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580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580B1
KR100697580B1 KR1019990059828A KR19990059828A KR100697580B1 KR 100697580 B1 KR100697580 B1 KR 100697580B1 KR 1019990059828 A KR1019990059828 A KR 1019990059828A KR 19990059828 A KR19990059828 A KR 19990059828A KR 100697580 B1 KR100697580 B1 KR 10069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synthetic monofilament
hair
synthetic
mono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316A (ko
Inventor
나까니시요시나리
세끼노에이이찌
가또다까오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9005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5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치아와 치아의 사이나, 치아와 잇몸의 경계 등에 축적된 치구의 청소효과가 크고, 잇몸에 닿는 감촉도 부드러워 사용감이 우수한 칫솔이다. 칫솔은, 모끝이 테이퍼 형상으로 된 합성모노필라멘트 (1) 를 묶어 모다발 (4) 로 하고, 이 모다발 (4) 을 헤드부 (3) 의 식모면에 식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합성모노필라멘트 (1) 로서, 필라멘트 최선단부를 원점 (0, 0, 0) 으로 하는 좌표 (x, y, z) 를 설정하고, 이 좌표의 +x 축 상에 필라멘트의 중심축을 따르게 하여 z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xy 평면상에 투영된 필라멘트 선단의 윤곽곡선 (A-A') 에 대한 접선 (B-B') 의 경사 (s) 가,
s = R (ax + b) (-0.04
Figure 112004060084983-pat00001
a
Figure 112004060084983-pat00002
-0.01, 0.10
Figure 112004060084983-pat00003
b
Figure 112004060084983-pat00004
0.25)
단, R :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최대지름부의 단면반경
의 일차식으로 특정되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한 것을 사용한다. 또, 합성모노필라멘트 (1) 로서, 식모전의 솔모의 전장이 26 ∼ 32 ㎜ 이고, 또한, 최대지름이 0.152 ∼ 0.203 ㎜ (6 ∼ 8 mil) 인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칫솔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칫솔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합성모노필라멘트의 모끝선단의 테이퍼부분의 형상설명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합성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칫솔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칫솔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칫솔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칫솔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합성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칫솔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합성모노필라멘트
2 : 칫솔기둥부
3 : 칫솔의 헤드부
4 : 모다발
5 : 식모구멍
D : 최대지름부의 단면직경
R : 최대지름부의 단면반경
L : 솔모(刷毛) 전장
T, T0, T1, T2, T3, T4, T5, T6 : 테이퍼부
P : 모다발의 피치
본 발명은 치아와 치아 사이나, 치아와 잇몸의 경계등에 축적된 제거하기 어려운 치구(齒垢)의 청소효과가 크고, 잇몸에 닿는 감촉도 부드러워 사용감이 우수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치주병질환 및 우식의 2 대 치과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칫솔에 의한 치구제거가 중요하여, 최근, 스크래브법이나 버스법 등의 칫솔질에 의한 청소법이 치구제거에 유효한 것이 인정되었다. 또, 합성필라멘트의 솔모를 사용한 칫솔에 관해서는, 버스법 등의 청소시의 모끝에 의한 잇몸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가늘고 부드러운 솔모의 칫솔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솔모는, 부드러운 감은 있으나, 모의 탄력성이 약하기 때문에 치구를 제거할 힘이 불충분하고, 또 내구성이 낮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모끝이 치아와 잇몸의 경계등의 오목부에 들어가도록, 모끝을 테이퍼형상으로 연마가공한 칫솔이 알려져 있으나, 이 테이퍼부의 길이는 고작 1 ㎜ 정도로 짧기 때문에, 청소효과나 부드러운 감이 향상되지는 않아, 통상의 모끝이 라운드 형상인 솔모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합성필라멘트를 화학처리로 테이퍼부를 보다 길게 날카롭게 한 솔모를, 칫솔용, 브러시용, 화장용, 세안용 등의 솔모류로 식모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5-15834호, 특허공개공보 평6-141923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7-12934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7-65632호 참조).
