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772B1 - 잉크 리본 카세트 - Google Patents

잉크 리본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772B1
KR101370772B1 KR1020097001375A KR20097001375A KR101370772B1 KR 101370772 B1 KR101370772 B1 KR 101370772B1 KR 1020097001375 A KR1020097001375 A KR 1020097001375A KR 20097001375 A KR20097001375 A KR 20097001375A KR 101370772 B1 KR101370772 B1 KR 10137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ribbon
bearing
winding
cover member
bear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586A (ko
Inventor
히데끼 마쯔바야시
히데마사 가이다
요시히로 사와
가즈노부 이모또
나오히로 오보나이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2/00Ink-ribbon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잉크 리본 카세트(10)는 잉크 리본 풀기축(12)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풀기 베어링(13)을 갖는 풀기 베어링체(17)와, 잉크 리본 감기축(14)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감기 베어링(15)을 갖는 감기 베어링체(20)와, 풀기 베어링체(17)와 감기 베어링체(2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체(16)를 포함하는 베어링 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 장치(23)의 풀기 베어링체(17)를 씌우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제1 연결체(18)를 통해 풀기 베어링체(17)에 연결되고, 베어링 장치(23)의 감기 베어링체(20)를 덮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제2 연결체(21)를 통해 감기 베어링체(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연결체(18) 및 제2 연결체(21)는 모두 2 이상의 힌지(18a, 18b) 및 힌지(21a, 21b)를 갖고 있다.
Figure R1020097001375
잉크 리본, 잉크 리본 카세트, 감기 베어링체, 풀기 베어링체

Description

잉크 리본 카세트{INK RIBBON CASSETTE}
본 발명은 열전사식의 잉크 리본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힌지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소형화된 잉크 리본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사식의 잉크 리본을 갖는 잉크 리본 카세트는 프린터 등의 인쇄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프린터의 서멀헤드가 잉크 리본에 접촉함으로써, 잉크 리본에 중첩된 피인쇄물에 잉크 리본의 염료, 안료가 열전사되어 인쇄가 행해진다. 이와 같은 열전사식의 잉크 리본은 인쇄시, 잉크 리본 카세트의 풀기(unwinding) 베어링체의 잉크 리본 풀기축으로부터 공급되어, 잉크 리본 카세트의 감기(winding) 베어링체의 잉크 리본 감기축에 감긴다.
즉,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잉크 리본 카세트(30)는 잉크 리본(34)이 감음 장착된 잉크 리본 풀기축(35)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풀기 베어링(31)을 갖는 풀기 베어링체(37)와, 잉크 리본(34)의 일단부가 고정된 잉크 리본 감기축(36)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감기 베어링(32)을 갖는 감기 베어링체(39)와, 풀기 베어링체(37)와 감기 베어링체(39)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체(33)를 구비한 베어링 장치(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 장치(41)의 풀기 베어링체(37)를 덮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와, 베어링 장치(41)의 감기 베어링체(39)를 덮는 감 기 베어링 덮개 부재(40)가 각각 베어링 장치(41)와 별개 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잉크 리본 카세트(30)를 제조할 때, 베어링 장치(41)와,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가 각각 별개 부재에 사출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되고, 그 후 베어링 장치(41)에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 및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가 수작업으로 조립 부착된다.
이 경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는 각각 끼워 맞춤 부재(38a, 40a)를 갖고 있다. 또한,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를 베어링 장치(41)에 조립 부착할 때,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의 끼워 맞춤 부재(38a)가 베어링 장치(41)의 풀기 베어링체(37) 내에 스냅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를 베어링 장치(41)에 조립 부착할 때,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의 끼워 맞춤 부재(40a)가 베어링 장치(41)의 감기 베어링체(39) 내의 끼워 맞춤 구멍에 스냅 끼워 맞춤된다.
