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337B1 -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337B1
KR101365337B1 KR1020130078818A KR20130078818A KR101365337B1 KR 101365337 B1 KR101365337 B1 KR 101365337B1 KR 1020130078818 A KR1020130078818 A KR 1020130078818A KR 20130078818 A KR20130078818 A KR 20130078818A KR 101365337 B1 KR101365337 B1 KR 10136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ce
support
flange
heat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130078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댑터에 의하여 버너 위에 위치되도록 기부 용기 내에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기부용기의 지지대에 걸림부가 결합하게 하여 중간지지체를 위치시키고, 중간지지체의 벽부 위로 원통이 삽입되어 상승유도부를 고정하며, 상승유도부와 기부용기들의 상단들 간에 형성된 공간에는 연장테두리의 외측 둘레부와 받침테두리 각각에 외부플랜지와 내부플랜지들이 결합되어 기름수집부를 배열하고, 그 다음 조리부가 기름수집부의 내부플랜지 및 상승유도부의 연장테두리 위에 기름유도로를 접촉하여 위치시키고, 내부뚜껑은 조리부의 지지플랜지위에 올려지게 한 후 외부뚜껑을 기부용기의 받침 테두리 위에 놓이므로 내부뚜껑과의 사이에 열 유도로를 형성하여 화염 또는 열기가 제 및 제2 전송로를 통하여 이동하고 폐열을 열기 유도공과 회수구멍을 차례로 경유하여 버너에 공급하여 재가열하게 하는 시스템화된 조리장치이다.

Description

시스템화된 조리장치{Systemized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버너의 연소효율을 개선하도록 열전송 경로를 개선하고 음식물 조리에 다른 열효율을 높이도록 버너와 일체로 결합가능한 구조로 축조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장과 같은 일반 상거래를 통하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널리 판매되고 있는 조리기구 가운데 직화 오븐구이기가 잘 알려져 있다. 이 직화 오븐구이기는 버너 위에 위치되고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물이나 기름 받이가 되는 본체, 조리되는 음식물을 재치 하는 구이판, 구이판의 중심의 열전송 통로 상에 위치되는 열 유도봉과 본체 상에 위치되어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덮개 한 냄비 뚜껑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직화 오븐구이기와 동일유사한 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0368455호(2003. 01. 04)에 가열통이 내장된 냄비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와 같이, 선 등록특허는 꼬지(1)가 상부에 있는 뚜껑(2)을 구비하고, 바닥중심에 통열구(13)가 형성되고 그로부터 원통상으로 가열통(4)을 형성한 몸통(11), 가열통(4)의 상면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한 결합 가열통(9), 몸통(11)의 뚜껑 결합턱(15)과 약간 하변의 내측 둘레에 단턱(6)에 위치되는 그릴판(12)과 몸통(11)의 결합턱(15)에 위치되는 뚜껑(12)들로 구성된다.
이 상주변에 결합턱(14)을 구비한 가열통(4)이 내장된 밑판(5)을 가진 냄비는 그릴판(12) 상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립된 후 버너를 냄비 하부에서 위치시켜 가열하게 되면 통열구(13) 내로 열기가 집중되면서 열기를 상승시키고 배열공(10)을 통하여 확산시키게 되고 계속 유입되는 배기공(7)으로 열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냄비는 통열구(13)와 유입공(8)으로 열기를 흡수하여 가열통(4)을 경유하여 몸통(11) 내부로 유입되게 구성이나, 이에 따라 형성된 열전달 경로는 가열통(4)내로 집중되는 경향이고 결합 가열통(9)을 통과 한 열기는 배열공(9)을 경유하나 냄비 안에서 열기 확산이 결합 가열통(9)의 주변으로 제한되어 대류가 제한되고, 다른 방식의 열전달을 위한 구조에서는 비록 몸통(11) 내에 위치된 그릴판(12) 상에 열기 통과 구멍이 형성되었다 하여도 이 구조로는 열전달이 직접적이지 않으며 간접방식의 열전달 대류가 한정되므로 열 효율이 떨어지고, 냄비 안에 적체된 위치에 따라 음식물의 요리시간이 다르고, 일부 음식이 더 많은 열기에 노출되어 탈수상태로 되는 등 음식물 본연의 미각을 잃게 하였다.
