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620B1 -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620B1
KR101958620B1 KR1020180114298A KR20180114298A KR101958620B1 KR 101958620 B1 KR101958620 B1 KR 101958620B1 KR 1020180114298 A KR1020180114298 A KR 1020180114298A KR 20180114298 A KR20180114298 A KR 20180114298A KR 101958620 B1 KR101958620 B1 KR 101958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pedestal
hole
rotary
contro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닝커머스
Priority to KR102018011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나 채소와 같은 다양한 피조리물이 담겨진 오븐을 경사지게 눕힌 상태에서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하부 열원을 이용해 오븐을 가열하여 피조리물을 익혀 조리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오븐의 하부에서 가해지는 가스레인지의 열효율을 높여 오븐 내 피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고 바람부는 야외에서도 안정적인 화력을 유지할 수 있고, 오븐이 회전시 오븐 내 피조리물이 전후측으로 순환이동하며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오븐이 회전시 외주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작동스위치를 켜더라도 받침대에 오븐이 장착된 경우에만 오븐이 회전하여 구동제어기의 구동을 위한 밧데리 방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구동제어기를 받침대에 안정적으로 장착하며 클램핑이 용이한 조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 cooking utensils with rotary type oven}
본 발명은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육류나 채소와 같은 다양한 피조리물이 담겨진 오븐을 경사지게 눕힌 상태에서 일정속도로 회전시키면서 하부 열원을 이용해 오븐을 가열하여 피조리물을 익혀 조리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구이의 요리는 피조리물인 고기의 겉과 속이 고르게 익혀져야 하고 기름기 등을 적당하게 함유하고 있어 부드러우면서도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고기를 굽는 방식으로는 고기에 열기가 직접 전달되는 직화구이 또는 간접적으로 열기가 전달되는 간접구이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고기구이기는 직화식 또는 간접가열식 대부분은 고기가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에서 조리가 행해짐에 따라, 고열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뒤집거나 불판 등에서 건져내지 않으면 쉽게 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고기가 공기중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고기를 익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증기 등에 의해 주변공기의 오염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문제점도 있다.
물론 이러한 종래 고기구이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1343685호(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880865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드럼식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조리팬 바닥 중앙에는 돌출섬을, 조리팬 내벽과 돌출섬 사이에는 조리공간을 이루고, 돌출섬에는 동력전달수단을 가지는 조리팬; 상기 동력전달수단에서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에 제공하는 회전축과, 돌출섬 저면 공간에 열을 가하는 히터와, 상기 조리팬을 수용하는 조리팬수용홈을 가지는 상면 개방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조리기가 놓이는 바닥면에서 회전축이 경사지게 유지되도록 하우징의 경사를 유지하는 경사유지구;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로킹헤드에 개폐 가능토록 기능하는 로킹수단을 가지며 로킹 결합시 조리팬과 같이 회전하는 조리팬뚜껑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에 제안된 드럼식 조리기는 전력소모가 큰 히터 가열방식으로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야외나 들판 등과 같이 가정용 전원의 공급이 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참고문헌 2는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가스레인지의 화구의 화력을 받는 화구공을 가지는 베이스프레임 후방측에 부가되어 제어기를 결합시키는 제어기지지판, 제어기의 중량과 무게 균형을 이루도록 베이스프레임에 부가하는 무게균형유지수단을 가지는 베이스받침대; 상기 제어기지지판에 결합하며 내부에 감속모터를 내장하고, 끝부분이 위로 오도록 경사지게 제어기지지판 전면을 통과하여 노출되는 동력전달축을 가지는 제어기; 및 상기 경사진 동력전달축과 축 결합하는 동력전달수단을 외부에 가지고, 상기 화구공을 통한 화력을 받아 조리하도록 자전하는 오븐을 포함하는 가스오븐 조리기가 제안된다.
