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517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517B1
KR101367517B1 KR1020097013762A KR20097013762A KR101367517B1 KR 101367517 B1 KR101367517 B1 KR 101367517B1 KR 1020097013762 A KR1020097013762 A KR 1020097013762A KR 20097013762 A KR20097013762 A KR 20097013762A KR 101367517 B1 KR101367517 B1 KR 101367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ristle bundle
bristle
bundle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710A (ko
Inventor
테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ires or other anchoring means, specially for U-shaped bristl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84Bristles having round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92Bristles having split en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의 다양한 기능의 요구에 적합하고, 외관으로도 그 요구 효과를 이해할 수 있고, 게다가 설계 자유도가 높은 칫솔을 제공한다. 식모면(12a)에 복수의 식모구멍(16)이 마련된 헤드부(12)를 구비하고, 칫솔모의 모속(13)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15)을 식모구멍(16)에 타입함에 의해, 모속(13)이 식모구멍(16)에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모속(13)에 의해 구성된 모속군(20)이 마련되고, 모속군(20)을 구성하는 각 모속(13)의 평선(15) 방향은, 각각의 평선(15)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포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 또는 평선의 연장선에 끼워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모의 모속(毛束)을 2개로 접어 사이에 평선(平線)을 끼우고 식모구멍(植毛穴)에 식설(植設)한 칫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6년 12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06-356539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칫솔의 기본 기능으로서는, 구강 내의 세정 효과나 마사지 효과 등이 있다. 칫솔은, 그 기본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치간(齒間) 진입성이나, 세정 실감(實感), 마사지성 등을 부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칫솔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식모구멍의 배치나 형상, 칫솔모의 종류나 형상, 모속의 모절(毛切) 형상 등을 복잡하게 조합시킨 사양이 일반적으로 유효하다.
그러나, 칫솔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이라고 불리는 빠짐방지구(具)를 끼우고 식모구멍에 고정하는 평선식모법의 경우, 헤드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인접하는 식모구멍 사이의 간격, 및, 헤드부의 언저리(緣)부터 최외주의 식모구멍까지 거리를 일정 이상 확보할 필요가 있고, 식모구멍의 복잡한 패턴 배치를 구현화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형상이 다른 복수의 식모구멍, 칫솔모 의 종류나 형상, 모속의 모절 형상 등을 조합시킨 경우에도, 식모 공정을 복수회로 나누어서 행하게 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나 비용의 점에서 과제가 많다.
특허문헌1 : 특개2001-29137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고, 그 목적은, 구강 내의 세정 효과나 마사지 효과, 치간 진입성, 양치감(brushing effect), 마사지성 등 칫솔의 다양한 기능의 요구에 적합하고, 외관으로도 그 요구 효과를 이해할 수 있고, 게다가 설계 자유도가 높은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에 관한 발명은, 식모면에 복수의 식모구멍이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칫솔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상기 식모구멍에 타입(打入)함에 의해, 상기 모속이 상기 식모구멍에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모속에 의해 구성된 모속군이 마련되고,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각 모속의 평선의 방향은, 각각의 평선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포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 또는 각각의 평선의 연장선에 끼워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다.
또한, 제 2의 양태에 관한 발명은,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이, 상기 평선을 끼우고 분할되는 식모구멍의 한쪽의 영역에 식설된 제 1의 반모속(半毛束)과, 다른쪽의 영역에 식설된 제 2의 반모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반모속의 어느 한쪽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의 양태의 칫솔이다.
또한, 제 3의 양태에 관한 발명은, 상기 제 1의 반모속과 상기 제 2의 반모속이, 상기 평선을 끼우고 칫솔모의 길이, 칫솔모의 굵기, 칫솔모의 선단(先端) 형상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또는 제 2의 양태의 칫솔이다.
또한, 제 4의 양태에 관한 발명은,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상기 모속군이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제 3의 양태의 어느 하나의 칫솔이다.
또한, 제 5의 양태에 관한 발명은, 상기 복수의 모속군중, 인접하는 모속군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을 공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의 양태의 칫솔이다.