또 다른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는 특허제10-0923422호(2009.10.19)에 직화조리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직화조리기는 중심에 상승판을 일체로 형성한 기름받이, 기름받이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구이판과 반사판을 하향설치한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조리기는 버너에 위치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면 열기가 상승판과 구이판으로 유도되고 내부에서 대류 및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되고 기름받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경로로 이동되는 열기는 뚜껑과 조리판사이에 압력을 증대시키는 결과로 되어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수분을 필요 이상으로 빼앗아 탈수상태로 하여 음식물 본연의 미각을 잃게 하고 순환하여 열기의 압력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상당량의 열기가 배출되는 결과로 된다.
이상의 내용에 비추어 보아 조리기의 전체공간 내에서 대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과정 중에 열기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버너와 일체로 결합 되게 한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열전송 경로가 연속적인 대류를 가능하도록 대류 과정 중에 열기를 회수하여 재사용 가능하고 버너와 일체로 결합가능한 구조로 되는 시스템화된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송 경로에 따라 2차의 열전달 경로를 형성하여 음식물 종류에 따라 건조한 조리 및 국, 전골 등과 같은 습식조리를 가능하게 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화된 조리장치는 버너를 수용하고 지지플랜지가 상단 원주둘레의 외 측으로 소정거리 연장하여 형성되는 어댑터; 하단 원주둘레에는 상부로 연장한 다음 내부로 굴곡진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단 원주둘레에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어 외부뚜껑을 지지하게 한 기부용기; 외측 둘레로는 지지대에 위치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내측 둘레에는 걸림부보다 다소 큰 높이의 벽부가 형성되며 바닥으로는 소정 간격을 두소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회수구멍이 형성된 중간 지지체; 하부가 원통이고 상부로 깔대기 형상으로 확장되어 유입되는 열기를 확장시키고 상부로 유도하는 안내면과 이 안내면의 상단부에는 외부로 연장한 연장 테두리들로 구성한 상승유도부; 링형의 용기로 구성되고 외벽 둘레의 외부로 외부 플랜지, 내부벽 둘레의 내부로 형성된 내부 플랜지와 내부벽의 원주 둘레의 상부에 인접하여 폐열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도공들로 구성되고 기부용기와 상승유도부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기름수집부; 중심에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전송통로, 제1 전송통로의 하부의 원주 둘레에 연장되고 음식물을 재치하는 용기로 구성되는 조리대, 조리대의 외부 둘레 하부에 홈부로 되는 기름유도로, 기름유도로의 원형의 최외각 둘레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하나이상의 기름구멍과 상단부의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랜지들로 이루어진 조리부; 중심에 하향 연장되어 제1 전송통로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송통로와 하단의 원주 둘레에는 지지플랜지 상에 위치하도록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안착플랜지들로 이루어진 내부뚜껑과; 상단 중심에 손잡이가 있으며 하단 원주둘레에 받침테두리 상에 위치되는 결합플랜지를 형성하고 내부뚜껑과 사이에 열기 유도로를 형성한 외부뚜껑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중간지지부와 상승유도부는 벽부상에 안내면의 하단을 결합하는 일체식의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화된 조리장치는 버너를 수용하고 지지플랜지가 상단 원주둘레의 외 측으로 소정거리 연장하여 형성되는 어댑터; 하단 원주둘레에는 상부로 연장한 다음 내부로 굴곡진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단 원주둘레에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어 외부뚜껑을 지지하게 한 기부용기; 그의 동체를 형성하는 중간벽부, 이 중간벽부의 높이보다 낮게 외 측 둘레에 원주의 기부용기의 지지대에 위치하게 한 걸림부, 중간벽부와 걸림부 사이의 바닥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회수구멍, 뒤집힌 깔대기형상으로 되는 포집 안내면과 이에 연장하여 제2 전송통로로 연장한 돌출 연장부들로 구성한 중간지지체; 방사상 확장되는 깔때기형으로 되고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동체와 벽부의 바로 외측에 삽입되고 동체의 경사면에 형성된 다수의 폐열유도공들로 이루어진 폐열회수부; 링 형의 용기로 구성되고 외벽 둘레의 외부로 외부 플랜지, 내부벽 둘레의 내부로 형성된 내부 플랜지와 내부벽의 원주 둘레의 상부에 인접하여 