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982A - 칫솔 및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및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982A
KR20160103982A KR1020167014740A KR20167014740A KR20160103982A KR 20160103982 A KR20160103982 A KR 20160103982A KR 1020167014740 A KR1020167014740 A KR 1020167014740A KR 20167014740 A KR20167014740 A KR 20167014740A KR 20160103982 A KR20160103982 A KR 20160103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toothbrush
group
central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모리구치
테츠야 아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38Bristles with non-roun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의 식모면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구멍에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식모면에는,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중앙 모속군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이 구비되고,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은 테이퍼모로 이루어지고, 식모 밀도가 3000개/㎠ 이상이고,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의 각 외측 모속군의 폭이, 상기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20%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중앙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 및 상기 외측 모속을 구성하는 상기 테이퍼모의 높이가 모두 8.5㎜ 이하이고, 상기 중앙 모속군의 식모 밀도가 400개/㎠ 이상, 100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칫솔 및 전동 칫솔{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 및 상기 칫솔을 구비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12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2013-270313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근래, 외출처(外出先)에서 양치를 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고, 포켓돌츠(파나소닉주식회사 상품명)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캡 부착이면서 지름이 작은 휴대용(전동) 칫솔의 발매가 눈에 띄고 있다. 이 경우, 브러시를 포함한 헤드부 높이, 폭 모두 캡 내에 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헤드부의 박육화나 모장(毛丈)(모의 높이)의 단축이 필수로 된다. 헤드부의 박육화는 지금까지도 검토되어 오고 있지만 (쿠리니카아도반테지하부라시(라이온주식회사 상품명) 등), 모의 높이의 단축에 관해서는 충분히 검토되고 있지 않다. 모의 높이를 단순하게 낮게 하면, 모의 굳기(硬さ)가 강하게 되어, 세부(細部)의 청소 곤란, 사용감 저하, 잇몸을 손상시켜 버린다. 그 때문에, 휴대용 칫솔에서는, 모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해, 코도모 하부라시(라이온주식회사 상품명)로 대표되는 바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칫솔의 모속의 배열로 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 현재의 상태이다.
양치할 때, 오염을 효율적으로 떨어뜨리기 위해서는 큰 지름의 거품보다 고운 거품쪽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인 식모부(植毛部) 사양(배열, 용모의 종류 포함하다)으로는 고운 거품의 생성은 어렵다.
치마제의 거품일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는, 식모 밀도 900∼3000개/㎠의 고밀도 식모 영역을 마련하는 것(특허 문헌 1 참조)이나 모속의 갯수를 줄이고, 또한 프로파일을 최적화한다는 기술(특허 문헌 2 참조)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느 종래 기술도 거품결의 고움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모의 높이를 낮게 한 경우, 모선(毛先)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기포(起泡)에 필요한 공기의 취입이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름다운 치아를 유지하는 것은 대인관계상 중요하고, 외출처에서도 스테인 제거 효과가 높은 칫솔이 요구된다. 스테인 제거 효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강한 모의 뻣뻣함(毛腰)이 필요하게 되지만, 일반적인 칫솔로 강한 모의 뻣뻣함을 달성할 수 있는 브러시로 모의 높이를 낮게 하면, 모선의 휘어짐이 불충분하게 된다. 모선의 휘어짐을 확보하기 위해, 식모구멍 배열을 성기게 하는 것(구멍 사이(식모구멍의 간격)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그 경우 식모 갯수가 감소하여 버려, 스테인 제거력을 발휘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13-04277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2003-25063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모의 높이 8.5㎜ 이하에서도 고운 거품일기와, 외관의 좋음, 쇄소(刷掃) 실감(實感), 또한 스테인 제거에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을 갖는 칫솔을 핸들부에 구비한 전동 칫솔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1] 목부(首部)의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구멍에 모속(毛束)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 모속군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은 테이퍼모(毛)로 이루어지고, 식모 밀도가 3000개/㎠ 이상이고,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의 각 외측 모속군의 폭이, 상기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20%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중앙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 및 상기 외측 모속을 구성하는 상기 테이퍼모의 높이가 모두 8.5㎜ 이하이고,
상기 중앙 모속군의 식모 밀도가 400개/㎠ 이상, 1000개/㎠ 이하인, 칫솔.
[2] 상기 중앙 모속군의 용모의 총 식모 갯수와 상기 외측 모속군의 상기 테이퍼모의 총 식모 갯수의 비가 0.05 이상, 0.25 이하인, [1]에 기재된 칫솔.
[3] 상기 중앙 모속군의 높이가 상기 외측 모속군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는, [1] 또는 [2]에 기재된 칫솔.