이와 같은 참고문헌 2의 조리기는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조리기로서, 참고문헌 1에 제안된 드럼식 조리기에 비해 휴대용 가스레인지 등을 이용한 조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참고문헌 2의 조리기는 다음과 같은 복수의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우선 참고문헌 2의 조리기는 오븐의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는 막혀있는 원통형상의 구조로서 베이스받침대의 베이스프레임 상부에 경사지게 올려놓고 가열하는 경우 가스레인지의 화구와의 거리가 멀어 오븐의 외벽을 가열하더라도 효율이 낮아지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더욱이 참고문헌 2의 베이스받침대의 베이스프레임은 상부는 개방된 구조여서 바람이 많이 부는 야외에서 사용시 바람에 의해 가스레인지의 화염(불)이 쉽게 꺼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으며, 베이스프레임은 가스레인지의 화구의 화력만을 받을 수 있는 화구공만을 가지며 격벽을 포함하는 벽부는 사방이 모두 막혀 있어 외부의 공기가 베이스프레임 중앙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없어 산소 결핍으로 인한 화력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전체적으로 참고문헌 2는 오븐의 형상의 한계를 갖음에도 베이스프레임의 구조가 충분한 화력 발휘하기 어렵고 이는 피조리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원인이 된다.
이에 더해 참고문헌 2의 베이스받침대에는 오븐을 회전하여 동력전달수단과의 결합을 안내하도록 베이스받침대의 바닥 후방에 구비되는 후방롤러를 포함하는 후방회전안내수단과 베이스받침대의 바닥 전방에 구비되는 전방롤러를 포함하는 전방회전안내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안내수단이 구비되어 각 롤러와 오븐 외표면은 점접촉 상태로 지지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전후방롤러에 오븐 외표면을 밀착시키는 경우 점접촉 상태이므로 오븐 외표면의 손상 우려가 높고 제어기의 구동으로 인한 동력전달축의 회전시 롤러와 오븐 외표면 사이의 미끄러짐 우려가 높아 오븐의 안정적인 회전에 어려움이 있고 이는 제어기의 모터 제어에 부담(load)이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참고문헌 2의 조리기는 오븐의 내벽에는 길이방향으로 뒤집음바가 설치되어 삼겹살 등을 뒤집어 한곳만 타지 않게 할 수 있지만, 뒤집음바가 일(-)자 형태로만 이루어져 오븐 내부의 구이물이 항하측으로 골고루 이동하지 못하고 예를 들어 오븐의 후방측의 고기는 후방측에만 머물며 뒤집히고 오븐의 전방측의 고기는 전방측에만 머물며 뒤집히는 구조여서 오븐 내부의 전후방측 구이물이 골고루 익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울러 참고문헌 2의 조리기는 제어기에 밧데리 전원의 모터 공급을 위한 스위치와 타이머가 구비되어 있어 동력전달축을 통해 회전력을 오븐에 전달할 수 있지만, 오븐이 베이스받침대에서 분리된 경우에도 스위치가 잘못 작동하게 되면 계속 회전하게 되어 밧데리의 방전 우려가 높다. 아울러 제어기는 제어기지지판에 단순 끼움 구조여서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며 결합상태가 불안정해 동력전달축의 흔들림 우려가 높아 안정적인 오븐 회전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1343685호 참고문헌 2 : 등록특허 제10-1880865호
따라서 이러한 종래 회전식 조리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식 오븐의 하부에서 가해지는 가스레인지의 열효율을 높여 오븐 내 피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고 바람부는 야외에서도 안정적인 화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오븐이 회전시 오븐 내 피조리물이 전후측으로 순환이동하며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오븐이 회전시 외주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스위치를 켜더라도 받침대에 오븐이 장착된 경우에만 오븐이 회전하여 구동제어기의 구동을 위한 밧데리 방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구동제어기를 받침대에 안정적으로 장착하며 클램핑이 용이한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몸체의 중앙에 가스레인지의 화구의 화력을 받는 화구공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화구공 상측에 경사지게 눕힌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오븐과, 상기 오븐을 회전시키는 회전제어기로 구성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몸체의 중앙에 가스레인지의 화구의 화력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화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화구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부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상향 절곡된 화염안내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벽부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화구공으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외기유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전방 양측에는 오븐의 전방측 외부면을 지지하는 롤러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며, 상기 롤러는 외주면이 오븐의 외주면에 선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갖는 면구조의 접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름받이는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손잡이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의 몸체 후측 상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케이스 일측에 거치홈이 형성되는 회전제어기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제어기는 클램핑수단에 의해 삽입홈에 지지되며, 상기 클램핑수단은 상기 안착부의 외부에 구비되는 플랜지부에 지지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끼워지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힌지부의 일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타단에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걸림구와, 상기 힌지축에 끼워져 상기 걸림턱이 상기 