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843B1 - 에어 댐퍼 - Google Patents

에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2843B1
KR101232843B1 KR1020060046024A KR20060046024A KR101232843B1 KR 101232843 B1 KR101232843 B1 KR 101232843B1 KR 1020060046024 A KR1020060046024 A KR 1020060046024A KR 20060046024 A KR20060046024 A KR 20060046024A KR 101232843 B1 KR101232843 B1 KR 10123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ap
piston
string
air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976A (ko
Inventor
한문수
Original Assignee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락스(주 ) filed Critical 파이오락스(주 )
Publication of KR2007003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18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6Fluids pneumatic

Abstract

끈 형상체가 얽히거나 하지 않고 슬라이드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컴팩트하게 형성가능한 에어 댐퍼를 제공한다. 이 에어 댐퍼(10)는, 실린더(20)와, 실린더(20) 내를 이동하는 피스톤(30)과, 실린더(20) 선단부에 장착되는 캡(40)과, 피스톤(30)을 탄성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60)과, 피스톤(30)에 걸리는 끈 형상체(70)를 구비한다. 캡(40)은 결합 통부(41)와, 결합 통부(41)의 단면을 이룸과 함께, 테이퍼 형상으로 오목하게 실린더(20) 내방으로 돌출하고, 그 선단이 끈 형상체(70)의 삽출구(51)를 이루는 테이퍼 통부(50)와, 삽출구(51) 주변 엣지의 한 군데로부터, 실린더(20) 내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선단부(57)가 굴곡된 훅부(55)를 가지고 있다. 끈 형상체(70)는 일단부가 훅부(55)에 걸리고, 그 중간부가 삽출구(51)를 통해 외부로 삽출되어 있다.
에어 댐퍼, 슬라이드, 컴팩트, 실린더, 피스톤, 캡, 자동차, 글로브 박스, 개폐

Description

에어 댐퍼{Air Damper}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 댐퍼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同) 에어 댐퍼의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동 에어 댐퍼의 캡을 나타내고 있고, (a)는 정면도, (b)는 우측면도, (c)는 (b)의 A-A 화살선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동 에어 댐퍼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기단부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동 에어 댐퍼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선단부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에어 댐퍼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본 발명의 에어 댐퍼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어 댐퍼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a)는 그 사시도, (b)는 (a)의 B화살선으로부터 봤을 때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에어 댐퍼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에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 에어 댐퍼 20 : 실린더
30 : 피스톤 35 : 끈 걸림부
40 : 캡 41 : 결합 통부
46 : 토대부 48,49 : 오목부
50 : 테이퍼 통부 51 : 삽출구
55,55a,55b,55c : 훅부 57,57a,57b,57c : 선단부
60 : 코일 스프링 61 : O 링
70 : 끈 형상체 101 : 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에 이용되어, 그 개폐 동작을 제동하는 에어 댐퍼(air damper)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에어 댐퍼로서, 특개 2001-108002호 공보에는, 통 형상의 실린더와, O 링이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 내를 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을 기단부측으로 탄성 부세(付勢)하는 코일 스프링과, 실린더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캡을 구비하는 에어 댐퍼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끈 형상체의 일단이 실린더의 선단 외부에 클립을 통해 고정되고, 이 끈 형상체가 캡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실린더 내로 인입되고, 중간부가 상기 피스톤에 걸려 실린더의 선단측으로 되돌려지면서, 캡의 통공을 통하여 실린더의 외부로 삽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글로브 박스 등의 개폐에 이용되는 것은 아니나, 차량의 후부 트렁크에는 리어 쉘프(Rear Shelf) 등을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폐와 연동하여 상하 운동시키기 위하여, 끈 형상체를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로서, 재공표특허 WO01/042049호 공보에는, 통 형상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를 이동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실린더의 기단부측으로 탄성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과, 실린더의 선단부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캡과, 피스톤 및 캡에 걸리고, 실린더의 외부로 삽출되는 끈 형상체를 가지는 인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캡의 뒤쪽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T자 형상의 걸림부가 돌출 설치되고, 캡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끈 형상체는 일단부가 캡의 걸림부에 걸려지고, 중간부가 피스톤에 걸려져 실린더의 선단부측으로 되돌려지고, 타단부가 캡의 통공으로부터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개 2001-108002호 공보의 에어 댐퍼의 경우, 끈 형상체의 일단부 및 중간부의 쌍방이 캡의 통공을 통과하고 있으므로, 끈 형상체가 인출되거나, 인입되거나 하여 통공 내를 슬라이드 할 시에, 일단부와 중간부가 얽혀서 슬라이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끈 형상체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이 실린더의 외주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에어 댐퍼 전체의 부피가 커져 버려, 설치 공간이 작은 경우 