폐열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도공들로 구성되고 기부용기와 상승유도부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기름수집부; 중심에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전송통로, 제1 전송통로의 하부의 원주 둘레에 연장되고 음식물을 재치하는 용기로 구성되는 조리대, 조리대의 외부둘레 하부에 홈부로 되는 기름유도로, 기름유도로의 원형의 최외각 둘레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하나이상의 기름구멍과 상단부의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랜지들로 이루어진 조리부; 중심에 하향 연장되어 제1 전송통로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송통로와 하단의 원주 둘레에는 지지플랜지 상에 위치하도록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안착플랜지들로 이루어진 내부뚜껑과; 상단 중심에 손잡이가 있으며 하단 원주둘레에 받침테두리 상에 위치되는 결합플랜지를 형성하고 내부뚜껑과 사이에 열기 유도로를 형성한 외부뚜껑 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화된 조리장치는 버너를 수용하고 지지플랜지가 상단 원주둘레의 외 측으로 소정거리 연장하여 형성되는 어댑터; 하단 원주둘레에는 상부로 연장한 다음 내부로 굴곡진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단 원주둘레에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어 외부뚜껑을 지지하게 한 기부용기;
그의 동체를 형성하는 안내벽부, 이 안내벽부의 높이보다 낮게 외 측 둘레에 원주의 기부용기의 지지대에 위치하는 걸림부, 안내벽부와 걸림부 사이의 바닥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도록 형성한 회수구, 안내벽부로 부터 연장하여 뒤집힌 깔때기 형상으로 되고 안내벽부에 인접하여 원주 둘레에 형성한 다수의 열기 확산구멍, 안내벽부에서 연장하여 제2 전송통로로 연장한 상승연장부들로 구성되는 열기안내부; 깔때기 형상으로 확장되는 경사면을 가진 열차단부, 열차단부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벽부의 바로 외측에 삽입되고 상단에는 외부로 연장하여 조리부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테두리들로 구성된 열기보호부; 중심에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전송통로, 제1 전송통로의 하부의 원주 둘레에 연장되고 음식물을 재치하는 용기로 구성되는 조리대, 조리대의 외부의 하부에 홈부로 되는 기름수집부와 상단부의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랜지들로 이루어진 조리부; 중심에 하향 연장되어 제1 전송통로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송통로와 하단의 원주 둘레에는 지지플랜지 상에 위치하도록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안착플랜지들로 이루어진 내부뚜껑과; 상단 중심에 손잡이가 있으며 하단 원주둘레에 받침테두리 상에 위치되는 결합플랜지를 형성하고 내부 뚜껑과 사이에 열기 유도로를 형성한 외부뚜껑 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여러개의 을 제1 전송통로와 제2 전송통로를 본체에 형성하므로 연소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열효율을 개선하여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수분을 보존하면서 조리가 가능하여 버너와 일체식의 결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화된 조리장치를 조립하고 조리장치의 열 전달경로를 보이는 측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화된 조리장치를 분해하여 상세히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조립하고 조리장치의 열 전달경로를 보이는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분해하여 상세히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조립하고 조리장치의 열 전달경로를 보이는 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를 분해하여 상세히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종래기술의 조리기구를 보인 측단면도 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버너어댑터(30)를 구비한다. 버너어댑터(30)는 원통형의 동체로 되고 버너(101) 위에 조리장치(20)를 위치시키는데, 이를 위하여 지지플랜지(31)가 상단 원주둘레의 외 측으로 소정거리 연장하여 형성되고, 하단 원주 둘레의 적어도 3군데 이상에 다리부(32)가 설치된다.
기부용기(40)는 시스템을 지지하는 기부로서 기능 하도록 한 것으로, 그의 하단 원주둘레에는 상부로 연장한 다음 내부로 굴곡진 지지대(41)가 형성되고 상단 원주둘레에는 받침테두리(42)가 형성되어 뚜껑(100)을 지지한다.
중간지지부(50)는 버너(105)의 열기를 시스템 내로 유도하고 다시 버너(105)로 폐열을 회수하도록 한 것으로, 외측 둘레로는 지지대(41)에 위치하는 걸림부(51)가 형성되고 내측 둘레에는 걸림부(51)보다 다소 큰 높이의 벽부(52)가 형성되며 바닥으로는 소정 간격을 두소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회수구멍(53)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중간 지지부(50)는 지지대(41)의 원주둘레에 위치된다.
