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862B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862B1
KR101478862B1 KR20107013805A KR20107013805A KR101478862B1 KR 101478862 B1 KR101478862 B1 KR 101478862B1 KR 20107013805 A KR20107013805 A KR 20107013805A KR 20107013805 A KR20107013805 A KR 20107013805A KR 101478862 B1 KR101478862 B1 KR 10147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other
toothbrush
shap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1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200A (ko
Inventor
테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9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ires or other anchoring means, specially for U-shaped bristl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복수의 식모구멍(7)이 마련되고, 쇄모의 모속(6A, 6B)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8)을 식모구멍(7)에 타입함에 의해, 각 식모구멍(7)에 모속(6A, 6B)이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식모면(3a)에 마련된 적어도 일부 또는 모든 식모구멍(7)에, 평선(8)을 끼운 일방측(6a, 6c)과 타방측(6b, 6d)에서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를 식설하고,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마련된 모속(6A, 6B)의 선단이 기복(起伏) 형상을 하도록, 해당 모속(6A, 6B)의 평선(8)의 방향을 적절히 설정함에 의해 칫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모속(毛束)의 선단에 모 절단 형상에 의하지 않는 입체적인 기복(起伏) 형상이 부여되고, 설계 자유도가 높고, 게다가 제조가 용이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12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원2007-335415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援用)한다.
칫솔의 기본 기능으로서는, 구강 내의 청소 효과나 마사지 효과 등이 있다. 칫솔은, 그 기본 기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종래로부터 치아사이 진입성이나, 청소 실감(實感), 마사지성 등을 부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칫솔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식모구멍의 배치나 형상, 쇄모(刷毛))의 종류나 형상, 모속의 모 절단 형상 등을 복잡하게 조합시킨 사양이 일반적으로 유효하다.
그런데, 칫솔의 기본 성능인 청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강 내 전체, 또는 치간부(齒間部)나 잇몸부(齒莖部) 등의 특정부위에 대해, 모속의 선단을 효율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칫솔에서는, 모속의 선단에 모 절단 형상에 의한 요철을 부여한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한편, 치간부나 잇몸부 등에 대한 모속의 「모선(毛先) 진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모속을 구성하는 각 쇄모의 모선 형상을 선예화(先銳化)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선 형상을 선예화한 모속에 상기 모 절단 형상에 의한 요철을 부여한 경우에는, 쇄모의 모선이 절단되어 선단 지름이 굵어져서, 모선 진입성이 악화하기 때문에, 복잡한 모 절단 형상을 실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모선 형상을 선예화한 칫솔에서는, 상기 모 절단 형상에 의하지 않고서 요철을 부여하기 위해, 모 길이가 다른 모속을 식설하여 고저차를 마련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그러나, 통상의 칫솔에서는, 헤드부의 긴변방향으로 나열하는 모속은 6 내지 9열, 짧은변 방향으로 나열하는 모속은 3 내지 5열 정도이고, 이와 같은 칫솔에 모속 단위로 고저차를 마련한 경우에는, 헤드부에 나열하는 각 모속의 선단은 불연속한 단(段)이 있는 형상이 되기 때문에, 모선이 닿는 기분이 손상되어 버린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지 문헌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2 내지 5가 있다.
이 중, 특허문헌2 및 3에는, 모선 형상을 선예화한 쇄모를 2개로 접어 고저차를 마련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문헌2 및 3에는, 고저차를 마련한 쇄모를 이용하여, 각 모속의 선단에 입체적인 기복 형상을 형성한 것에 대해 개시는 없고, 시사도 되어 있지 않는다.