이 경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의 끼워 맞춤 부재(38a)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의 끼워 맞춤 부재(40a)도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를 베어링 장치(41)에 조립 부착하였을 때에, 베어링 장치(41)의 풀기 베어링체(37)의 표면(37a)이나 감기 베어링체(39)의 표면(39a)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이하 이 들을 단순히 덮개 부재라고도 함), 및 베어링 장치가 서로 조립 부착된 후, 이 조립 부착 후의 잉크 리본 카세트를 낙하시켜 그 강도를 확인하는 낙하 시험이 행해지고 있다. 이 낙하 시험에 있어서, 일정 높이로부터 잉크 리본 카세트를 낙하시키고, 이때 덮개 부재와 베어링 장치가 빠지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낙하 시험에 합격시키기 위해,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 및 베어링 장치를 서로 조립 부착한 잉크 리본 카세트를 사용하여 예비 낙하 테스트를 행하고 있다. 이 예비 낙하 테스트의 결과에 의해, 덮개 부재와 베어링 장치를 성형하는 사출 성형 금형의 형상, 특히 끼워 맞춤 부재나 끼워 맞춤 구멍(이하 이들을 모두 끼워 맞춤부라고도 함)의 형상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낙하 테스트는 복수회 반복되고, 그때마다 끼워 맞춤부의 형상이 조정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잉크 리본 카세트의 덮개 부재의 사출 성형 금형에 있어서, 하나의 금형에 복수의 덮개 부재에 상당하는 캐비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합성 수지를 하나의 사출 성형 금형에 한번 사출함으로써 복수의 덮개 부재를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출 성형 금형에 덮개 부재(A)의 캐비티(A1과 A2)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사출 성형 금형에 베어링 장치(B)의 캐비티(B1)(1개)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덮개 부재(A1)와 베어링 장치(B1)의 조합 및 덮개 부재(A2)와 베어링 장치(B1)의 조합이라는 2종류의 조합에 대해 양쪽 모두 낙하 시험에서 합격하도록 사출 성형 금형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다른 덮개 부재(예를 들어 C1과 C2)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잉크 리본 카세트 중 모든 덮개 부재와 베어링 장치의 조합의 끼워 맞춤부의 끼워 맞춤 상태에 대해 사출 성형 금형을 조정하는 것은 번잡하다. 이로 인해 덮개 부재와 베어링 장치를 일체로 하여 하나의 사출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하고, 이 사출 성형 금형에 있어서만 끼워 맞춤 상태를 조정하는 편이 효율적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50259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136464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93760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47222호 공보
최근, 프린터가 소형화되고 있는 데 수반하여, 이 프린터에 설치되는 잉크 리본 카세트도 소형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잉크 리본 카세트의 표면에 돌출되는 부위가 존재하면, 잉크 리본 카세트를 프린터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할 때에 장해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 카세트(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힌지 등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존재하지 않고, 소형화된 잉크 리본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잉크 리본 풀기축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풀기 베어링을 갖는 풀기 베어링체와, 잉크 리본 감기축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감기 베어링을 갖는 감기 베어링체와, 풀기 베어링체와 감기 베어링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체를 구비한 베어링 장치와, 베어링 장치의 풀기 베어링체를 덮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와, 베어링 장치의 감기 베어링체를 덮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는 풀기 베어링체에 제1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고,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는 감기 베어링체에 제2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고,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모두 2 이상의 힌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제1 연결체의 각 힌지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풀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제1 연결체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제2 연결체의 각 힌지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제2 연결체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풀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 제1 연결체 및 풀기 베어링체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단면은 대략 원호 형상이 되고,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 제2 연결체 및 감기 베어링체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단면은 대략 원호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각각 2개의 힌지를 갖고, 힌지는 각각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각각 3개의 힌지를 갖고, 힌지는 각각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의 양단부 및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베어링 장치,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합성 수지는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와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와 폴리스티렌은 약 1 : 1 내지 1 : 3의 혼합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의 단부에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잉크 리본에 접촉하고 또한 잉크 리본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안내부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안내부는 잉크 리본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접촉면은 단면이 원호 형상의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베어링 장치는 감기 베어링체에 고정되고, 잉크 리본에 접촉하고 또한 잉크 리본을 안내하는 안내 로드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은, 안내 로드는 감기 베어링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풀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되고, 또한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힌지 등의 잉크 리본 카세트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잉크 리본 카세트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장치,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리본 카세트의 낙하 시험에 합격하도록 사출 성형 금형의 끼워 맞춤부를 조정하는 수고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장치,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와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으므로, 힌지의 힌지 특성과 힌지의 강도를 양립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4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 있어서의 감기 베어링체의 부분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제2 실시 형태의 베어링 장치의 안내 로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종래의 잉크 리본 카세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0은 비교예로서의 잉크 리본 