상승유도부(60)는 하부는 원통(61)이고 상부로 깔대기 형상으로 확장되는 안내면(62)이 형성되어 열기를 확장시키고 상부로 유도한다. 안내면(62)의 상단부에는 외부로 연장한 테두리(63)를 형성한다. 중간지지부(50)와 상승유도부(60)사이의 공간에는 기름수집부(70)가 위치된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중간지지부(50)와 상승유도부(60)는 벽부(52)상에 안내면(62)의 하단이 결합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기름수집부(70)는 링 형의 용기로 구성되고 외벽 둘레의 외부로 외부 플랜지(71)와 내부벽 둘레의 내부로 내부 플랜지(72)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벽의 원주 둘레의 상부에 인접하여 폐열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유도공(73)들이 형성된다. 이 기름수집부(70)는 받침테두리(42)와 연장테두리(63)에 의하여 기부용기(40)와 상승유도부(60)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조리부(80)는 바닥이 넓은 용기의 조리기구로써 중심에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전송통로(81)가 형성되고 하부의 원주둘레에는 원형의 기름유도로(82)가 형성되고, 기름유도로(82)의 최외각 둘레로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기름구멍(83)이 형성되어 있다. 조리부(80)의 상단부의 원주둘레에는 지지플랜지(84)가 형성된다. 이 조리부(80)에는 내부 뚜껑(90)이 위치된다.
내부뚜껑(90)은 중심에 하향 연장되어 제1 전송통로(81) 상에 위치되는 제2 전송통로(91)가 형성되고 하단의 원주 둘레에는 지지플랜지(84) 상에 위치하도록 안착플랜지(92)가 외부 둘레로 연장되어있다.
외부뚜껑(100)은 상단 중심에 손잡이(101)가 있으며 하단 원주둘레에 받침테두리(42) 상에 위치되는 결합플랜지(10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어댑터(30)에 의하여 버너(105)위에 위치되도록 기부 용기(40) 내에 조립된다. 먼저 기부용기(40)의 지지대(41)에 걸림부(51)가 결합하게 하여 중간지지부(50)를 위치시킨다. 중간지지부(50)의 벽부(52)위로 원통(61)이 삽입되어 상승유도부(60)를 고정한다. 상승유도부(60)와 기부용기(40)들의 상단들 간에 형성된 공간에는 연장테두리(63)의 외측 둘레부와 받침테두리(42) 각각에 외부플랜지(71)와 내부플랜지(72)들이 결합되어 기름수집부(70)가 위치 고정된다. 그 다음 조리부(80)가 기름수집부(70)의 내부플랜지(72) 및 상승유도부(60)의 연장테두리(63) 위에 기름유도로(82)를 접촉하여 위치된다. 내부뚜껑(90)은 조리부(80)의 지지플랜지(84)위에 올려진다. 마자막으로 외부뚜껑(100)이 기부용기(40)의 받침테두리(42)위에 놓이므로 내부뚜껑(90)과의 사이에 열 유도로(103)를 형성한 조리장치(20)는 조리상태로 조립 완료된다.
그러므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조리부(80)의 조리대(84)에 올려지는 음식물이 연소장치(101)의 가열과 동시에 조리된다. 이때 기부용기(40)의 중심 지지대(41)위로 상승되는 화염은 조리부(80)의 조리대(84)를 가열하게 되고 제1 전송통로(81)와 제2 전송통로(91)를 차례로 경유하여 열 유도로(103)로 유도 되고 폐열로 회수된다. 이 과정에서 내부뚜껑(90)과 조리부(80)의 외부 둘레의 공간으로 유도되는 폐열은 기름수집부(70)의 유도공(73)으로 경유하고 다시 중간지지부(50)의 회수구(53)를 통과하여 연소장치(101)로 회수되고 다시 가열되는 과정으로 된다.
동시에 조리부(8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은 가열되는 과정에서 물과 기름이 발생되며 물은 대부분 증발되고 기름이 기름유도로(82)에 수집되고 기름 구멍(83)을 통하여 흘러나와 기름수집부(73)에 수집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일 실시 예와 거의 동일하며, 발명의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하여 동일 구조 및 동일 부품에는 동일부호를 병기하고 동일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으로는 중간지지부(50)와 상승유도부(60)를 결합한 구성을 단일체로 구성한 중간지지체(110)와 기름수집부(70) 및 상승유도부(50)사이의 공간에 배열되는 깔때기형 폐열회수부(120)를 구비한다.