또한, 제 6의 양태에 관한 발명은, 상기 모속군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이 식설되어 있고, 그 모속의 평선의 방향은, 그 평선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의 식모구멍이 위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제 5의 양태의 어느 하나의 칫솔이다.
또한, 제 7의 양태에 관한 발명은,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중, 적어도 일부의 모속의 식모구멍이 연속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제 6의 양태의 어느 하나의 칫솔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칫솔에서는, 상술한 모속군을 헤드부의 식모면에 마련함으로써, 구강 내의 세정 효과나 마사지 효과, 치간 진입성, 세정 실감, 마사지성 등 칫솔의 다양한 기능의 요구에 적합하고, 외관으로도 그 요구 효과를 이해할 수 있고, 게다가 설계 자유도가 높은 식모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의 형태를 반모속 단위로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모속의 형태를 모속(식모구멍) 단위로 다르게 하는 경우보다도, 보다 변화가 풍부한 식모 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목적 용도에 따른 칫솔로서 고기능화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식모 공정도 복잡화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나 비용의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칫솔에서는, 모속군을 구성하는 각 모속의 평선의 방향이나, 모속군의 내측에 위치하는 모속의 평선의 방향을 상기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식모구멍에 평선을 타입한 때의 갈라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식모구멍 사이의 간격도 좁힐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밀집한 모속군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식모구멍 사이의 간격, 및, 헤드부의 언저리로부터 최외주의 식모구멍까지 거리를 일정 이상 확보한 비교적 단순한 식모구멍의 패턴 배치라 하여도, 상술한 식모 형태의 변화가 풍부한 칫솔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칫솔의 헤드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칫솔의 헤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5E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5F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G는 본 발명의 모속군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식모구멍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그 식모 전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식모구멍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그 식모 후의 평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식모구멍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칫솔의 헤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A는 칫솔모의 선단 형상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8B는 칫솔모의 선단 형상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8C는 칫솔모의 선단 형상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 8D는 칫솔모의 선단 형상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칫솔 11 : 핸들부
12 : 헤드부 12a : 식모면
13 : 모속 13a : 제 1의 반모속
13b : 제 2의 반모속 14 : 칫솔모
15 : 평선 16 : 식모구멍
20, 21, 30, 40, 50, 60, 80, 90, 100 : 모속군
70 : 헤드부 71, 72 : 모속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은, 특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편의상 특징으로 되는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각 구성 요소의 치수 비율 등이 실제와 같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 또한, 경우에 따라 칫솔모의 도시를 생략하고, 칫솔모의 모속이 식모되는 식모구멍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칫솔(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칫솔(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척형상의 핸들부(11)와, 이 핸들부(11)의 선단에 핸들부(11)와 일체로 성형된 헤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부(11)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고, 헤드부(12)에는, 복수의 모속(13)이 식모되어 있다.
핸들부(11) 및 헤드부(1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프로피온산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ABS(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등의 합성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핸들부(11)에는, 또한 일래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를 부분적 또는 전체에 형성하여, 파지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또한, 핸들부(11) 및 헤드부(12)의 형상이나, 크기, 디자인 등도,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칫솔(1)은, 핸들부(11)와 헤드부(12)를 별체로 성형한 것이라도 좋다.
모속(13)은,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칫솔모(필라멘트)(14)를 묶어서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15)이라고 불리는 빠짐방지구를 끼우고 헤드부(12)의 1면(식모면)(12a)에 마련된 식모구멍(16)에 타입함에 의해 식설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는, 복수의 식모구멍(16)이 마련되고, 이들 식모구멍(16)의 하나 하나에 칫솔모(14)의 모속(13)이 식설되어 있다.
