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949B1 - 연속 열처리 라인들의 급속 가열 섹션들에 대한 개선 - Google Patents

연속 열처리 라인들의 급속 가열 섹션들에 대한 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949B1
KR101370949B1 KR1020087026614A KR20087026614A KR101370949B1 KR 101370949 B1 KR101370949 B1 KR 101370949B1 KR 1020087026614 A KR1020087026614 A KR 1020087026614A KR 20087026614 A KR20087026614 A KR 20087026614A KR 101370949 B1 KR101370949 B1 KR 101370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ans
heating
strip
metal strip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737A (ko
Inventor
까떼링 빠스?
쁘레데릭 마몽
Original Assignee
파이브스 스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브스 스탕 filed Critical 파이브스 스탕
Publication of KR2009000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Control Of Heat Treatment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스트립(1)이 연속적인 그리고 구별된 가열 수단(5,5a,5b,5c,5d)을 포함하는 가열 섹션(2)을 통과하는 연속 열처리 라인들에서 급속 가열을 겪는 상기 금속 스트립(1)에 열적 유도 주름 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가열 수단에 대한 입구 및 출구 사이에 스트립의 온도 증가에 대한 평균 기울기는 하나의 가열 수단에서 다음 가열 수단으로 하강한다.
금속 스트립, 가열 수단, 가열 섹션, 열처리 라인, 주름 형성, 온도 기울기

Description

연속 열처리 라인들의 급속 가열 섹션들에 대한 개선{Improvement made to the rapid heating sections of continuous heat-treatment lines}
본 발명은 금속 스트립의 열처리를 위한 연속 열처리 라인들의 가열 섹션들에 대한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스트립이 불연속 가열 수단이 설치된 급속 가열 영역을 통과하는, 연속 열처리 라인들에서 급속 가열을 겪는 금속 스트립에 형성되는 열적 유도 주름(wrinkle)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급속 가열"은 가열 초기에 적어도 100℃/초의 온도 기울기를 갖는 스트립의 온도 상승을 보장하는 가열 동작을 지칭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술 분야를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열처리 라인에서 금속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섹션의 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먼조 참조한다.
도 1에는, 스트립(1)이 공급 롤(3) 및 전달 롤(4) 위를 지나감으로써 급속 가열 섹션(2)을 통과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섹션(2)을 통과하는 동안, 스트립(1)은 상기 스트립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4개의 구별된 가열 수단(5, 각각의 5a,5b,5c,5d)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노출되고 상기 스트립이 거리 △, 예를 들어, 가열 수단(5a,5b) 사이의 거리 △ab만큼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분리된다.
가열 수단(5)은 큰 열 유속(heat flux)에 노출시킴으로써, 적어도 100℃/초의 온도 기울기를 갖는 스트립의 온도를 신속하게 증가시킨다. 상기 급속 가열 수단에 의해서 사용된 방법은 예를 들어, 종방향 유속 또는 횡방향 유속 유도 가열이다.
가열 동작은 공기 또는 스트립에 대해서 비산화되는 분위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은 두개의 구별된 가열 수단(5) 사이의 열 공급 유속에 더 이상 노출되지 않는다. 스트립은 그에 따라서 불연속성의 가열을 받게된다. 상기 두 가열 수단 사이의 절연 특성에 의존하여, 하나의 가열 수단을 이탈할 때 도달된 스트립의 온도는 다음 가열 수단으로 진입할 때까지 가장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다. 스트립의 온도는 또한 열 손실로 인하여 감소될 수 있다.
가열 동작의 불연속성은 스트립의 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횡방향 인장 응력 및 횡방향 압축 응력을 스트립에 발생시킨다. 상기 응력들을 유발하는 현상은 하기에 기술된다.
급속 가열로 인해 스트립 재료에서 스트립이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 및 수직하는 방향으로 팽창이 발생된다. 스트립이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팽창은 가열 섹션의 스트립 또는 상기 가열 섹션이 통합되는 라인에서의 인장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보상된다.
스트립의 이동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팽창은 재료 내에서 힘을 발생 시킨다. 상기 힘은 축에서 스트립의 에지를 향하여 지향될 때 인장력이 되고 스트립의 축을 향하여 지향될 때에는 압축력이 된다.
