)과 접촉하지 않도록 고정용 사출핀의 일측 단부(도 2의 관통공을 향하는 단부)가 관통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그 일부만을 관통공에 삽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편은 자유롭게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제조자는 1차적으로 고정용 사출핀을 베이스판과 연결하여 일체로 사출한 후, 이를 의도적으로 가압하여 관통공의 일부에만 삽입함으로써 고정편의 움직임에 제약을 주지 않는 상태로 고정용 사출핀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용 사출핀의 일부가 관통공에 이미 삽입된 상태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누르기만 하면 즉시 그 일부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고정편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금형의 경우 내부에 앵커 브라켓의 형상이 음각되어 형성된 것을 준비할 수 있다. 금형은 성형이 끝난 앵커 브라켓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쌍을 이루는 서로 다른 판형이 분리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지는 경화된 후에도 탄성력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의 성분에 조정을 가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경도를 증가시키거나 탄성력을 증가시키는 등 재료의 성질을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수지는 노즐을 통해 금형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이 때, 노즐의 위치, 노즐을 통해 주입되는 수지의 양, 노즐을 통해 주입되는 수지의 압력 등을 조절하여 금형 내부에서 앵커 브라켓을 성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로 이루어진 연결부(도 3의 141참조)를 관통공의 둘레와 고정용 사출핀의 단부 사이에 형성하고 고정용 사출핀을 베이스판과 연결하여 일체로 사출할 수 있다.
연결부는 수지로 형성된 얇은 막이나 수지로 이루어진 가는 선상의 연결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는 마이크로 미터 단위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용 사출핀과 베이스판이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사출되되, 제조자가 의도적으로 적절한 압력을 가하면 연결부가 손쉽게 해체될 수 있다.
특히, 제조자는 고정용 사출핀의 타측 단부를 가압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용 사출핀의 일측 단부가 관통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그 일부만을 관통공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용 사출핀은 고정편과 접촉하지 않으며, 앵커 브라켓은 고정편이 자유롭게 유동 가능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용 사출핀이 일체로 제공되는 앵커 브라켓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앵커 브라켓 10: 베이스판
11: 주고정부 12: 부고정부
13: 연결고리부 14: 고정용 사출핀
111: 고정편 111a: 빗면부
111b: 평면부 111c: 연결면
112: 관통공 121: 지지편
122: 걸림편 123: 파지홈
131: 결합공 141: 연결부
A: 구조물 Aa, Ab: 개구부
B: 실린더 Ba: 결합부재

Claims (6)

  1. 차체 구조물과 밀착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내측에서 확장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주고정부;
    상기 주고정부와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다른 개구부에 삽입되는 부고정부;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기 구조물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고리부; 및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관통공과 중첩되고,
    상기 베이스판과 일체로 사출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고정용 사출핀을 포함하는 앵커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사출핀의 타측 단부가 가압되면, 상기 연결부가 해체되어 상기 고정용 사출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앵커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사출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복수 개의 상기 고정편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고정용 사출핀에 밀착되어 움직임이 저지되는 앵커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구조물에 형성된 개구부와 빗면 접촉하는 빗면부,
    상기 빗면부와 상기 베이스판 사이를 연결하는 평면부, 및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어, 상기 고정용 사출핀이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용 사출핀과 밀착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앵커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고정부는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다른 개구부와 접촉하는 걸림편, 및
    상기 걸림편의 끝단부에 오목하게 만입되어 상기 다른 개구부의 일 측을 파지하는 파지홈을 포함하는 앵커 브라켓.
  6. 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형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수지로 관통공을 포함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분할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편을 포함하는 주고정부와, 상기 주고정부와 이격되는 부고정부와, 연결고리부와,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서 상기 관통공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관통공과 중첩되는 고정용 사출핀을 성형하되, 상기 고정용 사출핀을 상기 베이스판과 연결하여 일체로 사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용 사출핀을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판과 분리하고, 상기 고정용 사출핀이 상기 고정편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고정용 사출핀의 일부만을 상기 관통공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앵커 브라켓의 제조방법.
KR1020150051118A 2015-04-10 2015-04-10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8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18A KR101538794B1 (ko) 2015-04-10 2015-04-10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18A KR101538794B1 (ko) 2015-04-10 2015-04-10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794B1 true KR101538794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118A KR101538794B1 (ko) 2015-04-10 2015-04-10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7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719U (ja) * 1993-12-07 1995-06-23 株式会社ネオックスラボ サンバイザ軸受台
JPH11247812A (ja) * 1998-03-05 1999-09-14 Tokai Rika Co Ltd 締結体
KR20020039165A (ko) * 2000-11-20 2002-05-25 이계안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로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719U (ja) * 1993-12-07 1995-06-23 株式会社ネオックスラボ サンバイザ軸受台
JPH11247812A (ja) * 1998-03-05 1999-09-14 Tokai Rika Co Ltd 締結体
KR20020039165A (ko) * 2000-11-20 2002-05-25 이계안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로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41185A1 (en) Elastic tube alignment an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ly locating and attaching components
US7785030B2 (en) Connecting element
JP6851884B2 (ja) クリップ
US10428857B2 (en) Clip with grommet and pin
US10746217B2 (en) Two-part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components
WO2010041435A1 (ja) ホールプラグ
US20150165986A1 (en) Elastically averaged strap systems and methods
US7775771B2 (en) Quick assembly blade for a ceiling fan
US20070090561A1 (en) Mounting structure for EA material
US11047416B2 (en) Fastening clip
EP3446847B1 (en) Member for temporarily holding component, and component attachment tool
CN113217514A (zh) 固定组件的扣件结构、固定组件及固定组件的组接方法
JP2010036855A (ja) 燃料タンクの保護板取付構造
CN108603524B (zh) 固定件
US8757951B2 (en) Clip
JP2010000750A (ja) ネジ孔封止構造
KR102581591B1 (ko) 관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는 phc 파일 구조체
JP5360480B2 (ja) 留め具
WO2016002588A1 (ja) 発泡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発泡樹脂成形品
US20100158632A1 (en) Fastener
CN110573753A (zh) 连接夹
KR101538794B1 (ko) 자동차 후드 지지용 앵커 브라켓 및 그의 제조방법
JPH05340413A (ja) 止め具
JP2019072938A (ja) 部品取付治具
US20090094800A1 (en) Trim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