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170B1 -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170B1
KR101369170B1 KR1020137015208A KR20137015208A KR101369170B1 KR 101369170 B1 KR101369170 B1 KR 101369170B1 KR 1020137015208 A KR1020137015208 A KR 1020137015208A KR 20137015208 A KR20137015208 A KR 20137015208A KR 101369170 B1 KR101369170 B1 KR 10136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fender
fold line
folding
mirror
f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271A (ko
Inventor
미나미 이즈미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63B2059/025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pneumatic, e.g. infla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접을 때의 작업성을 개선하여, 반송시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확보함과 함께, 접음시나 반송시에 수반되는 손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을 제공한다. 공기식 방현재(1)에 있어서의 동체 부분(2b)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접힘선(3)이 형성되고, 이 공기식 방현재(1)로부터 공기를 배출한 후, 거울체 부분(2a, 2a)을 동체 부분(2b)의 상면으로 하여 봉지체(2)를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리고, 이어서, 접힘선(3)을 경계로 하여 봉지체(2)를 상면측으로 접고, 이 접은 상태에서 컨테이너에 실어 반송한다.

Description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PNEUMATIC FEND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SAME}
본 발명은,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송시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확보함과 함께, 내구성의 저하를 억제하도록 한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식 방현재는, 원통상의 동체 부분과 그 양단에 연결하는 그릇상의 거울체 부분을 구비한 봉지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식 방현재는, 동체 부분의 외경이 2.5m 이상이 되면, 부풀린 상태에 있어서의 육상에서의 이송이 도로 교통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차량의 제한(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폭 2.5m, 길이 12m, 높이 3.8m)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그 때문에, 공기식 방현재를 부풀린 상태에서의 차량에 의한 이송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대책으로서, 종래, 공기식 방현재로부터 공기를 배출하여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림과 함께, 이것을 차량의 컨테이너의 폭에 대응시켜 접고, 접은 상태에서 컨테이너에 실어 반송하는 것이 행하여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공기식 방현재의 봉지체는, 스틸 코드나 유기 섬유 코드 등에 의해 보강된 고무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지체 자체가 강직하여 원하는 형태로 접기가 어렵다. 나아가서는, 최대급의 공기식 방현재에 있어서는 하중이 4.8톤에 달하여, 접기 작업에는 크레인 등의 중기를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배려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기 작업시에는, 봉지체에 대하여 국부적으로 무리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봉지체의 외면이 손상을 입기 쉽다. 나아가서는, 접기에 수반하여 발생한 주름에 의해 강도의 저하나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봉지체를 구성하는 고무막의 외주면에 새로운 부재를 배치하여, 접을 때에 발생하는 국부적인 굴곡 변형을 저감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제안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이 제안에 있어서는, 접을 때의 작업성의 개선에는 직접 결부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되어 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16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 접을 때의 작업성을 개선하여, 반송시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확보함과 함께, 내구성의 저하를 억제하도록 한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는, 원통상의 동체 부분과, 이 동체 부분의 양단에 이어지는 그릇상의 거울체 부분을 구비한 봉지체를 갖는 공기식 방현재에 있어서, 상기 동체 부분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접힘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반송 방법은, 원통상의 동체 부분과, 이 동체 부분의 양단에 연결하는 그릇상의 거울체 부분을 구비한 봉지체를 갖고, 또한, 상기 동체 부분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이 형성된 공기식 방현재를 컨테이너에 실어 반송할 때에, 상기 봉지체로부터 공기를 배출한 후, 상기 거울체 부분을 상면으로 하여 봉지체를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리고, 이어서, 이 봉지체를 상기 접힘선을 경계로 하여 봉지체의 상면측으로 접고, 이 접은 상태에서 컨테이너에 실어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식 방현재를 구성하는 봉지체의 동체 부분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접힘선이 형성된다. 이 접힘선을 경계로 하여 접기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형상으로의 접기를 가능하게 하면서, 접을 때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접기에 수반되는 봉지체의 내구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힘선의 형성에 의해, 접은 후의 봉지체의 형상이 안정되므로, 컨테이너에 실을 때 등의 반송시에 외상을 입는 일이 없어져, 반송에 수반되는 내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의 실시형태의 개형(槪形)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는 공기식 방현재를 구성하는 봉지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형태의 개형을 나타내는 정면도(도 1(A)의 상당도)이다.