가열 수단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스트립을 가열하기 위한 유속 강도가 일정하다면, 스트립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스트립의 한 섹션에 존재하는 압축력 및 진행하는 부분에 존재하는 압축력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
스트립이 최초 또는 다음 가열 수단(5)으로 진입할 때, 스트립은 열 회복(resumption)에 대응하는, 수용된 열 유속 강도에서의 매우 급속한 포지티브 변화를 겪게 된다. 상기 함수(d온도/d시간) 변이 속도에서의 상기 변화는 스트립에서 인장력을 유발한다.
유사하게는, 스트립이 가열 수단(5)을 이탈할 때, 스트립은 열 중단(cessation)에 대응하는, 수용된 열 유속 강도에서의 매우 급속한 네가티브 변화를 겪게 된다. 상기 함수의(d온도/d시간) 또는 (d온도/d길이) 변이 속도에서의 상기 새로운 변화는 스트립에서 압축력을 유발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스트립의 가열 동안 상기 응력 변이를 도시한다. 곡선 T1은 가열 수단(5)을 통과할 때, Ta 및 Tb 사이의 스트립의 온도 증가를 나타낸다. 곡선 C1은 스트립의 횡방향 응력의 레벨에 대응한다. y축에 위치결정된 응력의 0 지점을 통과하는 수평 라인(H)은 0 횡방향 응력에 대응한다. 라인(H) 위에 놓여지는 곡선 C1 상의 지점은 포지티브로 표시된 인장 응력에 대응하고, 라인(H) 밑에 놓여지는 곡선 C1 상의 지점은 네거티브로 표시된 압축 응력에 대응한다.
T1에서의 가열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는 함수의(d온도/d시간) 또는 (d온도/d길이) 변이 속도에서의 각 변화에 대해서, 피크(peak)는 곡선 C1에서의 응력의 절대값에 대응하게 나타난다. 최초 응력 피크 Ca는 온도 성장이 시작되는 곡선 T1에서의 지점 Ta에 대응한다. 이것은 인장 응력이다. 제 2 응력 피크 Cb는 온도 성장이 정지하는 곡선 T1에서의 지점 Tb에 대응한다. 이것은 압축 응력이다.
상기 응력 피크들의 크기는 스트립의 포맷과 Ta 및 Tb 사이의 온도 곡선의 기울기 변화 즉, 스트립이 가열 수단(5)에 대응하는 가열 영역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이탈할 때의 순간에 대응하는 곡선의 지점에서 가열 속도의 변화에 따라 좌우된다.
압축력들을 생성하는 스트립의 축에 수직하는 응력들이 너무 큰 레벨에 도달하면, 잔주름(ripple), 기포, 주름 또는 분열과 같은 스트립에서의 표면 품질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 결함들은 여러 형태로 발생될 수 있고, 스트립의 길이에 대해서 연속 또는 불연속일 수 있고, 스트립의 축과 평행하거나 또는 그 폭을 가로질러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결함들은 단일하거나 또는 평행, 연속, 불연속, 선형 또는 규칙 또는 불규칙한 곡선에 따르는 여러 주름들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용어 "주름들"은 과도한 횡방향 압축 응력들에 의해서 유발된 스트립의 모든 결함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하기에 사용된다.
상기 결함들은 스트립에서의 횡방향 압축 응력 레벨이 한정된 소위 한계응력(critical stress)을 구성하는 응력 임계값보다 클 때 나타나고, 상기 한계 응력은 주로
- 조성 및 스트립의 기계적 특성, 야금 상태;
- 스트립의 온도; 및
- 스트립의 포맷, 그 폭 및 그 두께에 따라서 좌우된다.