한편, 특허문헌4에는, 칫솔 핸들의 헤드부 식모면에 쇄모를 식설한 후, 해당 식설된 쇄모의 선단 부분을 소정의 형상으로 전정(剪定)하고, 해당 전정면을 연마 장치로 연마함에 의해 쇄모 선단 부분을 테이퍼상에 선예 가공한 후, 그 선예 가공된 쇄모를 용해 용매중에 소정의 깊이까지 침지함에 의해 그 모선을 더욱 선예하게 용해 가공하고, 해당 용해 가공 후의 쇄모를 수세 처리, 또는 수세와 중화 처리를 행한 후, 건조하는 칫솔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칫솔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생산성의 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전정에 의한 모 절단 형상으로는, 본 발명과 같은 입체적인 기복 형상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특허문헌5에는, 침상(針狀)모가 식모된 칫솔의 표면을 긴 칼로 반원형으로 절단한 후, 선예부에 테이퍼를 형성하기 위해 사포로 연마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생산성에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같은 입체적인 기복 형상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평11-75939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 특개평10-225324호 공보 특허문헌3 : 일본 특표2006-514854호 공보 특허문헌4 : 일본 특개2002-330824호 공보 특허문헌5 : 일본 특개2004-148095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고, 모속의 선단에 모 절단 형상에 의하지 않는 입체적인 기복 형상을 부여할 수 있고, 설계 자유도가 높고, 게다가 제조가 용이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1)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식모구멍이 마련되고, 쇄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식모구멍에 타입(打入)함에 의해, 각 식모구멍에 모속이 식설(植設)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식모구멍에 식설된 모속이, 평선을 끼운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고저차를 가지며, 해당 모속의 평선의 방향이, 상기 식모구멍에 식설된 모속의 선단이 기복 형상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기복 형상의 정부(頂部)와 저부(底部)의 사이에서, 고저차를 갖는 모속 중, 이웃하는 일방의 모속의 단모측(短毛側)과, 타방의 모속의 장모측(長毛側)을 대향시켜서, 타방의 모속의 장모측의 모 길이를 일방의 모속의 단모측의 모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칫솔.
(3) 상기 식모구멍에 식설되어 고저차를 갖는 모속이, 적어도 3속 존재하여 모속군(毛束群)을 구성하고,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각 모속의 평선의 방향이, 각각의 평선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포위 영역을 구획한 방향으로 설정되고, 또한, 포위 영역의 내측에, 각 모속의 장모측 또는 단모측의 어느 일방측만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칫솔.
(4)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 기복 형상의 정부 또는 저부가 존재하고, 그 주위를 둘러싸는 각 모속의 평선의 방향이, 해당 정부 또는 저부의 중심과 해당 모속의 중심을 잇는 직선에 대해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칫솔.
(5) 모속이, 모선을 향하여 점차로 지름이 가늘어지는 쇄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칫솔.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칫솔에서는, 식모면에 마련된 적어도 일부 또는 모든 식모구멍에, 평선을 끼운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고저차를 마련한 모속을 식설하고, 해당 모속의 평선의 방향을 임의로 설정함에 의해, 모속의 선단에 모 절단 형상에 의하지 않는 입체적인 기복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칫솔에서는, 모속의 선단을 전정한다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쇄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식모구멍에 타입할 때에, 각 모속에 있어서의 장모측 및 단모측의 고저차와, 해당 모속의 평선의 방향을 적절히 설정함에 의해, 설계 자유도가 높은 복잡한 기복 형상을 모속의 선단에 부여할 수 있고, 게다가 제조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구강 내 전체, 또는 치간부나 잇몸부 등의 특정부위에 대해, 모속의 선단을 효율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복 형상을 부여함에 의해, 높은 청소 실감 및 조작성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모속의 모선 진입성을 확보함에 의해, 치간부나 잇몸부 등의 모선 진입성이 나빠지는 부분에 대해 높은 청소성을 얻을 수 있는 칫솔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양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a는 헤드부를 확대하여, 긴변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2b는 헤드부를 확대하여, 폭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은 헤드부를 식모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4는 헤드부의 식모면에 식설된 모속을 도시하는 주요부를 단면(斷面)으로 본 측면도.
도 5는 쇄모의 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은, 특징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편의상 특징이 되는 부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각 구성요소의 치수 비율 등이 실제와 동일한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또한, 경우에 따라 모속의 도시를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도 1에 도시하는 칫솔(1)은, 전체가 장척 형상을 한 브러시 핸들(1A)을 구비하고, 이 브러시 핸들(1A)은, 핸들부(2)와, 이 핸들부(2)의 선단측에 마련된 헤드부(3)와, 핸들부(2)와 헤드부(3)의 사이에 마련된 목부(4)를 갖고서 구성되어 있다.