도 4(A)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개형을 나타내는 정면도(도 1(A)의 상당도)이다. 도 4(B)는 그 측면도(도 1(B)의 상당도)이다.
도 5(A)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공기식 방현재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고, 봉지체를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X-X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A)에 나타낸 봉지체를 접힘선을 경계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 도 7(B)는 각각, 또 다른 실시형태의 거울체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도 1(B)의 상당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힘선의 구조를 예시하는 봉지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A), 도 9(B)는 각각, 접힘선의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봉지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는 각각,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봉지체의 단면도(도 5(B)의 상당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에 대해,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1)의 실시형태에서는, 원통상의 동체 부분(2b)과 그 양단에 연결하는 그릇상의 거울체 부분(2a, 2a)을 구비한 봉지체(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릇상의 거울체 부분(2a, 2a)의 중앙부에는 구금부(6)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금부(6)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 급배구가 형성되어 있어, 공기 급배구를 통하여 봉지체(2)의 내부에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도 1(A)에서는, 동체 부분(2b)과 거울체 부분(2a, 2a)의 경계를 실선에 의해 표시하고 있다.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공기식 방현재(1)의 종류에 따라서는, 구금부(6)는, 일방의 거울체 부분(2a)에만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봉지체(2)는, 도 2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내층 고무(5a)와 외층 고무(5b) 사이에 보강층(4)을 개재 삽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층 고무(5a) 및 외층 고무(5b)를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로는, 천연 고무 또는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고무로 이루어지는 고무 조성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의 디엔계 고무나, EPDM 등의 올레핀계 고무 및 이들의 블렌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무 조성물 등을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보강층(4)에는,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등으로 대표되는 유기 섬유 코드나 스틸 코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1)에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체(2)의 동체 부분(2b)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도면에서는 실선으로 2개 나타나 있다)의 접힘선(3, 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힘선(3, 3)을 경계로 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봉지체(2)를 폭 방향(지면의 상하 방향)으로 접어, 차량에 적재한다. 이에 의해, 대형의 공기식 방현재라도, 도로 교통에 관한 법률에 의한 제약을 받지 않고, 육상에서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1)는, 동체 부분(2b)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접힘선(3, 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지체(2)를 접을 때에, 이 접힘선(3, 3)을 경계로 하여 접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원하는 형상으로의 접기를 가능하게 하면서, 접을 때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접을 때의 무리한 외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접기에 수반되는 봉지체(2)의 내구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하는 도 1(A)의 실시형태에서는, 동체 부분(2b)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접힘선(3, 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접힘선(3)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접힘선(3)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고, 나아가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3개 이상의 접힘선(3)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하는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거울체 부분(2a, 2a)의 외면에도,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도면에서는 2개)의 폭 방향(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3, 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거울체 부분(2a, 2a)의 외면에도 접힘선(3, 3)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봉지체(2)의 접기 작업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하는 실시형태와 같이, 동체 부분(2b)과 거울체 부분(2a, 2a)에 각각 접힘선(3, 3)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체(2)를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린 단계에 있어서, 각각의 접힘선(3, 3)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동체 부분(2b)과 거울체 부분(2a, 2a)에 있어서, 각각 접힘선(3, 3)의 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이 봉지체(2)를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린 상태에서, 접힘선(3, 3)을 경계로 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는다.
상술하는 경우에 있어서, 봉지체(2)를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린 단계에서, 동체 부분(2b)과 거울체 부분(2a, 2a)에 형성된 접힘선(3, 3)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거울체 부분(2a, 2a)에 형성되는 접힘선(3)의 폭을 동체 부분(2b)에 형성되는 접힘선(3)의 폭보다도 광폭으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거울체 부분(2a, 2a)의 접기 작업을 동체 부분(2b)에 형성된 접힘선(3)을 따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되므로, 접기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봉지체(2)의 접기 작업은, 이하에 기재하는 순서에 따라 행하여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한 공기식 방현재(1)의 실시형태의 접기 작업에 대해, 그 순서를 기재한다.