표면 결함이 발생하는 한계 압축 응력 레벨은 스트립 재료의 기계 강도에 비례한다. 온도가 상승할 때, 스트립의 기계 강도가 감소하고 그리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기계 강도가 빠르게 감소하므로, 한계 압축 응력의 레벨은 온도와 함께 저하하여, 스트립의 온도가 증가할 때 주름의 형성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금속 스트립을 위한 연속 가열 처리 라인들의 급속 가열 섹션들은 주름 형성의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다. 이로 인하여, 주어진 가열 섹션에 대해서, 라인의 동작을 담당하는 작동기들은 공지된 방법의 부재 시에는 상기 결함들을 제한하는 작동 지점이 발견될 때까지, 연속적인 시험 및 오차에 의해서 노(furnace)의 세팅을 적응시켜야 한다. 상기 세팅들은 노가 사용가능한 동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않는 작동에 이르고, 이것은 예를 들어, 작동기들이 스트립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켜야 할 때, 제조 손실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엇보다, 제조 손실 없이 급속 가열 섹션을 통과할 때, 스트립의 정상 속도를 유지하면서, 급속 가열 도중에 스트립의 주름 형성을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스트립이 연속적인 그리고 구별된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가열 섹션을 통과하는 연속 열처리 라인들에서 급속 가열을 겪는 상기 금속 스트립상에 주름 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가열 수단에 대한 진입 및 이탈 사이에 스트립의 온도 증가에 대한 평균 기울기가 하나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다음 가열 수단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두개의 구동 롤(3, 4) 사이에 위치한 스트랜드(strand)에서 스트립에서의 주름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감소시킬 수 있는 주름들은 전향 롤을 갖는 스트립과의 임의의 접촉과는 무관하게, 스트립의 열적 경로에 의해서 발생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가열 수단의 이탈시 및 진입시의 상기 금속 스트립에 대한 온도 차이와 상기 가열 수단의 입구 및 출구 사이의 거리의 비율은 하나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다음 가열 수단으로 저하된다.
대상으로하는 거리의 함수로서, 가열 수단에 대한 진입시와 이탈시 사이의 스트립의 온도 증가에 대한 순간 기울기는 양호하게는 상기 가열 수단에 대한 입구쪽이 가열수단의 출구를 향할 때보다 크다.
두개의 연속적인 가열 수단 사이의 가열 강도의 차이는 스트립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스트립의 모든 지점들에서의 가열 속도의 변화가 감소하도록, 높은 온도에서 낮아지도록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각 가열 수단 사이의 가열 강도는 점진적으로 변화되고 스트립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두개의 연속적인 가열 수단 사이의 가열 강도는 감소한다.
유리하게는, 스트립이 낮은 온도일 때, 큰 열 유속이 스트립에 주입되고, 그후에 스트립의 온도가 증가할 때 주입된 열 유속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상기 온도 상승이 가장 큰 최초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스트립의 온도 상승을 최대로 하고 온도 상승이 점차 낮아지는 방식으로 각 가열 수단에서 가열이 제공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스트립 및 상기 가열 수단 사이에 교환되는 유속의 변화즉, 열 기울기의 변화가 수행된다.
최초의 가열 섹션에서의 스트립의 온도 상승 기울기는 유리하게는 100℃/초보다 크다.
하나의 가열 섹션에서 다음 가열 섹션으로 통과할 때, 온도 상승 기울기에서의 감소 크기는 강철 품질 및 스트립의 포맷에 따라 결정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스트립에 대한 온도 상승 기울기는 하나의 가열 섹션으로부터 다음 가열 섹션을 통과할 때 적어도 15℃/초만큼 저하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스트립의 두개의 연속적인 섹션들 사이에서의 상기 위치에 나타나서, 차후에 주름을 유발하는, 상기 스트립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는 압축력의 감소와 재료에서의 대응하는 응력 피크값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영역과는 별도로, 제한적 방식이 아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실시예에 대해서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특정 수의 다른 영역으로 구성된다.
도 1은 금속 스트립을 위한 열-처리 라인의 급속 가열 섹션을 따른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각 가열 수단에 의해서 주입된 대응 열 유속을 갖는 도 1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온도 변화에 의해서 금속 스트립에 유발된 응력 형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양식을 포함하는 여러 가열 양식을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가열 수단에 의해서 주입된 대응 열 유속을 갖는 도 2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가열된 금속 스트립의 응력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종래 기술의 종래 방법에 따라 가열된 금속 스트립의 응력을 도시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가열된 금속 스트립의 응력을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 가열 수단에 의해서 주입된 열 유속을 갖는 도 5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확대 상세 구성 X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에서 확대 상세 구성 XI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가열된 금속 스트립에서의 온도 변화 및 응력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x축에 위치결정된 금속 스트립의 지점에 의해서 이동한 4개의 유도자(inductor)가 설치된 가열 섹션의 길이 및 y축에 위치결정된 지점에서의 스트립의 온도에 대한 그래프이며, 도 4를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한다. 길이(L)에 대응하는, 가열 섹션의 단부에서 온도(T)에 대응하는 동일 열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여러 열적 경로를 추종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경로 A는 각 가열 수단에 있는 스트립의 온도 상승의 동일한 기울기에 대응한다;
- 경로 B는 가장 높은 최초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각 가열 수단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스트립의 온도 상승의 기울기에 대응한다;
- 경로 C는 가장 낮은 최초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각 가열 수단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스트립의 온도 상승의 기울기에 대응한다;
- 경로 D는 두개의 중심 가열 수단에 대해서 낮고 최초의 가열 수단 및 최종 가열 수단에서 높은 스트립의 온도 상승의 기울기를 갖는 경로 B 및 C의 조합과 대응한다.