[4] 상기 용모의 단면(斷面)은 이형(異形) 단면인, [1]∼[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
[5] 상기 중앙 모속군의 모선(毛先) 모절(毛切) 형상은 파형(波形)인,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
[6] 상기 외측 모속은 하나의 식모구멍에서 외측이 내측보다도 짧고, 그 모장차(毛丈差)가 0.5∼1.5㎜인, [1]∼[5]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
[7] [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을 핸들부의 선단측에 구비하고 있는, 전동 칫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목부의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구멍에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 모속군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 모속군과 상기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어느 쪽의 용모도 모의 높이가 8.5㎜ 이하이고, 상기 외측 모속군의 용모는 테이퍼모이고, 3000개/㎠ 이상의 고밀도 식모이고,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의 각 외측 모속군의 폭이, 상기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20%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중앙 모속군의 식모 밀도가 400개/㎠ 이상, 100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상기 중앙 모속군의 용모의 총 식모 갯수와 상기 테이퍼모의 총 식모 갯수의 비가 0.05 이상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상기 중앙 모속군의 높이가 상기 외측 모속군의 높이보다 한 단계(一段) 낮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상기 중앙 모속은 이형 단면 용모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상기 중앙 모속군의 모선 모절 형상은 파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상기 외측 모속은 하나의 식모구멍에서 외측이 내측보다도 짧고, 그 모장차를 0.5∼1.5㎜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은, 앞서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칫솔을 핸들부의 선단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 및 외측 모속을 구성하는 테이퍼모의 높이를 모두 8.5㎜ 이하로 하여 일반적인 칫솔보다도 짧게 한 휴대용으로 알맞은 칫솔이고, 외측 모속군을 테이퍼모로 하고, 3000개/㎠ 이상의 고밀도 식모로 함에 의해, 모장을 짧게 한 중에서 치마제의 거품일기를 고운 거품일기로 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모로 이루어지고,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외측 모속군의 폭을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20∼30%로 함에 의해, 외측 모속군으로서의 필요 폭을 확보하여 닿는 느낌이 좋은 칫솔로 할 수 있고, 외측 모속군의 폭을 너무 크지 않도록 하여 테이퍼모의 움직임을 스무스하게 하여 모의 움직이기 쉬움에 우수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모속군의 식모 밀도를 400개/㎠ 이상, 1000개/㎠ 이하로 함에 의해, 모장을 짧게 한 중에서 충분한 스테인 제거력을 구비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중앙 모속군의 높이를 외측 모속군의 높이보다 한 단계 낮게 함에 의해, 닿는 느낌을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중앙 모속군의 용모의 단면을 이형 단면으로 함으로써 스테인 제거력을 높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면(斷面)」이란,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때의 단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외측 모속은 하나의 식모구멍에서 외측이 내측보다도 짧고, 그 모장차를 0.5∼1.5㎜로 함에 의해, 모선의 움직이기 쉬움이 더욱 향상하고, 치경부(齒頸部)로의 진입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칫솔은, 전동 칫솔용으로서 알맞고, 핸들부의 선단에 앞서의 칫솔을 구비함으로써, 휴대에 알맞은 전동 칫솔로서 모장을 짧게 한 중에서 치마제의 거품일기를 고운 거품일기로 하고, 거품일기성의 양호한 전동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칫솔로서 칫솔 부분에 캡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경우, 모장을 짧게 하여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성의 양호한 전동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칫솔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동 칫솔의 일부의 평면도.
도 3은 동 칫솔에서의 중앙 모속군의 모절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동 칫솔의 외측 모속군에 마련되는 테이퍼모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동 칫솔의 중앙 모속군에 마련되는 용모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동 칫솔을 구비한 전동 칫솔의 한 예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실시례에서 이용한 칫솔의 한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 방향이란, 축선(L)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이란, 축선(L)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을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목부(2)의 선단측에 폭이 좁은 판형상의 헤드부(3)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부(3)는, 목부(2)의 축선(L)에 따라 연재되는 개략 장방형 판형상이고, 그 일면측의 식모면(3A)에 헤드부의 길이 방향(축선(L)과 평행한 방향)에 따라 복수의 식모구멍(5, 6)이 형성되고, 이들의 식모구멍(5, 6)에 용모가 식설되어, 모속군(7, 8)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3)는 한 예로서 길이 15㎜ 이상, 20㎜ 이하 정도, 굵기 2.0㎜ 이상, 4.0㎜ 이하 정도, 폭 7.5㎜ 이상, 10.5㎜ 이하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헤드부에서의 식모 영역의 길이(즉, 선단측의 모속 언저리(生え際)로부터 목부측의 모속 언저리까지의 길이)는, 1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에 서의 식모 영역의 폭(즉, 양단측의 모속 언저리의 거리)은, 6.0∼9.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함에 의해 충분한 모속을 확보할 수 있다.
목부(2)와 헤드부(3)를 구성하는 재료는, 칫솔(1)에서 구하여지는 강성이나 기계 특성 등을 감안하여 선택되고, 예를 들면 휨 탄성률(JIS K7203)이 500MPa 이상 3000MPa 이하인 고경도(高硬度) 수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경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폴리아세탈(POM)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POM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수지는, 일종 단독이라도 좋고,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사용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헤드부(3)에서, 그 폭방향의 양측(헤드부(3)의 양측의 장변(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소정의 간격으로 헤드부(3)의 길이 방향에 따르도록 복수(도 1의 예에서는 5개)의 외측 식모구멍(5)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외측 식모구멍(5)에는, 평선(平線) 등을 사용한 식모 수단에 의해 테이퍼모(10)가 식모되고, 각 외측 식모구멍(5)에 테이퍼모(10)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11)이 형성되고, 5개의 외측 모속(11)에 의해 헤드부(3)의 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외측 모속군(7)이 구성되어 있다. 외측 모속(11)은 길이 방향으로 1열이라도 좋고, 2열 이상이라도 좋다.
헤드부(3)의 폭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 식모구멍(5)의 직경은, 헤드부(3)의 횡폭(橫幅)에 대해, 20% 이상, 30%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5% 이상, 28%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서, 각 외측 모속(11)의 폭이, 헤드부(3)의 횡폭에 대해 20% 이상, 30%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테이퍼모(10)의 집합체인 외측 모속(11)의 높이가 4.5㎜ 이상, 8.5㎜ 이하이고 일반적인 칫솔보다도 짧은 모장인 것에 기인하고,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좋게 함과 함께, 치경(齒頸)의 쇄소감, 치마제의 결이 고운 거품일기 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범위이다.
외측 식모구멍(5)의 직경이 헤드부(3)의 횡폭에 대해 20% 미만에서는, 잇몸에의 닿는 느낌이 나쁘다. 외측 식모구멍(5)의 직경이 30%를 초과하여 너무 크면 외측 식모구멍(5)에 식설된 테이퍼모(10)의 모의 움직임이 나빠진다.
테이퍼모(10)의 한 예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의 테이퍼모(10)에서는, 개략 원주형상이고, 기부(10a)로부터 그 선단부(10b)를 향하여 그 지름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식모구멍(5)의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테이퍼모(10)의 길이(모장)는 개략 동일 길이로 되어 있다.
