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223B1 - 회전체 회전 장치,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체 회전 장치,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223B1
KR101374223B1 KR1020100022036A KR20100022036A KR101374223B1 KR 101374223 B1 KR101374223 B1 KR 101374223B1 KR 1020100022036 A KR1020100022036 A KR 1020100022036A KR 20100022036 A KR20100022036 A KR 20100022036A KR 101374223 B1 KR101374223 B1 KR 101374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otating
rotating body
guide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255A (ko
Inventor
시로 스즈키
와타루 스즈키
마사히로 사토
아츠유키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73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e.g. 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회전체 회전 장치는, 회전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에 자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체의 축 둘레로 공전(公轉)하도록 지지된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회전체로 전달하는 전달 위치와, 상기 구동부가 공전(空轉)하는 비전달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전달 부재와, 상기 제 1 회전체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안내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회전체 회전 장치,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ROTOR ROTATING APPARATUS,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체 회전 장치,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이다. 일본국 특개평8-95338호 공보에 개시되는 화상 형성 장치(도 4)는, 판(板) 스프링(430)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구동 전달 상태로 되는 클러치를, 현상(現像) 출력 기어(107), 현상 출력 기어(109), 및 압축 스프링(108)으로 구성하고, 상기 클러치에 의해 현상 위치에 있는 현상기에만 구동을 전달한다.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에 이동시킬 경우에 비해, 제 1 회전체의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서 그 제 1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킬 때의 회전 부하를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회전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에 자전(自轉)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체의 축 둘레로 공전(公轉)하도록 지지된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회전체로 전달하는 전달 위치와, 상기 구동부가 공전(空轉)하는 비전달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전달 부재와, 상기 제 1 회전체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에 이동시킬 경우에 비해, 제 1 회전체의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서 그 제 1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킬 때의 회전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 부재가 전달 부재로부터 전달 위치에 이동되므로, 안내 부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상기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전달 부재를 비전달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생기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된 판(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전달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안내부의 선단(先端)을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생기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전달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안내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상기 전달 부재가,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이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해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핀을 가지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전달 위치에서 상기 핀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홈부를 가지는 기어를 포함한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핀과 홈부에 의해 전달 위치에서 제 2 회전체에 구동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상기 홈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기 홈부의 안쪽을 향해 경사져서 상기 핀을 상기 홈부 내에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의하면, 핀이 확실하게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회전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에 자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체의 축 둘레로 공전(公轉)하도록 지지된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회전체로 전달하는 전달 위치와, 상기 구동부가 공전(空轉)하는 비전달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전달 부재와, 상기 제 1 회전체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회전체 회전 장치로서의 현상 장치로서, 상기 제 2 회전체는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체로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복수의 상기 현상제 공급체에 대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복수의 상기 전달 부재 중,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잠상에 대한 대향 위치에 이동되는 현상제 공급체에 대해 설치된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이동시킨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에 이동시킬 경우에 비해, 충격에 의한 현상제의 공급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 부재가 전달 부재로부터 전달 위치에 이동되므로, 안내 부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상기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전달 부재를 비전달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생기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생기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이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해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핀을 가지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전달 위치에서 상기 핀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홈부를 가지는 기어를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에 의하면, 핀과 홈부에 의해 전달 위치에서 제 2 회전체에 구동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는, 상기 홈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기 홈부의 안쪽을 향해 경사져서 상기 핀을 상기 홈부 내에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에 의하면, 핀이 확실하게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양태는, 잠상을 유지하는 잠상 유지체와, 상기 잠상을 현상해서 토너 상을 상기 잠상 유지체에 형성하는 본 발명의 제 9 양태의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상기 잠상 유지체에 형성된 토너 상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5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에 이동시킬 경우에 비해, 충격에 의한 현상제의 공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제 1 회전체의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 부재가 전달 부재로부터 전달 위치에 이동되므로, 안내 부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상기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7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전달 부재를 비전달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생기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8 양태는,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8 양태에 의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생기는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어가 압축 코일 스프링에 눌렸을 경우에 있어서, 핀과 홈부의 방향이 맞아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매체(P)가 수용되는 기록 매체 수용부(12)와, 기록 매체(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4)와, 기록 매체 수용부(12)로부터 화상 형성부(14)로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반송부(16)와, 화상 형성부(14)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P)가 배출되는 기록 매체 배출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기록 매체 수용부(12)가 수용하는 기록 매체(P)로서는, 용지나, 플라스틱·금속 등의 필름 등이 있다.