상기 4개의 열적 경로들은 여러 다른 변이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보기를 통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은 온도 상승의 열적 경로 B를 추종함으로써 가열 섹션에서 가열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적 경로는 상기 스트립이 낮은 온도일 때, 가열 개시 때에 큰 열 유속(Φa)을 스트립에 주입함으로써 얻어지며, 상기 스트립은 낮은 온동에 있으며, 그후에 스트립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주입된 열 유속(Φb,Φc,Φd)을 점진적으로 제한한다.
열 유속들은 유리하게는,
- 최초의 가열 섹션 즉, 최초의 가열 수단(5a)에서 스트립의 온도 상승 기울기가 100℃/초보다 크고;
- 상기 스트립의 온도 상승 기울기는 하나의 가열 섹션에서 다음 가열 섹션으로 통과할 때 즉, 하나의 가열 수단에서 다음 가열 수단을 통과할 때 적어도 15℃/초만큼 감소하도록 선택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적 경로는 스트립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각 가열 소자의 이탈시의 온도 곡선 기울기의 변이를 제한한다. 주름들을 발생시킬 것으로 추정되는 스트립의 축에 수직하는 압축 응력들은 그때 각 연속적인 급속 가열 영역을 이탈할 때에 점진적으로 낮아진다: C2a > C2b > C2c > C2d.
연속 가열 수단(5a,5b,5c,5d)에 의해서 보장되는 가열 동작은 가열 섹션의 길이 함수로서 스트립의 온도 상승을 나타내는 평균 곡선이 길이가 구성되는 x축을 향하여 선회된 중공부를 가지도록 행해진다. "평균 곡선(mean curve)"은 도 6에서 실제 온도 상승 곡선의 직선 수평 세그먼트들의 중앙을 통과하는 곡선을 지칭한다. 가열 수단의 진입 및 이탈 사이의 스트립의 온도 증가의 평균 기울기는 하나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다음 가열 수단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저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곡선 K, y축에 위치결정된 응력 및 x축에 위치결정된 온도에 따라서 증가할 때, 주름 형성을 위한 임계 응력의 레벨(절대값) 이 감소한다. 종래 기술에 따라서,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방법을 적용하지 않고 제조된 가열 섹션은 예를 들어, 도 4의 열적 경로 A에 대응하는 응력 곡선 C3로 도출된다. 상기 곡선의 횡방향 압축 응력은 임계값보다 지점 C3b, C3c, C3d에서 크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스트립은 그에 따라서 표면 결함으로 덮혀져서 팔리지 않는다.
열적 경로 C 및 D는 스트립이 가장 뜨거운 영역에서 임계 응력보다 큰 응력이 도출되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5에 미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방법은 스트립 온도가 낮을 때, 높은 열 유속을 스트립에 주입하고, 그 후에 스트립의 온도가 상승할 때 상기 열 유속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8은 도 7에 대응하지만, 여기서 가열 동작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실행된다. 도 8의 응력 곡선 C2에서 횡방향 압축 응력은 곡선 K에 따른 임계값보다 (절대값에서) 항상 작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스트립은 주름이 없으므로 항상 판매가능하다.
주름 형성의 가능성을 추가로 제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트립과 교환된 유속에서의 변화가 점진적이도록, 즉 가열 기울기의 변화에 대응하는 함수(d온도/d시간)의 변이 속도의 변화가 점진적이도록, 각 가열 수단에서의 가열 강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방법은 스트립의 이동 방향과 수직하는 압축력들의 감소 또는 제거 및 재료의 대응 응력 피크를 제한할 수 있고, 상기 압축력들은 스트립의 두개의 연속 섹션들 사이의 위치에 나타나서, 차후에 주름들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도 9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수단(5) 및 스트립 사이의 유속 변화는 각 가열 수단(5)의 진입 내지 이탈 사이에서 점진적이고, 이에 반해서 종래 기술에 따른 급속 가열은 유속 변화가 급작스럽게 변화되는, 도 10 및 도 11의 얇은 라인으로 표시된 유속 곡선 P로 도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속의 상기 점진적인 변이는 온도 상승, 상부 평탄지점(plateau) 사이에서 및, 그후 하강 및 낮은 레벨에서의 기울기 변화 동안 둥근 유속 곡선으로 도 9에 도시되고, 이에 반해서 상기 변화들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곡선 P에서 급격하게 중단된다.