브러시 핸들(1A)은, 핸들부(2)와, 이것에 이어지는 목부(4)와, 이것에 이어지는 헤드부(3)가, 예를 들면 경질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 성형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브러시 핸들(1A)에 사용되는 경질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프로피온산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또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지만, 이들의 재료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핸들부(2)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고, 이 핸들부(2)에는,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때문에), 예를 들면 일래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를 부분적 또는 전체에 피복 형성하여도 좋다. 목부(4)는, 핸들부(2)와 헤드부(3)의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지만, 핸들부(2) 및 헤드부(3)과 반드시 명확하게 구별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핸들부(2)와 목부(4)와의 구별이 없는 것도 있다. 따라서 브러시 핸들(1A)은, 핸들부(2)의 선단에 헤드부(3)가 직접 마련된 형상의 것이라도 좋고, 그 형상이나, 크기, 디자인 등에 관해서는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헤드부(3)는,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강 내를 청소하기 쉬운 형상이나 크기라면 좋고, 그 형상에 관해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개략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헤드부(3)의 일면(식모면이라고 한다)(3a)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쇄모(5)의 모속(6A, 6B)을 식설하기 위한 복수의 식모구멍(7)이 해당 헤드부(3)의 긴변방향과 폭방향으로 열을 이루어 마련되어 있다.
모속(6A, 6B)에는, 치간부나 잇몸부 등에 대한 모선 진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 모속(6A, 6B)를 구성하는 각 쇄모(5)의 모선 형상을 선예화한 것,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터 양단의 모선(5a)을 향하여 점차로 지름이 가늘어지는 쇄모(테이퍼모(毛)라고 한다)(5)가 사용되고 있다.
쇄모(5)의 재질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예 : 6-12 나일론, 6-10 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 폴리프로필렌), 또는 일래스토머(예 :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 재료를 복수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심초[칼과 칼집] 구조 등과 같이, 심부(芯部)와 초부에서 다른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테이퍼모에는, 소정의 길이에 컷트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쇄모(필라멘트)를 알칼리성 가수분해 처리제에 침지하여 용해함으로써 모선을 테이퍼형상으로고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쇄모(5)의 모 길이는, 헤드부(3)의 식모면(3a)으로부터, 성인용으로 8㎜ 내지 13㎜, 아동용으로 6㎜ 내지 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쇄모(5)의 굵기(최대 지름)는, 구강 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에서, 0.12㎜ 내지 0.2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쇄소감(刷掃感),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두께가 다른 복수개의 쇄모(5)를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모속(6A, 6B)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쇄모(5)를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개 정도를 묶어서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8)이라고 불리는 빠짐방지구(具)를 끼우고 식모구멍(7)에 타입함에 의해, 헤드부(3)의 각 식모구멍(7)에 식설되어 있다.