화상 형성부(14)는, 잠상을 유지하는 잠상 유지체의 일례로서, 정전 잠상을 유지하는 감광체 드럼(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감광체 드럼(30)은, 일 방향(도 1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잠상 유지체로서는, 감광체 드럼(30)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감광체 벨트여도 되며, 잠상을 유지하는 것이면 감광체 드럼(30) 이외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감광체 드럼(30)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0)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차례로, 감광체 드럼(30)을 대전시키는 대전 장치(32)와, 대전한 감광체 드럼(30)을 노광해서 감광체 드럼(30)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34)와, 감광체 드럼(30)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해서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50)와, 감광체 드럼(30)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 부재(36A)에 의해 제거하는 제거 장치(36)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장치(50)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의 현상기(50Y, 50M, 50C, 50K)가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장치(50)의 구체적 구성은 후술한다.
감광체 드럼(30)은, 형성되는 화상의 색마다, 대전·노광·현상의 각 공정이 반복된다. 예를 들면, 풀 컬러의 컬러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는, 감광체 드럼(30)에는, 대전 장치(32)에 의한 대전 공정·노광 장치(34)에 의한 노광 공정·현상기(50Y, 50M, 50C, 50K)로부터 선택되는 1개에 의한 현상 공정의 각 공정이,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에 대응해서 4회 반복되어, 감광체 드럼(30)에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각 색에 대응한 토너 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화상 형성부(14)는, 감광체 드럼(3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피전사체의 일례로서의 중간 전사체(24)와, 감광체 드럼(3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체(24)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 1 전사 롤(26)과, 중간 전사체(24)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의 일례로서의 제 2 전사 롤(28)과, 중간 전사체(24)로부터 기록 매체(P)에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18)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전사체(24)는, 예를 들면 고리 형상의 벨트체로 구성되어 있고, 제 2 전사 롤(28)에 대향하는 대향 롤(42) 및 복수의 지지 롤(46)에 의해,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체(24)는, 감광체 드럼(30)과 접촉하면서 일 방향(도 1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전사체인 중간 전사체(24)로서는, 벨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드럼이어도 되며, 감광체 드럼(30)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것이면 된다.
제 1 전사 롤(26)은, 중간 전사체(24)를 사이에 끼워서,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고 있다. 제 1 전사 롤(26)과 감광체 드럼(30) 사이가, 감광체 드럼(30)의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체(24)에 전사되는 제 1 전사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제 1 전사 위치에서, 제 1 전사 롤(26)이 감광체 드럼(30)의 토너 화상을 압접력(壓接力)과 정전력(靜電力)에 의해 중간 전사체(24)에 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전사 롤(28)은, 중간 전사체(24)를 사이에 끼워 대향 롤(42)과 대향하고 있다. 제 2 전사 롤(28)과 대향 롤(42) 사이가, 중간 전사체(24)의 토너 화상이 기록 매체(P)에 전사되는 제 2 전사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제 2 전사 위치에서, 제 2 전사 롤(28)이 중간 전사체(24)의 토너 화상을 압접력과 정전력에 의해 기록 매체(P)에 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반송부(16)는, 기록 매체 수용부(12)에 수용된 기록 매체(P)를 송출하는 송출 롤(22)과, 송출 롤(22)에 의해 송출된 기록 매체(P)를 제 2 전사 위치로 반송하는 반송 롤(38)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 롤(22), 반송 롤(38)은, 기록 매체 수용부(12)로부터 기록 매체 배출부(20)를 향해 연장하는 제 1 반송로(17)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18)는, 제 2 전사 위치보다 반송 방향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전사 위치에서 전사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로 정착시킨다. 정착 장치(18)보다 반송 방향 하류 측에는, 정착 장치(18)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P)를 기록 매체 배출부(20)에 배출하는 배출 롤(4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면에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P)를 반전시켜서, 다시 제 1 반송로(17)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제 2 반송로(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반송로(19)에는, 기록 매체(P)를 반송하는 복수의 반송 롤 쌍(23)이 배치되어 있고,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때에는, 한 면에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P)는, 배출 롤(40)에 의해 스위치백(switchback)되어 제 2 반송로(19)에 인도되고, 복수의 반송 롤 쌍(23)에 의해 하방으로 반송되어, 제 1 반송로(17)로 되돌려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우선 송출 롤(22)에 의해 기록 매체 수용부(12)로부터 송출된 기록 매체(P)가, 반송 롤(38)에 의해 제 2 전사 위치로 보내진다.
