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167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167A
KR20140009167A KR1020137011544A KR20137011544A KR20140009167A KR 20140009167 A KR20140009167 A KR 20140009167A KR 1020137011544 A KR1020137011544 A KR 1020137011544A KR 20137011544 A KR20137011544 A KR 20137011544A KR 20140009167 A KR20140009167 A KR 2014000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bristle
bristle bundle
toothbrush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460B1 (ko
Inventor
유카리 야마모토
테츠야 아베
히로유키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4Preparing bristles
    • A46D1/05Splitting; Point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3Bristles with at least a core and at least a partial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이 식모된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 연속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이 헤드부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식모 영역의 길이의 25 내지 75%의 영역에만, 이 헤드부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식모 영역의 중심선을 끼우고 인접하는 모속끼리가, 이 식모 영역에서의 상기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15 내지 70%의 거리로 이간하여 배치된 모속 이간 식모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모속 이간 식모부는, 모속이 존재하는 영역이 이 헤드부의 기단측으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과 플라그의 소취성(搔取性)을 양립할 수 있으면서, 사용감에 우수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0년 10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0-244013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치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경부(齒頸部)의 청소가 중요한 것이 알려져 있다. 칫솔에 의한 치경부의 청소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치경부에의 모선(毛先) 진입성이 높을 것, 치경부에 진입한 모선에 의한 플라그의 소취성(搔取性)이 높을 것이 요구된다.
치경부에의 모선의 진입성을 높인 칫솔로서, 모선을 선예화(先銳化)한 용모(用毛)를 이용한 칫솔이 알려져 있다. 또한, 모속(毛束)을 식모하는 식모 구멍의 피치를 전체적으로 확대하여, 모속의 물리적인 간격을 크게 한 칫솔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단지 식모 구멍의 피치를 넓히는 것만으로는, 모속의 탄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치경부에 진입한 플라그의 소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는데다가, 모속의 밀도가 낮아져서, 칫솔로서의 사용감을 크게 손상시키는 일이 있다.
특허 문헌 1 내지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칫솔은, 목적에 응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식모된다.
즉, 특허 문헌 1에는, 어금니의 정상 면 및 측면에 모속의 선단을 도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헤드부 선단이면서 칫솔 폭방향의 중앙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선단측이 개구한 개략 U자형상으로 모속이 식모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치아와 치아의 간극으로의 모선의 진입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식모 영역의 중앙에 복수의 무식모부(無植毛部)를 마련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각각인의 구강 내 상황에 적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식모 영역의 중앙에 무식모부를 하나 마련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구강 내의 자정(自淨) 작용이 없는 영역을 닦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식모 영역의 기단측이 개구한 V자형상으로 모속이 식모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4에 기재된 칫솔은, 치면(齒面) 청소시의 사용감이 불충분하였다.
특허 문헌 2 및 3에 기재된 칫솔은, 치경부에의 모속의 모선의 진입성이 불충분하였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개평7-4499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7-25552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3-289944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142558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과 플라그의 소취성을 양립할 수 있으면서, 사용감이 우수한 칫솔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과 플라그의 소취성을 양립할 수 있으면서, 사용감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양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의 양태는,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이 식모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설(延設)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기단(基端)부터 선단을 향하는, 식모 영역의 길이의 25 내지 75%의 영역에만, 상기 헤드부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식모 영역의 중심선을 끼우고 인접하는 모속끼리가, 상기 식모 영역에서의 상기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15 내지 70%의 거리로 이간하여 배치된 모속 이간 식모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모속 이간 식모부는, 모속이 존재하는 영역이 상기 헤드부의 기단측으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태는, 상기 제 1의 양태에서, 상기 모속 이간 식모부가,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를 구비하고 있는 칫솔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양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양태에서, 상기 모속 이간 식모부가,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의 표피부에 의해 구성된 다중심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구비하고 있는 칫솔이다.
본 발명의 제 4의 양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양태에서, 상기 모속 이간 식모부가, 복수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구비하고 있는 칫솔이다.
본 발명의 제 5의 양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모속이 식모된 식모 구멍의 일부 또는 전부의 직경이 1.0 내지 1.3㎜의 범위에 있는 칫솔이다.
본 발명의 칫솔은,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과 플라그의 소취성을 양립할 수 있으면서, 사용감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칫솔에서의 식모 영역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a는 완충부를 갖지 않는 종래의 칫솔에 의한 양치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는 모식도.
