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605B1 - 댐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댐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605B1
KR101367605B1 KR1020127004518A KR20127004518A KR101367605B1 KR 101367605 B1 KR101367605 B1 KR 101367605B1 KR 1020127004518 A KR1020127004518 A KR 1020127004518A KR 20127004518 A KR20127004518 A KR 20127004518A KR 101367605 B1 KR101367605 B1 KR 10136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damping device
bypass duct
chamber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0565A (ko
Inventor
뤼도빅 쇼베
아흐누 개테파이으
Original Assignee
트렐레보르그 아우토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렐레보르그 아우토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트렐레보르그 아우토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8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7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 damping device
    • F16F9/0481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 damping device provided in an opening to the exterior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comprising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핑 매체(18)로 채워지고 중간판(11)에 의해 분리된 제 1 및 제 2 챔버(14, 17)를 구비하는 자동차를 위한, 특히,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충격들을 감쇠하기 위한 댐핑 디바이스(10)로서, 챔버들(14, 17)은 벨로스(12, 15) 및 면판(13, 16)에 의해서 각각 구획되고, 챔버들(14, 17)을 연결하는 댐핑 도관(19)은 중간판(11) 내에 제공되는 댐핑 디바이스(10)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엔진(47)의 작동 모드에 따른 댐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두 개의 챔버들(14, 17)이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도관(20)에 의해 연결되고, 바이패스 도관(20)은 전환가능한 밸브(22, 51, 54)에 의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밸브(22, 51, 54)의 전환 상태는 자동차의 작동 모드에 의존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충격들을 감쇠하기 위한 댐핑 시스템(4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댐핑 디바이스{DAMPING DEVICE}
본 발명은 댐핑 매체로 채워지고 중간판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및 제 2 챔버를 구비하는 자동차를 위한, 특히, 자동차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충격들을 감쇠하기 위한 댐핑 디바이스로서, 챔버들은 주름 벨로스(folding bellows) 및 면판에 의해서 각각 구획되고, 챔버들을 연결하는 댐핑 덕트가 중간판 내에 형성된 댐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댐핑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댐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 현대 자동차들은 예를 들어 신호등에서 정지될 때와 같이 필요한 경우 자동차 엔진을 끄는 시동 및 정지 시스템으로 언급되는 것을 흔히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작동 방법은 신호등에서의 정지를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운전자가 신호등에서 멈추고 무부하 모드(idling mode)로 전환하면, 클러치가 풀릴 경우 자동차 엔진은 꺼진다. 출발하기 위해서, 운전자는 클러치를 작동하고, 엔진은 다시 시동된다. 상기 언급된 시동 및 정지 과정에서, 엔진의 심한 충격들이 발생하고, 이것들은 승객실 내에서 느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주행 쾌적성(driving comfort)을 제한한다.
US 6,802,508은 위성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 시작 부분에 언급된 형태의 댐핑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댐핑 디바이스는 중간판 및 각각이 반대 길이방향들로 중간판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두 개의 주름 벨로스를 구비한다. 주름 벨로스의 전면들(front sides)에서, 주름 벨로스는 판에 의해서 닫혀서, 두 개의 작동 챔버들이 형성된다. 두 개의 챔버들은 중간판 내의 덕트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압축성 유체, 특히 공기가 작동 매체로서 사용된다. 댐핑을 위해서, 압축성 유체가 하나의 챔버에서 다른 챔버로 댐핑 덕트를 통해 흐르고, 덕트 내에서 발생하는 마찰의 결과로 댐핑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충격들을 감쇠하고 주행 모드에서 댐핑 효과가 없는 댐핑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두 개의 챔버들이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덕트에 연결되고, 바이패스 덕트는 전환가능한 밸브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밸브의 전환 상태는 자동차의 작동 상태에 의존하는 시작 부분에서 언급된 형태의 댐핑 디바이스가 제안된다.