안착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삽입홈과 연통되는 입출공으로 향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오븐은 오븐 본체와 오븐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븐 본체의 수용부 내부면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오븐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후방의 피조리물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기는 케이스 전방으로 돌출되어 오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오븐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를 통해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기판과, 상기 제어기판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와, 상기 제어기판의 구동전원을 온오프하는 작동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기에는 상기 제어기판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판는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부저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의 화구공 가장자리를 따라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부의 양측 상단에 외측으로 상향 절곡된 화염안내날개를 형성하여 회전식 오븐의 하부에서 가해지는 가스레인지의 열효율을 높여 오븐 내 피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바람부는 공원 등의 야외에서도 가스레인지의 화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부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화구공으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외기유입공이 형성되어 가스레인지의 가스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오븐 본체의 수용부 내부면에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부를 구비하여 오븐 회전시 후방에서 전방으로 피조리물을 안내하고 전방의 피조리물은 경사지게 거치되어 전방에 비해 후방이 낮은 수용부로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전체적으로 피조리물이 전후측으로 순환이동하며 골고루 섞이며 익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받침대에 회전제어기를 지지 및 분리가 간단해 사용이 편리하고, 작동스위치를 작동하더라도 받침대에 오븐이 장착된 경우에만 오븐이 회전하여 구동제어기의 구동을 위한 밧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오븐을 분리한 상태로 작동스위치가 켜진 경우에는 부저로 경고음을 출력하여 전원차단을 유도하여 밧데리 방전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를 도시한 주요 구성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 본체의 내부를 장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븐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의 기름받이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븐의 롤러 받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1)는 몸체(101)의 중앙에 가스레인지의 화구의 화력을 받는 화구공(102)이 형성되는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화구공(102) 상측에 경사지게 눕힌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오븐(200)과, 상기 오븐(200)을 회전시키는 회전제어기(3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받침대(100)는 몸체(101)의 중앙에 가스레인지의 화구의 화력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화구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1)의 후측에는 오븐(200) 내에 담겨진 고기나 야채 등의 피조리물이 익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오븐(200)의 후방에 형성되는 기름배출공(203)을 통해 배출시 수거하는 기름받이(400)가 안착되는 안착부(104)가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대(100)는 화구공(10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벽부(110)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지지홈(112)이 형성되어 가스레인지의 삼발이 위에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벽부(110)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상향 절곡된 화염안내날개(114)가 형성되어 화구공(102)을 통해 가스레인지의 화구에서 올라오는 화력이 오븐(200)의 외부면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을 높여준다. 이러한 화염안내날개(114)는 야외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1)를 사용시 바람에 의해 화염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벽부(110)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화구공(102)으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외기유입공(113)이 형성되어 가스레인지의 화구에서 가스의 연소시 공기가 유입되어 충분한 산소를 공급해 주어 연소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이러한 받침대(100)의 전방 양측에는 오븐(200)의 전방측 외부면을 지지하는 롤러(120)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된다. 이때 상기 롤러(120)는 외주면이 오븐(200)의 외주면에 선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갖는 면구조의 접촉부(122)가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101) 전방에 형성되는 롤러수용부(108)의 축지지홈(108a)에 롤러축(121)이 지지된다. 이때 상기 롤러(120)의 접촉부(122)는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0)의 몸체(101) 후측 하부에는 기름받이 안착부(104)가 형성된다. 이러한 기름받이 안착부(104)는 양측방향으로 형성되어 기름받이(400)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삽입하여 기름을 수집하고, 잡아당겨 뺄 수 있다. 