한편, 중간 전사체(24)에는, 감광체 드럼(30)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 화상이 중첩되어,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제 2 전사 위치로 보내진 기록 매체(P)는, 중간 전사체(24)에 형성된 컬러 화상이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 장치(18)로 반송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18)에 의해 정착된다. 기록 매체(P)의 한 면에만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는, 토너 화상이 정착된 후, 기록 매체(P)는 배출 롤(40)에 의해 기록 매체 배출부(20)로 배출된다.
기록 매체(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할 경우에는, 한 면에 화상이 형성된 후, 기록 매체(P)는, 배출 롤(40)에 의해 스위치백되고, 반전해서 제 2 반송로(19)로 보내진다. 또한, 제 2 반송로(19)로부터 다시 제 1 반송로(17)로 보내지고, 반대면 측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상이 형성되어, 기록 매체(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일련의 화상 형성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서는, 감광체 드럼(30)에 형성된 토너 상이 전사되는 피전사체로서, 중간 전사체(24)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피전사체로서는 기록 매체(P)여도 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으로서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30)에 형성된 토너 상이 중간 전사체(24)가 아니라 기록 매체(P)에 직접 전사되는 직접 전사형의 화상 형성 장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50)의 구성)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5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50)는, 회전체가 회전하는 회전체 회전 장치의 일례이며,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는 제 1 회전체(52)와, 제 1 회전체(52)에 자전(自轉) 가능하고 또한 제 1 회전체(52)의 회전에 따라 제 1 회전체(52)의 축 둘레로 공전(公轉)하도록 지지된 제 2 회전체의 일례로서의 4개의 현상 롤(5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체 회전 장치로서는, 현상 장치(50)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30)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장치여도 되고, 회전체가 회전하는 것이면 현상 장치(50) 이외의 구성이어도 된다. 감광체 드럼(30)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는 제거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회전하는 제 1 회전체와, 제 1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회전체로서의, 감광체 드럼(30)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는 복수의 제거 롤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된다. 제거 롤로서는, 예를 들면 스폰지 등으로 형성된 롤 형상의 다공질 부재나 롤 형상의 브러쉬 등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제 1 회전체를 회전시켜, 감광체 드럼(30)에 잔류한 토너의 색마다 제거 롤을 바꿔 토너가 회수된다.
또한, 제 2 회전체로서의 현상 롤(54)은, 4개 설치될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1개~3개, 5개 이상 설치될 경우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50)의 제 1 회전체(52)는, 축 방향 양 단부의 각각이 지지체(56A, 56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 부재(52A)와, 축 부재(52A)의 축 방향 양 단부의 각각에 설치되어 축 부재(52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하는 원 형상의 플랜지 부재(53A) 및 플랜지 부재(53B)를 구비하고 있다.
축 부재(52A)의 축 방향 일 단부(端部)(도 3에서 좌 단부)에는, 도시 생략한 구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축 부재(52A)에 전달하는 전달 요소의 일례로서의 기어(57)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회전체(52)는, 도시 생략한 구동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기어(57)를 통해 전달되어, 축 부재(52A)를 회전 중심으로 해서 일 방향(도 1 및 도 2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회전체(52)에는, 플랜지 부재(53A)와 플랜지 부재(53B)에 의해 형성된 원통 형상의 공간에,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흑색(K)의 4개의 현상기(50Y, 50M, 50C, 50K)가, 축 부재(52A)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어 있다.
현상기(50Y, 50M, 50C, 50K)는, 각각 상술한 현상 롤(54)과, 각 색에 대응한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60)와, 현상제 수용부(6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현상 롤(54)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부재(62)와, 현상 롤(54) 및 현상제 공급 부재(62)가 수용되는 케이싱(67)과, 현상 롤(54)이 유지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55)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 롤(54)은, 감광체 드럼(30)의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체의 일례이고, 현상기(50Y, 50M, 50C, 50K)의 각각에 설치됨으로써, 제 1 회전체(52)에 대해 복수 설치되어 있다.