카세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1은 비교예로서의 잉크 리본 카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2는 비교예로서의 잉크 리본 카세트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3의 (a)는 베어링 장치의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풀기 베어링체(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3의 (b)는 베어링 장치의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풀기 베어링체(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4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 있어서의 감기 베어링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1, 도2 및 도4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의 개략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리본 카세트(10)는 잉크 리본(11)이 감음 장착된 잉크 리본 풀기축(12)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풀기 베어링(13)을 갖는 풀기 베어링체(17)와, 잉크 리본(11)의 일단부가 고정된 잉크 리본 감기축(14)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감기 베어링(15)을 갖는 감기 베어링체(20)와, 풀기 베어링체(17)와 감기 베어링체(2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체(16)를 포함하는 베어링 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 장치(23)의 풀기 베어링체(17)를 덮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제1 연결체(18)를 통해 풀기 베어링체(1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장치(23)의 감기 베어링체(20)를 덮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제2 연결체(21)를 통해 감기 베어링체(20)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 장치(23),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0), 제1 연결체(18) 및 제2 연결체(21)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합성 수지는, 예를 들어 아사플렉스(상표)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와, 예를 들어 GPPS(General Purpose Polystyrene)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범용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아사플렉스(상표)는 힌지 특성을 갖는 재료이며, 굽힘이나 백화(白化)나 꺾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아사플렉스(상표)는 매우 부드러우므로, 아사플렉스(상표)만을 잉크 리본 카세트(10)의 재료로 하면 잉크 리본 카세트(10)의 강도가 부족하고, 잉크 리본 카세트(10)를 프린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잉크 리본 카세트(10)의 일부가 왜곡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잉크 리본 카세트(10)의 강도(경도)가 증대되도록, 아사플렉스(상표)와 GPPS를 혼합한다. 또한, 이 혼합비는 아사플렉스(상표) : GPPS = 1 : 1 내지 1 : 3 정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합성 수지는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와 범용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합성 수지로서, 사출 성형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라면 기본적으로 어떠한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 특히 널리 보급되어 입수가 용이한 폴리아세탈 수지(POM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PS 수지) 및 ABS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결체(18)는 양단부에 힌지(18a, 18b)를 갖고, 제2 연결체(21)는 양단부에 힌지(21a, 21b)를 갖고 있다. 또한, 도1 및 도2에 있어서, 제1 연결체(18) 및 제2 연결체(21)는 각각 2개의 힌지(18a, 18b) 및 힌지(21a, 21b)를 갖고 있지만, 예를 들어 제1 연결체(18) 및 제2 연결체(21)는 각각 양단부와 중앙에 합 계 3개의 힌지를 갖고 있어도 좋다. 혹은 제1 연결체(18) 및 제2 연결체(21)는 각각 4개 이상의 힌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18)의 각 힌지(18a, 18b)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제1 연결체 외면(18c)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체(21)의 각 힌지(21a, 21b)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제2 연결체 외면(21c)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의 단부에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폐쇄로 되었을 때, 잉크 리본(11)에 접촉하고 또한 잉크 리본(11)을 안내하는 안내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27)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폐쇄로 되었을 때, 잉크 리본(11)에 대해 감기 베어링체(20)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도4 참조). 또한 도1 및 도2에 있어서, 안내부(27)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와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부(22a)를 갖고, 안내부(27)는 이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의 평탄부(22a)의 최외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27)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폐쇄로 되었을 때, 안내부(27)와 감기 베어링체(20)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1)이 감기 베어링체(20)측에 감길 때, 잉크 리본(11)은 안내부(27)에만 접촉하도록 하여 잉크 리본 감기축(14)측으로 안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27)는 잉크 리본(11)의 잉크 리본 풀기축(12)측으로부터 잉크 리본 감기축(14)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로 인해, 안내부(27)는 잉크 리본(11)에 접촉하는 접촉면(27a)을 갖고 있다(도4 참조).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27)의 접촉면(27a)은 원활하게 잉크 리본(11)을 안내할 수 있도록, 잉크 리본 풀기축(12)으로부터 잉크 리본 감기축(14)을 향한 잉크 리본(1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단면, 즉 안내부(27)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도4의 시야에 있어서), 원호 형상의 윤곽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1)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의 단부에 설치된 안내부(27)의 접촉면(27a) 상을 원활하게 미끄러지는 것(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27)는 잉크 리본 감기축(14)의 축심에 따른 잉크 리본(11)의 전체 폭에 걸쳐서 잉크 리본(11)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안내부(27)에 의해 잉크 리본(11)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27)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의 평탄부(22a)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부(27)는 간이한 구성인 동시에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1)을 안정되고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27)가 간이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잉크 리본 카세트(10)의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1 및 도2에 있어서, 안내부(27)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안내부(27)를 미리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와 별개 부재로 구성하고, 그 후, 이 별개 부재로서 구성된 안내부(27)를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에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서술한다.