유리한 개선들은 종속항들의 소재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에서, 댐핑은 엔진의 작동 상태의 기능에 따라 전환 가능한 밸브에 의해 바뀔 수 있다. 제 1 전환 위치에서는 바이패스 덕트가 닫혀서, 배출된 공기는 챔버들 사이에 배치된 댐핑 덕트를 통해 흐른다. 그 결과, 특히, 시동 및 정지 동안에 발생한 충격들이 감쇠된다. 제 2 전환 위치에서는 바이패스 덕트가 열려서, 배출된 공기가 바이패스 덕트를 통해 흐르고, 댐핑 덕트를 통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이러한 전환 위치에서는 어떠한 댐핑도 발생하지 않는다. 주름 벨로스의 낮은 수준의 강성으로 인해, 높은 주파수들에서도 윙윙거리는 소리(humming)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는 주행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유리하게는, 바이패스 덕트는 댐핑 덕트보다 더 큰 단면을 구비한다. 이것은 상기 덕트가 열릴 때 바이패스 덕트를 통해 공기를 안내하고, 그 결과, 주행 모드에서는 어떠한 댐핑도 발생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바이패스 덕트는 중간판 내에 형성된다.
더욱 유리한 개선에서, 바이패스 덕트는 두 개의 챔버들을 주위 환경에 연결한다. 그러므로, 바이패스 덕트는 댐핑 매체가 두 개의 챔버들 밖으로 그리고 주위 환경으로 흐르도록 하고, 그 결과, 댐핑 덕트는 바이패스된다.
다른 개선에서, 바이패스 덕트는 두 개의 챔버들을 서로 연결한다.
또 다른 개선에서, 제 1 바이패스 덕트는 제 1 챔버를 주위 환경에 연결하기 위해 제 1 면판 내에 형성되고, 제 2 바이패스 덕트는 제 2 챔버를 주위 환경에 연결하기 위해 제 2 면판 내에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밸브는 단계적으로(incrementally) 또는 무한 가변 방식(infinitely variable fashion)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밸브로서 구현된다. 따라서, 바이패스 덕트의 단면은 자동차 엔진의 각각의 피칭 주파수(pitching frequency)로 유리하게 조정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밸브는 진공 또는 전자기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한 밸브들은, 한편으로는 비용 효율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구비한다.
다른 유리한 개선에서, 댐핑 유체로서 공기가 사용된다. 공기 베어링들(air bearings)은 댐핑 유체를 충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압 베어링들(hydraulic bearings)보다 더욱 비용 효율적이다.
유리하게는, 주름 벨로스는 댐핑 덕트에 대해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제 1 면판은 제 1 주름 벨로스의 전면에 부착되고, 제 2 면판은 제 2 주름 벨로스의 전면에 부착된다.
유리하게는, 주름 벨로스는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길이를 구비한다. 또한, 유리하게는, 주름 벨로스는 7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의 외부 직경을 구비한다. 주름 벨로스의 직경들로 인해, 유리한 작은 챔버 부피 및 큰 펌핑 영역(pumping area)을 이용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만족스러운 댐핑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주름 벨로스는 서모플라스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또는 서모플라스트(thermoplast, TP)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주름 벨로스는 일정한 재료 특성들에 의해 수반되는 긴 사용기간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충격들을 감쇠하는 댐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 및 자동차 엔진의 작동 상태의 기능에 따라서 댐핑 디바이스의 전환가능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댐핑 디바이스의 전환가능한 밸브는 자동차 엔진의 작동 상태의 기능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서 작동된다.
유리하게는, 전환가능한 밸브는 자동차 엔진의 시동 및 정지 과정 동안에는 닫히고, 주행 모드에서는 열린다. 그러므로, 유리하게는, 자동차 엔진의 시동 및 정지 동안에는 댐핑이 발생하고, 주행 모드에서는 어떠한 댐핑도 발생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이하, 본 발명은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를 통한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연결 요소들이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를 통한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핑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를 통한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의 제 3 실시예를 통한 수평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시동 및 정지 과정 동안에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의 댐핑 및 강도 특성들의 그래프 도면이다.
도 7은 주행 모드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의 댐핑 및 강도 특성들의 그래프 도면이다.
도 1은 가로로 설치되고 시동/정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충격들을 감쇠하기 위해 제공되는 댐핑 디바이스(10)를 나타낸다. 댐핑 디바이스(10)는 중간판(11), 제 1 주름 벨로스(12), 제 1 면판(13), 제 2 주름 벨로스(15) 및 제 2 면판(16)을 구비한다. 주름 벨로스(12, 15)는 제 1 단부 영역에서 중간판(11)에 연결된다. 제 2 단부 영역에는 면판(13, 16)이 제공된다.