가장 먼저 봉지체(2)로부터 공기를 배출한 후,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울체 부분(2a, 2a)을 각각 상면으로 하여 평탄상이 되도록 찌그러뜨린다. 이 찌그러뜨리는 작업은, 양측의 거울체 부분(2a, 2a)을 각각 동체 부분(2b)의 상면에 겹치도록 하여 찌그러뜨리면 된다.
그 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봉지체(2)를 접힘선(3, 3)을 경계로 하여 봉지체(2)의 상면측의 폭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접는다. 그리고, 이 봉지체(2)를 접은 상태에서 컨테이너에 실어 반송한다. 따라서, 접은 후의 봉지체(2)의 폭(W)은 컨테이너의 폭보다도 협폭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컨테이너에 실을 때에는, 접힘선(3, 3)의 형성에 의해, 접은 후의 봉지체(2)의 형상이 안정되어 있으므로, 반송시에 외상을 입는 일이 저감되어, 반송에 수반되는 봉지체(2)의 내구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거울체 부분(2a, 2a)을 상면으로 하여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린 도 5(A)의 단계에서는, 거울체 부분(2a, 2a)은 각각 그릇상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이것을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려 접기 쉽게 하기 위하여, 거울체 부분(2a, 2a)의 외면에는, 도 7(A)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 부분(2b)의 중심축(도면에서는 구금부(6))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으로 접힘선(3)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혹은, 도 7(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 부분(2b)의 중심축(도면에서는 구금부(6))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접힘선(3)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의해, 봉지체(2)를 접는 도 6의 단계에 있어서, 거울체 부분(2a, 2a)이 접힘선(3)의 위치에서 굴곡 변형되어 평탄상으로 변형되기 쉬워져, 접기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A)의 실시형태에서는, 거울체 부분(2a, 2a)의 외면에 형성하는 동심원상의 접힘선(3)의 수를 2개로 하고, 도 7(B)의 실시형태에서는, 방사상의 접힘선(3)의 수를 6개로 한 경우를 나타냈으나, 접힘선(3)의 수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힘선(3)의 수는, 동체 부분(2b)의 외경이나 거울체 부분(2a, 2a)의 그릇상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상술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울체 부분(2a, 2a)에는, 동심원상 또는 방사상의 접힘선(3)에 더하여, 도 4(B)에 예시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3)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봉지체(2)의 접기 작업을 한층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봉지체(2)의 외면에 형성되는 접힘선(3)은, 접을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홈(3a)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봉지체(2)를 접힘선(3)측(도면의 상방측)으로 접을 때에, 오목홈(3a)의 개구부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굴곡 변형되기 때문에, 이 굴곡 변형에 수반하여 접기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목홈(3a)의 깊이(d)를 외층 고무(5b)의 두께(t)의 1/3~2/3, 바람직하게는 5~25mm로 설정하면 좋다. 또한, 오목홈(3a)의 개구 폭(w)을 오목홈(3a)의 깊이(d)의 1~10배, 바람직하게는 10~200mm로 설정하면 좋다. 이에 의해, 봉지체(2)의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고, 접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오목홈(3a)의 깊이(d)가 외층 고무(5b)의 두께(t)의 1/3 미만 또는 5mm 미만이면, 접기 작업성이 저하되게 된다. 오목홈(3a)의 깊이(d)가 외층 고무(5b)의 두께(t)의 2/3 초과 또는 25mm 초과가 되면, 보강층(4)에 대한 외층 고무(5b)의 보호 효과가 저감되어, 봉지체(2)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오목홈(3a)의 개구 폭(w)이 오목홈(3a)의 깊이(d) 미만 또는 10mm 미만이면, 접기 작업성이 저하되게 된다. 오목홈(3a)의 개구 폭(w)이 오목홈(3a)의 깊이(d)의 10배 초과 또는 200mm 초과가 되면, 보강층(4)에 대한 외층 고무(5b)의 보호 효과가 저감되어, 봉지체(2)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봉지체(2)의 내면에, 도 9(A) 및 도 9(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홈(3a)에 대향시켜, 오목조(3b) 또는 볼록조(3c)를 형성하면 좋다. 이에 의해, 오목홈(3a)의 위치에 있어서의 봉지체(2)의 굴곡 변형이 가속되어, 봉지체(2)의 접기 작업을 한층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지체(2)는, 거울체 부분(2a, 2a)을 상면으로 하여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리는 단계에 있어서, 동체 부분(2b)의 찌그러뜨리는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하여,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체 부분(2b)에 있어서의 대향 위치(2bx, 2by)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3)이 형성되면 좋다.