중간지지체(110)는 그의 동체를 형성하는 중간벽부(112)와 이 중간벽부(112)의 높이보다 낮게 외 측 둘레에 원주의 기부용기(40)의 지지대(41)에 위치하는 걸림부(111)들이 형성된다. 이 중간벽부(112)와 걸림부(111) 사이의 바닥으로는 소정 간격을 두소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회수구멍(113)이 형성된다. 더하여 중간지지체(110)는 제1 실시예의 확장되는 안내면(62)과 반대 형상으로 뒤집힌 깔대기로 되는 열기 포집 안내면(114)과 이에 연장하여 제2 전송통로(91)로 연장한 돌출 연장부(115)가 형성되고 제1 전송통로(81)로 형성된다.
폐열회수부(120)는 방사상 확장되는 깔때기형으로 되고 하단에는 끼움 동체(121)가 형성되어 벽부(112)의 바로 외측에 삽입되고 동체의 경사면에는 폐열유도공(122)들이 다수 형성된다. 이 폐열회수부(120)는 조립시 중간지지체(110)와 기름수집부(70)사이에 위치된다. 여기서 폐열회수부(120)는 끼움 동체(121)가 중간벽부(112)와 용접 등으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어댑터(30)에 의하여 버너(105)위에 위치되도록 기부 용기(40) 내에 조립된다. 먼저 기부용기(40)의 지지대(41)에 걸림부(111)가 결합하게 하여 중간지지체(110)를 위치시킨다. 기름수집부(70)는 기부용기(40)의 받침테두리(42)에 외부플랜지(71)가 와 내부플랜지(72)들이 결합하여 위치 고정된다. 폐열회수부(120)는 벽부(112)위로 끼움동체(121)가 삽입되어 중간지지체(110)와 기름수집부(70)사이에 위치된다.
그 다음 조리부(80)가 기름수집부(70)의 내부플랜지(72) 위에 기름유도로(82)와 접촉하여 위치된다. 내부뚜껑(90)은 조리부(80)의 지지플랜지(84)위에 올려진다. 외부뚜껑(100)이 기부용기(40)의 받침테두리(42)위에 놓이므로 내부뚜껑(90)과의 사이에 열 유도로(103)를 형성한 조리장치(20)는 조리상태로 조립 완료된다.
그러므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조리부(80)의 조리대(84)에 올려지는 음식물이 버너(105)의 가열과 동시에 조리된다. 이때 기부용기(40)의 중심 지지대(41)위로 상승하는 화염 또는 열기는 조리부(80)의 조리대(84)를 가열하게 되고 제1 전송통로(81)와 제2 전송통로(91)를 차례로 경유하여 열 유도로(103)로 유도 되고 폐열로 회수된다. 이 과정에서 내부뚜껑(90)과 조리부(80)의 외부 둘레의 공간으로 유도되는 폐열은 기름수집부(70)의 유도공(73)으로 경유하고 폐열회수공(122)을 지나 다시 중간지지체(110)의 회수구멍(113)을 통과하여 버너(105)로 회수되고 다시 가열되는 과정으로 된다.
동시에 조리부(8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은 가열되는 과정에서 물과 기름이 발생되며 물은 대부분 증발되고 기름이 기름유도로(82)에 수집되고 기름 구멍(83)을 통하여 흘러나와 기름수집부(73)에 수집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젭 및 제2 실시 예와 거의 동일하며, 발명의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하여 동일 구조 및 동일 부품에는 동일부호를 병기하고 동일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에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제2 실시예와 다른 것은 기름수집부(70)가 제거된 구성이다.
즉, 제2 실시예의 중간지지체(110)가 열기 안내부(130)로 되고 그의 동체를 형성하는 안내벽부(132)와 이 안내벽부(132)의 높이보다 낮게 외 측 둘레에 원주의 기부용기(40)의 지지대(41)에 위치하는 걸림부(131)들이 형성된다. 이 안내벽부(132)와 걸림부(131) 사이의 바닥으로는 소정 간격을 두소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회수구(133)가 형성된다. 안내벽부(132)로 부터 연장하여 뒤집힌 깔때기 형상의 열기상승유도부(134)가 형성된다. 열기상승유도부(134)에는 안내벽부(132)에 인접하여 원주 둘레에 다수의 열기 확산구멍(136)이 형성되고, 동시에 안내벽부(132)에서 연장하여 제2 전송통로(91)로 연장한 상승연장부(135)가 형성되어 제1 전송통로(81)로 형성된다.