현상제 공급 부재(62)는, 현상 롤(54)의 축 방향을 따라 한 쪽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62A)와, 반송 부재(62A)가 반송한 현상제를 현상 롤(54)의 축 방향을 따라 다른 쪽으로 반송하는 반송 부재(6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송 부재(62A) 및 반송 부재(62B)는, 예를 들면 회전 가능한 회전축(63A)과, 그 회전축(63A)에 그 축 둘레로 나선 형상으로 설치되어 회전축(63A)의 회전에 의해 토너를 반송 가능한 블레이드 부재(63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현상 롤(54), 반송 부재(62A) 및 반송 부재(62B)는, 그 축 방향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된 지지 부재(65A, 65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65A, 65B)는, 제 1 회전체(52)에 부착되어 있고, 제 1 회전체(52)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상 롤(54)은, 제 1 회전체(52)의 회전에 따라 제 1 회전체(52)의 축 둘레로 공전(公轉)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50)에서는, 현상제 수용부(60)로부터 반송 부재(62A)로 현상제가 공급되고, 그 공급된 현상제는, 반송 부재(62A)에 의해 그 축 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 부재(62A)에 의해 반송된 현상제는, 반송 부재(62B)에 의해 그 축 방향으로 반송되고, 그 반송된 현상제는, 현상 롤(54)에 공급된다. 현상 롤(54)에 공급된 현상제는, 현상 롤(54)에 의해 유지되고 감광체 드럼(30)으로 반송된다. 감광체 드럼(30)으로 반송되는 현상제는, 규제 부재(55)를 통과할 때에, 현상 롤(54)에 부착하는 양이 규제된다.
현상 롤(54)에 의해,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반송된 현상제는, 감광체 드럼(3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감광체 드럼(30)의 정전 잠상이 현상되어, 감광체 드럼(30)에 토너 상이 형성된다.
(현상 롤(54)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
이어서, 현상 롤(54)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기구(7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5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의 일례로서의 구동 모터(72)와, 구동 모터(72)의 구동력을 현상 롤(54)로 전달하는 전달 위치와 공전(空轉)하여 구동 모터(72)의 구동력을 현상 롤(54)로 전달하지 않는 비전달 위치 사이를 현상 롤(54)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전달 부재의 일례로서의 기어(7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어(7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54)에 대해 각각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기구(7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모터(72)의 구동력을 기어(74)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의 일례로서의 기어(85, 86, 87, 88, 89)와, 구동 모터(72)의 구동력을 기어(74)로부터 현상 롤(54)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의 일례로서의 회전축(76)과, 기어(80, 92, 94)를 구비하고 있다.
기어(85, 86, 87, 88, 89)는 4개의 기어(74)에 대해 공통으로 이용되고,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76) 및 기어(80, 92, 94)는, 기어(74)와 마찬가지로, 현상 롤(54)마다 설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모터(72)의 구동력을 기어(74)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로서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구동 모터(72)의 구동력을 기어(74)로부터 현상 롤(54)에 전달하는 전달 부재로서는, 기어(80, 92, 94)가 없이, 회전축(76)이 현상 롤(54)에 직접, 연결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전달 부재로서는, 기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벨트, 체인, 링크,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예를 들면, 크랭크) 등의 기계 요소를 이용해도 되고, 구동력을 전달 가능한 부재이면, 기어 이외의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기어(85)는, 구동 모터(72)의 구동축(72A)에 부착되어 있어, 구동축(72A)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어(86)는, 대(大)직경부 및 소(小)직경부를 가지고 있고, 도시 생략한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대직경부가 기어(85)와 맞물려 있다. 기어(87)는,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가지고 있고, 도시 생략한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대직경부가 기어(86)의 소직경부와 맞물려 있다. 또한, 기어(87)는, 소직경부가 지지체(56A)에 형성된 노치부(56C)에 지지체(56A)와 비접촉인 상태로 삽입 관통되어 있다. 기어(88)는, 지지체(56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기어(87)의 소직경부와 맞물려 있다. 기어(89)는, 대직경부 및 소직경부를 가지고 있고, 축 부재(5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소직경부가 기어(88)와 맞물리고, 대직경부가 4개의 기어(74)와 맞물려 있다.
4개의 회전축(76)은, 현상 롤(54)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축 방향 중간부가 플랜지 부재(5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축 방향 일 단부(도 3 및 도 4에서의 우 단부)가 지지 부재(7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80)는, 회전축(76)의 타 단부(지지 부재(78)로 지지된 단부와는 반대 측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회전축(76)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기어(92)는 플랜지 부재(5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기어(80)와 맞물려 있다. 기어(94)는, 현상 롤(54)의 축 방향 일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현상 롤(54)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기어(92)와 맞물려 있다.