모속(13)은, 통상은 복수개의 칫솔모(14)를 개략 원형 형상으로 묶은 것을 이용하지만, 이와 같은 개략 원형 형상으로 묶은 것으로 한하지 않고, 개략 삼각형이나 개략 사각형 등의 개략 다각형 형상으로 묶어도 좋고, 또한, 개략 타원 형상이나, 개략 장원 형상, 개략 직사각형 형상, 개략 다각형 형상 등 장경과 단경이 다른 형상으로 묶은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칫솔모(14)의 재료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예 : 6-12나일론, 6-10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 폴리프로필렌), 일래스토머(예 :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지 재료를 복수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심지와 칼집 구조 등과 같이, 심지부(芯部)와 칼집부에서 다른 수지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칫솔모(14)의 횡단면 형상은, 통상은 원형이지만, 그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별형(星形), 3잎의 클로버형, 4잎의 클로버형 등 칫솔(1)의 목적 용도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칫솔모(14)의 형상에 관해서는, 모선(毛先)의 둥근부(丸部)를 제외하고 외경이 거의 동일한 것을 이용하여도 좋고, 모선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외경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의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칫솔모(14)의 선단 형상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8A 주걱모양, 도 8B 테이퍼형상, 도 8C 공모양(球狀), 도 8D 끝이 갈라진 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칫솔모(14)의 털길이(毛丈)는, 헤드부(12)의 식모면(12a)으로부터, 어른용으로 8㎜ 내지 13㎜, 아동용으로 6㎜ 내지 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모(14)의 굵기(최대경)는, 구강 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에서, 0.12㎜ 내지 0.2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양치감, 세정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칫솔모를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평선(15)은, 식모구멍(16)의 중심부를 통과하고, 또한, 식모구멍(16)을 넘어가도록 식모구멍(16)에 타설(打設)되어 있다. 평선(15)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황동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들 수 있고, 그 밖에도 경질 플라스틱이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평선(15)은, 그 길이가 식모구멍(16)의 직경보다 크고, 그 폭이 식모구멍(16)의 깊이보다도 작다. 또한, 평선(15)의 길이나 폭, 두께에 관해서는, 모속(13)이나 식모구멍(16)에 맞추어서 임의로 조정하면 좋다. 특히, 평선(15)의 두께를 조절함에 의해, 모속(13)을 식모구멍(16) 내에 확실하게 고정하고 공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평선(15)은, 식모구멍(16)으로부터의 빠짐을 막기 위해, 식모구멍(16)의 양측에서 비어져 나온 부분의 길이의 합계가 0.3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는, 통상은 헤드부(12)의 길이 방향이나 폭방향에 있어서, 원형의 식모구멍(16)이 격자형상이나 지그재그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나열하여 배치되는데, 식모구멍(16)의 배치나 간격, 그들의 조합 등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식모구멍(16)의 깊이는, 2.8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모구멍(16)의 횡단면 형상은, 상술한 칫솔모(14)를 묶은 모속(13)의 형상에 맞추어서 통상은 원형이지만, 그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칫솔모(14)를 묶은 모속(13)의 형상에 맞추어서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 3개의 모속(13)에 의해 구성된 모속군(20)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모속군(20)을 구성하는 각 모속(13)의 평선(15) 방향은, 도 4A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평선(15)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삼각형의 포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모속군(20)을 구성하는 모속(13)은, 평선(15)을 끼우고 분할되는 식모구멍(16)의 한쪽의 영역에 식설된 제 1의 반모속(13a)과, 다른쪽의 영역에 식설된 제 2의 반모속(13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3개의 모속(13)의 평선(15)에 의해 구획된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각각의 모속(13)의 제 1의 반모속(13a)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모속(13)의 선단에는,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 사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의 반모속(13a)은, 제 2의 반모속(13b)보다 칫솔모(14)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 사이에서 칫솔모(14)의 길이를 다르게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평선(15)을 끼우고 2개로 접힌 칫솔모(14)의 꺾어 되돌리는 위치를 변경하면 좋다.
또한,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과의 칫솔모(14)의 길이차(丈差)는, 0.5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길이차가 0.5㎜ 미만이면, 칫솔모(14)의 길이를 다르게 함에 의한 기능적 및 시각적 효과가 불충분하게 된다. 한편, 이 길이차가 2.0㎜를 초과하면, 구강 내에서의 칫솔(1)의 조작성이 나빠진다.