등에 설치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재공표특허 WO01/042049호 공보의 인입 장치의 경우, 끈 형상체는 캡의 통공으로부터 인출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통공은 비교적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는데다가, 캡의 중심으로부터도 벗어나 있으므로, 끈 형상체를 통과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또한 설치하는 부재에 따라서는, 끈 형상체를 통공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으나, 상기 통공에서는, 통공과 끈 형상체와의 슬라이드 저항이 증대되므로, 인출 방향을 크게 바꿀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끈 형상체가 얽히거나 하지 않고 슬라이드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컴팩트하게 형성 가능하고 끈 형상체의 인출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에어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은, 기단부가 폐색하고 선단부가 개구한 통 형상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를 이동하여 내부 공간을 가감압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캡과,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캡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의 기단부측으로 탄성 부세(付勢)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캡에 걸려지는 끈 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실린더 내주에 들어맞는 결합 통부와, 이 결합 통부의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을 이루는 동시에, 테이퍼 형상으로 오목하게 상기 실린더 내방으로 돌출하고, 그 선단이 상기 끈 형상체의 삽출구를 이루는 테이퍼 통부와, 이 테이퍼 통부의 상기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 군데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선단부가 굴곡된 훅(hook)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끈 형상체는, 일단부가 상기 캡의 훅부에 걸려지고, 그 중간부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끈 걸림부를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측으로 되돌려지고, 타단부가 상기 캡의 테이퍼 통부의 삽출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삽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발명에 따르면,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 중 어느 일방에 실린더를 고정하고, 타방에 실린더의 외부로 삽출된 끈 형상체의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가동 부재를 이동시켜 끈 형상체를 잡아당기면,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드하고, 끈 형상체가 인출된다. 또한 가동 부재에 대한 외력을 제거하면,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피스톤이 실린더의 기단부측으로 이동하여 끈 형상체가 인입된다. 이때,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용적이 변화되기 때문에, 이 공간 내로 외기가 출입하는 저항에 의해 댐퍼 작용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제1 발명에 따르면, 끈 형상체의 일단을 고정하는 훅부가, 캡에 설치된 테이퍼 통부의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 군데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선단부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훅부에 걸려진 끈 형상체의 일단부와, 삽출구로부터 삽출되는 끈 형상체의 중간부가 얽히거나 하지 않아, 끈 형상체의 슬라이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훅부를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에어 댐퍼의 외관을 심플하고 컴팩트하게 할 수 있 어, 에어 댐퍼를 배치할 시에 주변 엣지의 타 부재에 간섭하거나 배치상의 제한을 받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끈 형상체는, 삽출구를 통해, 실린더의 외방을 향해 점점 개구 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 통부의 오목 벽면을 슬라이드하면서 인출되므로, 끈 형상체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음과 함께, 끈 형상체의 인출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는,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 군데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테이퍼 통부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에어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 발명에 따르면, 훅부는, 그 선단부가 테이퍼 통부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출구로부터 삽출되는 끈 형상체의 중간부가 훅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어, 끈 형상체의 인출, 인입시의, 끈 형상체의 동작을 보다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군데와, 상기 결합 통부 내주를 연결하는 토대부가 형성되고, 이 토대부로부터 상기 훅부가 연장 돌출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 통부의 오목 벽면에는 상기 토대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3 발명에 따르면, 틀로 캡을 성형하는 경우에, 테이퍼 통부의 틀 빼 는 방향을 따라 토대부를 관통하는 홀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홀로부터 훅부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를 돌출시킬 수 있어, 틀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게 되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킨다. 