헤드부(3)에서, 외측 모속(11, 11)의 사이의 영역, 즉, 헤드부(3)의 폭방향에서 외측 모속(11, 11)에 끼여진 영역(이하, 「폭방향의 중앙측」이라고도 한다)에는, 헤드부(3)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이 간격을 두고 중앙 식모구멍(6)이 복수열(도 1의 예에서는 3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중앙 식모구멍(6)에는, 평선 등을 사용한 식모 수단에 의해 성형(星形) 단면 형상 등의 이형 단면을 갖는 스트레이트모로 이루어지는 용모(12)가 식모되고, 각 중앙 식모구멍(6)에 용모(12)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13)이 형성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모란, 선단의 둥근 부분(선단부의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있는 부분) 이외는 그 단면 형상 및 단면적이 거의 동일한 용모이다. 이형 단면이란, 용모(12)의 단면의 형상이 엔 이외의 형상인 것을 의미한다. 도 5에 성형 단면의 스트레이트모로 이루어지는 용모(12)의 한 예를 도시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3)의 폭방향의 중앙측에 정렬(整列) 형성되어 있는 중앙 모속(13)에 의해 중앙 모속군(8)이 구성되어 있다.
중앙 모속(13)은 3열 이상이라도 좋고, 3열 미만이라도 좋다. 3열 이상인 경우는 지그재그형상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모(12)의 단면 형상은, 성형, 3엽(葉)의 클로버형, 4엽의 클로버형 등의 이형 단면 형상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의 단면 형상으로 한하는 것이 아니고, 원형,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등) 등의 단면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테이퍼모라도 좋다. 테이퍼모에 관해서는 외측 모속(11)의 설명에서 든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테이퍼모(10) 또는 용모(12)의 구성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예 : 6-12나일론, 6-10나일론), 폴리에스테르(예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예 : 폴리프로필렌), 일래스토머(예 : 올레핀계, 스티렌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의 합성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테이퍼모(10) 또는 용모(12)는, 심부(芯部)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시스(sheath)부를 갖는 다중심(多重芯) 구조라도 좋다.
테이퍼모(10)의 가장 굵은 부분의 굵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는,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3mil 이상, 5mil(1mil=1/1000inch=0.025㎜)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3mil 미만의 테이퍼모에서는 모의 밀집도가 너무 높아서 테이퍼모가 움직이기 어렵게 된다. 5mil을 초과한 굵기의 테이퍼모에서는, 후술한 고밀도 식모를 실현할 수가 없다. 테이퍼모(10)의 굵기가 3∼5mil의 범위라면,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보다 양호하게 함과 함께, 하나의 외측 식모구멍(5)에 식모할 수 있는 갯수를 많게 할 수가 있어서, 용이하게 고밀도 식모로 할 수 있다. 여기서 고밀도 식모란, 3000개/㎠ ∼12000개/㎠로 식모된 상태인 것이다.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는, 전부가 같은 굵기라도 좋고, 2종 이상이 다른 굵기의 용모가 조합되어도 좋다.
용모(12)의 굵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테인 제거와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굵기 7mil 이상, 9mil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굵기에 있어서 7∼9mil의 범위라면, 스테인 제거에 유효한 모의 뻣뻣함 강도의 용모(12)를 얻을 수 있다.
테이퍼모(10)의 모장(식모구멍(5)의 개구부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4.5㎜ 이상, 8.5㎜ 이하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7.5㎜ 이하의 범위로 형성된다. 테이퍼모(10)의 모장의 한 예로서 6.0㎜를 채용할 수 있다.
용모(12)의 모장은, 테이퍼모(10)와 동등 또는 테이퍼모(10)보다도 약간 짧은 모장으로 할 수 있다. 용모(12)를 테이퍼모(10)보다 짧게 하는 경우, 8.5㎜ 이하, 4.5㎜ 이상의 범위에서 테이퍼모(10)보다 짧은 값을 선택할 수 있다.
테이퍼모(10)와 용모(12)에서 모장이 4.5㎜를 하회하면, 모의 움직임과 닿는 느낌이 나빠지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장이 4.5㎜ 미만에서는, 헤드부(3)의 두께의 밸런스가 나쁘고, 외관이 양호하지가 않다.
테이퍼모(10)와 용모(12)에서 높이의 비는, [테이퍼모의 높이]/[용모(12)의 높이]로 나타내어, 1.0∼2.0이 바람직하고, 1.0∼1.2가 보다 바람직하다.
테이퍼모(10)의 모속은 하나의 식모구멍에서 외측이 내측보다도 짧고, 그 모장차를 0.5∼1.5㎜로 함에 의해, 모선의 움직이기 쉬움, 경부로의 진입성이 향상한다. 모속의 외측이란, 모속의 단면적을 100면적%로 하였을 때에, 모속의 주연부로부터 0∼50%의 영역을 차지하는 모속의 부분이고, 모속의 내측이란, 모속의 단면적을 100면적%로 하였을 때에, 모속의 중심부로부터, 0∼50%의 영역을 차지하는 모속의 부분이다.
테이퍼모(10)의 식모 밀도(외측 모속(11)의 식모 밀도)는, 치마제의 고운 거품일기를 얻기 위해, 3000개/㎠ 이상의 고밀도 식모로 할 필요가 있고, 3500개/㎠ 이상의 고밀도 식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모(10)의 식모 밀도의 상한은, 12000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 밀도를 너무 높게 하면, 테이퍼모(10)가 움직이기 어렵게 되고, 치경부에 대한 진입성 등, 테이퍼모 본래의 특징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식모 밀도가 3000개/㎠ 미만에서는, 고운 거품이 일기 어려워진다.
또한, 중앙 모속군(8)의 식모 밀도를 400개/㎠ 이상, 1000개/㎠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군(8)의 식모 밀도를 400개/㎠ 미만에서는 스테인 제거력이 부족하고, 1000개/㎠를 초과하는 식모 밀도에서는, 닿는 느낌이 나빠진다.