이상과 같은 3개의 모속(13)에 의해 구성된 모속군(20)에서는, 그 중심부를 향하여각 모속(13)의 제 1의 반모속(13a)이 서로 인접하는 식모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제 2의 반모속(13b)보다도 털길이가 긴 제 1의 반모속(13a)이 서로 떠받치면서, 이 모속군(20)의 중심부로부터 주위의 제 2의 반모속(13b)보다도 상방으로 개략 삼각기둥형상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직경 1.6㎜의 원형의 식모구멍(16)이 지그재그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모속군(20)을 하나의 구성 단위로 하여, 복수의 모속군(20)이 식모면(12a)의 전면(全面)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상기 모속군(20)을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 마련함으로써, 상술한 원형의 식모구멍(16)을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하고, 또한, 헤드부(12)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인접하는 식모구멍(16) 사이의 간격, 및, 헤드부(12)의 언저리로부터 최외주의 식모구멍(16)까지 거리를 일정 이상 확보한 비교적 단순한 식모구멍(16)의 패턴 배치이면서, 복잡한 특징있는 식모 형태로 할 수 있다. 특히, 치간 진입성과 양치감을 겸비한 칫솔(1)로서 고기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모속군(20)을 구성하는 각 모속(13)의 평선(15) 방향을 각각의 평선(15)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포위 영역을 구획하 는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식모구멍(16)에 평선(15)을 타입한 때의 갈라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식모구멍(16) 사이의 간격도 좁힐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밀집한 모속군(20)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속군(20)을 구성하는 모속(13)중, 인접하는 모속(13)이 식설된 식모구멍(16) 사이의 간격(식모구멍 사이의 최내(最內) 거리)은, 헤드부(12)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라면, 보다 좁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6 내지 1.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간격이 0.6㎜ 미만이면, 헤드부(12)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한편, 이 간격이 1.0㎜를 초과하면, 모속군(20)을 구성하는 각 모속(13)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게 되어 버리고, 상술한 복잡한 특징있는 식모 형태로서의 기능이 저하되어 버린다. 특히, 도 4A에 도시하는 모속군(20)인 경우, 상술한 각 모속(13)의 제 1의 반모속(13a)에 의해 형성된 첨단 부분이 하나가 좁은 치간에 진입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치간 진입성 및 양치감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식모구멍(16)의 직경은, 1.6㎜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구멍(16)의 직경이 1.6㎜ 미만이면,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 대한 1모속군(20)의 상기 포위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이 너무 작아져 버리고, 상술한 복잡한 특징있는 식모 형태로서의 기능이 저하되어 버린다.
한편, 도 4C에 도시하는 모속군(22)과 같이, 이 모속군(22)을 구성하는 각 모속(13)의 평선(15) 방향을 각각의 평선(15)의 연장선이 모속군(22)의 내측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식모구멍(16)에 평선(15)을 타입한 때에, 이 모속군(22)의 내측에서 서로의 평선(15)이 너무 근접하여 버리기 때문에, 이 내측부분에 갈라짐이 생길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또한, 도 4D에 도시하는 모속군(23)과 같이, 이 모속군(23)을 구성하는 모속(13)의 형태를 모속(식모구멍) 단위로 다르게 한 경우에는, 식모구멍(16)의 배열이 복잡하게 되고, 식모구멍(16)의 수도 증가하여 버리기 때문에, 보다 밀집한 모속군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헤드부(12)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도 있다. 또한, 한번의 모절(毛切) 공정으로는, 도 4A에 도시하는 모속군(20)과 동등한 식모 형태로 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나 비용도 악화되어 버린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칫솔(1)과 동등한 부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도면에서 같은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칫솔(1)에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모속군(21)과 같이, 3개의 모속(13)의 평선(15)에 의해 구획된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 각각의 모속(13)의 제 2의 반모속(13b)이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의 어느 한쪽을 배치하면 좋다.