또한, 기어(92)는, 반송 부재(62B)의 회전축(63A)의 축 방향 일 단부에 설치된 기어(96)와도 맞물려 있고, 기어(92)의 회전에 의해 반송 부재(62B)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4개의 기어(74)는, 각각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이(gear teeth)가 형성된 원통 형상의 기어부(74A)와, 기어부(74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기어부(74A)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대직경부(74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기어(74)는, 지지 부재(78)와 플랜지 부재(53A) 사이에서 대직경부(74B)가 지지 부재(78) 측을 향하도록 회전축(76)에 배치되는 동시에, 회전축(76)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회전축(76)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각각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76)의 축 방향 일 단부(지지 부재(78)로 지지된 단부)에는, 후술하는 전달부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피전달부의 일례로서의 핀(82)이, 지지 부재(78)에 지지된 부위보다 축 방향 타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핀(82)은, 회전축(76)의 직경 방향을 따라 회전축(76)을 관통하고, 회전축(76)으로부터 그 직경 방향 외측의 한 쪽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돌출해 있고, 회전축(76)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어(74)의 대직경부(74B)에는, 구동력을 피전달부에 전달하는 전달부의 일례로서의 홈부(84)가, 지지 부재(78) 측의 단면(端面)에 형성되어 있다. 홈부(84)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홈부(84)의 안쪽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8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84A)에 의해 핀(82)이 홈부(84) 내에 안내된다.
기어(74)는, 핀(82)이 홈부(84)에 삽입되어, 기어(74)와 회전축(76)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핀(82)이 홈부(84)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어(74)가 회전하면, 홈부(84)의 내벽이 핀(82)의 둘레 면을 누름으로써, 홈부(84)로부터 핀(82)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축(76)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74)의 홈부(84)에 핀(82)이 삽입되는 위치가, 기어(74)의 전달 위치로 된다.
또한, 기어(74)는 회전축(76)을 따라 플랜지 부재(53A) 측에 이동하여, 핀(82)이 홈부(84)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회전축(76)에 대해 공전(空轉)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74)의 홈부(84)로부터 핀(82)이 분리되는 위치가, 기어(74)의 비전달 위치로 된다.
또한, 피전달부로서는, 핀(82)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부재를 이용해도 되고, 전달부로서는, 홈부(84)에 한정되지 않고, 피전달부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바뀐다. 또한, 핀(82)을 기어(74) 측에 배치해서 전달부로서 이용하고, 홈부(84)를 회전축(76) 측에 배치해서 피전달부로서 이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즉, 기어(74)와 회전축(76)이 연결되어 기어(74)로부터 회전축(76)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와, 기어(74)와 회전축(76)이 분리되어 기어(74)가 공전(空轉)하는 상태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회전축(76)에는, 탄성력을 만드는 탄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90)이, 기어(74)(구체적으로는, 기어부(74A))와 플랜지 부재(53A) 사이에서 부착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90)은, 일 단부가 플랜지 부재(53A)에 접촉하는 동시에, 타 단부가 기어(74)(구체적으로는, 기어부(74A))에 접촉해 있어, 탄성력에 의해 기어(74)를 지지 부재(78) 측의 전달 위치로 누르고 있다.
또한, 탄성 부재로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90)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장 스프링·판 스프링 등의 다른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다른 탄성체여도 되고, 전달 위치로 향하는 힘을 기어(74)에 부여하는 부재이면, 압축 코일 스프링(90) 이외의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회전 기구(70)는, 제 1 회전체(52)의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제 1 회전 위치)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의해 기어(74)를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부터 비대향 위치에 제 1 회전체(52)가 회전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저항해서 기어(74)를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안내 부재(98)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부재(9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부재(52A) 및 회전축(76)의 직경 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9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76)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볼 때, 핀(82)과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98)에는, 기어(74) 측에 대향하는 대향면(98C)이, 핀(82)보다 플랜지 부재(53A)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면(98C)은,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와 접촉하는 접촉면으로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부재(98)에는, 원 형상의 원형 홀(99)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 홀(99)의 내측 가장자리(99A)는, 제 1 회전체(52)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경우의 핀(82)의 가장 외측의 궤도(A)보다 외주 측이고, 제 1 회전체(52)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경우의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의 가장 외측의 궤도(B)보다 내주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핀(82)은 안내 부재(98)와 접촉하지 않고 원형 홀(99) 내를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되고,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의 일부가 안내 부재(98)에 접촉 가능해진다.