평선(8)은, 식모구멍(7)의 중심부를 통과하고, 또한, 식모구멍(7)을 걸치도록 식모구멍(7)에 타설되어 있다. 평선(8)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황동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들 수 있고, 그 밖에도 경질 플라스틱이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평선(8)은, 그 길이(긴변방향)가 식모구멍(7)의 직경보다 크고, 그 폭이 식모구멍(7)의 깊이보다 작다. 또한, 평선(8)의 길이나 폭, 두께에 관해서는, 모속(6A, 6B)나 식모구멍(7)에 맞추어서 적절히 조정하면 좋다. 특히, 평선(8)의 두께(식모구멍(7)의 깊이 방향)를 조절함에 의해, 모속(6A, 6B)을 식모구멍(7) 내에 확실하게 고정하여 공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평선(8)은, 식모구멍(7)으로부터의 빠짐을 막기 위해, 식모구멍(7)의 양측에서 비어져 나온 부분의 길이의 합계가 0.3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도 2a, 도 2b,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마련된 식모구멍(7)에, 평선(8)을 끼운 일방측(장모측, 직모부)6a, 6c와 타방측(단모측, 단모부)(6b, 6d)에서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을 식설하고, 해당 모속(6A, 6B)의 평선(8)의 방향을 적절히 설정함에 의해, 각 모속(6A, 6B)의 선단이 전체(집합체)로서 입체적인 기복 형상(9)(기복 형상부)를 하고 있다(모속(6A 및 6B)의 선단의 집합체에 의해 구성된 면형상부가 3차원적인 기복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식모면(3a)에 마련된 복수의 식모구멍(7) 중, 각 모속(6A, 6B)의 평선(8)을 끼운 일방측(장모측, 직모부)(6a, 6c)와 타방측(단모측, 단모부)(6b, 6d)를 색 분류에 의해 구별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기복 형상(9)은, 식모면(3a)의 중앙 부분에 헤드부(3)의 긴변방향으로 나열하는 2개의 정부(산부(山部))(9a)를 갖고 있고, 이들 2개의 정부(9a)로부터, 그 주위의 저부(9b)(곡부(谷部))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모 길이가 낮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상기 기복 형상(9)을 형성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부(9a)와 저부(9b)의 사이에서,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 중, 이웃하는 일방의 모속(6A)의 단모측(6b)과, 타방의 모속(6B)의 장모측(6c)을 대향시켜서, 타방의 모속(6B)의 장모측(6c)의 모 길이를 일방의 모속(6A)의 단모측(6b)의 모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방의 모속(6A)의 장모측(6a) 및 단모측(6b)의 모 길이를 ta, tb, 타방의 모속(6B)의 장모측(6c) 및 단모측(6d)의 모 길이를 tc, td로 하였을 때에, ta>tb≥tc>td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복 형상(9)의 정부(9a)와 저부(9b)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모속(6A, 6B)의 모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고,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마련된 각 모속(6A, 6B)의 선단을 전체로서 매끈한 요철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식모면(3a)에 마련된 모든 모속(6A 및 6B)의 선단부의 집합체에 의해 매끈한 기복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각 모속(6A, 6B)의 장모측(6a, 6c)과 단모측(6b, 6d)의 고저차는, 0.3 내지 1.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저차가 0.3㎜ 미만이면, 모 길이를 다르게 함에 의한 기능적 및 시각적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향에 있다. 한편, 이 고저차가 1.0㎜를 초과하면, 구강 내 전체에 대해 모속의 선단을 효율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에 있고, 또한, 일부의 모속(6A, 6B)의 선단만이 치간부나 잇몸부 등의 특정 부위에 파고드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모선이 닿는 기분이 나빠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복 형상(9)을 형성하기 위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정부(9a)의 중심(S)에 대해, 그 주위를 둘러싸는 복수(4속)의 모속(6A)에 의해 구성되는 제 1의 모속군(10A)과, 또한 제 1의 모속군(10A)의 주위를 둘러싸는 복수(11속)의 모속(6B)에 의해 구성되는 제 2의 모속군(10B)을 갖고 있다.