또한,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은, 상술한 칫솔모(14)의 길이를 다르게 한 형태 이외에도, 칫솔모(14)의 굵기나 칫솔모(14)의 선단 형상 등을 다르게 한 형태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모속군(20)에 있어서, 다시 제 2의 반모속(13b)보다도 털길이가 긴 제 1의 반모속(13a)의 선단을 테이퍼형상이라고 한 경우에는, 더한층의 치간 진입성과 양치감을 겸비한 칫솔(1)로서 고기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의 수에 관해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이면 좋고, 칫솔의 목적 용도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모속(13)에 의해 모속군(30)을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개의 모속(13)에 의해 모속군(4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모속군(30, 40)을 구성하는 각 모속(13)의 평선(15) 방향은, 각각의 평선(15)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포위 영역(도 5A의 경우는 사각형, 도 5B의 경우는 5각형)을 구획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을 제조할 때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식모 장치를 이용함에 의해, 식모구멍(16)에 대한 평선(15) 방향(타입 각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5C에 도시하는 모속군(50)과 같이, 인접하는 모속군(20, 21)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13c)을 공유하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인접하는 모속군(20, 21)의 경계에 위치하는 모속(13c)은, 이들의 인접하는 모속군(20, 21)의 양쪽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속군(50)에서는, 인접하는 모속군(20, 21)이 일부 겹침에 의 해, 보다 변화가 풍부한 식모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접하는 모속군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13c)을 공유하는 경우, 이 모속(13c)은, 평선(15)을 끼우고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이 다른 형태를 갖는 경우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D에 도시하는 모속군(60)과 같이, 인접하는 모속군(20, 20)이 일부 겹치는 경우에 있어서, 이들의 인접하는 모속군(20, 20)의 경계에 위치하는 모속(13d)은, 평선(15)을 끼우고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도 5D중에서는, 제 2의 반모속(13a)으로 도시한다)이 같은 형태를 갖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 5D에 도시하는 모속군(60)은, 4개의 모속(13)에 의해 구성된 모속군(30)의 내측에 하나의 모속(13d)이 식모된 경우로서 볼 수도 있다.
이 경우, 모속군(30)의 내측에 있는 모속(13d)은, 평선(15)을 끼우고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a)이 같은 형태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모속(13d)의 평선(15) 방향은, 그 평선(15)의 연장선상에 있어서 모속군(20, 20)을 구성하는 모속(13)의 식모구멍(16)이 위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식모구멍(16)에 모속(13d)의 평선(15)을 타입한 때의 갈라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식모구멍(16) 사이의 간격도 좁힐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밀집한 모속군(20, 2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속군(60)에서는, 모속군(30)의 내측에 모속(13d)을 식모함으로써, 보다 변화가 풍부한 식모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모속군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13d)이 식모된 경우, 이 모 속(13d)은, 평선(15)을 끼우고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이 같은 형태를 갖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다른 형태를 갖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5E에 도시하는 모속군(80)과 같이, 인접하는 3개의 모속에 의해 구성된 모속군(20)과 4개의 모속에 의해 구성된 모속군(31)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13e)을 공유하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인접하는 모속군(20, 31)의 경계에 위치하는 모속(13e)은, 이들의 인접하는 모속군(20, 31)의 양쪽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속군(80)에서는, 인접하는 모속군(20, 31)이 일부 겹침에 의해, 보다 변화가 풍부한 식모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징이 되는 모속군은, 평선의 연장선에 의해 반드시 닫힌 영역일 필요는 없고, 평선의 연장선에 끼워진 영역이라도 좋다. 식모면의 단축 방향, 장축 방향으로 평선이 따를 필요도 없고, 예를 들면 도 5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징이 되는 모속군(90)의 평선(15)이, 비스듬한 동일(同) 각도로 형성되고,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이 서로 180도 차이로 타입된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5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징이 되는 모속군(100)의 평선(15)이, 식모면의 단축 방향 또는 장축 방향으로 따를 뿐만 아니라, 평선(15)을 경사 방향으로 연속시켜서 일련의 형상을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속군(22)을 구성하는 모속(13)중, 적어도 일부의 모속(13)의 식모구멍(16)이 연속하여 있는 구 성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하는 4개의 식모구멍(16)은, 이들 4개의 식모구멍(16)의 내측에 마련된 연결 구멍(16a)을 통하여 서로 연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의 