이러한 기름받이(400)는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서 플라스틱 재질의 손잡이(410)를 일체로 구비하여 기름받이(400) 분리시 화상 위험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0)의 몸체(101) 후측 상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삽입홈(132)이 형성되는 안착부(130)가 구비되어, 케이스(310) 일측에 거치홈(312)이 형성되는 회전제어기(300)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제어기(300)는 클램핑수단(140)에 의해 삽입홈(132)에 안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클램핑수단(140)은 상기 안착부(130)의 외부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38)에 지지되는 힌지축(141)과, 상기 힌지축(141)에 끼워지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힌지부(142a)의 일단에는 걸림턱(142b)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142a)의 타단에는 누름부(142c)가 형성되는 걸림구(142)와, 상기 힌지축(141)에 끼워져 상기 걸림턱(142b)이 상기 안착부(130)의 외부에 형성되어 삽입홈(132)과 연통되는 입출공(134)으로 향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4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회전제어기(300)의 하부를 받침대(100)의 안착부(130)에 형성된 삽입홈(132)에 삽입하면 초기에는 걸림구(142)의 걸림턱(142b)이 회전제어기(300)의 케이스(310)의 가압력에 의해 스프링(143)의 탄성을 이겨내며 걸림구(142)가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삽입홈(132)에 돌출되어 있던 걸림턱(142b)이 입출공(134) 방향으로 물러나도록 회동하게 된다. 이후 회전제어기(300)의 하부를 받침대(100)의 안착부(130)에 형성된 삽입홈(132)에 완전 삽입하면 스프링(143)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구(142)가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케이스(310) 일측에 형성된 거치홈(312)에 걸림턱(142b)이 걸리게 되어 회전제어기(3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물론 다시 회전제어기(3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는 누름부(142c)를 누른 상태에서 회전제어기(300)를 받침대(100)의 안착부(1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븐(200)은 고기나 채소 등의 피조리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211)가 형성되는 오븐 본체(210)와, 상기 오븐 본체(210)의 입구를 개폐하는 오븐 뚜껑(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븐 본체(210)는 전체적으로 후방에 비해 전방의 내경이 확장되는 구조로서 외부면에 오븐 본체(210) 전방 외측 테두리에는 손잡이(213)가 구비되어 걸침구(213a)를 뚜껑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오븐 뚜껑(220)을 오븐 본체(210)에 밀착 지지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때 걸침구(213a) 표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213b)를 형성하여 걸침구(213)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오븐 본체(210)의 후방에는 회전제어기(300)의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견인홈(215a)을 갖는 견인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견인홈(215a)은 사각, 육각, 팔각 등의 다각형상의 회전제어기(300)의 회전축(321)이 삽입될 수 있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오븐 본체(210)의 후방 가장자리에는 기름배출공(203)이 형성되어 기름안내용 마개(208)가 착탈식으로 끼워진다. 이러한 기름안내용 마개(208)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금속재로 이루어져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기름배출공(203)을 별도의 마감용 마개로 막거나 기름안내용 마개(208)의 유출공을 막는 경우에는 오븐(210)에 백숙 등의 국물 요리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븐 본체(210)의 수용부(211) 내부면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오븐(200)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기(219)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기(219)는 받침대(100)에 오븐(200)의 전방이 후방에 비해 높게 위치하는 구조의 경우 오븐(200) 회전으로 인해 피조리물이 골고루 섞이지 않고 후방으로 몰리게 되어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오븐(2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전방으로 갈수록 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기(219)를 따라 후방의 피조리물이 전방으로 유도되며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부(219)에 걸쳐진 피조리물은 오븐(200) 수용부(211) 내벽면을 타고 상대적으로 전방에 비해 낮은 후방으로 밀려 내려가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후방으로만 피조리물이 몰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조리물이 전후방으로 순환 이동하므로 피조리물을 골고루 빠르게 익힐 수 있다.
이러한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기(219)는 오븐 본체(210)의 수용부(211) 내부면에 나사 결합 되거나 용접에 의해 부속을 일체로 결합하거나, 오븐 본체(210)의 성형시 함께 성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븐 뚜껑(220)은 오븐 본체(210)의 내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유리판(2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리판(2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실리콘 재질의 마감부(22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오븐 뚜껑(220)의 유리판(221) 중앙에는 손잡이(223)가 형성되며, 손잡이(223) 일측에는 배기공(224)이 형성되어 오븐 본체(210) 내부에서 피조리물이 익는 과정에서 증기 등이 배출된다.