또한 토대부의 벽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성형시의 외관 열화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성형 재료를 저감하여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는,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 군데와, 상기 결합 통부 내주를 연결하는 토대부가 형성되고, 이 토대부로부터 상기 훅부가 연장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결합 통부의 외주에는, 상기 토대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에어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4 발명에 따르면, 토대부의 내주로 들어가는 오목부에 의해 토대부의 벽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성형시의 외관 열화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성형 재료를 저감하여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통부가 아니라 결합 통부의 외주에 오복부를 설치했으므로, 테이퍼 통부의 오목 벽면에서의 끈 형상체의 슬라이드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는, 기단부가 폐색하고 선단부가 개구한 통 형상의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를 이동하여 내부 공간을 가감압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캡과,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캡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의 기단부측으로 탄성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캡에 걸려지는 끈 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실린더 내주에 들어맞는 결합 통부와, 이 결합 통부의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을 이루는 동시에, 테이퍼 형상으로 오목하게 상기 실린더 내방으로 돌출하고, 그 선단이 상기 끈 형상체의 삽출구를 이루는 테이퍼 통부와, 상기 결합 통부의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면의 한 군데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선단부가 굴곡된 훅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끈 형상체는, 일단부가 상기 캡의 훅부에 걸려지고, 그 중간부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끈 걸림부를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측으로 되돌려지고, 타단부가 상기 캡의 테이퍼 통부의 삽출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삽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5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발명과 마찬가지로, 가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끈 형상체를 사이에 두고 피스톤이 이동하여 댐퍼 작용이 부여됨과 함께, 훅부가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에어 댐퍼의 외관을 심플하고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에어 댐퍼를 배치할 시에 주변 엣지의 타 부재에 간섭하거나 배치상의 제한을 받는 경우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끈 형상체를 상기 테이퍼 통부의 삽출구를 통해 인출함으로써, 끈 형상체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끈 형상체의 인출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결합 통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훅부가, 에어 댐퍼 설치시에 코일 스프링의 내주로 들어가고, 결합 통부의 단면이 코일 스프링의 일단면에 당접하여 위치 결정 가이드를 이루므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훅부가 코일 스프 링을 기울이지 않고 지지하므로, 코일 스프링이 실린더 내주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의 동작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에어 댐퍼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에어 댐퍼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에어 댐퍼(10)는 기단부가 폐색되어 유저(有底)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선단부가 개구하고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룬 실린더(20)와, 이 실린더(20) 내에 삽입 배치된 피스톤(30)과, 실린더(20)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캡(40)과, 피스톤(30) 및 캡(40)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어 피스톤(30)을 실린더(20)의 기단부측으로 탄성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60)을 가지고 있다.
실린더(20)는, 그 선단부의 외주에 환 형상 돌출부(21)가 돌출 설치되고, 이 환 형상 돌출부(21)에 인접하여, 후술하는 캡(40)의 탄성 걸림편(43)이 걸리는 걸림홀(22, 22)이 주방향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걸림홀(22)에 대하여 90도 벗어난 실린더(20)의 내주에는, 오목홈(23, 23)이 대향하여 설치되어, 후술하는 캡(40)의 가이드 리브(45)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20)의 선단부 및 기단부 외주에는, 복수의 장착편(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편(24)에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홀(2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30)은, O 링(6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부(31)를 가지고 있다. 이 기부(31)의 중앙에는, 그 전후면을 관통하는 오리피스(37;orifice)가 설치되어 있다(도 4, 5 참조). 또한 기부(31)의 양단부 주변 엣지로부터는 플랜지부(32, 33)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O 링(61)이 빠짐 방지됨과 동시에, 플랜지부(32, 33) 간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랜지부(32, 33)는, 기본적으로 실린더(20) 내주에 들어맞는 원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나, 그 주방향 4 군데는 직선 형상으로 커트되어 있어, 실린더(20) 내주와의 사이에 공기의 유로가 되는 틈새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33)의 단면은, 상기 코일 스프링(6)의 일단을 수용하는 수용 시트가 되어 있고, 또한 플랜지부(33)에는 주방향에 대향하고 공기의 유로가 되는 절단부(34, 34)가 설치되어 있다.
기부(31)의 플랜지부(33)의 단면으로부터는, U자 형상의 내주를 가진 끈 걸림홀(36)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을 이룬 끈 걸림부(35)가 돌출 설치되어 있어, 후술하는 끈 형상체(70)를 통과시켜 거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린더(20)의 선단부에는 캡(40)이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이 캡(40)은 실린더(20) 내주에 결합하는 결합 통부(41)와, 이 결합 통부(41)의 내측에 설치된 테이퍼 통부(50)와, 이 테이퍼 통부(50)로부터 돌출 설치된 훅(hook)부(55)를 가지고 있다.