중간판(11), 제 1 주름 벨로스(12) 및 제 1 면판(13)은 제 1 작동 챔버(14)를 형성한다. 중간판(11), 제 2 주름 벨로스(15) 및 제 2 면판(16)은 제 2 작동 챔버(17)를 형성한다. 두 개의 작동 챔버들(14, 17)은 중간판(11) 내에 형성되는 댐핑 덕트(19)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댐핑 매체(18), 특히, 공기가 작동 챔버들(14, 17) 내에 위치된다. 또한, 주위 환경(surroundings)에 제 1 챔버(14) 및 제 2 챔버(17)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덕트(20)가 중간판(11) 내에 형성된다. 바이패스 덕트(20)는 댐핑 덕트(19)보다 더 큰 직경을 구비한다.
중간판(11)은 금속 재료로 구성되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주름 벨로스(12, 15)는 서모플라스틱 엘라스토머(TPE) 또는 서모플라스트(TP)로 구성되고, 5㎜ 내지 20㎜의 길이 및 70㎜ 내지 100㎜의 외부 직경을 구비한다. 면판들(13, 16) 또한 금속 재료로 구성되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챔버들(14, 17)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름 벨로스들(12, 15)는 댐핑 덕트(19)에 대해 동축으로 중간판으로부터 멀리 연장하고, 주름 벨로스들(12, 15)는 반대 방향들로 연장한다. 주름 벨로스(12, 15)의 열린 전면들(open front sides)은 면판(13, 16)으로 각각 닫힌다. 주름 벨로스(12, 15)를 중간판(11) 및 각각의 면판들(13, 16)에 연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접착과 같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연결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전환가능한 밸브(22)가 댐핑 디바이스(10)의 중간판(11)에 부착된다. 전환가능한 밸브(22)는 진공에 의한 공지된 방식 또는 전자기로 전환될 수 있는 작동 요소(23)를 구비한다. 작동 요소(23)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화살표(24)에 의해 도시된 것과 같이 바이패스 덕트(20)를 열거나 닫는다. 또한, 밸브는 단계적으로 또는 무한 가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제로(zero)와 최대 단면 사이에 단계적으로 또는 무한 가변 방식으로 바이패스 덕트(20)의 덕트 단면을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댐핑 디바이스(10)는 최적의 방식으로 자동차 엔진(47)의 피칭 주파수로 조정될 수 있다.
도 1은 바이패스 덕트(20)가 작동 요소(23)에 의해 닫힌 제 1 전환 위치의 댐핑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이것은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동안에 전환된 상태에 대응한다.
도 2는 바이패스 덕트(20)가 열린 제 2 전환 위치의 댐핑 디바이스(10)를 나타낸다. 이러한 전환 위치에서, 배출된 공기는 바이패스 덕트(20)를 통해 주위 환경으로 흘러서, 어떠한 댐핑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2는 자동차 엔진(47) 및 자동차의 차체에 댐핑 디바이스(1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디바이스(30)를 도시한다. 부착 디바이스(30)는 댐핑 디바이스(10)의 중간판(11)을 자동차 엔진(47)에 연결하는 엔진 측 연결 요소(31) 및 댐핑 디바이스(10)를 자동차의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휠 하우스 측(wheel-house-side) 연결 요소(32)를 구비한다. 휠 하우스 측 연결 요소(32)는 면판들(13, 16) 중 하나에 각각 연결되어서, 댐핑 디바이스(10) 둘레에 맞물린다.
도 3은 댐핑 시스템(4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댐핑 시스템(40)은 댐핑 디바이스(10), 제어 디바이스(41), 제어 디바이스(41)를 전환가능한 밸브(22)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트랜스미션 디바이스 및 자동차 엔진(47)을 제어 디바이스(41)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트랜스미션 디바이스(46)를 구비한다. 댐핑 시스템(40) 내로 탬핑 디바이스(10)를 통합시키기 위해서, 댐핑 디바이스(10)는 (보다 상세하게 정의되지 않은) 엔진 베어링(44)에 연결되는 엔진 홀더(45)에 엔진 측 연결 요소(31)를 통해 연결되고, 휠 하우스 측 연결 요소(32)를 통해 휠 하우스(43)에 연결된다.