종래의 날카로은 테이퍼 형상의 솔모류에는, 적절한 테이퍼 형상을 하고 있지 않은 것도 있고, 예를 들면, 테이퍼부가 너무 길거나 너무 가늘면, 모의 탄력성이 약해져, 칫솔질시에 크게 휘어져, 모끝의 진입성, 청소효과, 잇몸의 마사지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반대로 테이퍼부가 너무 짧거나 너무 굵으면, 치간부나 치주포켓, 치간삼각부에 들어가기 어려워져, 이들의 부분에서의 청소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치아와 치아 사이나, 치아와 잇몸의 경계 등에 축적된 제거하기 어려운 치구의 청소효과가 크고, 잇몸에 닿는 감촉도 부드러워 사용감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관련되는 칫솔은, 모끝이 테이퍼 형상으로 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묶어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모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서, 필라멘트 최선단부를 원점 (0, 0, 0) 으로 하는 좌표 (x, y, z) 를 설정하고, 이 좌표의 +x 축 상에 필라멘트의 중심축을 따라 z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xy 평면상에 투영된 필라멘트 선단의 윤곽곡선 (A-A') 에 대한 접선 (B-B') 의 경사 (s) 가,
s = R (ax + b) (-0.04
Figure 111999017687111-pat00005
a
Figure 111999017687111-pat00006
-0.01, 0.10
Figure 111999017687111-pat00007
b
Figure 111999017687111-pat00008
0.25)
단, R :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최대지름부의 단면반경
a : 파라미터
b : 파라미터
의 일차식으로 특정되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것이다.
또, 청구항 2 에 관련되는 칫솔은, 모끝이 테이퍼 형상으로 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묶어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그 중앙부에서 둘로 접어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모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식모전에서의 솔모 전장이 26 ∼ 32 ㎜ 이고, 또한, 최대 지름이 0.152 ∼ 0.203 ㎜ (6 ∼ 8 mil) 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최대 지름부의 단면 직경은 0.15 ∼ 0.25 ㎜ 이고, 바람직하게는 0.17 ∼ 0.20 ㎜ 이다.
또,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테이퍼 형상부분의 길이는 8 ∼ 15 ㎜ 이고, 바람직하게는 8 ∼ 12 ㎜ 이다.
또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양단부에 길이가 다른 테이퍼 형상부분을 각각 형성하여도 된다. 또, 칫솔의 솔모 전체의 90 퍼센트 이상을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모다발의 배열패턴에 따라서는, 칫솔의 솔모 전체의 25 퍼센트 이상을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하면 된다.
(작용)
상기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에 관련되는 칫솔의 경우, 양치질을 할 때에, 날카로운 테이퍼부가 치간부에 잘 들어가, 특히 치주포켓, 치간삼각부에도 용이하게 들어가므로, 치구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모끝에 의한 잇몸으로의 자극도 양호하고, 부드러운 감촉이 얻어져, 사용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내구성도 갖는 것이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3 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칫솔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의 확대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합성모노필라멘트의 모끝 선단의 테이퍼부분의 형상설명도, 도 3 은 상기 합 성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 은 합성모노필라멘트, 2 는 칫솔의 기둥부, 3 은 칫솔의 헤드부, 4 는 합성모노필라멘트 (1) 를 묶은 모다발로, 이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하기식 (1) 에서 부여되는 바와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퍼부 (T) 를 구비한 합성모노필라멘트 (1) 를 사용하여 칫솔을 제조한 것이다.
즉, 이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라멘트 최선단부를 원점 (0, 0, 0) 으로 하는 좌표 (x, y, z) 를 설정하고, 이 좌표의 +x 축상에 필라멘트의 중심축을 따라 z 축방향 (지면에 수직인 방향) 에서 보았을 때, xy 평면 상에 투영된 필라멘트 선단의 윤곽곡선 (A-A') 에 대한 접선 (B-B') 의 경사 (s) 가,
s = R (ax + b) (-0.04
Figure 111999017687111-pat00009
a
Figure 111999017687111-pat00010
-0.01, 0.10
Figure 111999017687111-pat00011
b
Figure 111999017687111-pat00012
0.25) …(1)
단, R :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최대지름부의 단면반경
a : 파라미터
b : 파라미터
인 테이퍼 형상을 갖는 합성모노필라멘트 (1) 를 사용하여, 이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복수개를 묶어 모다발 (4) 로 하고, 칫솔의 헤드부 (3) 의 식모면에 원하는 방법으로 식모한 것이다. 또한, 식모후에서의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헤드부 식모면으로부터의 솔모 길이 (높이) 는, 통상의 칫솔과 동일한 8 ∼ 15 ㎜, 바람직하게는 10 ∼ 13 ㎜ 정도로 한다. 또,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최대 지름부의 단면 직경 (D = 2R (R:단면반경)) 은 0.15 ∼ 0.25 ㎜, 바람직하게는 0.17 ∼ 0.20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중의 2 개의 파라미터 (a 및 b) 가, -0.04
Figure 111999017687111-pat00013
a
Figure 111999017687111-pat00014
-0.01 이면서 0.10
Figure 111999017687111-pat00015
b
Figure 111999017687111-pat00016
0.25 의 조건을 충족시킨 경우, 식 (1) 에 의해 부여되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한 합성모노필라멘트 (1) 는, 날카로운 테이퍼부 선단이 치간부에 잘 들어가, 특히 치주포켓이나 치간삼각부에도 용이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치구의 제거율을 높일 수 있다. 또, 모끝에 의한 잇몸으로의 자극도 양호하고, 부드러운 감촉을 얻을 수 있어, 사용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내구성도 향상된다.