결합 통부(41)는, 실린더(20)의 내주에 들어맞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그 외주에는, 주방향에 대향하여 コ자 형상의 슬릿(42, 42)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슬릿(42, 42)을 통해 탄성 걸림편(43, 43)이 형성되어 있다(도 3(a) 참조). 이 탄성 걸림편(43)은, 그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는 테이퍼부(43a)와, 실린더(20)의 걸림홀(22) 주변 엣지에 걸리는 단부(段部;43b)를 가지고 있다. 또한 탄성 걸림편(43)의 기단부에는 보강 리브(44)가 돌출 설치되어 있어, 탄성 걸림편(43)의 내측으로 휠 때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결합 통부(41)의 단면은 상기 코일 스프링(60)의 타단을 수용하는 수용 시트가 되어 있다.
또한 결합 통부(41)에는 탄성 걸림편(43)으로부터 90도 벗어난 외주에, 축방향을 따라 가이드 리브(45, 4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리브(45)는 실린더(20)의 오목홈(23)에 삽입되어, 캡(40)을 실린더(20)로 장착할 시의 가이드가 되는 동시에, 캡(40)의 회전 방지체로서 기능한다.
테이퍼 통부(50)는, 도 2 및 도 3(c)를 함께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나팔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결합 통부(41)의 내측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테이퍼 통부(50)는 기단부가 결합 통부(41)의 일방의 단면(실린더(20)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을 이루고, 선단부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오목해지면서 결합 통부(41)의 실린더(20) 내방측으로 돌출하고, 그리고 그 선단부가 후술하는 끈 형상체(70)를 삽출 가능한 삽출구(51)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삽출구(51)는, 결합 통부(41)를 축 방향으로부터 봤을 때, 그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 통부(50)의 선단부는 결합 통부(41)로부터의 돌출하지 않는 높이가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이라는 것은, 이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나팔 형상의 오목 벽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테이퍼 통부(50)의 선단부의 삽출구(51) 주변 엣지의 한 군데와, 결합 통부(41)의 내주의 일부는, 도 2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토대부(46)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이퍼 통부(50)의 테이퍼 형상으로 오목한 외벽면에는 개구(10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101)를 통해 토대부(46)를 관통하는 홀(100)이 설치되어 있다.
토대부(46)로부터는, 실린더(20)의 내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훅부(55)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훅부(55)는 토대부(46)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는 기둥부(56)를 가지고 있고, 이 기둥부(56)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테이퍼 통부(50)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굴곡함과 함께, 토대부(46)측으로 구부러져 연장하여 대략 L자 형상을 이룬 선단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훅부(55)의 내측에 형성된 끈 걸이 오목 공간(99)에 끈 형상체(70)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훅부(55)에 끈 형상체(70)의 일단부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캡(40)을 형성할 시에는, 예를 들면 다음에 설명하는 틀에 의해 성형된다.