유속에서의 상기 점진적인 변화는 각 가열 소자에 대한 스트립의 온도에서의 점진적인 변화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대해서 함수(d온도/d시간)의 변이 속도에서의 점진적인 변화를 도출한다. 따라서, 가열 강도에서의 급속 변화되게 가열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온도 곡선 T1의 급격한 기울기 변화 Ta1 및 Tb1의 지점들은 가열 강도에서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 동작에 대응하는 곡선 T2에서는 제거된다.
스트립에 전달된 유속의 점진적인 변화 상태의 가열 동작에 대응하는 곡선 T2에 의해서 나타난 스트립의 온도 변화는 인장 응력 피크 Ca2 및 압축 응력 피크 Cb2의 크기가 종래 기술에 따른 응력 곡선 C1의 대응 피크 Ca1, Cb1의 대응 피크에 대해서 크게 감소하는 응력 곡선 C2를 도출한다는 것을 도 12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Ca2 << Ca1 및 Cb2 << Cb1.
횡방향 압축 응력 Cb2의 감소된 레벨은 임계 값보다 작기 때문에, 스트립은 주름이 없으므로 판매가능하다.

Claims (10)

  1. 연속 열처리 라인들에서 급속 가열을 겪는 금속 스트립(1)에 열적 유도 주름 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 스트립(1)은 연속적인 그리고 구별된 가열 수단(5,5a,5b,5c,5d)을 포함하는 가열 섹션(2)을 통과하며, 가열 수단에 대한 진입시 및 이탈시 사이에 상기 금속 스트립의 평균 온도 상승 기울기는 하나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다음 가열 수단으로 저하되며,
    최초의 가열 섹션에서의 상기 금속 스트립의 온도 상승 기울기는 100℃/초 보다 크며,
    대상으로 하는 거리의 함수로서, 가열 수단에 대한 진입시와 이탈시 사이의 상기 금속 스트립의 온도 상승에 대한 순간 기울기는 상기 가열 수단에 대한 입구쪽이 가열 수단의 출구를 향할 때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수단의 진입시 및 이탈시의 상기 금속 스트립에 대한 온도 차이와 상기 가열 수단의 입구 및 출구 사이의 거리의 비율은 하나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다음 가열 수단으로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트립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상기 금속 스트립의 모든 지점들에서의 가열 속도의 변화가 감소하도록 두 개의 연속적인 가열 수단(5a,5b,5c,5d) 사이의 가열 강도(heating intensity)의 차이는 높은 온도에서 낮아지도록 서서히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가열 수단 사이의 가열 강도는 서서히 변화되고, 상기 금속 스트립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두개의 연속적인 가열 수단 사이의 가열 강도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트립이 낮은 온도일 때, 큰 열 유속(heat flux)(Φa)이 상기 금속 스트립에 주입되고, 그후에 스트립의 온도가 증가할 때 주입된 열 유속(Φb,Φc,Φd)을 서서히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최초의 가열 수단으로부터 상기 금속 스트립의 온도 상승을 최대로하고 온도 상승이 점차 낮아지는 방식으로 각 가열 수단에서 가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트립 및 상기 가열 수단 사이에 교환되는 유속의 변화(열 기울기의 변화)가 서서히 행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스트립에 대한 온도 상승 기울기는 하나의 가열 섹션으로부터 다음 가열 섹션으로 통과할 때 적어도 15℃/초만큼 저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7026614A 2006-05-02 2007-04-27 연속 열처리 라인들의 급속 가열 섹션들에 대한 개선 KR101370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03899A FR2900661B1 (fr) 2006-05-02 2006-05-02 Perfectionnement apporte aux sections de chauffage rapide des lignes de traitement thermique en continu.