중앙 모속군(8)의 식모 밀도를 700개/㎠ 이상, 1000개/㎠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식모 밀도의 계산은, 중앙 식모 밀도=중앙 총 식모 갯수/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 외측 식모 밀도=외측 총 식모 갯수/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의 2식으로부터 계산된다.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이란, 중앙 모속군(8)의 식모 면적인 것이고, 중앙 모속군(8)을 구성하는 중앙 모속(13)을 둘러싸도록, 식모구멍의 외주를 접선으로 연결한 영역의 면적을 의미한다. 즉, 중앙 식모구멍(6)의 면적과 중앙 식모구멍(6) 주변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면적인 것이다.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은, 식모면(3A)의 총 면적을 100면적%로 하였을 때에, 30∼50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이란, 외측 모속군(7)의 식모 면적인 것이고, 외측 식모구멍(5)의 면적의 합계를 의미하고, 각 외측 모속군(7)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11)을 둘러싸도록, 식모구멍의 외주를 접선으로 연결한 영역의 면적의 합계를 의미한다. 즉, 외측 식모구멍(5)의 면적과 외측 식모구멍(5) 주변의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의 면적인 것이다.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은, 식모면의 3A의 총 면적을 100면적%로 하였을 때에, 50∼65면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서, 중앙 모속군(8)의 용모(12)의 총 식모 갯수와 외측 모속군(7)의 테이퍼모(10)의 총 식모 갯수의 비가, [중앙 모속군(8)의 용모(12)의 총 식모 갯수]/[외측 모속군(7)의 테이퍼모(10)의 총 식모 갯수]로 나타내어, 0.05 이상, 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 갯수비=내측 총 식모 갯수/외측 총 식모 갯수의 관계가 된다.
이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잇몸에의 닿는 느낌의 좋음과 스테인 제거력을 얻을 수 있다. 닿는 느낌의 보다 좋은 범위로서, 총 식모 갯수의 비에 있어서, 0.05 이상, 0.15 이하, 스테인 제거력의 보다 좋은 범위로서, 총 식모 갯수의 비에 있어서, 0.09 이상, 0.20 이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서, 중앙 모속군(8)의 식모 면적과 외측 모속군(7)의 식모 면적비는, [중앙 모속군(8)의 식모 면적]/[외측 모속군(7)의 식모 면적]으로 나타내고 0.9 이하의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 제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0.50∼0.9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70∼0.9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모 면적비가 0.5 미만에서는 충분한 스테인 제거성을 얻을 수가 없고, 0.90을 초과하면 닿는 느낌이 나빠진다.
중앙 모속(13)의, 종단면(縱斷面), 즉, 축선(L)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절단한 때의 단면의 형상(이하, 모선 모절(毛切) 형상이라고도 한다)에 관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삼각파형(이하 「파형」이라고도 하다)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군(8)의 종단면을 삼각파형으로 함에 의해, 스테인 제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 때, 가장 모장이 높은 용모와, 가장 모장이 낮은 용모의 차는 0.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삼각형의 정점(頂点)의 각도는 8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헤드부에 삼각형의 정점이 3∼8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군(8)의 종단면을 파형으로 하였을 때, 중앙 모속군(8)에서의 가장 높은 용모(볼록부의 용모)와, 외측 모속군(7)에서의 용모와의 모의 높이와의 차가 1∼3㎜인 것이 바람직하고, 중앙 모속군(8)에서의 가장 낮은 용모(오목부의 용모)와, 외측 모속군(7)에서의 용모와의 모의 높이와의 차가 1.5∼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 모속군(8)의 종단면을 파형으로 하였을 때, 중앙 모속군(8)에서의 용모(12)의 선단의 형상은 모서리가 모따기되어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모(10), 용모(12)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식모구멍에 평선을 타입하는 방법, 열융착하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평선을 타입하는 방법에서는, 용모를 복수개 묶어서 2개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이라고 불리는 빠짐방지 구(具)를 끼우고 식모구멍에 타입함에 의해, 모속을 각 식모구멍에 식모한다.
평선은, 식모구멍의 중심부를 통과하고, 또한, 식모구멍을 넘도록 식모구멍에 타설된다. 평선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진유(眞鍮)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들 수 있고, 그 밖에도 경질 플라스틱이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평선의 길이나 폭, 굵기는, 모속이나 식모구멍에 맞추어서 임의로 조정하면 좋지만, 통상, 평선의 길이는 식모구멍의 직경보다도 크고, 평선의 폭은 식모구멍의 깊이보다도 작게 된다. 또한, 평선의 굵기를 조절함에 의해, 모속을 식모구멍 내에 확실하게 고정하여 공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평선은, 식모구멍으로부터의 빠짐을 막기 위해, 식모구멍의 양측에서 비어져 나온 부분의 길이의 합계가 0.3∼0.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칫솔(1)은, 칫솔의 개요를 도시하는 모델적인 사시도이고, 외측 모속(11)을 구성하는 테이퍼모(10), 중앙 모속(12)을 구성하는 용모(12)를 전부 완전 동일한 길이로서 그리고 있지만, 평선을 사용한 식모 방법등에 의하면, 식모 후 테이퍼모(10)끼리, 용모(12)끼리가 완전하게 균일 모장이 되는 것은 아니고, 약간 길이가 고르지 않게 되어도 좋다. 또한, 식모 후, 테이퍼모(10), 용모(12) 모두 식모면(3A)에 대해 완전하게 수직이 된 것은 아니고, 약간 식모구멍(5, 6)으로부터 약간 외측에 벌어지도록 식모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의 칫솔(1)이라면, 중앙 모속군(8)과 외측 모속군(7)의 어느 용모도 모의 높이를 8.5㎜ 이하로 하여 일반적인 칫솔보다도 짧게 한 휴대용으로 알맞은 칫솔(1)로서, 외측 모속군(7)을 테이퍼모(10)로 구성하고, 3000개/㎠ 이상의 고밀도 식모함에 의해, 치마제의 거품일기를 고운 거품일기로 할 수 있다.
중앙 모속군의 높이를 외측 모속군의 높이보다도 낮게 함에 의해, 닿는 느낌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모속군(7)을 테이퍼모(10)로 구성하고, 헤드부(3)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외측 모속군(7)의 폭을 헤드부(3)의 횡폭에 대해 20∼30%의 범위로 함에 의해, 외측 모속군(7)으로서의 필요 폭을 확보하여 닿는 느낌이 좋은 칫솔(1)로 할 수 있고, 테이퍼모(10)의 움직임을 스무스하게 할 수 있다.