이하, 댐핑 시스템(40)의 작동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가로로 설치된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과정 동안에, 자동차 엔진(47)은 자동차의 가로 축 둘레로 피칭 운동(pitching movement)을 수행한다. 이것이 시동 및 정지 과정이라는 정보가 제 2 트랜스미션 디바이스(46)에 의해서 제어 디바이스(41)로 전달된다. 상기 정보는 전환가능한 밸브(22)가 제 1 트랜스미션 디바이스(42)를 통해 작동되어서 작동 요소(23)가 바이패스 덕트(20)를 닫도록 제어 디바이스(41) 내에서 처리된다. 그 결과, 댐핑 디바이스(10)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자동차 엔진(47)의 피칭 운동들은 엔진 측 연결 요소(31)로 차례로 전달되고, 그 결과, 중간판(11)은 도 2의 이중 화살표(25)로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인다. 중간판(11)의 움직임의 결과, 댐핑 유체(18)는 댐핑 덕트(19)를 통해 하나의 챔버(14)에서 다른 챔버(17)로 번갈아 흐른다. 댐핑 덕트(19)의 작은 단면으로 인해, 댐핑 효과를 초래하는 마찰 효과가 발생된다.
주행 모드에서, 전환가능한 밸브(2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 요소(23)가 바이패스 덕트(20)를 열도록 제 1 트랜스미션 디바이스(42)의 도움으로 작동된다. 그러므로, 주행 모드 동안에 발생하는 자동차 엔진(47)의 피칭 운동들은 감쇠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원인은, 한편으로는 두 개의 작동 챔버들(14, 17) 내에 존재하는 댐핑 매체(18)가 바이패스 덕트(20)를 통해 주위 환경으로 방출되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주름 벨로스(12, 15)가 낮은 정적 기본 강성(low static basic rigidity)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주행 모드 내의 윙윙거리는 소리를 없애는 동시에 주행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바이패스 덕트(20)가 챔버들(14, 17)을 서로 연결하고 바이패스 덕트(20)는 작동 요소(23)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는 점에서 도 1 및 2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10)와 다른 댐핑 디바이스(10)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댐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바이패스 덕트(20)가 작동 요소(23)의 도움으로 닫힌다. 주행 모드에서 어떠한 댐핑 효과도 만들지 않기 위해서, 작동 요소(23)는 바이패스 덕트(20)를 여는 위치로 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10)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10)는 바이패스 덕트(50, 53)가 면판(13, 16) 내에 형성되고 각각의 바이패스 덕트(50, 53)는 전환가능한 밸브(51, 54)에 의해서 각각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는 점에서 두 개의 다른 실시예들 각각의 경우와 다르다. 제 1 바이패스 덕트(50)는 제 1 면판(13) 내에 형성되고, 제 1 전환가능한 밸브(51)는 제 1 면판(13) 상에 형성되며, 제 1 전환가능한 밸브(51)의 제 1 작동 요소(52)는 제 1 바이패스 덕트(50)를 닫거나 연다. 제 2 전환가능한 밸브(51)의 제 2 작동 요소(55)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제 2 바이패스 덕트(53)는 제 2 면판(16) 상에 형성된다. 제 1 전환가능한 밸브(51) 및 제 2 전환가능한 밸브(54) 모두는 트랜스미션 디바이스(42)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41)에 연결된다. 댐핑 효과를 유발하기 위해서, 제 1 바이패스 덕트(50) 및 제 2 바이패스 덕트(53) 모두는 작동 요소들(52, 55)의 도움으로 닫힌다. 어떠한 댐핑 효과도 만들지 않기 위해서, 두 바이패스 덕트들(50, 53)은 열린다.
두 실시예들 및 부착 디바이스(30)의 작동 방법은 제 1 실시예의 작동 방법에 대응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제공되지 않는다.
도 6 및 7은 밸브(22)의 다양한 전환 위치들 내의 댐핑 디바이스(10)의 댐핑 및 강성 특성들을 나타낸다. 동적 강성(dynamic rigidity)의 도표 및 손실각(loss angle)의 도표가 여기에 도시된다.
도 6은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과정 동안에 ±4㎜의 진폭 및 ±1.5㎜의 덕트 직경이 제공된 댐핑 디바이스(10)의 댐핑 및 강성 특성들을 도시한다. 이러한 덕트 직경은 댐핑 덕트(19)의 직경에 대응한다. 여기서, 손실각은 대략 6Hz의 주파수에서 최대이고,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떨어진다는 것이 명확하다. 그러므로, 높은 수준의 댐핑은 큰 진폭들 및 낮은 주파수들에서 발생한다. 손실각과 반대로, 동적 강성은 낮은 주파수들 및 큰 진폭들에서 작고,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한다. 이것은 높은 주파수들에서의 베어링의 경화(hardening)에 대응한다.