우선,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리본 카세트(10)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베어링 장치(23)의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개방으로 되고, 또한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개방으로 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 금형에 의해 일체 성형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일체 성형된 잉크 리본 카세트(10) 내에 잉크 리본(11)이 감음 장착된 잉크 리본 풀기축(12)과, 잉크 리본(11)의 일단부가 고정된 잉크 리본 감기축(14)을 장착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리본 카세트(10)의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 및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개방으로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개방으로 된 잉크 리본 카세트(10)에, 잉크 리본(11)이 감음 장착된 잉크 리본 풀기축(12)과, 잉크 리본(11)의 일단부가 고정된 잉크 리본 감기축(14)이 설치된다. 이 경우, 우선 잉크 리본 풀기축(12)이 풀기 베어링체(17)의 풀기 베어링(13) 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후, 잉크 리본 감기축(14)이 감기 베어링체(20)의 감기 베어링(15) 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에,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는 베어링 장치(23)의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폐쇄로 한다. 이때, 제1 연결체(18)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와 연동하여, 힌지(18a) 및 힌지(18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잉크 리본 풀기축(12)측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는 베어링 장치(23)의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폐쇄로 된다. 이때, 제2 연결체(21)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와 연동하여, 힌지(21a) 및 힌지(21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잉크 리본 감기축(14)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도3의 (a), 도3의 (b)를 이용하여,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베어링 장치(23)의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폐쇄로 될 때의 작용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18)의 힌지(18a)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개방으로 된 상태에서, 힌지(18a)의 외측[제1 연결체(18)의 외면(18c)측]에서 풀기 베어링체(17)에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연결체(18)의 힌지(18b)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개방으로 된 상태에서, 힌지(18b)의 외측[제1 연결체(18)의 외면(18c)측]에서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폐쇄로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18)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와 연동하여 힌 지(18a) 및 힌지(18b)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도3의 (b)에 도시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힌지(18a) 및 힌지(18b)에는 모두 제1 연결체 외면(18c)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 제1 연결체(18), 및 풀기 베어링체(17)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단면은 대략 원호 형상이 된다.
또한, 상술한 작용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베어링 장치(23)의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폐쇄로 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5 및 도6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잉크 리본 카세트(1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10)는 잉크 리본(11)을 안내하는 안내 로드(28)가 감기 베어링체(20)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다른 구성은 도1, 도2 및 도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5 및 도6에 있어서, 도1, 도2 및 도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 및 도6에 있어서, 베어링 장치(23)는 감기 베어링체(20)의 저면(20b) 상방에 고정되어, 잉크 리본(11)에 접촉하고 또한 잉크 리본(11)을 안내하는 단면원 형상의 안내 로드(28)를 갖고 있다. 이 안내 로드(28)는 잉크 리본(11)에 대해 감기 베어링체(20)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도5 참조). 즉 안내 로드(28)는 안내 로드(28)와 감기 베어링체(20) 사이에 잉크 리본(11)을 안내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하도록, 감기 베어링체(20)의 풀기 베어링체(17)에 가까운 측의 코너부(20a)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로드(28)는 감기 베어링체(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미리 감기 베어링체(20)와는 별개 부재로 구성하고, 그 후 감기 베어링체(20)의 저면(20b) 상방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안내 로드(28)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비교예로서의 일체 성형된 잉크 리본 카세트를 도10 내지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리본 카세트(30)는 잉크 리본(34)이 감음 장착된 잉크 리본 풀기축(35)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풀기 베어링(31)을 갖는 풀기 베어링체(37)와, 잉크 리본(34)의 일단부가 고정된 잉크 리본 감기축(36)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감기 베어링(32)을 갖는 감기 베어링체(39)와, 풀기 베어링체(37)와 감기 베어링체(39)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체(33)를 포함하는 베어링 장치(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어링 장치(41)의 풀기 베어링체(37)를 덮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가, 박육부(42)를 통해 풀기 베어링체(3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장치(41)의 감기 베어링체(39)를 덮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가 박육부(43)를 통해 감기 베어링체(39)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도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장치(41)는 풀기 베어링체(37)와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 사이에, 풀기 베어링체(37) 및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와 일체로 형성된 박육부(42)를 갖고 있다. 이 박육부(42)는 풀기 베어링체(37)나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의 두께보다 얇게 되는 동시에, 일정한 폭(W)을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베어링 장치(41)는 감기 베어링체(39)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 사이에, 감기 베어링체(39) 및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된 박육부(43)를 갖고 있다. 이 박육부(43)는 감기 베어링체(39)나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의 두께보다 얇게 이루어는 동시에, 일정한 폭(W)을 갖고 있다.