도 3b는 본원의 한 실시 형태인 완충부가 형성된 칫솔에 의한 양치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는 모식도.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은, 모속(11)이 식모된 헤드부(10)와, 헤드부(10)에 연속된 긴 치수 형상의 핸들부(20)를 구비한다.
칫솔(1)에서, 헤드부(10) 및 핸들부(20)는, 전체로서 긴 치수 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수지를 재료로 하고 사출 성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칫솔(1)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 특성 등을 감안하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휨 탄성율(JIS K7203)이 500 내지 3000MPa의 범위에 있는 고경도 수지를 이용함에 의해, 칫솔(1)에 필요하게 되는 기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경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복수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20)에서는, 파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일래스토머 등의 유연한 수지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식모 영역(12)에는,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11)이, 격자 배열의 식모 구멍(13)에 식설되어 있다.
여기서, 식모 영역(12)은, 최외측의 각 식모 구멍(13)의 구멍언저리(穴緣)의 최외 부분을 연결한 때에 얻어지는 가상선(A)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영역이다. 이 가상선(A)은 인접하는 식모 구멍(13)끼리의 접선을 구성한다.
식모 영역(12)은, 헤드부(10)의 기단측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배치된 모속 이간 식모부(12a)와, 모속 이간 식모부(12a)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된 앞부분(前部) 식모부(12b)를 갖는다.
여기서, 모속 이간 식모부(12a)란,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식모 영역(12)의 중심선(B)을 끼우고 인접하는 모속(11)끼리가 이간하여 배치된 부분이다(도 2에서는, 중심선(B)을 끼우고 인접하는 모속(11)끼리가 길이(L3)로 이간하여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모속 이간 식모부(12a)란,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서의 하기 완충부(12c)의 최선단에서, 식모 영역(12)의 중심선(B)과 직교하는 선을 가상선(C)으로 한 경우, 하층선(C)과 가상선(A)으로 둘러싸여진 헤드부(10)의 기단측의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모속 이간 식모부(12a)에서는, 식모 영역(12)의 중심선(B) 부근에, 모속이 식모되지 않은 부분(12c)(이하, 「완충부(12c)」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이 형성된다. 따라서 식모 영역(12)에서, 모속(11)이 존재하는 영역은, 기단측으로 개구하고 있고, 바로위에서 본 형상은, 예를 들면 개략 U자형상이다.
또한, 앞부분 식모부(12b)란, 가상선(C)과 가상선(A)으로 둘러싸여진 헤드부(10)의 선단측의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헤드부(10)의 기단이란, 헤드부(10)에서 핸들부(20)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13)의 최외 부분을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완충부(12c)는,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을 긴변으로 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사각형 형상의 완충부(12c)의 길이 방향이,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이라면, 치경부에 진입시키는 모속(11)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의 완충부(12c)는, 식모 영역(12)의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한다. 식모 영역(12)의 측단측(側端側)에 완충부(12c)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모속(11)의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이 발휘되지 않는다.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의 길이(L1)는,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의 식모 영역(12)의 길이(L2)의 25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이다. 상기 L1은, 상세하게는,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서, 식모 영역(12)에서의 헤드부(10)의 기단측과, 앞부분 식모부(12b)의 기단측의 식모 구멍(13)에서의 기단측과의 거리이다. 또한, 상기 L2은, 상세하게는,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에서, 식모 영역(12)에서의 헤드부(10)의 기단측과, 앞부분 식모부(12b)의 최선단측의 식모 구멍(13)에서의 최선단측과의 거리이다.
상기 L1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모속(11)의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이 저하된다.
상기 L1은 완충부(12c)의 헤드부(10)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의 길이이기도 한다.
따라서 L1이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완충부(12c)가 식모 영역(12)의 선단측에도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 어금니나 치면의 청소시에는 선단측의 모속(11)에 압력이 강하게 가하여지기 때문에, 식모 영역(12)의 선단측에 모속(11)이 없는 완충부(12c)가 형성되면, 어금니나 치면의 청소할 때에 모속(11)이 부족하고 있는 것 같은 소모감(疎毛感)이 생기고, 사용감이 손상된다.