또한, 안내 부재(98)에는, 원형 홀(99)과 연속해서 형성되며 원형 홀(99)의 주위의 일부를 베어낸 노치부(99B)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99B)는, 감광체 드럼(30)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부재(52A) 및 회전축(76)의 축 방향의 일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안내 부재(98)는, 4개의 현상 롤(54) 중,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위치하는 현상 롤(54)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와는 중첩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지 않는 비대향 위치에 위치하는 현상 롤(54)을 구동하기 위한 3개의 기어(74)와 일부가 중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 부재(98)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대향 위치에 위치하는 현상 롤(54)의 3개의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와 핀(82)보다 압축 코일 스프링(90) 측에서 접촉하는 동시에, 대향 위치에 위치하는 현상 롤(54)의 1개의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와는 비접촉으로 된다. 이에 따라, 안내 부재(98)는, 4개의 기어(74) 중, 제 1 회전체(52)가 회전함으로써,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에 이동되는 기어(74)를 전달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4개의 기어(74) 중 1개가 선택적으로 전달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기어(74) 중 일부(복수를 포함)가 선택적으로 전달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안내 부재(98)는,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의해 기어(74)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기어(74)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98A)와,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저항해서 기어(74)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98B)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부(98A)는, 비대향 위치로부터 대향 위치에 이동하는 현상 롤(54)의 이동 방향을 따라 돌출한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부(98B)는, 대향 위치로부터 비대향 위치에 이동하는 현상 롤(54)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따라 돌출한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부(98A) 및 안내부(98B)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 측으로 다가감에 따라 서서히, 회전축(76)의 축 방향을 따라 지지 부재(78) 측으로 멀어지도록 변형하여 있다. 이에 따라, 안내부(98A) 및 안내부(98B)는, 기어(74)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그 선단을 향해 지지 부재(78) 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안내 부재(98)는,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안내부(98A) 및 안내부(98B)가 없는 구성이어도 되고, 제 1 회전체(52)의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의해 기어(74)를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저항해서 기어(74)를 비전달 위치에 안내하는 부재이면 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회전체(52)가 회전하고, 4개의 현상 롤(54) 중 1개가, 선택적으로 감광체 드럼(30)에 대향하는 대향 위치로부터 비대향 위치에 회전 이동하면, 대향 위치에 위치해 있었던 현상 롤(54)의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가 안내부(98B)의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회전 이동한다.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가 안내부(98B)의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회전 이동하면, 기어(74)는,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저항해서, 안내부(98B)의 접촉면의 경사를 따라 압축 코일 스프링(90) 측의 비전달 위치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에 따라, 기어(74)의 홈부(84)로부터 핀(82)이 분리되어, 기어(74)가 공전(空轉)하고, 구동 모터(72)로부터의 구동력은, 기어(74)로부터 회전축(76)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이 때, 구동 모터(72)로부터 기어(74)에 걸쳐 배치된 기어(85, 86, 87, 88, 89)는,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고, 구동 모터(72)로부터의 구동력은, 기어(74)까지 전달되어, 기어(74)는 회전한 상태로 된다.
또한, 기어(74)의 비전달 위치로의 이동은, 서서히 행해지므로, 기어(74)를 이동시킬 때의 충격이 저감된다. 기어(74)가 비전달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전달 위치에 위치하는 다른 기어(74)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는 현상 롤(54)은, 충격을 받기 어려워, 그 충격에 의한 현상제의 공급 불균일이 억제된다. 또한, 기어(74)가 비전달 위치에 이동했을 때에, 전사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그 충격에 의한 전사 위치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또한, 제 1 회전체(52)가 회전한 경우에도, 현상 롤(54)이 비대향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기어(74)는 안내 부재(98)의 접촉면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되어, 비전달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기어(74)가 공전(空轉)하여, 구동 모터(72)로부터의 구동력은 기어(74)로부터 회전축(76)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한 제 1 회전체(52)의 회전에 의해, 비대향 위치로부터 대향 위치에 회전 이동하는 현상 롤(54)은, 기어(74)(구체적으로는 대직경부(74B))가 안내부(98A)의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회전 이동한다. 기어(74)가 안내부(98A)의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회전 이동하면, 기어(74)는,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의해, 안내부(98A)의 접촉면의 경사를 따라 지지 부재(78) 측의 전달 위치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에 따라, 기어(74)의 홈부(84)에 핀(82)이 삽입되어, 구동 모터(72)로부터의 구동력이, 기어(74)로부터 회전축(76)에 전달되어, 현상 롤(54)이 회전한다. 또한, 이 때, 다른 3개의 현상 롤(54)은, 그 기어(74)가 비전달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정지한 상태로 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현상 롤(54) 중 일부가 선택적으로 회전된다.