경우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식모구멍(16)의 내측의 영역에 평선(15)이 타입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모속군(22)을 구성하는 모속(13)의 식모구멍(16)을 연속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식모구멍(16)이 연속하는 경우는, 인접하는 식모구멍(16) 사이의 간격을 더욱 좁힐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밀집한 모속군(20, 2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구멍(16a)은,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깊이를 모속군(22)을 구성하는 모속(13)의 식모구멍(16)보다도 얕게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연결 구멍(16a)의 깊이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연결 구멍(16a) 내의 식모 외관이나 털의 세워짐(毛立) 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구멍(16a)은, 식모구멍(16)과 동일한 깊이로 형성하여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칫솔(70)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칫솔(70)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 6개의 모속(13)에 의해 구성된 복수의 모속군(71, 72)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모속군(71, 72)을 구성하는 각 모속(13)의 평선(15) 방향은, 각각의 평선(15)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사각형의 포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모속군(71, 72)이 2개의 모속(13c)을 공유함에 의해, 이들의 인접하는 모속군(71, 72)이 일부 겹쳐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모속 군(71)의 6개의 모속(13)의 평선(15)에 의해 구획된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각각의 모속(13)의 제 1의 반모속(13a)이 위치하고 있다. 한편, 모속군(72)의 6개의 모속(13)의 평선(15)에 의해 구획된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각각의 모속(13)의 제 2의 반모속(13b)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모속(13)의 선단에는, 제 1의 반모속(13a)과 제 2의 반모속(13b) 사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의 반모속(13a)은, 제 2의 반모속(13b)보다 칫솔모(14)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칫솔(70)에서는, 인접하는 모속군(71, 72)이 일부 겹침에 의해, 보다 변화가 풍부한 식모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치간 진입성과 양치감을 겸비한 칫솔(70)로서 고기능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칫솔에서는, 상기 모속군을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 마련함으로써, 구강 내의 세정 효과나 마사지 효과, 치간 진입성, 양치감, 마사지성 등 칫솔의 다양한 기능의 요구에 적합하고, 외관으로도 그 요구 효과를 이해할 수 있고, 게다가 설계 자유도가 높은 식모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13)의 형태를 반모속 단위로 다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모속의 형태를 모속(식모구멍) 단위로 다르게 하는 경우보다도, 보다 변화가 풍부한 식모 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목적 용도에 따른 칫솔로서 고기능화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식모 공정도 복잡화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나 비용의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에서는,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각 모속(13)의 평선(15) 방향이나, 상기 모속군의 내측에 위치하는 모속(13)의 평선(15) 방향을 상 기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식모구멍(16)에 평선(15)을 타입한 때의 갈라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식모구멍(16)의 사이의 간격도 좁힐 수 있기 때문에, 더 밀집한 모속군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하는 식모구멍(16) 사이의 간격, 및, 헤드부(12)의 언저리로부터 최외주의 식모구멍(16)까지의 거리를 일정 이상 확보한 비교적 단순한 식모구멍(16)의 패턴 배치라 하여도, 상술한 식모 형태의 변화가 풍부한 칫솔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에서는,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모속중,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 이외의 모속에 관해서는, 상술한 칫솔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을 끼우고 식모구멍에 고정한 평선식모법 이외에도, 모속의 하단을 헤드부가 되는 용융 수지중에 압입하여 고정한 열융착법이나, 모속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 뭉치를 형성한 후에, 금형의 캐비티 내에 용융 수지를 충전하여 헤드부와 일체로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이용하여 식설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칫솔과 같은 구강용의 칫솔모로 한하지 않고, 칫솔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사이에 평선을 끼우고 식모구멍에 식설한 칫솔모에 대해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7)

