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761B1 -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761B1
KR101597761B1 KR1020140095747A KR20140095747A KR101597761B1 KR 101597761 B1 KR101597761 B1 KR 101597761B1 KR 1020140095747 A KR1020140095747 A KR 1020140095747A KR 20140095747 A KR20140095747 A KR 20140095747A KR 101597761 B1 KR101597761 B1 KR 10159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
pizza
upper container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156A (ko
Inventor
임경모
이호원
Original Assignee
임경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임경모
Priority to KR102014009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761B1/ko
Priority to PCT/KR2015/007566 priority patent/WO2016017981A1/ko
Priority to US15/304,499 priority patent/US10213048B2/en
Publication of KR20160014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 B65D2585/366Pizz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상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제1 측벽이 형성된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측벽과 결합되도록 제2 측벽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열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용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tray for removing water and keeping warm of food}
본 발명은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자와 같은 음식물 내의 수분이 바닥에 모이지 않도록 습기를 제거하는 한편 따듯한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탈리아 전통 음식이라 할 수 있는 피자는 뉴욕시에 있는 이탈리아인 거주지의 피자 가게에서 1905년 처음 선보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 산업화가 진전되어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잡았다.
우리나라에도 88 올림픽 이후 외국계 피자 회사가 진출한 이래 남녀노소가 즐기는 일반 음식이 되었다.
최근에는 오븐에서 굽는 피자 이외에도 전도열과 복사열, 대류열을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빠른 시간에 바삭하게 구워낸 화덕피자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새로운 외식 문화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화덕피자는 칼로리와 맛, 영양과 건강까지 생각하는 현대인의 웰빙, 슬로우푸드로 사랑 받고 있다.
모든 음식은 식재료의 특성과 조리법에 따라 고유의 맛과 풍미를 향유할 수 있으며, 음식을 취식하는 방법과 분위기가 식문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컨대, 피자는 사용되는 식재료의 배합이나 도우의 숙성 정도, 열처리 방법 등에 따라 화학적 맛과 물리적 식감은 물론 시각적인 모양새를 다르게 하여 피자 취식을 즐거움을 배가시킨다.
유명 피자 회사에서는 주로 오븐을 사용하여 대형 피자를 제조하고, 각종 토핑 재료들을 변화시켜 새로운 피자 제품을 선보이는 반면, 피자 전문점의 경우 피자 도우 사이즈를 줄이고 두께를 얇게 하며 화덕을 이용하여 바삭함을 더하고 기름기를 줄이는 방식으로 피자 제품을 변화시켜 왔다.
오븐이나 화덕에서 구워낸 피자는 뜨거운 상태에서 취식하는 것이 맛과 풍미를 살릴 수 있고 피자의 질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구워낸 피자는 상온에서 금방 온도가 떨어지고 피자가 놓이는 플레이트면에 접한 상태에서 피자 하면에 습기가 맺히는 문제가 있다.
즉, 피자 자체에 함유된 다량의 수분은 피자를 구울 때 도우나 토핑 재료들이 익는데 도움을 주고 피자의 쫀득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피자 표면에 집중될 경우 피자의 바삭함을 방해하여 식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피자 표면의 수분을 빨리 제거하고 바삭함을 유지하기 위해 도우를 얇게 하고 화덕에서 구운 피자가 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화덕피자 역시 손님들에게 제공될 때 피자 플레이트에 피자가 놓이면 피자 하면에 쉽게 습기가 맺히게 되고, 결국 그 수분이 피자 플레이트에 고이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90661(2005년 9월 14일 공개) "보온 용기"
본 발명은 조리된 피자가 손님에게 제공될 때 뜨거운 피자 내부에서 유발되는 수분으로 인해 피자가 눅눅해지고 바삭함이 사라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님에게 제공된 피자의 온도가 장시간 유지되면서 피자 표면의 수분이 쉽게 제거되어 최적의 식감을 부여할 수 있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는, 상면에 음식물이 접촉되도록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제1 측벽이 형성된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측벽과 결합되도록 제2 측벽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열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용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돌기부는 상부용기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용기 하측에는 열확산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확산판은 스페이서에 의해 상부용기의 하부에 이격되게 결합되거나, 스페이서에 의해 하부용기의 상부에 이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열기 유입구와 대응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받침다리를 구비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된 음식 예컨대 피자가 손님에게 제공될 때 뜨거운 피자 내부에서 유발되는 수분으로 인해 피자가 눅눅해지고 바삭함이 사라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피자의 온도가 장시간 유지되면서 피자 표면의 수분이 쉽게 제거되어 최적의 식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는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를 포함한다.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는 각각 소정 직경의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용기(10)의 상면에는 피자가 안착되는 복수의 돌기부(11)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돌기부(11)는 상부용기(1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 끝단까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1)와 인접한 돌기부(11) 사이에는 수분의 흐름통로가 되도록 골(12)이 형성된다.