도 2에는 그 틀을 구성하는 하(下)틀(200)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 하틀(200)에는, 테이퍼 통부(50)를 형성하기 위한 나팔 형상을 이룬 돌기(201)와, 이 돌기(201)의 하방의 외주 한 군데로부터 세워져 설치된 돌기(20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돌기(202)는, 돌기(201)로부터 세워져 설치되고 홀(100)을 형성하기 위한 하측 돌기(202a)와, 이 하측 돌기(202a)의 상단으로부터 단 형상으로 세워져 설치되고 훅부(55)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상측 돌기(20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단 형상을 이룬 상측 돌기(202b)의 하단면(202c)은, 훅부(55)의 선단부(57)의 하단면 을 형성하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캡(40)의 성형시에는, 상기 하틀(200)과, 훅부(55)의 외측 형상, 결합 통부(41)의 내측 형상, 및 테이퍼 통부(50)의 안쪽(결합 통부(41) 내로 들어간 부분)을 형성하는 미도시의 상(上)틀과, 결합 통부(41)의 외측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훅부(55)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2분할되는 좌우 한 쌍의 틀이, 각각 막혀서 미도시의 사출 노즐 등으로부터 각 틀에 의해 형성된 공동(空洞) 내에 합성 수지가 사출되어 캡(40)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피스톤(30) 및 캡(40)에 걸리는 끈 형상체(7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환 형상을 이룬 가동 부재 걸림부(71)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타단에 환 형상을 이룬 훅 걸림부(7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부재 걸림부(71)는 미도시의 가동 부재에 연결되고, 훅 걸림부(72)는 캡(40)의 훅부(55)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각 부재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메틸렌(POM) 등의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에어 댐퍼(10)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구성된다. 또한 구성 순서는 하기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캡(40)의 훅부(55)에, 갈고리부(58) 측으로부터 끈 형상체(70)의 훅 걸림부(72)를 삽입하여 건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60)의 일단측으로부터 끈 형상 체(70)를 통과시키고 타단측으로부터 인출한다. 그 상태에서, 끈 형상체(70)의 가동 부재 걸림부(71)를 피스톤(30)의 끈 걸림홀(36)을 통과하여, 캡(40) 측으로 되돌리도록 인출하고, 그 후 코일 스프링(60)을 압축시키면서 그 내주에 끈 형상체(70)를 통과시켜 가고, 그 단부인 가동 부재 걸림부(71)를, 캡(40)에 형성된 테이퍼 통부(50) 선단의 삽출구(51)로부터 인출한다.
이렇게 하여 캡(40)과 피스톤(30)과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60)을 압축 상태로 끼워 장착시키고, 그것을 실린더(20) 내로 삽입해 간다. 그리고 캡(40)의 가이드 리브(45)를 실린더(20)의 오목홈(23)에 정합(整合)하여 눌러가면, 실린더(20) 내주로 테이퍼부(43a)가 눌려져 탄성 걸림편(43)이 내측으로 휘고, 단부(43b)가 걸림홀(22)에 달하면, 탄성 걸림편(43)이 탄성 복귀하고 단부(43b)가 걸림홀(22) 주변 엣지에 결합하여 캡(40)의 빠짐이 방지되고 실린더(20) 선단부에 장착되어,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댐퍼(1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부재 걸림부(71)에 미리 미도시의 클립을 설치하여, 캡(40)의 삽출구(51)로부터 끈 형상체(70)를 삽입하고 끈 걸림부(35)에서 되돌려, 최후에 훅부(55)에 걸리도록 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에어 댐퍼(10)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의 개폐 등에 적용된다. 이 경우,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편(24)을 통해 에어 댐퍼(10)를 고정하고, 캡(40)으로부터 삽출된 끈 형상체(70)의 가동 부재 걸림부(71)를 글로브 박스에 형성된 훅 등에 건다.
이때,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는, 캡(40)에 형성된 훅부(55)가 실린더(20) 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되어 있어, 에어 댐퍼(10)의 외관을 심플하고 컴팩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글로브 박스 등에 배치 고정할 시에, 주변 엣지의 타 부재에 간섭하거나 배치상의 제한을 받는 경우를 적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글로브 박스가 닫힌 상태에서의 에어 댐퍼(10)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피스톤(30)은 실린더(20) 내주의 기단측에, 코일 스프링(60)의 탄성 부세력에 의해 최대한 눌려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O 링(61)은 피스톤(30)의 플랜지부(33)에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글로브 박스를 여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로브 박스의 여는 동작에 따라 끈 형상체(70)의 중간부가, 피스톤(30)의 끈 걸림홀(36) 내주를 슬라이드하면서 인출되어 피스톤(30)을 잡아당기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71)의 탄성 부세력에 저항하여 피스톤(30)이 실린더(20)의 선단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O 링(61)이 기단부측으로 이동하고, 피스톤(30)의 플랜지부(32)에 당접하여 피스톤(30)과 실린더(20) 내주와의 틈새가 실링되므로, 피스톤(30) 및 실린더(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S;도 5 참조)과 외부 공간은, 피스톤(30)에 형성된 오리피스(37)를 통해서만 연통한다. 이 때문에, 외부 공기가 내부 공간(S)에 유입하는 데에 큰 저항이 발생하여 내부 공간(S)이 감압되고, 피스톤(30)의 이동에 대하여 큰 제동력이 부여되어 글로브 박스를 천천히 열게 할 수 있다.