그런데,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가 풀기 베어링체(37)를 덮어 폐쇄로 될 때,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는 박육부(42)를 중심으로 풀기 베어링체(37)의 상방으로 회전된다. 이때, 박육부(42)는,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하여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38)의 표면(38b) 및 풀기 베어링체(37)의 표면(37a)으로부터 외측[도12의 (b)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가 감기 베어링체(39)를 덮어 폐쇄로 될 때,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는 박육부(43)를 중심으로 감기 베어링체(39)의 상방으로 회전된다. 이때, 박육부(43)는 도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하여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40)의 표면(40b) 및 감기 베어링체(39)의 표면(39a)으로부터 외측[도12의 (b)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대해, 도1 내지 도6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결체(18)의 각 힌지(18a, 18b)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제1 연결체 외면(18c)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체(21)의 각 힌지(21a, 21b)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제2 연결체 외면(21c)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도3의 (a), 도3의 (b) 참 조].
그런데, 도1 내지 도6에 도시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10)에 있어서, 제1 연결체(18)를 설치하지 않고, 풀기 베어링체(17)와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를 도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1개의 힌지를 통해 직접 연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를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개방으로 하였을 때,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19)가 풀기 베어링체(17)에 대해 충분히 개방되는 것은 어렵다. 이 경우, 잉크 리본 풀기축(12)을 풀기 베어링(13)에 설치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체(21)를 설치하지 않고, 감기 베어링체(20)와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를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1개의 힌지를 통해 직접 연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를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개방으로 하였을 때,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충분히 개방되는 것은 어렵다. 이 경우, 잉크 리본 감기축(14)을 감기 베어링(15)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의 단부에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22)가 감기 베어링체(20)에 대해 폐쇄로 되었을 때, 잉크 리본(11)에 접촉하고 또한 잉크 리본(11)을 안내하는 안내부(27)가 설치되어 있다. 혹은, 베어링 장치(23)는 감기 베어링체(20)의 저면(20b) 상방에 고정되고, 잉크 리본(11)에 접촉하고 또한 잉크 리본(11)을 안내하는 안내 로드(28)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 풀기축(12)측으로부터의 잉크 리본(11)을 잉크 리본 감기 축(14)측으로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리본 카세트의 베어링 장치의 안내 로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 및 도8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는, 안내 로드(25)의 설치 위치가 다른 것이며, 다른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하다. 도7 및 도8에 있어서, 도1 내지 도6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리본 카세트(10)의 베어링 장치(23)는 감기 베어링체(20)에 고정되고, 잉크 리본(11)에 접촉하고 또한 잉크 리본(11)을 안내하는 안내 로드(25)를 갖고 있다. 안내 로드(25)는 잉크 리본(11)에 대해 프린터(1)의 서멀헤드(5b)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잉크 리본(11)에 대해 감기 베어링체(20)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고 있다(도8 참조). 이 안내 로드(25)는 감기 베어링체(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감기 베어링체(20)와 별개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7에 있어서, 제1 연결체(18)에 연결된 풀기 덮개 부재(19)와, 제2 연결체(21)에 연결된 감기 덮개 부재(22)는 편의적으로 삭제하여 도시하고 있다.