더하여 열기보호부(140)는 제1 실시예의 확장되는 안내면(62)과 동일 형상으로, 제2 실시예에서 폐열회수부(120)에서 폐열 회수공(122)이 없는 열차단부(140)로 구성되고, 방사상 확장되는 깔때기형으로 되고 하단에는 끼움 동체(141)가 형성되어 안내벽부(132)의 바로 외측에 삽입되고 상단에는 외부로 연장하여 조리부(8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테두리(142)가 다수 형성된다.
조리부(80)는 기름유도로(82)가 기름수집부(82')로 되어 기름구멍(83)이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어댑터(30)에 의하여 버너(105)위에 위치되도록 기부 용기(40) 내에 조립된다. 먼저 기부용기(40)의 지지대(41)에 걸림부(131)가 결합하여 열기인내부(130)를 위치시킨다. 열기안내부(130)는 안내벽부(132)위로 끼움동체(141)가 끼워 맞춤식으로 삽입되어 지지 된다.
그 다음 조리부(80)가 기부용기(40)의 테두리(42)에 안착플랜지(92)가 접촉하여 위치되고 동시에 열기안내부(140)의 지지테두리(142)에 의하여 지지된다. 내부뚜껑(90)은 조리부(80)의 지지플랜지(84)위에 올려진다. 외부뚜껑(100)이 기부용기(40)의 받침테두리(42) 위에 놓이므로 내부뚜껑(90)과의 사이에 열 유도로(103)를 형성한 조리장치(20)는 조리상태로 조립 완료된다.
그러므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는 조리부(80)의 조리대(85)에 올려지는 음식물이 연소장치(101)의 가열과 동시에 조리된다. 이때 기부용기(40)의 중심 지지대(41)위로 상승되는 화염은 열기안내부(130)의 위로 상승되고 동시에 제1 전송통로(81)와 열기확산공(135)을 경유하여 틈새로 유도되고 조리부(80)의 조리대(85)를 가열하게 된다. 이후 열기는 제1 전송통로(81)를 지나 제2 전송통로(91)를 차례로 경유하여 열 유도로(103)로 유도되고 회수구(133)를 통하여 폐열로 회수된다. 즉, 내부뚜껑(90)과 조리부(80)의 외부 둘레의 공간으로 유도되는 폐열은 바로 열ㄱ기안내부(130)의 회수구(133)를 통과하여 버너(105)로 회수되고 다시 가열되는 과정으로 된다.
동시에 조리부(8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은 가열되는 과정에서 물과 기름이 발생되며 물은 대부분 증발되고 기름이 조리부(80)의 기름수집부(82')에 수집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시스템화된 조리장치(20)를 이용한 조리를 시작하게 되면, 버너(105)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기의 상단부분이 제1 전송통로(81)를 경유하여 제2 전송 통로(91)로 전송되고 내부뚜껑(90)과 외부뚜껑(100) 사이의 열 유도로(103)를 경유하고 회수구(133)들을 경유하여 버너(105)로 회수되어 재가열되므로 열기사용을 효율적으로 한다.
더하여, 조리부(80)는 조리음식물의 수증기와 조리되는 음식물의 냄새를 최소화하는 구성으로 되고, 조리부(80)의 기름수집부(82') 또는 기름수집부(70)는 기름을 수집하여 회수가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의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고 열기의 전송경로를 열기의 온도에 따라 시스템화한 것을 알 수 있다.