또한, 봉지체(2)를 접힘선(3, 3)을 경계로 하여 접는 단계에 있어서, 이 접기 작업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하여,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체 부분(2b)의 하면(도면의 좌측)에 있어서의 절첩 위치(2bz, 2bz)(도 5(B)의 접힘선(3, 3)에 대응하는 배면측의 위치)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3)이 형성되면 좋다.
상기 서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1)에서는, 컨테이너에 실을 때에, 봉지체(2)의 외면이 컨테이너의 프레임 등에 접촉하여 외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접은 후의 봉지체(2)의 폭(W)(도 6 참조)을 컨테이너의 폭보다 약간 협폭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봉지체(2)의 외면에 형성되는 접힘선(3)의 위치는, 미리 이것을 싣는 컨테이너의 폭에 대응시켜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동체 부분(2b)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접힘선(3)이 형성되고, 이 접힘선(3)을 경계로 하여 봉지체(2)를 접고, 접은 후의 봉지체(2)의 폭(W)을 컨테이너의 폭보다도 협폭으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해 왔다. 그런데,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1)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접은 후의 봉지체(2)의 길이가 컨테이너의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체 부분(2b)의 원주를 따른 방향으로도 접힘선(3)이 형성되어, 이 접힘선(3)을 경계로 하여 접음으로써 봉지체(2)의 길이를 조정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술하는 실시형태에서는, 동체 부분(2b)의 길이 방향 및 거울체 부분(2a, 2a)의 폭 방향에 형성되는 접힘선(3)을 각각 연속으로 연장 형성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해 왔다. 그런데,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1)에서는, 이들 접힘선(3)을, 접기 작업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각 단속적으로 연장 형성하는 것이 허용된다. 즉, 접힘선(3)은, 연속으로 연장되는 사양에 한하지 않고,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사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점선상으로 연장되는 접힘선(3)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오목조(3b), 볼록조(3c)도, 연속으로 연장되는 사양에 한하지 않고,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사양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점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조(3b), 볼록조(3c)를 채용할 수도 있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식 방현재(1)는, 동체 부분(2b)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접힘선(3)이 형성됨으로써, 원하는 형상으로의 접기를 가능하게 하면서, 접을 때의 작업성을 개선한다. 게다가, 접기 및 그 반송에 수반되는 봉지체(2)의 내구성 저하를 억제하므로, 특히 동체 부분(2b)의 외경이 2.5m 이상인 대형의 공기식 방현재(1)에 대하여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외경을 3.3m, 길이를 6.5m로 하는 공기식 방현재를 제조하고, 이것을 폭 2.2m, 길이 12m의 컨테이너에 실어 반송하기 위하여, 공기식 방현재의 동체 부분(2b) 및 거울체 부분(2a, 2a)의 외면에 오목홈(3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 방현재(종래예)와, 동체 부분(2b) 및 거울체 부분(2a, 2a)의 외면에 각각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홈(3a)이 형성된 본 발명 방현재(실시예 1~6)를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 2에서는 동체 부분(2b)에 형성된 2개의 오목홈(3a)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2m로 설정(실시예 3~6에 있어서도 동일)하였다. 실시예 2에서는 거울체 부분(2a)에 형성된 2개의 오목홈(3a)의 상하 방향의 간격을 2.4m로 설정(실시예 4에 있어서도 동일)하였다. 실시예 5에서는 거울체 부분(2a)에 형성된 2개의 오목홈(3a)의 간격을 1m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6에서는 거울체 부분(2a)에 형성된 6개의 오목홈(3a)을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였다. 또한, 각 방현재에 있어서, 내층 고무(5a)의 두께를 15mm로 설정하고, 외층 고무(5b)의 두께를 30mm로 설정하였다.