또한, 기어(74)가 전달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기어(74)는 안내 부재(98)에 대해 비접촉인 상태로 회전하고, 압축 코일 스프링(90)은 기어(74)가 비전달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비해 신장된 상태가 되어, 기어(74)에 작용하는 누름력은 저하한다. 이 때문에, 기어(74)가 안내 부재(98)에 접촉해서 회전할 경우나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저항해서 기어(74)를 압축 코일 스프링(90) 측에 이동시킨 상태로 기어(74)가 회전할 경우에 비해, 현상 롤(54)을 회전시킬 때의 회전 부하가 저감된다.
또한, 기어(74)의 전달 위치로의 이동은, 서서히 행해지므로, 기어(74)를 이동시킬 때의 충격이 저감된다. 이 때문에, 전달 위치에 이동한 기어(74)에 의해 구동력이 전달되는 현상 롤(54)은, 충격을 받기 어려워, 그 충격에 의한 현상제의 공급 불균일이 억제된다. 또한, 기어(74)가 전달 위치에 이동했을 때에, 전사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그 충격에 의한 전사 위치의 어긋남이 억제된다.
또한, 기어(74)에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의해 기어(74)가 지지 부재(78) 측에 눌렸을 경우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82)과 홈부(84)의 방향이 맞춰 있지 않을 때에는, 핀(82)이 홈부(84)에 삽입되지 않아, 기어(74)가 전달 위치에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어(74)의 회전에 대해, 회전축(76) 측은 현상 롤(54)의 자중(自重) 등에 의한 부하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므로, 적어도 기어(74)가 1 회전, 공전(空轉)할 때까지는 핀(82)과 홈부(84)의 방향이 맞춰지고 핀(82)이 홈부(84)에 삽입되어, 기어(74)가 전달 위치에 이동한다.
또한, 상기 안내 부재는, 탄성 부재인 압축 코일 스프링(90)의 누름력에 의해, 전달 부재를 이동시키는 양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실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고정 배치된 안내 부재에 2 개의 레일이 배치되고, 전달 부재가 동일한 레일 상(上)을,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고, 대향 위치에서 전달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은 도시 및 설명을 위해 제공되었다. 이것이 모든 것이거나 본 발명을 개시된 바로 그 형태로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분명, 많은 변경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의 적용의 최선의 설명을 위해 선택 및 기술된 것이고, 이에 따라 다른 당업자는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또한 생각되는 특정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변경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동등한 것에 의해 규정된다.
10 : 화상 형성 장치 14 : 화상 형성부
16 : 반송부 17 : 제 1 반송로
18 : 정착 장치 19 : 제 2 반송로
20 : 기록 매체 배출부 22 : 송출 롤
23 : 반송 롤 24 : 중간 전사체
26 : 제 1 전사 롤 30 : 감광체 드럼
32 : 대전 장치 34 : 노광 장치
36 : 제거 장치 36A : 제거 부재
40 : 배출 롤 38 : 반송 롤
42 : 대향 롤 46 : 지지 롤
50 : 현상 장치 52 : 제 1 회전체
54 : 현상 롤 57 : 기어
70 : 회전 기구 72 : 구동 모터
76 : 회전축 78 : 지지 부재
82 : 핀 84 : 홈부
90 : 스프링 98 : 안내 부재
99 : 원형 홀

Claims (18)

  1. 회전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에 자전(自轉)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체의 축 둘레로 공전(公轉)하도록 지지된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회전체로 전달하는 전달 위치와, 상기 구동부가 공전(空轉)하는 비전달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전달 부재와,
    상기 제 1 회전체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체의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회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상기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회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된 판(板)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전달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안내부의 선단(先端)을 향해 경사져 있는 회전체 회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회전체 회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평평하게 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전달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안내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져 있는 회전체 회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이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해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핀을 가지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전달 위치에서 상기 핀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홈부를 가지는 기어를 포함하는 회전체 회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부의 안쪽을 향해 경사져서 상기 핀을 상기 홈부 내에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회전체 회전 장치.