돌기부의 형태는 엠보싱형, 직선형, 파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그 형태에 제한은 없다. 또한, 돌기부(11)의 높이는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피자의 저면이 상부용기(10)의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상부용기(10)의 테두리에는 제1 측벽(13)이 수직으로 하향 형성된다. 제1 측벽(13)의 높이는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상부용기(10)의 내부 공간(S)에 유입된 열기가 충분히 대류 현상을 구현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하부용기(20)는 평평하게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가열수단에 의한 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열기 유입구(21; 도 2 참고)가 형성된다.
하부용기(20)의 테두리에는 제2 측벽(22)이 수직으로 상향 형성된다. 제2 측벽(22)의 높이는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S)에 유입된 열기가 충분히 대류 현상을 구현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는 스테인리스, 구리, 알루미늄 등 전도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한 금속 재질 또는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고, 표면에 부식 방지 코팅이 부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보온 트레이(1)는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1 측벽(13)의 직경은 제2 측벽(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2 측벽(22)이 제1 측벽(13)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어도 상부용기(10)의 저면이 제2 측벽(22)에 지지됨으로써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는 상호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제1 측벽(13)의 직경과 제2 측벽(22)의 직경을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제2 측벽(22)의 직경을 제1 측벽(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측벽(13)과 제2 측벽(22) 간의 결합관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스크류나, 제1 측벽(13)의 내측면과 제2 측벽(22)의 외측면에 각각 체결돌기 및 체결홈을 형성함으로써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를 체결할 수 있다.
하부용기(20)의 중앙에는 열기 유입구(21)가 형성된다. 열기 유입구(21)는 별도의 가열수단(예컨대, 촛불이나 알코올 램프)으로부터 외부의 열이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 내의 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가열수단(50; 도 5 참고)으로부터 발생한 열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의 내부 공간(S)에 저장되어 용기 전체 특히, 상부용기(10)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열기 유입구(21)를 통해 전달되는 열은, 보온 트레이(1)의 내부 공간(S)에 대류 방식으로 전달된다. 특히 열기 유입구의 위쪽, 상부용기(10)의 하면에 집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용기(10)의 표면에 과도한 열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어 피자 전체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용기(10)는 그 하면에 열확산판(30)이 구비된다. 열확산판(30)은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부용기(10)의 중앙으로 열기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용기(10) 전체로 열기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열확산판(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열확산판(30)은 상부용기(10)의 하면 중앙에 배치되며, 복수의 스페이서(31)를 통해 상부용기(10)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스페이서(31)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상부용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열확산판(30)은 열기 유입구(21)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열을 주변으로 분산시켜 상부용기(10) 내면에 열이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용기(10) 내면과 열확산판(30)이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용기(10)의 일부분이 과도하게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열확산판(30)은 상부용기가 아닌 하부용기에 장착될 수 있다. 즉, 하부용기(20)의 열기 유입구(22) 상측에 열확산판(30)을 이격 배치하고, 열확산판(30)의 테두리 부분과 하부용기(20)의 바닥면을 복수의 스페이서(31)로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벽 즉, 제1 측벽(13)과 제2 측벽(22) 중 어느 하나에는 배수공(2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하부용기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배수공(22a)은 예를 들어 그릴 내부 또는 외면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보온 트레이(1) 내부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고, 특히 보온 트레이(1)에 저장되는 열기가 외부로 천천히 배출될 수 있어 보온 트레이(1)의 내부 공간(S)에 과도한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항상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를 이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보온 트레이(1)의 상부에는 화덕이나 오븐에서 조리된 피자가 놓여 있다. 피자 하면은 상부용기(10)의 돌기부에 접촉되고, 상부용기(10)의 골 부분과는 이격되어 있다.
보온 트레이(1)의 하부에는 열기 유입구(21)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열수단(50)이 배치되고, 보온 트레이(1)의 하면에는 가열수단의 배치 공간이 마련되도록 받침부재(40)가 부가된다.