헤드부의 폭방향의 단부(湍部)로부터 각 외측 모속군(7)까지의 거리를 0.5∼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칫솔에서, 중앙 모속군(8)에서의 용모(12)의 총 식모 갯수와 외측 모속군(7)의 테이퍼모(10)의 총 식모 갯수의 비를, [용모(12)의 총 식모 갯수]/[테이퍼모(10)의 총 식모 갯수]로 나타내고, 0.05 이상, 0.25 이하로 함에 의해, 중앙 모속군(8)의 용모(12)의 수를 확보하고, 스테인 제거에 유효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외측 식모구멍(5)의 크기는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2.0∼2.6㎜이다.
중앙 식모구멍(6)의 크기는 각각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1.0∼1.4㎜이다.
중앙 식모구멍(6)의 직경과 외측 식모구멍(5)의 직경과의 비는, [중앙 식모구멍(6)의 직경]/[외측 식모구멍(5)의 직경]로 나타내고, 0.4∼0.7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13)의 중심부부터 가장 근접하는 중앙 모속(13)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는,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13)의 중심부부터 가장 근접하는 외측 모속(11)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는, 2.0∼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모속군(8)에서의 중앙 모속(13)의 총 속수(束數)와 외측 모속군(7)에서의 외측 모속(11)의 총 속수와의 비는, [중앙 모속(13)의 총 속수]/[외측 모속(11)의 총 속수]로 나타내고, 1.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진동하는 전동 칫솔에 적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라이온(주)사제의 덴타시스테마 음파(音波) 어시스트 브러시의 브러시 부분에 실시례 1∼7의 칫솔을 통하고, 전기적인 구동에 의해 진동시키면서 이용한 경우, 거품일기가 보다 빨라짐과 함께 거품 지름이 보다 작아지고, 거품일기성이 보다 향상한다. 또한, 스테인 제거 효과도 향상한다.
전동 칫솔(20)로서는, 한 예로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筒型)의 핸들부(21)의 내부에, 전지(25)와, 각 부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도시 생략)가 수밀(水密)로 내장되고, 핸들부(21)의 선단측의 내부에, 초음파 진동이나 음파 진동 등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27)가 내장되고, 핸들부(21)의 후단 개구부측에 전지 출입용의 캡(A28)을 구비하고, 핸들부(21)의 일부에 조작 버튼을 마련한 것이 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휴대성을 고려하여, 도 6에 도시하는 통형의 캡(B30)을 핸들부(21)의 선단측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지(25)는, 1차 전지(예를 들면, 단(單)3 또는 단4의 건전지)라도 좋고, 2차 전지(예를 들면, 니켈카드늄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온 전지)라도 좋다.
제어 회로는, 전지(25)와 접속되고, 핸들부(21)에 마련된 조작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한 때에, 그 조작에 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진동자에의 전력 공급, 및 진동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진동자(27)는, 배선을 통하여 상기 핸들부(21) 내의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력이 공급된 때에 진동하는 것이다.
또한, 전동 칫솔(20)은, 상기 제어 회로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조작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한 때에, 전지로부터 진동자로 전력을 직접 공급하고, 진동자가 구동하도록 되어도 좋다.
핸들부(21)의 선단측에는 끝이 오므라드는 형상의 연결부(21a)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21a)의 선단부에 칫솔(1)의 목부(2)의 기단(基端)(2b)에 연결하기 위한 금속제의 접속 핀(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단(2b)의 하단면에는 상기 접속 핀(21b)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구멍에 접속 핀(21b)을 삽입함으로써, 칫솔(1)이 핸들부(21)에 대해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칫솔(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우수한 작용 효과를 이루는 칫솔(1)이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칫솔(20)에 적용한 경우, 휴대용으로 알맞은 전동 칫솔(20)에서, 외측 모속군(7)을 테이퍼모(10)로 구성하고, 3000개/㎠ 이상의 고밀도 식모에 함에 의해, 치마제의 거품일기를 고운 거품일기로 할 수 있다. 모장을 8.5㎜ 이하로 짧게 한 중에서 테이퍼모(10)에 의한 치경부로의 진입성에 우수한 치경부 쇄소 실감이 우수한 전동 칫솔(2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모(10)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7)의 폭을 헤드부(3)의 횡폭에 대해 20∼30%로 함에 의해, 외측 모속군(7)으로서의 필요 폭을 확보하여 외관의 소모감(疎毛感)이 생기는 일이 없는 전동 칫솔(20)로 할 수 있고, 외측 모속군(7)의 폭을 너무 크지 않도록 하여 테이퍼모(10)의 움직임을 스무스하게 하여 치경에의 닿는 느낌이 좋은 치경 청소성에 우수한 전동 칫솔(20)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동 칫솔(20)에서, 진동시키면서 외측 모속(13)을 치경부에 댄 경우, 수동에 의한 조작시보다도 외측 모속(13)에 의한 쇄소감이 강해지기 때문에, 전동 칫솔(20)로서 이용한 경우라도, 테이퍼모(10)의 움직임이 스무스하고 치경부에의 닿음을 저해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치경부 쇄소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중앙 모속(13)을 구성하는 중앙 식모구멍(6)을 외측 식모구멍(5)보다도 작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치경부에의 닿는 닿는 느낌이 좋음과 치경부의 청소성 향상을 양립할 수 있는 전동 칫솔(2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모속군(8)의 용모의 총 식모 갯수와 외측 모속군(7)의 테이퍼모(10)의 총 식모 갯수의 비를 [중앙 모속군(8)의 용모의 총 식모 갯수]/[외측 모속군(7)의 테이퍼모(10)의 총 식모 갯수]로 나타내어, 0.05 이상, 0.25 이하로 함에 의해, 중앙 모속군(7)의 용모(12)의 수를 확보하고, 스테인 제거에 유효한 전동 칫솔(20)을 제공할 수 있다.