  1. 식모면에 복수의 식모구멍이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고, 칫솔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상기 식모구멍에 타입함에 의해, 상기 모속이 상기 식모구멍에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모속에 의해 구성되는 모속군이 마련되고,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각 모속의 평선의 방향은, 각각의 평선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포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 또는 평선의 연장선에 끼워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은, 상기 평선을 끼우고 분할되는 식모구멍의 한쪽의 영역에 식설된 제 1의 반모속과, 다른쪽의 영역에 식설된 제 2의 반모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반모속의 어느 한쪽이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1의 반모속과 상기 제 2의 반모속은, 상기 평선을 끼우고 칫솔모의 길이, 칫솔모의 굵기, 칫솔모의 선단 형상중 어느 하나의 형태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상기 모속군이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속군중, 인접하는 모속군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을 공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속군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속이 식설되어 있고, 해당 모속의 평선의 방향은, 그 평선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의 식모구멍이 위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중, 적어도 일부의 모속의 식모구멍이 연속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97013762A 2006-12-28 2007-12-13 칫솔 KR101367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6539 2006-12-28
JP2006356539 2006-12-28
PCT/JP2007/074041 WO2008081697A1 (ja) 2006-12-28 2007-12-13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710A KR20090096710A (ko) 2009-09-14
KR101367517B1 true KR101367517B1 (ko) 2014-02-27

Family

ID=3958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762A KR101367517B1 (ko) 2006-12-28 2007-12-13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78529B2 (ko)
KR (1) KR101367517B1 (ko)
CN (1) CN101568276B (ko)
WO (1) WO2008081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3177B2 (ja) * 2008-12-26 2013-06-05 ヤマトエスロン株式会社 ブラシおよびブラシの製造方法
JP5530776B2 (ja) * 2010-03-24 2014-06-2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EP2420156A1 (de) 2010-08-18 2012-02-22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mit Borstenbündeln, die Borsten unterschiedlicher Länge aufweisen, und Vorrichtung zum Beborsten einer solchen Zahnbürste
US20140359957A1 (en) * 2013-06-06 2014-12-11 The Gillette Company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JP6598352B2 (ja) * 2015-03-31 2019-10-3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MY189015A (en) * 2015-06-12 2022-01-19 Lion Corp Toothbrush
US20200196744A1 (en) * 2018-12-20 2020-06-25 Sunstar Americas, Inc. Toothbrush bristle
CN218605529U (zh) * 2019-11-04 2023-03-14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器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137A (ja) * 1999-05-14 2001-02-06 Lion Corp ブラシおよびその植毛装置ならびに植毛方法
JP2001314231A (ja) 2000-05-08 2001-11-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03339444A (ja) * 2002-05-30 2003-12-02 Lion Corp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1823A (ja) * 2002-07-31 2004-04-22 Lion Corp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137A (ja) * 1999-05-14 2001-02-06 Lion Corp ブラシおよびその植毛装置ならびに植毛方法
JP2001314231A (ja) 2000-05-08 2001-11-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03339444A (ja) * 2002-05-30 2003-12-02 Lion Corp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68276A (zh) 2009-10-28
KR20090096710A (ko) 2009-09-14
CN101568276B (zh) 2011-11-09
JPWO2008081697A1 (ja) 2010-04-30
JP5178529B2 (ja) 2013-04-10
WO2008081697A1 (ja)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517B1 (ko) 칫솔
JP5401154B2 (ja) 歯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JP5211074B2 (ja) 歯ブラシ
EP3876786B1 (en) Oral care implement
EP3405069B1 (en) Toothbrush head
KR20140009167A (ko) 칫솔
KR101087955B1 (ko) 칫솔
CN107635432B (zh) 牙刷
JP6621497B2 (ja) 歯ブラシ
WO2013024851A1 (ja) 歯ブラシ用毛、その製造方法及び歯ブラシ
JP3148931U (ja) 歯ブラシ
JP2004202021A (ja) 歯ブラシ
JP2003189940A (ja) 歯ブラシ
JP2000342334A (ja) 歯ブラシ
JP4544781B2 (ja) 歯ブラシ
JP2007229065A (ja) 歯ブラシ
JP5401162B2 (ja) 歯ブラシ用毛及び歯ブラシ
JP2009066050A (ja) 歯ブラシ
JP2001178542A (ja) 歯ブラシ
JP3138318U (ja) 歯ブラシ
JP4738603B2 (ja) 歯ブラシ
JP7382927B2 (ja) 歯ブラシ
KR100697580B1 (ko) 칫솔
KR20210018187A (ko) 칫솔
JP2000354520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