또한, 식 (1) 중의 2 개의 파라미터 (a 및 b) 가, -0.04
Figure 112004060084983-pat00017
a
Figure 112004060084983-pat00018
-0.01, 0.10
Figure 112004060084983-pat00019
b
Figure 112004060084983-pat00020
0.25 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 상술한 작용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없다. 즉, 파라미터 (a) 가 -0.04 보다 작고, 파라미터 (b) 가 0.10 보다 작은 경우, 모끝의 테이퍼부분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치간부나 치주포켓, 치간삼각부로 모끝이 들어가기 어려워, 이들 부분에서의 청소효과도 저하된다. 반대로, 파라미터 (a) 가 -0.01 보다 크고, 파라미터 (b) 가 0.25 보다 큰 경우, 모끝의 테이퍼 부분의 길이가 매우 길어지기 때문에, 솔모의 탄력성이 너무 약해져 양치질시에 크게 휘어지게 되어, 모끝의 진입성, 청소효과, 잇몸의 마사지효과, 내구성이 모두 저하된다.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재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테이퍼 가공면에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 (1) 을 만족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 지는 테이퍼부의 길이는, 8 ∼ 15 ㎜, 바람직하게는 8 ∼ 12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헤드부 (3) 를 포함하는 칫솔 전체의 재질로서는, 주지의 폴리프로필렌, 아클릴로니트릴-스틸렌수지 (AS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테이퍼 형상을 구비한 합성모노필라멘트 (1) 를 사용한 경우, 상기 테이퍼 형상을 구비한 합성모노필라멘트 (1) 만이 100 퍼센트 식모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론이고, 실질적으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 (1) 가 솔모 전체의 90 퍼센트 이상 사용되고 있는 칫솔이면, 잇몸 감촉이 좋아져 양호한 부드러운 감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솔모의 탄력성도 충분히 유지되어, 모끝이 치간부나 치아와 잇몸의 경계에 들어가 치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청소효과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모다발의 배열패턴에 따라서는, 칫솔의 솔모 전체의 25 퍼센트 이상을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하면,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칫솔자체의 제조방법은, 모다발이 단단히 고정되면 되므로, 특별히 제한은 없고, 평선을 사용하여 모다발을 박아넣은 방법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9-149815호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 등, 종래부터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 ∼ 도 6 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다. 도 4 에 나타내는 합성모노필라멘트 (1) 는, 필라 멘트의 양단부에 테이퍼부 (T0) 를 형성한 것, 도 5 에 나타내는 합성모노필라멘트 (1) 는 좌측 (도면에서) 의 테이퍼부 (T1) 를 우측의 테이퍼부 (T2) 보다도 길게 한 것, 도 6 에 나타내는 합성모노필라멘트 (1) 는 일방의 단부에만 테이퍼부 (T3) 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이들 테이퍼부 (T0, T1∼T2, T3) 의 길이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8 ∼ 15 ㎜, 바람직하게는 8 ∼ 12 ㎜ 로 된다.