전동 칫솔(20)에서, 캡(30)을 핸들부(21)에 장착함에 의해 칫솔(1)을 덮어 감출 수 있고, 이에 의해 휴대성에 우수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백이나 가방, 파우치 등에 수용한 경우에 칫솔(1)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캡이 원통상인 경우는, 캡(30)의 직경(캡의 외측에서 측정한 직경)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여성이 립스틱 등의 화장품과 함께 파우치에 수용하는 것을 상정하면, 립스틱 등의 직경에 비하여 휴대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감안하고, 캡(30)의 직경은 φ14∼φ2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캡(30)의 직경, 캡(30)의 주벽의 두께, 칫솔(1)의 헤드부(3)의 두께 3㎜ 정도를 고려하면, 테이퍼모(10)의 모장은 칫솔(1)의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4.5㎜ 이상 8.5㎜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밖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칫솔(1)을 구비함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캡의 형상이 직방체형상의 경우는, 폭이 9.0∼20㎜, 깊이가 12∼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례
표 1에 기재된 사양에 따라, 도 7에 도시하는 형상의 칫솔을 시작(試作)하였다.
시작한 칫솔에서, 표 1에 표시하는 직경의 외측 식모구멍을 헤드부(길이 18.95㎜, 폭 8.7㎜, 굵기 3.5㎜)의 양측에 등간격으로 5개씩, 인접하는 외측 식모구멍간의 간격을 3.20(중심 사이 거리)㎜로서, 합계 10개, 또는 12개(실시례 7)의 외측 식모구멍을 형성하였다. 이들 외측 식모구멍에 표 1에 표시하는 식모 밀도로 테이퍼모(표 1에 ST로 기재)를 모장이 6㎜가 되도록 평선을 사용하여 식모하였다. 표 1에, 용모 지름, 외측 식모 영역의 면적, 외측 식모 밀도, 모선 모절 형상(프로파일)을 기재하였다. 실시례 8의 프로파일 1.0㎜는 식모구멍에서 외측이 내측보다도 짧고, 그 모장 차가 1.㎜이다.
[표 1]
또한, 중앙 식모구멍으로서 표 1에 표시하는 직경의 중앙 식모구멍을 헤드부의 중앙측에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의 중앙 식모구멍 6개, 내측의 중앙 식모구멍 5개, 외측의 중앙 식모구멍 6개, 합계 17개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하였다. 지그재그형상이란, 축선(L) 방향으로 나열하는 특정한 열에서의 중앙 식모구멍의 피치의 반분의 위치에, 옆의 열의 중앙 식모구멍을 나열한 배치를 의미한다.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한 경우,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인접하는 중앙 식모구멍 사이의 간격 1.6㎜, 헤드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중앙 식모구멍의 열 간격은 0.9㎜로 하였다. 헤드부의 폭방향에 따른 외측 식모구멍의 간격(중심 사이 거리)를 4.90㎜, 헤드부 선단 위치에 나열하는 2개의 중앙 식모구멍에서 헤드부 선단 중앙부터의 이간 거리는 2.35㎜로 설정하였다.
이들 중앙 식모구멍에 표 1에 표시하는 식모 밀도로 스트레이트모(횡단면 5엽형 : 성형)을 모장이 5㎜가 되도록 평선을 통하여 식모하였다. 표 1에, 중앙 식모구멍의 직경, 용모경, 중앙 식모 영역의 면적, 중앙 식모 밀도, 모선 모절 형상(프로파일)을 기재하였다. 표 중, 「잔물결」이란 모선 모절 형상이 삼각파형(최장 모장(파(波)의 정부(頂部)까지의 길이)이 5㎜이고, 최단 모장(파의 저부까지의 길이)과 최장 모장과의 모장차가 1.0∼1.5㎜)이다)인 것을 나타내고, 「플랫」이란 모선 모절 형상이 수평인 것을 의미한다.
비교례로서, 표 2에 표시하는 각 사양에 의거하여 칫솔을 제작하였다. 실시례의 칫솔과 비교례의 칫솔을 이용하여, 이하의 평가 시험을 행하고, 각 시험 결과를 표 1과 표 2에 병기하였다.
<거품의 결 평가 시험>
라이온주식회사제 브러싱 머신에 각 실시례 및 각 비교례의 칫솔을 세트하고, 또한 쇄소판(刷掃板)에 1g의 치마제와 2배량의 물을 싣고, 브러싱력(力)=200g, 60회 쇄소하였다. 브러싱 후, 거품을 회수하고, 랜덤하게 20개의 거품의 직경을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거품의 직경이 작을수록, 고운 거품이 만들어졌다. 표 중의 수치는 거품의 직경(㎜)을 나타낸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 : 20개의 거품의 평균의 직경이 0.12㎜ 미만인 것
○ : 20개의 거품의 평균의 직경이 0.12㎜ 이상 0.16㎜ 미만인 것
△ : 20개의 거품의 평균의 직경이 0.16㎜ 이상 0.20㎜ 미만인 것
× : 20개의 거품의 평균의 직경이 0.20㎜ 이상인 것
[표 2]
Figure pct00002
<모의 움직이기 쉬움의 평가 시험>
전문가 패널 10인에 의한 관능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칫솔의 모의 움직이기 쉬움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4점 : 칫솔의 모가 충분히 휘어지고, 매우 모가 움직이고 있는 느낌이 든다.
3점 : 칫솔의 모가 휘어지고, 모가 움직이고 있는 느낌이 든다.
2점 : 칫솔의 모가 휘어지기 어렵고, 모의 움직임을 느끼기 어렵다.
1점 : 칫솔의 모가 휘어지지 않고, 모의 움직임이 느껴지지 않는다.
10명의 평가 결과를 평균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 및 ○의 칫솔의 모의 움직이기 쉬움이 확보되는 것을 모의 움직이기 쉬움이 양호한 칫솔이라고 판단하였다.
◎ : 3.5점 이상 4.0점 이하
○ : 3.0점 이상 3.5점 미만
△ : 2.0점 이상 3.0점 미만
× : 2.0점 미만
<스테인 제거 평가 시험>
1. 스테인 부착 HAP의 제작 방법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펠릿(HAP) 표면(HOYA주식회사제, 직경 7㎜×두께 3.5㎜)을 샌드 블라스트로 처리 후, 중성세제 수용액 중, 초음파 세정기로 세정하였다. 30% 인산 수용액에 표면을 에칭(10분간), 수세하고, 자연 건조시켰다. 상기의 HAP에 대해, 0.5% 알부민 수용액 → 타닌 추출액 → 0.6% 구연산철(Ⅲ)암모늄 수용액으로 1시간씩 반복 침지하는 조작을 50회 반복하고, 상온에서 1일 풍건한 후, 유수(流水)로 세정하고, 재차 풍건하여 스테인 부착 HAP를 제작하였다.