이들 7종류의 공기식 방현재를 각각 도 5(A) 및 도 6에 나타내는 순서에 따라 접고, 접은 상태에서 컨테이너에 실어, 공기를 배출한 직후부터 컨테이너에 적재할 때까지 필요로 한 시간을 각각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소요 시간을 종래예를 기준으로 하여, 어느 정도 단축할 수 있었는지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병기하였다.
종래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오목홈의 깊이(d)(mm) - 15 15 20 20 20 20
오목홈의 개구폭(w)(mm) - 30 30 50 50 50 50
동체 부분 오목홈의 위치 - 도 5(B) 도 5(B) 도 10(A) 도 10(A) 도 10(A) 도 10(A)
오목홈의 수 - 2개 2개 4개 4개 4개 4개
거울체 부분 오목홈의 위치 - - 도 4(B) - 도 4(B) 도 7(A) 도 7(B)
오목홈의 수 - 없음 2개 없음 2개 2개 6개
소요 시간 기준 10%단축 15%단축 15%단축 20%단축 18%단축 18%단축
표 1로부터, 본 발명 방현재는, 오목홈(3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 방현재에 비하여, 접기 작업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공기식 방현재
2 봉지체
2a 거울체 부분
2b 동체 부분
3 접힘선
3a 오목홈
3b 오목조
3c 볼록조

Claims (7)

  1. 원통상의 동체 부분과, 이 동체 부분의 양단에 이어지는 그릇상의 거울체 부분을 구비한 봉지체를 갖는 공기식 방현재에 있어서, 상기 동체 부분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접힘선이 형성된 공기식 방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거울체 부분의 외면에 적어도 1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이 형성된 공기식 방현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거울체 부분의 외면에 상기 동체 부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적어도 1개의 동심원상의 접힘선이 형성된 공기식 방현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거울체 부분의 외면에 상기 동체 부분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방사상의 접힘선이 형성된 공기식 방현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이 오목홈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식 방현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체의 내면에 상기 오목홈에 대향시켜 오목조 또는 볼록조가 형성된 공기식 방현재.
  7. 원통상의 동체 부분과, 이 동체 부분의 양단에 연결하는 그릇상의 거울체 부분을 구비한 봉지체를 갖고, 또한, 상기 동체 부분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이 형성된 공기식 방현재를 컨테이너에 실어 반송할 때에, 상기 봉지체로부터 공기를 배출한 후, 상기 거울체 부분을 상면으로 하여 봉지체를 평탄상으로 찌그러뜨리고, 이어서, 이 봉지체를 상기 접힘선을 경계로 하여 봉지체의 상면측으로 접고, 이 접은 상태에서 컨테이너에 실어 반송하는 공기식 방현재의 반송 방법.
KR1020137015208A 2010-11-26 2011-10-26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 KR101369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3482A JP4941589B1 (ja) 2010-11-26 2010-11-26 空気式防舷材及びその搬送方法
JPJP-P-2010-263482 2010-11-26
PCT/JP2011/074716 WO2012070351A1 (ja) 2010-11-26 2011-10-26 空気式防舷材及びその搬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271A KR20130072271A (ko) 2013-07-01
KR101369170B1 true KR101369170B1 (ko) 2014-03-05

Family

ID=4614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208A KR101369170B1 (ko) 2010-11-26 2011-10-26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2128B2 (ko)
EP (1) EP2644777B1 (ko)
JP (1) JP4941589B1 (ko)
KR (1) KR101369170B1 (ko)
CN (1) CN103228843B (ko)
WO (1) WO2012070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1908B (zh) * 2014-03-21 2016-04-20 大连旅顺富利达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聚醚橡胶碰垫及其加工工艺
WO2017033982A1 (ja) * 2015-08-25 2017-03-0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用のエアー抜き取り治具
JP6565483B2 (ja) * 2015-08-25 2019-08-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用のエアー抜き取り治具
JP6593039B2 (ja) * 2015-09-02 2019-10-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およびその折り畳み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211A (ja) * 1983-08-29 1985-03-22 Yokohama Rubber Co Ltd:The 防舷材
JPS60203715A (ja) * 1984-03-28 1985-10-15 Shimizu Constr Co Ltd 浮沈防舷材
JPH05278150A (ja) * 1992-04-03 1993-10-2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93031A (ja) * 1992-12-28 1994-07-12 Yokohama Rubber Co Ltd:The 組み立て型空気式防舷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1111A (en) * 1963-11-12 1965-08-17 Afton Leonard Multi-purpose, inherently biased, selfinflatable bellows