한편, 상기 회전제어기(300)는 케이스(310) 전방으로 돌출되어 오븐(20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2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20)와, 상기 오븐(200)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또는 근접스위치)(322)와, 상기 근접센서(322)를 통해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320)를 구동하는 제어기판(323)과, 상기 제어기판(323)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324)와, 상기 제어기판(323)의 구동전원을 온오프하는 작동스위치(3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스위치(325)는 버튼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기판(323)은 마이컴이 구비되어 근접센서(322)를 통해 오븐(200)이 받침대(100)에 장착되면 감지되어 송출되는 감지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모터(32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동스위치(325)가 작동되더라도 오븐(200)이 받침대(100)에 장착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320)를 구동시키지 않아 불필요한 밧데리(324)의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어기(300)는 상기 제어기판(323)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326)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어기판(323)에서 오븐(200)이 받침대(10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 즉 근접센서(322)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설정시간(예를 들어 2 ~ 3분)이 경과하면 부저(326)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출력하여 작동스위치(325)의 오프를 유도함으로서 오븐(200) 미사용시 불필요한 밧데리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의 구동 예를 설명한다.
우선 오븐 본체(210)에 고기나 채소 등의 피조리물을 담고 오븐 뚜껑(220)을 닫은 후 가스레인지의 삼발이에 지지된 받침대(100) 위에 올려놓고 회전제어기(300)의 작동스위치(325)를 켜면 밧데리(324)의 전원이 제어기판(323)에 공급되어 구동되면서 근접센서(322)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제어기판(323)에서 감시한다. 이에 제어기판(323)는 근접센서(322)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오븐(200)이 받침대(10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320)를 구동시켜 일방향으로 오븐(20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오븐(200)은 일정폭을 갖는 면구조의 접촉부(122)가 형성된 롤러(120)에 의해 전방측 하부가 지지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한다.
이후 가스레인지를 켜면 가스레인지의 화구 화력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오븐(200)의 하부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받침대(100)의 벽부(100)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상향 절곡된 화염안내날개(114)에 의해 화구공(102)을 통해 가스레인지의 화구에서 올라오는 화력이 오븐(200)의 외벽면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열효율을 높여준다. 이에 더해 받침대(100)의 벽부(110)에 형성된 복수의 외기유입공(11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가스레인지의 화구에서 가스의 연소 효율도 높다.
이와 같이 오븐(200)을 회전시키면서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오븐(200) 내부의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기(219)에 의해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기(219)를 따라 후방의 피조리물이 전방으로 유도되며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부(219)를 통과한 피조리물은 오븐(200) 수용부(211) 내벽면을 타고 상대적으로 전방에 비해 낮은 후방으로 밀려 내려가는 순환 이동하면서 오븐(200) 내 전후방측의 피조리물이 골고루 빠르게 익게 된다. 물론 피조리물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은 기름배출공을 통해 기름받이(400)로 배출된다.
이후 작동스위치(325)를 끄면 모터(320)의 구동 정지로 인해 회전축(321)이 멈추게 되고 오븐을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걸림구(142)의 누름부(142c)를 누른 상태에서 회전제어기(300)의 하부를 받침대(100)의 안착부(13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다시 장착시에는 간단히 회전제어기(300)의 하부를 받침대(100)의 안착부(130)에 밀어 넣는 과정만으로 걸림구(142)의 걸림턱(142b)이 회전제어기(300)의 케이스(310) 일측에 형성된 거치홈(312)에 걸려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조리기 100: 받침대
102: 화구공 110: 벽부
114: 화염안내날개 113: 외기유입공
120: 롤러 130: 안착부
140: 클램핑수단 200: 오븐
210: 오븐 본체 219: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부
220: 오븐뚜껑 300: 회전제어기
320: 모터 322: 근접센서
323: 제어기판 324: 밧데리
325: 작동스위치 326: 부저

Claims (7)

  1. 몸체(101)의 중앙에 가스레인지의 화구의 화력을 받는 화구공(102)이 형성되는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화구공(102) 상측에 경사지게 눕힌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오븐(200)과, 상기 오븐(200)을 회전시키는 회전제어기(300)로 구성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는 몸체(101)의 중앙에 가스레인지의 화구의 화력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화구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화구공(10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벽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벽부(110)의 양측 상단에는 외측으로 상향 절곡된 화염안내날개(114)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100)의 몸체(101) 후측 상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삽입홈(132)이 형성되는 안착부(130)가 구비되어, 케이스(310) 일측에 거치홈(312)이 형성되는 회전제어기(300)가 지지되며, 상기 회전제어기(300)는 클램핑수단(140)에 의해 삽입홈(132)에 지지되며,