제 1의 모속군(10A) 및 제 2의 모속군(10B)은, 상기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의 모속군(10A)은, 적어도 3속,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속의 모속(6A)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제 2의 모속군(10B)는, 적어도 3속,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속의 모속(6B)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 모속군(10A, 10B)을 구성하는 각 모속(6A, 6B)의 평선(8)의 방향은, 각각의 평선(8)의 연장선에 의해 하나의 포위 영역을 구획하는 방향으로 설정되고, 또한, 각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각 모속(6)의 장모측(6a 또는 6c)만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기복 형상(9)의 정부(9a)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 모속(6A, 6B)의 평선(8)의 방향(타입 각도)은, 정부(9a)의 중심(S)과 해당 모속(6A 또는 6B)의 중심(평선(8)의 긴변방향의 중심)을 잇는 직선에 대해, 평선(8)이 개략 직교하는 방향(90)에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정부(9a)의 중심(S)과 모속(6A 또는 6B)의 중심은 동일 평면상(식모면(3a)상)에 존재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1)에서는,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마련된 각 모속(6A, 6B)의 선단을, 상기 2개의 정부(9a)로부터, 그 주위의 저부(9b)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모 키가 낮게 되는 기복 형상(9)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속군(10A, 10B)을 구성하는 각 모속(6A, 6B)중, 인접하는 모속(6A, 6B)이 식설된 식모구멍(7)의 간격(식모구멍 사이의 최내 거리)은, 헤드부(3)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6 내지 1.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이 0.6㎜ 미만이면, 헤드부(3)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에 있다. 한편, 이 간격이 1.0㎜을 초과하면, 모속군(10A, 10B)을 구성하는 각 모속(6A, 6B)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게 되어 버려, 상술한 기복 형상(9)을 매끈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사용감에 관해서도, 인접하는 모속(6A, 6B)끼리의 지탱이 약하게 되어,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의 장모측(6a, 6c)의 가동역(可動域)이 커지기 때문에, 모의 탄력이 약하게 되어, 청소 실감이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또한, 식모구멍(7)의 직경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구멍(7)의 직경이 1.0㎜ 미만이면,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의 장모측(6a, 6c)의 모의 탄력이 약하게 되어, 청소 실감이 저하된 경향에 있다. 한편, 식모구멍(7)의 직경의 상한에 관해서는, 사용감이나, 헤드부(3)의 강도 등의 품질을 담보하고, 또한 소망하는 기복 형상(9)을 형성할 수 있다면, 특히 한정한 필요는 없지만,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모구멍(7)의 깊이는, 2.7 내지 4.3㎜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구멍(7)의 깊이가 2.7㎜ 미만이면, 평선(8)이나 모속(6A, 6B)이 빠지기 쉬워지는 경향에 있다. 한편, 식모구멍(7)의 깊이가 4.3㎜을 초과하면, 헤드부(3)가 너무 두꺼워져서, 칫솔(1)의 조작성이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칫솔(1)에서는,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마련된 모속(6A, 6B)의 선단에 모 절단 형상에 의하지 않는 입체적인 기복 형상(9)을 부여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기복 형상(9)을 모속(6A, 6B)의 선단으로 구성되는 집합체에 부여함에 의해, 구강 내 전체, 또는 치간부나 잇몸부 등의 특정부위에 대해, 모속(6A, 6B)의 선단을 효율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칫솔(1)에서는, 모선 형상을 선예화한 쇄모(테이퍼모)(5)에 의해각 모속(6A, 6B)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간부나 잇몸부 등에 대한 모속(6A, 6B)의 모선 진입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칫솔(1)에서는, 높은 청소 실감 및 조작성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치간부나 잇몸부 등의 모선 진입성이 나빠지는 개소에 대한 청소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칫솔(1)의 구성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 복수 가지의 변경을 가한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으로는, 상기 칫솔(1)과 동 등의 부위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함과 함께, 편의상 같은 부호를 붙인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칫솔(1)에 있어서 기복 형상부 9의 형상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기복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정부(9a)나 