감기 베어링체(20)는 피봇식으로 연결된 잉크 리본 감기축(14)을 따라 연장되는 몸통부(20c)를 갖고, 안내 로드(25)는 이 감기 베어링체(20)의 몸통부(20c)에 고정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로드(25)는 감기 베어링체(20)의 몸통부(20c)를 따라 연장되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몸통부(20c)와 연결되어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로드(25)는 감기 베어링체(20)의 몸통부(20c) 중, 풀기 베어링체(17)에 가까운 측의 단부(20d) 상 또는 당해 단부(20d)의 근방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멀헤드(5b)로부터의 잉크 리본(11)이 감기 베어링체(2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안내되는 것, 바꾸어 말하면, 잉크 리본(11)이 안내 로드(25)에만 접촉하도록 하여 서멀헤드(5b)로부터 잉크 리본 감기축(14)측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 로드(25)는 잉크 리본(11)의 잉크 리본 풀기축(12)으로부터 잉크 리본 감기축(14)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로 인해, 안내 로드(25)는 잉크 리본(11)에 접촉하는 접촉면(26)을 갖고 있다(도8 참조).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로드(25)의 접촉면(26)은 원활하게 잉크 리본(11)을 안내할 수 있도록, 잉크 리본 풀기축(12)으로부터 잉크 리본 감기축(14)을 향한 잉크 리본(1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단면이며 안내 로드(25)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도8의 시야에 있어서) 원호 형상의 윤곽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1)은 감기 베어링체(20)에 고정된 안내 로드(25)의 접촉면(26) 상을 원활하게 미끄러지는 것(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로드(25)는 잉크 리본 감기축(14)의 축심에 따른 잉크 리본(11)의 전체 폭에 걸쳐서 잉크 리본(11)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안내 로드(25)에 의해 잉크 리본(11)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잉크 리본(11)의 잉크 리본 감기축(14)에 따른 폭이 100 ㎜ 이상 120 ㎜ 이하인 경우, 안내 로드(25)의 접촉면(26)은 단면에 있어서 반경(r)이 1.5 ㎜ 이상 5.0 ㎜ 이하인 원호 형상의 윤곽을 갖고 있는 것이, 잉크 리본(11)의 원활한 미끄럼을 확보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잉크 리본(11)의 잉크 리본 감기축(14)에 따른 폭이 100 ㎜ 이상 120 ㎜ 이하인 경우에, 안내 로드(25)의 원호 형상 단면 윤곽의 반경(r)을 1.5 ㎜보다 작게 하면, 안내 로드(25) 및 잉크 리본(11)에 가해지는 압력이 강해진다. 이 결과, 잉크 리본(11)의 잉크 리본 풀기축(12)으로부터 잉크 리본 감기축(14)으로의 이동이 안정되지 않고, 또한 잉크 리본(11)의 이동시에 심한 이음(異音)이 발생한다. 한편, 잉크 리본(11)의 잉크 리본 풀기축(12)에 따른 폭이 100 ㎜ 이상 120 ㎜ 이하인 경우에, 안내 로드(25)의 원호 형상 단면 윤곽의 반경(r)을 5.0 ㎜보다 크게 하면, 안내 로드(25)가 잉크 리본 카세트(10) 내에 끝까지 잘 수납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잉크 리본(11)의 잉크 리본 감기축(14)에 따른 폭이 100 ㎜ 이상 120 ㎜ 이하이며, 안내 로드(25)의 접촉면(26)이 단면에 있어서 반경 2.0 ㎜ 이상 3.0 ㎜ 이하인 원호 형상의 윤곽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안내 로드(25)와 잉크 리본(11) 사이의 보다 양호한 미끄럼을 확보하여 잉크 리본(11)을 더욱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안내 로드(25)가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와 같이 하여 안내 로드(25)의 단면 형상을 설정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는 사출 성형성(생산성), 충격 강도, 강도, 미끄러짐성 및 표면 외관에 관하여 우수하고, 안내 로드(25)에 의해 잉크 리 본(11)을 보다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로드(25)를 이루는 재료는,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로드(25)를 이루는 재료로서, 사출 성형에 사용할 수 있는 수지이면 기본적으로 어떠한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 특히 널리 보급되어 입수가 용이한 폴리아세탈 수지(POM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PS 수지) 및 ABS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안내 로드(25)를 코어 보유 지지체(11)와 일체 성형하는 것은 제조 비용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도8에 있어서, 프린터(1)에 잉크 리본 카세트(10)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린터의 서멀헤드(5b)에 의해 잉크 리본(11)이 가열되어 화상이 수상(受像) 시트(5a)에 전사된다. 이때,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크 리본 풀기축(12)으로부터 조출되는 잉크 리본(11)은 서멀헤드(5b)와 대면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잉크 리본(11)은 안내 로드(25)에 접촉하여 안내 로드(25)로 안내되면서, 잉크 감기축(14)에 감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감기 베어링체(20)가 감기 베어링체(20)를 따라 연장되는 몸통부(20c)를 갖고, 안내 로드(25)는 몸통부(20c)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로드(25)의 변형을 감기 베어링체(20)의 몸통부(20c)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휨 등의 큰 변형이 억제된 안내 로드(25)에 의해 잉크 리본(11)을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내 로드(25)는 감기 베어링체(20)의 몸통부(20c)를 따라 연장되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서 몸통부(20c)와 연결되어 있다. 