또한, 상기 식 (1) 을 충족시키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퍼부는, 모다발의 식모방법에 의해,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양단부 또는 일방의 단부에 형성된다. 즉,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양단부에 테이퍼부 (T0, T1 ∼ T2) 를 형성한 합성모노필라멘트 (1) 는, 복수개의 합성모노필라멘트 (1) 로 이루어지는 모다발 (4) 을 그 중앙부근에서 둘로 접어 평선식모법 등으로 칫솔의 헤드부 (3) 의 식모면에 식모하는 것에 사용되고, 또한, 도 6 에 나타낸 일단에 테이퍼부 (T3) 가 형성된 합성모노필라멘트 (1) 는, 인몰드법, 열융착법등에 의해, 복수개의 합성모노필라멘트 (1) 로 이루어지는 모다발 (4) 을 테이퍼부 (T3)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칫솔의 헤드부 (3) 에 고착하는 것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7 ∼ 도 9 에 나타낸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칫솔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의 확대측면도, 도 8 은 도 7 의 합성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구성된 칫솔의 평면도이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경우, 사용하는 합성모노필라멘트로서,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모전의 솔모 전장 (L) 이 26 ∼ 32 ㎜ 이고, 또한, 그 최대 지름부의 단면 직경 (D) 이 0.152 ∼ 0.203 ㎜ (6 ∼ 8 mil) 로 되고, 그 양단부에 날카로운 테이퍼부 (T4) 가 형성된 합성모노필라멘트 (1) 를 사용한 것으로, 이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복수개를 묶어 모다발 (4) 로 하고, 이 모다발 (4) 을 중앙부근에서 둘로 접어 평선식모법 등으로,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의 헤드부 (3) 의 식모면의 식모구멍 (5) 에 식모한 것이다. 또한, 이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양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 (T4) 의 길이는 8 ∼ 15 ㎜, 바람직하게는 8 ∼ 12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장 (L) 이 26 ㎜ 미만의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동일하게 구성된 칫솔은, 솔모가 너무 휘어지지 않아 양치질시에 가한 힘을 지나치게 청소부위로 전달하기 때문에, 청소효과가 낮아지고 잇몸에 대한 마시지효과도 낮아진다. 또 반대로, 전장 (L) 이 32 ㎜ 를 초과하는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동일하게 구성된 칫솔은, 솔모의 탄력성이 약해져 너무 휘어질뿐만 아니라, 양치질시 조작성도 나빠지기 때문에, 모끝의 진입성, 청소효과, 잇몸의 마사지효과도 저하된다.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재질로서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테이퍼 가공면에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헤드부 (3) 를 포함하는 칫솔기둥부 (2) 전체의 재질로서는, 주지의 폴 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수지 (AS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경우, 헤드부 (3) 의 식모면에 형성된 식모구멍 (5) 은, 구멍 지름 1.5 ∼ 2.2 ㎜, 바람직하게는 1.5 ∼ 1.9 ㎜ 로 하고, 이 식모구멍 (5) 을 기둥부 방향을 따라 복수열, 예를 들면 2 ∼ 4 열 식모한다. 또, 식모구멍 (5) 의 기둥부 방향의 구멍간격 (p) 은 1.0 ∼ 1.4 ㎜ 정도로 한다. 또, 식모후에서의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식모면으로부터의 솔모 길이 (높이) 는, 통상의 칫솔과 동일한 8 ∼ 15 ㎜, 바람직하게는 10 ∼ 13 ㎜ 정도로 한다.
상기와 같은 솔모 전장 (L) 및 최대 지름을 가진 합성모노필라멘트 (1) 를 사용한 경우, 이 합성모노필라멘트 (1) 만이 100 퍼센트 식모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론이고, 실질적으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 (1) 가 솔모 전체의 90 퍼센트 이상 사용되고 있는 칫솔이면, 잇몸 감촉이 좋아져, 양호한 부드러운 감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솔모의 탄력성도 충분히 유지되어, 식모된 솔모가 치간부나 치아와 잇몸의 경계에 들어가 치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양호한 청소효과와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다발의 배열패턴에 따라서는, 칫솔의 솔모 전체의 25 퍼센트 이상을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하면,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 9 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합성모노필라멘트 (1) 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다. 상기 예의 필라멘트 (1) 는 좌측 (도면에서) 의 테이퍼부 (T5) 를 우측의 테이퍼부 (T6) 보다도 길게 한 것이다. 또한, 좌우의 테이퍼부 (T5, T6) 의 길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8 ∼ 15 ㎜, 바람직하게는 8 ∼ 12 ㎜ 로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경우, 좌우의 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는, 좌우 동일한 테이퍼 형상 (도 7) 이어도 되고, 다른 테이퍼형상 (도 9) 이어도 되며, 상술한 솔모 전장 (L = 26 ∼ 32 ㎜), 또한, 최대 지름 (D = 0.152 ∼ 0.203 ㎜) 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에 관련되는 칫솔에 의한 경우에는, 모끝이 테이퍼 형상으로 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묶어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모한 칫솔에 있어서, 모끝에 특정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퍼부를 구비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식모하고, 또는, 솔모 전장과 필라멘트 최대 지름이 특정의 범위로 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식모하였으므로, 모끝이 치간부나 치아와 잇몸의 경계, 치간삼각부, 나아가서는 치열부정에 의한 오목부 등에도 도달하게되어, 음식물 찌거기나 치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모끝이 부드럽고, 잇몸의 약한 치주포켓 등의 청소에도 적합하여, 잇몸을 손상시키지 않고 양호한 자극을 줄 수 있어, 치주질환의 예방은 물론이고,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도 커져, 사용감을 높이고, 또한 사용에 의한 솔모 선단의 확장을 방지하여, 칫솔로서의 내구성도 높일 수 있다.