FR0603899 2006-05-02
PCT/FR2007/000733 WO2007125213A2 (fr) 2006-05-02 2007-04-27 Perfectionnement apporte aux sections de chauffage rapide des lignes de traitement thermique en contin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737A KR20090007737A (ko) 2009-01-20
KR101370949B1 true KR101370949B1 (ko) 2014-03-14

Family

ID=3761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6614A KR101370949B1 (ko) 2006-05-02 2007-04-27 연속 열처리 라인들의 급속 가열 섹션들에 대한 개선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425225B2 (ko)
EP (1) EP2016202A2 (ko)
JP (1) JP2009535512A (ko)
KR (1) KR101370949B1 (ko)
CN (1) CN101432451B (ko)
AU (1) AU2007245554A1 (ko)
BR (1) BRPI0711034A2 (ko)
CA (1) CA2650187A1 (ko)
EA (1) EA014407B1 (ko)
FR (1) FR2900661B1 (ko)
MX (1) MX2008013858A (ko)
WO (1) WO2007125213A2 (ko)
ZA (1) ZA2008088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6965B (zh) * 2009-12-15 2016-02-17 西门子奥钢联冶金技术有限公司 用于对连续运动的钢带进行预热的装置和方法
US9362546B1 (en) 2013-01-07 2016-06-07 Quantumscape Corporation Thin film lithium conducting powder material deposition from flux
HUE056765T2 (hu) 2013-10-07 2022-03-28 Quantumscape Battery Inc Lítiummal töltött garnet filmet tartalmazó kettõs rétegek és hármas rétegek, továbbá módszer vékony és szabadon álló, lítiummal töltött garnet film szinterezésére
FR3014447B1 (fr) * 2013-12-05 2016-02-05 Fives Stein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thermique en continu d'une bande d'acier
CN114163219A (zh) 2015-04-16 2022-03-11 昆腾斯科普电池公司 用于固体电解质制作的承烧板和用其制备致密固体电解质的方法
US9966630B2 (en) 2016-01-27 2018-05-08 Quantumscape Corporation Annealed garnet electrolyte separators
MX2018013869A (es) 2016-05-10 2019-03-21 United States Steel Corp Productos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y procesos de recocido para fabricar los mismos.
US11560606B2 (en) 2016-05-10 2023-01-24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Methods of producing continuously cast hot rol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products
US11993823B2 (en) 2016-05-10 2024-05-28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annealed steel products and annealing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EP3529839A1 (en) 2016-10-21 2019-08-28 QuantumScape Corporation Lithium-stuffed garnet electrolytes with a reduced surface defect density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3642899B1 (en) 2017-06-23 2024-02-21 QuantumScape Battery, Inc. Lithium-stuffed garnet electrolytes with secondary phase inclusions
US11600850B2 (en) 2017-11-06 2023-03-07 Quantumscape Battery, Inc. Lithium-stuffed garnet thin films and pellets having an oxyfluorinated and/or fluorinated surfa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thin films and pellets
KR102428500B1 (ko) * 2018-02-22 2022-08-0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연속 어닐링에 있어서의 강판의 가열 방법 및 연속 어닐링 설비
JP2022531669A (ja) 2019-05-07 2022-07-08 ユナイテッド ステイツ スチ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連続鋳造された熱間圧延高強度鋼板製品を製造する方法
AU2020325050A1 (en) 2019-08-07 2022-02-24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High ductility zinc-coated steel sheet products
CA3151124A1 (en) 2019-08-19 2021-02-25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steel products and annealing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5130A (ja) * 1991-03-12 1992-10-09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設備の加熱炉における燃焼ガス流量制御方法
JPH06212283A (ja) * 1993-01-19 1994-08-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テンレス鋼板の焼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166B2 (ja) * 1977-10-20 1984-06-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ストリツプの連続加熱に於ける板温制御方法
JPS6016499B2 (ja) * 1978-08-06 1985-04-25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金属ストリツプの熱処理方法