받침부재(40)는 하부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대(41)와, 안착대(41)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받침다리(42)를 구비한다. 안착대(41)의 중앙에는 열기 유입구(21)와 대응되도록 관통공(41a)이 형성되어 가열수단(50)으로부터의 열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열수단(50)을 통해 보온 트레이(1)의 내부 공간(S)에 고온의 공기가 축적되며, 보온 트레이(1)의 표면을 통해 피자에 열에너지를 공급하여 피자가 장시간 고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부용기(10)로 전달된 고온은 보온 트레이(1) 주변의 상대적으로 저온의 공기와 온도차 및 압력차를 유발하게 되며, 그 결과 돌기부(11) 사이의 골(12)을 통해 주변으로 기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피자 하면에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복수의 골(12)을 통해 피자가 함유하고 있는 습기가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흐름과 열 전달의 2가지 작용을 통해 피자 내부의 수분이 파자 표면으로 집중되어 습기가 맺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피자 내부의 수분을 적절하게 유지하게 되므로, 피자의 바삭함과 쫀득함이 동시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1)는 하부의 열기 유입구(21)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외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고, 열기 유입구(21)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용기의 내부 공간에만 머물러 있기 때문에 빠른 가열이 가능하며, 적은 열로도 장시간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소모가 크지 않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용기(10)의 돌기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부용기(10)의 돌기부는 섬 형태로 형성되고, 그 결과 돌기부와 돌기부 사이의 골 부분은 외부와 연결되는 개발형 격자무늬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개시한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의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1; 보온 트레이 10; 상부용기
11; 돌기부 12; 골
13; 제1 측벽 20; 하부용기
21; 열기 유입구 22; 제2 측벽
22a; 배수공 30; 열확산판
31; 스페이서 40; 받침부재
41; 안착대 41a; 열기 유입구
42; 받침다리

Claims (7)

  1. 상면에 음식물이 접촉되도록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수직으로 하향 형성되는 제1 측벽이 형성된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측벽과 결합되도록 수직으로 상향 형성되는 제2 측벽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열기 유입구가 형성된 하부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상부용기 하측, 또는 상기 하부용기의 상측에는 열확산판이 마련되며,
    상기 열확산판은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상부용기 하측 또는 상기 하부용기의 상측에 이격되게 결합되되,
    상기 열확산판은 상기 열기 유입구와 대면하여 배치되어 상기 열기 유입구로부터 상승하는 열기를 직접 받아 상기 상부용기에 열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상부용기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가 안착되며 상기 열기 유입구와 대응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의 받침다리를 구비한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KR1020140095747A 2014-07-28 2014-07-28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KR10159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47A KR101597761B1 (ko) 2014-07-28 2014-07-28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PCT/KR2015/007566 WO2016017981A1 (ko) 2014-07-28 2015-07-21 보온 트레이
US15/304,499 US10213048B2 (en) 2014-07-28 2015-07-21 Heat-retaining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47A KR101597761B1 (ko) 2014-07-28 2014-07-28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56A KR20160014156A (ko) 2016-02-11
KR101597761B1 true KR101597761B1 (ko) 2016-03-08

Family

ID=5535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747A KR101597761B1 (ko) 2014-07-28 2014-07-28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7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337B1 (ko) * 2013-07-05 2014-02-19 김미경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661A (ko) 2004-03-09 2005-09-14 이호정 보온 용기
KR20110080059A (ko) * 2010-01-04 2011-07-12 주식회사 서전테크 다용도 조리용기
KR101297203B1 (ko) * 2011-12-22 2013-08-16 주식회사 홈스타 직화구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337B1 (ko) * 2013-07-05 2014-02-19 김미경 시스템화된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56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048B2 (en) Heat-retaining tray
US20130129890A1 (en) Food pans with thermal conveyance depressions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US9655464B2 (en) Ventilated tray with riser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US6964224B2 (en) Cooking double boiler
JP2007068943A (ja) 調理容器セット
KR101597761B1 (ko)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KR101656070B1 (ko) 피자용 보온 트레이
KR101656067B1 (ko) 전원공급 기능을 갖는 피자 트레이
CN201005463Y (zh) 一种新型食物加工制熟装置
KR101551430B1 (ko) 피자용 그릴
CN2805608Y (zh) 铁制石头涮烤锅
CN207821618U (zh) 一种冰激凌火锅陶瓷组合托盘
KR101771108B1 (ko)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KR101771106B1 (ko)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EP1648235B1 (en) Device and method for frying and grilling
KR101476056B1 (ko) 피자 취식용 온열 그리드
JPS6113786B2 (ko)
JP3125501U (ja) 食器
CN206491694U (zh) 一种盛放式火锅锅盆
KR200424627Y1 (ko) 계란후라이와 음료수가열기능을 겸비한 토스터기
CN210077367U (zh) 一种火锅用锅具
KR200395760Y1 (ko) 구이판
CN201328666Y (zh) 锅内加热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