저부(9b)의 배치나 수단계에 관해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정부(9a)와 저부(9b)의 사이의 기복 형상 프로파일도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산절(山切)형상이나 돔형상, 구면형상 등의 요철 형상을, 쇄모(5)의 모선 형상을 유지한 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쇄모(5)의 모속(6A, 6B)를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8)을 식모구멍(7)에 타입할 때에, 모든 모속(6A 및 6B)의 선단부에 의해 구성된 면상부가 기복을 나타내도록, 각 모속(6A, 6B)에 있어서 장모측(6a, 6c)와 단모측(6b, 6d)의 고저차, 모속군(10A, 10B)를 구성한 모속(6A, 6B)의 배치나 수, 및, 모속(6A, 6B)의 평선(8)이 향하여(처넣고 각도) 등을 설정함에 의해, 종래와 같은 전정에 의한모 절단 형상이나, 모속 단위로 고저차를 마련한다고 말한 방법에 의하지 않고, 설계 자유도가 높은 복잡한 기복 형상(9)을 모속(6A, 6B)의 선단에 부여할 수 있고, 게다가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속군(10A, 10B)의 모속(6A, 6B)(평선(8)의 연장선)에 의해 구획된 포위 영역의 내측에, 각 모속(6A, 6B)의 장모측(6a, 6c)만을 배치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단모측(6b, 6d)만을 배치한 구성으로 한 것도 가능하다. 즉, 이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상기 기복 형상(9)의 설계에 합쳐서, 장모측(6a, 6c)와 단모측(6b, 6d)와의 어느 일방측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기복 형상(9)의 저부(9b)가 존재하도록, 평선(8)의 방향을 설정한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모속(6A, 6B)의 평선(8)의 방향(타입 각도)은, 저부(9b)의 중심과 해당 모속(6A 또는 6B)의 중심을 잇는 직선에 대해, 평선(8)이 개략 직교한 방향(90)에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헤드부(3)의 식모면(3a)에 마련된 식모구멍(7)의 전부에 상기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를 식설한 경우에 한하지 않고, 상기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를 일부의 식모구멍(7)에만 식설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기복 형상(9)의 설계에 합쳐서, 상기 고저차를 갖는 모속(6A, 6B)와 함께, 평선(8)을 끼운 일방측과 타방측의 모 길이가 같은 모속 등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이용한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모속(6A, 6B)의 장모측(6a, 6c) 및 단모측(6b, 6d)의 모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쇄모(5)의 길이를 변경하거나, 평선(8)을 끼우고 2개로 접여 진 쇄모(5)가 되돌아오고 위치를 변경하거나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쇄모(5)는, 그 모선 형상이 선예화된 것(테이퍼 모)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모선이 둥글게 하고 부를 제외하고 외경이 거의 동일한 쇄모(5)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쇄모(5)의 선단 형상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주걱모양이나, 구상, 선 나누어지고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쇄모(5)의 횡단면 형상은, 바람직하게 원형이지만, 그러한 형상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5각형, 육각형 등), 또는 이형(예를 들면, 성형, 3개 잎의 클로버형, 4개 잎의 클로버 형태 등) 등으로 할 수 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따르고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쇄모(5)는, 스파이럴 모양에 하거나, 엠보스 등을 마련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각 모속(6A, 6B)는, 통상은 복수개의 쇄모(5)를 거의 원형 모양에 단으로 묶었던 것을 이용하지만, 이와 같은 거의 원형 모양에 단으로 묶었던 것에 한하지 않고, 략 삼각형이나 대략 사각형 등의 거의 다각형상에 다고도 좋고, 또한, 략 타원상이나, 략 타원 상, 거의 장방형상, 또는 거의 다각형상 등 장경과 단경이 다른 형상에 단으로 묶었던 것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헤드부(3)의 식모면(3a)에는, 통상은 헤드부(3)의 긴변방향이나 폭방향으로 있어, 원형의 식모구멍(7)이 격자상이나 지그재그 모양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나열하고 배치되지만, 식모구멍(7)의 배치나 간격, 그것들의 조합 등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따르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식모구멍(7)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쇄모(5)를 단으로 묶었던 모속(6A, 6B)의 형상에 합쳐서 통상은 원형이지만, 그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쇄모(5)를 단으로 묶었던 모속(6A, 6B)의 형상에 합쳐서 알맞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칫솔(1)에 적용한 것에 한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구동된 전동 칫솔이나 그 교체용 쇄모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칫솔(1)일 것인 구강용의 쇄모에 한하지 