모속 이간 식모부(12a)에서, 중심선(B)을 끼우고 인접하는 모속(11)끼리의 이간 거리(L3)는, 식모 영역(12)의 중심선(B)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L4)의 1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의 거리이다. 상기 L3은, 상세하게는, 식모 영역(12)의 중심선(B)을 끼우고 인접하는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식모 구멍(13)의 최내측끼리의 거리이다. 또한, 상기 L4은, 상세하게는, 중심선(B)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식모 영역(12)의 한쪽의 측단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13)의 최외측과, 다른쪽의 측단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13)의 최외측과의 거리이다.
상기 L3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이 저하되고, 상기 L3이 상기 하한치를 초과하면, 플라그의 소취성이 저하된다.
식모 영역(12)이 마련되는 헤드부(10)의 크기는,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폭이 10 내지 15㎜가 되고, 두께가 4 내지 8㎜가 된다.
모속(11)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테이퍼모), 모선이 둥근 부를 제외하여 외경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등을 들 수 있다. 모속 이간 식모부(12a)에서는,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이 보다 높아지고, 치주병 예방에 보다 효과적이 되기 대문에, 용모의 적어도 일부가 테이퍼모인 것이 바람직하고, 용모의 전부가 테이퍼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테이퍼모로서는, 예를 들면, 양단이 테이퍼 가공된 테이퍼모, 편단(片端)만 테이퍼 가공된 테이퍼모, 1개의 모에 다수의 선예부가 형성된 테이퍼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모는 테이퍼모과 스트레이트모를 혼재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용모를 테이퍼모로 하고, 앞부분 식모부(12b)의 용모를 스트레이트모로 하여도 좋다. 또한, 모속 이간 식모부(12a)에서, 테이퍼모과 스트레이트모를 혼재시켜도 좋다.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 나일론, 6-10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 PP 등의 폴리올레핀 ;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등의 일래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재료는, 복수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고, 그중에서도, 용이하게 탄력를 강하게 할 수 있고, 플라그의 소취성이 보다 높아지는 점에서는, 복수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2 내지 3종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PE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용모는,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표피부를 갖는 다중심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도 바람직하다. 다중심 구조를 갖으면, 심부와 표피부에서 다른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그 때문에, 탄력이 강하고, 플라그의 소취성이 보다 높은 용모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심부와 표피부의 용모에 이용할 수 있는 다른 폴리에스테르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및 PET가 바람직하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원형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응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이형(異形)(예를 들면, 성형, 3엽(葉)의 클로버형, 4엽의 클로버형 등을 들 수 있다.)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탄력이 강하게 되어 플라그가 소취 효과가 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용모의 두께(즉, 최대경)는 6mil 이상, 10mil 이하가 바람직하다.
단, 용모로서, 다중심 구조를 갖는 용모나 폴리에스테르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이용하여 탄력를 강하게 한 경우에는, 용모의 두께가 6mil 미만이라도 높은 소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감이나,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두께가 다른 복수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시켜서 이용하여도 좋다.
용모의 모길이는, 헤드부(10)의 식모면부터, 어른용으로 8㎜ 내지 13㎜, 아동용으로 6㎜ 내지 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모의 길이는 전부 동일하여도 좋고,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용모의 길이가 동일하지 않은 모속으로서는, 모속의 중앙이 솟아오르도록 각 용모의 길이를 선택한 모속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든 용모가 동종 용모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모속 이간 식모부(12a)에 식모된 모속(11)과, 앞부분 식모부(12b)에 식모된 모속(11)이 달라도 좋다.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모속(11)의 주된 역할은 치경부의 플라그의 제거이고, 앞부분 식모부(12b)의 모속(11)의 주된 역할은 치경부 이외의 청소이기 때문에, 역할에 적합한 용모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속(11)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평선을 타입하는 방법, 열용착하는 방법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평선을 타입하는 방법에서는, 용모를 복수개 묶어서 둘로 접고, 그 사이에 평선이라고 불리는 빠짐방지구를 끼워서 식모 구멍에 타입함에 의해, 모속(11)을 각 식모 구멍(13)에 식모한다.