도 7은 ±0.05㎜의 진폭의 주행 모드 동안에 15㎜의 덕트(댐핑 덕트(19) 및 바이패스 덕트(20)) 직경을 가진 댐핑 디바이스(10)의 댐핑 특성들을 나타낸다. 이것으로부터, 열린 바이패스 덕트(20)로 인한 손실각은 대략 제로이고, 동적 강성은 60 N/㎜의 값을 가진다는 것이 명확하다. 따라서, 댐핑 디바이스(10)는 전환 상태로 매우 부드러운 트랜스미션 이동만을 구비하며, 주행 모드에 있는 운전자에 의해 어떠한 윙윙거리는 소리도 인지될 수 없다.
상기 설명된 댐핑 디바이스(10)에서, 전환가능한 밸브(22)의 도움으로 자동차 엔진(47)의 작동 상태의 기능에 따라서 댐핑이 바뀔 수 있다. 시동 및 정지 과정 동안에, 바이패스 덕트(20)는 닫히고, 그 결과, 댐핑이 발생한다. 주행 모드에서, 바이패스 덕트는 열리고, 그 결과, 어떠한 윙윙거리는 소리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댐핑 디바이스(10)는 주행 쾌적성을 증가시킨다.
10 댐핑 디바이스 11 중간판
12 제 1 주름 벨로스 13 제 1 면판
14 제 1 작동 챔버 15 제 2 주름 벨로스
16 제 2 면판 17 제 2 작동 챔버
18 댐핑 매체 19 댐핑 덕트
20 바이패스 덕트 22 전환가능한 밸브
23 작동 요소 24 이중 화살표
25 이중 화살표 30 부착 디바이스
31 엔진 측 연결 요소 32 휠 하우스 측 연결 요소
40 댐핑 시스템 41 제어 디바이스
42 제 1 트랜스미션 디바이스 43 휠 하우스
44 엔진 베어링 45 홀더
46 제 2 트랜스미션 디바이스 47 자동차 엔진
50 제 1 바이패스 덕트 51 제 1 전환가능한 밸브
52 제 1 작동 요소 53 제 2 바이패스 덕트
54 제 2 전환가능한 밸브 55 제 2 작동 요소

Claims (16)

  1. 댐핑 매체(18)로 채워지고 중간판(11)에 의해 분리되는 제 1 및 제 2 챔버들(14, 17)을 구비하는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충격들을 감쇠하기 위한 자동차용 댐핑 디바이스(10)로서,
    챔버들(14, 17)은 주름 벨로스(12, 15) 및 면판(13, 16)에 의해서 각각 구획되고, 챔버들(14, 17)을 연결하는 댐핑 덕트(19)가 중간판(11) 내에 형성되며,
    두 개의 챔버들(14, 17)이 적어도 하나의 바이패스 덕트(20)에 연결되고, 바이패스 덕트(20)는 전환가능한 밸브(22, 51, 54)에 의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으며, 밸브(22. 51, 54)의 전환 상태는 자동차의 작동 상태에 의존하고,
    바이패스 덕트(20)는 시동 및 정지 과정 동안에 닫히고, 주행 모드에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2. 제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덕트(20)는 댐핑 덕트(19)보다 더 큰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3. 제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덕트(20)는 중간판(11)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4. 제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덕트(20)는 두 개의 챔버들(14, 17)을 주위 환경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5. 제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 덕트(20)는 두 개의 챔버들(14, 17)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6. 제1항에 있어서,
    제 1 바이패스 덕트(50)는 제 1 챔버(14)를 주위 환경에 연결하기 위해 제 1 면판(13) 내에 형성되고, 제 2 바이패스 덕트(53)는 제 2 챔버(17)를 주위 환경에 연결하기 위해 제 2 면판(16)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7. 제1항에 있어서,
    밸브(22, 51, 54)는 단계적으로 또는 무한 가변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밸브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8. 제1항에 있어서,
    밸브(22, 51, 54)는 진공 또는 전자기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9. 제1항에 있어서,
    댐핑 매체(18)로서 공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10. 제1항에 있어서,
    주름 벨로스(12, 15)는 댐핑 덕트(19)에 대해서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11. 제1항에 있어서,
    제 1 면판(13)은 제 1 주름 벨로스(12)의 전면에 부착되고, 제 2 면판(16)은 제 2 주름 벨로스(15)의 전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12. 제1항에 있어서,
    주름 벨로스(12, 15)는 5㎜ 내지 20㎜의 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13. 제1항에 있어서,
    주름 벨로스(12, 15)는 70㎜ 내지 100㎜의 외부 직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14. 제1항에 있어서,
    주름 벨로스(12, 15)는 서모플라스틱 엘라스토머(TPE) 또는 서모플라스트(TP)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디바이스(1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댐핑 다비이스(10) 및 자동차 엔진(47)의 작동 상태의 기능에 따라서 댐핑 디바이스(10)의 전환가능한 밸브(22, 51, 5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41)로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충격들을 감쇠하는 댐핑 시스템(40).