Claims (15)

  1. 모끝이 테이퍼 형상으로 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묶어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모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서,
    필라멘트 최선단부를 원점 (0, 0, 0) 으로 하는 좌표 (x, y, z) 를 설정하고, 이 좌표의 +x 축 상에 필라멘트의 중심축을 따라 z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xy 평면상에 투영된 필라멘트 선단의 윤곽곡선 (A-A') 에 대한 접선 (B-B') 의 경사 (s) 가,
    s = R (ax + b) (-0.04
    Figure 111999017687111-pat00021
    a
    Figure 111999017687111-pat00022
    -0.01, 0.10
    Figure 111999017687111-pat00023
    b
    Figure 111999017687111-pat00024
    0.25)
    단, R :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최대지름부의 단면반경
    a : 파라미터
    b : 파라미터
    의 일차식으로 특정되는 테이퍼 형상을 구비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끝이 테이퍼 형상으로 된 합성모노필라멘트를 묶어 모다발로 하고, 상기 모다발을 그 중앙부에서 둘로 접어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모하며,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식모전의 솔모 전장이 26 ∼ 32 ㎜ 이고, 또한, 최대 지름이 0.152 ∼ 0.203 ㎜ (6 ∼ 8 mi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최대 지름부의 단면 직경이 0.15 ∼ 0.2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최대 지름부의 단면 직경이 0.17 ∼ 0.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테이퍼 형상부분의 길이가 8 ∼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테이퍼 형상부분의 길이가 8 ∼ 12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양단부에 길이가 다른 테이퍼 형상 부분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양단부에 길이가 다른 테이퍼 형상 부분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의 양단부에 길이가 다른 테이퍼 형상 부분을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칫솔의 솔모 전체의 90 퍼센트 이상이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1. 제 5 항에 있어서, 칫솔의 솔모 전체의 90 퍼센트 이상이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2. 제 6 항에 있어서, 칫솔의 솔모 전체의 90 퍼센트 이상이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칫솔의 솔모 전체의 25 퍼센트 이상이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4. 제 5 항에 있어서, 칫솔의 솔모 전체의 25 퍼센트 이상이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15. 제 6 항에 있어서, 칫솔의 솔모 전체의 25 퍼센트 이상이 상기 합성모노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19990059828A 1999-12-21 1999-12-21 칫솔 KR100697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828A KR100697580B1 (ko) 1999-12-21 1999-12-21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828A KR100697580B1 (ko) 1999-12-21 1999-12-21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316A KR20010057316A (ko) 2001-07-04
KR100697580B1 true KR100697580B1 (ko) 2007-03-22

Family

ID=3752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828A KR100697580B1 (ko) 1999-12-21 1999-12-21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862B1 (ko) * 2007-12-27 2015-01-02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316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1188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口腔护理工具和用于制造此类头部的方法
CN110494065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口腔护理工具和用于制造此类头部的方法
CN110494064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口腔护理工具和用于制造此类头部的方法
KR100731939B1 (ko) 칫솔
CA2191783C (en) Toothbrush
EP0708609B1 (en) Toothbrush
JP4397057B2 (ja) 歯ブラシ
KR100659953B1 (ko) 칫솔
JPH10225324A (ja) 歯ブラシ
JP2001169827A (ja) 歯ブラシ
JP2001120358A (ja) 歯ブラシ
KR100697580B1 (ko) 칫솔
JP4544781B2 (ja) 歯ブラシ
JP2829275B2 (ja) 歯ブラシ
JP2001178543A (ja) 歯ブラシ
JP4173853B2 (ja) 歯ブラシ
JP4097323B2 (ja) 歯ブラシ
JP5690525B2 (ja) 歯ブラシ
JP4084886B2 (ja) 歯ブラシ
JP2003144229A (ja) 歯ブラシ
JP3943780B2 (ja) 歯ブラシ
KR100300286B1 (ko) 칫솔
JPH11169232A (ja) 歯ブラシ
JP3813734B2 (ja) 歯ブラシ
JP2000189252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