평선은, 식모 구멍(13)의 중심부를 통과하고, 또한, 식모 구멍(13)을 건너타도록 식모 구멍(13)에 타설되어 있다. 평선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놋쇠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을 들 수 있고, 그 밖에도 경질 플라스틱이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평선의 길이나 폭, 두께는, 모속(11)이나 식모 구멍(13)에 맞추어서 임의로 조정하면 좋지만, 통상, 평선의 길이는 식모 구멍(13)의 직경보다도 크고, 평선의 폭은 식모 구멍(13)의 깊이보다도 작게 된다. 또한, 평선의 두께를 조절함에 의해, 모속(11)을 식모 구멍(13) 내에 확실하게 고정하여 공극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평선은, 식모 구멍(13)으로부터의 빠짐을 막기 위해, 식모 구멍(13)의 양측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의 길이의 합계가 0.3 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속(11)이 식모되는 식모 구멍(13)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식모 구멍(13)의 일부 또는 전부의 직경은, 모속(11)의 두께를 그 모선이 치경부에 진입 가능하게 하는 구멍 지름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 구멍(13)의 직경이 1.0㎜ 이상이면, 평선을 타입하는 방법에 의한 식모라도 구멍 피치를 좁히기 쉽고, 소모감(疎毛感)을 느끼기 어렵다. 한편, 식모 구멍(13)의 직경이 1.3㎜ 이하면, 치경부에의 진입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식모 구멍(13)의 직경이 작아지면, 식모 구멍 배치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특히, 모속 이간 식모부(12a)에서의 식모 구멍(13)의 직경은 1.0 내지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모속(11)은, 치경부에의 진입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모속 이간 식모부(12a)에 형성된 식모 구멍(13)의 직경을 1.0 내지 1.3㎜에 함에 의해, 치경부에의 진입성에 있어서 특히 높은 효과가 발휘된다.
식모 영역(13)의 완충부(12c) 이외의 부분에서의 식모 구멍(13)의 피치에 관해서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소모감을 억제시키고 싶는 경우에는, 식모 영역(13)의 완충부(12c) 이외의 부분에서의 식모 구멍(13)의 피치를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부(12c)가 형성되지 않은 종래의 칫솔(100)을 이용하여 스크러브법으로 양치질하는 경우, 모속(11)을 치면(C)에 눌러댄 때에는, 모속(11)끼리가 서로 마주하여 지탱하고. 그 때문에, 모속(11)이 휘어지기 어려워,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이 낮다.
그러나,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속이 없는 완충부(12c)가 형성된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을 이용하고 스크러브법으로 양치질하는 경우에는,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모속(11)을 치면(C)에 눌러댄 때에, 모속(11)끼리가 서로 맞지탱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모속이 휘기 쉽고,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이 높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완충부(12c)를 마련하여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모속(11)을 휘기 쉽게 한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서는, 전체의 식모 구멍(12)의 피치를 확대한 칫솔이 아니기 때문에, 모속의 탄력의 저하나, 소모감을 억제할 수 있고, 플라그의 소취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12c)는 식모 영역(12)의 선단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 모속(11)이 부족하고 있는 것 같은 소모감이 생기지 않고, 칫솔(1)로서의 사용감에 우수하다. 또한, 완충부(12c)가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구강 내 청소시에 있어서 타액 등의 유통이 저해되지 않고, 또한, 사용 후에 건조하기 쉽고, 위생적이다.
치면에 접하는 앞부분 식모부(12b)는, 완충부(12c)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모속(11)이 조밀하게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치면을 충분히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 식모부(12b)의 모속(11)이 드문드문하게 존재하면, 앞부분 식모부(12b)의 모속(11)의 탄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구강 내 청소시에 치면에의 모속(11)의 가압력을 높인 때에 헤드부(10)가 치면에 접촉하기 쉬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의 칫솔(1)에서는, 앞부분 식모부(12b)의 모속(11)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치면에의 모속(11)의 가압력을 높여도 헤드부(10)가 치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치면에의 모속(11)의 가압력을 높임으로써, 모속 이간 식모부(12a)의 모속(11)의 치경부에의 진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식모 구멍(13)의 배열은, 격자 배열일 필요는 없고, 지그재그 배열이나 비대칭의 배열, 그 밖에 어떤 배열이라도 좋다. 중심축(B)에 대해 식모 구멍(13)의 배열이 대칭일 필요도 없다. 그러나, 치경부에의 모속(11)의 모선의 진입성의 점에서는, 중심축(B)에 대해 식모 구멍(13)의 배열이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부(12c)는, 그 길이 방향이, 식모 영역(12)에서의 헤드부(10)의 기단측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이였지만, 완충부(12c)의 길이 방향이 식모 영역(12)의 중심선(B)과 직교하는 방향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완충부(12c)는 사각형 형상이 아니라도 좋다. 단, 완충부(12c)의 형상은, 완충부(12c)에 인접하는 식모 구멍(13)의 배열에 의해 결정된다. 식모 구멍(13)의 배열이, 중심축(B)에 대해 비대칭인 경우는, 완충부(12c)는 선대칭이 아닌 복잡한 형상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은 전동 칫솔용의 브러시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칫솔을 전동 칫솔용의 브러시에 사용하여도,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과 플라그의 소취성을 양립할 수 있으면서, 사용감에 우수하다.