글로브 박스를 닫을 때에는, 글로브 박스를 닫는 방향으로 가볍게 누름으로써, 코일 스프링(60)의 탄성 부세력에 의해 피스톤(30)이 실린더(20)의 기단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O 링(61)이 플랜지부(32) 가까이로 이동하여 피스톤(30)과 실린 더(20) 간에 큰 틈새가 형성되므로, 피스톤(30)과 실린더(20)로 둘러싸인 공간으로의 외부 공기의 출입이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져, 댐퍼 작용은 약해진다. 이 때문에 가벼운 제동력이 부여되면서 피스톤(30)이 부드럽게 이동하여, 글로브 박스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다.
또한 이 에어 댐퍼(10)는, 끈 형상체(70)가 실린더(20)의 기단부에서 되돌려져 있으므로, 실린더(20)의 길이에 대하여 거의 2배의 길이로 끈 형상체(70)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에어 댐퍼(10)가 작동하여 글로브 박스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때 끈 형상체(70)의 중간부가 삽출구(51)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거나 하여 삽출구(51) 내주를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에 있어서는, 훅부(55)가 테이퍼 통부(50)의 삽출구(51)의 주변 엣지의 한 군데로부터, 실린더(20) 내방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선단부(57)가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훅부(55)에 걸린 끈 형상체(70)의 일단부인 훅 걸림부(72)와, 삽출구(51)로부터 삽출되는 끈 형상체(70)의 중간부가 얽히거나 하는 경우가 없어, 끈 형상체(70)의 슬라이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끈 형상체(70)는, 삽출구(51)를 통해, 실린더(20)의 외방을 향해 점점 개구 면적이 넓어지는 테이퍼 통부(50)의 오목 벽면을 슬라이드하면서 인출되므로, 끈 형상체(70)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음과 함께, 끈 형상체(70)의 인출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에 있어서는, 훅부(55)의 선단부(57)가 테이퍼 통부(50)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출구(51)로부터 삽출되는 끈 형상체(70)의 중간부가, 훅부(55)의 선단부(57)에 접촉하여 마모되는 것이 방지되고, 끈 형상체(70)의 인출, 인입시의 끈 형상체(70)의 동작을 보다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에 있어서는, 틀로 캡(40)을 성형하는 경우에, 테이퍼 통부(50)의 틀 빼는 방향을 따라 토대부를 관통하는 홀(10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101) 및 홀(100)로부터 훅부(55)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202)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틀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게 되어 제조 비용을 저감시킨다. 또한 토대부(46)의 벽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성형시의 외관 열화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성형 재료를 저감하여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a)에는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캡(40)의 훅부의 형상만이 상기 실시예와 상위하다. 즉, 이 훅부(55a)는 토대부(46)로부터 실린더(20)의 내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기부(56a)와, 이 기부(56a) 단부로부터 캡(40)의 외주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굴곡하여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56b)로 이루어지고, 선단부(57)는, 연장 돌출부(56b)의 선단으로부터 테이퍼 통부(50)의 반경 방향 내방으로 굴곡됨과 함께, 또한 토대부(46) 측으로 구부려져 있다. 또한 선단부(57)의 선단으로부터는, 테이퍼 통부(50)의 반경 방향 내방을 향해 갈고리부(58)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끈 형상체(70)를 훅부(55a)로부터 떨어져 빠지기 어렵게 하고 있다.
도 6(b)에는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캡(40)의 훅부의 형상만이 상기 실시예와 상위하다. 즉, 이 훅부(55b)는 갈고랑이 형상을 이루고 있고, 토대부(46)로부터 세워져 설치되는 기둥부(56)와, 이 기둥부(56)의 선단으로부터 T자 형상으로 양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또한 토대부(46) 측으로 구부러진 선단부(57b, 57b)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끈 형상체(70)의 훅 걸림부(72)를 기둥부(56)에 걸고, 기둥부(56)와 양측의 선단부(57b, 57b)와의 틈새에 삽입함으로써, 끈 형상체(70)의 일단을 확실히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훅부(55b)는 캡(40)의 내주측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삽출구(51)로부터 삽출되는 끈 형상체(70)의 중간부와 간섭하기 어려워진다.