  9. 회전하는 제 1 회전체와,
    상기 제 1 회전체에 자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체의 축 둘레로 공전(公轉)하도록 지지된 제 2 회전체와,
    상기 제 2 회전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제 2 회전체로 전달하는 전달 위치와, 상기 구동부가 공전(空轉)하는 비전달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전달 부재와,
    상기 제 1 회전체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회전체 회전 장치로서의 현상 장치로서,
    상기 제 2 회전체는,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체로서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복수의 상기 현상제 공급체에 대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복수의 상기 전달 부재 중,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잠상에 대한 대향 위치에 이동되는 현상제 공급체에 대해 설치된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체의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상기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이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에 돌출해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핀을 가지는 상기 회전축과,
    상기 전달 위치에서 상기 핀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핀이 삽입되는 홈부를 가지는 기어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홈부의 안쪽을 향해 경사져서 상기 핀을 상기 홈부 내에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현상 장치.
  15. 잠상을 유지하는 잠상 유지체와,
    상기 잠상을 현상해서 토너 상을 상기 잠상 유지체에 형성하는 제 9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상기 잠상 유지체에 형성된 토너 상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 1 회전체의 상기 제 1 회전 위치에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전달 위치에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상기 비전달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전달 부재가 서서히 전달 위치에 이동하도록 상기 전달 부재를 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상기 전달 부재를 서서히 비전달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022036A 2009-07-07 2010-03-12 회전체 회전 장치,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374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0855 2009-07-07
JP2009160855A JP5332977B2 (ja) 2009-07-07 2009-07-07 回転体回転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255A KR20110004255A (ko) 2011-01-13
KR101374223B1 true KR101374223B1 (ko) 2014-03-13

Family

ID=4342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036A KR101374223B1 (ko) 2009-07-07 2010-03-12 회전체 회전 장치,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06462B2 (ko)
JP (1) JP5332977B2 (ko)
KR (1) KR101374223B1 (ko)
CN (1) CN1019438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1585B2 (ja) * 2010-08-17 2014-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2331697B (zh) * 2011-07-22 2013-01-09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一种碳粉盒驱动结构
CN108490753A (zh) * 2018-04-04 2018-09-0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处理盒及其装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4094A (ja) * 1999-11-05 2001-05-18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1194895A (ja) 1999-11-05 2001-07-19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US20060039720A1 (en) 2003-08-19 2006-02-23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26596A (ja) 2004-10-29 2006-05-18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305B2 (ja) * 1991-09-02 2000-0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471292A (en) * 1993-06-15 1995-11-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drive control of developer unit
JPH0895338A (ja) 1994-09-20 1996-04-1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JPH10268606A (ja) * 1997-03-27 1998-10-09 Fuji Xerox Co Ltd 多色画像形成装置
JP2000039773A (ja) * 1998-07-22 2000-02-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410340B2 (ja) * 1999-07-08 2010-02-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2287461A (ja) * 2001-03-23 2002-10-03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ー現像装置
JP4721573B2 (ja) * 2001-08-23 2011-07-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3122078A (ja) * 2001-10-11 2003-04-2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4094A (ja) * 1999-11-05 2001-05-18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1194895A (ja) 1999-11-05 2001-07-19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US20060039720A1 (en) 2003-08-19 2006-02-23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26596A (ja) 2004-10-29 2006-05-18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17783A (ja) 2011-01-27
US8306462B2 (en) 2012-11-06
KR20110004255A (ko) 2011-01-13
US20110008072A1 (en) 2011-01-13
CN101943871B (zh) 2013-10-02
JP5332977B2 (ja) 2013-11-06
CN101943871A (zh)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6617B2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a coupling member and a rotatable lever with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moving the coupling member
US8204400B2 (en) Charging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charging image carrier
JP5510425B2 (ja) 動力伝達体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トナー搬送装置
US9388000B2 (en) Spacing mechanism for spacing two members, and a fixing device sheet feeding-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5305008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609564B2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20063804A1 (en) Charg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50609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4614958B (zh) 成像设备
KR101374223B1 (ko) 회전체 회전 장치,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060082612A (ko) 현상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JP5194919B2 (ja) 駆動力伝達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016432A (ja)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4801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2871533A2 (en) Cleaning device, fixing device including the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fixing device
US98045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274279B2 (ja) 無端ベル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50189700A1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196099B2 (ja) スプリングクラッ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83538A (ja) 現像剤収容装置
JP2011145439A (ja) 画像形成装置の回転伝達機構
JP200812946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35119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