JPS6056218B2 (ja) * 1980-01-18 1985-12-0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金属ストリツプの熱処理方法
JPS6056026A (ja) * 1983-09-08 1985-04-01 Mitsubishi Heavy Ind Ltd 連続焼鈍設備加熱炉の炉温設定方法
JPH01215930A (ja) * 1988-02-24 1989-08-29 Kobe Steel Ltd 薄鋼板の連続焼鈍方法
JPH093552A (ja) * 1995-06-23 1997-01-07 Nippon Steel Corp 溶融亜鉛めっき鋼板を効率的に製造する連続溶融亜鉛めっき設備
FR2746112B1 (fr) * 1996-03-13 1998-06-05 Procede de traitement thermique en continu de bandes metalliques dans des atmospheres de nature differente
AU2137601A (en) * 1999-12-17 2001-06-25 Alcan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of quenching alloy sheet to minimize distortion
US20020017344A1 (en) * 1999-12-17 2002-02-14 Gupta Alok Kumar Method of quenching alloy sheet to minimize distortion
FR2802552B1 (fr) * 1999-12-17 2002-03-29 Stein Heurtey Procede et dispositif de reduction des plis de bande dans une zone de refroidissement rapide de ligne de traitement thermique
FR2820148B1 (fr) * 2001-01-31 2003-10-31 Stein Heurtey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procedes de chauffage de bandes d'acier dans des fours verticaux
JP2003253343A (ja) * 2002-03-05 2003-09-10 Jfe Steel Kk 金属帯の連続熱処理方法
DE10337502B4 (de) * 2003-08-14 2006-03-30 Kramer, Carl, Prof. Dr.-In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urchlauf-Wärmebehandlungsanlage für Warenbahnen und Bänder mit überwiegend konvektiver Wärmeübertrag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5130A (ja) * 1991-03-12 1992-10-09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設備の加熱炉における燃焼ガス流量制御方法
JPH06212283A (ja) * 1993-01-19 1994-08-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テンレス鋼板の焼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50187A1 (fr) 2007-11-08
JP2009535512A (ja) 2009-10-01
EP2016202A2 (fr) 2009-01-21
WO2007125213A3 (fr) 2008-01-03
MX2008013858A (es) 2009-01-26
EA014407B1 (ru) 2010-12-30
AU2007245554A1 (en) 2007-11-08
US8425225B2 (en) 2013-04-23
FR2900661B1 (fr) 2008-09-26
EA200870493A1 (ru) 2009-02-27
WO2007125213A2 (fr) 2007-11-08
CN101432451B (zh) 2011-06-15
ZA200808818B (en) 2009-11-25
KR20090007737A (ko) 2009-01-20
CN101432451A (zh) 2009-05-13
FR2900661A1 (fr) 2007-11-09
US20100062385A1 (en) 2010-03-11
BRPI0711034A2 (pt)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949B1 (ko) 연속 열처리 라인들의 급속 가열 섹션들에 대한 개선
KR101158333B1 (ko) 출발 재료의 열간 압연 방법 및 그를 위한 마감 압연트레인
JP5655852B2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4522911A (ja) 後続のプレス硬化のために成形部品を加熱する方法、及び所定の温度に予め加熱された成形部品を部分的により高い温度に加熱する連続炉
US6180933B1 (en) Furnace with multiple electric induction heating sections particularly for use in galvanizing line
CN104603298A (zh) 连续退火设备的急速加热装置
RU2448787C1 (ru) Способ холодной прокатки стального лис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олодной прокатки
CN105750330B (zh) 一种用非对称不锈钢复合坯热轧生产不锈钢复合板卷的方法
JP2018520876A (ja) 連続鋳造圧延装置及び連続鋳造圧延方法
KR20200041948A (ko) 벨트 주조 경로 제어
JP2016074028A (ja) 熱延鋼板の製造設備および製造方法
JP5577654B2 (ja) 高強度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6056549B2 (ja) 差厚鋼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2003290812A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熱間圧延設備
KR101433463B1 (ko) 열간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방지 장치 및 방법
JP6051944B2 (ja) 差厚鋼板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7060003B2 (ja) 鋼板の冷却方法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ならびに鋼板の冷却設備
JP5900080B2 (ja) 鋼帯の製造装置および鋼帯の製造方法
JP2002146433A (ja) ダブルテーパ鋼線と、その連続熱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6154806A (ja) 熱延ストリップの走間板厚変更圧延方法
JP2004018985A (ja) 金属条材の熱処理方法及び装置
JP4021245B2 (ja) 連続鋳造ブルームの加熱方法
JPH0515904A (ja) 鋳片の凝固直後圧延方法
JP2023554696A (ja) アルミニウムホイルの制御された冷間圧延のための冷間圧延装置の使用および方法
JP6036104B2 (ja) 鋼帯の製造装置および鋼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