실시례
다음에,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례 1)
식모 영역의 폭방향의 개략 중앙 또한 기단측에 사각형 형상의 완충부가 형성된 칫솔을 제작하였다. 이 칫솔에 있어서, 식모 구멍 배치, 식모 구멍의 직경, 식모 구멍의 수,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의 종류, L1, L2, L1/L2×100, L3, L4, 및 L3/L4×100에 관해서는,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였다. 또한, 헤드부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의 식모 구멍끼리의 피치를 0.7㎜, 용모의 모길이를 10㎜, 용모의 두께를 7.5mil로 하였다.
(실시례 2 내지 12, 비교례 1 내지 4)
식모 구멍 배치, 식모 구멍의 직경, 식모 구멍의 수, 모속을 구성하는 용모의 종류, L1, L2, L1/L2×100, L3, L4, 및 L3/L4×100을 표 1, 2, 및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례 1과 같은 칫솔을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례 5로 사용한 용모는 PBT와 PET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고, 그 혼합비율을 PBT : PET=7 : 3으로 하였다.
실시례 6으로 사용한 용모는 심소 이중 구조를 갖고, 심의 반경을 76μm, 칼집의 두께를 19μm, 합계의 직경을 190μm라고 하였다.
실시례 12에 있어서 모속 이간 식모부에서는 한쪽 끝 테이퍼모라고 하였다.
각 실시례 및 각 비교례의 칫솔에 관해,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플라그 제거성 및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2 및 3에 표시한다.
[플라그 제거성]
라이온 주식회사제 브러싱 머신을 이용하여, 턱모형(顎模型)의 치아에 도포한 인공 플라그의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위턱 제2 소구치(小臼齒) 앞면과 제1 대구치 앞면과 제2 대구치 앞면에 인공 플라그를 도포하고, 각 실시례 및 각 비교례의 칫솔을 이용하여, 쇄소 조건(브러싱력=200g, 스트로크=20㎜, 속도=40㎜/초)으로 쇄소 시험을 행하였다. 그리고, 인공 플라그가 제거된 부분의 면적을 화상 해석에 의해 측정하고, 플라그 제거율을 (플라그 제거 면적/치경부 전(全)면적)×100(%)의 식으로 구하였다. 표 중의 수치는, 6회의 시험의 평균치이다.
플라그 제거율이 높을수록, 모속의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과 플라그의 소취성의 양쪽에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모속의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 또는 플라그의 소취성의 한편만이 우수하여도, 플라그 제거성은 높아지지 않는다.
[사용감]
7인의 테스터가, 7일간, 각 실시례 및 각 비교례의 칫솔을 사용하여, 브러싱한 때의 치경부와 치면이 닦고 기분에 관해 사용감을 관능 평가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1점 내지 7점의 7단계로 하고, 점수가 높을수록, 양호한 사용감이라고 하였다.
[종합 평가]
상기 플라그 제거성 및 사용감으로 판정되는 종합 평가는 이하와 같다. 이 종합 평가에 대해서도 표 1, 2 및 3에 표시한다.
◎ : 플라그 제거율이 80% 이상 또한 치경부와 치면에 대한 사용감이 함께 4점 이상
○ : 플라그 제거율이 70% 이상 또한 치경부와 치면에 대한 사용감이 함께 4점 이상
× : 플라그 제거율이 70% 미만, 또는, 치경부에 대한 사용감이 4점 미만, 또는, 치면에 대한 사용감이 4점 미만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식모 영역의 폭방향의 개략 중앙이며 기단측에 완충부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례 1 내지 12의 칫솔은, 플라그 제거성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모속의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과 플라그의 소취성의 양쪽에 우수하다. 또한, 실시례 1 내지 12의 칫솔은, 사용감도 우수하였다.