또한, 타닌 추출액은, 비등시킨 이온 교환수 1200㎖ 중에, 일본차(종목 : 노송(老松)) 50g, 홍차(유니리바·재팬주식회사제, 부리스쿠 티 백) 5봉투, 인스턴트 커피(상품명 네스카페, 네슬레 일본주식회사제) 12g를 넣고 하룻밤 방치하고, 일본차 및 홍차를 여과하여 제거하여 제작하였다. 제작한 스테인 부착 HAP의 표면의 색을 분광식 색차계(일본전색공업주식회사제, 형식 : SE-2000)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값을 L1이라고 하였다.
2. 스테인 제거 시험
1g의 치마제 조성물을 2배량의 정제수로 희석하여, 치마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타닌철 스테인 부착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펠릿을 치마 분산액에 침지하고, 각 실시례 및 각 비교례의 칫솔에 관해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라이온주식회사제 브러싱 머신에 각 실시례 및 각 비교례의 칫솔을 세트하고, 브러싱력=200g, 20회 브러싱 후의 HAP의 Lab값(L2)을 측정하였다. 하기 식에 의거하여 스테인 제거량을 산출하였다.
타닌철 스테인 제거량 =L2-L1
스테인 제거량으로부터 하기한 기준에 따라 스테인 제거 효과를 평가하였다. 표중의 수치는 스테인 제거량을 나타낸다.
스테인 제거 효과의 평가 기준
◎ : 스테인 제거량 12 이상
○ : 스테인 제거량 9 이상 12 미만
△ : 스테인 제거량 6 이상 9 미만
× : 스테인 제거량 6 미만
<닿는 느낌의 평가 시험>
전문가 패널 10인에 의한 관능 시험에 의해 평가하였다. 칫솔의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4점 :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매우 좋다.
3점 :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좋다.
2점 : 잇몸에, 약한 통증을 느낀다.
1점 : 잇몸에 강한 통증을 느낀다.
10명의 평가 결과를 평균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 및 ○의 닿는 느낌이 확보된 것을 닿는 느낌이 양호한 칫솔이라고 판단하였다.
◎ : 3.5점 이상 4.0점 이하
○ : 3.0점 이상 3.5점 미만
△ : 2.0점 이상 3.0점 미만
× : 2.0점 미만
<종합 평가>
◎ : 전부 ◎.
○. ○이 가장 낮은 평가.
△ : △가 가장 낮은 평가.
× : ×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표 1에 표시하는 결과로부터,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용모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테이퍼모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이 구비된 칫솔에 있어서, 중앙 모속군과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어느 용모도 모의 높이(모장)가 8.5㎜ 이하인 경우, 테이퍼모가 3000개/㎠ 이상의 고밀도 식모로서, 외측 모속군의 폭이,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20∼30%이고, 중앙 모속군의 식모 밀도가 400개/㎠ 이상, 1000개/㎠ 이하가 된 칫솔에서는,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즉, 치마제의 결이 고운 거품일기성, 모선의 움직이기 쉬움에 우수하고, 헤드부의 양측에 마련한 테이퍼모이 필요 충분한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에, 외측 모속군에 소모감이 없고, 외관에 우수하고, 중앙 모속군의 존재에 의해 스테인 제거성에 우수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해, 비교례 1의 칫솔은, 테이퍼모의 외측 식모 밀도가 3000개/㎠ 를 하회하는 2496개/㎠이기 때문에, 결이 고운 거품일기의 면에서 부족이 있다.
비교례 2의 칫솔은, 외측 식모구멍의 직경이 작고,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하나의 외측 모속군의 비율이 20%를 하회하는 18.4%의 칫솔인데, 외측 모속군의 폭이 작기 때문에 소모감에 이어지고, 외관이 좋은 면에서 뒤떨어졌다. 즉, 테이퍼모의 외측 식모 밀도가 3000개/㎠를 초과하여도, 외측 모속군의 폭이 작기 때문에 칫솔 전체를 본 경우의 소모감에 이어졌다. 또한, 외측 모속군의 폭이 작기 때문에 칫솔의 닿는 느낌이 나빴다.
비교례 3의 칫솔은, 외측 식모구멍의 직경을 헤드부 횡폭에 대해 34.5%로 크게 한 예인데,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하나의 외측 모속군의 폭이 너무 커서, 테이퍼모의 움직이기 쉬움에 제한이 생겼다. 또한, 중앙 식모 밀도가 작아, 스테인 제거력이 부족하였다.
비교례 4의 칫솔은, 중앙 모속의 용모 및 외측 모속의 테이퍼모 모두 모장을 4.0㎜로 짧게 한 시료였다. 모장이 너무 짧은 경우, 헤드부의 횡폭에 대한 외측 모속의 폭이 바람직한 값이었고, 식모 갯수비가 바람직한 값이었다고 하여도, 모의 움직이기 쉬움은 소실되고, 외관의 좋은 것도 손상되고, 닿는 느낌도 나빠졌다.