즉, 안내 로드(25)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감기 베어링부(20)의 몸통부(20c)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로드(25)의 변형은 대폭으로 억제되고, 잉크 리본(11)을 의해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로드(25)는 감기 베어링체(20)의 몸통부(20c) 중 풀기 베어링체(17)에 가까운 측의 단부(20d)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리본 풀기축(12)으로부터 조출된 잉크 리본(11)을 안내 로드(25) 이외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서멀헤드(5b)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잉크 리본 감기축(14)에 감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1)이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걸려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잉크 리본(11)을 보다 안정되게 서멀헤드(5b)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내 로드(25)는 잉크 리본 풀기축(12)으로부터 잉크 리본 감기축(14)을 향한 잉크 리본(1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원호 형상의 윤곽을 포함하는 잉크 리본(11)에의 접촉면(26)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안내 로드(25)와 잉크 리본(11) 사이의 미끄럼이 원활해진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1)을 걸림 없이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내 로드(25)는 잉크 리본(11)의 잉크 리본 감기축(14)의 축심에 따른 전체 폭에 걸쳐서 잉크 리본(11)과 접촉한다. 따라서, 안내 로드(25)와의 사이에서 잉크 리본(11)에 국부적인 마찰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잉크 리본(11)을 비틀게 하는 일 없이, 안정되게 안내할 수 있다.

Claims (13)

  1. 잉크 리본 풀기축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풀기 베어링을 갖는 풀기 베어링체와, 잉크 리본 감기축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감기 베어링을 갖는 감기 베어링체와, 풀기 베어링체와 감기 베어링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체를 구비한 베어링 장치와,
    베어링 장치의 풀기 베어링체를 덮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와,
    베어링 장치의 감기 베어링체를 덮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는 풀기 베어링체에 제1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고,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는 감기 베어링체에 제2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고,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모두 2 이상의 힌지를 갖고,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의 단부에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잉크 리본에 접촉하고 또한 잉크 리본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연결체의 각 힌지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풀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제1 연결체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있고, 제2 연결체의 각 힌지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제2 연결체 외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풀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 제1 연결체 및 풀기 베어링체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단면은 원호 형상이 되고,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가 감기 베어링체에 대해 폐쇄로 된 상태에서,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 제2 연결체 및 감기 베어링체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단면은 원호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각각 2개의 힌지를 갖고, 힌지는 각각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각각 3개의 힌지를 갖고, 힌지는 각각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의 양단부 및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장치,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는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와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8. 제7항에 있어서, 스티렌ㆍ부타디엔 블록 코폴리머와 폴리스티렌은 1 : n의 혼합비 - n은 1 이상 3 이하의 실수임 - 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11. 제1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잉크 리본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접촉면은 단면이 원호 형상의 윤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12. 잉크 리본 풀기축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풀기 베어링을 갖는 풀기 베어링체와, 잉크 리본 감기축을 피봇식으로 연결하는 감기 베어링을 갖는 감기 베어링체와, 풀기 베어링체와 감기 베어링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체를 구비한 베어링 장치와,
    베어링 장치의 풀기 베어링체를 덮는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와,
    베어링 장치의 감기 베어링체를 덮는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를 구비하고,
    풀기 베어링 덮개 부재는 풀기 베어링체에 제1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고,
    감기 베어링 덮개 부재는 감기 베어링체에 제2 연결체를 통해 연결되고,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모두 2 이상의 힌지를 갖고,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는 각각 3개의 힌지를 갖고, 힌지는 각각 제1 연결체 및 제2 연결체의 양단부 및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리본 카세트.