US3727825A (en) * 1971-03-19 1973-04-17 Pamark Inc Plastic container
FR2188628A6 (ko) * 1972-06-14 1974-01-18 Bertin & Cie
US3822662A (en) * 1972-07-24 1974-07-09 Bridgestone Tire Co Ltd Safety device for ship
DE3247759A1 (de) * 1982-12-23 1984-06-28 Luwa AG, Zürich Verformbarer behaelter mit fuellarmatur
SE447402B (sv) * 1985-03-29 1986-11-10 Trelleborg Ab Fender
US4924796A (en) * 1988-04-11 1990-05-15 Nelson A. Taylor Co., Inc. Replaceable inflation valve
JP2879260B2 (ja) * 1990-12-26 1999-04-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製造方法
US5685752A (en) * 1994-01-05 1997-11-11 Fulton, Jr.; Frank B. Compressible and expandable floa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357377B1 (en) * 2000-05-04 2002-03-19 Albert Santelli, Jr. Collapsible impact absorbing device
SE520216C2 (sv) * 2001-10-01 2003-06-10 Metso Minerals Trelleborg Ab Fender
US20030200910A1 (en) * 2002-04-29 2003-10-30 Corlett Edwin H. Self inflating marine fender
JP4748062B2 (ja) * 2004-04-30 2011-08-17 横浜ゴム株式会社 可撓性係留ブイ
JP4909527B2 (ja) 2005-04-13 2012-04-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の折り畳み方法
JP4692583B2 (ja) * 2008-06-16 2011-06-0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
CN201376658Y (zh) * 2009-04-13 2010-01-06 李成光 船舶防撞浮标
US8087371B1 (en) * 2009-09-25 2012-01-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ployable and inflatable fender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1211A (ja) * 1983-08-29 1985-03-22 Yokohama Rubber Co Ltd:The 防舷材
JPS60203715A (ja) * 1984-03-28 1985-10-15 Shimizu Constr Co Ltd 浮沈防舷材
JPH05278150A (ja) * 1992-04-03 1993-10-26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式防舷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93031A (ja) * 1992-12-28 1994-07-12 Yokohama Rubber Co Ltd:The 組み立て型空気式防舷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51459A1 (en) 2013-09-26
EP2644777A4 (en) 2014-04-09
US8992128B2 (en) 2015-03-31
JP4941589B1 (ja) 2012-05-30
CN103228843A (zh) 2013-07-31
EP2644777A1 (en) 2013-10-02
WO2012070351A1 (ja) 2012-05-31
EP2644777B1 (en) 2017-03-29
KR20130072271A (ko) 2013-07-01
CN103228843B (zh) 2014-07-09
JP2012112198A (ja)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170B1 (ko) 공기식 방현재 및 그 반송 방법
JPS61268507A (ja) 重荷重用ラジアルタイヤ
WO2003074297A8 (fr) Armature de sommet avec nappe d’epaule
US20160303915A1 (en) Pneumatic vehicle tire
JP4865259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951983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220410638A1 (en) Truck tire with stiff outer bead products
BRPI0912214A8 (pt) Pneumático para veículo de transporte de cargas pesadas
GB2127361A (en) Pneumatic vehicle tyre
JP2008110624A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00051163A1 (en) Modular ply tire with overlapping plies
DE60231815D1 (de) Reifen für schwerfahrzeug
CN208199414U (zh) 一种罐体及具有其的罐式集装箱
KR101922339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KR102113854B1 (ko) 런플랫 타이어
KR200409493Y1 (ko) 벨트 내구성을 향상시킨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EP3581403B1 (en) Bead reinforcing device for pneumatic tires
KR100826078B1 (ko) 중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KR102254474B1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EP3805021B1 (en) Pneumatic tire
JP4797562B2 (ja) 建設車両用バイアスタイヤ
KR20090002847U (ko) 런플랫 타이어 전용 휠 및 런플랫 타이어
JP200633523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219180B1 (ko) 벨트내구성을 향상시킨 중 하중용 공기입 타이어
KR20210059080A (ko) 공기입 레디알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