완충부를 갖지 않는 비교례 1의 칫솔은, 플라그 제거성, 및 치경부에 대한 사용감이 불충분하였다.
L1/L2×100이 80.9%의 비교례 2의 칫솔은, 치면에 대한 사용감이 불충분하였다.
L1/L2×100이 23.1%의 비교례 3의 칫솔은, 플라그 제거성, 및 치경부에 대한 사용감이 불충분하였다.
완충부가 식모 영역의 폭방향의 개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지만, 기단측에 형성되지 않은 비교례 4의 칫솔은, 플라그 제거성, 치경부 및 치면에 대한 사용감이 불충분하였다.
이것은, 비교례 4의 칫솔에서는, 선단측의 모속과 기단측의 모속이 지탱되어 버리기 때문에, 완충부를 가져도 모속이 휘어짐이 억제되기 때문에라고 생각된다.
또한, 실시례 1, 4 및 6의 비교에 의해, 스트레이트모을 이용하는 것보다도 테이퍼모을 이용하는 쪽이 높은 플라그 제거율을 얻을 수 있고, 또한, 테이퍼모라도 다중심 구조의 테이퍼모을 이용하면, 플라그 제거율이 보다 높아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례 1, 7 및 8의 비교로부터, 식모 구멍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플라그 제거성이 양호하게 됨을 알았다.
(실시례 13 내지 23)
식모 구멍 배치, 식모 구멍의 직경, L1, L2, L1/L2×100, L3, L4 및 L3/L4×100을 표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한 칫솔을 제작하였다.
Figure pct00004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모선의 치경부에의 진입성과 플라그의 소취성을 양립할 수 있으면서, 사용감에 우수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상 극히 유용하다.
1 : 칫솔 10 : 헤드부
20 : 핸들부 11 : 모속
12 : 식모 영역 12a : 모속 이간 식모부
12b : 앞부분 식모부 12c : 완충부
13 : 식모 구멍

Claims (5)

  1. 복수의 용모를 묶은 모속이 식모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설(延設)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식모 영역의 길이의 25 내지 75%의 영역에만, 상기 헤드부의 기단부터 선단을 향하는 식모 영역의 중심선을 끼우고 인접하는 모속끼리가, 상기 식모 영역에서의 상기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15 내지 70%의 거리로 이간하여 배치된 모속 이간 식모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모속 이간 식모부는, 모속이 존재하는 영역이 상기 헤드부의 기단측으로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속 이간 식모부가,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속 이간 식모부가,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의 표피부에 의해 구성된 다중심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속 이간 식모부가, 복수의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용모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속이 식모된 식모 구멍의 일부 또는 전부의 직경이 1.0 내지 1.3㎜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37011544A 2010-10-29 2011-10-25 칫솔 KR101886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44013 2010-10-29
JP2010244013 2010-10-29
PCT/JP2011/074575 WO2012057157A1 (ja) 2010-10-29 2011-10-25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167A true KR20140009167A (ko) 2014-01-22
KR101886460B1 KR101886460B1 (ko) 2018-08-07

Family

ID=4599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544A KR101886460B1 (ko) 2010-10-29 2011-10-25 칫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909192B2 (ko)
KR (1) KR101886460B1 (ko)
CN (1) CN103179876B (ko)
MY (1) MY166679A (ko)
TW (1) TWI548364B (ko)
WO (1) WO2012057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4443S1 (en) 2014-06-11 2016-04-2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KR101598359B1 (ko) * 2014-10-22 2016-03-14 비비씨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칫솔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칫솔
EP3023030B1 (en) * 2014-11-19 2023-11-22 The Gillette Company LLC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KR102183121B1 (ko) * 2016-03-09 2020-11-25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CN111297042B (zh) * 2016-03-09 2021-07-06 狮王株式会社 牙刷