    상기 클램핑수단(140)은 상기 안착부(130)의 외부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38)에 지지되는 힌지축(141)과, 상기 힌지축(141)에 끼워지는 힌지공이 형성되는 힌지부(142a)의 일단에는 걸림턱(142b)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142a)의 타단에는 누름부(142c)가 형성되는 걸림구(142)와, 상기 힌지축(141)에 끼워져 상기 걸림턱(142b)이 상기 안착부(130)의 외부에 형성되어 삽입홈(132)과 연통되는 입출공(134)으로 향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1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110)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화구공(102)으로 유입되도록 복수의 외기유입공(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의 전방 양측에는 오븐(200)의 전방측 외부면을 지지하는 롤러(120)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설되며, 상기 롤러(120)는 외주면이 오븐(200)의 외주면에 선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정폭을 갖는 면구조의 접촉부(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븐(200)은 오븐 본체(210)와 오븐뚜껑(2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븐 본체(210)의 수용부(211) 내부면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가면서 오븐(200)의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후방의 피조리물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피조리물 유도용 경사돌부(2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기(300)는 케이스(310) 전방으로 돌출되어 오븐(20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32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20)와, 상기 오븐(200)을 감지하는 근접센서(322)와, 상기 근접센서(322)를 통해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모터(320)를 구동하는 제어기판(323)과, 상기 제어기판(323)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324)와, 상기 제어기판(323)의 구동전원을 온오프하는 작동스위치(3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기(300)에는 상기 제어기판(323)의 제어에 따라 경고음을 출력하는 부저(326)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판(323)는 상기 근접센서(322)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부저(326)를 제어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7. 삭제
KR1020180114298A 2018-09-21 2018-09-21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KR101958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298A KR101958620B1 (ko) 2018-09-21 2018-09-21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298A KR101958620B1 (ko) 2018-09-21 2018-09-21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230A Division KR102030312B1 (ko) 2019-03-09 2019-03-09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620B1 true KR101958620B1 (ko) 2019-03-14

Family

ID=65759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298A KR101958620B1 (ko) 2018-09-21 2018-09-21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852A (ko) 2019-05-03 2020-11-11 최경수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102489055B1 (ko) * 2021-09-01 2023-01-18 강한근 가열공기 순환식 고기 구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89B1 (ko)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KR101365337B1 (ko) 2013-07-05 2014-02-19 김미경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KR200482959Y1 (ko) 2016-08-12 2017-03-21 강민재 화덕용 열기 및 바람 차단기구
KR101880865B1 (ko) * 2017-12-04 2018-07-20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289B1 (ko)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KR101365337B1 (ko) 2013-07-05 2014-02-19 김미경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KR200482959Y1 (ko) 2016-08-12 2017-03-21 강민재 화덕용 열기 및 바람 차단기구
KR101880865B1 (ko) * 2017-12-04 2018-07-20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852A (ko) 2019-05-03 2020-11-11 최경수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102489055B1 (ko) * 2021-09-01 2023-01-18 강한근 가열공기 순환식 고기 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7077B2 (en) Cooking apparatus
KR101880865B1 (ko)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US5613774A (en) Cooking pot enclosing rotatable spherical chamber
US8122815B2 (en) Device for stirring and cooking food
US11033145B2 (en) Oven for cooking products
US20180255971A1 (en) Air Fryer
EP0707452B1 (en) Barbecue
US5639497A (en) Cooking control system for rotisserie ovens
KR101958620B1 (ko)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AU2013231203B2 (en) Cooking appliance
KR101199451B1 (ko) 커피로스터
CN208610644U (zh) 一种压力空气炸锅
CN104605724A (zh) 厨房用具和使用该厨房用具的方法
JPH09164074A (ja) 製パン機能付き炊飯器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KR102030312B1 (ko) 회전식 오븐 구조를 갖는 조리기
JP2014117564A (ja) 調理器およびパンの製造方法
KR20033847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석쇠 자동조절장치
KR101989276B1 (ko)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며 기름배출이 용이한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JPH07101629B2 (ja) 電気調理器
CA3000125C (en) Cooking apparatus
KR20100013395A (ko) 휴대 가능한 그릴장치
KR200242492Y1 (ko)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
KR200318176Y1 (ko) 춘장 볶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