  16. 제15항에 있어서,
    전환가능한 밸브(22, 51, 54)는 자동차 엔진(47)의 시동 및 정지 과정 동안에는 닫히고, 주행 모드에서는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시스템(40).
KR1020127004518A 2009-07-24 2010-07-12 댐핑 디바이스 KR101367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34677A DE102009034677B4 (de) 2009-07-24 2009-07-24 Dämpfungseinrichtung
DE102009034677.5 2009-07-24
PCT/EP2010/060000 WO2011009752A1 (de) 2009-07-24 2010-07-12 Dämpfungs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565A KR20120080565A (ko) 2012-07-17
KR101367605B1 true KR101367605B1 (ko) 2014-02-25

Family

ID=4282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518A KR101367605B1 (ko) 2009-07-24 2010-07-12 댐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152670A1 (ko)
EP (1) EP2456998B1 (ko)
JP (1) JP2013500436A (ko)
KR (1) KR101367605B1 (ko)
DE (1) DE102009034677B4 (ko)
PL (1) PL2456998T3 (ko)
WO (1) WO2011009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3971B4 (de) 2016-07-28 2019-01-31 Vibracoustic Gmbh Motorabstützungsvorrichtung
DE102016223707A1 (de) * 2016-11-29 2018-05-30 Audi Ag Lageranordnung für ein Fahrzeug sowi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olchen Lageranordnung
JP6900908B2 (ja) * 2018-01-09 2021-07-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JP7027920B2 (ja) * 2018-02-01 2022-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12259A (fr) * 1954-10-06 1956-03-12 Suspension à membranes et air comprimé
JPS5476778A (en) * 1977-11-30 1979-06-19 Nihon Plast Co Ltd Bellows type double acting actuator
JPH028619U (ko) * 1988-07-01 1990-01-19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1523A (en) * 1962-05-10 1964-07-21 Robert J Dickie Vibration damper
US3243154A (en) * 1964-04-03 1966-03-29 Hugh L Dryden Vibration damping system
US3459395A (en) * 1967-08-16 1969-08-05 Ambac Ind Shock isolating means
US3752270A (en) * 1971-12-29 1973-08-14 J Valdespino Shock absorber structure including flexible bladder means
DE2406835A1 (de) * 1974-02-13 1975-08-14 Gold Henning Dipl Ing Federungs- und daempf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fahrzeuge
DE2736188C3 (de) * 1977-08-11 1981-05-14 Audi Nsu Auto Union Ag, 7107 Neckarsulm Gummilager mit hydraulischer Dämpfung
JPS57147925A (en) * 1981-03-11 1982-09-13 Honda Motor Co Ltd Engine suspension device
US4516545A (en) * 1983-04-15 1985-05-14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rolling of an engine
DE3436664A1 (de) 1983-10-07 1985-05-02 Bridgestone Corp., Tokio/Tokyo Membran-luftfeder
FR2553536B1 (fr) * 1983-10-13 1985-12-27 Aerospatiale Procede et dispositif pour reguler le mouvement d'un organe par mise en oeuvre d'un ecoulement fluide
US4572488A (en) * 1983-12-08 1986-02-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Low temperature rate controller
DE3421135A1 (de) * 1984-06-07 1985-12-12 Audi AG, 8070 Ingolstadt Hydraulisches motorlager
JPS6448635U (ko) * 1987-09-19 1989-03-27
GB8730005D0 (en) * 1987-12-23 1988-02-03 Avon Ind Polymers Hydraulically damped mounting device
DE3827329A1 (de) * 1988-08-09 1990-02-15 Mannesmann Ag Drehmomentabstuetzung fuer auf wellenzapfen reitende antriebe, insbesondere fuer konverterkippantriebe
JPH03234938A (ja) * 1989-08-25 1991-10-18 Bridgestone Corp 振動減衰装置
FR2675871B1 (fr) * 1991-04-29 1995-02-17 Hutchinson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dispositifs antivibratoires hydrauliques.