JP2017176224A (ja) * 2016-03-28 2017-10-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7199139B2 (ja) * 2016-08-03 2023-01-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N111343944A (zh) * 2017-11-30 2020-06-26 狮王株式会社 电动牙刷用替换刷和电动牙刷
JP2019118516A (ja) * 2017-12-28 2019-07-22 小林製薬株式会社 歯間清掃具
CN110403334B (zh) * 2019-06-26 2021-08-03 安徽省潜山县信兴刷业有限公司 一种具有锦纶丝的异形示列毛刷的生产工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532U (ko) * 1989-10-17 1991-06-13
JPH0744999A (ja) 1993-07-28 1995-02-14 Nippon Columbia Co Ltd デジタルオーディオ録音再生装置
JPH07255529A (ja) 1994-03-25 1995-10-09 Hideo Koreeda 歯ブラシ
JP3142558B2 (ja) 1990-03-08 2001-03-07 ジェネラル エンジニアリング(ネザーランズ)ビー.ヴィ. 加速度計装置
JP2003169718A (ja) * 2001-12-06 2003-06-17 Lion Corp フィラメン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歯ブラシ
JP2003289944A (ja) 2002-01-31 2003-10-14 Yoshihiro Aoyama 歯ブラシのヘッド
JP2009273760A (ja) * 2008-05-16 2009-11-26 Kao Corp 歯ブラシ
JP2010220718A (ja) * 2009-03-23 2010-10-07 Toray Monofilament Co Ltd ブラシ用毛材および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7922U (ko) * 1984-12-04 1986-06-23
JP3145213B2 (ja) * 1992-11-06 2001-03-1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刷子
CN1042293C (zh) * 1992-06-22 1999-03-03 狮王株式会社 牙刷
US5396678A (en) * 1992-11-02 1995-03-14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with rectangular bristles
EP0716573B1 (en) * 1993-09-02 1997-01-22 SmithKline Beecham Consumer Healthcare GmbH Bristle arrangement for a toothbrush
CN2188305Y (zh) * 1994-04-26 1995-02-01 乔治·C·柯林斯 牙刷
GB9616323D0 (en) * 1996-08-02 1996-09-11 Procter & Gamble A toothbrush
JP4816037B2 (ja) * 2005-12-02 2011-11-1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532U (ko) * 1989-10-17 1991-06-13
JP3142558B2 (ja) 1990-03-08 2001-03-07 ジェネラル エンジニアリング(ネザーランズ)ビー.ヴィ. 加速度計装置
JPH0744999A (ja) 1993-07-28 1995-02-14 Nippon Columbia Co Ltd デジタルオーディオ録音再生装置
JPH07255529A (ja) 1994-03-25 1995-10-09 Hideo Koreeda 歯ブラシ
JP2003169718A (ja) * 2001-12-06 2003-06-17 Lion Corp フィラメン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歯ブラシ
JP2003289944A (ja) 2002-01-31 2003-10-14 Yoshihiro Aoyama 歯ブラシのヘッド
JP2009273760A (ja) * 2008-05-16 2009-11-26 Kao Corp 歯ブラシ
JP2010220718A (ja) * 2009-03-23 2010-10-07 Toray Monofilament Co Ltd ブラシ用毛材および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7157A1 (ja) 2012-05-03
JP5909192B2 (ja) 2016-04-26
CN103179876A (zh) 2013-06-26
JPWO2012057157A1 (ja) 2014-05-12
MY166679A (en) 2018-07-18
TWI548364B (zh) 2016-09-11
TW201223479A (en) 2012-06-16
KR101886460B1 (ko) 2018-08-07
CN103179876B (zh)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167A (ko) 칫솔
KR102539341B1 (ko) 칫솔
JP5948019B2 (ja) 歯ブラシ
TWI516226B (zh) 牙刷
KR102047148B1 (ko) 칫솔
JP6385024B2 (ja) 歯ブラシ
CN106998899B (zh) 用于口腔护理工具的头部
KR101087955B1 (ko) 칫솔
JP6621497B2 (ja) 歯ブラシ
JP6141835B2 (ja) 歯ブラシ
JP5690523B2 (ja) 歯ブラシ
JP2004202021A (ja) 歯ブラシ
JP2012245314A (ja) 歯ブラシ
WO2018198772A1 (ja) 歯ブラシ
JP3129537U (ja) 歯ブラシ
JP5779383B2 (ja) 歯ブラシ
JP3148931U (ja) 歯ブラシ
JP5690525B2 (ja) 歯ブラシ
CN110113963B (zh) 牙刷
KR20210018187A (ko) 칫솔
JP2006297145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