도 7 (a), (b)에는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캡(40)의 오목부가 형성된 위치가 상기 실시예와 상위하다. 즉,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대부(46)로부터 연장 돌출된 훅부(55)에 정합하는 위치에서, 그리고 훅부(55)의 축 방향 중심(선분 F로 나타냄)을 경계로 하여 2 분할되고, 토대부(46)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여 오목부(48, 48)가 형성되 어 있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 통부(50)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은 토대부(46)를 관통하는 홀(10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오목부(48)의 내벽은, 내부의 테이퍼 통부(50)의 이면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을 이루고 있고, 그에 따라 테이퍼 통부(50)의 두께가 일정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대부(46)의 내부로 들어가는 오목부(48)에 의해, 토대부(46) 및 테이퍼 통부(50)의 벽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성형시의 외관 열화 방지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성형 재료를 저감하여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통부(50)가 아니라, 결합 통부(41)의 외주에 오목부(48)를 설치하므로, 테이퍼 통부(50)의 오목 벽면에 오목부가 없어져, 끈 형상체(70)의 슬라이드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캡(40)을 형성할 시에는, 도 7(a)의 부호 E로 나타낸 범위는 미도시의 상하 틀로 형성되어 있고, 훅부(55) 및 결합 통부(41)의 외측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분 F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2분할(화살표 G 방향)되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a), (b)에는 본 발명의 에어 댐퍼(10)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캡(40)에 삽출구(51)와 결합 통부(41)을 연결하는 토대부(4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결합 통부(41)의 외주 일부가 오목부(49, 49)에 의해 잘려져 있고, 오목부(49, 49)의 사이에 결합 통부(41)와 같은 외경으로 형성된 벽부(41a)로부터 훅부(55c)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훅부(55c)는 벽부(41a)의 상단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기둥부(56c)와, 이 기둥부(56c)의 선단으로부터 테이퍼 통부(50)의 반경 방향 내방으로 굴곡됨과 함께, 토대부(46) 측으로 구부러져 대략 L자 형상을 이룬 선단부(57c)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40)을 형성할 시에는, 훅부(55)는, 그 폭 방향 중심(선분 L)에 대하여 화살표 C 방향으로 틀이 빠지고, 그때의 훅부(55)의 틀 빠지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오목부(49, 49)가 형성된다.
이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음과 함께, 결합 통부(41)로부터 연장 돌출된 훅부(55c)가, 에어 댐퍼(10) 설치시에 코일 스프링(60)의 내주로 들어가고, 결합 통부(41)의 단면이 코일 스프링(60)의 일단면에 당접하여 위치 결정 가이드를 이루므로, 설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훅부(55c)가 코일 스프링(60)을 기울이지 않고 지지하므로, 코일 스프링(60)이 실린더(20) 내주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스톤(30)의 동작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에어 댐퍼에 따르면, 가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 끈 형상체를 통해 피스톤이 이동하여 댐퍼 작용이 부여됨과 함께, 훅부가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에어 댐퍼의 외관을 심플하고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에어 댐퍼를 배치할 시에 주변 엣지의 타 부재에 간섭하거나 배치상의 제한을 받는 경우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끈 형상체를 상기 테이퍼 통부의 삽출구를 통해 인출함으로써, 끈 형상체를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끈 형상체의 인출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Claims (5)

  1. 기단부가 폐색하고 선단부가 개구한 통 형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를 이동하여 내부 공간을 가감압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캡과,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캡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의 기단부측으로 탄성 부세(付勢)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캡에 걸려지는 끈 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실린더 내주에 들어맞는 결합 통부와, 상기 결합 통부의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을 이루는 동시에, 테이퍼 형상으로 오목하게 상기 실린더 내방으로 돌출하고, 선단이 상기 끈 형상체의 삽출구를 이루는 테이퍼 통부와,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 군데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선단부가 굴곡된 훅(hook)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끈 형상체는, 일단부가 상기 캡의 훅부에 걸려지고, 중간부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끈 걸림부를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측으로 되돌려지고, 타단부가 상기 캡의 테이퍼 통부의 삽출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삽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 군데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선단부가 상기 테이퍼 통부의 반경 방향 외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에어 댐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군데와, 상기 결합 통부 내주를 연결하는 토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대부로부터 상기 훅부가 연장 돌출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 통부의 오목 벽면에는 상기 토대부를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에어 댐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통부의 상기 삽출구 주변 엣지의 한 군데와, 상기 결합 통부 내주를 연결하는 토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대부로부터 상기 훅부가 연장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결합 통부의 외주에는, 상기 토대부의 내부로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에어 댐퍼.