  13. 삭제
KR1020097001375A 2006-07-18 2007-07-18 잉크 리본 카세트 KR101370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95584 2006-07-18
JP2006195584 2006-07-18
PCT/JP2007/064155 WO2008010507A1 (fr) 2006-07-18 2007-07-18 Cassette ruban d'enc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586A KR20090031586A (ko) 2009-03-26
KR101370772B1 true KR101370772B1 (ko) 2014-03-06

Family

ID=3895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375A KR101370772B1 (ko) 2006-07-18 2007-07-18 잉크 리본 카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46997B2 (ko)
EP (1) EP2045089B1 (ko)
KR (1) KR101370772B1 (ko)
CN (1) CN101489796B (ko)
WO (1) WO2008010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3847A (ja) * 2009-04-27 2010-11-11 Sony Corp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WO2010138309A1 (en) 2009-05-26 2010-12-0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udio signal dynamic equalization processing control
JP5727720B2 (ja) 2010-03-31 2015-06-0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EP2596958B1 (en) * 2010-07-22 2019-06-26 Toppan Printing Co., Ltd. Cassette attachment device and cassette
USD761351S1 (en) * 2013-09-20 2016-07-12 Canon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ssette for prin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7298A (en) * 1995-06-28 1996-08-20 Agfa-Gevaert N. V. Dye ribbon package for thermal printers
US5730310A (en) * 1993-10-01 1998-03-24 Yoshihara; Hiroshi Lid opening mechanism system
JP2002506106A (ja) * 1998-03-10 2002-02-26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スチレンポリマーから製造されるポリマー混合物
JP2005047222A (ja) * 2003-07-31 2005-02-24 Canon Inc インク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0747A (en) 1980-07-30 1982-02-19 Asahi Chem Ind Co Ltd Styrene type resin composition
IT1167713B (it) * 1981-03-12 1987-05-13 Montefina Sa Gomma termoplastica costituita da miscela di polipropilene, polistirene antiurto e copolimero a blocchi stirene/diene
US4676678A (en) 1984-02-21 1987-06-30 Kabushiki Kaisha Toshiba Ribbon cassette cartridge having a lid and a locator slot
JPH02130357U (ko) * 1989-04-06 1990-10-26
JPH0450259A (ja) 1990-06-18 1992-02-1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JP3104540B2 (ja) 1994-09-01 2000-10-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クカセット
JPH09136464A (ja) 1995-11-14 1997-05-27 Sony Corp プリンタの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JPH10193733A (ja) * 1997-01-07 1998-07-28 Brother Ind Ltd リボンカセット並びにそれを用いた印字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3721684B2 (ja) 1997-01-07 2005-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3644585B2 (ja) 1999-09-14 2005-04-27 長野日本無線株式会社 インクリボン用カセット
DE60007263T2 (de) 1999-10-29 2004-09-16 Alps Electric Co., Ltd. Tintenbandcassette für einen Thermotransferzeilendrucker
JP2005047054A (ja) 2003-07-30 2005-02-24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用カセット
JP2005343021A (ja) * 2004-06-03 2005-12-15 Alps Electric Co Ltd 熱転写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310A (en) * 1993-10-01 1998-03-24 Yoshihara; Hiroshi Lid opening mechanism system
US5547298A (en) * 1995-06-28 1996-08-20 Agfa-Gevaert N. V. Dye ribbon package for thermal printers
JP2002506106A (ja) * 1998-03-10 2002-02-26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スチレンポリマーから製造されるポリマー混合物
JP2005047222A (ja) * 2003-07-31 2005-02-24 Canon Inc インク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586A (ko) 2009-03-26
WO2008010507A1 (fr) 2008-01-24
EP2045089A4 (en) 2010-10-20
EP2045089B1 (en) 2014-04-30
CN101489796B (zh) 2012-07-04
US8646997B2 (en) 2014-02-11
CN101489796A (zh) 2009-07-22
EP2045089A1 (en) 2009-04-08
US20090285615A1 (en)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772B1 (ko) 잉크 리본 카세트
KR100694674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EP2907954B1 (en) Pulley device
US20100175220A1 (en) Assist grip
US20020029523A1 (en) Guiding structure for moving member
JPH10580A (ja) チョーク線リール
JP3664228B2 (ja) 蛇腹グロメット
JP2008044360A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JP4784871B2 (ja)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およびプリンタと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の組合体
US20110036515A1 (en) Sunshade assembly for an automobile
JP5322674B2 (ja) 安全機構付引き手
EP1114906B1 (en) Hinge member
US5568217A (en) Back cover lock mechanism of a camera
JPH11268535A (ja) ドアガード
US20210070231A1 (en) Ticket holder-equipped vehicle sun visor
JP5129551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232843B1 (ko) 에어 댐퍼
JP3788922B2 (ja) ハーネスガイドの連結部構造
KR20000004220U (ko) 휴대폰의 이어폰 커버장치
KR101484717B1 (ko) 도어 체커 일체형 도어 힌지장치
JP4047627B2 (ja) プロテクタ
JP2550331Y2 (ja) シヤツター用のスラツト保持装置
WO2020174830A1 (ja) ケーブルガイド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装置
JP2000291296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KR200155135Y1 (ko) Tvcr 로딩도어용 스프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