비교례 5의 칫솔은, 중앙 식모 밀도가 1000개/㎠를 초과하여 너무 큰 예인데, 모의 움직이기 쉬움이 손상되고, 스테인 제거력도 부족하였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중앙 모속군과 외측 모속군의 어느 용모도 모의 높이를 8.5㎜이하로 하여 일반적인 칫솔보다도 짧게 한 휴대용으로 알맞은 칫솔로서, 외측 모속군을 테이퍼모로 하여, 3000개/㎠ 이상의 고밀도 식모로 함에 의해, 모장을 짧게 한 중에서 치마제의 거품일기를 결이 고운 거품일기로 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모로 이루어지고,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한 각 외측 모속군의 폭을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20∼30%로 함에 의해, 외측 모속군으로서의 필요 폭을 확보하여 닿는 느낌이 좋은 칫솔로 할 수 있고, 외측 모속군의 폭을 너무 크게 하지 않도록 하여 테이퍼모의 움직임을 스무스하게 하여 모의 움직이기 쉬움에 우수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모속군의 식모 밀도를 400개/㎠ 이상, 1000개/㎠ 이하로 함에 의해, 모장을 짧게 한 중에서 충분한 스테인 제거력을 구비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1 : 칫솔
2 : 목부
3 : 헤드부
3A : 식모면
5 : 외측 식모구멍
6 : 중앙 식모구멍
7 : 외측 모속군
8 : 중앙 모속군
10 : 테이퍼모
11 : 외측 모속
12 : 용모
13 : 중앙 모속
20 : 전동 칫솔
30 : 캡

Claims (7)

  1. 목부의 선단에 헤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형성된 복수의 식모구멍에 모속이 식설된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에는,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중앙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모속군과,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 모속군의 폭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측 모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모속군이 구비되고,
    상기 외측 모속군을 구성하는 외측 모속은 테이퍼모로 이루어지고, 식모 밀도가 3000개/㎠ 이상이고, 상기 헤드부의 폭방향의 양측의 각 외측 모속군의 폭이, 상기 헤드부의 횡폭에 대해 20%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중앙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 및 상기 외측 모속을 구성하는 상기 테이퍼모의 높이가 모두 8.5㎜ 이하이고,
    상기 중앙 모속군의 식모 밀도가 400개/㎠ 이상, 100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모속군의 용모의 총 식모 갯수와 상기 외측 모속군의 상기 테이퍼모의 총 식모 갯수의 비가 0.05 이상, 0.2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모속군의 높이가 상기 외측 모속군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모의 단면은 이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모속군의 모선 모절 형상은 파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모속은 하나의 식모구멍에서 외측이 내측보다도 짧고, 그 모장차가 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칫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을 핸들부의 선단측에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칫솔.
KR1020167014740A 2013-12-26 2014-12-18 칫솔 및 전동 칫솔 KR20160103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0313A JP6170835B2 (ja) 2013-12-26 2013-12-26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JPJP-P-2013-270313 2013-12-26
PCT/JP2014/083557 WO2015098695A1 (ja) 2013-12-26 2014-12-18 歯ブラシおよび電動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982A true KR20160103982A (ko) 2016-09-02

Family

ID=5347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740A KR20160103982A (ko) 2013-12-26 2014-12-18 칫솔 및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70835B2 (ko)
KR (1) KR20160103982A (ko)
CN (1) CN105828746B (ko)
WO (1) WO2015098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8191B1 (en) 2014-03-11 2024-0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JP6973900B2 (ja) * 2016-05-31 2021-12-01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EP3251548B1 (en) 2016-06-03 2024-0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lament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ES2795427T3 (es) * 2016-06-03 2020-11-23 Procter & Gamble Cabezal para un utensilio de cuidado bucal y utensilio de cuidado bucal
CN109414734A (zh) * 2016-07-19 2019-03-01 夏普株式会社 清洗器
US10251470B1 (en) 2017-10-10 2019-04-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US10869546B2 (en) 2017-10-10 2020-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uft and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US10869545B2 (en) 2017-10-10 2020-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lament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US11219302B2 (en) 2017-10-10 2022-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and oral care implement
WO2019190004A1 (ko) * 2018-03-29 2019-10-03 (주)상시 칫솔
USD883677S1 (en) 2018-12-13 2020-05-1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CN116616554A (zh) 2018-12-13 2023-08-22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器具
WO2020118602A1 (en) 2018-12-13 2020-06-1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961269S1 (en) 2020-07-31 2022-08-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N112972040A (zh) * 2021-02-08 2021-06-18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牙刷头及其制作方法
USD1024571S1 (en) 2022-06-17 2024-04-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1024572S1 (en) 2022-06-24 2024-04-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632A (ja) 2002-02-28 2003-09-09 Lion Corp 歯ブラシ
JP2013042776A (ja) 2011-08-22 2013-03-04 Lion Corp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2285B2 (ja) * 2006-04-21 2012-08-0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WO2008047492A1 (fr) * 2006-10-17 2008-04-24 Toshio Nishino Brosse à dents permettant un brossage simultané des deux arcades dentaires
JP5947480B2 (ja) * 2010-08-06 2016-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N202536508U (zh) * 2012-04-09 2012-11-21 山东省立医院 一种儿童专用牙刷
KR102047148B1 (ko) * 2012-05-01 2019-11-20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0632A (ja) 2002-02-28 2003-09-09 Lion Corp 歯ブラシ
JP2013042776A (ja) 2011-08-22 2013-03-04 Lion Corp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8695A1 (ja) 2015-07-02
JP6170835B2 (ja) 2017-07-26
CN105828746A (zh) 2016-08-03
JP2015123245A (ja) 2015-07-06
CN105828746B (zh)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3982A (ko) 칫솔 및 전동 칫솔
KR101786155B1 (ko) 칫솔
JP7199139B2 (ja) 歯ブラシ
KR101478862B1 (ko) 칫솔
KR101640274B1 (ko) 칫솔 및 그 제조 방법
CN105899102A (zh) 具有倾斜刷毛的牙刷
WO2011013739A1 (ja) 頭皮洗浄具
JP6385023B2 (ja) 歯ブラシ
JP2015526225A (ja) ヘアブラシ装置
CN103957744A (zh) 牙刷
KR20090060151A (ko) 칫솔 및 칫솔 제조방법
KR20140009167A (ko) 칫솔
JP6141835B2 (ja) 歯ブラシ
JP2020081854A (ja) ヘアブラシ
JP6117463B2 (ja) 歯ブラシ
KR20140063571A (ko) 칫솔용 모, 그 제조 방법 및 칫솔
KR20150136587A (ko) 칫솔
CN206659412U (zh) 牙刷
GB2544344A (en) Hair care device
WO2021131527A1 (ja) 歯ブラシ
KR20180127964A (ko) 칫솔
JP2002345556A (ja) 歯ブラシ
JP7162409B2 (ja) 歯ブラシ
JP2020080880A (ja) ヘアブラシ
JP6452220B2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