  5. 기단부가 폐색하고 선단부가 개구한 통 형상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를 이동하여 내부 공간을 가감압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캡과,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캡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을 상기 실린더의 기단부측으로 탄성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 및 상기 캡에 걸려지는 끈 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실린더 내주에 들어맞는 결합 통부와, 상기 결합 통부의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위치하는 단면을 이루는 동시에, 테이퍼 형상으로 오목하게 상기 실린더 내방으로 돌출하고, 선단이 상기 끈 형상체의 삽출구를 이루는 테이퍼 통부와, 상기 결합 통부의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면의 한 군데로부터 상기 실린더 내방을 향해 축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선단부가 굴곡된 훅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끈 형상체는, 일단부가 상기 캡의 훅부에 걸려지고, 중간부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끈 걸림부를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의 선단부측으로 되돌려지고, 타단부가 상기 캡의 테이퍼 통부의 삽출구를 통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삽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퍼.
KR1020060046024A 2005-10-04 2006-05-23 에어 댐퍼 KR101232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0725A JP4636987B2 (ja) 2005-10-04 2005-10-04 エアダンパ
JPJP-P-2005-00290725 2005-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976A KR20070037976A (ko) 2007-04-09
KR101232843B1 true KR101232843B1 (ko) 2013-03-14

Family

ID=3802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024A KR101232843B1 (ko) 2005-10-04 2006-05-23 에어 댐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36987B2 (ko)
KR (1) KR101232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3438A (ja) * 2007-07-18 2009-02-05 Hayashi Engineering Inc トノカバー装置
JP5105421B2 (ja) * 2008-01-16 2012-12-26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ローブボックス用ダンパの取付け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280A (ko) * 1998-11-06 2000-06-26 가또 가즈히꼬 에어 댐퍼
KR20010050914A (ko) * 1999-10-08 2001-06-25 가또 가즈히꼬 공기 댐퍼
KR20010070433A (ko) * 2000-01-07 2001-07-25 가또 가즈히꼬 공기 댐퍼
JP2001263399A (ja) 2000-03-17 2001-09-26 Piolax Inc エアダンパ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833B2 (en) * 1999-12-10 2003-06-17 Piolax, Inc. String pull-in device
JP3994042B2 (ja) * 2002-09-20 2007-10-1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紐式エアダンパ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280A (ko) * 1998-11-06 2000-06-26 가또 가즈히꼬 에어 댐퍼
KR20010050914A (ko) * 1999-10-08 2001-06-25 가또 가즈히꼬 공기 댐퍼
KR20010070433A (ko) * 2000-01-07 2001-07-25 가또 가즈히꼬 공기 댐퍼
JP2001263399A (ja) 2000-03-17 2001-09-26 Piolax Inc エアダンパ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976A (ko) 2007-04-09
JP4636987B2 (ja) 2011-02-23
JP2007100812A (ja)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4235B2 (ja) ダンパ装置
EP3333452B1 (en) Cord lock
CN109642442B (zh) 旋转式伸缩装置
WO2011138924A1 (ja) 引込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引込本体
US6484376B1 (en) Jewelry safety clasp
JP3321665B2 (ja) エアダンパー
KR20050086377A (ko) 에어 댐퍼 및 글러브 박스
JP6368549B2 (ja) エアダンパ
JP2016011750A (ja) エアダンパ
KR101232843B1 (ko) 에어 댐퍼
US6367785B1 (en) Air damper
US6896302B2 (en) Push button release apparatus
KR101232844B1 (ko) 에어 댐퍼
WO2019039370A1 (ja) エアダンパー
US6578832B2 (en) Air damper used in glove box of automobile
JP2013225957A (ja) グロメット
WO2001042049A1 (fr) Dispositif de tirage de corde
CN111684172A (zh) 阻尼器
KR101963357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0774411B1 (ko) 도어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연결구조
KR0128506Y1 (ko) 안경 케이스
KR0157708B1 (ko) 냉각수 공급용 도어의 록킹장치
JP2013245807A (ja) ピストンダンパー
JPH1199008A (ja) 紐類の端部カバー
JP3463270B2 (ja) 収納箱のダン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