20: 조리장치 30: 어댑터 40: 기부용기 50: 중간지지부 60: 상승유도부 70:기름수집부
80: 조리부 90: 내부뚜껑 100:외부뚜껑
110: 중간지지체 120: 폐열 회수부 130: 열기안내부
140: 열기보호부

Claims (4)

  1. 버너를 수용하고 지지플랜지가 상단 원주둘레의 외 측으로 소정거리 연장하여 형성되는 어댑터를 구비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에 있어서,
    하단 원주둘레에는 상부로 연장한 다음 내부로 굴곡진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단 원주둘레에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어 외부뚜껑을 지지하게 한 기부용기;
    외측 둘레로는 지지대에 위치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내측 둘레에는 걸림부보다 다소 큰 높이의 벽부가 형성되며 바닥으로는 소정 간격을 두소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회수구멍이 형성된 중간 지지부;
    하부가 원통이고 상부로 깔대기 형상으로 확장되어 유입되는 열기를 확장시키고 상부로 유도하는 안내면과 이 안내면의 상단부에는 외부로 연장한 연장 테두리들로 구성한 상승유도부;
    링형의 용기로 구성되고 외벽 둘레의 외부로 외부 플랜지, 내부벽 둘레의 내부로 형성된 내부 플랜지와 내부벽의 원주 둘레의 상부에 인접하여 폐열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도공들로 구성되고 기부용기와 상승유도부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기름수집부;
    중심에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전송통로, 제1 전송통로의 하부의 원주 둘레에 연장되고 음식물을 재치하는 용기로 구성되는 조리대, 조리대의 외부둘레 하부에 홈부로 되는 기름유도로, 기름유도로의 원형의 최외각 둘레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하나이상의 기름구멍과 상단부의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랜지들로 이루어진 조리부;
    중심에 하향 연장되어 제1 전송통로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송통로와 하단의 원주 둘레에는 지지플랜지 상에 위치하도록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안착플랜지들로 이루어진 내부뚜껑과;
    상단 중심에 손잡이가 있으며 하단 원주둘레에 받침테두리 상에 위치되는 결합플랜지를 형성하고 내부뚜껑과 사이에 열기 유도로를 형성한 외부뚜껑 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간지지부와 상승유도부는 벽부상에 안내면의 하단을 결합하는 일체식의 구성으로 될 수 있게 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3. 버너를 수용하고 지지플랜지가 상단 원주둘레의 외 측으로 소정거리 연장하여 형성되는 어댑터를 구비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에 있어서,
    하단 원주둘레에는 상부로 연장한 다음 내부로 굴곡진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단 원주둘레에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어 외부뚜껑을 지지하게 한 기부용기;
    그의 동체를 형성하는 중간벽부, 이 중간벽부의 높이보다 낮게 외 측 둘레에 원주의 기부용기의 지지대에 위치하게 한 걸림부, 중간벽부와 걸림부 사이의 바닥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는 회수구멍, 뒤집힌 깔대기형상으로 되는 포집 안내면과 이에 연장하여 제2 전송통로로 연장한 돌출 연장부들로 구성한 중간지지체;
    방사상 확장되는 깔때기형으로 되고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동체와 벽부의 바로 외측에 삽입되고 동체의 경사면에 형성된 다수의 폐열유도공들로 이루어진 폐열회수부;
    링형의 용기로 구성되고 외벽 둘레의 외부로 외부 플랜지, 내부벽 둘레의 내부로 형성된 내부 플랜지와 내부벽의 원주 둘레의 상부에 인접하여 폐열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도공들로 구성되고 기부용기와 상승유도부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기름수집부;
    중심에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전송통로, 제1 전송통로의 하부의 원주 둘레에 연장되고 음식물을 재치하는 용기로 구성되는 조리대, 조리대의 외부에하부로 홈부로 되는 기름유도로, 기름유도로의 원형의 최외각 둘레로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다수의 기름구멍과 상단부의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랜지들로 이루어진 조리부;
    중심에 하향 연장되어 제1 전송통로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송통로와 하단의 원주 둘레에는 지지플랜지 상에 위치하도록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안착플랜지들로 이루어진 내부뚜껑과;
    상단 중심에 손잡이가 있으며 하단 원주둘레에 받침테두리 상에 위치되는 결합플랜지를 형성하고 내부뚜껑과 사이에 열기 유도로를 형성한 외부뚜껑 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4. 버너를 수용하고 지지플랜지가 상단 원주둘레의 외 측으로 소정거리 연장하여 형성되는 어댑터를 구비한 시스템화된 조리장치에 있어서,
    하단 원주둘레에는 상부로 연장한 다음 내부로 굴곡진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단 원주둘레에는 받침테두리가 형성되어 외부뚜껑을 지지하게 한 기부용기;
    그의 동체를 형성하는 안내벽부, 이 안내벽부의 높이보다 낮게 외 측 둘레에 원주의 기부용기의 지지대에 위치하는 걸림부, 안내벽부와 걸림부 사이의 바닥으로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폐열을 회수하도록 형성한 회수구, 안내벽부로 부터 연장하여 뒤집힌 깔때기 형상으로 되고 안내벽부에 인접하여 원주 둘레에 형성한 다수의 열기 확산구멍, 안내벽부에서 연장하여 제2 전송통로로 연장한 상승연장부들로 구성되는 열기안내부;
    깔때기 형상으로 확장되는 경사면을 가진 열차단부, 열차단부의 하단에 형성된 안내벽부의 바로 외측에 삽입되고 상단에는 외부로 연장하여 조리부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지지테두리들로 구성된 열기보호부;
    중심에 열기를 통과시키는 제1 전송통로, 제1 전송통로의 하부의 원주 둘레에 연장되고 음식물을 재치하는 용기로 구성되는 조리대, 조리대의 외부의 하부에 홈부로 되는 기름수집부와 상단부의 원주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플랜지들로 이루어진 조리부;