않고, 쇄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사이에 평선을 끼우고 식모구멍에 식설한 쇄모에 대해 폭넓게 적용한 것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식모면에 마련된 적어도 일부 또는 모든 식모구멍에, 평선을 끼운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고저차를 갖는 마련한 모속을 식설하고, 해당 모속의 평선의 방향을 적절히 설정함에 의해, 칫솔의 모속 선단측에 모 절단 형상에 의하지 않는 입체적인 기복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칫솔에서는, 모속의 선단을 전정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쇄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식모구멍에 타입할 때에, 각 모속에 있어서 장모측 및 단모측의 고저차와, 해당 모속의 평선의 방향을 임의로 설정함에 의해, 설계 자유도가 높은 복잡한 기복 형상을, 모속의 선단부가 구성일면상부에 부여할 수 있고, 게다가 제조가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구강 내 전체, 또는 치간부나 잇몸부 등의 특정부위에 대해, 모속의 선단을 효율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복 형상을 부여함에 의해, 높은 청소 실감 및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모속의 모선 진입성을 확보함에 의해, 치간부나 잇몸부 등의 모선 진입성이 나빠지는 부분에 대해서도 높은 청소성을 얻을 수 있는 칫솔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칫솔 1A : 브러시 핸들
2 : 핸들부 3 : 헤드부
3a : 식모면 4 : 목부
5 : 쇄모 6A : 일방의 모속
6B : 타방의 모속 6a, 6c : 장모측(장모부)
6b, 6d : 단모측(단모부) 7 : 식모구멍
8 : 평선 9 : 기복 형상(기복 형상부)
9a : 정부 9b : 저부
10A : 제 1의 모속군 10B : 제 2의 모속군

Claims (5)

  1.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식모구멍이 마련되고, 쇄모의 모속을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상기 식모구멍에 타입함에 의해, 각 식모구멍에 모속이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칫솔로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식모구멍에 식설된 모속이, 상기 평선을 끼운 일방측과 타방측에서 고저차를 가지며, 해당 모속의 평선의 방향이, 상기 식모구멍에 식설된 모속의 선단이 기복 형상이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식모구멍에 식설되어 고저차를 갖는 모속이, 적어도 3속 존재하여 모속군을 구성하고,
    상기 모속군을 구성하는 각 모속의 평선의 방향은, 각각의 평선의 연장선에 의해 1개의 포위 영역을 구획한 방향으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는, 각 모속의 장모측 또는 단모측의 어느 일방측만이 배치되고,
    상기 포위 영역의 내측에 기복 형상의 정부 또는 저부가 존재하고, 그 주위를 둘러싸는 각 모속의 평선의 방향이, 해당 정부 또는 저부의 중심과 해당 모속의 중심을 잇는 직선에 대해 개략 직교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형상의 정부와 저부의 사이에서, 상기 고저차를 갖는 모속 중, 이웃하는 일방의 모속의 단모측과, 타방의 모속의 장모측을 대향시켜서, 상기 타방의 모속의 장모측의 모 길이를 상기 일방의 모속의 단모측의 모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형상은, 상기 정부을 둘러싸는 적어도 3속의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제1의 모속군과, 상기 제1의 모속군을 둘러싸는 제2의 모속군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의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 및 상기 제2의 모속군을 구성하는 모속은, 상기 정부의 중심부터 상기 제2의 모속군의 주위를 향하여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속은, 모선을 향하여 점차로 지름이 가늘어지는 쇄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삭제
KR20107013805A 2007-12-27 2008-12-26 칫솔 KR101478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5415 2007-12-27
JPJP-P-2007-335415 2007-12-27
PCT/JP2008/073754 WO2009084637A1 (ja) 2007-12-27 2008-12-26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200A KR20100099200A (ko) 2010-09-10
KR101478862B1 true KR101478862B1 (ko) 2015-01-02

Family

ID=40824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7013805A KR101478862B1 (ko) 2007-12-27 2008-12-26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11074B2 (ko)
KR (1) KR101478862B1 (ko)
CN (1) CN101909484B (ko)
WO (1) WO2009084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1154B2 (ja) * 2009-04-16 2014-01-29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EP2420156A1 (de) 2010-08-18 2012-02-22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mit Borstenbündeln, die Borsten unterschiedlicher Länge aufweisen, und Vorrichtung zum Beborsten einer solchen Zahnbürste