US5332070A (en) * 1993-04-21 1994-07-26 Honeywell Inc. Three parameter viscous damper and isolator
DE4401770A1 (de) * 1994-01-24 1995-08-03 Fichtel & Sachs Ag Selbstpumpendes Ferderbein mit Niveauregelung
DE19507947A1 (de) * 1994-03-08 1995-09-14 Transuport Corp Gelenkverbindungsmechanismus und ein Universalarmmittel für die Verwendung des Mechanismus
JPH0925986A (ja) * 1995-07-14 1997-01-28 Nok Megurasutikku Kk 液体封入式マウント
JP3425726B2 (ja) * 1996-07-25 2003-07-14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エンジンの防振支持装置
US6082508A (en) * 1997-04-23 2000-07-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neumatic damping strut
US5979882A (en) * 1997-11-22 1999-11-09 Honeywell Inc. Direct fluid shear damper
EP1188000B1 (de) * 1998-12-03 2005-02-09 Vibracoustic GmbH & Co. KG Luftfedersystem
JP2001277865A (ja) * 2000-03-30 2001-10-10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支持装置
US6561500B2 (en) * 2001-03-07 2003-05-1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Hydro-damped air spring
DE10223405B4 (de) * 2002-05-25 2007-01-11 Daimlerchrysler Ag Luftfed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60581B4 (de) * 2005-12-17 2015-09-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Luftfeder- und Dämpfereinheit mit vorgesteuertem Hauptventil
JP2007253251A (ja) * 2006-03-20 2007-10-04 Max Co Ltd 打ち込み工具のフック装置
FR2926122A1 (fr) * 2008-01-03 2009-07-10 Hutchinson Sa Amortisseur de vibrations notamment pour structure aerospatia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12259A (fr) * 1954-10-06 1956-03-12 Suspension à membranes et air comprimé
JPS5476778A (en) * 1977-11-30 1979-06-19 Nihon Plast Co Ltd Bellows type double acting actuator
JPH028619U (ko) * 1988-07-01 1990-01-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9752A1 (de) 2011-01-27
EP2456998B1 (de) 2015-09-09
DE102009034677A1 (de) 2011-02-03
DE102009034677B4 (de) 2013-10-31
US20120152670A1 (en) 2012-06-21
EP2456998A1 (de) 2012-05-30
KR20120080565A (ko) 2012-07-17
PL2456998T3 (pl) 2016-02-29
JP2013500436A (ja)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53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KR100451448B1 (ko) 유압식 베어링
JP2799448B2 (ja) 液圧減衰式エンジンマウント
KR101367605B1 (ko) 댐핑 디바이스
JPH0419436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US9074653B2 (en) Multistate switchable engine mount and system
KR101288997B1 (ko) 스위칭 엔진 마운트 장치
JPH0460231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US20160223048A1 (en) Vibration-damping device
JP2001523788A (ja) 音減衰ユニット用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7038909A (ja) トルクロッド
JP2009047155A (ja) 吸気音調節装置
CN113464595A (zh) 用于车辆的发动机悬置
JP2008106927A (ja) 防振装置
KR20190016027A (ko) 하이드로 마운트
JP4590290B2 (ja) 車両用防振支持装置
US10458510B2 (en) Pneumatically tuned vehicle powertrain mounts
JP5330707B2 (ja) 産業機械の防振装置
KR101987538B1 (ko) 차량용 세미 액티브 엔진 마운트
JPH0392639A (ja) ルーフ着脱式車両塔載用防振装置
JP5060971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とその作動制御方法
US11473642B2 (en) Vibration damper valve assembly with switchable bypass
JP5464911B2 (ja) 防振装置
KR100931132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JP4173085B2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