    중심에 하향 연장되어 제1 전송통로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2 전송통로와 하단의 원주 둘레에는 지지플랜지 상에 위치하도록 외부 둘레로 연장되는 안착플랜지들로 이루어진 내부뚜껑과;
    상단 중심에 손잡이가 있으며 하단 원주둘레에 받침테두리 상에 위치되는 결합플랜지를 형성하고 내부뚜껑과 사이에 열기 유도로를 형성한 외부뚜껑 들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KR1020130078818A 2013-07-05 2013-07-05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KR10136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818A KR101365337B1 (ko) 2013-07-05 2013-07-05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818A KR101365337B1 (ko) 2013-07-05 2013-07-05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337B1 true KR101365337B1 (ko) 2014-02-19

Family

ID=5027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818A KR101365337B1 (ko) 2013-07-05 2013-07-05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33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56A (ko) * 2014-07-28 2016-02-11 임경모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WO2016108563A3 (ko) * 2014-12-31 2016-08-25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KR101813854B1 (ko) 2016-12-20 2017-12-29 박종완 직화구이기
US10213048B2 (en) 2014-07-28 2019-02-26 Moru Co., Ltd. Heat-retaining tray
KR101958620B1 (ko) 2018-09-21 2019-03-14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KR101989276B1 (ko) * 2018-04-17 2019-06-13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며 기름배출이 용이한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KR102030312B1 (ko) * 2019-03-09 2019-10-08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KR102035943B1 (ko) * 2018-11-27 2019-11-18 김영준 회전드럼식 조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383U (ko) * 2007-03-05 2007-03-30 박준규 오븐형 간편조리기
KR100907608B1 (ko) 2008-06-09 2009-07-14 박준규 간편 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383U (ko) * 2007-03-05 2007-03-30 박준규 오븐형 간편조리기
KR100907608B1 (ko) 2008-06-09 2009-07-14 박준규 간편 조리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56A (ko) * 2014-07-28 2016-02-11 임경모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KR101597761B1 (ko) * 2014-07-28 2016-03-08 임경모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US10213048B2 (en) 2014-07-28 2019-02-26 Moru Co., Ltd. Heat-retaining tray
WO2016108563A3 (ko) * 2014-12-31 2016-08-25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KR101813854B1 (ko) 2016-12-20 2017-12-29 박종완 직화구이기
KR101989276B1 (ko) * 2018-04-17 2019-06-13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며 기름배출이 용이한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KR101958620B1 (ko) 2018-09-21 2019-03-14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KR102035943B1 (ko) * 2018-11-27 2019-11-18 김영준 회전드럼식 조리기
KR102030312B1 (ko) * 2019-03-09 2019-10-08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337B1 (ko)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US8978547B2 (en) Cooking assembly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CN105326338A (zh) 一种安全防冷凝蒸饭箱
KR101445747B1 (ko) 다기능 조리기
CN201595703U (zh) 一种便利烹饪器具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KR100675917B1 (ko) 스팀을 이용한 조리기구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JP5630762B2 (ja) 調理容器およびその蓋
KR200459604Y1 (ko) 찜통형 직화 조리기구
KR20110005564U (ko)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KR100913250B1 (ko)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기
EP3484331B1 (en) Food cooking device to cook with grill
KR101968869B1 (ko) 만능냄비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JP3044020B1 (ja) 調理器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KR101177025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KR101242116B1 (ko) 가스렌지용 바비큐 조리기
KR200397565Y1 (ko) 직화가열팬
KR101935866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130001753A (ko) 연소통이 뚜껑에 내장된 가열장치
KR200460989Y1 (ko) 경사진 기름 흐름통로부에 의한 이중 기름받이 구조의 구이용 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