JP2014087475A (ja) * 2012-10-30 2014-05-15 Kao Corp 歯ブラシ
US20140359957A1 (en) * 2013-06-06 2014-12-11 The Gillette Company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SG11201602981PA (en) * 2013-10-17 2016-05-30 Sunstar Inc Electric toothbrush
JP6452220B2 (ja) * 2014-01-28 2019-01-1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USD754443S1 (en) 2014-06-11 2016-04-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64176S1 (en) 2014-07-31 2016-08-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764177S1 (en) 2014-07-31 2016-08-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JP6712120B2 (ja) * 2015-04-28 2020-06-1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MY189015A (en) * 2015-06-12 2022-01-19 Lion Corp Toothbrush
US10736413B2 (en) 2017-07-31 2020-08-11 L'oreal Systems, devices, and methods of a self-activation use odometer for a skin care brush
JP7117901B2 (ja) * 2018-06-07 2022-08-15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USD883677S1 (en) 2018-12-13 2020-05-1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MX2021006780A (es) 2018-12-13 2021-07-15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US11134771B2 (en) 2019-05-06 2021-10-05 L'oreal Skin care brush systems having cleansing agent-infused elements
JP6827096B2 (ja) * 2019-12-02 2021-02-1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US11707130B2 (en) 2019-12-26 2023-07-25 L'oreal Fluid-filled cleaning head
USD961269S1 (en) 2020-07-31 2022-08-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1024571S1 (en) 2022-06-17 2024-04-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769U (ko) * 1978-05-09 1979-11-19
JPS57134113A (en) * 1981-02-14 1982-08-19 Kenichi Okazaki Toothbrush
US4472853A (en) * 1982-04-21 1984-09-25 Samuel Rauch Toothbrush
KR20010057316A (ko) * 1999-12-21 2001-07-04 다카하시 미치나오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4841B (en) * 1996-05-14 1999-07-21 Kao Corp Toothbrush
JPH10225324A (ja) * 1997-02-13 1998-08-25 Lion Corp 歯ブラシ
JP2000050958A (ja) * 1998-08-05 2000-02-22 Satoshi Kojima 歯ブラシ
CN2579241Y (zh) * 2002-11-15 2003-10-15 广东五环实业有限公司 高弹性牙刷
CN2829459Y (zh) * 2005-10-10 2006-10-25 杨里江 尖锥头刷丝牙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4769U (ko) * 1978-05-09 1979-11-19
JPS57134113A (en) * 1981-02-14 1982-08-19 Kenichi Okazaki Toothbrush
US4472853A (en) * 1982-04-21 1984-09-25 Samuel Rauch Toothbrush
KR20010057316A (ko) * 1999-12-21 2001-07-04 다카하시 미치나오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200A (ko) 2010-09-10
CN101909484A (zh) 2010-12-08
CN101909484B (zh) 2013-12-25
JP5211074B2 (ja) 2013-06-12
WO2009084637A1 (ja) 2009-07-09
JPWO2009084637A1 (ja)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862B1 (ko) 칫솔
KR101640274B1 (ko) 칫솔 및 그 제조 방법
KR200493138Y1 (ko) 칫솔
JP4429471B2 (ja) 歯ブラシ
JP7199139B2 (ja) 歯ブラシ
JP4581716B2 (ja) 歯間清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63824B2 (ja) 口腔ケア器具用のフィラメント及び口腔ケア器具
KR101243431B1 (ko) 칫솔의 모선(毛先) 가공 방법
KR20160103982A (ko) 칫솔 및 전동 칫솔
CN103957744A (zh) 牙刷
JP7141374B2 (ja) ヘアブラシ
JP5178529B2 (ja) 歯ブラシ
KR20140063571A (ko) 칫솔용 모, 그 제조 방법 및 칫솔
JP2000004945A (ja) 歯ブラシ
KR101477326B1 (ko) 칫솔
JP2004208816A (ja) 歯ブラシ
JP5401162B2 (ja) 歯ブラシ用毛及び歯ブラシ
JP2009066050A (ja) 歯ブラシ
JP4097323B2 (ja) 歯ブラシ
JP2022088075A (ja) 歯ブラシ
JP3138318U (ja) 歯ブラシ
JP2003144227A (ja) 歯ブラシ
JP4515650B2 (ja) 歯ブラシ
JP2017143928A (ja) 口腔内用ブラシ
RU2267286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с эффективной конфигурацией щет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